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 나쁜 짓은 영국을 욕하면 대부분 맞는 이유 ㅋㅋㅣ역사를 보다 EP.28

  Рет қаралды 498,595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오늘은 허준님과 중동학자 박현도 교수님, 이집트 고고학자 곽민수 소장님, 유라시아 고고학자 강인욱 교수님, 영국사 이상동 교수님을 모시고 역사 속 악행에 영국이 빠지지 않는 이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1:25 영국은 왜 4개의 나라로 나뉘어 있을까?
10:41 현실적으로 정말 독립할 수 있을까?
15:34 영국 축구 국가대표가 4개인 이유
21:34 역사 속 나쁜 짓은 영국을 욕하면 대부분 맞다?
34:09 제국주의 중 최악의 나라는 어디였을까?
37:06 스코틀랜드 남자들이 치마를 입는 이유
41:00 영국은 모두 같은 영어를 쓸까?
📖 강인욱 교수님의 저서
[세상 모든 것의 기원]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
yes24 - www.yes24.com/Product/Goods/1...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
📖 박현도 교수님의 저서
[이슬람교를 위한 변명]
product.kyobobook.co.kr/detai...
📖 이상동 교수님의 저서
[중세 서유럽의 흑사병]
product.kyobobook.co.kr/detai...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역사를보다#영국

Пікірлер: 714
@waterslide34
@waterslide34 27 күн бұрын
영국 포함 제국주의 국가들은 인정은 하되 사과한 적은 없습니다. 세상은 외교가 아닌 힘의 논리만 있을 뿐
@costarica6379
@costarica6379 Ай бұрын
영국이 과거 제국주의 시대 때 전세계를 상대로 저지른 악행에 대해 나름 성찰하고 있다는 말은 완전 넌센스. 과거 불행한 사실에 대한 사과를 영국 왕살이나 정부가 정식 혹은 약식으로라도 한 적이 없고 약탈한 문화재를 돌려준 적도 없다.
@user-pj6nw5rp1j
@user-pj6nw5rp1j 24 күн бұрын
제말이요 ㅎ 굉장히 지극히 제국주의 마인드로 푸시네요,,,
@jcs5186
@jcs5186 19 күн бұрын
약탈한거 안돌려주는거는 프랑스 미국 일본 중국 다 마찬가지라
@shuri125
@shuri125 16 күн бұрын
상대적으로 다른곳보다는 낫다는 거죠. 다른 국가들은 그것조차도 안합니다. (그 독일조차도 나미비아에서 저지른 학살을 사과는 커녕 인정한 것조차도 얼마 안된…)
@harlibedvii
@harlibedvii 16 күн бұрын
사과만 함 성찰만 함 그 후에 행동은 같음
@NOBODY-yj1ci
@NOBODY-yj1ci 9 күн бұрын
완전 넌센스..? 글쎄요 문화재를 안 돌려줬다는 건 맞을지 모르지만 전체 역사와 그림을 봐야 하지 않을까요? 과거 식민지였던 나라들이 영국에 반감이 적고 모임도 갖고 하며 여전히 유대 관계를 갖는다는 것이 많은 것을 시사해줍니다. 깡패 짓 할 때는 할 때고 지식 문화 교육 등 선생 노릇을 많이 한 듯......
@jeongminko9624
@jeongminko9624 Ай бұрын
교양 유튜브 중에서 보다가 제일 재밌는 것 같은데요~ 매번 교수님들의 재밌고도 다양한 썰, 우리 교양 유튜브계 최고의 MC 허준 형님의 재치있는 진행이 곁들여져 더 재밌는 듯 한데요~ 다음 편도 더 재밌고 유익한 얘기 기대하겠습니다~
@user-oc1gx2ef7q
@user-oc1gx2ef7q Ай бұрын
15:34 영국이 4개의 다른 국가대표로 월드컵 출전 하는 이유는 1회 월드컵 보다 4개의 축구협회가 먼저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월드컵의 형식이 우리나라가 출전하는게 아닌 한국축구협회가 출전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죠(국대 유니폼 가슴에 태극기가 아닌 축협 호랑이가 있는 것도 같은 이유입니다)
@KwangHoSong
@KwangHoSong Ай бұрын
오ㅜ그런게 있군요 😊
@map8664
@map8664 Ай бұрын
현대축구의 룰을만들고 보급한것이 영국이라 인정받는측면도 있죠. . 원조니까 인정받는것 ...
