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pening a hand plane for beginners

  Рет қаралды 41,908

Mokumoku 모쿠모쿠 취미목공

Mokumoku 모쿠모쿠 취미목공

2 жыл бұрын

Music Info:
Hall of the Mountain King by Kevin MacLeod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license. creativecommons.org/licenses/...
Brittle Rille - Reunited by Kevin MacLeod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license. creativecommons.org/licenses/...
Covert Affair - Film Noire by Kevin MacLeod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license. creativecommons.org/licenses/...

Пікірлер: 94
@andersonh2944
@andersonh2944 Жыл бұрын
모쿠모쿠님.. 영상 너무 잘보고있습니다. 매번 감사한마음으로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suktan78
@suktan78 11 ай бұрын
사놓고도 못 쓰던 때가 야속했다 완전 공감입니다 최고의 영상 잘봤어요
@huedesign7654
@huedesign7654 2 жыл бұрын
그동안 고민했던 부분인데 정말 감사합니다.
@whiteyul
@whiteyul 2 жыл бұрын
항상 응원합니다. 모쿠님 목소리도 멋있네요♡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음... 글쌔요...
@_namwoocarving
@_namwoocarving 7 ай бұрын
마침 고민중이던 거였는데 감사합니다ㅜㅜ
@user-iu6bi4hc7h
@user-iu6bi4hc7h 2 жыл бұрын
저도 하나 갖고 있는데 정말 이쁘긴 이뻐요. 마감도 정말 잘되어있고...축하드립니다.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자동차 살때보다 더 기쁘네요
@chefryu5053
@chefryu5053 Жыл бұрын
인의 흑막 숯돌은 한국 일식요리사들이 많이 쓰는 숯돌입니다. 외에도 여러가지 있는만 저도 써본 숯돌중에서 가격대비해서 가장 결과물이 좋았습니다. 타 숯돌들보다 숲돌이 잘 줄어들지도 않았습니다. 늘 재밋게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JAN_BEER
@JAN_BEER 2 жыл бұрын
제가 대패는 모르고 커팅날,가위날등은 개발해 봐서 조금아는데 칼날은 날의 재질이 제일중요하고 연마각도가 다음으로 중요합니다. 각도에 따라 수명이 많이 좌우됩니다. 대패가 예쁘네요~~!
@jmbae3840
@jmbae3840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
@user-is2vj5kj9i
@user-is2vj5kj9i Жыл бұрын
모쿠님 영상 몇개 봤는데. 설명이 정확해서 좋아요. 아마도 공대 다니신 듯...
@mokumoku_
@mokumoku_ Жыл бұрын
공대 다닌거 맞습니다
@kurrrkim8167
@kurrrkim8167 2 жыл бұрын
고수들의 장황하고 황당한 설명보다 간결한 모쿠모쿠님의 영상이 백배 낫습니다...대패.. 나만 어려운줄알았는데.. 모쿠모쿠님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과찬이십니다. 사실 고수들도 대패 어려운데 쉬운척 하는건 아닐까? 라는 생각을 종종합니다.
@gaffel589
@gaffel589 Жыл бұрын
많이 배웠습니다 이 영상에서 배운대로 다시 한번 갈아봐야겠네요 고맙습니다
@user-oe6cj6nm7n
@user-oe6cj6nm7n Жыл бұрын
우왕 굳 도움많이됐어요 엄두가안났었는데 열심히해볼게요~ 끌가는영상도 있나요? 끌가는 영상도 부탁합니다~
@mokumoku_
@mokumoku_ Жыл бұрын
끌 가는 영상은 아직 만들지 못했습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연마하시면 되는데, 뒷면 연마할때 철자로 받치는 방식에 대해서는 끌에 경우 해도된다, 안해도 된다에 대해서 논란이 조금 있습니다. 정확한 평면 기준을 잡기 원하신다면 그 방법은 쓰시지 않는걸 추천하지만, 그냥 편하게 연마하고 쓰시고 싶으시다면, 연마자체는 훨씬 수월해집니다.
