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에서 전기 저항 '0'...상온 초전도체 개발 / YTN

  Рет қаралды 558,278

 YTN

YTN

Жыл бұрын

초전도체, 특정 온도에서 모든 전기 저항 사라져
현실 초전도체는 약 -200℃ ’극저온’에서만 존재
美, 20.5℃에서 초전도 현상 보이는 물질 개발
실험 재연에도 성공했지만…진실성 논란 나와
[앵커]
전기 저항이 없는 초전도체는 에너지 혁명을 일으킬 꿈의 물체로 불리지만, 극저온에서만 존재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미국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20.5℃에서 초전도 성질을 보이는 상온 초전도체 개발을 발표해 과학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최소라 기자입니다.
[기자]
영화 아바타에서 인간이 판도라 행성을 침략하는 이유는 초전도체 언옵테늄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전기 저항이 없고, 자기장을 밀어내는 초전도체는 자기부상열차와 양자컴퓨터, 핵융합 장치 등을 만들 수 있는 꿈의 물질입니다.
현실 세계에서의 초전도체입니다.
초전도 성질을 보이긴 하지만 영화와 달리 영하 200℃ 부근의 극저온에서만 가능합니다.
미 로체스터대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20.5℃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물질을 개발했습니다.
희토류 원소인 루테튬에 수소를 결합한 뒤 질소를 혼합해 200℃ 고온처리를 해서 만든 물질, 이른바 NDLH입니다.
평소에는 짙은 푸른색을 띠지만 압력을 가하면 초전도체가 되며 분홍색을 띱니다.
초전도 현상을 보이려면 대기압의 만 배 수준의 압력을 가해야 하지만 기존 초전도체 압력 조건보다는 200분의 1도 안 되는 낮은 압력입니다.
[란가 디아스 / 미국 로체스터대 기계공학·물리학 박사 : 공학이나 기술을 이용한다면, 높은 압력을 구현할 방법이 많습니다. 이렇게 큰 발표는 조심스럽고 철저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엄격한 검토를 거쳤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실렸고, 연구진은 다른 과학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실험을 재연하는 데도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지식재산권을 들어 초전도체를 다른 기관에 배포하지 않겠다고 밝혀 학계에서는 성공 여부에 대한 진실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YTN 사이언스 최소라입니다.
YTN 최소라 (csr7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www.ytn.co.kr/_ln/0105_202303...
▶ 제보 하기 : 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Пікірлер: 1 400
@uzsoda5778
@uzsoda5778 Жыл бұрын
고기압만 지속적으로 유지할 섹션이 마련된다면 상온초전도체 상용화가 가능해질 수도 + 뉴스에도 나왔지만 압력은 공학적으로 컨트롤하기가 온도에 비해 매우 쉬운편입니다. 초전도현상 구현 조건을 20.5°C 상온으로 올렸다는 건 사실상 가장 큰 벽을 넘었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song1009
@song1009 Жыл бұрын
심해요 심해 심해는 압이 높아서 해저케이블로 사용하기에 적합할것같습니다
@user-xn3gl7jr6z
@user-xn3gl7jr6z Жыл бұрын
​@@song1009 오! 온도도 20도 미만으로 유지하기 나쁘지 않을거같네요
@user-fk4nr1do7w
@user-fk4nr1do7w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코로나 오히려 쉽지 않나? 해저는 온도 잘 안 변하잖음
@DrInIrvine
@DrInIrvine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코로나 해저는 햇빛이 닿지 않아 언제나 저온 상태입니다
@user-ec3oe1ym3b
@user-ec3oe1ym3b Жыл бұрын
​​​@@song1009 심해 몇 천m라고 해도 그곳 압력은 몇백 기압 수준이에요. 10000기압에는 한참 못 미치죠.
