ㅋㅋㅋ 너무 직접적으로... 얼굴 출현하는것도 유튜브로써도 부담일수 있는데 컨텐츠는 좋고 얼굴 출현하지 말아달라고 하면 떙큐아닙니까ㅎ 저도 얼굴출현하면 안좋아할까봐 안하고있습니다. 얼굴출현하면 채널 바로 문닫아야될수도 있습니다
@david_cycle12 күн бұрын
@ 맞습니다 ㅎㅎ 오히려 감사하죠 😆 다만 영상 편집을 해보신다면 아시겠지만 메인 영상없이 관련 서브영상만으로 영상을 채우는것도 쉽지는 않답니다 ㅎㅎ 여러모로 험난한 길이네요 😭
@김대현-g6n13 күн бұрын
가격이 문제지요 아래에 이미 나와있지만 카본에 전동구동계를 달고도 가격이 워낙 좋아져서..., 프로펠 어드밴스0이나 1을 보고 있었는데 상대적으로 판타시아 레이다7,9 그리고 요즘 거스토 듀로 같은 제품을 보면 가격차가 너무 나서 굳이 자이언트를? 생각하게 되네요 지금도 자이언트 카본mtb를 타고 있고 메리다 리액토5000을 타고 있지만 자이언트나 메리다나 과거에는 중급에서는 나름 매력적이었는데 가격이 너무 올라서인지, 아님 경쟁사 가격을 낮게 책정해선지 중급메이커는 이도저도 아닌걸로 되어버렸네요
@kmjung266213 күн бұрын
대표적 입문급의 클라리스 구동계 알루로드가 100 언더인데 구동계 가격차이보다도 크게 뛴걸보면 아마도 애어로형태의 알루 프레임을 만드는 원가가 커보입니다. 아마 메이커에서도 많이 만들어 판다기보단 약간 상징성으로 내놓은 모델 같네요. 이미 알루쪽 하이엔드에 대표적인 브랜드가 두어개 있으니까요. 200언저리면 브랜드밸류 포기하면 105에 카본프레임 내놓는 업체도 꽤 되는데... 자이언트같은 세계 1위 업체가 어떤 의미로 이런 모델을 내놓았는지 궁금하네요.
@david_cycle13 күн бұрын
아마도 과거 프로펠slr 을 오마주한 느낌이네요^^; 오히려 입문자분들께서 에어로 프레임에 대한 관심이 더 높은것이 사실인데요 이정도 가격선에서 다양한 선택지와 가성비 모델들이 있는것이 사실이지만 높은 완성도와 퀄리티에 집중한것으로 보입니다 ㅎ 아마도 좀 더 완성도 있는 제품과 브랜드를 중요시 하시는 분들께 관심을 받지 않을까 싶네요.. 귀한 댓글 너무 감사합니다😊
@PAULSANGWOO14 күн бұрын
에어로 타입이 나온 것은 좋은데, 알루인데도 189만원이라면 좀...
@southPrx13 күн бұрын
알레 프레임셋이 190인거 생각하면..
@PAULSANGWOO12 күн бұрын
@@southPrx 아 그정도로 좋은 알루 기술이 들어가서 비싼 건가요? 핸들바도 단면이 원통이고..이래 저래 그냥 에어로는 아닌 것 같기도.. 잘 몰라서~ 비슷한 가격대의 중국(자바,사바) 카본은 등급이 안좋은 거라서 그런가보네요~
@southPrx12 күн бұрын
@@PAULSANGWOO 아 제 말은 타 브랜드 에어로 알류미늄 프레임셋은 190만원인거에 비교해봤을때 189만원에 완차정도면 괜찮은것같다, 라는 말이였어요.
@choe-m1b11 күн бұрын
@@PAULSANGWOO 자바나 사바 보면 프레임이나 포크 등에 T700,800~1000원사까지 쓰고 uci 인증 받았다는데 그렇게 안 좋은지 모르겠네요 프레임 설계력은 메이저가 더 앞 서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dkdikwowow700714 күн бұрын
입문은 100아래로 하시고 손이 너무 작거나 악력이 부족하지 않으시면 림브로 추천드립니다
@david_cycle14 күн бұрын
림브레이크 자전거도 충분히 좋은 성능을 내는데.. 흐름이 디스크로 넘어가다보니 잊혀져 가는것 같아 아쉽네요~ 잘 정비된 자전거라면 림브레이크도 가격대비 충분히 매리트가 있으니 추천합니다^^
@DA_NA_ISO14 күн бұрын
도데체 왜 요즘 로드는 입문급도 죄다 150이 넘어갈까...