@user-vb8sf6mu2v
@user-vb8sf6mu2v Ай бұрын
이것도 약소국이면 깝치지말고 통합해서 나오라고 했을거임 영국이니까 먹힌거지
@user-eb8wc9cy2z
@user-eb8wc9cy2z 16 күн бұрын
​@@user-vb8sf6mu2v거꾸로 영국이 요구했다기 보다는 영국보고 출전해주길 바라는 FIFA의 의지가 반영된 거임 영국은 전쟁이잔 1~3회는 불참했고 전쟁 이후 4회에 참가함. 물론 개망신 당함
@user-eb8wc9cy2z
@user-eb8wc9cy2z 16 күн бұрын
​@@user-vb8sf6mu2v강대국만 저러는 것도 아니고 홍콩 마카오 같은 나라도 이닌 체제도 따로 출전함
@user-oi4vt8me4s
@user-oi4vt8me4s Ай бұрын
벌써 끝나? 했는데 43분짜리 영상이었다 ㄷㄷ.. 진짜 재밌네 ㅋㅋ
@Maverick_9
@Maverick_9 Ай бұрын
33:09 뭐 그것도 어느정도 맞는 말이지만 우리민족이 살아남고 지금 우리가 우리말을 쓰며 살아가고있는건 일제와 맞서 싸운 독립운동가분들과 하루하루 버텨가며 자신의 뿌리를 잊지않으려한 민초들의 다양한 노력이 더 큰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합니다
@houbird
@houbird Ай бұрын
근데 사실 맞잖아 ㅋㅋㅋ 전성기시절 전세계 돌아다니면서 분탕친건 사실임
@user-bp3ei5tk6k
@user-bp3ei5tk6k Ай бұрын
내가...분탕이 될게...
@ttg889
@ttg889 Ай бұрын
게다가 6.25때 한국 참전용사 파명 순위 1위가 미국이고 2위가 무려 영국이다
@So_good-not_bad
@So_good-not_bad Ай бұрын
파병 순위는 파평 순위고 분탕질은팩트지
@user-rk5rg3wg3x
@user-rk5rg3wg3x Ай бұрын
가장 힘이 강하니 많은 영향을 주는것 뿐 ㅋㅋㅋ 어차피 나중에 미국 망해도 똑같은 소리 할거고 잘나가다 고꾸라지는게 제일아프다
@P_p-rx9ef
@P_p-rx9ef Ай бұрын
@@jjmmff거문도 쳐들어간거 누구?ㅋㅋㅋ
@whentheygolow_wegohigh7306
@whentheygolow_wegohigh7306 Ай бұрын
귀중한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kimdeaho
@kimdeaho Ай бұрын
허준님 토전사 뉴전사로 다저진 내공이 보다에서 빛을 발하시네요 ㅎㅎ 항상 응원합니다 보다팀 분들
@hyy4375
@hyy4375 Ай бұрын
인문학 이야기들 너무 좋아요. 교수님들이 직접 살아보시면서 보고 듣고 겪으신 생생한 상황들을 이렇게 편하게 전달받을 수 있어 좋습니다. 박현도 교수님 특히 멋지심^^. 어릴 적에는 막연하게 영국이란 나라를 동경했는데(셜록 홈즈, 버킹엄 궁전 등등으로) 이 영국이란 나라 때문에 전세계가 전쟁에 휘말리거나 학살당하고 아직도 내전 중인 나라들이 있어 지금은 세계사에서 영국만 나오면 또 영국이냐...이런 생각이 먼저 드는 건 사실입니다
@ICHD77
@ICHD77 Ай бұрын
7😮😊😊
@123carth
@123carth Ай бұрын
근데 그 모든 만행을 다 커버할 만큼 인류 역사와 문화에 많은 업적도 남겼죠. (영국 올림픽 개막식에도 나오듯이) 그런 만행 거의 안 일으킨 케냐가 이 지구촌 인류에게 해준 것은???
@user-ps3gi1qq7i
@user-ps3gi1qq7i Ай бұрын
일본과 닮은점이 많음. 섬나라,입헌군주제,제국주의,사죄는 절대 안함. 덕후들이 좋아하는 국가
@user-ok1up8ws4j
@user-ok1up8ws4j Ай бұрын
.
@ThePoemath
@ThePoemath Ай бұрын
@@123carth 그렇게 따지면 중근동이 인류 역사 90퍼센트 만든거임. 문자 24시간체계 행정체계 등등 거의 모든 뼈대를 만듬.
@Zeta-gundam2
@Zeta-gundam2 Ай бұрын
이렇게 재미있는 역사 이야기를 도대체 어디에서 듣겠음? 책에도 안 나오는 이야기들임. 매번 챙겨볼 수 밖에 없음.