@user-zd4ci4yr2o
@user-zd4ci4yr2o Жыл бұрын
와 이건 진짜 미친기술이다 얼른 상용화가 된다면 인류는 압도적으로 발전할 수있다
@Lil_Cash_Choi
@Lil_Cash_Choi Жыл бұрын
압도적? 누구보다?
@x4n5ian41
@x4n5ian41 Жыл бұрын
@@Lil_Cash_Choi 흥미로운 의문이군
@silicagelfan
@silicagelfan Жыл бұрын
​@@Lil_Cash_Choi 이전의 인류보다 겠지요
@50J
@50J Жыл бұрын
​@@Lil_Cash_Choi 지금까지 발전해 온 것 보다 압도적으로 빠르게 발전할 수 있다는 것 같은데요
@user-ov9eu4is8l
@user-ov9eu4is8l Жыл бұрын
발전을 못 하죠. 다른 기관에 배포 할 생각이 없다잖아요. 뭐가 됐든 본인들이 상용화 될 제품을 만들지 않는 이상 그냥 야 우리 이런 거 개발했어! 대단하지? 끄~~읕! 이란 겁니다. 상용화 하기에 적합지 않은 요소가 포함 됐거나 구라 의심을 받는 이유임.
@user-nr5gj5ht9z
@user-nr5gj5ht9z Жыл бұрын
이로써 초전도체를 더욱 쉽고 자유롭게 많은 부분에서 다룰수 있게 되었네 큰 발전이다
@chorong_e.reelshop
@chorong_e.reelshop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현재보다 더욱더 과학, 기술 에 집중하고 지원해야 합니다
@sry6925
@sry6925 Жыл бұрын
이건 진짜 혁명이다.
@Jacobson5837
@Jacobson5837 Жыл бұрын
와 20도 상온 초전도체 미쳤다... 과거 교과서에서 볼때 가능할까 상상만 하던건데
@user-iy9hs6jk6t
@user-iy9hs6jk6t Жыл бұрын
1. 대신 적어도 1000만 헥토파스칼의 기압 필요하다. 2. 매우 일시적으로만 관측되었다. 3. 연구 진위자체에 논란이 많다.
@WAN_DA
@WAN_DA Жыл бұрын
​@@user-iy9hs6jk6t 헥토파스칼 킥!!!!
@abcdef14352
@abcdef14352 Жыл бұрын
​@@user-iy9hs6jk6t 마지막 진실성논란이 이러한이유들때문이군요
@user-rr4px2in2m
@user-rr4px2in2m Жыл бұрын
이런걸 처믿네 ㅋㅋㅋㅋㅋ 탈모도 20년전 부터 쥐실험 성공했다고 하는데 나오냐?
@cosmos9941
@cosmos9941 Жыл бұрын
@@user-rr4px2in2m 관우 중국 판타지 소설 거짓 인물 일 듯.
@rockettoto1051
@rockettoto1051 Жыл бұрын
고기압 환경에서 작동한다고 들었는데. 초전도체 중에 가장 적은 기압을 요구하는 물질의 요구기압이 10000기압이었던가? 그랬던 거 같음. 기압이랑 온도가 상온에 1000기압정도로 떨어져도 나쁘지는 않을 듯. 1000기압이면 펌프로도 커버 될 수 있을 듯.
@user-pi4es8nj3e
@user-pi4es8nj3e Жыл бұрын
대기압의 만 배면 기술이 발전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더욱 발전하길 바라야겠네요
@YminP
@YminP Жыл бұрын
맙소사... 미래가 오기는 오나보다... 과거에는 상상 속에 있던 일들이 일어나는구나... 그게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user-ro6fe2id2u
@user-ro6fe2id2u Жыл бұрын
온도제한이 없는 초전도체를 대량생산만 할수 있으면 세계1위 부자가 될수있음 그야말로 혁명
@user-jg9ox9gh5o
@user-jg9ox9gh5o Жыл бұрын
빨리 상용화된다면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일수 있을것 같아요👍
@10.803
@10.803 Жыл бұрын
이미 그래핀 중첩으로 일반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이 확인되어 개발이 한창인데....특정온도가 필요하다면 실용성이 아직은...!!!
