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의 시대는 갔지만 그래도 우리는 목수다. "프로는 끝이 없습니다. 기술의 끝이 없어요" 한 달 동안 편백 200톤 다 써버리는 나무로 된 건 거의 다 만드는 공장ㅣ

  Рет қаралды 168,204

EBS 컬렉션 - 라이프스타일

EBS 컬렉션 - 라이프스타일

Ай бұрын

❚ 극한직업 | 편백가구 제작
❚ 2015년 12월 29일 방송
케냐 동부에 위치한 스와힐리 문명의 요람이자 천혜의 자연을 간직한 라무섬으로 가기 위해서는 비행기를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나 막상 도착하면 여행의 고단함이 금방 잊힐 정도로 아름답고 신비한 이 섬의 매력!
골목골목이 미로처럼 얽힌 라무섬 옛 시가지에서 이곳의 유일한 교통수단인 당나귀를 타고 천천히 마을을 둘러본 후, 라무섬 지역의 산호석을 책임지고 있다는 만다섬으로 가기 위해 배를 탄다.
만다섬에서 채석장에서 일하는 사람들과 다우 배의 돛을 만들고 물고기를 잡으며 소박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만난다. 그 중 한 어부를 만나서 밤낚시를 따라가 보는데, 매일 밤 배 위에서 낚시를 하고 아침에 되면 생선을 파는 그들의 일상에 동참해본다.
#세계테마기행 #바다위의주유소 #케냐여행 #섬마을다이어리
#해외문화 #세계문화 #아프리카여행 #채석장아침부터 들어온 거대한 컨테이너 안에서 쏟아져 나오는 것은 다름 아닌 ‘편백’이다. 일본에서 막 건너온 나무는 전 세계 편백 중에서도 단연 으뜸을 자랑한다. 편백을 한 달에 약 200톤 이상 사용하고 있는 이곳 공장은, 매일 이 엄청난 무게의 나무들을 제재하는 일로 하루를 시작한다. 가구를 만들기 위해서는 목재를 정확하게 재단하고 완벽하게 건조해야 하는 과정이 필수다. 50kg이 넘는 나무를 매일 규격에 맞게 재단하고 나르는 일은 쉽지 않다. 목재를 계속 눌러줘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계속 힘을 소모할 수밖에 없다. 날카롭고 위험한 톱 작업 역시 긴장을 놓을 수 없게 만든다. 무한 반복 작업에서 나오는 끝없는 먼지 또한 작업자의 온몸을 덮어버린다. 사람에게 이롭다 해도, 작업자의 목을 따갑게 만드는 먼지를 마시는 일은 곤욕이다. 입김이 나는 한겨울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이마에는 언제나 굵은 땀방울이 맺혀있다.
이곳에서는 침대, 장롱, 족욕기, 사우나, 베개에 이르기까지 만들 수 있는 제품의 수만 무려 100여 가지에 달한다. 편백 가구는 다른 나무에 비해 일이 매우 고되다. 가구 하나를 만들기 위한 사포질만 약 300번! 피톤치드 향을 지키기 위해서는 칠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작업자들의 일은 언제나 그 이상이 될 수밖에 없다. 자연 그대로의 느낌을 살리기 위한 ‘짜맞춤’ 기법 역시 배로 시간이 걸리는 까다로운 작업이다. 최근엔 집에서 삼림욕을 하듯 편백으로 인테리어를 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무늬에 맞게 정교하게 다듬고 하나하나 손으로 붙여야 하는 작업 또한 100%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아름다운 나뭇결이 살아있는 벽면과 나무의 향이 배어있는 편백 가구는 보기만 해도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한겨울, 건강한 나무로 최고의 가구를 만드는 목수들을 찾아가 본다.