@user-bg9dy2ju3r
@user-bg9dy2ju3r Ай бұрын
우연히 보게 됐는데 유익한 방송이네요. 전문가분들과 진행자분 호흡도 좋구요
@sewhahappy1876
@sewhahappy1876 Ай бұрын
과학도 재밌지만 역시 인문학이 좀 더 흥미로워요~~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시청했어요~~
@MolQlu
@MolQlu Ай бұрын
근데 역사를보다 교수님들은 딕션이 너무 뭉그러져서 라디오처럼 듣기가 힘듦 ㅠㅠ
@root-7
@root-7 Ай бұрын
​@@MolQluㅇㅈ 자막 안보고 듣기 살짝 불편
@user-ev3uh8tt1p
@user-ev3uh8tt1p Ай бұрын
과학이랑 왔다갔다 해서 보는 애청자인데 개인적으로는 과학을 좋아하지만 이쪽도 흥미있어요ㅎㅎ
@healing80
@healing80 Ай бұрын
아 재미있어요~~~~일주일 내내 기다립니다~~~
@Quidam12
@Quidam12 Ай бұрын
크으.....오늘도 유익했다 너무 재밌어!❤
@bobo-wr9zm
@bobo-wr9zm Ай бұрын
와 영상길이 무엇🎉🎉
@semoligic
@semoligic Ай бұрын
들었는데 조금 어려워서 복습해야겠네요 ㅋㅋ 덕분에 새로운 걸 알게됐어요 근데 애굽민수님 마이크가 가끔 이상한것같네요ㅜㅜ왜죠ㅠㅠ
@user-ve1ls4zw3s
@user-ve1ls4zw3s Ай бұрын
정말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이상동 교수님의 바이킹 강의를 벌거벗은 세계사에서 봤는데 그것도 재밌었어요~
@mikehlee1766
@mikehlee1766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abandonship91
@abandonship91 Ай бұрын
강인욱 교수님 덕분에 제가 전에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이 이제야 조각이 맞춰지네요. 2017년도 프랑스에서 유학할 때 학교 어학당 같은 반에 다리야라고 크림반도 출신의 우크라이나 아주머니가 있었어요(무슨 폴? 그런 이름의 도시 출신인데, 이름이 기억이 잘..). 그분하고 이야기를 하는데 당연히 러시아 이야기를 하면 이를 갈 줄 알았거든요(14년도 일 때문에). 근데 뭔가 말을 하는 뉘앙스가 '나는 국적만 우크라이나지, 러시아 사람이다.' 비슷한 느낌으로 말했던 것 같아요. 막 강하게 어필하지는 않았지만 뭔가 은연중에 느껴질 정도? 아마도 지금 보니 다리야 씨가 바로 강인욱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그런 케이스가 아니였나 생각해 봅니다. 그래도 정도 많고 참 좋은 분이셨는데. 짝궁이랍시고 팬케이크도 만들어 와서 쉬는 시간에 나눠 주시고.. 무쪼록 잘 지내고 계셨으면 좋겠네요.
@jihyunhan5058
@jihyunhan5058 Ай бұрын
세바스토폴이었나보군요. 크림반도의 중심도시죠
@user-nb1tu1ie8x
@user-nb1tu1ie8x Ай бұрын
영웅도시 출신이시네
@user-ed4me4ub5f
@user-ed4me4ub5f Ай бұрын
허준님 참 잘해ㅋㅋ 다른교수님들이야 해당 전문가니까 그러더라도~ 항상 즐겁게 시청중입니다 감사합니다
@gilberthhong7265
@gilberthhong7265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 방송이네요... 최고입니다. 교수님들 멋져요..
@xinna-zb6to
@xinna-zb6to Ай бұрын
진짜 일할때 잘때 준비할때 등등 너무너무 좋아요❤❤❤
@user-dm8yv6nu4k
@user-dm8yv6nu4k Ай бұрын
저는 영국.프랑스가 국경을 그을때 일부러 분쟁이 나게끔 만들었다고 생각 합니다 1940년쯤이면 이미 부족간에 분쟁이 있을걸 알수 있엇을 것이고 식민지시대가 끝났다는걸 모르던 시대이니까요 60~70년대까지도 식민지에 대한 미련을 못버린것도 사실이고요
@j2chnj
@j2chnj Ай бұрын
재밌어요오~!!!
@toniolee4350
@toniolee4350 Ай бұрын
이런 분들이 우리 사회를 발전시키고 지지하고 이끌어가는 분들이구나.
@qkqhdudrka
@qkqhdudrka Ай бұрын
정프로의 깐족 진행도 좋은데.. 역시 허준 형님의 진행 이유는 모르겠는데 모든 박사님들이 골고루 이야기 하시는 느낌
@awesomeUMF
@awesomeUMF Ай бұрын
과학은 분야마다 많이 차이나고 역사는 모두가 이어져있기 때문에 아닐까요
@user-rh6dd6mi2e
@user-rh6dd6mi2e Ай бұрын
정프로님은 주제를 투척하고 의견을 듣는 스타일의 진행이라면, 허준님은 원하는 주제로 빌드업을 쌓아가는 스타일이셔서 그런듯? 편집점 잡기엔 정프로님이 편할것같고… 롱샷으로 가기엔 허준님이 자연스럽게 넘어가서 보기 편한것같고…ㅎㅎ
@user-hg7ts9ve4c
@user-hg7ts9ve4c Ай бұрын
가만히 들으면 쌓이는 지식 재밌어요.
