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I Make Veteran Videos
8:36
9 ай бұрын
I ate Korean Cow Brains
6:27
10 ай бұрын
Пікірлер
@Hey-go8sx
@Hey-go8sx 8 сағат бұрын
김일두 아저씨가 노래 계속 부르는 줄은 몰랐는데, 우연히 알아가요! Bedankt!!
@user-js9gm7jr2w
@user-js9gm7jr2w 16 сағат бұрын
참전용사 모든분들께 존경과 존중을 바침니다 부모님분들께도 감사를 올립니다
@user-ou2qx4pl3v
@user-ou2qx4pl3v 17 сағат бұрын
할아버님들 덕분에 저희들이 행복하게 잘 살고 있습니다. 할아버지 건강하시고 가족분들 모두 행복한 삶을 사시길 염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nathankim6062
@nathankim6062 23 сағат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전쟁기념관 부분은 가슴이 먹먹하네요..
@bufsabres2007
@bufsabres2007 Күн бұрын
Wow - watched vice and this and you just show so much more insight into the day. Vice unfortunately was alienated during their trip. Thank you for sharing.
@user-yb2qf8hb7f
@user-yb2qf8hb7f Күн бұрын
빠니보틀 내셔널 지오그래픽 버전
@user-vq2zk9fv7x
@user-vq2zk9fv7x Күн бұрын
참전용사분들의 희생에 진심으로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user-vq2zk9fv7x
@user-vq2zk9fv7x Күн бұрын
여러분의 희생에 진심으로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user-vq2zk9fv7x
@user-vq2zk9fv7x Күн бұрын
여러분의 희생에 진심으로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user-kg4ku9fi2y
@user-kg4ku9fi2y 2 күн бұрын
맙소사.
@matthewm586
@matthewm586 2 күн бұрын
음식값이 싸요
@admiral_yi_love
@admiral_yi_love 2 күн бұрын
내 인생 최고의 영웅
@rangmoon2794
@rangmoon2794 2 күн бұрын
저희 외할아버지도 참전용사셨는데... 어렸을 때 용산 전쟁기념관에 외할아버지랑 손 잡고 종종 놀러갔던 기억이 나요. 제가 잘 잊는 편이라 솔직히 초등학교 이전 기억이 많이 없는데 할아버지가 새겨진 이름 앞에서 모자 벗고서 고개 숙여 묵념하시며 인사하시던 모습이 아직 기억이 납니다. 같이 묵념하다 눈 뜨고 할아버지 쳐다보면 여전히 눈 꼭 감으시고 마음으로 많은 말씀을 하시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었거든요. 암 때문에 너무 빨리 돌아가셨고, 이 기억을 상기하는 날도 적어졌지만 영상 보며 그때가 또 한 번 떠올랐어요. 하물며 이국 땅에서... 정말 감사합니다. 감사하다는 말로 부족하지만, 정말 정말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chaneo5877
@chaneo5877 2 күн бұрын
안그래도 지금 서울은 인구도 과밀하고, 집값과 생활비가 비쌉니다. 이게 다 서울에 너무 많은 인구가 몰려살기 때문입니다. 지금이라도 서울의 인구를 비수도권지역과 지방으로 빼내야 합니다. 계속 서울을 홍보하고 관광오라고 하는건 지금 한국사회의 부작용을 더욱 심화시키는 것입니다
@chaneo5877
@chaneo5877 2 күн бұрын
안그래도 서울은 인구가 너무 많아서 사람들이 살기 힘들고 삶의 질이 바닥입니다. 지금 있는 인구도 어떻게든 서울밖으로 인구를 분산시키고 나라를 균형개발을 해야하는판에 서울을 홍보하고 서울로 더 여행오고 살라고 부추기는건 아닙니다. 지방살리기가 우선입니다. 네덜란드 대사님
@user-vv5ve5db6q
@user-vv5ve5db6q 2 күн бұрын
현실을 알려드릴께요. 3가에 조선옥, 양미옥 주변에 있던 철공소는 다 사라졌습니다. 이제 4가 방향에 있는 것 한줄 남았네요. 거기가 메인이긴 한데 시간 문제겠죠. 말로만 미래유산 타령하지말고 지원하고 지켜주세요. 서울시!