@deangdeanglee
@deangdeanglee Жыл бұрын
오~ 목공 1년 하면서 저도 리닐슨 시리즈 대패를 많이 샀습니다. 레벗 플레인, 숄더 플레인, 넘버 4 등 아주 멋있게 제 서랍에서 잠을 자고 있죠 ^^ 이 영상을 보고 저도 도전 해보겠습니다. DMT 다이아몬드 숫돌의 힘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인의흑막은 가지고 있는 숫돌을 좀 쓰고 나서 사볼께요! 좋은 영상 감사 드립니다.
@user-fg9wx3yh5b
@user-fg9wx3yh5b 2 жыл бұрын
대패연마 영상 중 최고의 영상입니다 어느정도의 연마 정도가 정말 어려운데 정말 초보자 입장에서 영상을 만드셨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사실 제가 초보자라서 초보자의 입장이 아닌 영상은 만들질 못합니다.
@user-zw4ep5gd6r
@user-zw4ep5gd6r Жыл бұрын
평잡이 전용 숫도이 없을때에는 가장거친숫돌의 옆면으로 대용하셔도 되세요
@mesa825
@mesa825 Жыл бұрын
화이팅입니다. 리넬슨 서양대패 꼭 한번 써봐야죠.. 동양대패만 있어서..ㅠ
@mokumoku_
@mokumoku_ Жыл бұрын
리닐슨 정말 좋아요. 예쁘기도 하구 ㅎㅎ
@user-qp2fe4ko2d
@user-qp2fe4ko2d Жыл бұрын
항상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과수원에서 목공하면서 모쿠모쿠님 영상보며 많은 도움 얻고 있습니다. 근데 구독을 이제야 눌렀네요 영상봐온지 1년이 넘었는데 ㅡ,.ㅡ
@mokumoku_
@mokumoku_ Жыл бұрын
사실 저도 제가 많이보는 채널이지만 구독 안눌른 채널 많이 있습니다. 구독을 안누르셔도 그 채널의 영상을 끝까지 여러개 본다면 구독을 누른것 이상의 효과가 있습니다. 아마 굳이 구독을 안누른 상태여도 영상을 여러개 봐주신 상태였으면 계속 유튜브에서 추천영상으로 제 영상이 떴을거에요. 구독을 눌러주시면 구독자 숫자가 늘어나고 제 기분이 조금 좋아질뿐이질 뿐입니다 ㅎㅎ
@user-lj6zt6nu8l
@user-lj6zt6nu8l 2 жыл бұрын
계속 망설이고 있었는데 영상을 보고나니 혼자 해볼수 있겠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b
@user-nm5yf8ww8w
@user-nm5yf8ww8w 2 жыл бұрын
매우 공감이 가는 시행착오를 겪은 나같은 초보한테는 더이상 대패한테 뒷통수를 맞지 않게 해주는 복음같은 콘텐추군요. 최고👍👍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복음이라 할것 까지는 없고, 그냥 방구석 취미목공인의 실험 일기같은거라고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namhur5979
@namhur5979 2 жыл бұрын
축!! 대패날 가는 법 정복~~~!!! 임다.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정복이라 할 수준은 아닌것 같지만, 한 발자국 정도는 내딛은것 같습니다.
@2sansamify
@2sansamify Жыл бұрын
목수일 은 숙련 이다 수많은 시행착오에서 얻어야 한다!
@kjun714
@kjun714 Жыл бұрын
저는 예전에 날을 갈때, 앞면에 그라인더로 둥근 홈을 만든 후에 날을 갈았네요. 그러면 님이 한 이중날처럼 끝부분과 뒷부분만 갈리고 수평을 쉽게 잡을 수 있습니다. 다만 그라인더로 홈을 만드는 기술이 필요하긴 하지만 ㅡㅡ“
@mingshey
@mingshey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다니던 공방에서 끌칼을 갈 때 경사진 면의 중간 부분을 테이블 그라인더로 살짝 둥글게 갈아내고 숫돌에 밀착시켜 갈아서 경사면의 끝부분(과 시작부분) 만 연마되게 하는 방법도 있더군요. 대패날은 안갈아봐서 대패날도 그렇게 해도 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좋은 팁 배워갑니다. 본격적으로 목공을 하는 건 아니라서 작은 스탠리 블럭대패 하나만 샀고, 숫돌을 뭘 살지도 고민중인데 참고가 많이 됐습니다.
