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상 가장 빠른 기차 | 그것의 완전한 물리학

  Рет қаралды 1,332,594

Lesics 한국어

Lesics 한국어

2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자기로 공중부양 열차가 흔하지만, 중앙 일본 철도 회사에서 개발한 자기 공중부양 열차는 매우 독특하고 다른 열차보다 우수합니다. 시속 600km 이상으로 달리는 이 열차는 '가장 빠른 열차'라는 지위를 얻었습니다. 이 열차는 초전도 자석을 사용하므로 SC MagLev라고 불립니다. 일단 신나는 전류로 충전되면, 이 열차의 초전도 자석은 순환하는 DC 전류와 강한 자기장을 영원히 생성하며, 손실은 전혀 없습니다. 이 성공적인 테스트를 거친 열차 기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기술은 2027년에 다른 자기 공중부양 기술을 능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같은 기술이 2030년에 단 한 시간 만에 뉴욕과 워싱턴 DC를 연결할 것입니다.

Пікірлер: 829
@daddyfallinginpoem7714
@daddyfallinginpoem7714 2 жыл бұрын
매우 훌륭한 공학적 분석 영상이네요...잘 봤습니다. 당연히 구독 박았습니다.
@msdigital7065
@msdigital7065 2 жыл бұрын
3:00 방사선이 아니고 복사선입니다. 둘다 영어로는 radiation 이지만 의미와 사용처가 다릅니다. 방사선이라는 용어는 보통 알파,베타, 감마선과 같은 고에너지 하전입자나 전자파를 나타낼 때 사용하며, 복사선은 열선과같이 빛에의한 복사 가열효과를 나타낼때 이며 주로 적외선, 가시광선에 해당됩니다.
@jeongkwangwon1
@jeongkwangwon1 2 жыл бұрын
니까짓게 뭘 안다고 ㅋㅋㅋ 지잡대 나와서 좇소나 다니는게 ㅋㅋ
@user-qo4ft6bh5e
@user-qo4ft6bh5e 2 жыл бұрын
해석이 박사수준이네요..이런 방송 많이 많이 보여주세요
@user-jo3fq9sz6h
@user-jo3fq9sz6h 2 жыл бұрын
균형 상쇄를 저렇게 조화롭게 써먹은게 대단하네요. 항상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ndied0j
@ndied0j 11 ай бұрын
역시 같은 것을 배웠다고 같은 것을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네요. 관련학과 학부생 정도면 충분히 떠듬떠듬 이해할 수 있는 원리들인데, 그런 것들을 하나하나 응용해가며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하여 만든 걸작이네요. 공학은 아름답습니다 😅
@user-ls7ck2oi6e
@user-ls7ck2oi6e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seyongkwon
@seyongkwon 2 жыл бұрын
이제부터 '신나는 전류' 입니다.
@user-sy1pt6bg2r
@user-sy1pt6bg2r 2 жыл бұрын
신나는 전류는 뭘 번역한걸까요?
@user-cc9gb3ck2r
@user-cc9gb3ck2r 2 жыл бұрын
크크 흥이 많은 전류
@jodanniel5260
@jodanniel5260 2 жыл бұрын
혹시 exciting current 일까요?
@Chat_Bixby
@Chat_Bixby 2 жыл бұрын
훙분하는 전류 보단 낫네 ㅋㅋ
@zukorean
@zukorean 2 жыл бұрын
@@Chat_Bixby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urger_prince
@burger_prince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처음 듣는 말이라 집중 안되지만 그래도 쉽게 알려주시는 영상이 넘. 좋네요~~♡
@DJ-zs1cw
@DJ-zs1cw 2 жыл бұрын
설명이 쉽게 잘했네요. 재미있네요
@user-pt9lx5lq7x
@user-pt9lx5lq7x 2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이네여 ㅎㅎ
@user-ud8jt9dl3d
@user-ud8jt9dl3d 2 жыл бұрын
일반 전기열차 대비 자기부상열차 에너지 비가 궁금하네요.. 비용의 문제도 중요하니깐요..
@Game_Make
@Game_Make 2 жыл бұрын
구글 번녁기 같지만 조금더 자연스러워 졌네요 . 허허 약간 오역으로 아쉽네요 ㅎ 컨텐츠는 즐겁게 보았습니다. ㅎ
@user-er3vv6oh6l
@user-er3vv6oh6l 2 жыл бұрын
에너지보존법칙을 자유자재로 정밀하게 적용하다니..경의롭네요
@Billion._.Master
@Billion._.Master 2 жыл бұрын
일본 공학기술은 진짜 대단하네.. 근데저거 건설비용이랑 운용비 엄청날듯;; 와
@user-mn8ng9ml7d
@user-mn8ng9ml7d 2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user-ji2ik9rw1j
@user-ji2ik9rw1j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zzangbike2524
@zzangbike2524 Жыл бұрын
항국말을 정말 한국말 답게 잘 하십니다... 강추~~^^
@user-ef6ih3yx1z
@user-ef6ih3yx1z 2 жыл бұрын
다 좋은데 돈이 문제네요...ㅎㅎ 더 발전해서(상온 초전도체 개발) 비용이 낮아진다면 앞으로의 철도판은 다 이 방식으로 가야될거 같네요
@VradNorton
@VradNorton 2 жыл бұрын
근데 좌우마그네틱이 열차선에 다 무사해야하는게 몇개라도 고장나면 팅겨나가버리는건가요 ?
@DavidYun-vx4de
@DavidYun-vx4de 2 жыл бұрын
93엑스포때 자기부상열차를 선보이며 한때 각광을 받더니만... 기계연구소가 연구, 개발비를 못 받았나보죠?
@sashimi_taco7934
@sashimi_taco7934 2 жыл бұрын
기계공학 천재들만 모아놨네 와..
@beom01638
@beom01638 2 жыл бұрын
전기공학아님?
@jongunkim4404
@jongunkim4404 2 жыл бұрын
@@beom01638 둘 다 필요
@jaypark4467
@jaypark4467 2 жыл бұрын
베이징에서 정조우가는 고속기차 몇번 타봤는데 293킬로까지 표시되더군요. 걔네들은 객차입구벽에 display 하더군요
@holysite
@holysite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잎니다
@dragonkwak1
@dragonkwak1 2 жыл бұрын
이런것을 아는 당신은 누구 입니까? 이런 영상은 또 어떻게 만들었습니까? 당신의 지식과 영상을 만드는 노력에 감탄을 드립니다.