@AERO_K0
@AERO_K0 Жыл бұрын
그래도 핵융합에 한발 더 다가선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user-sy8wk1ze5o
@user-sy8wk1ze5o Жыл бұрын
진짜 과학 발전 속도가 상상 이상으로 빠르네요..
@따뜻한호빵
@따뜻한호빵 Жыл бұрын
와 불과 2년 전 고1 때까지만 해도 과학시간에 초전도체 배우면서 임계온도 높이기 위해 연구 중이라고만 배웠는데.. 신기하네요
@BotOut
@BotOut Жыл бұрын
25년전에도 그랬음
@ilyushin2821
@ilyushin2821 Жыл бұрын
지금도 똑같음 기사를 잘 들어봐, 기존 기압의 만배래잖아 그냥 특수한 재질하나 발견한 셈 밖에 없음
@user-qh6qy9gr4l
@user-qh6qy9gr4l Жыл бұрын
지..지금 그거 배우는 중인데...
@wefrgEKWO-bq5lg
@wefrgEKWO-bq5lg 11 ай бұрын
급식 ㅎㅇ
@user-sz4ru8ye4c
@user-sz4ru8ye4c Жыл бұрын
20°C도 중요하지만 초전도 현상이 나오는 조건이 더 중요 하겠지요. 우리가 기대하는 것은 고온 초전도 현상을 실 생활에 응용할수 있을 것인가 이지요.
@user-goohanbeom
@user-goohanbeom Жыл бұрын
다른 연구진에 의해 독립적으로 재연이 될 때까지는 두고봐야겠고 루테튬이 얼마나 귀한 물질이냐에 따라 실용성을 평가해봐야겠지만 보도 내용이 전부 사실이라면 정말 상상을 현실로 만든 발견이 되겠네요
@mindcrisisholy8842
@mindcrisisholy8842 Жыл бұрын
가격대문에 상용화가 사살상 한참 멀었지만 대단한 연구네…
@tv-ng5lm
@tv-ng5lm Жыл бұрын
대기압의 만배라는 조건을 바꾸는날이오길 영하200도라는 말도안되는 조건을 바꾼 이번실험처럼
@alphago410
@alphago410 Жыл бұрын
20k atm은 액화질소 환경보다 유지가 훨씬 어려움은 물론 실제 환경같은 큰 부피에 대해 조성할 방법이 없다는게 함정. 그보다는 임계전류가 중요한데 MRI 장비가 액화질소 대신 고가의 헬륨을 쓰는 이유도 고온 초전도체들은 임계전류가 높지않기 때문입니다.
@creator4836
@creator4836 Жыл бұрын
아직은 실용화에 한계가 있군요.
@user-gf8wr7pe3m
@user-gf8wr7pe3m Жыл бұрын
20000기압이요?? ㄷㄷ
@user-po7zd5zx5u
@user-po7zd5zx5u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전압을 높게 걸면 되지 않을까요? 저항 높이는 건 말이 안되니까
@alphago410
@alphago410 Жыл бұрын
​@@user-po7zd5zx5u 초전도체에서 전압이란 존재할수 없습니다. 저항이 0 라서 전압도 0이고 오직 전류만 존재합니다. 그런데 초전도를 유지할수 있는 최대전류는 각각의 재료 물성에 따라 제한되는데 이것이 임계전류 입니다.
@user-po7zd5zx5u
@user-po7zd5zx5u Жыл бұрын
@@alphago410 상온에서 저항이 0이 되게끔하면 만사 ok가 될 줄 알았는데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더 있군요. 빠른 시일 내에 더 혁신적인 연구결과가 나타나길 기대해봅니다!
@SPG37
@SPG37 Жыл бұрын
대단한 것을 만들어 내었군요! 상용화가 빨리 되었으면...