@user-zm3ui5kf6m
@user-zm3ui5kf6m Ай бұрын
크~ 영국 얘기를 하다보면 좀 재밌는것같아욪ㅋㅋㅋㅋ 한 짓이 많으니 얘기거리도 풍부하네요ㅋㅋㅋ 제가 좋아하는 드라마 중에 닥터후가 있었죠... 거의다 영국 촬영이고 재밌어서 봤던 열성팬이였죠ㅎㅎ 그래서 그런가 나오는 배역들마다 은근한 발음 차이는 알겠더라고요 그것도 그런데 거기에 나오셨던 테넌트형님이 치머 입으신 사진 본적있는데 저한테는 묘했답니다ㅋㅋ
@sunkim3999
@sunkim3999 Ай бұрын
영국식으로 a를 아로 발음하는데 들리니 반갑네요. 애플은 아플, 랜드는 란드, 클랜은 클란, 맨체스터는 만체스터...ㅎㅎ 한국애서 영어 하시는 분들 중에 저런 발음 듣는게 올만임다. 😊
@PaperBackS100
@PaperBackS100 Ай бұрын
이번편 골치아픈 얘기들이 많아서 편집하느라 엄청 애쓰신거 같네요 중간중간 위험!! 신호가 뜨면 컷컷 되는게 ㅋㅋㅋ
@user-is8hx1el3v
@user-is8hx1el3v Ай бұрын
40:30 허준씨.. 그걸 알아서 어디다 써먹으시려고요 ㅎㅎㅎㅎㅎ 좋은거 배웠뎈ㅋㅋㅋㅋ
@dorams9865
@dorams9865 Ай бұрын
견문이 넓다는 게 바로 이런 거구나 하는 걸 역사를 보다 보면서 느낍니다. 쉽게 편견이나 혐오, 비난에 빠질 수도 있는데 각자의 사정을 헤아리려고 노력하면서 나아갈 방향까지 나름대로 제시하는 출연진 분들을 보면서, 지식도 지식이지만 생각하는 방향에 대해서 많이 배우고 있어요. 좋은 프로그램 만들어 줘서 고맙습니다
@user-ct8rw1wg4n
@user-ct8rw1wg4n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Koo-Nyang
@Koo-Nyang Ай бұрын
영상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근데 매번 아쉬운게 마이크 음량차이가 좀 있는지 작게 들렸다가 크게 들렸다가 하네요 ㅠㅠ
@---xk2kb
@---xk2kb Ай бұрын
너무좋다.
@arkhamasylum6157
@arkhamasylum6157 Ай бұрын
제발 주 2회 로 늘려주세요
@dl8653
@dl8653 Ай бұрын
편집자:나 죽여
@user-jx7gm8ow3i
@user-jx7gm8ow3i Ай бұрын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재미있었습니다.
@user-om9bd5vj6p
@user-om9bd5vj6p Ай бұрын
저는 보다에서 교수님들과 함께 인문학과의 어려움을 다뤄줬으면 좋겠어요.! - 교수님들이 인문학과를 선택한 이유 - 교수님들이 생각하는 인문학과의 어려움 - 교수님들이 겪은 인문학 위기 - 교수님들이 생각하는 해결방법 - 인문학을 고민하는 후배들에게 조언 이렇게??
@bowersockk7543
@bowersockk7543 Ай бұрын
진행자이신 허준님께서 역사 관련 프로그램을 많이 하셔서그러신지, 게스트분들로부터 재미와 정보 둘다 뽑아내시는 언변이 참 인상적입니다. 늘 잘보고 있습니다!
@lfktrkrzkx8162
@lfktrkrzkx8162 22 күн бұрын
허준님 참 잘하세요. 사랑합니다.
@duriduba9739
@duriduba9739 Ай бұрын
매순간이 흥미진진~ 감사합니다❤
@mangosuarez
@mangosuarez Ай бұрын
8:38 보고 와~ 진짜 컨텐츠 괜찮다 생각하게 되네요 ㅎㅎ우리나라도 친 서방 국가이다 보니까 러-우 사태를 서양의 시선에서 바라본 논문들과 기사를 주로 접하게 되는데, 우리가 잘 접하지 못하는 객관적인 정보를 알려준다는게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당연히 저도 우크라이나 지지하고 러시아가 잘못했다고 생각합니다)
@jeonjukongnamulgukbop
@jeonjukongnamulgukbop Ай бұрын
강교수님 진짜 정확하신 지적이시네요 저도 우크라 정체성에 대해 항상 생각했었는데, 도대체 어디서 그들만의 민족, 땅이 생겨난건지 역사적으로도 이해가 안됐어요.. 저만 그렇게 생각했었던것 같앗는데 감사합니다..