@user-xn8sd8vo6t
@user-xn8sd8vo6t 2 жыл бұрын
이것은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자료입니다 이것이 외국유튜브를 번역한 한국어로 제작된 것임을 알게 된다면 매우 놀라실지도 모릅니다
@cyp9571
@cyp9571 2 жыл бұрын
내가 구글 번역기를 킨건가 댓글 말투가 다 왜 이러지
@LUNA-hs2is
@LUNA-hs2is 2 жыл бұрын
@@cyp9571 ㄹㅇ ㅋㅋㅋㅋㅋ
@Seinhood
@Seinhood 2 жыл бұрын
리니어 신칸센은 실현가능하냐 마냐가 아니라 벌써 선로 깔고 있습니다. 열차제작도 완료했고 시운전도 완료했구요. 일본정부가 돈이 너무 많이 든다고 발빼니까 JR(한국으로 치면 코레일)이 자기들이 신칸센으로 쌓아놓은 자본으로 짓겠다고 선언했죠.
@kingorqueen1439
@kingorqueen1439 2 жыл бұрын
설명을 듣다가 어! 뭔가 설명이 이상한데 하는 생각이 들어 Lesics 원문을 찾아본 후 느낌이, 공학 전문 지식이 불충분 한 분이 번역기(또는 사전)를 이용하여 Lesics 의 영어로 된 설명을 옮겼다는 느낌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지만(이미 다른 분이 지적한 것도 있고) 03:12, 방사선... 이 아니라 복사(radiation, 輻射)가 맞는 용어라고 생각합니다. 영어를 모르는 사람도 다양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힘쓰는 것은 좋으나 올바르게 전달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ong3e
@ong3e 2 жыл бұрын
이거 그냥 lesics 가 다른 여러나라 유툽에서도 수익내려고 한국어 음성봇으로 바꾼거 뿐이에요 ㅋㅋㅋㅋ 요새는 진짜 같이 잘되서 분간이 힘든데 가끔 번역 오역이 있네요ㅋㅋㅋㅋ...
@oxdoxx
@oxdoxx 2 жыл бұрын
그렇지요. 정보의 전달은 "많이" "빨리"보다 "정확"이 생명이죠
@user-ic8ld7fn6i
@user-ic8ld7fn6i 2 жыл бұрын
그것의 완전한 물리학이라! 그것은 물리학의 완성체.
@user-yy9wu3ud1e
@user-yy9wu3ud1e 2 жыл бұрын
와 듣는것만으로도 숨막히네여~~~
@user-ee6sp6jl7q
@user-ee6sp6jl7q 2 жыл бұрын
철도공사우진산전등 연구을해배바야함니다
@user-zc7cq2ul8h
@user-zc7cq2ul8h 2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좌우조정 시에 생기는 기전력으로 인한 열은 어떻게 처리하나요?....
@yt_white_banana
@yt_white_banana 2 жыл бұрын
코일 차폐 시스템에서 액체질소로 냉각하는거 같아요. 레일에서 발생하는 열은 열차가 달리면서 발생한 바람으로 식히는것 같고요
@tahcy9571
@tahcy9571 2 жыл бұрын
그 기전력은 열차 내부 코일에 발생하는게 아니라 레일에 발생하는거니까, 그냥 상온에서도 충분히 식지 않을까요? 레일 위에 뭐 기차가 24시간 있는거면 몰라도,,,
@ndied0j
@ndied0j 11 ай бұрын
열차가 질량이 아주 커서 외부힘에 의해 상하좌우로 계속 크게 움직이지는 않을테니 발생하는 열도 엄청 유의미할거 같지 않다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allegrorisoluto3728
@allegrorisoluto3728 2 жыл бұрын
이 기술을 하이퍼루프 안정성문제에 적용할 수 있을까요?
@S-OIL_Korea
@S-OIL_Korea 2 жыл бұрын
@@user-ko9te4jj4u 하이퍼루프는 내부가 진공이잖아요.
@KR-ek2ub
@KR-ek2ub 2 жыл бұрын
@@S-OIL_Korea 진공 튜브를 진행하기 위해 자력을 사용합니다.
@ong3e
@ong3e 2 жыл бұрын
@@user-ko9te4jj4u 하이퍼 루프의 핵심은...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겁니다....ㅋㅋㅋㅋ 아니면 지상에서 가는거랑 다를게없어요.
@howni777
@howni777 2 жыл бұрын
위 댓글들.... 진공상태를 만들고 유지하는것이 최대의 관건이지만 결국 그 속을 달릴때는 자력을 이용해 달립니다
@howni777
@howni777 2 жыл бұрын
하이퍼루프는 지공상태만 잘 관리된다면 저 정도의 강한 자력기술이 필요가 없습니다 진공상태의 물리작용과 공기중의 물리작용은 상당히 달라서요 저도 지식이 좀 짧아서 간단히 설명하기 힘들지만 결국 하이퍼루프의 핵심적인 문제점은 진공상태를 얼마나 안전하게 잘 관리할수있느냐가 문제구요 안정적인 그 속을 달리는것은 저 기술보다 난이도가 낮을 겁니다
@BO-nn9up
@BO-nn9up 2 жыл бұрын
웬만한 대학 강의보다 낫다
@cheesekiller
@cheesekiller 2 жыл бұрын
전혀.. 틀린데도 많고 인과 설명도 제대로 안돼있고 이래서 전문가와 비전문가는 하늘땅만큼 차이가 나는구나
@ooo19192
@ooo19192 Жыл бұрын
@@cheesekiller 그런 말을 하고싶으면 틀린것은 무엇이며 논리에 어떤 오류가 있는지 최소한의 설명이라도 있어야 사람들이 납득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ssung7970
@ssung7970 Жыл бұрын
​@@cheesekiller 교수놈들 발로 준비한 강의 하고 저딴 강의를 들으라고 하는 건가싶은 강의 개많음 강의료를 그렇게 처받고 그강의를 하다니 그냥 학점만 팔아라고 따지고싶을지경
@user-cm8kt8no6k
@user-cm8kt8no6k Жыл бұрын
대학 강의보다 낫다?...둘 중 하나 대학을 안가봤거나 수준 떨어지는 대학을 갔거나.
@mickymouse80
@mickymouse80 10 ай бұрын
​@@ssung7970 그러면 어떻게 수업을 해야함? 예전에 내가 전공했었던 과목은 책 1권만 800페이지 이상이었는데 교수가 그걸 다 읽을수있겠냐? 그리고 교수가 됄려면 부모님 재력도 좋아야함. 당장 대학원에 바치는 돈만 최소 5~6천만원 이상임
@33190d
@33190d 2 жыл бұрын
기술은 보유하고 돈대는 곳에 기술을 이용하는게 ㄷㄷ
@user-cc1yz1wl6e
@user-cc1yz1wl6e 2 жыл бұрын
경제학과를 지망하고 경제학 쪽을 틈틈히 공부하는 고삼인데요, 경제학이든 공학이든 이퀄리브리엄(균형 상태)를 유지하는 시스템을 고안해낸다는 게 신기하네요
@user-nt4rr6vt8c
@user-nt4rr6vt8c 2 жыл бұрын
멋져요
@jingyu_park
@jingyu_park 2 жыл бұрын
변동성을 줄이고 목표치에 가장 근접하게 하는 것이 공학의 최종 목표이니까요:) 금융공학이든, 기술 공학이든. 소프트웨어학과 나와서 금융공학 쪽으로 대학원 준비하는 학생입니다. 꼭 좋은 대학 가셔서 우리나라 빛 내주세요!