@HgHam-hu6ln
@HgHam-hu6ln Жыл бұрын
상온 초전도체 진짜 나오는구나...와
@goldman7story
@goldman7story Жыл бұрын
인간이 대단한 존재이긴 하네요. 과학기술이 발전하는 그 수준만큼 인간의 도덕성도 같이 유지가 된다면 좋을 텐데요.
@user-py1jz6wk7h
@user-py1jz6wk7h 11 ай бұрын
너는 대단하지 않잖아 ㅋㅋ..
@KimHoàngHuy-v4h
@KimHoàngHuy-v4h 11 ай бұрын
​@@user-py1jz6wk7h니 애ㅡ미는 그보다도 못하잖아 ㅋㅋ 풋
@PILBONG_HWANG
@PILBONG_HWANG Жыл бұрын
말도안되는 개발;;; ㄷㄷ 기대되네요 기존에 초전도조건을맞추느라 진공 냉각 기술들이 따라붙는데 부피도크고 스펙도 높아야하는걸 20.5도로? 미친거지 에너지효율이 엄청나게 튀어오르는걸 의미함
@duto456
@duto456 Жыл бұрын
미국은 진짜 대단하네.. 첨단 기술은 정말 압도적이다.
@user-vz6hf4zy8d
@user-vz6hf4zy8d Жыл бұрын
뭐냐.. 분명 몇달전에 극저온이 아니라 그냥 저온 전도체 개발했다고 뉴스 봤는데.. 얼마나 지났다고 상온 전도체가 개발되지... 진짜 하루하루마다 발전하네;;
@normal8295
@normal8295 Жыл бұрын
와.. 벌써 상온 초전도체를 찾은거야? 미쳤네..
@vale9294
@vale9294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은 보통 기초과학은 순수한 학문적 추구를 한다고 생각하지만 여느 산업처럼 경쟁적이고 치열함 기대치를 낮추는 게 좋다
@ralkim5225
@ralkim5225 Жыл бұрын
고기압에서 가능한 상온 초전도는 예전에도 연구소 단계에서 나오지 않았나요? 심지어 고기압 환경에서는 전고체 배터리도 100회 정도 충방전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user-sf6ro3zp8g
@user-sf6ro3zp8g Жыл бұрын
상온에서 초전도는 공학적인 부분에서는 정말 대단한 혁신이다.
@user-yc3wx3er9q
@user-yc3wx3er9q Жыл бұрын
요즘 들어 기술의 발전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졌다는 것을 느낀다. 당장 1, 2년 뒤가 기대되는데 10년 뒤에는 또 어떨지..
@user-bb1wi5xi3e
@user-bb1wi5xi3e Жыл бұрын
조선인들은 꿈깨라.... 니들은 평생 소달구지나 열심히 끌고 다니는게 더어울린다... 천조국이 개발한 기술 훔쳐서 베끼고 모방하고 자기꺼라고 우기지말고..
@iyaaaaaaaang
@iyaaaaaaaang Жыл бұрын
일자리가 사라져있겠지
@user-yc3wx3er9q
@user-yc3wx3er9q Жыл бұрын
@@iyaaaaaaaang없어지는 만큼 새로 생겨날 일자리도 있겠죠.
@user-ms2mp1vn7l
@user-ms2mp1vn7l Жыл бұрын
@@user-yc3wx3er9q 그건 로봇공학이랑 ai에서 주장하던건데.. 현실은 사라진다 하죠.. 빌게이츠도 언급했고 일론 머스크는 오히려 그게 좋은거라고 하는 중이고
@user-zt1uj7ko4h
@user-zt1uj7ko4h Жыл бұрын
​@@user-ms2mp1vn7l ㅇㅇ ㅇㅈ 오히려 그게 좋은 거 같다
@user-po6qv7ds5n
@user-po6qv7ds5n Жыл бұрын
와... 미쳤다... 상온 초전도체가 진짜 가능하구나... ㄷㄷㄷ
@user-sf8mk5yv6k
@user-sf8mk5yv6k Жыл бұрын
아직 상용화가 어려운 압력의 조건이 문제라고들 하지만 상온의 벽이 허물어졌다.옛날부터 인간은 누군가 길을 열면 뒤에서 꾸준히 길을 늘려가곤 했지.어찌 어제가 오늘과 같으리라 장담할건가..
