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대패 설명회 - 실전편
30:23
서양대패 덧날 셋업
14:11
Жыл бұрын
Sharpening a hand plane for beginners
13:47
How to make a side table
14:44
2 жыл бұрын
Пікірлер
@IIIlIlllll
@IIIlIlllll Сағат бұрын
척관법이나 야드파운드법이 실생활 등에서는 훨씬 유용한 면이 있기는 하나, 정확한 계측이 요구되는 현대 사회에서는 엄밀하고 계산이 유리한 si단위가 훨씬 유용해져서 실생활과 거시적인 환경 간의 간극이 커진 듯 하네요.
@18google18seki
@18google18seki 8 сағат бұрын
만악의 근원 잉궈, 쭝궈
@seungwoohong7986
@seungwoohong7986 13 сағат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Johann-e5o
@Johann-e5o 13 сағат бұрын
아주 깔끔하게 정리해 주시네요! 👍💕
@Cute96-j6z
@Cute96-j6z 20 сағат бұрын
정말 좋은 정보
@napaguy-x3c
@napaguy-x3c Күн бұрын
디월트, 밀워키는 어느정도인가요??중복구매를 좋아하지 않아서 고민입니다..
@kindnessboy
@kindnessboy 3 күн бұрын
잘 갈린 대패날 일때 마지막 장면처럼 대패밥 나오려면 몇미리 정도 날을 빼면 되나요?
@mokumoku_
@mokumoku_ 3 күн бұрын
매우 조금만 돌출시키기 때문에 몇 mm인지를 따지는게 큰 의미가 없을듯 합니다. 저 영상 찍을때 얼마였는지는 측정하지 않았지만 대략 대패몸통으로부터 0.05mm 정도 돌출 시키지 않았을까 합니다.
@방울캠핑스토리
@방울캠핑스토리 4 күн бұрын
엄청 무겁네요.. 그만큼 정밀거공이 가능 할 것 같슨다. 하지만.. 지하에 쏘스탑을 옮길려면 많이 힘들겠죠? ㅜㅜ
@소확행수제kor84
@소확행수제kor84 5 күн бұрын
나름 잘 분석 하셨네요~ 천연석에서 다른 번수 즉 4000번급에서 2000번급이 나온다던지 철가루나 그 외 물질이 나오기도 하여 인조숯돌이 개발이 나온 것으로 알아요. 인조숯돌로 인해 번수로 거칠기를 조절해 등급을 나누지만 확실히 나누기는 힘들죠. jis에는 인치 내 얼마나 들어이나 보지만, 그 %가 되느냐에 따라 방수가 어디에 가까우냐 다르기도 하죠. 그리고 연마제 입자의 경도도 중요합니다. 입자가 탈락되느냐도 사포는 있겠지만 탈락되지 않은 경우 분쇄되어 곱게 연마되어 버리기도 합니다. 연마제 입도가 400번이지만, 탈락되고 분쇄가 되어 버리면 400번의 연마가 되지 않고 광이 나아버리는 사포도 있지요. 하여 사포는 믿기 힘들고요. 숯돌은 분쇄력이 어떠하냐에 그 번수에 남기는 메가 얼마나 남느냐도 사포에 비해 확실히 다르지요. 하여 사포던 숯돌이던 입자의 불순물, 입도의 고른 분포, 입자의 경도에 따른 분쇄 타입 이 세가지는 따져봐야 한다 생각합니다.
@kimttol
@kimttol 7 күн бұрын
저 거무죽죽한 목재 수종이 뭐에요?
@mokumoku_
@mokumoku_ 7 күн бұрын
@@kimttol 영상에 나온 거무죽죽한 목재는 월넛 입니다
@홍성용-e2x
@홍성용-e2x 7 күн бұрын
❤❤❤❤❤❤❤
@HughBKChoi
@HughBKChoi 9 күн бұрын
영미 단위계가 10진수 이었다면 미터법은 아직도 없엇을지도 모릅니다. 단순합니다. 10진수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ㅈㄹ인겁니다. 수재 석학들이 모여있다는 NASA가 미터법 쓰는것만 봐도 답 나옵니다.(우주선 한번 날려먹고 앗차!! 한거죠) 10진수는 사칙 연산이 쉬우니까요.