@user-mi8ri1tq1z
@user-mi8ri1tq1z 2 жыл бұрын
Equilibrium 을 유지하는 시스템을 고안한다기보다는 엄밀히 말하면 물리학 법칙에서 항상 존재하는 평형상태를 공학이나 기술 등 일상생활에 응용 및 적용한다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공학의 기초가 되는 물리학의 여러 법칙에서는 평형상태가 기본이 됩니다. 한쪽에 열을 가한 후 시간이 흐르면 계 전체의 온도가 똑같아 지는 열평형 (thermal equilibrium) 또한 그렇고 (단, 이 경우 해당 계가 adiabatic (단열)하다는 가정이 존재합니다) 전자공학에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한 다이오드의 경우 음전하를 띈 전자와 양전하를 띈 정공의 농도가 평형이 되어 접합부에서는 전자도, 정공도 존재하지 않고 전류가 통하지 않는 공간전하영역 (space charge region)이 형성이 되듯이 계의 평형상태에서 기본으로 출발하고 거기서 더 나가서 응용을 하는 것이죠. 예를들어 평형상태의 p-n 다이오드의 경우 외부에서 가해준 전압에 따라서 반도체를 동작시킬 것인지 아니면 꺼버릴 것인지가 결정이 됩니다. 위 영상의 설명에 한 줄 더 부연하자면 8자형 코일의 폐곡면에서 생성되는 알짜자기력선의 자속밀도가 0 인 것은 평형상태와는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맥스웰 방정식에 의하면 자기장의 발산은 0 이 된다는, 즉 자기단극 (monopole) 은 없다는 말을 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쉽게 얘기하면 N극과 S극으로 이루어진 막대자석을 반으로 쪼개면 N극이나 S극 으로만 남지 않고 그것은 다시 N과S극으로 나누어 진다는 말과 같습니다. 물론 해당 식은 자기단극이 없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식이며 실제로도 아직까지 경험적 및 실험적으로 자기단극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자기부상열차나 입자가속기 등 자기단극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할바흐 어레이 (Halbach array) 라고 해서 여러개의 자석을 특정 방향과 순서대로 배열하여 한쪽의 자기장은 아주 크게, 다른 한쪽의 자기장은 아주 작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봤을 때 하나의 커다란 모노폴을 형성해 주는 방법을 씁니다. 여담으로 자기단극은 전하량의 양자화를 설명할 수 있는 강력한 근거가 되기에 적잖은 물리학자들은 자기단극의 실체를 믿고 오늘도 이를 찾기위한 실험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물론 자기단극이 실험적으로 관찰이 되는 그 날 전 세계의 물리학 교과서는 수정이 불가피할 것입니다.
@user-uy3tl3en1b
@user-uy3tl3en1b 2 жыл бұрын
Equillibrium
@user-gv8kd5fc1w
@user-gv8kd5fc1w 2 жыл бұрын
@@user-uy3tl3en1b 선생님. 너무 어려워요
@user-od6rs1hs5w
@user-od6rs1hs5w 2 жыл бұрын
번역을 구글 번역기로 하신건가요
@ChoboUnjeon
@ChoboUnjeon 2 жыл бұрын
맞는거 같네요
@user-xw4tg5wk6j
@user-xw4tg5wk6j 2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상용화되기가 힘듬 곡선부분을 건설하기가 힘들것이고 하이퍼루프가 연구되고 있는데 자기 부상이 무슨 소용있음 도시내 이동용이면 몰라도 도시간 이동은 힘들것이다. 공사비용도 만만치 안은데
@seemon32
@seemon32 2 жыл бұрын
@@flyingBlueKite 이름만 한국 분이신것 같네요. 자기부상열차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 하이퍼 루프라는 것을 모르는 분같으니.. 이를 뭐라 할꼬.. 쯪쯪
@user-wq1uc7kh5m
@user-wq1uc7kh5m 2 жыл бұрын
튜버님 몇개 튜브 아디를 하시나요? 말투? 다른영상에서 마니 들어본듯. 전공이 몇개 되나보네요^^
@986man9
@986man9 2 жыл бұрын
같은 생각ㅋㅋ
@tuiop390
@tuiop390 2 жыл бұрын
외국채널에서 사람 고용해서 한국어로 번역에다 더빙하는거잖어 ㅋ
@user-uh7jv8em1w
@user-uh7jv8em1w 2 жыл бұрын
전주성 대충상상으로 잔존심으로 댓글달고있는분 혹시연구소 근무하시는분 인가요
@user-lo8ri7ft6t
@user-lo8ri7ft6t 2 жыл бұрын
속에 들어있는 사람은 회전할때 반죽이 되어있으려나요
@jr1800
@jr1800 Жыл бұрын
무식
@gasiorowicz4899
@gasiorowicz4899 2 жыл бұрын
중앙일본철도?? JR동해를 말하는건가요?
@MN-dt3pc
@MN-dt3pc Жыл бұрын
yes
@walterharoldbishop
@walterharoldbishop 2 жыл бұрын
이해하는데에 큰 문제는 없지만 자잘한 번역오류가 있네요. excited도 그렇고... state = 단계?, radiation = 방사선(엄밀히 말하면 적외선도 방사선이긴 하지만 이경우에는 열복사가 더 어울릴것같네요.) 이라.... 번역기라면 놀라운 수준이라고 하겠습니다만... 만약 사람이 했다면 번역을 문돌이가 하는것같은데 교체를 고려해보시길.
@jameshan7011
@jameshan7011 2 жыл бұрын
문돌이가 영어접근이 쉬우니 이런문제가ᆢㆍㆍㆍ
@user-bp5kn9cn4i
@user-bp5kn9cn4i 2 жыл бұрын
정지상태에서 어떻게 움직이지?? 양극균형을 이루고 있는데 출발할때 뒤에서 밀어줘야하나
@VradNorton
@VradNorton 2 жыл бұрын
150km이하에선 바퀴있음
@jr1800
@jr1800 Жыл бұрын
제발 영상을 끝까지 보던가 따로 찾아보고 댓글 달자
@d0s25
@d0s25 2 жыл бұрын
예술이네.
