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저기 계시는 염 박사님은 이 영상을 찍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서 진행중이던 연구나 사업스케쥴을 쥐어짜 시간을 내셨을 겁니다 ㅠㅠ 석사로 있으면서 이런 외부스케쥴 하나 치고 들어오면 스트레스 엄청 났었는데.. 눈물이 앞을 가리네요 ㅠㅠㅠㅠㅠㅠ 염 박사님 고생하셨습니다
어휴 썸네일 보고 어린애들이 무턱대고 따라.하면 어쩌지.... 했는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른들도 못따라하겠닼ㅋㅋㅋ
@money-v7r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맞춤법파괴자-q1x4 жыл бұрын
저도 가능하면 조금 만들어서 먹어보려했는데.... 염산을 어케구하지?... 과학실에서 가지고튀어야하나...ㅠㅠ
@morobosi_mob4 жыл бұрын
@@맞춤법파괴자-q1x 진심은 아니시죠.?
@zid_tv4 жыл бұрын
@@유트리-w1o 45초전 ㅋㅋ
@김민규-s5n4 жыл бұрын
@@맞춤법파괴자-q1x 어짜피 과학실에 있는건 묽은염삼이라 못 만듦
@yyongdal4 жыл бұрын
영상 늦게 올려서 죄송해요~~~
@이한울-t1n4 жыл бұрын
ㅇㅇ ㅇㅈ
@로로고고-o5i4 жыл бұрын
4등
@김규진-t2e4 жыл бұрын
네~~
@Haengbok-yee4 жыл бұрын
저희가 더 감사합니다
@이한울-t1n4 жыл бұрын
@진민준 불편러 예상 댓: 괜차나요=> 괜찮아요.
@라리쿵뇌절하는채널4 жыл бұрын
제목 잘못보고 50년된 타이레놀을 어떻게 구했지 생각했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태준-x6u4 жыл бұрын
사람은 다똑같나봐욬ㅋㅋㅋㅋㅋㅋㅋㅋ
@송민희-r8t4 жыл бұрын
@@chapssari-handle 양아치라는줄 ㅋ
@_EIEI_OI4 жыл бұрын
찐이다.라고 해야하나...
@BEAN_SPROUTS4 жыл бұрын
저도ㅋㅋㅋㄱ
@user-mo5qm6eq4w4 жыл бұрын
@@_EIEI_OI ㄴ
@dessinscookingtime76314 жыл бұрын
7:03 빨간가면과의 명분을 획득하셨습니다 😂😂😂
@박정후-h6t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으아아아아베리이이이3 жыл бұрын
곧 있으면 벌레를 먹게 될 유튜버님.....벌레야 미안해...
@NursePark4 жыл бұрын
약간 프로불편러 같긴 한데 nausea 는 현기증이 아니라 오심 입니다...구역감 정도로 생각하면 되겠네요
@aa25344 жыл бұрын
이건 불편한게 아니라 제대로 짚고 가야할 부분이 맞죠
@shin98414 жыл бұрын
@짬뽕 머쩌라고요
@Handirll-e2c4 жыл бұрын
@짬뽕 알아두라고
@임현우-o4m4 жыл бұрын
@짬뽕 으찌라구요
@ggamilove4 жыл бұрын
그냥 Dizziness 랑 nausea 순서를 바꿔 말한것 같은데.. 프로불편러 맞으시네여
@crufus4 жыл бұрын
저 과정 중에 있는 한 과정 한 과정들을 밝혀내기 위해 얼마나 많은 화학자들이 공밀레종을 바쳤을지 보면서 내내 광광 울었다..
@kottackji4 жыл бұрын
울지망ㅜ
@yuchan0634 жыл бұрын
아마 수백년전의 연금술사들의 뻘짓들 덕분이였을것같네요. 화학이 연금술사들이 셀수도 없이 많은 화학 반응을 해서 기록을 남겼기 때문에 발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과제멈춰-s6g4 жыл бұрын
@@yuchan063 저 반응매커니즘 말씀하시는것 같네요. 유기화학에서 우리가 배우는 수많은 반응 매커니즘 하나하나.. 배울땐 수십개를 한방에 배워서 뭐가뭐였는지 헷갈리고 외우기급급하지만 실제로 저거 하나 밝히는데엔 엄청난 노력이 들어갑니다. 분자들이 반응하는 모습을 직접 볼수가 없기때문에 매커니즘 가설을 세우고 수많은 실험으로 검증하고.. 이걸 맞아떨어질때까지 계속 반복하는거거든요 ㅠㅠ
진짜ㅋㅋㅋ 쓴 약을 으깨서 이것저것 넣고 끓이고 하니까 단맛이 난다니...ㄹㅇ과학은 볼 수록 대단한듯
@PRND20044 жыл бұрын
화학은 정말 신기하죠 재밌기도 하구요ㅎㅎ
@어마무시한햄찌4 жыл бұрын
@@PRND2004 재미는....
