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현기차에서 느껴지는 찜찜한 느낌은.

  Рет қаралды 19,324

나윤석 RAH Factor (Stefan RAH)

나윤석 RAH Factor (Stefan RAH)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93
@몽몽-p4g
@몽몽-p4g 3 күн бұрын
요즈음 현대기아 신차들에서 느낀 소회들을 머릿 속에서 정리하고 있었는데 알고리즘에 이런 영상이 뜨네요. 너무 공감합니다.
@wolf-op8hh
@wolf-op8hh 3 күн бұрын
소신있는 말씀잘듣고 갑니다
@람람이네
@람람이네 3 күн бұрын
대중영합적인 결론에 도달했지 싶어요 아무리 애를쓰고 열심히 해봤자 이름값에 가려져 본질의 발전은 그만큼의 인정을 받지 못하니까 결국 쉬운길을 택한거죠. 사실 대중의 대부분은 그저 딱딱하게만 해도 그차의 마크에따라 탄탄한 승차감으로 해석하기도 하니까요.
@lowfatgasoline
@lowfatgasoline 3 күн бұрын
옛날 해외매체에서 스포츠카는 뉘르부르크가 망쳐놓고, 승용차는 bmw가 망치고 있다는 우스갯소리를 봤었는데 언젠가부터 좋은 차의 기준이 써킷이나 고갯길에서 잘 달리는 차가 되다보니 다들 딱딱평준화?가 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옛날부터 있었다고 봅니다. 국산차도 점점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성향에 맞게 만들어진다기 보다는, 차량을 극한까지 밀어붙이고 극한의 상황에서 조금이라도 허둥대는 모습을 보이면 가차 없이 공격에 들어가는 국내 리뷰어와 팔로워들의 강력한 영향력에서 더이상 자유로울 수 없지 않나 싶네요.
@Dasrasputin
@Dasrasputin 4 күн бұрын
부드럽거나 딱딱함과는 별개로 탄탄하고 안정감을 주는 주행감이 중요한데, 최근 현대차에 대해서는 이사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페리된 모델 타보면 뭔가 딱딱해지긴 했는데 탄탄하거나 조종성이 뛰어나지진 않았습니다. 운전의 즐거움에서는 좀 더 멀어지고, 화려한 외관으로 사로잡는 느낌이었네요. 비어만 시절에 벨로스터 아반떼 코나n이 나와 즐거움을 주던 시기는 이미 저물었나봅니다. 아반떼N 만이 외롭게 불을 밝히고 있네요. 질문이 있는데 혹시 현행 코나도 비슷하게 느끼셨을까요?
@jeewoonyoon2241
@jeewoonyoon2241 3 күн бұрын
순정출고차량임에도 과도하게 큰 사이즈의 휠타이어를 기본으로 장착하는 것이 주된 원인 중 하나라고 봅니다. 휠 사이즈를 불필요하게 키우면 편평비가 낮은 타이어를 장착할 수밖에 없는데, 디자인적으로는 멋져보일 수 있어도 승차감과 연비는 떨어지게 됩니다. 편평비가 최소 50 이상은 되는 타이어를 기본으로 장착하고, 더 큰 휠과 얇은 타이어를 장착하고 싶은 사용자는 옵션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맞습니다. 편평비가 최소 55 정도는 되어야 타이어 쿠션과 기능을 온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데,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현대-기아차 기본 장착 타이어 편평비는 45 이하인 경우가 많습니다. 너무나 많은 차들이 적정 크기보다 2인치 이상 큰 사이즈의 휠을 적용하기 때문입니다. 구매 이후에 각자 취향대로 갈아끼우면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제조사가 적정 크기의 휠과 타이어를 세팅해서 최종 튜닝하여 출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네온아트
@네온아트 3 күн бұрын
정답
@주은-y7r
@주은-y7r 3 күн бұрын
그러네요. 하향 평준화 수준의 소비자가 원하는 많이 팔리는 방향으로 가니 이도저도 철학도 없는~ 천박한 주행감으로 중국느낌으로 퇴보될까 걱정
@이상호-y9t
@이상호-y9t 3 күн бұрын
옳으신 말씀입니다. 뽀대만 중시하는 사람들 의견만 듣는건지, 옵션 장난질인지 모르겠습니다.
@천정호-t9k
@천정호-t9k 3 күн бұрын
기본으로 이미 글쓴대로 되어 있는데게 왜 문제냐.. 19인치에 편평비 55인데? 다들 옵션선택해놓고 왜 불만인지 모르겠다
@천정호-t9k
@천정호-t9k 3 күн бұрын
gv80순정은 19인치에 55편평비를 가지고 있으니 댓글들은 그냥 아무것도 모르는 무지식 심지어 70은 18인치에 60이다
@tothemoon5650
@tothemoon5650 3 күн бұрын
주요 원인은 승차감에 크게 영향을 주는 서스펜션쪽 특히 페이스리프트라면 고무 부싱이 가장 큰 요인일 가능성이 높을듯.
@MrTohavik
@MrTohavik 3 күн бұрын
소중한 말씀.감사해요
@Red-Leess
@Red-Leess 4 күн бұрын
아이오닉5를 타고 있고 승차감에 별다른 불만은 없다고 느끼는데 자동차 리뷰어들이나 택시에 데인 많은 분들이 아5의 승차감에 만족스러워 하진 않더라구요. 그래서 뭔가의 변화를 추구하다보니 그런게 아닐까 싶네요.
@혼돈의시대-t7v
@혼돈의시대-t7v 4 күн бұрын
페리 전 아이오닉5는 나윤석 옹께서는 소비자들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현대차에서 잘 해석해서 녹였다고 이야기 하셨었죠.
@dempskim
@dempskim 3 күн бұрын
택시는 회생제동이 강해서 그럴겁니다
@user-bf6fhr8h3vcx
@user-bf6fhr8h3vcx 3 күн бұрын
아이오닉5 승차감에 만족하실 수도 있겠지만, 다양한 차들을 타보면 어쩔수 없이 비교가 되면서 저는 별로로 느껴지더라구요. 드라이버의 경험치도 중요한 팩터가 아닐까 싶습니다.