@user-qb4hl3cq8k
@user-qb4hl3cq8k 3 ай бұрын
우와 엄청 빠르다
@karaszet
@karaszet 2 жыл бұрын
실용화된건 하나도 없는데 흔하다니 어색하네요 ㅎㅎ 자기부상열차 개념은 80년대에도 들었던거 같아요 이거도 2027년에나 된다니 그때 가봐야 될듯...지금 철로? 깔고 있나요?
@kyoungmankim4439
@kyoungmankim4439 2 жыл бұрын
kzbin.info/www/bejne/a3SuqJaef7CHj7c 이거 츄오신칸센으로 명칭이 될거 같고 현재 시승회로 홍보중입니다.
@jr1800
@jr1800 Жыл бұрын
10년 넘게 하루도 안빠지고 날마다 시험운행중이라고 영상에서 설명하잖아....
@imposterdesu
@imposterdesu Жыл бұрын
시험선은 수 년 전에 산 속에서 이미 사람도 태우고 오가고 있는데, 나머지 구간 공사 속도, 노선 분쟁, 환경 파괴 반대에 걸려서 미개통일 뿐. 시험선이 나중에 본선의 일부로 계속 쓰인다니 이미 기술은 완성임.
@user-xv8ys7gw4u
@user-xv8ys7gw4u 2 жыл бұрын
신칸센을 개발할 때도 전세계 비웃음을 삿엇지. 쓸데없는데 돈 쓴다고. 일본이 넘사벽의 무언가를 내놓을 때는 항상 이런 패턴. 기술? 과학? 이미 준비되어 있다. 그걸 얼마나 독창적이고 탁월하게 '실현'하느냐가 기술의 관건이지. 물론 기초과학이 탄탄해야 가능한일...
@Iamyoutuber1397
@Iamyoutuber1397 2 жыл бұрын
항상 일본은 최초의 기술을 계발하지만....실제 상용화는 한국이...힘들게 창조하지 않고 쉽게 카피하는 최고의 한국인들~
@LUNA-hs2is
@LUNA-hs2is 2 жыл бұрын
@@Iamyoutuber1397 그러다 딴 나라한테 산업 먹히면 그냥 끝나는 거임 ㅋㅋㅋ 기초과학,산업이 발달해야지 먹고 살지
@IHATECHINA
@IHATECHINA 2 жыл бұрын
@@LUNA-hs2is 하지만..응용능력이 최강인걸...
@un-kim.
@un-kim. 2 жыл бұрын
필요없는걸 졸라 준비하면 뭐하지? 일본은 갈수록 혁신이 없어짐. 하이퍼튜브.... 20009년부터 연구 20200년 700km속도 기록
@jr1800
@jr1800 Жыл бұрын
@@un-kim. 하이퍼루프는 상용화가 힘듦
@mohican8860
@mohican8860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 💈⚡️🧲🚆🧲⚡️💈
@user-je8kj8xy7z
@user-je8kj8xy7z 2 жыл бұрын
멋지내요
@StayFitKeepTraveling
@StayFitKeepTraveling 2 жыл бұрын
서울 부산 40분이면 도착하겠네
@jingyu_park
@jingyu_park 2 жыл бұрын
이게 기초과학이 발달한 국가와의 차이. 우리나라 같으면 저항이 발생하면 그 저항을 이기는 물질을 개발할려고 할텐데, 그냥 기초과학으로 에너지 소모도 거의 없게하면서 모든 문제를 해결해버리네. 나는 그저 감탄 밖에 안 나오고 존경스럽고 배우고 싶다.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2 жыл бұрын
그정도임?
@jingyu_park
@jingyu_park 2 жыл бұрын
@@emiliofermi9994 저번에 한국은 뭐든지 기술로 해결한다는 말을 들은적이 있어요. 칭찬으로 말했지만, 조금 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줄 모르기 때문이 아닐따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무엇보다도 일본 저자의 서적을 보면 생각의 깊이라 해야하나 설명하는 방식 등 그 사람이 이해한 수준이 아주 깊다는 것을 느낄 수 있어요. 정말 쉽게 설명이 잘 되어 있어요. 단순히 '이게 이거다'가 아닌, '그걸 이렇게 생각해보면 이렇기 때문에 당연히 이건 이게된다' 와 같이 수준 차이가 나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같은 책을 볼 때 저자가 일본인이면 그 책을 고르는 편이에요.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2 жыл бұрын
@@jingyu_park 아... 님 혹시 이 분야 전문가가 아닌거임? 난 또 네가 전문가라도 되면서 이런 글 써놓은 줄 알았네. 구체적으로 저게 무슨 기술인지는 알고 쓴거냐? 저기에 필요한 기초과학이 뭔지, 그 분야의 기술이 한국에는 있는지 없는지 알고는 있는거냐? 모르면서 "한국이라면 ~이랬을듯"이라고 써놓은거면 좀 황당할거 같은데. 난 네가 이공계 전문가인줄 알고 저 기차에 사용된 기초과학이 어떤건지, 그게 한국에는 없는건지 진지하게 물어볼 의도였음. 그랬더니 갑자기 지가 일본 책을 좋아한다는 얘기를 주저리 해놓으니까 좀 당황스럽고 김이 새는 느낌임.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2 жыл бұрын
@@jingyu_park 나도 일본 책 많이 보긴하는데 좋은 책 많지. 특히 정보전달이나 견해를 넓혀주는 책 중에 좋은 책 많음. 근데 이것과 그게 무슨 연관이 있냐? 일본 작가들이 좋은 책 많이 내니까 저 분야도 좋을 것이다라고 추측한거임?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2 жыл бұрын
@@jingyu_park 한국은 뭐든지 기술로 해결한다는 말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줄 몰라서 그런거라는건 근거가 있는 말인가? 너 엔지니어임? 한국 공학계를 수년간 관찰해 온 엔지니어가 "한국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줄 모른다"라고 말한다면 이해하겠는데 너가 만약 이공계 종사자도 아니면서 이런 얘기한거라면 좀 어이없을거 같음.
@user-le3gp8yo7i
@user-le3gp8yo7i 2 жыл бұрын
신나는 전류 신기합니다~~
@train_inseo_YT
@train_inseo_YT 2 жыл бұрын
신나는 전류
@hinova77
@hinova77 2 жыл бұрын
일본 엔지니어들 오랜만에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설계에 놀랍다. 그런데 완벽한 초전도 자기부상은 아니고 일부분에 초전도 효과를 얻는 전자기 유도에 의한 부상이이네..그런데 회생 에너지 얻는 메카니즘은? Energy Source는? Target Breaking은? 이것도 해결해야할 듯... 자연재해 지진은?
@b9x0esshqs31
@b9x0esshqs31 Жыл бұрын
열차는 초전도 현상을 이용하여 강력한 자계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철도 측면에 배치된 강력한 전자석은 얼마나 많은 소비전력이 발생할까요? 열차의 위치와 속도를 동기화하여 전자석마다 전원을 공급하면 소비전력을 줄일수가 있겠습니다. 만약 동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오류가 발생하여 전자석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굉장히 파멸적인 결과가 나올것 같습니다. 일본의 내진설계 건물을 보면은 바닥이 고무댐퍼입니다. 고무댐퍼를 쓰면 될수도 있을것 같고요.