@jinyoungan4830
@jinyoungan4830 Ай бұрын
옛날 폴란드+오스트리아 지배 영향 받았던 서부와 러시아 지배 받았던 동부의 정체성이 서로 많이 다른데 둘이 한 국가로 합쳐져서 계속 분쟁이 생기는 것 같네요
@jeonjukongnamulgukbop
@jeonjukongnamulgukbop Ай бұрын
@@jinyoungan4830 그것도 맞는말입니다 근데 제 생각은 갑자기 우크라이나라는 민족성이 어디서나온걸까? 인데.. 아무리봐도 이스라엘의 고토수복 보다 명분이없거든요
@mongking7
@mongking7 Ай бұрын
​@@jeonjukongnamulgukbop 간다효. 라고 역사 유튜버잇어요 그채널에 올라와잇어요 우크라민족성 영상
@mmiaaa1503
@mmiaaa1503 28 күн бұрын
허준님 진행력 👍👍👍
@marlowe5998
@marlowe5998 Ай бұрын
영국의 과거 식민지들에 대해 현재 하는 행동은 실리적 이유도 크다고 봅니다. 최대한 영연방으로 친근감을 심어줘야 국제사회에서 영국이 영연방의 수장으로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으니까요.
@user-vu2zc4ub4n
@user-vu2zc4ub4n Ай бұрын
사실상 현대적인 스타일로 세련되게 가다듬은 제국주의라고 봐도 무방하죠 프랑스가 2차 대전 끝나고도 똑같은 방식으로 식민 지배 하려다가 알제리랑 베트남에서 개같이 쳐맞고 쫓겨난거 보면 영국은 빠르게 스탠스를 바꾸면서 영연방을 만들고 옛 식민지들에 영향력을 유지하는데 성공했으니까요
@oisomam6271
@oisomam6271 Ай бұрын
남의 나라 침략할 때는 나쁜 짓 하려고 침략하지 좋은 일하려고 침략하는게 아니다 피를 흘리는 일을 하는데 대가도 없이 할 인간은 없다 다 한 목 잡자고 하는 짓이 전쟁이다
@user-vx4jn8bp5r
@user-vx4jn8bp5r Ай бұрын
오디오 감독 연차 썼나요?
@aurora9531
@aurora9531 Ай бұрын
곽민수 소장님 얘기할 때 오디오가 자주 튀는데, 해결 좀 부탁 드립니다.
@gimgankoomg4168
@gimgankoomg4168 Ай бұрын
촬영팀이 곽소장님 싫어하시는 듯??
@sc-xb9ye
@sc-xb9ye Ай бұрын
매번 그러는듯하네요
@kyounghwanyoun2916
@kyounghwanyoun2916 Ай бұрын
편집으로 일일이 잡느라 고생하는거 같은데
@user-vw5wu7mc7n
@user-vw5wu7mc7n Ай бұрын
이번편뿐아니라 지난편들보면 애굽민수님이 얘기할때보면 제스쳐하면서 마이크가 넥타이나 셔츠에 자꾸쓸려서 그런듯
@kephas7772
@kephas7772 Ай бұрын
크림반도는 제정 러시아가 옛날 크림전쟁을 할 정도로 차지하고 싶은 곳이고, 실제론 소련 시절에 흐르쇼프(예전엔 흐루시초프)가 우크라이나 연방에 떼 준것으로도 유명하죠...소련시절 흑해함대가 있던 곳이라...소련이 해체한 후엔 당연 러시아가 노리고 싶던 곳이었겠죠... 스코틀랜드 북해 유전은 2010년도경인가 한참 유가가 엄청 올랐을 당시에도 그 유전은 피크가 지난 유전이라고 다큐에서도 다뤘었던게 기억납니다...쉐일오일이 나오기 전엔 피크 오일에 대한 다큐가 많았었습니다...그 다큐를 보니 석유가 타는 운송 수단 외에 나프타로 부터 생성 된 우리 생활 속 석유화학 합성 제품으로 이뤄진 모든물건(생활가전 등등)과 많은 치료약 생산 등 석유화학의 중요성을 느끼게 된 다큐였습니다...
@greenduck5664
@greenduck5664 Ай бұрын
중동엔 이슬람교 서유럽은 카톨릭교. 영국에는 성공회. 러시아는 러시아정교회. 각 나라마다 핵심 종교가 있는데. 종교에 관련된 심층 이야기와. 종교간의 분쟁에 관해 얘기해 주세요~ ㅎ
@user-tk5cl9ut5p
@user-tk5cl9ut5p Ай бұрын
많이 했으니까~~~~~~~~~~~
@annabelle7123
@annabelle7123 Ай бұрын
Divide and rule이 영국이 여러 나라에사 벨기에가 르완다에서 인종학살을 나중에 불러일으킨 이유죠… 제국주의는 불평등을 기반으로 한 정치쇼다… 기억에 남네요, 일본인들이 식민 통치 시대에 한국인 차별한 것도 떠오르고. 차별은 그래서 위험합니다.