@지잡대대코더
@지잡대대코더 4 күн бұрын
업계에 있어서 아시겠지만 현대 기아에관해 어떤평들이 많아 왔는지를 보면 알 수 있죠. 소비자가 너내 서스펜션이 물렁해서 구려 였으니까요
@tmdwn9101
@tmdwn9101 4 күн бұрын
ㅇㅈ 추가로 단단하면 유럽식으로 무조건 찬양하던 매체들도 한몫함
@vossenkoreabusan
@vossenkoreabusan 4 күн бұрын
알버트 비어만 BMW 그룹 출신 답게 말씀 하셨던 "Fine tune"을 정말 잘 하셨던 것 같습니다. BMW 차를 타보면 놀라는 것이 있습니다. 코너링 퍼포먼스가 좋다는 BMW인데 오히려 저속과 잔요철에서의 승차감, 범프 처리 능력이 정말 매끄럽고 부드럽다. 그런데 중고속 레인지나 코너링에서의 성능도 정말 좋다. 저는 BMW 서스펜션의 쇽은 초반은 부드럽게 어느정도 텐션이 있을 때는 하드하게 버텨주는 2단 구조 쇽인가라는 착각이 들정도로 BMW 서스펜션은 정말 좋았습니다. 말씀하셨던 스팅어 차량 오너였어서 저 또한 그런 점을 충분히 느꼈구요. 현기차 뿐 아니라 요즘 제네시스 마저도 스팅어나 G70의 그 묵직하고 깔끔하고 쫀쫀한 느낌의 승차감 느낌이 없어졌다 느꼈는데.. 비어만 사장님이 물러나셨군요. 한 사람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한번 느끼게 됩니다. 영상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직언하시는 모습이 너무나도 멋지십니다👍 현기 그리고 제네시스가 다시한번 궤도 수정을 잘 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얼음장사
@얼음장사 4 күн бұрын
말씀해 주신것에 더해서 현대차그룹의 차종이 많이 늘어났는데 전기차만 추가된 것이 아니라 내연차 라인업도 꽤 늘어났죠. 거기에 한대의 차량을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은 점점 줄어드니 이런것도 영향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newmins
@newmins 3 күн бұрын
스포티지 시승해 보고 참...이게 최선인가 했는데 페이스리프트는 더 하다니 할 말이 없네요 ^^
@UaLRu6YXD-gasXg7GemMvg
@UaLRu6YXD-gasXg7GemMvg 4 күн бұрын
자동차 평론가라는 사람들이 bmw나 유럽차의 단단한 승차감만이 정답이고, 그랜저 같은 컴포트 승차감은 주행안정성 운운라며 쓰레기라고 가스라이팅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영향력 있는 채널에서 한마디 하면 판매량에 영향을 받는데 별수있을까요.
@RunLycos
@RunLycos 4 күн бұрын
bmw가 단단할지언정 딱딱하진 않죠. 딱딱한건 미니나 그렇고요.
@귤나무-y9i
@귤나무-y9i 4 күн бұрын
컴포트한 승차감을 뭐라한게 아닌거 같은데요ㅋㅋ.. lf쏘나타 이전 모델들의 특징이었던 텅텅 빈 듯한 가벼운 승차감을 지적하는건데 영상은 제대로 보신건지요😮
@UaLRu6YXD-gasXg7GemMvg
@UaLRu6YXD-gasXg7GemMvg 4 күн бұрын
​​@@귤나무-y9i나윤석 선생님께 하는 말이 아닙니다. 자동차 유튜브에서 구독자순으로 나래비세워서 그들이 뭐라하는지 들어보면 금방 알수있죠
@pstarke1066
@pstarke1066 4 күн бұрын
​@@귤나무-y9i영상에서 지적하는 신형 아이오닉5의 딱딱한 ev6와 비슷한 승차감은 오히려 해외선 극찬받는중ㅎㅎ 해외에선 ev6와 비교해서 아5의 물렁한 승차감이 아쉽다는 얘기가 많았는데 그걸 개선하니 한국서 한달에 천대팔릴때 미국에선 4천대나 팔림
@pstarke1066
@pstarke1066 3 күн бұрын
​@@귤나무-y9i그건 딱딱함을 안정감으로 느끼는지의 여부에따른 개인적인 느낌차이일뿐입니다ㅎㅎ 스포츠 서스에 적응되있지않은 일반인들에겐 비엠도 승차감 안좋은 차일뿐이죠
@새벽5시
@새벽5시 3 күн бұрын
알버트비어만시절 단단함을 조금 추구함, 이후 과거 물컹 현기이사진 복귀함. 물컹해진 그 상태에서 휠크기만 키움. 거대휠로인한 충격흡수 못하는 쇼크는 전해지며, 차체는 물컹한 이상한 상태가 됨.
@donghoonkang4919
@donghoonkang4919 3 күн бұрын
승차감이 단단한 것과 탄탄한 것은 다르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데, 이사님 의견에 저도 공감되네요
@kimbukbuk4287
@kimbukbuk4287 3 күн бұрын
차급보다 점점 커자는 휠사이즈도 승차감 저하에 한몫하는거 같아요 팰리세이드 전자제어 서스펜션 들어가도 21인치는 아닌거 같아요 인치업은 옵션사양으로 주면 좋을거 같습니다 투싼에 19인치, 아이오닉5도 20인치보다는 하나씩 낮은 인치가 더 잘 맞는거 같아요
@Joe-mr3zw
@Joe-mr3zw 3 күн бұрын
유튭 영향으로 하드하게 만들면 극찬하고 이게 판매에 좋은 영향을 끼차다 보니, 현기가 확실히 하드한쪽으로 방향을 잡은거 같은데, 현기가 하드한차를 만든 역사가 없다보니, 하드하게 세팅할경우 잔진동 처리하는 노하우나 축적된 데이터값 이런게 전무한 상황이라 차는 극찬 받지만, 잔진동 이슈가 크게 부각되는 상황입니다. 유럽차들이 오래전에 거친 과정을 현기가 이제 뒤늦게 따라가는 중이죠. 차만든 역사가 짧은 현기가 이제는 어느정도 완성도 갖춘 차를 만들지만, 현대 입장에서 차를 하드하게 만드는건 이제 시작입니다. 잘 해결하리라 봅니다.
@kihoony5325
@kihoony5325 3 күн бұрын
지금 NQ5 기존 스포티지를 1년 넘게 타고 있는 오너입니다. 19인치 휠 사양인데 페리 타봤을 때도 똑같이 통통 튀는 느낌이었습니다. 페리는 뭔가 꿀렁인건 없어졌지만, "나 이제 안 꿀렁대요"하고 대놓고 나대는 느낌도 없지 않아 있었습니다. 정말.. 제 차는 어른들이 뒷자리 앉았을 때 승차감이 너무 단단하다는 얘기도 많이 했는데, 페리모델 타보고 나서는 점점 승차감에 방향성을 잃어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눈에 보이는 고급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고급도 필요하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이사님께서 생각하는 부분들은 대부분 저도 공감합니다.
@흉기차-d3y
@흉기차-d3y 3 күн бұрын
어르신을 그런 썩차로 모시다니... 돈 안모으고 좋은차 안사고 뭐했냐?
@초식동물
@초식동물 3 күн бұрын
몇몇시승기에서 멀미가 난다고 하는게 있었죠.. 그런 부분이 튜닝 안된것 같네요.
@사과빠-l1m
@사과빠-l1m 4 күн бұрын
공기압도 한 몫 한다고 생각합니다... 시승회에선 연비를 높게 나오게 하려고 공기압을 40 이상 넣는다고 주워들은적이 있거든요... 초기 출고 공기압도 50 가까이 되는것을 본적이 많구요... 시승차량에서도 , 시승회에서도 공기압을 규정 공기압으로 조절해주었으면 무언가 승차감이 달라지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공기압을 적정 공기압으로 맞추고 주행 했을때도 그런 승차감이 지속된다면.. 더 이상의 말은 접어두겠습니다,,,ㅎㅎㅎ
@alexcho0305
@alexcho0305 3 күн бұрын
저도 그런 것 같은게 얼마전 미국에서 렌트카 받았는데 100키로도 안탄 쏘나타 신차더군요. 근데 주행하다가 공기압 확인해보니 50이 찍혀서 차에 찍힌 권장공기압이었던 35까지 빼니깐 승차감이 아예 다른차가 되더라구여
@Joe-mr3zw
@Joe-mr3zw 3 күн бұрын
유튭 영향이라고 보여집니다. 저도 페리이전 투싼 하브 타보고 승차감을 절묘하게 세팅하여 대단히 잘만들었다 생각했지만. 유튭에서는 최악의 차로 평가됩니다. 출렁인다고 온갖 욕 다 먹고 판매는 대 실패했고, 이보다 더 하드하게 만든 스포티지가 유튭에서 호평을 받고 판매 대박을 쳤습니다만, 스포티지는 패밀리카용으론 승차감이 투싼 하브보다 떨어집니다. 유튭에선 하드하게 만들수록 극찬인 상황이고, 그게 판매량으로 연결되는 현실이다 보니, 현기 요즘 나오는 차는 더욱 하드해 지는거 같습니다.