@david_cycle14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ㅠ 자전거 가격이 많이 올라 진입 장벽이 높은게 너무 아쉽네요 😢
@choe-m1b14 күн бұрын
@@david_cycle 아뇨 그냥 입문이라고 말하는 분들이 입문 기준을 높게 잡은거 같아요 80~100만원 사이만 해도 정말 충분한데 말이죠. 요즘 자전거 싸게 잘 나온 것들 많아서 105도 90 100쯤이면 타는데요..... 좀 타다 보면 새로 구매하고 싶어져서 160~200 위아래 사고 싶어지면 이중 지출이니 그냥 처음부터 사라는 생각도 이해는 갑니다만..
@대충출판사13 күн бұрын
윗분 말씀이 맞음 자이언트 입문로드 50 80짜리도 있음 여전히
@road-eat0014 күн бұрын
드디어 입문급에서 색깔을 바꾸었습니다. 👏👏👏🚲🚲🚲
@david_cycle14 күн бұрын
👏👏👏👏축하드려요🎉
@Macao_Park14 күн бұрын
입문형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좋아 보여요 ^ ^
@david_cycle14 күн бұрын
😍😍😍
@119sonnet16 күн бұрын
좋아요 한번 눌렀습니다
@david_cycle16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문수산다람쥐17 күн бұрын
기초 자가 정비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데이빗님 감사합니다.^^
@david_cycle17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Macao_Park18 күн бұрын
기초 정보 좋네요 ^^
@david_cycle17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yeobi119 күн бұрын
스램 쓰고 싶은데 왠만하면 105던데 원가가 적게 들어가나봄 스램 배터리방식은 진짜 최고였음
@HwoooJ22 күн бұрын
사장님 영상 잘봤습니다^^ 에잇린 휠셋 관심같고 보고있는데요. 횔셋사용시 단점이나 부족한 부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david_cycle18 күн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제품의 가격에서 나올 수 없는 성능을 만끽하고 있습니다 한가지 단점을 꼽자면 브랜드 인지도가 아닐까 싶네요
@8s30528 күн бұрын
안녕 하세요 데이빗 선생님! 저도 같은 모델로 기변을 고민중인데 데이빗의 키와 인심 정보를 저와 비교해 보고싶은데 혹시 말씀해 주실수 있으실지요..? 샵에서 현재 보유중인 tcr이 S인데 딱 맞는것 같으면서도 제가 주행/피팅 스타일이 안장을 앞으로 쭉 빼고 스템을 일체형 핸들바 38/110 을 쓰고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xs로 가는게 맞는지 사이징이 온니 키와 인심으로만 한다면 몇을 추천할지 궁금합니다 저는 170키에 인심 76 정도 입니다!!