@chicaquila
@chicaquila Ай бұрын
18:09 런던올림픽 영국 단일 대표팀은 정확히는 잉글랜드와 웨일스 선수만 참여를 했다. 그래서 사실상 반쪽 UK팀이었음. 그리고 그 이후로 다시는 구성하지 않고 있다. 다만, 여자 올림픽 대표팀은 런던 때부터 진짜로 4국 단일팀으로 출전하였고, 그 이후로도 계속 단일팀으로 올림픽에 출전 중이다.
@agisudal
@agisudal Ай бұрын
현재에도 내전 많이하는 국가들이 내전이 왜 일어나는지 찾아보면 10 중 8 9 는 영국 아니면 프랑스
@alltube5639
@alltube5639 Ай бұрын
대영박물관 과 루브르박물관은 국제적 장물 전시관...😅
@user-ps3gi1qq7i
@user-ps3gi1qq7i Ай бұрын
제국주의 끝판왕이 영국임. 일본보다 더 잔인하지. 그리고 다른나라한테 사죄를 절대 안함. 영국 여왕이 식민지의 상징이였음
@Quidam12
@Quidam12 Ай бұрын
40:10 그 장면 에 나옴 그때는 영국군 앞에서 적을 도발하려는 의도로 한 거지만..... 나름 철저한 고증
@user-dh1uc1qj7o
@user-dh1uc1qj7o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시청하고 있는 구독자인데요. 다른 채널이랑 오디오 크기가 너무 달라서 스피커 상태가 좋지 않은 노트북으로는 보기 힘든 영상이 되었어요. 수정이 힘드신거 알지만 부탁드려요
@user-jo4ns2it9p
@user-jo4ns2it9p Ай бұрын
내 주말 간식❤
@user-pl6vs3hq8f
@user-pl6vs3hq8f Ай бұрын
진짜 허준님 mc 잘 보시네요 ㅎㅎ
@user-zb6ie1qj9b
@user-zb6ie1qj9b Ай бұрын
30:15 지금 영국의 학교 교육 내용에는 영국이 아랍과 유대인 모두에게 국가 건설을 약속힌 사기 행각을 가르치지 않는다고 들었는데요.
@iigel352
@iigel352 Ай бұрын
영국에서 공부하고 직장 다니고 등등 해서 10살았는데, 적어도 내가 경함한바로는 영국인 = 일본인임. 성격 문화 사고방식 등등 너무 비슷한데, 한가지 완전 다른게 있다면 일본인이나 영국인이나 대체로 내성적인 편이지만, 영국인들은 그성격이 본인들 컴플렉스인지 뭔지 불필요한 상황에 굳이 그리고 뜬금없이 쎈척, 외향적인척을 함. 게다가 국뽕이 내가 아는 어느나라 사람들과는 레벨이 다른 수준인데, 내면에 난 대영제국의 후예이고 너희들과는 종자가 다른다라는 마인드가 깔려있는게 술마시고 대화하다보면 한번씩 툭툭 나옴. 이런 성향들이 모여서 술마시다 기분이 업되면 극단적으로 내면이 표출되기도 하는데, 간단히 말해서 낮영국인과 밤영국인은 완전 다른 사람들임. 낮에는 극도로 온순한 사람들이 밤이 되는 정반대로 변함. 한예로 할로윈 파티에, 프랑스인5명 영국인 2명과 한국인1명(나)가 살던 플랫(대충 연립주택?)에 영국인 15명정도를 초대했는데, 그담날에 보니 양변기가 산산조각나 있었음 ㅋ 모양새로 봐선 누가 망치같은걸로 완전히 깨부숨. 이건 그냥 한 예시일 뿐, 비슷한 상황은 영국생활하는동안 꾸준히 봄. 폭력을 동반한 고성방가가 끝나고 낮이되면 언제나처럼 다시 극내향인들로 변함. 낮에는 이렇게 예의바른사람이 없음.아는사람들은 알겠지만, 게르만계 유럽인들이 대체로 조용조용한 성격이긴한데, 술마시면 이정도까지 돌변하는 사람은 내가 알기론 영국인들이 유일함. 아마 전세계에서도 유일할듯. 불행인지 다행인지 몰라도, 난 주로 스페인/이탈리아인들과 어울렸는데 이친구들은 밤이나 낮이나 별차이가 없어서 정신적으로 편안했음. 영국인들이나 일본인들이나 얼핏보면 온순하고 신사처럼 행동해서 첫인상은 대체로 좋은편임.하지만 그동안 착한사람 코스프레로 받은 스트레스는 어떤 경로를 통해서라도 풀어야한다는거. 그래서 파티나 축구같은 이벤트에 동반되는 영국인들의 난장판은 그들의 문화인것임 요약: 영국인처럼 살기싫으면 스트레스는 그때그때 풀어라.