@hyr777bvddj
@hyr777bvddj 3 күн бұрын
생활의 변화로 주말에 차를 이용해 장거리 다니는 분들이 많아졌죠. (골프 캠핑 기타 취미등등) 이제 강원도도 고속도로로 두시간이면 가니까요 yf hg 시절 물렁한 승차감은 시내제외하고 국도이상만 나가도 부족함이 느껴지는 승차감이죠. 운전 오래하면 더피곤합니다 단단한차가 오히려 몸이 덜 피곤하죠 독일차 승차감을 선호하는건 유튜버들 탓이라거나 차가 단단해서가아니라 알루미늄등 비싼 소재를 쓰고 차체강성이나 섀시설계가 잔진동을 잘 걸러주고 찐득하게 노면을 잘 잡고가기 때문입니다 요즘 현대기아는 소재나 하체 개선없이 승차감만 단단하게만 만드니 이도저도아닌 승차감이 나오는것같네요
@dextor7309
@dextor7309 3 күн бұрын
자동차업계사람은 아니지만 선행기술그룹에서 약 5년정도 아키텍쳐나 플랫폼을 만들고 상품화그룹에서 기술트렌드나 관련법 유권해석 변화에 맞추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페이스리프트에서는 차세대의 것을 맛보기를 도입하는데 사용자 입장에서 수렴가능 범위를 고려치 않고 기술적으로 신-구의 .5인 것을 출시하니 그런듯 싶습니다.
@몽몽-p4g
@몽몽-p4g 3 күн бұрын
올라온 댓글들이 정말 다들 공감되네요. 종합적인 수치로는 순항하고 있는듯 보이지만, 백조의 발길질처럼 여전히 후발주자로서의 고군분투가 이어지고 있는듯 합니다.
@주은-y7r
@주은-y7r 3 күн бұрын
독삼사는 차덕후가 마음껏 덕질하며 차를 만드는거 같다면 현기는 소비자 입맛에 눈치를 보면서 만드는 느낌.
@꾸준히-f8p
@꾸준히-f8p 3 күн бұрын
아이오닉5 페리 이제 1만 가까이 타고 있는 차주입니다. 과속방지턱 넘을 때는 2열에서 느끼기로 그리 물렁한 차는 아니다라고 느끼긴 하지만 도로를 달리는 경우에는 뒷자리까지 승차감이 상당히 괜찮고 편안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나피디님이 전문가니까 더 정확할 수 있고 의견도 존중합니다. 다만 동호회에서도 승차감 대부분 만족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sicily0721
@sicily0721 3 күн бұрын
전문가들은 일반인보다 몸에 센서가 10개는 더 달린 듯 합니다. 일반인은 전혀 느끼지도 불편감도 없는 부분까지 느낀다고하니.. 탄탄과 딱딱 ㅋㅋ 말장난이라고 봅니다. 일종의 허세..
@푸우짱구
@푸우짱구 3 күн бұрын
아이오닉5 2022 몰고있습니다. 런칭모델들도 승차감 좋아요..페리도 조금 다듬어진것 같드라구요..
@kbe2343
@kbe2343 4 күн бұрын
전 예전 그랜저hg나 제네시스bh 승차감이 좋았네요. 언제부턴가 유럽 승차감이 정답이라는 듯이 입을 타고 번지면서 현기 특유 컴포트한 서스는 쓰레기라는 인식이 대중에게 박혀버린듯.
@UaLRu6YXD-gasXg7GemMvg
@UaLRu6YXD-gasXg7GemMvg 3 күн бұрын
저도 그랜저 좋아합니다. 한국이나 미국은 유럽 시내도로처럼 좁고 험하지 않기때문에 서스가 유럽차만큼 단단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편하게 운전할수 있는 승차감이 좋더라고요. 올드스쿨 유튜버들의 가스라이팅이 아쉽...
@entropy1708
@entropy1708 3 күн бұрын
섀시가 구리니까
@포로리-f6i
@포로리-f6i 3 күн бұрын
방지턱 많은 우리나라는 물서스가 좋아요
@ssul-uncle
@ssul-uncle 3 күн бұрын
네 실제로 물리적으로 쓰레기 맞아서 쓰레기 취급했던겁니다
@abm0922
@abm0922 3 күн бұрын
헉! 저랑 같으시내요 20대때 그랜저HG의 물렁물렁한 승차감, 제네시스BH의 미끄러지는듯한 주행질감 너무 좋아서 진짜 깜짝 놀랬었는데 그 뒤로 나온차들은 하나같이 승차감이 좋다라고 느껴본적이 없습니다. 뭔가 전체적으로 승차감이 다운그레이드 된 느낌이고 정작 차를 구매하는 일반인들의 목소리는 안듣고 일부 목소리만 큰 소수들( 현대차를 구매하지 않는 독일차의 주행/승차감만이 정답이라고 허세에 물들어 자뻑에 빠진 자칭 전문 자동차 기자들/리뷰어들 ) 의 목소리에만 현대차가 귀를 기울이는것 같아요
@leokang6139-i4r
@leokang6139-i4r 4 күн бұрын
저는 사실 페리 전 아반떼 n라인이나 쏘나타 n라인, i40 i30 디스펙때처럼 선택지를 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독과점 회사라면 그정도의 팬서비스는 해주면 좋겠어요 저렇게 하면 확실하게 노선정리도 할 수 있을텐데.. 저는 개인적으로는 16-21년 사이 현대기아 셋팅이 마음에 들더라구요
@min-sf6fc
@min-sf6fc 3 күн бұрын
전기차는 차체가 무거운데 차가 휠만 키우고 서스펜션 투자는 없고 원가절감 하면서 튼튼하게 만들려면 딱딱하게 만들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컴포트하게 가면 사고 나니까요. 테슬라도 초기에 엄청 딱딱했다는 점이 그걸 보여주는거죠. 지금 좋아졌다 해도 여전히 딱딱하고.