@user-zc8nb2qt3x
@user-zc8nb2qt3x Жыл бұрын
기계식 열차=소음 마찰 에너지 소비가 많고 속도에 한계가 있다. 자기식 열차=소음 마찰 에너지 소비가 적고 초고속 주행이 가능하다.
@user-jw3sr8lr3c
@user-jw3sr8lr3c 10 ай бұрын
일본은 1964년에 세계 최초(최고속도 200km/h)의 고속철도의 신칸센을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했다.프랑스의 TGV는 1981년에 최고속도(260km/h)로 영업 운전을 개시했다.일본의 신칸센은, 1964년부터 동력 분산 방식으로 개발, TGV는, 1981년부터 동력 집중 방식으로 개발, 알스 톰은 차세대형 고속 열차로서 동력 분산 방식의 AGV를 개발, 동력 분산 방식으로 한 것으로 편성 전체의 마루밑에도 기기를 배치하는 필요가 발생했다.프랑스의 철도는 홈의 높이가 낮고, 마루밑에 기기가 배치된 AGV는 홈과 차량의 마루의 면 높이를 맞추는 저마루화가 곤란하고, 동국이 추진하는 장벽 제거화에는 대응할 수 없다는 점이 우선 걸림돌이게 되었다.알스 톰은 AGV의 개발을 중지했다.알스 톰은, 동력 집중 방식의 차세대 TGV-M를 개발해, 2024년부터 최고속도(350km/h)로 영업 운전을 개시 예정, 일본의 차세대의 신칸센, ALFA-X는 개발 중에서, 2026년에 개발 종료 예정, 최고속도 360km/h에서 영업 운전 예정입니다.세계의 고속철도, 독일(ICE), 이탈리아(Eurostar Italia), UK(HS2) 동력 분산 방식이 주류입니다. 2022년의 도쿄~오사카의 신칸센은, 5분에 한 번 출발(12 편성)의 과밀의 상황으로, 더 이상은, 증가할 수 없으므로, 리니어 고속철도(도쿄~오사카)의 건설을 결정했다.도쿄에서 나고야까지의 건설비 7조엔은 JR 도카이가 지출, 국민의 세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리니어 고속철도는, 도쿄에서 나고야를 건설 중이고, 2027년에 개업 예정, 도쿄에서 오사카를 2045년에 개업 예정입니다.최고속 500km/h 이상, 도쿄에서 나고야까지, 신칸센으로는 1시간 30분을 리니어 고속철도에서는 40분입니다. 도쿄에서 오사카(438km)를 67분입니다.참고:KTX, 서울역에서 부산역(417km), 일본은, 신칸센을 인프라 수출 산업으로서, 대만에 수출, 12 차량으로 1 편성으로, 1 편성, 엔화로 110억엔, 대만에 12 편성을 수출해, 대만은 2023년에 12 편성을 추가로 발주했다.인도는 신칸센을 수출 계약하고 건설 중입니다.미국에는, 텍사스에 신칸센을 수출 예정입니다.UK의 고속철도(HS2)는, HITACHI(일본)과 알스 톰(프랑스)의 공동으로, 차량 제조·보수를 계약했다. 일본의 신칸센은 고속철도 전용의 선로에서 신칸센 전용입니다.속도의 늦은 전철과 고속철도를 같은 선로에서 주행하는 프랑스의 TGV 방식은 최고속도에 한계가 있다.한국은 TGV 방식을 선정했다. 일본의 신칸센은, 1964년의 개업 의뢰, 주행 중의 사고에서의 사망자는 0명입니다.고속철도의 안전성은 세계 1위입니다.신칸센은 고속철도 전용의 선로에서, 신칸센 의외의 차량은 주행하지 않습니다.2026년부터 새로운 신칸센(ALFA-X)는, 영업 운전 최고속도 360km/h입니다.리니어 고속철도, 최고속도 500km/h 이상으로 영업 운전, 한국이라면 서울역에서 부산역(417km)를 60분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user-ec1sr3in8x
@user-ec1sr3in8x 8 ай бұрын
대단하군요!
@hyunsoojin7100
@hyunsoojin7100 2 жыл бұрын
시속 600km라면 비행기의 대항마가 될수 있지 않을까? 737 등 여객비행기가 1200km/h인데. 공항체크인과 신체검사와 액체류 반입통제, 도착후 수화물 찾기, 이착륙 지연 등 비행기가 가지고 각종 delay 요소들 때문에. 600km/h의 기차라면 장거리 여행에서 비행기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economy석에 비해서 넓은 공간과 화장실도 매력이고.
@kagami1234
@kagami1234 Жыл бұрын
철도는 인프라가 너무 비싸요. 미국같은 예 보면 국내 이동 대부분 비행기로 해요.
@ydj08171
@ydj08171 Жыл бұрын
@@kagami1234 그건 대륙국가라서 철도노선 사이에 도시가 없어서 그렇구요. 일본이나 한국은 철도 주위로 인구가 밀집되어 있으니 수요창출하기가 좋죠. 캘리포니아나 뉴욕 워싱턴에서 계속해서 고속열차 이야기가 나오는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mickymouse80
@mickymouse80 10 ай бұрын
​@@ydj08171 그건 국내에 있는 도시에서 다른 도시로 이동할때나 가까운 국가로 이동할때 가능한것입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서울에서 베이징으로 이동할때같은......그리고 기차는 비행기와 달리 최고속도를 유지할래야 할수가 쉽지않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철로가 일직선으로 되어있는것도 아니고 정거장도 많거든요. 실제로 도쿄에서 오사카까지 비행기로 1시간정도면 날아갈수있는데 신칸센의 경우에는 3~4시간이 걸린다고합니다. 그렇다고 고속열차 티켓비용이 싸냐? 그것도 아닙니다. 일본의 경우에는 도쿄 ~오사카 기준으로 볼때 일반석이 왕복 25~30정도입니다
@ydj08171
@ydj08171 10 ай бұрын
@@mickymouse80 3~4시간에서 반박할 가치를 못느낍니다ㅎㅎ
@mickymouse80
@mickymouse80 10 ай бұрын
​@@ydj08171 ㅋㅋㅋㅋㅋㅋ 그래요? 님은 신칸센 1번 그것도 일반석을 타는데 30만원을 줄수있을 정도로 돈을 많이 버는 분이신가보네요? 신칸센 티켓비용도 이정도인데 이 기차 티켓비용을 싸게 책정하겠습니까? 아무리 적게 잡아도 도쿄 ~오사카 기준으로 왕복 40이상일텐데요?