@mokumoku_
@mokumoku_ Жыл бұрын
네 그 방법도 있는데, 제가 그라인더가 없어서 못하고 있습니다.
@kjun714
@kjun714 Жыл бұрын
제가 목공할 때 그렇게 대패날을 갈았네요 ㅎㅎㅎ 많이 쓰는 방식입니다.
@user-mo8kb8hb1k
@user-mo8kb8hb1k 7 ай бұрын
영상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끌을 연마할때도 비슷한 원리로 하면 되나요? 예를들어 이중각을 만드는것 같은 방법을 똑같이 적용해도 되나요?? 너무 궁금합니다,
@mokumoku_
@mokumoku_ 7 ай бұрын
앞면은 비슷한 원리로 이중각을 줘도 괜찮습니다. 뒷면의 경우는 절대적인 평면을 유지해야 한다라는 분들도 있고, 철자로 작은 이중각을 줘도 괜찮다는 분들도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대부분 평면을 유지하도록 연마를 하고 있습니다. 평면을 유지하는 이유는 평면을 기준으로 삼아서 깍아야 할때가 있기때문입니다. 그치만 굳이 그럴일이 없다면 굳이 평면을 유지하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하네요.
@user-pd9xe9bg4s
@user-pd9xe9bg4s Жыл бұрын
저는 항상 킹숫돌만 써요. 5만원 부터 시작하는 걸로 기억하는데 괜찮은거 같아요. 그리고 다이아몬드 숫돌은 지금 쓰시는 것보다 쏘비트에 노랑색틀에 양면으로 달여있는 숫돌이 있는데 그게 더 비싸지만 가격대비 3배이상 좋은 거 같아요 공구싸이트도 모아서 소개해주시면 좋을거 같아요
@mokumoku_
@mokumoku_ Жыл бұрын
사실 요즘은 저 다이아몬드 숫돌은 거의 평잡이 용으로만 쓰고 있어요 공구 싸이트는 사실 제가 잘 모릅니다. 미국에 살고 있어서 미국 싸이트에서만 쇼핑하고 있어요.
@user-wj3sw4cg4y
@user-wj3sw4cg4y 2 жыл бұрын
날갈때 한국나무대패로 연습하시면 날잘가실꺼에요
@cis6mod
@cis6mod 2 жыл бұрын
흑막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뒤에 숨어조종하는 존재를 말하는거에요 인의흑막이면 뒤에 숨어 날을 날카롭게 유지시켜주는 존재라는 거죠 흑염룡 같은 네이밍에 동의합니다 전착식 다이아몬드 숫돌은 압력을 많이 가하면 코팅된 입자가 탈락해서 수명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만 유의하면 정말 오래오래 쓸 수 있어요
@manhae99
@manhae99 2 жыл бұрын
저도 인의흑막 사용하고 있는데 낮은 입도에서는 물만 뿌리고 사용해도 되지만 높은 입도에서는 물에 담그라고 설명서에 써있더라고요. 저도 세라믹 숫돌은 굳이 불림 없이 쓰는거라고 배웠는데 설명서에 써있다보니..;; 저도 리닐슨 블럭대패랑 4-1/2을 쓰고 있는데 블럭대패는 사자 마자 처음부터 너무 잘밀리더라고요. 그래서 역시 리닐슨..! 이랬는데 벤치플레인은 바로 안밀리더군요 ㅎㅎ 그래서 이중각만 한 30초만에 갈아서 미니까 바로 휭휭 밀리는데 ㅋㅋ 감동.. 언제나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저도 숫돌 설명서에 그 내용 보긴 봤는데, 그냥 무시하고 써도 잘 되더라고요 ㅎㅎ 리닐슨 블럭 플래인은 써본적 없는데 잘 갈려있나 보군요. 나중에 rabbet plane 하나 생각중입니다.