@Jay_Dg
@Jay_Dg 2 күн бұрын
유튜브로 본 사이비종교 마을 사람들이랑 표정 행동에서 느껴지는 위화감과 특유의 기괴한 분위기가 비슷하네 ㅋㅋ
@Jungseongeun
@Jungseongeun 3 күн бұрын
20대때 처음 혼자서 훌쩍 떠난 국내여행지 중 가장 마음에 깊이 남아있는 곳 입니다. 국제음악제도 열리는 곳이며 80년대만 해도 많은 문학인과 예술인이 터를잡고 통영의 아름다움에 취해 작품세계를 공유하고 지평을 넓혀나갔다고 하는데 저도 한번씩 눌러앉아 오래전에 놓았던 붓을 다시 들게끔하는 곳입니다. 최근 가족여행으로 다시 가보니 꿀빵이 꽤 맛있어졌더라구요 ㅋㅋㅋ 아 , 통영의 진짜 보석은 소매물도와 비진도에 있습니다. 저 역시 지극히 주관적이지만 ㅎㅎ 친구와 30대때 일주일 정도 머물렀던 민박집에서의 추억도 참 좋았어요. 보름달 뜬 여름밤이면 작은 민박촌 사람들끼리 두런두런 조개구이 굽는 소리와 파도소리가 잔잔하게 울려퍼지거든요. 진짜 짱박혀서 쉬고싶을때 가끔 생각나는 아름다운 비진도...또 가고싶네요 ㅎㅎ
@seinhan
@seinhan 3 күн бұрын
익숙한 역사와 배우고 싶은 영어를 한번에 접하는 이 느낌이란 :-) 21세기 하멜션교사? ^^ 응원합니다~
@sukholmes1066
@sukholmes1066 4 күн бұрын
I grew up in Korea, but I haven't been to Jeju Island! ( been back to Korea only once in 1981!) When I go back to Korea next time, I'd love to go there and try bike riding along the coast! Sooooo beautiful! Btw, my kids are 1/16th Dutch! Thank you for showing us a beautiful bike ride in Jeju Island! ❤❤❤❤ from N California countryside!
@HendrikjeLange
@HendrikjeLange 4 күн бұрын
That’s not correct. The Sotdae (ducks) do NOT ward off evil spirits. As birds they are messengers of the spirit realm. Warding off evil spirits is the „job“ of those poles with the scary looking faces, whose namejust doesn’t come to my mind
@ShawnMorrissey-ambler
@ShawnMorrissey-ambler Күн бұрын
Hello! I'm happy to say that, yes, along with your point, sotdae indeed are viewed as guardians against evil and misfortune. This is not only recorded and observable in Inwang-san but also in places such as Geumjin-ri, Gangneung. More specifically, in some traditions, sotdae are viewed as being able to ward off japgwi (잡귀), assorted ghosts, who are said to bring harm to the living. This is particularly true in areas of Chungcheongbuk-do where rites to ward off evil that involve sotdae are listed as Important Folklore Assest of Chungcheongbuk-do (충청북도 민속자료). Related, we can also observe sotdae-je (솟대제), rites that acknowledge sotdae as tutelary deities. As totems with water fowl motifs, sotdae are also believed to ward off negative events related to fire. This is observed in susaldae-gosa (수살대고사). With that said, it's important to acknowledge that in some regions, the birds are not viewed as water fowl. Some variations acknowledge the motifs as magpies or crows, or other birds. The poles, or totems, you're referring to are jangseung (장승), and you're right! They also are erected as guardians against evil and misfortune, among other things. In fact, they are often viewed as working in unison with sotdae, appearing in folk rites around the country along with sotdae. There are several sources for this information. The first source is the folk, discussions with people in various regions. Second are folklorists, including Son Chin-tae, Lim Dong-kwan, Park Ho-won, among others. The first point is to remember the statement made at the beginning of the video: folklore often differs from region to region but all traditional view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gree or not, are correct.
@user-pf8pt6kv5l
@user-pf8pt6kv5l 4 күн бұрын
자원이있나 .......인프라가있나........ 국민교육이되어있나 .........인적물적 뭐하나 ..........쓰잘때기라고는 눈씻고찾을래야.....찾을수없는.............대륙끝 한반도 .........자유민주주의 수호를위해.......기꺼이 참해주신......... 여러분이 .......영웅이십니다............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가슴이뭉클하네요.............