@sw6382
@sw6382 2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user-zj5mb8ni3l
@user-zj5mb8ni3l 2 жыл бұрын
자기부상열차 공사비 비싸고 우리나라는 전력부족 누구때문에 또 다른목적쓸수없어서 레일 타기차도이용가능 공사비싸고 이탈 위험도있지만
@chansoolee3497
@chansoolee3497 2 жыл бұрын
자기부상열차(Magnetic Levitation Vehicle) 라고 하면 됩니다. 공중이라는 단어는 왜 넣으셨는지?
@gylee5880
@gylee5880 2 жыл бұрын
달리는 열차가 아니라 초저공 비행기네요
@mmcomerror80
@mmcomerror80 2 жыл бұрын
진공이랑 핼륨 압축이라는 두개의.키워드로도 매인트랑 비용이 엄청납니다.
@user-hj1kb6le4c
@user-hj1kb6le4c 2 жыл бұрын
ㅇㅇ 상상초월
@user-mn8ng9ml7d
@user-mn8ng9ml7d 2 жыл бұрын
아....그렇군요. 몰라서 못하는것이라기보다 비용문제..?
@mmcomerror80
@mmcomerror80 2 жыл бұрын
@@user-mn8ng9ml7d 유지 보수 자체가 너무 어려울 겁니다. 진공이란게 문제가 생기면 원인 잡는게 쉽지 않죠. 헬륨 압축이랑 같이 연계되어서 봐야합니다. 보온병 같은거죠.(영상에서도 조금 나옴) 예를 들어 진공에 미세한 리크가 생기면 그리로 분자들이 들어오고(진공깨짐), 이게 열원을 옮기는 케리어가 되어서 헬륨 온도를 올릴 겁니다. 결국 열차 조건의 균형을 깨겠죠. 그냥 이상적인 컨셉이라도 봅니다. 한번은 만들어도 양산으로 만들고 대량 관리가 어려울 겁니다. 관련 엔지니어들도 그렇게 많지 않고요. 원전 만들고 반도체 장비 만들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그정도 기술은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이 없는 건 아니죠.
@user-mn8ng9ml7d
@user-mn8ng9ml7d 2 жыл бұрын
@@mmcomerror80 제가 너무 힘들어 한밤외출... 왜 이 댓글을 보게 됐는지.. 성의있는 댓글에 잠시 기쁨이
@Beaver-lb7nu
@Beaver-lb7nu 2 жыл бұрын
@@user-mn8ng9ml7d 틀딱.
@dreamwaters2523
@dreamwaters2523 Жыл бұрын
영상은 좋은데 번역이 아쉽다.
@shj2271
@shj2271 2 жыл бұрын
kzbin.info/www/bejne/qKemenmEm7eje9U 실물 주행영상
@user-fy6fj5zk6v
@user-fy6fj5zk6v 2 жыл бұрын
건설유지보수 비용에서 하이퍼루프 윈
@user-ss1hl4ye9m
@user-ss1hl4ye9m 2 жыл бұрын
신기하다
@user-zc8nb2qt3x
@user-zc8nb2qt3x 2 жыл бұрын
현다이로템이 흑표전차 수출에 목을매는 것도 전동차에서 손해보는 적자를 메꾸기 위해서가 아닌가?
@user-ty1bf9vu6i
@user-ty1bf9vu6i 2 жыл бұрын
멘트마무리가 이상합니다 좀 자연스럽게 읽어 주세요
@user-ng5wz4ym8g
@user-ng5wz4ym8g 2 жыл бұрын
우리 철도청,현대로템 갈길이 멀다.
@Jack-jb3tc
@Jack-jb3tc 2 жыл бұрын
우리는 일본을 이길 수 없음.
@user-sn1mn2xz8o
@user-sn1mn2xz8o 2 жыл бұрын
행정기관 철도청이라는 부처가 없어진게 언젠데 아직도 청이라 하는지.. 공기업으로 한참 오래전에 전환됐습니다. 로템을 알면서 철도청?
@ChubbyCat1990
@ChubbyCat1990 2 жыл бұрын
@@Jack-jb3tc 웃긴게 국뽕채널들 보면 이미 일본을 이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zc8nb2qt3x
@user-zc8nb2qt3x 2 жыл бұрын
애당초 기계식 전동차는 소음 마찰 에너지 소비가 많고 자기식 부상열차를 이길수가 없다.
@Kimkim-bl3zp
@Kimkim-bl3zp 2 жыл бұрын
No. Hi@@Jack-jb3tcbyHu
@starryrampart3707
@starryrampart3707 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이런 초고속 열차의 필요성이 문제다. 미국은 물론이고 일본처럼 국토 길이가 2000km를 넘는 나라에서야 시속 600~1200km의 열차를 이용할 사람들이 많겠지만 우리처럼 서울 부산 직선거리 320km 에 중간중간 쉬어갈 역이 수두룩한 나라에 이런 초고속 열차를 이용할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가령, 서울 대전간을 시속 600~700km 열차로 달려봐야 ktx 보다 한 20여분쯤 빨리 대전에 도착할텐데, 이 시간 아끼려고 초고속 열차 이용할 사람이 얼마나 될까란 말이다. 따라서 우리 대한민국의 열차는 지금 ktx 보다 조금 빠른 400km 정도로만 속도를 높이는데 만족하고, 나머지는 열차의 퀄리티를 높이는 쪽으로 열차 산업이 발전해야 될거다.
@jr1800
@jr1800 Жыл бұрын
열차의 퀄리티가 도대체 먼데? 인테리어 얘기하는거 아니냐 결국? 그런건 시발 개발할 필요가 없지
@BanGoo-sk4gk
@BanGoo-sk4gk 2 жыл бұрын
와... 일본 엔지니어링 기술은 무시할게 못되네...
@VradNorton
@VradNorton 2 жыл бұрын
반일쳐서그렇지 엔지니어링뿐만인가요 전반적으로 무시할거 하나도없음 역사관빼고 ㅋㅋㅋ
@hahman1st
@hahman1st 2 жыл бұрын
세계최초의 고속열차 신칸센까지도 개발해낸 종족입니다 ㄷㄷ 1964년 당시 200km 이상을 달릴 수 있는 고속철도 기술개발은 상당히 획기적이었죠
@user-lt4sw6lw8e
@user-lt4sw6lw8e 2 жыл бұрын
화낙만 들어봤어도 이런 소리는 못하지 ㅋㅋ 기계, 소부장 세계 1티어 강국이 일본인데
@user-ww9hp9fo5n
@user-ww9hp9fo5n Жыл бұрын
일본 인종은 세계에서 가장 우월한 인종
@ZZR-fs9ww
@ZZR-fs9ww 2 жыл бұрын
5년뒤에 도쿄 나고야상업운행 개시면 이미 상용화 다된거임.지하철 하나 뚫는데도 십년가까이 걸리는데.