@rollback2117
@rollback2117 4 күн бұрын
현대차가 새 차나 페이스리프트를 내 놓는 속도나 양적인 걸로는 세계 최고인데 그러다보니까 질적인 튜닝에 정성을 들일 물리적인 시간은 부족한 게 아닐까요 전기차에 올인하면서 내연기관쪽 연구원 인원 줄였다는 기사를 본 기억이 있는데 그게 맞다면 인력이 부족할 수 밖에 없겠죠
@매직존슨-h5b
@매직존슨-h5b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혹시 비어만 부사장이 있을때 만들었던 차량은 어떤게 있는지 알수있을까요ㅠㅠ
@baekdori
@baekdori 3 күн бұрын
이사님께서 저번에 올리신 팰리세이드 영상을 보면 3세대 플랫폼으로 상당히 여러 차를 만든 후에 나온 차인 것을 감안하면 완성도가 아쉽다는 평을 내리셨습니다. 대중 브랜드인 현대와 기아에서 경차 ~ 고급형 준대형 세단 suv에 상용차를 다 만들고, 내연기관차에서 하이브리드, 전기 전기차까지 만들고, 고급 브랜드인 제네시스까지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현대차그룹은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갖췄지만 그만큼 제한된 인력과 자원을 가지고 모든 걸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 사견이지만 현대차그룹도 어느 정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대와 기아는 같은 플랫폼과 파워트레인을 써서 다른 디자인으로 파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기차에서 현대가 아이오닉 5N으로 스포츠와 감성을, 기아는 PBV를 통한 정량적인 실용성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 것처럼 보다 각 브랜드 단위의 개성과 철학을 강조하여 그것들을 가장 잘 구현하는 방향으로 세팅이 이뤄지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제네시스는 내년 즈음부터 내구레이스에 참여하는 만큼 좀 더 진지한 성능, 그리고 너무도 현란해지는 독일 3사의 실내와는 다른 차분하고 사람이 편히 지낼 수 있는 진짜 공간을 통해 보다 깊이감을 갖춰나가면 좋겠습니다.
@LGH-cg4xk
@LGH-cg4xk 3 күн бұрын
DL3 K5 1.6T 페리전입니다 비어만이 셋팅한 모델인데 다들 딱딱하다는데 전 좋습니다 그리고 재생속도 1.5하니 딱 좋네요
@이창희-v5j
@이창희-v5j 2 күн бұрын
저는 오래된 그랜저HG와 라프디를 가지고 있습니다...HG보다 주행질감에서 라프디가 앞선다는 생각이 들어 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현기차 특유의 가볍고 헐렁한 느낌이 싫었는데...G70, 벨로스터N 을 타보고 현기차가 많이 바뀌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나이사님 말씀을 들어보면 요즈음 현기차의 세팅이 다시 퇴보하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걱정(?)이 듭니다 (사실 다음차로 제네시스를 고려하고 있었는데...꼭 시승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추상인간
@추상인간 4 күн бұрын
이번 명절에 이모부께서 올ㅎ 아니 이제 작년인가요? 아무튼 새로 뽑은 g70을 타보니 브레이크며 스로틀이며 점진적인 페달감각이 정말 만족스러웠습니다. 아무래도 제가 데일리로 이용하는 yf소나타는 답력이 초반에 몰려 있어서 예민하게 밟아야 하거든요. 당연히 세밀한 조절은 g70이 더 잘 쓸 수 있고요. 5:44 이니셜 바이트 얘기가 나와서 하는 말이지만 다시는 그 시절로 돌아기지 않았으면 합니다.
@Samahcl
@Samahcl 2 күн бұрын
평생 써킷한번 탈일없는 차 가지고 기본기가 어떻고 고속안정성이 어떻고 해대는 시승기 보면서 차를 영상으로 배운 애들때문에 점점 편안함이라는 승용차의 본질을 버리고 멍청한 애들한테 아부하는 승차감 셋팅 하는거죠.
@NuriBaram
@NuriBaram 4 күн бұрын
영상 후반의 내용 뇌피셜이라고 하셨지만 경영진쪽에 좋은 취향을 가진 사람들이 없어졌거나 힘을 잃은 것이라고 생각 됩니다. 작년에 과도하게 단순화된 클러스터 디자인도 그렇고…
@vg1455
@vg1455 3 күн бұрын
최근 현대 기아의 궤적을 보면 무언가 조급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매 순간 무엇인가 보여줘야한다는 일종의 강박관념이랄까요. 조금 두서없는 뇌피셜들을 늘여놓아보려고 합니다. 1.페이스리프트 시기에 풀체인지급 변화를 가한 적이 한 두번이 아닙니다. 작은 물성만 바뀌어도 하드웨어는 Fine Tuning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페이스리프트에 따른 Fine Tuning이 없었을거라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이를 충분히 담아낼 개발비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2.그리고 Fine Tuning의 방향성이 최악의 시나리오에 있어서 그런 건 아닌가도 생각이 듭니다. 예를 들어 가장 가혹의 조건을 견디기 위한 setting을 하고 그 이후에 시나리오를 하나씩 덜면서 Fine Tuning을 하는건지 아니면 가혹 조건의 setting만 하고 그 안에서 타협을 하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니 운전자만 탄 환경에서는 'Setting'이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구요. 3. 또 Fine Tuning을 한 Setting과 시승 Event Setting의 괴리가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개인적으로 Fine Tuning한 트림 및 구성을 공개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Quality를 보장하기 위해 분명히 모든 세팅에 대해서 검증은 하겠지만 Performance까지 보장하기는 정말로 어려울테고 분명 Trade-off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편 회사 입장에서는 차가 잘 소개되어야하기 때문에 풀옵션에 가까운 구성의 상품을 보여주기 마련입니다. 그럼 개발 단계의 '이상적'인 setting과 괴리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런데서 혼동이 올 수 있지 않을까요? 자칫 저 평가를 받을 수도 있는 부분이기도 하구요. 4.Fine Tuning의 타겟이 해당 차량의 시장 포지셔닝에 위치해있는 소비자 계층에만 집중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어쩌면 구매력이 Fine Tuning을 이끌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제품의 lifecycle을 모르고 하는 말이기에 다분히 추측성 발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지만 Fine Tuning을 하지 않는다기보다 이런 여러가지 변수가 Fine Tuning의 결과들을 어지럽히는게 아닐까하는게 제 생각입니다. 연구원들도 최선을 다하고 있을거라 믿구요. 미래 모빌리티를 그래도 선도하려고 노력하는게 국산 기업이라 다행이라는 생각은 듭니다. 전기차 시대에 받은 주목을 꼭 지속 가능함으로 이어지도록 노력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자꾸 쉬운 길을 더 많이 택하는 것 같아서 조금 아쉽고 안타깝습니다. 기대되고 잘 하고 있으니 또 아쉬움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몽몽-p4g
@몽몽-p4g 3 күн бұрын
너무 공감되는 관점입니다. 저도 자동차업계에 종사하지 않지만, 제품개발의 방향성은 어떤 제품이든 올려주신 관점에서의 선택에 따라 결과치의 경향성이 나타는건 마찬가지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greentea9938
@greentea9938 3 күн бұрын
많은 차를 소유해보며 느낀건데 서스도 서스지만 요즘 현기차의 시트도 한몫한다고 봅니다. 얇아지고 짧아져서 승차감이 많이 불편해졌습니다. 원가절감이겠죠?
@vanzoda
@vanzoda 3 күн бұрын
원가절감보다는 공간뽑아낼라고 해서일겁니다
@user-wt6zr8orhd
@user-wt6zr8orhd 3 күн бұрын
얇아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ㅋㅋㅋ 버킷시트처럼 얇은거 아니면 승차감과는 연관이 없습니다. 착좌감과 승차감을 혼동하지 마시고 깔 것만 까세요.