#극한직업 #편백나무가구제작 #목수
#가구공장 #가구공장

Пікірлер: 84
@sba7336
@sba7336 26 күн бұрын
편백나무가 겅도가 뛰어난 나무라는 걸, 여기서 처음 듣네요. 전형적인 소프트우드인데
@user-bd1mc5pp5x
@user-bd1mc5pp5x 25 күн бұрын
질긴나무는. 맞습니다
@moncher1962
@moncher1962 13 күн бұрын
경도가 낮은 나무인데
@user-rr6nc5sy4i
@user-rr6nc5sy4i 6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참나무류가 강도가 강하지 침엽수류는 무른나무입니다
@woodshop_kr
@woodshop_kr 22 күн бұрын
피톤치드는 죽은 나무에서는 나오지 않습니다 ~~ 다음 방송에 참조하세요 편백 향일뿐 피톤 치트가 아닙니다.
@way-of-joiner
@way-of-joiner Ай бұрын
좋은거 쓸래? 싼거쓸래? 그 싼게 몸에 안좋다고 해도 싼거써요.. 그걸 이길수가 없습니다. 원목마니아 아니면 집에 가구는 보통은😅 mdf,pb.. 심지어 이제 유명회사제품은 저렴하지도 않은데 그걸쓰고.. 이대로는.. 걍 없어질 기술이고 점점 아무도 안사게 될겁니다.. 부디 원목가구 좀 사랑해주세요
@user-yx9jn3xs6z
@user-yx9jn3xs6z Ай бұрын
좋은거 싼거보단 우드톤이 인테리어 하기가 어렵습니다 잘쓰면 이쁜데 잘못쓰면 그것만 이질감이 느껴져서.. 우리나라는 일단 모르겠으면 화이트 사는게 진리이기도하고.. 제 주변만 봐도 우드톤 좋아하는 여자가 없어요 가구는 여자들이 사는데
@user-xh2vb5cl6m
@user-xh2vb5cl6m Ай бұрын
언제적 영상인지 모르지만 90년대 가구공장에서 일할때와 같은 환경 같은 기계네요. 자동,데우시
@user-ht6fh3ci1c
@user-ht6fh3ci1c Ай бұрын
아이고 90년대면 지금쓰는 신식 기계시대입니다. 저는 고등학교 졸업하고 74년에 서울 종로에 문공장에서 일 배우고 열심히 했습니다. 남은건 훈장처럼 달고다니는 왼손과 오른쪽 눈입니다. 그때는 다쳐도 요즘과같은 시대가 아니니까요. 또 예전에 목공 하시는 분들은 거의가 손에 상처가 있지요. 저는 마루노꾸에 손을 다쳤습니다. 그리고 눈은 자동 데우시가 밷어내면서 배와 갈비 그리고 오른쪽 눈을 실명하게 되었습니다. 혹시 지금도 목공을 하시는지요. 저는 천직으로 알고 지금도 고향에서 봉사하며 조그만 목공 공방을 운영합니다. 그리고 절대로 장갑을끼면 않됩니다. 그런데도 요즘 사람들은 마루노꾸, 오비노꾸, 데우시, 스카시, 등 모든일에 장갑을 끼고 합니다. 저는 어떤 직원보고 장갑끼지 말라고 하니 그 이튿날 출근을 않한 사람도 있었습니다. 늘 조심하세요.
@windtaker72
@windtaker72 14 күн бұрын
인상들이 너무 다 좋으세요^^
@doit3592
@doit3592 14 күн бұрын
기술자분들이 좋은 가구를 만드네요~~~
@NewYork_NJ
@NewYork_NJ Ай бұрын
기술자들이 더 대접받고, 많이 버는 나라가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대학에 목숨 안 걸고, 입시지옥 벗어나고.. 노후 준비 되고... 기술자, 중소기업 종사자 삶이 좋아지는 게.. 나라 살리는 겁니다.
@user-S55555
@user-S55555 18 күн бұрын
그 영광은 외국인 노동자가 볼것이다. 이미 조선소에는 외국인 비율이 절반 이상임.