@thisisanacount4 жыл бұрын
@@PRND2004 재미는... 화1은 선비죠
@비둘기-u5i4 жыл бұрын
일반화학 재밌죠ㅋㅋ 어라.. 어째서 눈물이
@PRND20044 жыл бұрын
@@thisisanacount 아 화1 이라서 그런걸까요ㅋㅋㅋ
@디티디티-q9k4 жыл бұрын
누가 화학을 보고 이해의 학문이라고 했죠? 화학은, 그중에서도 유기화학은 99%의 암기와 1%의 응용력으로 이루어집니다... (지나가던 화학과(순수과학))
@이태경-w5k2b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화학이 싫어
@Ungnyam4 жыл бұрын
랩에서 비커에다 라면 끓여먹는다는데 실화입니까..?
@김동현-q5c9n4 жыл бұрын
@@Ungnyam 그냥 컵라면먹어요
@디티디티-q9k4 жыл бұрын
@@Ungnyam 그냥 컵라면 먹고... 비커에 끓여먹으라고 해도 안먹어요 세척 잘됐다고 해도 찜찜
@478674 жыл бұрын
유기화학은 그림책 외우는 과목이죠. 이 그림은 몇퍼센트로 그림1이 되고 같은. 책부터 그림(분자구조라고 하긴 하는데)이 80프로던가
@jisulee96114 жыл бұрын
재밌어요! 합성연구원이라 지나가다 보고 아주 유쾌하게 봤습니다! 전공주제다 보니 어려울수도 있을 주제를 이렇게 흥미롭게 풀어주셔서 좋습니다! 허나 실제로 드셔서 너무 깜짝 놀랬어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연구소에서 저희끼리 내가 갑자기 죽으면 내가 만진 시약중 하나다 하는데..ㅋㅋㅋ 대단하세여👍🏻
@filmfx73793 жыл бұрын
아니 그런농담을 웃으시면서 하시면 어떡해욬ㅋㅋㅋㅋㅋ
@공일-z2f2 жыл бұрын
@ᄋᄉᄋ 말하지않아도알아요 농담이아니면 왜웃져??
@5hr1rnp2 жыл бұрын
@@공일-z2f 웃퍼서
@꿈이네-y9p2 жыл бұрын
@@user-gy7dx8qx3n 그럼 농담이겠지
@MonkeyMonktheBillionaire2 жыл бұрын
농담이 아니지만 웃는 이유. 피하지 못하니 즐기는거겠죠ㅋㅋㅋ
@댓주워담이4 жыл бұрын
둘신 : 20~40g 정도 먹으면 현기증남 아세트아미노펜: 500mg치 두통약 두통약 몇십알 먹으면 머리아파서 죽는다는게 학교의 점심
@june-tc3eh4 жыл бұрын
웬만한 약 모두 몇십알 이상 먹으면 죽는다는건 학교의 점심 반찬
@T_ee12344 жыл бұрын
@@june-tc3eh ㅋㄱㅋ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제구당-i6f4 жыл бұрын
AAP(아세트 아미노펜)6g 이상 한꺼번에 먹으면 급성간염으로 사망할 가능성 있어요. 일반적으로 파는 타이레놀은 500mg 이랑 650mg 325mg 이세가지정도 있는데 650은 이중구조로 일단 밖에 325가 녹아서 효과를내고 안쪽에 있는 325는 코팅된상태로 나중에 장에서 녹아 효과를 내는 구조입니다. 650이 타이레놀 이알 이라고 서방정이라고 적힌건데 절대 씹어드심안됩니다. 여튼 몇십알먹으면 간이 녹아 걍 죽습니다. 사람마다 다르긴한데 미국에서 6그람먹고 급성간염으로 죽은사람이 꽤 있었습니다.
