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번 버스에서 만난 우연 그리고 그 우연이 교차되어 만들어진 ‘진짜’ 우리들의 이야기 | 버스 - 서울 143번 | KBS 20160418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18,039

KBS 다큐

KBS 다큐

Күн бұрын

■ 서울, 143
정릉부터 개포동까지 서울의 남과 북을 관통하는 버스, 143번.
143번 버스는 영화 '건축학개론'의 배경인 고즈넉하고 아담한 정릉을 시작으로
강북의 골목골목을 지나 혼잡한 고속터미널에 이어 한강 이남의 번화가까지 다다른다.
서울의 곳곳을 끊임없이 누비는 것이다.
이렇게 60km 이상의 장거리를 오가는 143번 버스에는
하루에만 평균 4만 1017명이 타고 내리기를 거듭한다.
그렇기에 서울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버스로 손꼽힌다.
143번 버스를 타는 사람들, 그들은 어떠한 하루를 보내고 있을까?
버스에서 만난 우연 그리고 그 우연이 교차되어 만들어진 ‘진짜’ 우리들의 이야기를 담는다.
■ 버스 고군분투기
“아니 그런데 왜 저를..?”
-여대생 인터뷰
“그런데 진짜 이상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 같아요.”
-은행원 인터뷰
버스에서 무작정 만나 끝까지 따라간다는 최초의 결심은 각박한 현실 앞에서 흔들린다.
버스 안의 사람들은 자신을 향하는 카메라 렌즈에 경계 어린 시선을 보낸다.
그렇기에 카메라를 든 제작진의 마음 역시 설렘 반 두려움 반이다.
“대단한 용기가 필요하시겠어요.”
-디자이너 인터뷰
버스에서 건네는 말 한 마디에 제작진 또한 함께 울고 웃었다.
흔쾌히 동행하고 미소 지으며 '버스'의 주인공이 되어준 사람들.
각본 없이 흘러가는 예측불허 버스 고군분투기를 전한다.
■ 일상변주곡
버스가 버스 정류장을 지나듯이 누구나 인생의 관문을 거친다.
버스에서 만난 그녀는 앳된 미소를 지닌 30대 초반의 피부관리사였다.
그녀는 10년 전 작은 쪽방에서 시작한 서울살이에 대해 이야기했다.
“워낙 시골에 살다보니까 할 만한 게 없잖아요.
그냥 서울 가서 일해야지라는 막연한 생각이었어요.”
-피부관리사 인터뷰
인생의 첫 관문, ‘독립’ 앞에서 불안과 설렘으로 웃던 소녀는
어느덧 차곡차곡 경력을 쌓고 어엿한 성인이 되어 있었다.
작은 쪽방에서 시작한 막연한 꿈은 구체화되어 분명한 미래를 그린다.
청담동 피부샵을 거쳐 그녀가 향하는 미래의 정류장은 어디에 있을까?
김제로 가기 위해 고속터미널로 향하는 50대 남성.
그는 버스에 타는 순간부터 강렬하게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범상치 않은 외모와 넘치는 끼를 소유한 그는 젊은 시절부터 액션배우를 꿈꿨다.
“레디 액션! 소리만 들으면
가슴이 이글거리는 화산 같이 폭발하기 바로 직전이지.”
-50대 남성 인터뷰
지금도 그의 심장은 지나간 꿈을 그리며 여전히 뛰고 있다.
현실과 타협한 그의 발길이 닿는 오늘의 종착점은 어디일까?
버스에서 꾸벅꾸벅 조는 아저씨는 전화기를 놓칠 새라 손에 꼭 쥐고 있다.
그는 한 때 모두가 알아주는 회사를 다녔다.
“기가 막힌 일이 있었어요.
택시를 불렀는데 택시 기사가 직장의 선배님이었어요.”
-대리운전기사 인터뷰
그러나 IMF는 그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꾸었다.
그는 이제 밤길을 헤매며 대리운전을 찾는 전화 한 통에 애가 탄다.
버스가 끊긴 시간, 그는 지나간 어제를 그리워하고 오늘을 버티며 버스를 기다린다.
버스를 타는 사람들의 종착점에는 삶의 방향이 새겨져있다.
미래에 대해 불안해하고 현실과 타협하며 과거를 그리워하면서도 오늘을 살고 있는 것이다.
버스 노선을 따라 흐르는 사람들의 일상변주곡!
다큐멘터리 '버스'가 지금 막을 올린다.
※ 이 영상은 2016년 4월 18일 방영된 [버스 - 서울 143]입니다.
