Рет қаралды 4,986
▪ 영어 표현: Close to home
▪ 직역:
(문자적 의미) "집에 가깝다"
close(가까운), home(집)이라는 단어의 기본적 의미를 결합한 것입니다.
(관용적 의미) "개인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치는"
영어권에서 어떤 상황이나 말이 개인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거나 감정적으로 와닿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가슴에 와닿다
2. 뼈아프게 와닿다
3. 마음에 깊이 새겨지다
4. 불편한 진실을 마주하다
5. 가슴 아프게 공감되다
▪ 발음: [kloʊs tuː hoʊm] / 클로우즈 투 호움
▪ 발음 포인트: close와 home에 강세, to는 약하게
[보너스]▪ 알쓸영잡:
이 표현은 1800년대 후반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집'이라는 단어가 개인의 가장 친밀하고
민감한 영역을 상징하는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개인적으로 깊이 공감되는 경험을 설명할 때
불편하거나 민감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
진실이 너무 정확해서 불편함을 느낄 때
주로 부정적이거나 감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됨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개인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치거나 깊이 공감되는 상황
▪ 뉘앙스: 주로 부정적이거나 감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며, 개인적 연관성을 강조
▪ 문화적 설명: 영어권에서는 개인적 경험과 감정의 깊이를 표현할 때 '거리'의 은유를 자주 사용함
▪ 반복 패턴: "hits", "strikes", "feels"와 자주 결합
▪ 관련 문법: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형용사구로 활용
【 쉬운 예문 】
"That story hit close to home"
(그 이야기가 가슴에 와닿았어요)
"This issue strikes close to home"
(이 문제가 뼈아프게 다가오네요)
"It feels too close to home"
(너무 개인적으로 다가오네요)
【 일상 표현 】
"Your words hit close to home"
(당신의 말이 가슴에 와닿았어요)
"The movie was close to home"
(그 영화가 마음에 깊이 새겨졌어요)
"This really hits close to home"
(이건 정말 강하게 와닿네요)
【 유사 표현 】
"Strike a chord"
(마음에 와닿다)
"Hit hard"
(깊이 영향을 미치다)
"Touch a nerve"
(민감하게 다가오다)
【 반대 표현 】
"Distant concern"
(먼 걱정거리)
"Remote issue"
(관련 없는 문제)
"Far removed"
(동떨어진)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close의 s 발음
▪ 상황별 주의: 너무 가벼운 상황에서는 사용 자제
▪ 실수 예방: 물리적 거리와 혼동하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감정적 반응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깊은 공감을 표현할 때 사용
▪ 기억하기
한국어 연상: "가슴에 와닿다" 떠올리기
이미지 연상: 가까이에서 느끼는 감정
스토리텔링: "나와 비슷한 경험을 한 주인공"
#영어회화 #미드영어 #영어표현 #영어공부
#영어쉐도잉 #영어듣기 #영어 #숙어
#기초영어 #쉬운영어 #미드 #관용구
#생활영어 #관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