@layzbooi4 жыл бұрын
약하고 독은 사실 똑같음. 원리랑 성분이 작용이 거의 똑같음. 용량이 독과 약을 가를 뿐.. 소금도 많이 먹으면 죽음. 산소도 많이 마시면 죽음. 독도 잘쓰면 약이 됨
타이레놀이던 다른 약이던 비슷하지만, 보통 약 성분 하나만 있는 상태로는 잘 뭉치지 않아 고체 알약을 만들기 쉽지 않기 때문에 녹말을 첨가하여 같이 고형화해줍니다. 그래서 처음에 빻고 나서 에탄올에 녹여줄때 한번 걸러줘서 녹말을 제거해주는 게 좋을겁니다.
@정인지-v2b4 жыл бұрын
아 그래서 아이오딘을 넣었을 때 색이 변한 거 일 수도 있겠네요 (아니면 말고요)
@BUZZ-hu6xz4 жыл бұрын
부형제
@helloworld063 жыл бұрын
@@정인지-v2b 아 그런가??
@과거선비2 жыл бұрын
@@정인지-v2b 맞아유 아이오딘이 용액속 녹말을 검출함
@바두기-i3h4 жыл бұрын
단맛 나는 건 하나도 안넣은거 같은데 최종적으로 엄청난 단맛이 나다니 신기하네요.. 그림으로 보면 뭔가 모양만 맞추면 쓴맛이 단맛되는듯이 보여서 더 신기하구요 ㅎㅎ
@bluecouple4 жыл бұрын
ㅡ,.ㅡ 화학적 변화라 ;;;
@바두기-i3h4 жыл бұрын
@@bluecouple 그렇겠죠 ㅎㅎ
@moonie21544 жыл бұрын
저게 단맛이 난다는걸 맨 처음 발견한 사람이 더 신기하다..
@비디올로지3 жыл бұрын
???: 괜찮아 안뒤져~!
@피곤한2008년생3 жыл бұрын
@@비디올로지 R.I.P
@아크-k1x3 жыл бұрын
@@피곤한2008년생 R.I.P 아님? ㅋㅋ
@주현우-o4q3 жыл бұрын
@사과 드립인가....?
@두류동곽두팔3 жыл бұрын
@@주현우-o4q 훈련병 짬찌인가봄
@KazooMovie4 жыл бұрын
단맛나는 염산오줌숯가루 타이레놀 먹방ㅋㅋㅋ 준비 시간이 좀 오래걸렸네요ㅎㅎ
@이근환-y7k4 жыл бұрын
???:명분이 생겼다 아입니까~ 명.분.이 ???:자ㅏㅏㅏ오늘은 유튜브 최고의 과학 먹방유튜버와 금지된 인공감미료로 (하늘)소고기먹방~~
@sacheonbungeo10004 жыл бұрын
보일락 말락~ 알~락!
@훈후니-z4c4 жыл бұрын
우마형
@존경합니다-p9p4 жыл бұрын
아이고~~용달님~~우야꼬~
@카페인중독-v4c4 жыл бұрын
앙♥ 우마형이와서 용달님을 쵹쵹하게 만들어줬으면 하나의 우붕이로써 정말 큰 행복인데
@BLACKPINK_OfficiaI4 жыл бұрын
금지된 매운맛 기대하겠습니다
@handlebroken8tintruck4 жыл бұрын
와 유기화학 실험과정이라니.. 미쳣다.. 행님 이런거 두세개만 더해주세요 ㅠㅠ
@유수현-r9k4 жыл бұрын
용달이형 궁금한거여 맛중에 매운 맛은 맛이 아니라 고통 느끼는거라고 배웠는데 그럼 진통제 먹고 매운거 먹으면 안매울까 궁금해여
@jangji4194 жыл бұрын
오 이거다
@제구당-i6f4 жыл бұрын
진통제도 일반적인거는 크게 효과를 못볼거에요 거의 정신을 놓게 하는 마약성 진통제라면 모룰까 ㅎ
@고은-o6w4 жыл бұрын
반대아닐까요 미치도록매운걸먹고 진통제를 경구투약보단 주사제로 ㅋㅋ
@윤원식-t7t4 жыл бұрын
일단 올려어
@begin2gain4 жыл бұрын
남자들은 알꺼야 사정지연제 일명 칙칙이라고...그게 국소마취제가 들어간단말야. 도포한 부위에 일정시간 자극을 전달하는 신경의 활성을 일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신체 일부분의 감각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거야. 그래서 도포한후에 일정시간 후 씻어줘야하는데 어렸을때 객기로 더 오래해보겠다고 안씻고했다가 내 고래도 아무 감각을 못느끼고 여자친구도 입이 마취되서 일정시간 감각을 못느낀적이 있었지. 그 때 고추먹어보라고 해볼걸 그걸 생각못했네.