@user-vg9he5jo5s
@user-vg9he5jo5s 16 күн бұрын
새벽 노가다 인력소 나가보세요 불법체류자 외국인이 90% 이상이에요 마치..한국인이 다른나라에 와있는것 같은..
@357LoGo
@357LoGo Ай бұрын
일본처럼 목재자급률을 높여야 한국 목재 자급률이 20%도 안되고...80%는 수입임 조림사업한다고 벌목한걸가지고 반대하는 환경단체보고 깜짝놀랐던... 환경단체도 임업에 대해서 인식이 그렇게 낮다니..
@suchulpark8522
@suchulpark852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코미디죠 아주.
@sgkk9437
@sgkk9437 24 күн бұрын
무식함과 신념이 만났군요
@user-vc4ve3lr8n
@user-vc4ve3lr8n 17 күн бұрын
태양광한다고 벌목한 건 아닥함. 돈 주면 바로 아닥함ㅋㅋ
@kyoungheephyo3320
@kyoungheephyo3320 Ай бұрын
마스크쓰고 일하셔야 할탠데.
@GALritos
@GALritos 19 күн бұрын
안쓰는이유는 불편해서임.. 많이.. 땀도 많이 흐르는데 먼지도 많고 쓸리기도 잘쓸리고
@luminos5133
@luminos5133 11 күн бұрын
편백향 때문에 가구 완성하고 스프레이나 페인팅이라는 과정이 없나요? ...... 그냥 네츄럴한 나무 마감으로 끝나면, 만약 어린 아이가 크레용으로 그림그려 놓으면 어떻게 닦아내죠? ...... 그 부분을 손으로 일일이 샌딩해서 없애나요?
@user-qq6yl1vf3z
@user-qq6yl1vf3z Ай бұрын
나무가 좀 물러서 그렇지 향냄새 정말 최고로 좋은 나무인것 같어 그 비싸다는 침향목은 도대체 얼마나 좋은걸까
@inuxkr
@inuxkr 19 күн бұрын
편백이 강도가 좋고... 수압대패 작업할땐 장갑도 끼고... 후우.... 할많하않
@luxyard
@luxyard 29 күн бұрын
언제 방송된 영상임? 오래전 영상인가
@OOCCNN
@OOCCNN 4 күн бұрын
2015
@luxyard
@luxyard 3 күн бұрын
@@OOCCNN 감사합니다
@333movie
@333movie 17 күн бұрын
수 많은 미세 먼지.. 마스크는 필수입니다.
@user-zi5st2dz8p
@user-zi5st2dz8p 20 күн бұрын
일본에서 들어오는 편백나무 방사능검사는 하는건가요?
@user-vc4ve3lr8n
@user-vc4ve3lr8n 17 күн бұрын
중국에서 들어오는 건 검사한다고 하더라구요
@user-rz2xu8ue7u
@user-rz2xu8ue7u 12 күн бұрын
지능이?
@user-zy1ml7zz6w
@user-zy1ml7zz6w 18 күн бұрын
a목수가 영광의 시대가 있나요
@jamesroh3247
@jamesroh3247 Ай бұрын
사람들이 하나같이 순박해 보입니다
@HimalayaSalt
@HimalayaSalt 22 күн бұрын
평생을 성실하게 일해온 사람들만이 가질수 있는 얼굴들이죠.
@GraphicmagiC
@GraphicmagiC Ай бұрын
편백이 강도가 ???
@user-mc6qi7en8f
@user-mc6qi7en8f Ай бұрын
예수님의 아버지 요셉과 예수님도 목수이셨죠. 세상에 꼭 필요한 직업, 저도 남은 생을 목수로 살고 싶습니다.