@jmko-zq8so
@jmko-zq8so Жыл бұрын
이거 되면 전선에서 날아가는 전기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고 고성능 초소형 모터도 가능하고 진짜 할 수있는게 무궁무진해지는데
@user-kn6eh3fl6c
@user-kn6eh3fl6c Жыл бұрын
이게 진짜고 상용화에 성공하면 노벨상 수상은 무조건이고 엄청난 기술혁명급 기술이다
@user-lc4xh2em5g
@user-lc4xh2em5g Жыл бұрын
신기해서 검색해보니까 2년전보다 온도도 5도 높아졌고 압력조건도 획기적으로 줄긴했네요. 이것도 예전에 절대영도 경쟁하던거랑 비슷하게 과학사에 드라마를 쓰는 분야가 될런지. 검증도 그래서 예민한거 같기도.
@호구마알러지나문희
@호구마알러지나문희 11 ай бұрын
이게 진짜 한 번에 성공할지는 우리나라라서 불가능할 것 같지만, 그래도 상온 초전도체의 가능성이라도 증명되면 좋겠고, 머지않아 상온 초전도체와 인공 태양 개발 모두 성공하게 되는 날이 온다면, 그건 정말로 인류가 최초로 불을 발견한 것, 최초로 전기를 사용한 것에 이어 새 인류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겠네. 새 인류가 얘는 진짜로 가능할 것 같음.
@elly9368
@elly9368 Жыл бұрын
지식재산권이라... 기초과학연구가 시급하다
@user-bb1wi5xi3e
@user-bb1wi5xi3e Жыл бұрын
조선인들은 그냥 평생 소달구지나 열심히 끌고 다니는게 더어울린다 천조국 기술 베끼고 모방해서 훔쳐갈생각 그만하고~
@user-st9db1jc7q
@user-st9db1jc7q Жыл бұрын
​@@user-bb1wi5xi3e 네 다음 ㅂㅅ~
@geunk1007
@geunk1007 Жыл бұрын
중요하다고 외치는 분들이 좀 연구좀 해주면 안되나? 매번 중요만하데. 참고로 난 지능부족이라 안되.
@e.5984
@e.598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란 가진게 기술력 밖에 없는 나라라서 아이러니하게 기초과학이 부족함. 미국마냥 대공황 때도 치즈랑 미트볼 먹을 수 있는 방장 사기맵이면 몰라도.
@SODENTSOD
@SODENTSOD Жыл бұрын
미국 박사후 연구원 2023년 가이드라인 0-1년차 $56,484 한국에서 그렇게 못받으니 자리만 잡으면 다들 안들어갈려는건 당연한듯요.
@monandol1
@monandol1 Жыл бұрын
이게 진짜 어려운 기술인데 대단하다
@Huhuhu-by4xw
@Huhuhu-by4xw Жыл бұрын
근데 초전도체가 나오면 어떤점이 좋나요? 에너지를 무한정 써도 되어서..?
@deadmanm3752
@deadmanm3752 Жыл бұрын
이건 혁명이다.활용도 무궁무진할듯
@erua1707
@erua1707 Жыл бұрын
사실 초전도체 상용화에서 중요한 것은 온도와 압력보다도 초전도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전류와 자기장입니다. 전류를 조금밖에 안 흘렸는데 초전도성이 사라진다면 우리가 기대하는 꿈의 물질과는 거리가 멀죠. 실제로 저렴한 액체질소로 가동하는 초전도체가 있으면서도 MRI나 자기부상 열차에 비싼 액체헬륨을 사용하는 이유가 최대 전류 때문이기도 합니다.