#버스 #143번버스 #사람이야기
✔KBS는 다큐입니다 | KBS 공식 유튜브 채널 [KBS 다큐]
🔔구독👍좋아요➡️ / @kbsdocumentary
📝문의: kbsdoculife@gmail.com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Unauthorized reproduction, redistribution, and use (including AI training) are prohibit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을 금지합니다.
∙방송 시점에 따라 현 상황과 내용이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비방, 악성 댓글은 출연자 보호를 위해 운영자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

Пікірлер: 43
@앜뽕뒤스파뤼
@앜뽕뒤스파뤼 12 күн бұрын
9년전 영상이지만 마치 오늘 방송같은.. 아이도 완쾌되어 씩씩하게 중학교 다니길...
@돌미-z8x
@돌미-z8x 12 күн бұрын
애기 언능 완쾌하길 빕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Pearla.0
@Pearla.0 9 күн бұрын
하루 빨리 안정을 찾고 다같이 웃는 날이 왔으먼 합니다.
@한나권-h4l
@한나권-h4l 12 күн бұрын
벌써 9년전 이라니... 세월이 너무ㅜㅜ 빠르네요😢
@user-hanlimms
@user-hanlimms 12 күн бұрын
너무 훈훈합니다 지금 경기가 너무 어렵지만 모두 다 잘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2025년 화이팅!!
@cmwt-z5y
@cmwt-z5y 12 күн бұрын
너무 좋네요. 잘 안 우는데 눈물도 조금 흘리며 봤습니다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아름-r7u
@이아름-r7u 12 күн бұрын
143번 버스 ㄷㄷ 옜날엔 710번이었던.. 은행원분 너무 미인이시다.
@노혁진-s6h
@노혁진-s6h 11 күн бұрын
710번이라면 과거 시절에 대진운수가 운영할 때 정릉과 개포동을 오고 가는 장거리 도시형버스 노선으로 운행되었죠. 그렇지만 1997년 하반기에 대진운수와 동양교통이 합병을 결정하면서 1998년부터 통합 대진여객이 본격적으로 출범된 이후 대진여객에서 이 노선을 운영하다가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당시 정릉과 개포동을 오고 가는 장거리 도시형버스 노선인 710번이 지금의 서울시 간선버스 노선인 143번으로 번호를 물려받으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이아름-r7u
@이아름-r7u 11 күн бұрын
@@노혁진-s6h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달항아리-o8y
@달항아리-o8y 11 күн бұрын
애기 완쾌되어 건강하게 잘 자라고 있기를 바랍니다.
@보아헨콕
@보아헨콕 10 күн бұрын
좋은 프로그램이네여😂끝까징 잼나게 바쓰영🎉
@Aiden_bnsg
@Aiden_bnsg 11 күн бұрын
구 710번이죠 정릉-개포동ㅎㅎㅎ 저희 아버지와 어머니를 이어준 소중한 노선입니다 ㅎㅎ
@이아름-r7u
@이아름-r7u 11 күн бұрын
CF의 한 장면"저 내려요"의 실화 버전 인가요?? ㄷㄷ
@완구조-j8i
@완구조-j8i 12 күн бұрын
아주 인간적인 촬영입니다😂 세삼스럽습니다😊
@달항아리-o8y
@달항아리-o8y 11 күн бұрын
의사 선생님, 선하고 훌륭하신 분이세요. 감사합니다.
@june830
@june830 11 күн бұрын
저런 분들이 의사가 되어야 하는데, 공부만 잘하고 인간에 대한 애정이 없는 사람들이 의사가 되는 경우도 많아서...
@감귤-o4z
@감귤-o4z 12 күн бұрын
나이먹으니 이런 사람사는 이야기들이 왜이렇게 좋은지...재밌게볼게요!😊
@zxcv09876
@zxcv09876 11 күн бұрын
9년전 영상이라니 ㅠㅠ
@바라미짱
@바라미짱 12 күн бұрын
곽재건교수 대단하네요.
@박박-m9t
@박박-m9t 11 күн бұрын
143번~ 그땐 신촌을 지났는데, 반갑네요~ 노선은 바뀌었지만 30여년전 직장 다닐때~ imf 로 서울 떠나기전까지~ 이젠 환갑 이네요
@ltjina
@ltjina 12 күн бұрын
정릉토박이로 살다가 지금은 다른 곳에 있지만 그곳으로 돌아가고 싶을 때가 있어요. 가족과 같았던 반려견과 함께 했던 기억도 나고. 추억들이 많아서 그런 것이겠죠.