@만사오케이-l4l
@만사오케이-l4l 10 күн бұрын
본드떡친도마! 이쁘게 할려고 조가조각 붙임8ㅕㄴ 뭐하냐 친환경본드? 개뿔!!!!!!!!!!
@하늘새-y9p
@하늘새-y9p 11 күн бұрын
우리도 소목 대목으로 나뉘어 있는데?
@왼손은거들먹
@왼손은거들먹 11 күн бұрын
쩌...쩐다!
@friedrichbahk5675
@friedrichbahk5675 13 күн бұрын
솔직히 한국 목공이 20년 15년 했다는 거 치고 솔직히 근거 없고 실험 없고 연구 결과 없고 영어 자료 한 번 안찾아 보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긴 합니다. 목공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 가면, 진짜 완성품 개같이 날림으로 했는데 납품기간을 5일 더 당겼다고 좀 심각할 정도로 대충 마감해서 보냈는데.... 5일 차이로 마감을 이렇게 한다는 게 좀 납득이 안갈 정도로 심했습니다... 오일 피니쉬를 하는데 5일로 납품기한이 늘었으면 이야기해서 중합오일로 바꾸면 해결될 문제 아닌가요? 그걸 [락카] 라고 박힌 락커 하나 사와서 대충 칠해서 칠도 불균형한 상태 그거로 납품이랍시고 보냈는데 클레임 안걸리는게 다행이란 생각마저 들었습니다. 그리고 그걸 소비자 탓하며 소비자를 기만하는 글을 써도 지지를 받더군요. 참로고 찻잎 그림 그린 커뮤니티 맞습니다. 심지어 이런 커뮤니티 들을 보면 가장 심각한게, 옹이가 있는 목재가 좋은 목재라며, 옹이가 나무의 참멋이라는 등. 말도 안되는 헛소리를 하며 저가 목재 사용을 합리화 합니다. 옹이가 있는게 참멋일 순 있습니다만 좋은 목재는 아니며, 쉽게 갈라지고 거기에 벌레가 끼거나 먼지나 이물질 따위가 끼어서 목재가 썪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를 해야하고 이 탓에 몰드도 만드는 등 번거로운 작업이 많은데 이런 말을 할 수 있다는 게 참 대단하더군요...... 목조 주택 마감 상태들 보면 한숨만 나옵니다. 저는 캐나다랑 미국에서 거주하면서 단 한번도 옹이가 있는 목재를 사용하고 그것을 합리화 하고 장려하려는 목수들과 목공방을 본 적이 없습니다. 있어도 spalted wood에 에폭시와 각종 impurities 섞어 강도와 상태 변형에 듀랄리티를 준 상태로 가공을 시작하는데 그런 것도 없이 이런 말을 한다는 게 대단하더군요. 객관적인 이론이나 수치도 없이 이상한 정신론을 들먹이면서 정신 승리하며, 발전 없이 본인만의 감과 지론을 믿는 사람은 장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friedrichbahk5675
@friedrichbahk5675 14 күн бұрын
인치가 핸드스킬에서 레이시오 잡을 때 정말 편한데 가장 편한게 기하학적인 비율을 나누기 너무 편함.
@friedrichbahk5675
@friedrichbahk5675 14 күн бұрын
편광상태가 쓸만한 가시광 레이저를 하나 구매하셔서, 레이저 빔 크기의 절반 정도 로 날을 빗겨 맞추세요. (어두운방에서) 날 평이 안맞거나, burr가 남아있거나, 연마각이 안맞아서 새그가 블레이드에 있다거나 하면 회절 무늬 형태가 고르지 않습니다. 어딘가가 튀어나오거나 들어가거나 대각선이거나 등등. 날을 구체적으로 육안으로 확인하기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버니어 캘리퍼 저랑 같은 거 쓰시네요. 뭔가 기분 좋음.