@japs815
@japs815 2 жыл бұрын
kobe steel만 아니길 바랄뿐이죠
@zeropigeon
@zeropigeon 2 жыл бұрын
정작 리니어는 시즈오카vs도카이의 싸움으로 먼 미래가...ㅠㅡ
@user-rz6dx2il8s
@user-rz6dx2il8s 2 жыл бұрын
exactly
@bucuros_EU
@bucuros_EU 2 жыл бұрын
Вывод: учите физику
@user-gm4zq5kd8r
@user-gm4zq5kd8r Жыл бұрын
신나는 전류 듣고 귀를 의심했다
@user-pl7rm7gu1n
@user-pl7rm7gu1n 2 жыл бұрын
근데 이거 말하시는 분이 AI인가요? 실제 사람인가요?🤭🤭🤭
@user-zm2lz7rx7e
@user-zm2lz7rx7e 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실용화가 가능하려면 냉각기술이 필요하다는데 일본엔 제대로 상용화된 냉각기술이 없다고 들어서요 가능한건가요? 아이디어는 참 좋은거 같은데 지금 상황에선 그냥 저상태에서 중단될듯한데요?
@twins1225t
@twins1225t 2 жыл бұрын
이미 저거 시험구간만 뚫어서 운영 중이긴 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l2lensama124
@l2lensama124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LHe급 냉각기술은 상용화? 될 수 있는 분야가 많지 않죠
@user-br1zx4ye9y
@user-br1zx4ye9y 2 жыл бұрын
성우가 누군가요?
@user-wzzang
@user-wzzang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ktx에서 근접한 속도의 열차말고는 개발하지 않음. 대신 하이퍼 튜브 기술 개발을 오래전부터 시작하고 있음. 그냥 저런거 건너뛰고 바로 하이퍼튜브로 가게됨. 그래서 저걸 굳이 부러워 할 필요가 없음. 이미 소형 기술 모델 개발은 했고 새만금에 연구단지 들어선다고 했는데 나가리 되긴했지만 재추진중.. 물론 일본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연구 하고 있지만...
@user-gp4ox4ym3g
@user-gp4ox4ym3g 2 жыл бұрын
자기부상열차의 실용화가 어려운게 건설비용이죠....
@seemon32
@seemon32 2 жыл бұрын
더 큰 문제는 안정성과 유지관리비용입니다. 결국 경제성이 없는 사업이기에 필요없는 사업인것이지요.
@seemon32
@seemon32 2 жыл бұрын
@@flyingBlueKite 일본애들이 기술력이 없어서 그냥 쓸데없는 것을 하는 것이랍니다. 그렇게 일본에 관심이 있다면, 진정 일본의 기술력이 얼마나 수준이 낮은지를 공부하기를 바랍니다. 남들이 하지 않는 이유는 일본보다 능력이 안되서가아니라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랍니다. 아직도 일본의 등신같은 기술에 열광하는 사람들이 있다는것이 참으로 답답하네요.
@user-vm1qg9eq9n
@user-vm1qg9eq9n 2 жыл бұрын
@@seemon32 일본이 기술력이 낮다라면 도대체 우리 얼마나 높은거야?아주 국뽕에 취해있구만 한국이 보유한 세계최고 기술분야 6개 반면 일본이 보유한 세계최고 기술분야 102개 넘사벽인돼?
@seemon32
@seemon32 2 жыл бұрын
@@user-vm1qg9eq9n 국뽕이라? 그럼 님은 일뽕인가요? 보유기술이 6개? 102개? ㅎㅎㅎㅎ 웃음만 나오네요. 일뽕이 심하시군요..
@ym-ov9cb
@ym-ov9cb 2 жыл бұрын
@@seemon32 보고배울건 배우자 밴댕이소갈 딱지야
@user-hu4yx8mq1i
@user-hu4yx8mq1i 2 жыл бұрын
초전도전자석 ... 뭔가 빛을가둔 전구같네요 ㅋㅋㅋㅋ
@jr1800
@jr1800 Жыл бұрын
무식하네
@user-hu4yx8mq1i
@user-hu4yx8mq1i Жыл бұрын
@@jr1800 무례하네
@brok3nnn
@brok3nnn 2 жыл бұрын
말할때마다 말끝에 힘을빼는느낌이랄까
@user-cq8pr8gf4i
@user-cq8pr8gf4i 2 жыл бұрын
AI 목소리라서 그렇습니다. 전자사전에서 발음듣기 할때 읽어주는거랑 같은거에요.
@user-ly2xy7lr5p
@user-ly2xy7lr5p 2 жыл бұрын
소음 저항 문제는 없나요? 저속도면 있을거 같은데
@user-ly2xy7lr5p
@user-ly2xy7lr5p 2 жыл бұрын
@초코하임 공기요
@KR-ek2ub
@KR-ek2ub 2 жыл бұрын
@@user-ly2xy7lr5p 이 열차가 달리는 것은 거의 터널 또는 지하입니다.
@user-wn7rw4gq4m
@user-wn7rw4gq4m 2 жыл бұрын
일본 애들 대단하네요.. 부럽다.. 8자 코일로 다 해결해 버리네요.. 우리도 할 수 있는데 할 수 있는데.. KTX 말고,,, KMX
@nls2620
@nls2620 2 жыл бұрын
일본 공학 기술 참 대단해 ㅋㅋㅋㅋ
@user-zc8nb2qt3x
@user-zc8nb2qt3x 4 ай бұрын
현다이 고속열차는 속도를 높이는것은 포기했나?
@user-eb4by7uf8k
@user-eb4by7uf8k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고속열차 철도에서는 적용 되나요.?
@user-zm2lz7rx7e
@user-zm2lz7rx7e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하이퍼루프쪽이라고하네요
@slavecoder9928
@slavecoder9928 2 жыл бұрын
근데 웃긴게 일본애가 TGV보고 얘보다 느리다고 댓글 달았다가 두들겨 맞더라. 철제 바퀴 570km/h랑 자기부상 600km/h랑 비교가 되냐고
@kkmssk486
@kkmssk486 2 жыл бұрын
그냥 넘어가려다가 글 남깁니다. 그래서 나름 과학적인 분야에 대해 다루시는 채널인것 같은데, 어딘가에 있는 영상에 대충 번역만 해서, 본인 영상인것 처럼 올리시는건 좀 아니지 않나 생각 됩니다. 공부를 하시거나 자문이라고 구하셔서 용어정도라도 관련분야에서 사용하는걸로 정리하시면 훨씬 깔끔할 것 같습니다.