@지락씨
@지락씨 6 күн бұрын
아빠네요 역시 아빠...... 아가 언능 쾌차되어 학교에가서 땀이 나도록 뛰어놀고 먹고 싶은것도 맘껏 먹고 그래야 그렇게 될꺼야
@민준현-o1o
@민준현-o1o 11 күн бұрын
우리집앞에 143번,146번 지나가는데 둘 다 사람들이 엄청 많이 타는 노선이죠 ㅎ 주말에 143번 타고 이태원 부근 지날 때면 이국적인 분위기에 젊은 남여가 데이트하는 모습이 너무 즐거워 보여서 인상적이기도 하고 또 강남에서 명동을 한 번에 가는 노선이라 너무 좋죠!! 예전 710번 버스노선이 지금 143번 노선이고 우리집에서 대학로를 가는 301번 버스가 예전에도 많이 타던 노선인데 301번이 예전에 몇 번 버스였는지 기억이 가물가물 ㅎ
@노혁진-s6h
@노혁진-s6h 11 күн бұрын
301번은 서울버스에서 관리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예전에는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이 시행되기 전까지 서울버스에서 과거시절에 운영했던 도시형버스 63-1번으로 운영되었으며,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당시 지금의 서울시 간선버스 301번으로 번호를 물려받으면서 송파구를 연고지로 두고 있는 서울버스가 서울특별시의 주간선버스 운송 업체인 한국비알티자동차 컨소시엄에 참여한 경력이 많습니다. 143번과 146번은 영동대교남단에서 삼성역사거리까지 두 노선이 겹치기 때문에 143번은 청담동에서 영동대교남단을 거쳐 휘문중고등학교 교차로에서 우회전을 하고 대진여객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146번 버스의 경우 영동대교로 한강을 건너 영동대로 구간을 따라 삼성역사거리에서 우회전을 하고 다시 테헤란로 구간을 따라 강남역사거리 방향으로 향합니다. 다만 146번 버스는 흥안운수, 삼화상운이 공동배차합니다.
@cunmong
@cunmong 11 күн бұрын
차 보다 편하고 버스 노선이 발달되어 있으니까. 인구소멸이 되어 버스가 귀하고 버스까지 먼 길. 그런 시골 취재가 보고 싶네요.
@장총찬-v4g
@장총찬-v4g 12 күн бұрын
소아 흉부외과 선생님을 뵙네요 ㅠ
@경숙민-o7c
@경숙민-o7c 11 күн бұрын
참 신한 프로그램이시네요🎉
@유주나-i2c
@유주나-i2c 12 күн бұрын
막장 드라마 그만 만들고 이런 인간미 넘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으면 좋겠네요...^^
@doublekicks6493
@doublekicks6493 12 күн бұрын
자녀분들이 싫어하지않으세요??? KBS라는 곳에서 청소하는일이 부끄러운일 이라는 전제로 질문을 하다니~~대한민국 아직 멀었구나
@공룡-k7x
@공룡-k7x 11 күн бұрын
초등학교 시절 등하교 버스였죠...그때가 그립네요
@노혁진-s6h
@노혁진-s6h 11 күн бұрын
정말 그리운 노선으로 유명한 143번 버스였죠. 143번 버스는 초등학교 승객들의 등하교 버스로 사용할 때 정릉에서 개포동 방향으로 향하는 노선으로 운행을 먼저 시작하면 숭덕초등학교부터 먼저 경유하기 때문에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 부근의 숭덕초등학교와 강남구 청담동의 청담초등학교를 골라 가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숭덕초등학교로 등하교를 하는 초등학생들과 청담초등학교로 등하교를 하는 초등학생들의 수요가 높은 노선으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공룡-k7x
@공룡-k7x 11 күн бұрын
@ 노선이 변경됐나요?
@노혁진-s6h
@노혁진-s6h 10 күн бұрын
@@공룡-k7x 143번 노선은 지난 2009년 8월22일에 롯데백화점 본점을 지나 신세계백화점 본점을 통과하는 운행경로가 변경되었으며, 이후 개포동 개포뉴타운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개포동 구간의 회차 루트가 변경되면서 개포디에이치에너하임 3단지와 개포래미안블레스티지2단지, 개포도서관,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후문을 거쳐 개포주공5단지(경기여자고등학교)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는 구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안재준-w9r
@안재준-w9r 12 күн бұрын
미아리고개에서 고속터미널, 고속터미널에서 미아리고개까지... 반포에 있던 학교까지 가려고 자주 탔던 버스..! 외국인 관광객도 많고, 출퇴근객도 많아서 항상 학교로 갈때도, 집으로 올때도 거의 매번 서서왔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도 그때가 좋았네요ㅠ! 밤 늦게 집으로 오는길에 남산3호터널에서 나올때 창문 열면 시원한 바람이 너무 좋았었는데..