@mokumoku_
@mokumoku_ 14 күн бұрын
@@friedrichbahk5675 와 이거 해봐야겠네요. 여태까지 눈 아팠는데 감사합니다
@OhZini
@OhZini 14 күн бұрын
베리타쓰~ 많이 탔으~~
@alexkim3794
@alexkim3794 17 күн бұрын
무니가만은건 scraper plane 혹은 cabinet scraper 쓴는개 좋슴니다
@robinjhk
@robinjhk 17 күн бұрын
이미 처음입문을 샤프톤으로함 그냥 날려버릴 400방 같은 건 싼걸로 하고 천방부터는 샤프톤 사용
@훈제고기-h4e
@훈제고기-h4e 18 күн бұрын
숫돌마스터 감사합니다
@friedrichbahk5675
@friedrichbahk5675 19 күн бұрын
그 진리 형님 하나 사려고 이 악물다가 1470usd인거 보고 접었던게 생각나네요. 치즐에 대해서도 다뤘으면 좋겠습니다. 치즐이나 대패질 할 때, 물을 뿌려서 결오름이 있는 상태에서 진행한다는 이야기도 봤는데 솔직히 한국어로 된 자료들을 믿기가 어려운게 연구 기반의 이야기가 딱히.... 없어요....
@mokumoku_
@mokumoku_ 19 күн бұрын
@@friedrichbahk5675 1번 사시려 하셨나요?
@friedrichbahk5675
@friedrichbahk5675 19 күн бұрын
아니 어쩐지 3m 3천번의 슬러리로는 광택 좋게 잘 나는데 일본 어디 업체꺼 5천번으로 비벼도 광택이 뒤지게 안나던데 그래서 그랬군요.... 아니 그릿넘버가 유닛이 아니었다는게 어이가 없는데요 ㅋㅋㅋㅋㅋ 슬러리의 입자 크기 pv가 중요하다는게 핵심 맞네요. 다이아몬드 스톤은 쓰지마세요 그라인딩 툴페싱이 남습니다.
@LoveLearnDream
@LoveLearnDream 19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직장인인데 목공을 해보고싶어서 자격증을 공부해볼려고 합니다. 목공에 관련된 자격증 추천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mokumoku_
@mokumoku_ 19 күн бұрын
@@LoveLearnDream 안녕하세요 저는 그냥 미국에서 취미로 목공하고 있는 직장인이라서 한국의 목공관련 자격증에 대해선 그리 잘 알질 못합니다. 저또한 목공관련 자격증이 전혀없고요. 한국에 가구제작기능사 자격증이 있다는건 알고있지만 제 개인적인 의견으론 그거 없다고 가구를 못만드는게 아니기때문에 그리 의미있는 자격증은 아니라고 봅니다. 게다가 시험내용이 현대의 목공방식과는 많이 동떨어진 내용이 많기에 딱히 목공인의 역량을 평가하기도 부적합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목공을 해보고 싶다는건 무언가를 만들고 싶다는 열망일테고 제 개인적인 의견으론 자격증에 매달리는것보단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일의 목공예를 하는 공방을 찾아서 자격증이 아닌 목공 자체를 배우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으론 그깟 자격증보단 공들여 만든 작품 하나가 자신의 실력을 증명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fj5258
@fj5258 19 күн бұрын
나 가지고 놀려고 연예인했니? 윤아?
@김이경-t7e
@김이경-t7e 20 күн бұрын
역쉬~~!! 모쿠모쿠님의 설명과 영상은 차원이 다름니다....최고예요!!!...좋은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드려요!!
@포도대장-h1u
@포도대장-h1u 21 күн бұрын
저도 해 봐야겠습니다. 높이조절 작업대. 공구걸이 선반 좋네요!!!
@포도대장-h1u
@포도대장-h1u 21 күн бұрын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only-one
@only-one 23 күн бұрын
오호 굉장히 도움이 됩니다.