@user-fd7qv2yg8m
@user-fd7qv2yg8m 4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lexigone
@lexigone 5 күн бұрын
You are my favorite skin-head, Bro! 😎
@johnko1828
@johnko1828 5 күн бұрын
채널이 되게 좋은 것 같아요 한국에 그리고 특히 서울에 30년을 넘게 살았는데 너무 재밌어서 주말 내내 보네요
@PunkDogCreations
@PunkDogCreations 5 күн бұрын
평택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전쟁기념관이 있다.❤🇿🇦🇰🇷❤
@daell-vv7km
@daell-vv7km 5 күн бұрын
존경합니다.
@user-cl2dk6ps7s
@user-cl2dk6ps7s 5 күн бұрын
세계에참전용사님.국가에서초대해서극진히보답해드려야하는데.국민한사람으로죄송합니다.가족과다시찾아오셔서.너무나감사합니다.머무시는동안.기쁘고좋은추억많이가지시길바랍니다.그리고.돌아가셔서도.건강하시고.행복하시길기원드립니다.❤😊😊.땡큐~~
@user-up5qt6fi5i
@user-up5qt6fi5i 5 күн бұрын
위험하긴 함.. 12년전쯤 교회가다가 골목에서 피흘리고 가는 중국인 인지 조선족인지 봄..
@JasonLee-dk2en
@JasonLee-dk2en 5 күн бұрын
뉴욕에서40년동안 한국전참전 배테란들에게 기부하고있음.
@user-pf8pt6kv5l
@user-pf8pt6kv5l 4 күн бұрын
큰일하시네요...복받으실겁니다
@user-zg1mx5mf7j
@user-zg1mx5mf7j 6 күн бұрын
너무 고맙고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user-zv5hh7xe7z
@user-zv5hh7xe7z 6 күн бұрын
유튜버가 이렇게 방송을 잘 해요. 나는 공영방송 아나운서인 줄 알았습니다. 정말 방송을 잘 하십니다.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6 күн бұрын
일본의 선불교는 영상에서 방문하신 한국의 대한불교 조계종과 같은 부류 (조계사) 선 불교는 중국에서 5세기에 만들어졌으며, 한국으로 넘어왔고,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넘어갔습니다. 한국 불교의 가장 큰 종파인 조계종은, 선불교 입니다. 일본의 선불교와 같습니다. 일본은 1950~60년대에 일본의 선불교를 서구권에 전파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서구권에서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선불교는 대승불교의 한 종파입니다.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6 күн бұрын
ㅋㅋ 데이비드 어르신 너무 재밌으시네요 ㅋㅋㅋㅋ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6 күн бұрын
여러 마을을 돌아다니면 궁금한 점이 생깁니다. 한국 주택의 역사가 궁금하시다면 "한국주택 유전자"라는 책을 추천합니다. 저도 다양한 동네를 산책하며 관찰하는 것을 매우 좋아합니다. 한국주택 유전자 라는 책은 제가 많이 알아보고 찾아낸 책입니다. 제가 가장 아끼는 책 중 하나입니다. 홍릉 부흥주택은 옛날에 국가 주도로 많이 만들었던 주택 입니다. 지금은 찾기 힘들어요. 한국 주택 대한 이해와 공부가 될 것입니다. 지금은 전부..아파트와 빌라뿐이지만... 책으로 기록되어 있어서 다행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6 күн бұрын
유럽은 오래된 건물 보존하지만 동아시아는 오래된 건물 다 밀어버림..
@user-rv3ng9pb3f
@user-rv3ng9pb3f 6 күн бұрын
다 당신들 덕분입니다 한국전쟁때 목숨걸고 대한민국을 지켜주셨잖아요 님들께 감사드립니다.