@nanohatakamachi2598
@nanohatakamachi2598 Ай бұрын
해외원조보다 문화재반납부터 했으면 좋겟네
@user-km4dk6yl6t
@user-km4dk6yl6t Ай бұрын
영국이 정말 반성을 한다? 그건 반성이 아니라 자신들의 영향력을 높이려는 전략이지 반성의 의미는 아니라고 생각함
@vsy56
@vsy56 20 күн бұрын
현재 미국도 그렇고 예전의 영국도 그렇지만 패권국들은 자국 이익을 찾다보면 욕을 먹을 수 밖에 없는 구조인건 맞는데 그렇다고 영국을 재평가해야된다는 그런건 좀 아니지 않나 싶네요…
@fsseo2523
@fsseo2523 Ай бұрын
역사학사자가 확언을.. 한다 ㅎㄷㄷ
@jaysonlim6777
@jaysonlim6777 Ай бұрын
섬나라는 육지로 이어진 대륙과는 다른 독특한것들이 존재하고 독특한것들을 잘 만들어내는것같습니다. 영국,일본은 독특한게 많은것같습니다.
@baro-kv8he
@baro-kv8he Ай бұрын
허준 온게임넷에서는 보이지 않던 지식과 영민함이 보다 방송에서는 보여서 너무 좋아요 😊
@bubbleshark
@bubbleshark Ай бұрын
맞아요 그때 보던 그 사람이.맞나 싶을정도로.. 대박
@minakim7326
@minakim7326 Ай бұрын
pixar Brave 2012 랑 Outlander 보시면 게일릭 영어발음 완전 들려요
@P40WarHawk
@P40WarHawk Ай бұрын
역사에 관심이 많은 우리는 이 나라를 또국이라고 부르기로 했어요
@user-if2be3if7d
@user-if2be3if7d Ай бұрын
궁금해서 물어 보는데 스코틀랜드 분리 독립 하면 엉국왕실은 어떻게 되나요?? 일단 뿌리는 스코틀랜드 왕실이기는 한데 어디로 가게 되는지 궁금 합니다 ㅎㅎ 7:59
@CosmosCho
@CosmosCho Ай бұрын
일단 대부분의 스코티시들은 왕실에 대해서 별 신경 안씁니다. 심지어 윈저 왕조는 독일의 작센 지방 계열입니다. 그전엔 하노버 왕조였고...
@Im-us6xg
@Im-us6xg Ай бұрын
와우 대박
@nameless4192
@nameless4192 Ай бұрын
녹화본에서 곽민수 소장님의 마이크가 늘 문제생기는거같은데요...
@user-iq2dw3vl8o
@user-iq2dw3vl8o Ай бұрын
당장 영국이 이웃나라인 아일랜드에 한 악행을 보면 영국은 진짜 악 그 자체.
@donkeyekyo7676
@donkeyekyo7676 Ай бұрын
나이트클럽 스토리가 아주 재밌네[요 ㅋㅋㅋ
@user-tb9wb6jc3z
@user-tb9wb6jc3z Ай бұрын
13분전 못참지
@maatpon
@maatpon Ай бұрын
40:29 형 이거 배워서 뭐에 쓰시려고..
@j-mincompany3457
@j-mincompany3457 Ай бұрын
40:30 감사합니다 교수님! ㅋㅋㅋㅋㅋ
@user-fe5yi8wf9r
@user-fe5yi8wf9r Ай бұрын
2차세계대전 말기에 조선의 독립을 끝까지 반대한게 식민지배 약탈 전문 영국, 처칠 ㅋㅋㅋㅋ😆
@sohobay11
@sohobay11 Ай бұрын
다음 동영상도 토전사 허준 얼굴이 보임ㅋ 그리고 이번 주제와 이야기가 너무 재밌었음.ㅋ
@user-vx4gy7pg1k
@user-vx4gy7pg1k 23 күн бұрын
영국은 그들의 지난 만행에 대한 공식적인 사과는 커녕 공식적 유감표명도 한적이 없음
@SKYBLUE-oo2ld
@SKYBLUE-oo2ld Ай бұрын
한반도에서 한민족이 수천년버틴건 기적이다. 뭐 단일민족이 아닐수도 있지만 우리나라처럼 다른나라 식민지가 안된나라 찾기가 더 어려울듯 특히 주변에 강대국이 널려있는데
@user-bk1hf9yq8y
@user-bk1hf9yq8y Ай бұрын
지금도 그래요 인종차별 심합니다 유럽 애들 특히 프랑스 러시아 애들 이런 애들 보면 해외여행 나가다 보면 동양인 엄청 무시하고 막무가내로 행동해요
@charlieshin9513
@charlieshin9513 Ай бұрын
영국 거래처에 갔다가 엔지니어 말을 잘 이해를 못해서 멍하게 있으니 다른사람이 스코티쉬라서 자기들도 이해 못한다고 깔깔 되던데 정말 그렇군요 😅
@jhkim6855
@jhkim6855 Ай бұрын
너무 재미있어요^^최애입니디
@annabelle7123
@annabelle7123 Ай бұрын
웨일즈 친구 있는데 알아듣기 어려워요 ㅋㅋㅋ 스코틀랜드는 악센트가 훨씬 더 심하더라구요… 이제는 대부분이 영어 쓰는데 아직도 집에선 웨일즈어 쓰는 사람도 있다더라고요. 영국 잉글랜드는 왜 런던 옆동네도 악센트가 다 다른지 의문입니다 ㅎㅎㅎ
@nyaangi
@nyaangi Ай бұрын
브리튼으로 모여라해야지 한쪽으로 모여라하니 싸우는 거지요.