@Tadpole_wasborn11174 жыл бұрын
차례로 메스꺼움, 어지럼증, 관상동맥질환,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에요. 별거 아니긴 한데 그냥 신경쓰여서 던지고 갑니다 ㅇㅅㅇ!
@김경민-w8p9f4 жыл бұрын
7:02 명분이 생겼다...
@규정-t5o4 жыл бұрын
???:굳데이 유툽
@so_oh64 жыл бұрын
X...
@nonomu69174 жыл бұрын
UMA...
@Patrick-xs5xm4 жыл бұрын
ㅇㅈㅇㅈ
@반달곰-l8s4 жыл бұрын
그 생물체를 따라하다니.... 평범한인간이 아니구만 ㅋㅋㅋㅋ
@Lsjun_reo4 жыл бұрын
요리를 하려면 화학을 잘 해야 하는군요 요즘 학교에서 중화 적정 배우는데 실험하는 게 진짜 요리하는 느낌 ㄹㅇ 식초 속 아세트산 함량 계산하고 있고 ㅋㅋ
@itchung4 жыл бұрын
따지고 보면 미각도 화학적 자극이니까 그런거같네요 ㅎㅎ
@김경무-d4b4 жыл бұрын
화학 개 싫어
@숙소리뷰4 жыл бұрын
고2구만 ㅋㅋ
@박태수-n1w4 жыл бұрын
요리는 응용화학
@jin21544 жыл бұрын
분자요리는 ㅎ...
@힘내라-v4h4 жыл бұрын
형 그래서 고기에 타이레놀을 섞어서 먹는 영상을 올리겠다고? 화이팅이야 형
@hyunbaekim30774 жыл бұрын
???클릭해주셔서감사합니다 오늘은 돌신을 과다 섭취해 사망한 용돌이 공달(가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ooplwkj4 жыл бұрын
왓더??????
@hcj36324 жыл бұрын
@@hyunbaekim3077 그건 좀...
@mom35974 жыл бұрын
@@hyunbaekim3077 ㅋㅋㅋㅋㅋㅋㅋㅋ
@Perfect_774 жыл бұрын
@@hyunbaekim3077 고인으로 만들어 버리네
@aeterna60124 жыл бұрын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따라하기도 힘들지만, 실험에 사용되는 시약들의 순도라든지 초자에 잔류한 용매 등등 파악하기 힘든 불순물의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으니 당연히 함부로 먹어서는 안됩니다...
간이 손상될수 있습니다 코코넛 오일풀링 해주세요 배 드세요 다른음식을 잠시 중단 과일식사 해주세요 머리 아플때 오일풀링 중요한듯 합니다
@라마-n9u3 жыл бұрын
@@백미옥-q1w 타이레놀 한알 먹는다고 간이 손상되지 않습니다
@adj89683 жыл бұрын
@@백미옥-q1w 잘못된 상식 공유하지마세요 그 공유된지식으로 니m2가 뒤질 수 있습니다 타이레놀 한번에 다여섯개 먹지 않는 이상 간에 문제 없습니다^^
@모두의상식4 жыл бұрын
2:03 이 페니티딘을 "소변"으로부터 추출한 유레아를 넣어서 반응을 시키면 마침내 돌신이 되는 겁니다 ㅋㅋㅋㅋㅋㅋ 먹어보겠습니다 와 약간 처음 먹어보는 단맛이 나는데요? ㅋㅋㅋㅋ 왠지 웃김
@김태호-f7y6k4 жыл бұрын
유레아가 또 소변에서 극미량만 추출할 수 있는 그런건줄 알았는데 찾아보니까 그냥 요소더라구요 ㅋㅋㅋㅋㅋㅋㅋ
@김자운4 жыл бұрын
자동차에 넣는 그 요소수 생각하면 쉬움 쉬
@BLACKPINK_OfficiaI4 жыл бұрын
"대변"에서 나온 커피콩으로 아메리카노 만드는 사람도 있는데 ㅋㅋ
@모스티마-r7b4 жыл бұрын
"대변"에서 나온 돌로 맥반석 해먹는 사람도 있는데 ㅋㅋㅋ
@체이스-f6b4 жыл бұрын
@@BLACKPINK_OfficiaI 우마리카노?