@david_cycle27 күн бұрын
저랑 키 인심이 완전히 동일하시네요😆 저는 xs사이즈가 찰떡같이 잘 맞습니다 ㅎㅎ 핸들바는 36/100사용하고 있어요 참고로 요즘 안장이 앞으로 가는게 유행처럼 지나고 있으나 안장이 앞뒤로 움직이는 것은 페달 메커니즘이 바뀌는 것으로 자전거 사이징을 위해 안장을 앞으로 옴기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좋은 결정하셔서 즐거운 라이딩 되시길 바랄게요=)
@8s30523 күн бұрын
@ 데이빗 선생님 답변 감사합니다! 요새들어 자이언트 사이즈감이 미약하게나마 작아지고 있다고들 하는 이야기를 들어서요. 선생님이나 저나 S사이즈도 사이징에 문제가 되지 않아 보이는데 Xs로 가시게된게 어떤 부분때문인지 알수 있을까요? 실제 다른 샵에서 조견표를 보면서 s를 거의다 추천해서 ㅠㅠ 중요한 문제라 부탁드립니다 ㅜㅎㅎ
@david_cycle23 күн бұрын
@@8s305 신체조건이 사이즈 두가지 사이에 걸친다면 아랫쪽 사이즈를 선택하는게 피팅, 조작성, 퍼포먼스 모두 우위에 있지 않나 싶습니다, 자전거를 오랫동안 타오면서 두가지 사이즈를 모두 타본 경험으로써, 더 나은 경기력과 성능을 뽑기 위한 그간의 고민의 결론이라고 말씀 드리고 싶네요 그러나 이건 저의 견해이지 정답은 아닐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주위의 해당 사이즈를 경험해보시는게 더 정확한 결정에 도움이 되지않을까 싶네요 마지막으로 인심76정도는 xs이 싯포도 더 예쁘게 나옵니다 ㅠㅠ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8s30521 күн бұрын
@ 답변 감사합니다 데이빗선생님 덕분에 S로 주문했다가 xs로 급하게 변경 주문 했습니다 ㅎㅎ 혹시 마지막으로 sl0 완차 기준 케이뎃스 맥스가 달려있는걸로 알고있는데 울트라 50을 쓰시는 이유가 있으실까요?? 개인취향차 이긴 하겠지만.. ㅎㅎ
@linusvp129228 күн бұрын
개념잇으신 분이네요.. 요즘 타이어가 "두껍다"는 엉터리 표현이 많던데 말도 안되는 얘기고, "폭이 넓다"거나 차라리 "굵다"고 해야지요..
@david_cycle28 күн бұрын
친절하신 추가 설명 감사합니다😊😊😊
@김용훈-f8z28 күн бұрын
기계식은 복동식일까요?
@문수산다람쥐29 күн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데이빗사이클님 목소리가 딱 좋습니다. 동계 라이딩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david_cycle28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겨울철 감기 조심 하세요~~
@user-fi4kp3fj6b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다만, 공기압 관련해서 겨울철 슬립때문에 공기압을 평소보다 적게 넣어야 한다는 부분은 일정부분 공감은 되나 제 생각과 조금 다릅니다. 겨울철은 밀도가 낮기에 오히려 평소보다 3~5psi를 더 넣어 주시는게 오히려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MEOW_MEOW_CATАй бұрын
이게 맞죠
@david_cycle28 күн бұрын
의견 너무 감사합니다~~~ 조금 설명을 얹는다면 겨울철 공기밀도가 낮아져서 공기 압력이 조금 떨어지게 되는데요 실내에서 공기를 채우고 출발하신다면 야외에서 압력이 떨어질것을 예상하셔야 할것 같구요 야외에서 채우신다면 적정공기압 내에서 노면 상태나 날씨에 따라 세팅하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드리고 싶은 말씀은 겨울철 불안한 노면들이 있을 수 있으니 안전한 라이딩을 위해서 노면 그립도 생각해보는것이 좋을것 같다는 의견입니다 항상 안전하고 즐거운 라이딩 되세요^^
@user-fi4kp3fj6b27 күн бұрын
논쟁으로 비쳐질까 우려되어 대댓글을 안달려 했는데 ....아마 제 생각에 님 기억에 오류가.... 여러사람이 보는 공간이니 재차 언급할게요.. 겨울철에는 온도가 낮아져 공기 분자들이 서로에게 더 가까워지고 낮은 온도로 인해 공기가 냉각되면 그 밀도는 더욱 낮아지게 됩니다. 냉각된 공기는 더욱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공기압이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이는 적정공기압을 넣고 나와 라이딩을 했는데도 압이 낮아지면서 펑쳐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는 여름철 공기밀도가 높아져 타이어가 주행시 팽창, 파열되는것과는 반대입니다.
@Macao_ParkАй бұрын
오 발열 장갑 좋네요
@david_cycleАй бұрын
매우 추천합니다👍🏻👍🏻👍🏻
@artlee3573Ай бұрын
부럽네요. 전 tcr pro1입니다.. sl은 못갈거 같네요.. 일체형 안장은 뭔가 장점이면서 단점이 될거 같아요. 타면서 살짝 살짝 조정해야 되는데..
@2억만벌자Ай бұрын
TCR의 유일한 단점은 외관이라고 생각함. 슬로핑 조금만 없애줘..