@manhae99
@manhae99 2 жыл бұрын
@@mokumoku_ 래빗블럭플레인을 정말 레베팅 용도로 샀으나 못쓰고 있습니다. 날이 정말 정교하게 수직으로 갈려야 하는데 그게 힘들더라구요 ㅠ
@dinost
@dinost Жыл бұрын
시원시원한 설명과 솔직함이 참 매력있네요. 연마에 대한 이해가 좀더 필요한거 같습니다. 광택이란거는 물체가 연마되어 정반사가 일어나서 비춰지는 각도의 물체가 볼수있게 되는 상태라는 겁니다. 광택이 나지 않는 경우는 난반사가 일어나서 일정하게 들어오는 빛이 산란되어 흐트러짐으로 흐려지는 문제 때문입니다. 연마에서 이게 뭔소리냐 싶으실수 있는데 연마는 초기에 깊은 골이 생기도록 연마된 상태에 이후 그 깊은 골까지 모든 면이 갈아내는 과정입니다. 끝단만 연마하는 방법은 지그가 없이는 연마하기가 어려운 방법이고 대패날이든 무슨날이든 날면이 길게되어있는건 연마를 위한 면적입니다. 날 전체를 연마하려다 보니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인데 중간부분 배를 잡아주면 날끝과 날 시작지점 두부분을 지지해 연마하는 것입니다. 거친입도에서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작업한 것과 중간단계를 거치지 않은 것과는 날의 사용시간과 밀접한 관계가 됩니다. 이역시 연마와 관련된 이해하면 좋은데 날끝의 정렬?직선도가 순차적으로 했을때 더 잘되기 때문입니다. 호닝가이드 사용을 빨리 버리시고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셔야 연마 숫돌 전체 면적으로 고르게, 넓게 사용하면서 날 연마를 더 쉽고 빠르게 하실 수 있게됩니다. 영상에서 처럼 움직임이 현란한것은 호닝가이드가 있어서 일테고 없이는 한번 한번 움직임이 대단히 중요해 집니다. 귀접이도 쉬워지구요. 쉽고 빠른 지그없이 연마하는 방법은 앞뒤 밀착한 각도 유지하고 전방으로 한번씩 밀기만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이 어느정도 습관화되면 밀때 당길때 같이 연마합니다. 대신 숫돌의 끝에서 끝까지 전체를 고르게 사용해야 합니다. 중간에서만 하게되면 중간이 패이면서 원치않는 귀접이가 되거나 직선도가 깨집니다. 날가는 것과 샌딩하는것 두가지 만큼은 인내가 많이 필요합니다. 두서없이 설명 한거같아 그렇지만 글로 설명이 어려운게 많습니다. 가까이 계시면 얼굴뵙고 알려드리고 싶네요. ㅎㅎ
@mokumoku_
@mokumoku_ Жыл бұрын
조언감사합니다. 제가 사실 배접이 할 그라인더가 없어요 ㅠㅠ 저도 지그를 계속 쓰냐 그냥 손으로만 하느냐를 고민도 하고, 사실 이젠 어느정도 그냥 제 손으로도 이중각 각도를 유지할수 있다곤 생각하는데 지그도 그다지 불편하지 않더라고요. 요즘은 번갈아가면서 지그를 썼다 안썼다 합니다. 이 영상의 경우는 정말 초심자들을 위한 영상이라 여러가지 자세한 내용도 스킵하고 지그를 권하고 있습니다. 제 경우 지그를 쓰기전에 제대로 연마되지 않던게 지그를 쓰고 훨씬 개선되었던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제가 겪던 문제와 비슷한걸 겪고있는 분들이 있다면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영상에서 소개했습니다.