@greentea9938
@greentea9938 3 күн бұрын
@user-wt6zr8orhd 자동차의 승차감을 좌우하는 삼대요소가 뭔지 모르세요? 서스, 타이어, 시트입니다. 자동차에 대해 뭣도 모르면 좀 조용히 사세요.
@gs0-t4y
@gs0-t4y 3 күн бұрын
차의 평가가 냉정하게 되어져야 발전이 잇는거죠 좋타 잘한다 고만한다면 문제점은 항상 그대로일수박레 없죠 ㅎㅎㅎ
@Winters84
@Winters84 3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 그래서 갈수록 차를 사기 망설여지네요. 문제는 다 아는데.... 전체적으로 모두 동감합니다 그랜져도 스포티지도 펠리세이드도 ㅠㅠ 차가 가장 잘팔리지만 그게 기본기를 뒷받침 한다는게 아니라는게 아이러니일 뿐입니다
@kcm8000
@kcm8000 2 күн бұрын
승차감은 타이어 인치랑 편평비가 깡패더군요.그랜저ig 19인치타보니 너무 단단. 현기가 전체적으로 가오전략땜인지 타이어인치 늘리는 것땜에 승차감이 그꼴 된듯요. 깡통택시들이 괜히 승차감좋은게 아니죠
@이지형-w8e
@이지형-w8e 2 күн бұрын
급격한 전기차 전환기조에 따른 내연기관에 투자소홀 가격인상에 따른 좋은차처럼 보이기위해독일차따라하기가 현기차 발목을잡는거같습니다 제네시스 전동화도 늦어지고있고 하이브리드출시도 늦어지고 현기는 가격인상을 피로감에 불만이 쌓이고있는거같네요
@taekwon5447
@taekwon5447 3 күн бұрын
사람의 감각이란게 그렇지요 유럽차들의 단단한 하체 느낌을 느끼는 것과.. 좀 다른거 같긴 한데.. 그냥 무심하게 타는게 좋지요 요즘 나쁜차가 없습니다 대부분 그냥 취향대로 탑니다 전문가랍시고 얘기하는 사람들의 말에 현혹 될뿐이지요
@지니지니-advance
@지니지니-advance 4 күн бұрын
‘알버트 비어만의 부재’가 제품에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hero-p5z
@hero-p5z 4 күн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직진 안전성이 너무 떨어집니다 특히 REPS의 경우 현대 RMDPS는 수입대비 좋은거 잘 모르겠고 악셀을 밟으면 신차임에도 한쪽으로 쏠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제차만 그러나 봐도 친구놈 차도 살짝그러더라구요
@pstarke1066
@pstarke1066 3 күн бұрын
그건 아닌듯요 ㅎㅎ 그분은 n브랜드에만 관여하셨고 n은 그분 퇴임이후에 오히려 더 공격적인 셋팅을 하고있죠
@alexcho0305
@alexcho0305 3 күн бұрын
@hero-p5z그건 수입차에도 많이 들어나는 토크스티어죠
@lucifermorningstar9781
@lucifermorningstar9781 3 күн бұрын
@hero-p5z 옜날부터 현대차는 직진을 못가는차였습니다 유일하게 직진을 갔던차가 옛날 eq9000이였습니다 그이외차는 전부다 프론트 설계상 한쪾으로 쏠려서 핸들로 잡아줘야됩니다 제네시스 g90포함입니다
@ssul-uncle
@ssul-uncle 3 күн бұрын
​@@pstarke1066n브랜드에만 관여한거 전혀아닙니다 인터뷰들 싹 보세요
@강철중-c7y
@강철중-c7y 3 күн бұрын
현기는 줏대가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좋게 포장하면 여전히 발전을 위해 다양한 케이스로 시험중이다?ㅋ 디자인부터 승차감, 뭐하나 일관적인게 없죠. 페이스리프트라고 하면서 거의 풀체인지급 디자인변경을 유지하고 있고 승차감이나 가속세팅 등의 차이가 너무 커서 보수적인 태도로 접근하면 낭패보기 쉽습니다.
@준상류
@준상류 3 күн бұрын
차의 부드러움 보다 어지러움으로 유저들이 너무 많이들 이야기하니 그리 변한듯 생각됨니다. 유럽이 기준인듯한 표현이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다고 생각됩니다.
@Stfstation
@Stfstation 3 күн бұрын
승차감 부분 완전히 공감합니다.
@잔잔한바람이좋다
@잔잔한바람이좋다 4 күн бұрын
예전엔 독일차를 따라가기 위해 그렇다고 했다치고..... 최근에는 독일차가 최고는 아니니 그렇다고 치고........... 결국엔 차량의 사용처에 맞게끔 셋팅이 맞는데 ................고놈에 유투버 유저들의 의견을 받아들이는게 이상하게 받아들여지게 아닌지 생각해봅니다.
@mrlee7936
@mrlee7936 8 сағат бұрын
비어만, 피터 슈라이어 나간 이후 현기차가 점점 퇴보하고 있습니다.
@mrlee7936
@mrlee7936 8 сағат бұрын
이상엽 들어온 이후로 디자인도 아주 엉망이 되었죠.. 정말 디자인 때문에 살 차가 없습니다.
@푸우짱구
@푸우짱구 3 күн бұрын
제 사견으론 현대차그룹이 이제는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이 세 브랜드를 뚜렷하게 브랜드 방향을 설정하고 나가는 과정에서 혼란이라고 보는데, 특히 현대기아와 제네시스간 그레이드를 확실하게 차별화 하는 과정에서 현대차 기아는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들게 가져가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고 제네시스도 뚜렷하게 승차감등 면에서 차이가 있는것도 아니지요. 현대차그룹이 수익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태세전환을 하는것도 맞는거 같고, 제네시스 브랜드의 성장을 위해 현대차 기아를 이제 얘네들은 딱 이만하면 됐어... 그런 마인드가 여실히 보입니다. 비록 승차감 뿐만 아니라 모든면에서 ...
@kingNO0614
@kingNO0614 4 күн бұрын
페리오닉5n라인 타는중인데 4륜.. 승차감 좋더라구요..ㄷㄷ 아..물론 이전차가 13년식 i30 디젤이었...쿨럭.. 참고로 ev6와 모델y 전부 시승하고 페리오닉으로 왔습니다. 제가 느끼기에는 페리오닉 승차감 제일 쫀쫀했었어요 제일 최악은 모델y이였구요 ㄷㄷ
@matthewoh1679
@matthewoh1679 3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그랜저 3.5 구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다만 올해 하반기 페이스리프트 예정이라하여 사자마자 구형이 될까봐 구매시기를 늦춰야하나 고민인데 현대기아의 트렌드가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며 서스펜션이 딱딱해지는게 회사의 방향성이라면 그랜저마저도 K8과 같은 느낌이 되어버릴수도 있을까요? 어차피 구매하면 10년은 탈거지만 금방 구형이 되어버릴까봐 고민이 되는데 어떤 결정이 나을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entropy1708
@entropy1708 3 күн бұрын
현기는 철학이 없는 게 철학 ㅋ 최소한 그들의 철학에 일관성이란 건 없음 ㅋ
@USER61715
@USER61715 3 күн бұрын
디자인 야랄난 스마트키부터 정 떨어진적은 처음이었습니다..수천만원짜리 차를 사는데 애새끼들 장난도 아니고. 그게 철학이라면 진짜 임원 줄세워놓고 줄빠따 갈겨야됨.