@user-ns5nu5bq3f
@user-ns5nu5bq3f 27 күн бұрын
왠일로 “vj특공대”가 아니라 “진짜 극한 직업인가 했더만ㅋ 제발 진짜 ”극한 직업“좀 보여주세요ㅠ
@mzsun1219
@mzsun1219 18 күн бұрын
장비없을 때 목공들 진짜 죽음이었다고 대패질만 몇년배워야 제대로 한다고 함
@user-songnam
@user-songnam 20 күн бұрын
양털사포 방송이니까 하네 ㅋㅋ
@user-np8vx6jq4f
@user-np8vx6jq4f 21 күн бұрын
아니 방진마스크랑 보안경 왜 없는건데
@GALritos
@GALritos 19 күн бұрын
단하나임 불편해서 그거쓰면 작업능률 현저하게 떨어짐.. 보안경은 조금만 써보면 습기차서 앞에 보이지도 않음..
@user-tl2pe3bd7f
@user-tl2pe3bd7f Ай бұрын
디자인이문제지
@user-yz7qo6nl4h
@user-yz7qo6nl4h 9 күн бұрын
크릭이 안됨
@user-nh9kh5nh7q
@user-nh9kh5nh7q Ай бұрын
영광의 시대가 끝이라고요 ?? 요즘 목수 인건비 하루에 기본 45부터 출발하더라고요 , 지역마다 다르겠지만 저는 지방입니다 45 + 목수들 장비대 (장비가 현장에 있는동안 추가로 들어가는 비용이 있습니다) 장비대를 따로 지불하는건 정말 이해가 안가요 인건비 안에서 다 해결해야 하는부분이지 이런저런 이유로 인건비 + @ 가 되니 애초에 처음부터 모두 포함된 금액을 부르시던가 인건비에서만 딱 끝나는게 아니고 목수분들 팀 단위로 움직이셔서 최소 2~3명 목수팀장님은 45 , 밑에 함께 일하는분들 최소 30씩만 잡아도 둘이서해도 75 , 3명은 100 입니다. 거기에 공정별로 난이도 별로 금액은 또 올리시니... 3분이 오셔서 일을 정말 잘 분배해서 4 ~ 5 일 안에 일이 딱 끝나버리면 납득이라도 갑니다. 이런 저런 이유로 공사는 거의 뭐 3~4주 걸리고.. 처음부터 우리 공사 몇명이 들어가서 몇일안에 끝닙니다. 라고 이야기라도 하면 “기일 넘기시면 넘어간 기일에 대해서는 이미 약속을 하셨기 때문에 추가 인건비는 못드립니다” 라고 하면 공사 중간에 째겠죠 ? 착수금 , 중도금 , 완수금 , 완수금의 비율을 크게 잡아 째는일 없게해야 합니다.. 하고싶은말은 믿고 맞겼으면 약속을 깔끔하게 잘 지켜라 입니다
@user-nh9kh5nh7q
@user-nh9kh5nh7q Ай бұрын
어찌됬건 여전히 목수들은 아직도 배부르고 그리고 많은 분들이 배째라 하는분들도 많습니다. 인테리어 건축 목수 , 이런분야에대해서는 엄격한 법 조항이 반드시 필요하다 봅니다..
@minkim665
@minkim665 Ай бұрын
외장목공은 해당안됩니다
@hoonsong6615
@hoonsong6615 Ай бұрын
더럽고 치사해서 상대안할라고 합니다......인테리어한번 해보면 업자들 속 안썩이는 것들이 없더군요
@leskim7914
@leskim7914 Ай бұрын
설계도대로 가구만드는거랑 건축이랑 같냐?
@user-es8dm4ln8q
@user-es8dm4ln8q 27 күн бұрын
목수기공28 반장38
@master.y8129
@master.y8129 24 күн бұрын
현재 목수들 중장비가격임 ㅋ 거기에 겐세이 오짐 ㅋ
@ysp7102
@ysp7102 Ай бұрын
톱날작업 하시는것 보니 너무 위험한데요? 장갑은 벗고 하세요...
@Junwoo-house
@Junwoo-house 8 күн бұрын
메이드 인 저팬
@allankwon
@allankwon 18 күн бұрын
유튜브 이용 잘 못하는 노인들이 댓글에 많은데 2015년 12월 29일 방송된거라고 나와 있다.