@dinost
@dinost Жыл бұрын
@@mokumoku_ 한가지더 말씀드리면 뒷날의 평면을 깨는 철자 요령방법은 누적되면 문제가 생깁니다. 덧날에 의해 뒷날에 밀착해서 잡아주는데 이 부분은 서양대패나 일식대패나 관계없이 두 날이 만나는 부분에 공간이 생기면 나무가 끼이게 되면서 대패밥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됩니다. 두 날의 홈이 생기지 않으려면 한쪽이 전체평이 좋아야 덧날이 끝선에 일치하더라도, 일치하지 않더라도 관계없이 셋팅이 됩니다. 덧날도 더 예리하게 날이 서야 그 좁은 뒷날면 부분에 공간없이 밀착이 됩니다. 어미날 입장에서는 날끝의 예리함이 쉽게 생겨 좋지만 덧날이 붙는쪽에서는 끝에 바짝 붙기 애매할수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TurtleAzyt
@TurtleAzyt 2 жыл бұрын
구세주.... 제 구세주..... ㅠ 제 스탠리 대패.... 갈아봤는데 날이 다 망가져서... 작업실 한켠 구석 어딘가에 분해된채로 돌아다니는데... 다음에 작업실 가서 뒤져서 찾아야겠네요 ㅠ 한국에 대패 관련 수업을 받아볼 수 있는 곳이 있기는 한데... 직장 스케줄과 맞추기 어려워 가지도 못하고... 이래저래 돈 버리게 된 줄 알았는데... 제가... 잘못 갈고 있었던거네요 ㅠ (근데... 귀접을 하면 뭐가 좋은가요...? 다른 영상들도 보기는 했는데... 저는 차이를 잘 모르겠어서..;;) 날을 다 갈고 몸체에 다시 세팅할 때는 평평한 곳에 놓고 날이 평평한 바닥에 닿게 세팅하면 되는건가요?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또 마침 다음 영상을 서양대패 셋업에 대해서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ㅎㅎ 대패를 날이 바닥에 닿게 놓는거에 대해선 약간의 논란이 있습니다. 괜찮다는 사람도 있고, 옆으로 눕혀놔야 한다는 사람도 있고요. 저는 날을 아주 살짝만 나오게 해놔서 어차피 바닥에 닿아도 날카로운 날이 나무를 살짝 배어서 날에는 실제적인 해가 업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user-zi6vb1hb1i
@user-zi6vb1hb1i 4 ай бұрын
영상에 나온 호닝가이드는 무엇인지요?
@user-bp4nq9bz7y
@user-bp4nq9bz7y 11 ай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다이아숫돌에 뒷날내는것은 (다이아의 부분입자 탈락) + (숫돌평의 운빨) 때문에 비추합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DMT(최고급) 다이아 숫돌도. 평이 완전히 잡혀있는것이 있고. 잡히지 않은것이 있습니다. 대패 뒷날은 한번 잘못내면 대패날을 버릴수 있기 때문에. 숫돌의 평이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그리고 대패날도 쇠인지라. 같은 부위(뒷날은 숫돌에서 움직이는 부위가 한정되어 있는) 특성 때문에 다이아 숫돌의 평 무너짐이 생깁니다. 추천 방법: 평이 잡힌 숫돌에 100 ~ 240방 정도 되는 사포를 대고 갈은후. 물숫돌에 연마합니다. 다이아 숫돌과 다르게 물 숫돌은 평이 무너져도 현무암으로 다시 잡을수 있습니다.
@joe-rd9df
@joe-rd9df Жыл бұрын
자드러슴니다
@nyk2101
@nyk2101 Жыл бұрын
영상감사해요. 지금 취미목공으로 다니는 목공소에서 대팻날/끌 가는거 처음 한번 알려주고 이후 혼자 해보려 하면 계속 핀잔 주고 뭐라 해서 주눅들고있었는데 ㅜㅜㅋㅋ 좋은타이밍에 봤네요
@awesomesteve777
@awesomesteve777 2 жыл бұрын
전동 샤프너가 많아요. 만족할만 하고요.