@swum2918
@swum2918 3 күн бұрын
n3플랫폼에 전자제어서스펜션조합이 되면서 아직 노하우가 정립 되지않은거같습니다. 저도 가벼워진다고 느끼거든요. 그느낌이 나쁘진않으나 고급감이 발전된다고 느껴지진않더라구요
@snail-j4980
@snail-j4980 3 күн бұрын
귀가 좋은 오디오 마니아 분들은 느낌을 자신의 언어를 사용하여 여러가지로 표현하곤 합니다. 분명 차이가 있기에 그리 표현을 하는 것일 겁니다. 막귀는 소리의 차이도 알 수 없고 마니어의 평가도 이해하지 못할 겁니다. 이번 현대차에 대한 평가가 맞고 틀림을 떠나서 전문가적 체험과 느낌을 경험하고 공감하기가 일반인으로서는 쉽지 않은 것이 참 아쉽습니다. 감각과 채험 그리고 표현은 사람마다. 때와 장소에 따라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어떻든 현대.기아 자동차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아끼는 마음에서 나온 것으로 받아들여 집니다. 앞으로 더욱 발전하는 현대가 되길 바랍니다. 조립라인에서 스마트폰 치워주고 차값 좀 내려 주시면 좋겠습니다. 😂 근래 차를 새로 마련하려고 여러차를 시승중입니다. 쏘렌토2륜하브2025페리 탄탄하다는 평들인데 저는 무게감과 안정감은 괜찮은데 다소 출렁거리는 느낌이었습니다. 스포티지2륜하브 2025페리는 편안한데 좀 튀나? 그런 느낌. 투싼2024페리2025형 하브2륜은 무난. 2륜 가솔린은 좀 까딱까딱? 하는데 전체적으로 나쁘지 않았습니다. 2025싼타페 2륜하브 그냥 탈만 했구요. 출렁도 통통 튀김도 아닌. 큰차의 무게감? 저처럼 일반인의 느낌으로는 싼타페하브나 투싼하브가 괜찮았습니다. 그랑콜레오스도 시승해봐야겠습니다. 현재는 다루기 편하고 비용도 과하지 않게 투싼하브 고려중입니다. 아마도 생애 마지막 차일 것 같습니다. 현재는 슈퍼렉스턴 큰 불만 없이 타고 있네요.
@USER61715
@USER61715 3 күн бұрын
나이사님 고견에 극적으로 공감합니다. 여러 감각으로 차량을 분석하시는점이 캐빈의 넓이만 읊어대며 차박여부가 셀링포인트인 유튜버친구들과는 확연히 차이나네요. 제가 감히 짚는 부분은 차량의 전장과 전고는 계속해서 부풀리는데 전폭은 상대적으로 주차규제나 회전반경 등의 제한적인 부분으로 인해 묶여버리니 수십년간 쌓아온 데이터가 무용지물이 되어버렸다고 봅니다. 저는 i30pd때가 가장 올바른, 교보재라고생각합니다.전장/전폭비율, 타이어사이즈, 서스펜션과 멀티링크의 조율로 담백한 승차감과 쫀득한 거동을 보인 현대의 황금기라 생각합니다. 실제로 N브랜드의 시작점이기도 했구요. 그에반해 신형 팰리세이드와 타스만의 휑한 엔진룸만 봐도 이제 얘네는 디자인도 산으로 가고, 소프트웨어도 조랄난 껍데기에 분칠하는 기업이구나 생각이 들더군요. 전통적으로 정신못차리는 것들은 매가 약이고, 블루스크린엔 리셋버튼이 약이었습니다. 내부적으로도 느끼겠지만 끝날 때가 된 것 같습니다.
@limelight777
@limelight777 3 күн бұрын
웃기고 있다
@donbu-ahn
@donbu-ahn 3 күн бұрын
도대체 현대도 장사해먹기 힘들겠네요.물침대라르니 멀미 난다느니 노인네차라니 해서 좀 극복해보면 이딴소리가 나오고 정말 어쩌라고네요.근데 님 댓글 써논거 보니 뭘해도 만족못할분 같네요.
@벼는
@벼는 3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그냥 니는 걸어다녀라
@USER61715
@USER61715 3 күн бұрын
@@donbu-ahn 아이러니하게도, 선생님 말씀대로 만족하지 못하지만, 제 수준에선 막상 가격과 유지비용,보험,세금, 편의를 기준으로 선택지를 깔고보면 손에 닿는건 또 현대/기아/제네시스뿐이더군요. 솔직히 갈피못잡는 지금의 세팅에 대해 개선이 된다면 또 한번 구매할 의향이 있는 사람으로서 남긴 고회라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emisser
@Lemisser 4 күн бұрын
현기차 인력 대비, 투자해야 할 차량과 방향이 너무 많습니다. 수소차, 전기차, EREV를 포함한 하이브리드차 등등...
@electrichicken
@electrichicken 4 күн бұрын
비슷하게 느끼는것이지만 뭐랄까.. N 브랜드 또한 전동화, 수익성의 제네시스, 생각되로 되지않은 로드맵 원하는 밑그림이 제대로 그려지지 않고있다는걸까요. 무게가 늘어나는 만큼 불필요한 잔진동을 실내에 허락하게되면 예전처럼 물침대서스 멀미유발등으로 곤횩을 치뤗던만큼 잠수함 패치로 모르게 더 단단히 조이고있나봅니다. 다가오는 eM eS 플랫폼 / 해결되지않은 E-GMP ICCU 이슈 / 새로도입하게되는 기가캐스팅등 아이오닉5 풀체인지가 무언가를 보여줄것같은데.. 일부 커뮤니티에선 지도 업데이트가 늦다라는 이슈도있고.. 큰 덩치가 재빠르게 움직이지 못할것이라는것은 잘 알고있는데.. 솔직히 요새는.. 현대차에서는 아이오닉 / 싼타페 / GV70&80 등이 캐쉬카우 역활을 하고있다고 생각합니다. 쏘나타의경우도 못생긴 얼굴을 갈아엎고, 조금 옆그레이드로 변환 K5 대비 잘나가고있어서.. A/S 를 확실하게 하면서도 앞으로가는 방향성을 보여주면 좋겟는데.. 혁신을 대중차에서 보여주고, 제네시스는 엄선된 품질로만 가려는것같아서 요새는 차를살거라면 차라리 조금더 투자해서 제네시스로 한방에 가는분들도 더러있는것같습니다. 그런데.. 나이를 조금씩 먹어가니까.. 너무 과하지않는 오래사용하면서도 변치않는 그런것이 더 좋은것같습니다.
@jiho0227
@jiho0227 3 күн бұрын
최근에 차 바꾼다고 준중형 ~ 중형급으로 시승해봤는데, 제 개인적으로도 승차감이 썩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특히 스포티지... 운전하다가 멀미 올라온 적은 처음이였네요. 선택은 쏘나타 디엣지로 하고 그럭저럭 만족하면서 타고 있습니다. 그런데 차를 사고 나서도 다른 문제가 있네요. 이전보다 부품 수급이 잘 안되고 있다는 말도 있고, 네비 업데이트 간격은 엄청 늘어지고...