@김민-e1m9x4 жыл бұрын
용달님 우마님하고 콜라보를 결정하셨다니 큰 결심 하신 거 같습니다. 다음 영상 유해조수 특집 기대하겠습니다!
@신민철-t5g4 жыл бұрын
뭘 끊어요...?
@김민-e1m9x4 жыл бұрын
@@신민철-t5g 헐 오타 ㅋㅋㅋㅋ
@jssy25784 жыл бұрын
명분이생겼다 아입니까
@libong45334 жыл бұрын
7:00 ?!?!?! 빨강미친형을 소환하는 춤을 추셨군요~ 이제 우마형님과의 콜라보를 기대해보면 되는건가요????? ㅎㅎㅎㅎ 기대하고있을께요~~~~~~~~~~
@감자전-l6l4 жыл бұрын
명분이....생겼다
@kpibq4 жыл бұрын
??? : 명분이!!! 명분이 생겼다 아닙니까!?!?!
@hhhh1234pp4 жыл бұрын
명분
@돌핸썸2 жыл бұрын
역시 화학을 코팅과 함께 뒤늦은 나이에도 배우고있는 보람이 있을듯 역시 공식대로하면 만들어지는구나 상당히 쉽게 이해가 되네요 이것뿐 아니라 일상적인거부터 금지된가까지 공식은 차고 넘치는데 원료물질들만 구하면 뭐든 만들어봐야겠네요 공식 만드신분들 최고
@황재훈-y3m4 жыл бұрын
7:11 그는 '명분'이 생겼습니다....
@유재은-z8t4 жыл бұрын
공돌이 용달님 진짜 이런 실험 영상 곰아워요ㅎㅎㅎ 반응 분석도 해주시고 아마이드 결합을 짤라낸다는 둥 설명을 자세하게 해주신 것 같은데 진짜 화학연과 협업해서 더 많은 실험영상 꾸준히 올려쥬셨으면 좋겠네요ㅎㅎㅎ 나중에 팬미팅 할 때 둘신 화학합성 감미료 쪼꼼만 먹게 해주세요ㅋㅋㅋ 화학자를 꿈꾸는 고3으로써 진짜 감사드립니다👏🏻👏🏻👏🏻👏🏻👏🏻공돌이 용달님 화이팅~!!🔥🔥🔥
@박지연-r7v4 жыл бұрын
곰아가모임? 고마아님?
@-0-7174 жыл бұрын
@@박지연-r7v 할 짓 참~ 없다 그치?
@KORSystem4 жыл бұрын
@@박지연-r7v 모가 모임? 뭐 아님?
@박지연-r7v4 жыл бұрын
@@-0-717 아...
@박지연-r7v4 жыл бұрын
@@-0-717 잼민인뎅...
@정쥬4 жыл бұрын
진짜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런걸 생각하고 찍으시는게 너무 대단한거같아요. 글구 3:04 이게 처음 시작한 양이고 6:57 이게 끝날때 양인데 화학반응에서 수득률이 얼마나 중요한지가 이렇게 실감이되네요
@fuyutsukizi63904 жыл бұрын
실제 공정상 저렇게 하면 타산도 안남습니다 타이레놀이라는 약품에서 변환추출하는거라 공정에 최종 수율이 저정도면 나쁘지 않게 나온거지만요 이미 오래전에 판매금지된 제품이라 실 공정으로 대량생산하면 쇠고랑찰겁니다
@kimstorm4 жыл бұрын
약 부형제가 대부분이라 그렇죠 뭐..ㅎㅎ
@tbear62804 жыл бұрын
7:10 뭐지?명분을 주고싶은것인가?
@yu.s3384 жыл бұрын
용달님...도망쳐요...
@thogii4 жыл бұрын
너~ 돌신 거머리가 먹고싶구나~
@서은수-y9w4 жыл бұрын
@@thogii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ㅅㅂ
@58774tguuyf4 жыл бұрын
7:10 곧 타이레놀직화구이 같은거 먹겠네요..