@tvozilap5672
@tvozilap5672 6 күн бұрын
95년도에 신촌에 하숙집에 살다가 홍대 자취집으로 이사 했던 기억이 떠오르네요. 당시는 지금같은 이사짐센터가 아니여서... 친구의 차에 얼마 안되는 짐을 싣고 일일이 옮겨 이사를 했답니다. 독일(또는 이탈리아)로 유학 가겠다고 부모님에 이야기 했다가 완벽히 거절 당하고, 한동안 부모님과 친척들과 치열한 설득의 전쟁을 했었죠. 그러다 서울서 대학원을 다니는 걸로 부모님과 합의가 됐지요. 대학원도 못가게 하셨으나 몰래 시험을 봤고 합격을 한 상태여서 허락이 된거였죠. 그 시절은 그랬답니다. 여자는 대학 보냈으면 됐지 또는 여자는 고등학교까지 하면 됐다... 좀 깨어있는 부모님도 대학원 공부는 허락을 잘 안하셨죠. 사촌 언니 신혼집도 홍대앞에 있었죠. 형부는 홍대 미술대학 교수였고 저는 산업디자인 전공... 대학원은 건축설계를 해서... 사촌의 집에도 간간히 놀러도 가고.... 가서 조카랑 놀아도 주고... 순전히 자취집의 월세 비용이 홍대앞이 저렴해서 옮겼네요. 당시 홍대앞에는 미대생 의 작업실이 굉장히 많았어요. 집 차고를 작업실로 만들어서 월세 받는 집들도 있었죠 ( 차고였던 곳이라 난방이 전혀 안되는 곳... 저렴했다 ) 데스메탈을 하는 언더그룹도 기억나네요... 바 인데 기분나면 춤도 추는 그런 바도 있었고 (클럽은 아님) 특색있는 바들이 많았고 또 곳곳에 있엇죠. 온갖 미래에 대한 불안함으로 치열했던... 그러나 늘 가슴속엔 꿈으로 가득했던... 내 젊은 날이 ... 이젠 너무 많이 바뀌어 흔적이 남아 있지 않을것 같지만요. ...
@Kim-dy5tz
@Kim-dy5tz 6 күн бұрын
1명도 아니고 200명이 인파에 죽었다.
@user-pr7rm8ri8q
@user-pr7rm8ri8q 6 күн бұрын
참전 용사님들이 있어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습니다. 다시한번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시고 하루하루 행복하세요. 꾸뻑
@user-qf1le7kt3p
@user-qf1le7kt3p 6 күн бұрын
요즘 홍대는 인디 감성과 상관없는곳이 됐죠
@Hey-go8sx
@Hey-go8sx 8 сағат бұрын
니 추억속 감성만 감성이 아니란다
@user-xv9vq4ut2i
@user-xv9vq4ut2i 7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이순신 장군을 영웅이라 생각하고 위인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에는 침략을 막아내는 많은 영웅들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가 한국전 참전용사분들이 한국의 영웅이다. 이분들의 한분한분의 이름을 외우지는 못하더라도 한국 역사에서 한분한분 다 기록 되고 잊혀지지 않길 바란다.
@user-rh9sh8tc9i
@user-rh9sh8tc9i 7 күн бұрын
이 영상에 나온 대치동 아이들은 행복한 유년 시절을 보냈거나 보내고 있는 행복한 인생 승리자들 같네. 저렇게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은 거니까 무엇이든 다 하고 싶은 것들을 이뤄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는거 같음.
@ppp33222
@ppp33222 7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무슨 말로 그 감사함을 다하리오~
@OOO-oc1nh
@OOO-oc1nh 7 күн бұрын
한국여성이 외국생활과 외국남성에 대한 이야기를 할 뿐인데 질투심 심한 한국남자들이 한국여자 잃어버리기 싫어서 마구 달려들어서 욕하네. 채널 주인이랑 외국인들이 뭐라고 생각할까? 유튜브는 댓글 안 읽는 게 평범한 사람들과 여성들의 정신 건강에 좋다.
@blud0t
@blud0t 7 күн бұрын
용산 역 앞은 일제시대 때부터 집창촌이었어요. 기차역 가까운 곳에 집창촌은 20세기 초에 흔하게 조성됐던 형태입니다. 미국도 그렇습니다. 역마차 머무는 곳에, 술마시는 바 있고, 문열고 들어오는 건맨 기억나시죠? 청량리, 부산, 대구, 등등 한국의 대도시도 다 그랬습니다.
@seagull2019
@seagull2019 7 күн бұрын
Fascinating as always. I'm currently reading Mater 2-10 so the train connection was perfect.
@GetoutYoon
@GetoutYoon 7 күн бұрын
1990년대 초반에 미국문화와 홍콩영화에 미쳐있었지 젊은 애들이 무슨 일본문화에 심취했던것 처럼 말하네
@user-cx1ne9gp9s
@user-cx1ne9gp9s 7 күн бұрын
명성황후 시해 가슴 아파요..아주 조직적이고 계획적이고 잔인했죠ㅠ 검색하다 알게됬는데 일본 구시다 신사에 명성황후 시해 칼이 보관되어 있고 귀빈들한테 공개한다나..미친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