@이로우니-x7b
@이로우니-x7b 3 күн бұрын
전 딱딱한 주행질감은 사양합니다. 현기의 고급물침대가 좋아요.
@주종남-e9m
@주종남-e9m 3 күн бұрын
잔기술로 원가절감으로 기본을 무시한 결과라 생각 기본적으로 당도차이가 나는 품종에서 낮은쪽 품종을 당도를 높이기는 불가능 합니다 😊
@JJangga_33
@JJangga_33 3 күн бұрын
예를 들기에 선뜻 내키지 않지만 몇년전 도요타 아키오 회장의 "전기차는 아직이고 우린 하이브리드 고수한다!!!"는 말로 알수 있듯이 지금의 도요타는 기존의 직병렬 하이브리드를 더욱 발전시키고, 새로운 병렬 2.4터보 하이브리드도 개발하고, 대형 SUV인 렉서스 LX 700h에 적용되는 3.4터보 하이브리드+독립형 4륜 방식을 양산하며 시대의 절대강자로 등극하게 됨! 현기차의 전통적인 관습이었던 라는 일방적 지시만이 최고의 가치였던 "과거의 현대"로 되돌아 간듯 함! 어느 날 "모두 전기차로 돌격 앞으로!" 하다가 어느 순간 "이 산이 아닌가벼 다시 원위치!"의 행태가 요즘 현기차의 실상임!
@러킬-k5v
@러킬-k5v 3 күн бұрын
튜닝으로 조절할 것들을 그냥 부품 탓만하고 포기하는 것 같습니다. 특히 프리뷰--
@DCT-y4y
@DCT-y4y 3 күн бұрын
GN7은 승차감 괜찬던데요
@Dae_Jo_YEong
@Dae_Jo_YEong 3 күн бұрын
현기차는 왜 직진을 잘 못하는걸까요 다 좋은데 그것 때문에 안삼
@starbucksinstantcoffee
@starbucksinstantcoffee 4 күн бұрын
파인튜닝이 신차가 많이 내면서 이렇게 된건 아닌 걸까요? 전기차도 일반차도 일반인 생각에는 많이 나오는거 같네요
@jamespark1156
@jamespark1156 3 күн бұрын
아 투싼페리 나만 그렇게 느낀게 아니구나
@LastZeus
@LastZeus 3 күн бұрын
카니발 이짱입니다.
@zacaz1517
@zacaz1517 4 күн бұрын
지당하신 말씀 감사합니다 현기야 예전부터 그래왔지만 삼성 꼴 따라가는 거 같아 많이 아쉽네요
@mischhhhh
@mischhhhh 3 күн бұрын
어르신분들은 출렁이는걸 좋아하겠지만, 그 외는 거의 아닙니다...
@pippy3221
@pippy3221 3 күн бұрын
그랜저는 세대가 바뀔수록 승차감이 후퇴하는 느낌!!
@warrenleety
@warrenleety 3 күн бұрын
그 가격대엔 보기힘든 상품성/가성비에 치중하면서, 프리미엄 브랜드 바로 아래 수준의 가격을 책정(인상)하는게 최근 현기의 방향성이라 봅니다. 좀 더 기본기 향상에 노력해야 한다 생각됩니다😅
@천재소년-x2e
@천재소년-x2e 3 күн бұрын
너무 정확하게 보신 리뷰라. 대형 유투버들은 현기차 빨아주기만 하는데 역시 너무 잘보신거 같습니다.
@ccj3372
@ccj3372 4 күн бұрын
유럽 승차감이라고 하기에는 푸조는 승차감이 좋은데. 현대차는 푸조를 따라가야 푸조가 핸들링이 나쁜 것도 아니고 토션빔도 셋팅을 잘함
@TOMATODONUTS
@TOMATODONUTS 3 күн бұрын
엥 이거 완전 모 전자회사 이야기 아님?ㅋㅋ
@dso9593
@dso9593 3 күн бұрын
조회수 치트키 쓰셨네ㄷㄷ
@james4219
@james4219 3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그랜저 와 K8 ECS 완전 다름을 느꼈습니다. 요즘 현기 차가 모두 달구지 같습니다.. 그래서 차를 더이상 사고 싶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지 않는 이유가 되기도 하구요, TPMS 하한치 값이나 좀 낮으면 타이어 압이라도 낮추는데 33psi 언더에서 경고등 뛰우는 차도 있고,, 죄다 광폭끼우고 인치수 큰 휠끼워놓고,, 총체적 난국.. 오히려 90년대 액셀이나 소나타가 훨씬 더 가족끼리 이동하기에는 편안하고 안락했습니다.
@muu_7416
@muu_7416 3 күн бұрын
사실 현대기아에 뭘 큰걸 바라기도 애메합니다 도요타 폭스바겐처럼 차 본질적인 부분을 잡고 가는게 아니라 옵션/디자인에 치중하는걸로 승부하는게 현기이다 보니 (어느쪽이 우월하다고 하는게 아니라 취향의 문제라는 얘기입니다) 그리고 차값이 도요타 폭바보다 살짝 싸다해도 영업이익이 1,2위 기업보다 훨씬 높다는 것은 그만큼 많이 남겨먹는다는 말이고 그 결과 핸들링이나 직진성, 고속안정성이 우리나라에서 2등급 취급받는 르노 쉐보레보다 안좋죠 핸들링 직진성 고속안정성 다 후달리니까 신차로 갈수록 딱딱하게 만들어서 시속 120에서도 차선병경 할때 한국차 특유의 그 출렁출렁 불안한 느낌을 없애려 한거겠죠 엔진도 전동화가 빨리 올줄알고 엔진에 투자를 멈췄는데 생각보다 전기차가 안팔리니 다시 부랴부랴 투자하는거고 현기를 샀다면 그냥 이쁜 인테리어와 큰 내부공간에 만족하면서 승차감 애메해도 그러려니 타야죠 그런 컨셉의 브랜드니까 도요타 폭바보다 싸다는건 미국기준. 우리나라에선 현기가 많이쌈
@muu_7416
@muu_7416 3 күн бұрын
제네시스 가도 4륜넣으면 직진도 잘 못하잖아요 이쯤됐으면 이건 브랜드 특인겁니다
@앙꼬파파-i8f
@앙꼬파파-i8f 3 күн бұрын
원가절감만으로 영업이익률을 올릴 수 있다면 망할 회사 없겠네...