@vdnss
@vdnss Ай бұрын
아직도 잘 벌어요
@JJ-eo7gd
@JJ-eo7gd 26 күн бұрын
이건 솔찍히 목수 아님니다 목공 도.아니고요
@leejeongho11
@leejeongho11 22 күн бұрын
왜요 ?
@GALritos
@GALritos 19 күн бұрын
@@leejeongho11 짜맞춤도 아니고 피스마감해도 되는데 보통은 피스가 안보이도록 안쪽에서 마감하는데 밖에서 다보이게 하는건 하루만 배워도 다할정도임..
@user-lm7gt7ti9y
@user-lm7gt7ti9y 4 күн бұрын
그리 좋으면 자기 자식에게 물려주지 연예인봐라
@maeine1
@maeine1 Ай бұрын
그 영광의 시대는 다시온다 봄.
@user-ne1jp5zw3w
@user-ne1jp5zw3w Ай бұрын
다시 오려면 수백년후에나..건축자재가 나무에서 금속소재로 바뀌고 있고 적어도 몇백년은 금속자재가 지배할것 같네요. 고급 단독주택에만 그 수요가 한정될것 같은데 고급화전략으로 버터야할듯...
@hojinkim9648
@hojinkim9648 Ай бұрын
@@user-ne1jp5zw3w 전쟁이나 모종의 이유로 해양봉쇄당해 철광석 수입 안되면 힘듬
@grx1988
@grx1988 Ай бұрын
​@@hojinkim9648전쟁이든 머든 목재의 고부가가치 시대는 지나갔죠 다시안옴
@MY_CHOKUK
@MY_CHOKUK Ай бұрын
여름
@user-yo5pn8xr2p
@user-yo5pn8xr2p 20 күн бұрын
정말 이제 곧 다시옵니다 맞습니다 😊
@jayyoo906
@jayyoo906 25 күн бұрын
나무가 있는한 사람은 살 수 있다. 사람과 나무는 뗄 수 없는 관계다. 목수란 직업은 나무를 쓰는 직업이지만 나무를 심고 가꾸는 영역으로 확대한다면 더 없이 멋진 직업이 될 것이다.
@jaijung4181
@jaijung4181 18 күн бұрын
일본하면 방사능 생각남
@user-vc4ve3lr8n
@user-vc4ve3lr8n 17 күн бұрын
중국하면 뭐가 생각남? 황사?
@KrysShin917
@KrysShin917 29 күн бұрын
대체누가 노가다꾼을 부러워했나요? 예나 지금이나 흠...
@dsk8090
@dsk8090 18 күн бұрын
오바 적당히해라.. 저게 뭔 목수냐?
@royal9787
@royal9787 15 күн бұрын
그럼먼데 노가다꾼아?
@user-be6fb9xm5j
@user-be6fb9xm5j Ай бұрын
수요때문에 어쩔순없겟지만.. 자연훼손하며 버는 돈으로 나무 한 그루라도 심어보셧을려나.. 70년 나무가 좋다고만 할게아닌데
@user-tw4vr4xg7q
@user-tw4vr4xg7q Ай бұрын
열심히 성실하게 사는 사람들을 위해 편안한 사회를 만들어주는것이 정부의 몫이다 이런 사회를 만들어 줄려면 100% 자유 민주주의를 세워야한다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6 МЛН
Stupid Barry Find Mellstroy in Escape From Prison Challenge
00:29
Garri Creative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편백나무 히노끼욕조 제작 과정 - 극한직업
8:55
편백마리
Рет қаралды 52 М.
경이로움의 건설: 후버 댐의 비밀이 밝혀지다
17:28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406 М.
[1편] 단 1일만에 실리콘 잘 쏘는 방법 / 집수리 억대연봉 기술자
29:00
집수리 기술자, 지대표가 간다
Рет қаралды 782 М.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