@hmk3119
@hmk3119 Жыл бұрын
붙이는 사포는 어떻게 구매하나요?
@user-bj6z
@user-bj6z 11 ай бұрын
근데 burr와 광택부터 여러가지 실패요인 분석은 어떻게 알아내신건가요? 스스로 고민하다가 터특한건지 아니면 다른 유투브 영상을 보신건지 아니면 목공선생을통해서?
@mokumoku_
@mokumoku_ 11 ай бұрын
기본적으로 저의 선생님은 유튜브 입니다. 연마 관련 영상만 수십개는 봤다고 자부할수 있을듯 합니다. 특히나 연마방법은 사람들마다 저각각 다른데, 여러가지 방식을 시도해보고, 그 중에 저와 가장 잘 맞는 방법을 채택해 쓰고 있습니다. 이 영상을 만든지 1년이 넘었는데, 지금은 또 조금 다른 방식으로 연마하고 있습니다.
@user-bj6z
@user-bj6z 11 ай бұрын
@@mokumoku_ 따로 오프라인에서 선생님에세 수업을받은적은 없으시다는거죠
@mokumoku_
@mokumoku_ 11 ай бұрын
네 맞습니다
@user-qn6hr7vi7d
@user-qn6hr7vi7d Жыл бұрын
호닝가이드 어디서 구매하나요?
@han002k
@han002k Жыл бұрын
시스템 샤프너로 식칼 가는데 너무 편하더라구요. 혹시 대패도 가능한가요?
@mokumoku_
@mokumoku_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신 시스템 샤프너가 정확히 뭔지는 모르겠지만, 대패연마용으로 쓸수있는 전동 샤프너나 그라인더도 존재합니다. 실제 저도 얼마전에 전동 샤프너를 구입해서 대패날도 갈고 식칼도 갈고있네요
@user-vl5oz8ry7b
@user-vl5oz8ry7b 2 жыл бұрын
대패날 가는각도도 각도인데 숫돌관리가 사용하다보면.... 오목햐지는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네 중간중간에 평을 잡아줘야해요. 저는 다이아몬드 숫돌로 평을 잡습니다.
@wjung3097
@wjung3097 24 күн бұрын
몇년전 베리타스 대패사서 나무 다긁어먹고 처박아두었는데ㅜㅜ 새제품도 날을 갈아야 하는건가요??
@mokumoku_
@mokumoku_ 23 күн бұрын
제가 베리타스 신품을 테스트해봤을때는 그다지 만족스러운 절삭력을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wjung3097
@wjung3097 23 күн бұрын
@@mokumoku_ 그렇군요.. 전 제가 불량품을 뽑았나 했습니다. 몇년째 잠들어있는 녀석 한번 다시 살려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myeongseokkim2813
@myeongseokkim2813 Жыл бұрын
왕초보 질문입니다. 1,000과 12,000번으로 연마하면 대패질 한 후에 목재의 표면은 어느 정도 거칠기 입니까? Sand Paper를 기준으로 비교한다면 어느 정도 일까요? Sand Paper 220, 320, 400, 1000 은 각각 어느 정도의 번호로 연마하면 된다고 생각하시는지요?
@mokumoku_
@mokumoku_ Жыл бұрын
단순한 이론적으론 같은 거칠기가 나와야 합니다. 1,000 grit 숫돌로 연마한 대패를 쓰면 1,000 grit 사포와 같은 결과물이 나와야 합니다. 그렇지만 나무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예를들어 porosity가 높은 오크같은건 아무리 잘 연마를 하더라도 완전 부드럽기란 어렵습니다. 아무리 절삭을 깨끗하게 해도 새로운 구멍들이 노출되기 때문에 한계가 있습니다.