@김철기-p2w
@김철기-p2w 25 күн бұрын
명쾌한 설명입니다❤❤❤❤❤
@clkndfkl
@clkndfkl 26 күн бұрын
와 멋있다
@손광식-i4b
@손광식-i4b 28 күн бұрын
공방은 수작업이라 비싸다 쫏까는소리 반대로 돈있음 기계좋은거사면 빨리하지
@손광식-i4b
@손광식-i4b 28 күн бұрын
아직 영상보기전인데 고작 30만원 싸다고 하는 말인지 졸라비싼데
@heewonyang9240
@heewonyang9240 29 күн бұрын
멋집니다. 따라하고싶네요.
@ozneykang6000
@ozneykang6000 29 күн бұрын
영상보다가 깜짝 놀랐네요. 언급하신 쑤니르채널 운영자가 운영하는 학원주말반에서 책상 하나 완성했었네요. 한 5년전쯤. 그때 쑤니르채널 홍보하면서 시청 부탁하시길래 지금도 그 채널 구독자입니다.
@Weekeeniki
@Weekeeniki Ай бұрын
23 7/16 인치 나무를 한번의 커팅으로 반으로 나누려면 몇인치로 나누면 될까? 10초 안에 암산으로 대략적인 값이 나오나요? 대분수를 쓰는 인치는 연산이 들어가면 메트릭에 비해 거의 바보수준으로 효율이 나락가는 거 같은데요?
@mokumoku_
@mokumoku_ Ай бұрын
@@Weekeeniki 그게 어려운것 같지만 또 자주하다보면 어렵지 않더라고요. 자연수가 홀수인 대분수를 반 나누는 경우는 분수계산을 (분모+분자)/(분모×2) 로 하면 바로 나옵니다. 말씀하신 경우는 (7+16)/(16×2)=23/32가 간단한 암산으로도 바로나옵니다. 따라서 답은 11 23/32인치 입니다. 반으로 나누기는 대부분의 경우 10초 안에 암산으로 가능합니다. 3737mm를 반으로 나누는것보다 결코 어렵다 생각하지 않습니다. 대분수의 자연수부분이 짝수인 경우에는 더 쉽습니다. (분자)/(분모×2) 입니다.
@Weekeeniki
@Weekeeniki Ай бұрын
@ 직관적이지 않은 계산식이네요. 익숙해져야 하고. 나누기 한번을 위해 곱하기와 덧셈등 추가적인 연산이 이루어지고. 그게 효율성의 문제를 말하는 것이겠죠. 그래서 일반 수퍼용 계산기로는 계산도 검산도 괴롭고. 그리고 결과 23/32는 눈금이 1/16인 자로는 또 어떻게 맞춰야 하며… 분모가 다른 두 길이를 합치거나 뺄때 곱하고 더하고 빼고 등등등 이 모든 번거로움과 숙련도를 요구하는 단위체계. 암튼 저도 인치에 익숙해지려고 하는데 사칙연산 효율에 아주 취약하다는 느낌은 지울수가 없네요. 미국이 쓰니깐 어쩔수없이 쓴다는 힘의 논리가 느껴지기도 하고요. 암튼 간단한 계산식 감사합니다.
@mokumoku_
@mokumoku_ Ай бұрын
@@Weekeeniki 23/32 인치는 1/16인치자로 못맞춥니다. 1mm 단위 자로 소숫점 mm단위를 못맞추는것과 같습니다.
@Weekeeniki
@Weekeeniki Ай бұрын
@@mokumoku_ 하지만 우리는 1.4mm는 1과 2사이에 있다는 것을 계산없이 바로 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23/32는 1/16 단위 자의 어느 위치일까요? 일단 분모를 16으로 만드는 계산을 하고… 이 추가적인 연산 자체가 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거죠.
@mokumoku_
@mokumoku_ Ай бұрын
@@Weekeeniki 23/32는 3/4에서 아주 조금 작은 숫자입니다. 때문에 3/4눈금과 바로 옆 눈금 사이를 찾으려 하긴 할것입니다. 저는 인치자를 쓸때 그렇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기종-b9h
@기종-b9h Ай бұрын
거기 쓰는 본드는 먹어도되나요?
