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ет қаралды 18,039
■ 서울, 143
정릉부터 개포동까지 서울의 남과 북을 관통하는 버스, 143번.
143번 버스는 영화 '건축학개론'의 배경인 고즈넉하고 아담한 정릉을 시작으로
강북의 골목골목을 지나 혼잡한 고속터미널에 이어 한강 이남의 번화가까지 다다른다.
서울의 곳곳을 끊임없이 누비는 것이다.
이렇게 60km 이상의 장거리를 오가는 143번 버스에는
하루에만 평균 4만 1017명이 타고 내리기를 거듭한다.
그렇기에 서울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버스로 손꼽힌다.
143번 버스를 타는 사람들, 그들은 어떠한 하루를 보내고 있을까?
버스에서 만난 우연 그리고 그 우연이 교차되어 만들어진 ‘진짜’ 우리들의 이야기를 담는다.
■ 버스 고군분투기
“아니 그런데 왜 저를..?”
-여대생 인터뷰
“그런데 진짜 이상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 같아요.”
-은행원 인터뷰
버스에서 무작정 만나 끝까지 따라간다는 최초의 결심은 각박한 현실 앞에서 흔들린다.
버스 안의 사람들은 자신을 향하는 카메라 렌즈에 경계 어린 시선을 보낸다.
그렇기에 카메라를 든 제작진의 마음 역시 설렘 반 두려움 반이다.
“대단한 용기가 필요하시겠어요.”
-디자이너 인터뷰
버스에서 건네는 말 한 마디에 제작진 또한 함께 울고 웃었다.
흔쾌히 동행하고 미소 지으며 '버스'의 주인공이 되어준 사람들.
각본 없이 흘러가는 예측불허 버스 고군분투기를 전한다.
■ 일상변주곡
버스가 버스 정류장을 지나듯이 누구나 인생의 관문을 거친다.
버스에서 만난 그녀는 앳된 미소를 지닌 30대 초반의 피부관리사였다.
그녀는 10년 전 작은 쪽방에서 시작한 서울살이에 대해 이야기했다.
“워낙 시골에 살다보니까 할 만한 게 없잖아요.
그냥 서울 가서 일해야지라는 막연한 생각이었어요.”
-피부관리사 인터뷰
인생의 첫 관문, ‘독립’ 앞에서 불안과 설렘으로 웃던 소녀는
어느덧 차곡차곡 경력을 쌓고 어엿한 성인이 되어 있었다.
작은 쪽방에서 시작한 막연한 꿈은 구체화되어 분명한 미래를 그린다.
청담동 피부샵을 거쳐 그녀가 향하는 미래의 정류장은 어디에 있을까?
김제로 가기 위해 고속터미널로 향하는 50대 남성.
그는 버스에 타는 순간부터 강렬하게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범상치 않은 외모와 넘치는 끼를 소유한 그는 젊은 시절부터 액션배우를 꿈꿨다.
“레디 액션! 소리만 들으면
가슴이 이글거리는 화산 같이 폭발하기 바로 직전이지.”
-50대 남성 인터뷰
지금도 그의 심장은 지나간 꿈을 그리며 여전히 뛰고 있다.
현실과 타협한 그의 발길이 닿는 오늘의 종착점은 어디일까?
버스에서 꾸벅꾸벅 조는 아저씨는 전화기를 놓칠 새라 손에 꼭 쥐고 있다.
그는 한 때 모두가 알아주는 회사를 다녔다.
“기가 막힌 일이 있었어요.
택시를 불렀는데 택시 기사가 직장의 선배님이었어요.”
-대리운전기사 인터뷰
그러나 IMF는 그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꾸었다.
그는 이제 밤길을 헤매며 대리운전을 찾는 전화 한 통에 애가 탄다.
버스가 끊긴 시간, 그는 지나간 어제를 그리워하고 오늘을 버티며 버스를 기다린다.
버스를 타는 사람들의 종착점에는 삶의 방향이 새겨져있다.
미래에 대해 불안해하고 현실과 타협하며 과거를 그리워하면서도 오늘을 살고 있는 것이다.
버스 노선을 따라 흐르는 사람들의 일상변주곡!
다큐멘터리 '버스'가 지금 막을 올린다.
※ 이 영상은 2016년 4월 18일 방영된 [버스 - 서울 143]입니다.
#버스 #143번버스 #사람이야기
✔KBS는 다큐입니다 | KBS 공식 유튜브 채널 [KBS 다큐]
🔔구독👍좋아요➡️ / @kbsdocumentary
📝문의: kbsdoculife@gmail.com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Unauthorized reproduction, redistribution, and use (including AI training) are prohibit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을 금지합니다.
∙방송 시점에 따라 현 상황과 내용이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비방, 악성 댓글은 출연자 보호를 위해 운영자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