@myeongseokkim2813
@myeongseokkim2813 Жыл бұрын
@@mokumoku_ 오늘 태어나서 처음으로 대패 사용해 봤습니다. 왜 모쿠님이 대패를 좋아하시는 줄 처음으로 이해가 되더군요. 구입한 그대로 연습삼아 연마없이 대패질을 해봤는데, 샌딩하고는 천지차이의 표면이 나오더군요. 연마하는 후에도 시도해 보고싶어지네요.
@mokumoku_
@mokumoku_ Жыл бұрын
@@myeongseokkim2813 축하합니다. 어떤거 사셨는지 물어봐도 될까요?
@myeongseokkim2813
@myeongseokkim2813 Жыл бұрын
@@mokumoku_ 아마존에서 kakiri smoothing plane 구입했습니다. 생각했던것..한국에서 보았던 것보다 약간 작아서 실망. 작아서 연습하기는 좋네요. 서양대패 사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네요. 400/1000 다이아몬드로 날을 갈 때, stone에 물을 뿌려주고 사용하나요. 댓글들 보니까 물 ok, 물 없어도 ok 라고 적혀있어서 어떻게 사용하시는지도 궁금하고, 사용후에 그냥 물로 씻어서 말리면 끝인디도.
@mokumoku_
@mokumoku_ Жыл бұрын
@@myeongseokkim2813 저는 물 뿌리는데, 다 쓰고나서 물기를 잘 닦아줘야 합니다. 안그러면 녹 슬어요.
@wusongyang7751
@wusongyang7751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공구중 VERITAS 사의 대패날갈기 가이드가 있읍니다 칼날의 세팅이 상당히 쉽고 정교하게 만들어졌지요.. 캐나다의 홈쎈터인 LEE VALLEY 라는곳에서 판매됩니다 그리고 칼갈이때 물사포를 사용하셔도 좋읍니다 물사포의 이점은 가격도 싼편이고 숫돌의 평고르기를 해줄필요가 없다는것입니다.... 솟돌은 평고르기가 필수인대 그작업으로 숫돌의 소모가 상상 이상으로 빠르게 진행됩니다.. 아 그리고 베리타의 공구중 좀더 단단한 재질의 대패날도 있읍니다... 화이팅!!! 입니다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네 저도 베리타스 호닝가이드 사보고 싶었는데, 가격때문에 못샀어요. 베리타스 호닝가이드는 캠버 (귀접기)용 가이드도 있어서 한번 써보고 싶네요. 물사포를 이용한건 영상 내용에서도 잠깐 다뤘는데, 결과물은 정말 좋았지만 오래쓸수 없어서 저는 결국 세라믹 숫돌로 바꿨습니다. 베리타스 pm-v11 정말 좋죠 ㅎㅎ 근데 리닐슨에 물려쓰기엔 리닐슨의 자존심이 좀 상할거 같아서 그냥 리닐슨 기본날 쓰고있습니다.
@wusongyang7751
@wusongyang7751 2 жыл бұрын
@@mokumoku_물사포는 자동차 수리(칠할때)할떄 사용하는것으로 말씀하신 필름보다는 싼것으로 기억합니다... 필름은 너무 비싸서 사용할수가 없어요... 그리고 스턴리 대패용으로도 베리타날이 있어요... 리닐슨은... 에효~ 그넘의 가격이.... 리닐슨은 클래식한 면이 있다면 베리타의 대패는 좀더 현대적인 면이 있어서 자주 살펴봅니다만 가격이..... T_T...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wusongyang7751 네 사실 제 스탠리 대패중에 하나는 베리타스 날이 껴져있습니다 ㅎㅎ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wusongyang7751 베리타스가 10월쯤에 factory seconds 이벤트를 하더라고요. 아주 살짝 외관적 하자가 있는 제품을 싸게 푸는건데, 저도 작년에 베리타스 low angle jack plane을 200불정도에 샀었습니다.