@nooneneedtoknow
@nooneneedtoknow 12 күн бұрын
허준형 간만에 보는데 왜케 살빠짐?
@user-un7eo2hk8v
@user-un7eo2hk8v 17 күн бұрын
역사반복 입니다. 강하게 나라 힘을 키워서 똑같이 2배이상 돌려 주어야 합니다.
@sasami-777
@sasami-777 Ай бұрын
사실은 오래전부터 이런 주제를 기다려 왔다우
@user-to6ci6kb4l
@user-to6ci6kb4l Ай бұрын
곽민수 소장님 오디오좀 체크해 주세요~~ 곽민수 소장님 목소리만 중간중간에 마이크 없이 쌩 목소리로 들립니다!!
@Love-lv3ow
@Love-lv3ow Ай бұрын
말씀하실때 손을 많이 움직이셔서 오디오에 이상이 있는게 아닐까요
@dogncat12
@dogncat12 14 күн бұрын
지금 미국이 인류역사볼때 가장 순한 패권국가임
@user-qn8ok6ch8b
@user-qn8ok6ch8b Ай бұрын
역사를 보다/과학을 보다/ 다음으로 자연을 보다 편성 해주세요 ㅎㅎ 곤충 동물 공룡 식물 생물 등등 이야기를 다루는 코너도 만들어지면 좋겠습니다
@user-xu8zl9qj4g
@user-xu8zl9qj4g Ай бұрын
그게 과학...
@user-go2rb2bq6q
@user-go2rb2bq6q Ай бұрын
이번편은 다른 영상들과 달리 소리가 작은느낌이있네요
@harukim5032
@harukim5032 Ай бұрын
히틀러하나 악인으로 만들어서 그동안 유럽것들이 벌인 패악질들 퉁친거지.. 그러면서 지들이 고귀한척하는거 보면 토악질 나올때가 가끔 있지..
@user-sz8ke5wh6q
@user-sz8ke5wh6q Ай бұрын
도찐개찐이죠..뭐..😅
@user-gs1oq6gy5r
@user-gs1oq6gy5r Ай бұрын
역사를보다 교수님들 세계사 시험, 한국사 시험 느작없이 보게 해 봅시다ㅎㅎㅎ
@soowootwins9902
@soowootwins9902 Ай бұрын
노트북으로 시청하는데 소리를 맥스로 해도 잘 안 들려요
@kimalex541
@kimalex541 Ай бұрын
풀버전은 안나오나요?
@kangsj1977
@kangsj1977 Ай бұрын
벨기에도 네덜란드어 쓰는 플랑드르 지방 사람들도 1차대전 전까지는 자기 말 못 쓰고 불어쓰는 귀족들에게 눌려살다가 2차대전 끝나고 나서 경제사정이 역전돼서 지금은 그 한 때문인지 플랑드르 지방에서는 독립하자는 여론이 엄청 강합니다. 캐나다 퀘벡지방 이야기 들으니 그 생각이 나네요.
@user-ef9ox3qi5c
@user-ef9ox3qi5c Ай бұрын
벨기에가 왈롱하고 플란드르 지방의 지역감정이 심한데 그 근간이 언어와 문화의 차이라 통합이 쉽지 않죠 선거에 따른 의회구성도 지역별로 이루어져 내각구성이 안될때도 있고 그렇죠 그래서 벨기에 국왕의 주요 임무중 하나가 국가통합
@Tohsaka_Gwangjuautocraft
@Tohsaka_Gwangjuautocraft Ай бұрын
와 시크한 선생님 개멋있어
1❤️#thankyou #shorts
00:21
あみか部
Рет қаралды 88 МЛН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둘의 원수지간은 종교만으로는 설명 안 돼 [인도 & 파키스탄]
35:54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 넷플릭스 [오스만제국의 꿈]으로 보는 콘스탄티노플 함락
16:23
조승연의 탐구생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Бетімнен бір қойды, таяғын жеді”
28:26
QosLike / ҚосЛайк / Косылайық
Рет қаралды 238 М.
ЛЕДИ БАГ УКУСИЛ ЗОМБИ😱 #shorts
0:22
BestStories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БАТЯ ПЛАКИ-ПЛАКИ
0:47
LavrenSem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Which water gun will you get it?
0:26
YJTOYNIKOLA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