@user-lo3mp7hr9x3 жыл бұрын
화학과인데 내가 실험할땐 ㅈㄴ스트레스받고 몇시간 반응 나올때까지 기다려야되서 지루한데 영상으로보니 개꿀잼이네
@김자운4 жыл бұрын
감기약으로 마약 제조한 뉴스기사 생각난다
@user-gv9tb4bm5d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ikeea324 жыл бұрын
ㅋㅋㄱㅋㅋ
@부산댁-s2m4 жыл бұрын
대단하네ㅋㅋㅋㅋㅋㅋ
@Han_s_h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 화학 천재들 개 많음
@jeongminjong4 жыл бұрын
슈도에페드린으로 메탐페타민(필로폰)을 만드는 것은 유기화학 교과서에서 살짝 언급될 만큼 화학반응 중에선 꽤 쉬운 축에 속합니다. 미국에선 그래서 슈도에페드린이 들어간 감기약들은 구매자명부를 작성한다고 해요.
@신찬우-t6b4 жыл бұрын
화학 실험 엄청 좋아하는데 앞으로도 이런거 많이해주세요 엄청 재밌고 흥미롭네요 ㅋㅋㅋㅋㅋ
@user-cx5pu6yl1h4 жыл бұрын
박사님 흥미 느끼시고 맛보신후 평가하실때 진정한 과학자 같았네요.
@beauty69904 жыл бұрын
공돌이 용달 진짜 과학적 호기심과 관심을 가질수있게해서 넘 좋은 채널!!!
@Saebyeok_E4 жыл бұрын
3:03 타이레놀은 권장량 이상 먹으면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colorfulstring4 жыл бұрын
저정도 양이면 간이고 나발이고 이전에 급성 신부전으로 급사하겠는데요
@Saebyeok_E4 жыл бұрын
@@colorfulstring ㄹㅇ ㅋㅋ
@맫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술이랑 먹으면안되죵
@울고질라4 жыл бұрын
@@colorfulstring 안 죽어요~
@해빔쏘TV4 жыл бұрын
7:02 ??:굿데이 유튭 우맙니다. 캬~또 우리 공돌이 님께서 제 인트로도 써주시고 예?!! 제 유행어도 써주시고 예?!! 제 인지도까지 챙겨주시니 이거뭐~ 제게 명분을 만들어 주셨다아입니까! 에~?맹분이!! 조만간 한번 연락드리겠습니다. 둘신만 챙겨오이소 맹분이!!!!
영상 잼있게 봤어요~ 물에 타서 설탕과 비교해서 어떤게 더 단지 이야기 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ㅎㅎ 설탕에 250배.. 1g 녹인거랑 설탕 250g 녹인거랑 같은지.. ㅎㅎ 잼있게 봤습니다~
@twentywoods877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궁금해서 질문 하나 남겨요. 타이레놀정500mg 은 1정의 기준질량이 약 615mg ,주성분 아세트아미노펜은 약 500mg 함유되어있잖아요. 약 115mg 은 전호화전분이나 분말셀룰로오스 같은 부형제들로 이루어져있는데 이걸 정제 없이 그냥 빻아서 사용해도 문제가 되지 않나요? 그리고 타이레놀정500mg 을 30정(1T=615mg) 사용하셨는데 왜 타이레놀1500mg이 되는건가요? 어렵네용
@텅빔속의충만함4 жыл бұрын
되돌려서 아세트아미노펜으로 만들수 있나요? 사카린 공장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둘신을 아세트아미노펜으로 만들면 큰 돈이 될텐데... ㅎ
과학이라곤 1도 모르는 국제관계학 학생인데 너무 재밌게 봤어요 ㅋㅋㅋ 뭔가 이 실험? 하는것만 봐도 흥미로워서😙 무슨 말씀 하시는지는 당연히 하나도 못 알아들었구요...^^
@casebycase3 жыл бұрын
2:44 타이레놀은 한알에 500mg, 세박스 다 뜯었으면 한박스 10개 기준으로 15,000mg 일꺼같아요 지나가던 간호사입니다.
@soominwoo40203 жыл бұрын
저거 다먹음 응급실 가겠어요 ㅋㅋㅋ 하루 정량은 4000mg (4g) 이하 입니다 그보다 더 드시면 간에 치명적인 독이 될 수 있음니다 지나가던 약대생입니다
@seungbumwoo88214 жыл бұрын
설령 따라하고 싶어도 따라할 장비도 실력도 없으니 화학식은 패쓰하고 시식장면만 봤네요. 진짜 처음 맛보는 포근한 단맛이란 표현에 무지 궁금한 맛이긴 하네요. 살아생전 맛보지 못한 맛을 아쉬워해야 하다니..커흑 ㅜㅜ
@YS-i4l7n4 жыл бұрын
형ㅋㅋㅋ 이제 우마님 영상에 등장해야되는데 각오는 됬죸ㅋㅋ
@양갈레우스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명분이 생겼다 이 아입니까 명분이!