@wusongyang7751
@wusongyang7751 2 жыл бұрын
@@mokumoku_ 오래전에 호닝가이드를 샀었는대 그때 세금이 60%가 붙는 바람에 그이후로는 엄두를 못내고 있읍니다... 제가 살고있는곳의 세금이 좀 높은편입니다... 그래서 지금은 그냥 그림의 떡이죠.... 장바구니에 넣다 뺏다를 무한번복하는 중입니다...
@eisssssssss
@eisssssssss Жыл бұрын
burr를 한국어로는 날너미 혹은 거스러미라고 표현합니다.
@THEUNFOGEN
@THEUNFOGEN 2 жыл бұрын
대패나 끌 연마는 취목인 입장에서는 최상으로 하려면 끝이 없다고 해야할까요? 어느선에서 타협을 봐야하더라구요. '이정도면 괜찮네' 정도에서 멈춘게 4000번 정도에서 마무리 거였습니다. 결국엔 rali 대패 사용하면서 도구를 타협(?)하는 걸로 심신의 안정을 찾았습니다.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진짜 거의 지난 2-3주 연마만 파다가 정작 하려던 목공 프로젝트는 시작도 못했습니다.
@pyunghwa
@pyunghwa 2 жыл бұрын
리 닐슨, 베리타스 끌과 대패를 번호별로 수집하고, 날 세우는 그 과정 마저 목공의 한 과정으로 신성하게 받아들인(?) 취목인들도 많으시더라구요. 하지만 천성이 게으르지만 동시에 성질이 급하고.. 그래서 전동공구 의존증이 심한 저로서는 그게 잘 안되더라구요ㅋㅋ 전동 샤프너(ws3000)에 적당히 저렴한 끌과 대패를 쓰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장비병이 리닐슨 대패로 온게 아니고 tormek 그라인더로 오더라구요;;;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저도 사실 tormek 이랑 worksharp 알아봤었습니다. ㅎㅎ 그치만 지금은 출혈이 심해서 참았지만, 얼마나 오래 참을수 있을진 모르겠습니다.
@user-ix2cc6nc5w
@user-ix2cc6nc5w Жыл бұрын
테이블이 흔들리면 아무리잘해도쪽박
@mcs9103
@mcs9103 Жыл бұрын
참고로 버를 우리말로 날넘이라고 합니다.
@polishpusan1741
@polishpusan1741 2 жыл бұрын
동양 대패는 양 모서리를 죽이는데 서양 대패는 그러지 않는 모양이네요
@mokumoku_
@mokumoku_ 2 жыл бұрын
서양대패도 귀접기 합니다. 영상에선 일단 제대로 잘리는 날을 만드는게 목적이라 스킵했습니다. ㅎㅎ 서양대패에서의 귀접기는 camber라고 해요.
대패에 300만원 쓰고난 후에 깨닫은 것들
26:50
Mokumoku 모쿠모쿠 취미목공
Рет қаралды 73 М.
How to set Japanese plane
13:26
한트베르커 HANDWERKER
Рет қаралды 34 М.
WHY IS A CAR MORE EXPENSIVE THAN A GIRL?
00:37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В ДЕТСТВЕ СТРОИШЬ ДОМ ПОД СТОЛОМ
00:17
SIDELNIKOVVV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Pray For Palestine 😢🇵🇸|
00:23
Ak Ultra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Knife Sharpening Stand / DIY Knife Sharpening Jig
16:38
JSK Projects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목공방에서 하는 일들 🛠️
10:02
첸지홈
Рет қаралды 6 М.
대패를 사면 처음에 꼭 해야 할 일
38:41
목공 놀이터 나무와늘보
Рет қаралды 148 М.
서양대패 덧날 셋업
14:11
Mokumoku 모쿠모쿠 취미목공
Рет қаралды 10 М.
Camry rear hub replaced #carpart
0:36
Inayat auto technician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Can you do it?! #kidsfun #kidslearning
0:17
J House jr.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Always be kind to others- sharing is caring ❤️-show love to others #shorts
0:17
Пранк над МАМОЙ
1:01
Ивета Кочконян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ПООСТЕРЕГИСЬ🙊🙊🙊
0:39
Chapitosiki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