@mokumoku_
@mokumoku_ Ай бұрын
현대 약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파라켈수스는 이런 말을 하였습니다. "모든 것은 독이며 독이 없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용량만이 독이 없는 것을 정한다."  즉 얼마나 먹게되는지가 중요합니다. 물조차 대량을 먹게되면 사람에게 위독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엔드그레인 도마 제작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FDA 에서 음식물과 접촉하는데 무해하다는 인증을 받은 제품이며 일반적으로 칼질하며 나오는 양의 접착제는 걱정할만큼의 독성이 없다 생각합니다. 실제 어떤 엔드그레인 도마 제작자는 굳은 접착제를 직접 먹는걸 영상으로 올리기도 했습니다.
@hyoonki
@hyoonki Ай бұрын
사족임. 밀리랑 인치도 통일을 못시키는데 이건뭐 소리도 못내는 사람에게 노래부르란 소리임. 마이크로 인치면 어쩔
@PieCream-s6r
@PieCream-s6r Ай бұрын
개인작으로 전문가 아니면 이름 있는 브랜드 1000번 때면 충분 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일본제품이라고 전부 일본에서 만들지 않은 경우가 많죠 중국이 싸구려 제품 많이 만들기도 하지만 반대로 납품도 많이 하죠 물론 비싼 중국제에도 똥이 나오긴 하는데 그돈씨라서 다른국적 제품 썻는데 알고보니 중국생산제품도 많죠 명품인데 알고 보니 밑창만 .프랑스 이탈리에서 끼우고 명품 다는경우더 많아서
@bklee5529
@bklee5529 Ай бұрын
0.005, 0.01mm 차이를 얘기하시는데, 당신의 작업이 그렇게 정밀한지 궁금합니다. ㅎ 당신이 작업할때 퀄리티 컨트롤 오차범위를 어느 정도로 설정하고 작업하는지요? ㅎ 현실 속에서의 유용한 정보를 부탁합니다.
@mokumoku_
@mokumoku_ Ай бұрын
​@@bklee5529 영상 속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제가 사용하는 단위는 인치 입니다. 그 수치에서 25배 정도 곱하시면 됩니다. 0.01인치 = 0.25mm 입니다. 일반적으로 제가 작업하는건 0.1mm 정도의 오차를 맞추는걸 목표로 하는 편입니다. 짜맞춤을 할때나 집성을 할때 0.1mm이상의 틈새는 가까이 보면 육안으로 보이는데 이걸 제가 싫어합니다. 기계셋업같은 경우는 가능하다면 그 보다 더 정밀하게 세팅하려 하고있습니다. 기계의 오차가 몇가지씩 쌓이면 무시할수 없는정도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사용자의 안전에 위험을 줍니다. 그리고 기계세팅은 한번해두면 적어도 1년정도는 다시해둘 필요가 없으니 한번할때 최대한 정밀하게 하려는 편입니다. 그게 뭐 잘못되었나요?
@Hgo-f1w
@Hgo-f1w Ай бұрын
영상보고 바로 칼구매후 바로 사용해봤습니다. 진짜 영상처럼 딱맞아 떨어지니 가구만들때마다 기부니가 매우좋습니다 ㅎㅎ
@제이힐링공간
@제이힐링공간 Ай бұрын
안티 킥백 폴 안전커버 살려는데 도와주세요 어디서 사야되는지?
@Kkk56-x1g
@Kkk56-x1g Ай бұрын
설명너무 감사해요 저는 디월트 7942을 쓰는데 설매 정품을 쓰는데 유격이 너무 심해서 안좋은데 여기에 좋은 재품이있나요 알여주세요?
@dreamofblueturtle
@dreamofblueturtle Ай бұрын
물론 태생적 한계란게 있기는 한데 저도 스킬 직소 쓰다가 디월트 334 써보니까 신세계 입니다. 1단 놓고 돌리면 절단면 정말 깔끔하게 잘려요. 손 충격도 부드럽게 바뀌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