@david_cycleАй бұрын
Tcr의 슬로핑은 수평탑만 존재하던 클래식로드자전거 시장에서 로드 자전거의 패러다임을 바꾼 혁신이기도 합니다^^; 지금은 모두가 따라하는 슬로핑 지오메트리에서 개성을 더해 형태가 다양하게 바뀌는 중이지만 탑튜브 슬로핑이 자전거의 주행성능에 큰영향을 준답니다 ㅎㅎ 하지만 수평 탑튜브에 가까운 자전거들이 예뻐보이는건 사실입니다😆
@푸른산-t1bАй бұрын
그래블 자전거 소개좀 해주시면 감사합니다.
@david_cycleАй бұрын
제 영상중에 그래블 자전거 영상이 있긴한데요 도움이 될만한 내용으로 한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ufobicycleАй бұрын
영상미가 따뜻해서 좋아요!! 구독 좋아요 !! 합니다
@david_cycle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갑시다-w4fАй бұрын
승후니가 그립네요
@david_cycleАй бұрын
ㅠ_ㅠ
@xoxoxo8941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사장님. 경주에서 라이딩하는 라이더입니다. 에딕트 rc 얼티메이트 xs 타고있습니다. 키 169.7 인심 77.8 싱크로스 전용 핸들바, 스램 레드 axs d1 4633-1028, 비욘셋카, zipp 353nsw 달고 6.85kg가 나가더라구요. 구성에 비해 무게가 너무 무거워서 다리모 파츠 등 경량 파츠를 알아봤지만 호환이 안되어 기변을 고려중인대, tcr sl 로우카본 색상, 케이덱스 레이스 구매하여 기존 쓰던 구동계 안장 듀라페달을 달면 6.5kg 언더가 가능할까요? 무게정보가 워낙없어 기변을 고민중입니다.
@david_cycleАй бұрын
sl프레임 중에도 로우카본은 더 가볍지요 ^^ 기존 부품구성에 프레임 핸들바 교환하시면 가능할것으로 보이네요~ tcr의 경우 소소한 경량 서브파티 부품들이 다양하게 있으니 경량에 신경을 쓰신다면 좋은 선택이 될것 같습니다 =)
@xoxoxo8941Ай бұрын
@ 제 라이딩 성향에 부합하는 프레임이 TCR이라 정말많이 고민중입니다. 하차감 포기한지 오래라 스웍에서 스캇으로 넘어왔구요. 성능만 좋으면 됩니다 전 ㅎㅎ
@태백종합Ай бұрын
싸이브레이 안쓰고 스캇에서 저무게로 나옴
@kimbonkАй бұрын
이거 누가 물어봤냐ㅋㅋㅋ
@Melon98363Ай бұрын
무게 ㅎㄷㄷ하네요... 근데 요즘 트랙도 그렇고 기함들 데칼이 왜 얼룩덜룩 무당벌레처럼 나오나요?...
@david_cycleАй бұрын
컬러는 개인적인 취향이 많이 작용하는것 같은데요^^; 아무래도 요즘은 자기개성이 강한 시대이다 보니 컬러감 있는 자전거가 대세인가 봅니다 ^^//
@myong.p1167Ай бұрын
침만 꿀꺽.....돈열심히 모을게요 ㅜ
@seokkim-w9gАй бұрын
자전거가 넘 좋아 보이네요. 역시 명품답습니다. 저는 Tcr AD 1+디스크 울테, 휠은 Slr2 타는 나이 60 자린임다. 앞50-34 뒷11-30으로 설악메디오를 경험으로 25년에는 그란폰도를 도전할 예정임다. 어떻게 하면 208Km를 완주가 가능할까요?