@dempskim
@dempskim 3 күн бұрын
영업이익은 생산성 수직계열화등 다양한 요인이 있습니다. 원가절감은 어느 회사나 다 합니다
@muu_7416
@muu_7416 3 күн бұрын
@@dempskim 맞는말이지만 마른걸레도 쥐어짠다는 도요타보다도 자동차 기본기에 대한 투자가 없고 옵션이나 내장제는 훨씬 고급인데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이 더 높게 나온다면 합리적인 의심은 해볼수 있다고 봅니다
@muu_7416
@muu_7416 3 күн бұрын
@ 그렇죠 옵션기능 하나 더 넣고 인테리어 꾸며서 고급감을 내고 섀시나 서스같은 돈들어가도 겉보기에 티 안나는 부분을 철저히 가성비로 만들다보니 가능한게 아닌가 싶음
@떼구르르케이-r3p
@떼구르르케이-r3p 3 күн бұрын
중국산 부품 또는 중국산 장비로 이룬 원가 절감 그래서 조립 품질은 개판인 흉기 그러면서 가격은 졸라올리고 보조금 꿀 빨고 결함발생을 부족함이라고 말장난함 국내 소비자들 개호구 취급
@조과스키
@조과스키 3 күн бұрын
여전히 출렁출렁 합니다 취향차이 같아요
@rinbine2713
@rinbine2713 3 күн бұрын
님이 늙어서 그런거임.. 물침대 승차감을 더 좋아하는... 님이 딱딱하다고 표현했는데, 딱딱한 차에서 롤이 발생하면 됨? 그건 물리적으로 안되는 것임. 근데 님은 롤이 있다고 리뷰하지 않았음? 님이 딱딱하다고 표현하는 차종들 국내 리뷰어들의 리뷰를 보면, 롤이 있고 부드럽다고 함.. 그럼 딱딱함과 부드러움 중 누가 맞느냐? 다수의 의견이 맞는거임.. 그게 판매량을 결정하니까.. 그리고 해외 리뷰를 보면, 딱 적당하다고들 표현함.. 노면을 대부분 부드럽게 처리하지만, 요철을 만났을 때 어느 정도 느낄 수 있는 정도로 표현함.. 그리고 마음에 들어함. 그럼 된거지..
@묘묘-m2y
@묘묘-m2y 3 күн бұрын
음..설득력이 있네요ㅋㅋ
@hehe8062
@hehe8062 3 күн бұрын
저는 사실 현기차를 좋다고 느낀적이 없어서, 거기서 더 안 좋은 방향이 되었다니...
@양되지
@양되지 3 күн бұрын
디자인이 이상함.. 방향지시등 , 뒷 램프 ... 그렇다고 이게 싸지도 않음..
@realizeddream6316
@realizeddream6316 3 күн бұрын
요즘 현기차한테 잘한다 잘한다하니까 좀 갑자기 마음을 놓아버린건지 뭔가 살짝 방향성이 산으로 가는 느낌이 좀 들긴했네요
@up_ofj
@up_ofj 3 күн бұрын
제목보고뭐지 엔지니어인가하고왔는데... 그냥 기자 칼럼이네요.,.. 여태번돈으로 차량몇개사서 뜯어봤다면 인정할만할거같은데... 느낌적느낌으로는..... 뭐이거하는 공감되네요. 1년마다 페이스리프트+소프트웨어로 개선이된다라는 느낌으로 물리적인 연구개발이 등한지되고있다.
@혼돈의시대-t7v
@혼돈의시대-t7v 4 күн бұрын
현기차 만의 철학과 해석이 너무 중심없이 왔다 갔다 하는 느낌입니다.
@정도현-q4t
@정도현-q4t 4 күн бұрын
이사님은 다른 리뷰어에 비해 부드러운 승차감을 좋아하신다는 느낌이 듭니다. 이 점에서 다른 분들과 좀 다르단 생각이 들어요.
@혼돈의시대-t7v
@혼돈의시대-t7v 4 күн бұрын
탄탄하고 쫀쫀한것과 단단한 것의 차이라고요. 저 분 아우디폭스바겐 그룹에서 오래 중책 맞아서 일하신 분이에요. 마냥 부드러운 승차감만 이야기 하시는게 아니죠.
@electrichicken
@electrichicken 4 күн бұрын
2등!
@Guru007-d5y
@Guru007-d5y 4 күн бұрын
어예 1등
@user-senstive
@user-senstive 3 күн бұрын
대기업 걱정 노노. 구독 취소
@쉬프랑
@쉬프랑 4 күн бұрын
국민들 인식이 어쩔 수 없이 사는 차가 현기니까(돈있으면 독삼사 사니까) 현기도 그걸 아니 대충만들어도 니들이 어쩔껀데~? 다른 대안있어? 라는 무언의 의사표현 인거 같습니다
@im991135
@im991135 3 күн бұрын
아5 페이스리프트 오너입니다. 승차감 매우 만족합니다. 솔직히 제가 타본 차 중에선 최고입니다. 물렁한 승차감으로 욕을 먹다가 독일차처럼 단단해지니 이제는 단단한게 문제다...라는 비판처럼 들리네요.
@sicily0721
@sicily0721 3 күн бұрын
까고 보는거죠^^ 승차감도 다 개인 취향인데.
@흉기차-d3y
@흉기차-d3y 3 күн бұрын
지방대 다니는게 자랑이 아니듯, 아5 오너가 자랑도 아니고 ㅋㅋㅋ조용히 없는듯 살어 ㅋㅋㅋㅋ
@patg971
@patg971 3 күн бұрын
딱딱한거와 탄탄한거와는 다르다고 영상에서 말씀하시는데
@반백-e3s
@반백-e3s 3 күн бұрын
​@@흉기차-d3y지방대면 조용해야하나 ㅋㅋ 지방대인가보군
@꾸준히-f8p
@꾸준히-f8p 2 күн бұрын
@@im991135 저도 아5 페리 오너인데 동감합니다~
@김부희-i2e
@김부희-i2e 3 күн бұрын
벤치마킹해서 데이타가 뒤죽박죽.... 단,한가지라도 지네들 데이터를 수십만번씩 반복해서 데이터를 내야하는데....답답한 기업아 인정안하는 1인중 한명
@GgirlFF
@GgirlFF 3 күн бұрын
혁신이 없음. 중국차처럼 과감한 도전 없음. 테슬라처럼 확실한 신기술 없음. 어중간한 차가 되어가고있어 도태될 듯
@md11park
@md11park 3 күн бұрын
현기차는 국뽕을 조장하여파는 차. 솔직하게 평가하면 현빠가 욕함. 기술보다 원가절감이 월등 앞서가는 차.
@차르-p9i
@차르-p9i 3 күн бұрын
그랑 콜레오스 이후로 현기가 얼마나 원가절감에 진심인가 다 드러났죠
@psybeenzz
@psybeenzz 4 күн бұрын
현기차는 전기차 때문에 망할 듯.......... 그랜저 전기차는 왜 없을까?
예상과 조금 달랐던 현대 팰리세이드?! 솔직한 장점 단점 평가
23:21
'전기차값이 떨어진다' - 2025년 트렌드
15:30
나윤석 RAH Factor (Stefan RAH)
Рет қаралды 10 М.
Mom Hack for Cooking Solo with a Little One! 🍳👶
00:15
5-Minute Crafts HOUSE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So Cute 🥰 who is better?
00:15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Chain Game Strong ⛓️
00:21
Anwar Jibawi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Что-что Мурсдей говорит? 💭 #симбочка #симба #мурсдей
00:19
[보도특집 다큐] 현대와 폭스바겐 (2025.01.23/울산MBC)
46:26
기아 EV9 굿바이 시승기...눈물 머금고 떠나보냅니다
28:48
김한용의 MOCAR
Рет қаралды 174 М.
내 사랑을 친구 오빠에게 주다 [EP.36]
8:50
오도씨(ODOSSI)
Рет қаралды 63 М.
업자들도 매입 거부한다는, 푸조를 27만km 타보니
17:17
모트라인 MOTline
Рет қаралды 208 М.
Mom Hack for Cooking Solo with a Little One! 🍳👶
00:15
5-Minute Crafts HOUSE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