@user-bv8ng6cs2b
@user-bv8ng6cs2b 2 жыл бұрын
만든 사람이 외국인인데 직접 번역해서 올린거 같은데요...이 채널은 영상 제작자의 한국어 채널인듯 합니다
@user-lm6xj8nx4e
@user-lm6xj8nx4e 2 жыл бұрын
잘못하면 후진 아닌가?
@user-ej7jm8ok2o
@user-ej7jm8ok2o Жыл бұрын
울나라는 Gtx라도 좀 빨리해라..
@ydj08171
@ydj08171 2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열심히 신포도라고 무시할 동안 일본은 꾸준히 기술개발하며 업계와 관련학계의 기술을 이끌어가네요..
@jasonjeon2919
@jasonjeon2919 2 жыл бұрын
일본이라고 다 빠가는 아니겠죠
@ydj08171
@ydj08171 2 жыл бұрын
@@jasonjeon2919 일본은 결코 무식하지 않습니다. 국뽕채널에서 제아무리 망하는 국가다 뻘짓하는 국가다 깎아내려도 산업전반에 끼치는 영향력은 우리가 절대 무시할수있는 수준이 아닙니다.
@Allen-ni4sw
@Allen-ni4sw 2 жыл бұрын
국뽕에 너무 취했네
@user-happy2080
@user-happy2080 2 жыл бұрын
국쫑튜브보는 사람들 보면 구한말 일본한테 나라 뺏긴 양반들같음 그럼 뭐해 일본의 잃어버린 30~40년 어떨게버티는지는 찾아볼생각도안하는데
@user-ed8jf8hq6t
@user-ed8jf8hq6t 2 жыл бұрын
@@ydj08171 일본이 문제가 조금 있기는 한데 국뽕튜브에서 말하는것처럼 완전 노답국가가 아니긴 함
@wonkilee9874
@wonkilee9874 2 жыл бұрын
한국의 KTX 말로만 고속열차 겨우 몇분동안만 300 k/h ..대부분 200 k/h 조금넘음... 이게 무슨 고속열차라고... 중공은 벌써오래전부터 360 k/h 일본은 자기부상 600 k/h 만들려면 제대로 고속열차라면 최소한 속도가 평균 320 k/h 정도는 돼야 어데가서 고속열차라고 말할수 있지...
@user-zj2hs9mp7i
@user-zj2hs9mp7i 2 жыл бұрын
미국은 우주 항공 모함을 만들어 다고 하는대 사실인지?
@user-xe8ot7ip5g
@user-xe8ot7ip5g 2 жыл бұрын
실제 사용할 일본 직장인들은 싫어하는 기차 - 가격이 비싸서 출장용 아니면 타기가 출장가면 1박2일 아니면 아침일찍 가서 저녁에 집으로 퇴근하면 되는데(도쿄-오사카) 저것은 아침에 가서 오후에 다시 사무실 빠르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닌
@akvaskafan2160
@akvaskafan2160 2 жыл бұрын
@@flyingBlueKite 억지부리네 이건 대만화교섬장게네 차라리 여객기타는게장기적으로 더 나아 이런화교섬장게는 반드시 추항해야돼
@KR-ek2ub
@KR-ek2ub 2 жыл бұрын
@@akvaskafan2160 중국의 고속철도 망을보고 같은 것을 말할 수 있습니까?
@jackbauer7007
@jackbauer7007 2 жыл бұрын
직장인들의 마음을 정확히 짚어주시네요~
@wia7879
@wia7879 2 жыл бұрын
KTX도 비슷하죠. 다른 곳으로 갈때는 거의 무조건 1박2일이었는데 요즘은 ktx타고 밤늦게라도 돌아오니;;;
@Xbbcs
@Xbbcs 3 ай бұрын
이게 뭔 이거 나온다고 신칸센이나 다른 철도가 없어지는게 아닌데 왜 싫어함?
@가방
@가방 2 жыл бұрын
신나는 전류가 뭔가요
@eunjolee79
@eunjolee79 2 жыл бұрын
사고나면 살아날 가능성이 거의 0 에 수렴하겠군요.. 600km/h 라니...
@meltingpot6007
@meltingpot6007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기차는 사고시 사망확률이 제일 높습니다
@user-vy4ev9tl8z
@user-vy4ev9tl8z 2 жыл бұрын
그럼 비행기나 KTX는 어떻게 탈건지;
@user-ll2bq9pn3o
@user-ll2bq9pn3o 2 жыл бұрын
일본운 신칸센 사고 일어난 적 없음 탈선도 없고
@mickymouse80
@mickymouse80 10 ай бұрын
​​@@user-ll2bq9pn3o 신칸센 탈선이 아예 없었다고? 작년 3월 16일에 도호쿠 신칸센 탈선사고가 일어났었는데 그건 신칸센 탈선사고가 아니었냐?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6 ай бұрын
@@mickymouse80 지진떄문에 탈선사고 난거지. 평상시에 탈선사고 나는게 아니잖아. 그리고 탈선이 나더라도 일본은 신칸센이 전복사고까지 이어지지않게 안전장치 다 해놓음. 그래서 도호쿠신칸센 탈선때도 사망자는 없었음. 부상도 1명, 2명이고.
@user-oz9rf5ls8m
@user-oz9rf5ls8m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연구 투자가 없으니까 안되는거야 하면 잘할수 있는데 투자가 안되 뭐든지
@goldenotter6069
@goldenotter6069 2 жыл бұрын
눈이나 비에 젖을 때 이상 없는지
@Candy_youtube
@Candy_youtube 9 ай бұрын
시바 기차를 골판지로 만드냐
@maudlinbuck
@maudlinbuck 5 ай бұрын
여기 댓글 재미있네. 지금 이미 건설중인데 나중에 개통하고 여기 다시오면 재미있을듯... 그리고 저거 1997년 연구 시작이 아니라 1977년부터 시작임. 1997년은 야마나시현으로 옮긴 이후의 일이고 리니어신칸센 연구는 1977년부터 미야자키에서 계속 연구하다가 1996년에 폐쇄하고 야마나시로 옮긴 거..
경이로움의 건설: 후버 댐의 비밀이 밝혀지다
17:28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401 М.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5 МЛН
Can teeth really be exchanged for gifts#joker #shorts
00:45
Untitled Joker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팬터그래프 뒤의 뛰어난 엔지니어링!
9:50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159 М.
토크 컨버터, 어떻게 작동하나?
8:31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447 М.
금문교 | 공학의 정점
14:47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830 М.
Riding the World’s Fastest Train | 🇯🇵 603km/h Maglev L0
12:52
Solo Solo Travel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세상에서 가장 센 자석
21:53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785 М.
Burj Khalifa | 메가 구조의 모든 공학적 비밀
10:51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502 М.
이 기계는 무료로 적분 해줍니다.
18:56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후버 댐 | 엔지니어링 경이의 모든 비밀
9:37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