@david_cycleАй бұрын
설악그란폰도 완주를 계획중이신가 보네요^^ 아시다시피 설악은 언덕이 많고 경사도 굉장히 심한편이라 스프라켓 T수를 좀더 높은걸로 준비하시면 좋을것 같고요, 208키로는 갑자기 도전하기에는 매우 장거리에 속하기 때문에 대회전까지 점차적으로 라이딩 횟수와 키로수를 꾸준히 늘리는게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대회를 1,2주 앞두고는 208키로에 준하는 거리를 소화해보는것도 좋을것 같네요~ 시합주에는 점차적으로 훈련량을 줄이며 회복에 신경쓰신다면 충분히 완주가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요!! 장거리는 꾸준한 페이스 조절이 생명인거 아시죠?^^ 25년 설악그란폰도 꼭 완주에 성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bestulsanАй бұрын
조명 신경 많이 쓰셨네요. 박 PD 님~ ^^b
@Macao_ParkАй бұрын
영상이 멋지네요 ^^
@parkshibaАй бұрын
오....... 자전거 사이즈가 어케 되나요
@bestulsanАй бұрын
XS 사이즈라고 합니다 ^^
@david_cycleАй бұрын
@@bestulsan 맞습니다^^//
@Kfklsnsmmdlsbe2 ай бұрын
23이후 프로펠은 멸치 올라운드가 되어버림
@CristianeSimonato3 ай бұрын
정력강해지는 법? 유산소해라 마늘먹어라 이런말 듣지마라 어차피효과없다.... 2일에 한번 스쿼트, 닥터력 훈련기로 꾸준히 훈련하면 게임끝... 이게 진짜 정력이지 내말 한번 들어보면 절대 후회안한다.. 이렇게 꾸준히 훈련하니 이제는 여친이 먼저 달려들정도임... 조루였던 인생선배가 알려주는거니 새겨들으시길..
@bicycle1-j6t3 ай бұрын
전동 구동계는 물 맞으면 고장나나요?
@drill_fiend10974 күн бұрын
그렇긴 한데 기께식도 케이블에 물 들어가면서 녹스며 인덱싱이 나가는것도 있고, 왠만한 비오는거 정도까지는 방수처리가 돼어 있어서 큰문제는 없는듯.
@hsoo.2x_o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스램 배터리는 매일 5키로정도 변속은 하루에 약20번 한다고 가정했을때 몇일정도 배터리가 지속되나요? 또 배터리 충전시간은 몇시간인가요?
@cohiba36724 ай бұрын
새 타이어는 일반 펌프로 거의 안된다고 보면 됩니다. 유튜브 말만 믿고 하다가는 개고생 함
@teahyunkim30294 ай бұрын
Good🎉
@잠깐만여4 ай бұрын
십분 거리 내외의 초 단거리 동네 마실만 어릴적부터 수십년 다녔는데도 자린이라고 불리는 자전거의 세계는 마치 왜구 들이 좋아하는 만화 중에 이세계 장르 같기도 해요. 어쨌든 여기저기 아파지는 나이가 되어 더 늙기 전에 국종을 해보려고 하는데요 제 양쪽 다리의 엔진이 초 단거리에 특화 되어 있다보니 평지에서는 주구장창 가는데-사실 엉덩이가 아파서 오래 못타겠더군요.ㅠ.ㅠ-조금만 오르막이 있으면 끌바하는 것이 습관화 되어 있어서 가능할지 모르겟어요. 그러다 보니까 짐을 최대한 줄이자로 노선을 바꿔 탔는데요. 괜히 할 줄도 모르는 펑크패치까지 챙기지 말고 6일 정도 안 터질꺼다 생각하고 갈까요? 아니면 그래도 펑크패치 정도는 챙겨서 갈까요. 그러면 공구를 또 챙겨야 하는데 제가 갖고 있는 공구 툴은 거의 1kg 될 정도로 묵직하네요.ㅠ.ㅠ 초 단거리에 특화된 대퇴사두와 비복근, 장딴지가 버텨줄지...
@FellipeSanttana4 ай бұрын
정력강해지는 법? 유산소해라 마늘먹어라 이런말 듣지마라 어차피효과없다.. 2일에 한번 스쿼트, 닥터력 훈련기로 꾸준히 훈련하면 게임끝... 이게 진짜 정력이지 내말 한번 들어보면 절대 후회안한다. 이렇게 꾸준히 훈련하니 이제는 여친이 먼저 달려들정도.. 조루였던 인생선배가 알려주는거니 새겨들으시길
@TV-mn5ft5 ай бұрын
디스크 제거하지 않고 눕혀서 작업할시 디스크에 기름분진 기름똥 같은게 미세하게라도 묻게 되어 있습니다 어차피 허브정비 할거면 디스크부터 제거 하고 양쪽 베어링도 세척윤활 해야죠 사실 라쳇세척 보다는 베어링 정비가 허브정비의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