@노혁진-s6h
@노혁진-s6h 11 күн бұрын
미아리고개에서 고속터미널까지 갈 수 있는 버스라면 절대 없어서는 안될 이 노선이 바로 143번 버스입니다. 고속터미널에서 미아리고개 방향으로 갈 수 있는 버스라면 절대 없어서는 안될 노선을 추천한다면 143번 버스를 선택하는 승객들도 있기 때문에 반포에 있는 학교로 통학하는 학생들에게 절대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버스 노선으로 유명했죠.
@LSW-d4s
@LSW-d4s 12 күн бұрын
예전에 710번 버스 집에서 고속 터미널, 남대문시장, 종로, 대학로, 압구정동, 무역센터 갈때 타고 다녔는데...저버스타고 무역센터에서 내려서 강남 면허시험장으로 운전면허 시험보러갔던게 기억나네...노선이 서울 중요한곳 근처는 다가는버스라서..
@노혁진-s6h
@노혁진-s6h 11 күн бұрын
710번 버스라면 과거 시절 대진운수가 운영했던 장거리 노선이지만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을 출발하여 반포대교로 한강을 건너 강남구 개포동에서 끝나는 도시형버스 노선으로 운행되었습니다. 710번은 과거 시절 하행(개포동방향)의 경우 청계천과 서울역을 통과하고 상행(정릉방향)의 경우 종로를 통과했지만 2003년 7월1일 청계천 복원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양방향 모두 종로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하행(개포동방향)의 경우 창경궁로와 서울역을 통과하고 상행(정릉방향)의 경우 대학로를 통과하는 구간으로 변경됩니다. 이 노선은 지난 1997년 하반기에 대진운수와 동양교통이 합병을 결정하면서 1998년부터 통합 대진여객이 본격적으로 출범된 이후 창경궁로와 대학로, 종로, 남대문시장/북창동(이회영 활동 터), 고속터미널, 압구정동, 한국무역센터, 스타필드코엑스몰로 향하는 승객들도 많았으며,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서울시 간선버스 143번으로 번호를 물려받으면서 오늘에 이르게 됩니다. 이 노선은 고속터미널로 향하는 버스 승객들이 고속터미널 정류소에서 하차하여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를 타고 전국의 모든 지역으로 다녀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속터미널과 서울의 강북 지역을 연결하는 대표노선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sijinpinggaesaeki
@sijinpinggaesaeki 12 күн бұрын
143은 사람이 항상 미어터짐 인기노선인듯 배차간격도 엄청짧고 3분간격정도?
@노혁진-s6h
@노혁진-s6h 11 күн бұрын
3분간격이지만 143번 버스는 대진여객 정릉영업소에서 운영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평일의 경우 배차간격은 6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7분간격으로, 일요일과 공휴일의 경우 10분간격으로 운행하지만 평일과 토요일은 배차간격이 엄청 짧게 운행하기 때문에 평일은 출퇴근시간대 2분30초에서 3분간격으로 운행하는 경우가 많고 토요일의 경우 성신여자대학교와 한성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서울캠퍼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홍익대학교 대학로캠퍼스가 토요일에 수업을 진행하는 만큼 대학생들의 통학수요를 보강하기 위해 아침 7시부터 10시까지는 3분간격으로, 낮 13시부터 저녁 18시까지는 4분간격으로 운행합니다. 다만 토요일 평상시 배차간격은 7분간격으로 운행하지만 버스 내부가 혼잡할 경우 143번 버스를 운행하는 시내버스 운전기사가 "승차 불가, 다음 차량을 이용해주세요"라는 신호 표시를 하는 경우가 있을 때 다음 차량을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을 감수해야 합니다.
@kijoonsong886
@kijoonsong886 8 күн бұрын
서울 간선버스 143번
@수내동-r2i
@수내동-r2i 11 күн бұрын
이재명 이 대통령 되야하는 이유,..부자감세 만 외치는 윤석열 탄핵 이재명, ‘신혼부부 3억 증여세 면제’ 비판 “초부자감세···청년들에게 상실감 줄 것”
@보성군경호원
@보성군경호원 11 күн бұрын
143[대진여객]번 2012년식 3021호 현재 뉴슈퍼 저상 개선형 2024년식 신차로 대차되어 그대로 운행중!
It works #beatbox #tiktok
00:34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