@수수b3 жыл бұрын
아나ㅋㅋㅋㅋㅋ 진짜 먹을 때 250배라니 대체 무슨 맛일까 궁금하다...하면서도 인상이 안펴지는 저 정상인가요..?
@mummumtoto2 жыл бұрын
더 간단한 방법 있습니다. 타이레놀에 첨가하는 물질로 처음에 에탄올말고 설탕을 넣으면 바로 달아집니다...넝담
@김태홍-h6n8f4 жыл бұрын
5:31 만드는 과정에서 오줌이들어가면 만들고 안먹것다
@BLACKPINK_OfficiaI4 жыл бұрын
빨간마스크는 본인의 "대변"에서 나온 커피콩으로...
@최지우-v1p4 жыл бұрын
7:02 명분이 생겨버렸다 ...
@이름-i2f5t4 жыл бұрын
궁금하니까 걍 타이래놀 씹어먹어봐야지 후기 알려줌
@이름-i2f5t4 жыл бұрын
@@황정민-j7i 아 후기 까먹었다 후기: 1존나쓰다 2존나쓰다 3뒤지게쓰다
@수류탄-n7h4 жыл бұрын
혀:살려줘 제발 뇌: ㅅ발 뱉어 뱉으라고
@n1y._.044 жыл бұрын
@@수류탄-n7h 진짜 너무 재밌다
@수류탄-n7h4 жыл бұрын
@송영수 헐 내 이름 어캐 알아써?
@초승달-x2g4 жыл бұрын
@@수류탄-n7h 아니자너
@pla-32423 жыл бұрын
아스파탐도 미친듯이 먹어재끼면 양치하고 나서도 단맛이 안 사라지더군요
@100엄복동4 жыл бұрын
원래는 그냥 신기한 먹방 유튜버였는데 이제는 목숨걸고 먹방하는 유튜버가 되버렸네ㅠ
@3eby7974 жыл бұрын
00:00시작 과 10:00 끝
@신-w2p4 жыл бұрын
와 수쿠랄로스 250배? 수쿠랄로스도 감미도가 엄청 높은걸로 아는데.. 그나저나 인공감미료는 의외로 사카린이 제일 안전해보임. 오랫동안 검증되었고
@careybrian86464 жыл бұрын
이러다 명분이 생겨 끌려감 ㅋㅋ
@rickenbacker6604 жыл бұрын
간단히 얘기하면 산염기 반응을 통해 타이레놀의 페놀기를 이온화시켜 준뒤 친핵성 치환 반응으로 에틸기를 달아주고(Williamson Ether Synthesis), 진한 염산을 이용해 아마이드기를 염기로 작용하게 하여 공명구조에 의한 이중결합성을 줄여주어 좋은 이탈기로 만들어준 뒤, 염산으로 인해 발생한 하이드로늄 이온에 의해 아실 치환반응을 해서 아세틸기를 제거해줬네요(Amide Hydrolysis). 그 후 요소를 아세트산과 반응시켜 질소를 염기로 작용하게 하여 좋은 이탈기로 만들어준 후, 아세트산 수용액의 물로 공격하여 카밤산이라는 반응성 좋은 중간 물질을 만들어준 뒤, 파라 페네티딘 분자의 아민기를 친핵체로 이용하여 카밤산에 아실 치환반응을 진행하여 최종 합성물을 만들어냈습니다(Neucleophilic Acyl Substitution).
@qwertyuiop13579-h4 жыл бұрын
잘난 척하고 싶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했는데 지식 딸려서 그대로 읊네
@rickenbacker6604 жыл бұрын
@@qwertyuiop13579-h 너 영상 건너뛰면서 봤지
@aa25344 жыл бұрын
@@qwertyuiop13579-h 에휴 좀 그렇게 살지마라
@뇌피셜튜브4 жыл бұрын
감미로 만드는 일부 과정이 급속으로 콩간장 만드는 방법이랑 일치하네요..콩을 양재물에 넣다 염산으로 중화하면 콩간장이되고 진통제를 양재물과 염산에 담그는 비슷한 과정을 진행시키면 감미료가 나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