@user-capacity-ss
@user-capacity-ss Жыл бұрын
얘네들 상습범입니다. 관련전문가들 대부분안믿는분위기구요 투자자들 끌어들이려고 사기치는거죠 일반투자자들 사기치려고 밑그림 그리는데 언론이 같이 홍보해주는꼴이네요
@masaibujok
@masaibujok Жыл бұрын
진짜 실존하는 기술이면 미친기술임
@마이야히
@마이야히 Жыл бұрын
상온초전도체의 존재성을 입증한 것만해도 엄청난 성과다.
@noah489
@noah489 Жыл бұрын
역시 미국의 기술력은 최고…중국이 저런 기술력을 갖개 된다면…우리나란 진짜 고민이다…
@kimdoyeop.official
@kimdoyeop.official Жыл бұрын
와 이게 가능한거구나 얼른 상용화되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도 활용가능했으면 좋겠네요
@hyun_1224
@hyun_1224 Жыл бұрын
전기공으로서 너무 반가운 소식 저게 상용화되면 유지보수에 드는 지속비용과 에너지 효율에서 혁신이 될겁니다. 보상없는 송변전시스템이라 과전류만 케어해도된다니 ㅠㅠ 갬동
@kykgood
@kykgood 11 ай бұрын
극고압을 어떻게 극복하나?
@dennischoi9035
@dennischoi9035 Жыл бұрын
대단합니다.. 양자컴퓨팅 상용화의 시대가 머지 않겠네요.
@user-bb1wi5xi3e
@user-bb1wi5xi3e Жыл бұрын
조선인들은 꿈깨라 천조국이 개발한 기술 훔쳐서 베끼고 모방하고 자기꺼라고 우기지말고
@user-td6vs4zg4k
@user-td6vs4zg4k Жыл бұрын
-초전도 현상을 보이려면 대기압의 만 배 수준의 압력을 가해야 하지만 기존 초전도체 압력 조건보다는 200분의 1도 안 되는 낮은 압력입니다. ???? ???
@user-rb1jl8lt9g
@user-rb1jl8lt9g Жыл бұрын
원래는 얼마나 압력이필요하고 얼마나온도가 낮았어야 했길래 ㄷㄷ
@jongsoosong267
@jongsoosong267 Жыл бұрын
영하200도
@handle_so_annoying
@handle_so_annoying Жыл бұрын
원래는 영하 수십도에서 초전도 현상 만드려면 대기압의 수백만배로 눌러야됐음
@Alanimdeo
@Alanimdeo Жыл бұрын
기존에 있던 가장 발전한 초전도체가 -82도 89만 기압에서 존재했음.
@jonin_cunren
@jonin_cunren Жыл бұрын
여전히 상용화가 쉽진 않네
@Claude-sf1hn
@Claude-sf1hn Жыл бұрын
그럼 이제 조세프슨 소자가 양자컴퓨터 개발할때 필요가 없어지는 건가요??? 극저온 냉각장치, 여압장치가 필요가 없어져서 부피가 작아지는 건지?
@k-3030
@k-3030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대단한 기술이 나오네. 극저온에서 상온으로 획기적이긴 한데 만기압은 상용화는 어렵다.
@user-bb1wi5xi3e
@user-bb1wi5xi3e Жыл бұрын
조선인들은 그냥 평생 소달구지나 열심히 끌고 다니는게 더어울린다 천조국 기술 베끼고 모방해서 훔쳐갈생각 그만하고~
@k-3030
@k-3030 Жыл бұрын
@@user-bb1wi5xi3e 10새야 미국인이 개발하면 한국인이 상용화 시켜주는 것이지. 보스턴다이나믹스 로봇개발회사도 현대자동차가 인수해서 상용화 하려잖니?
@iidtxbc
@iidtxbc Жыл бұрын
저거 사용화 안 될거임. 되더라도 백년 뒤에나 쓰 먹을거고, 대기압의 맠 배를.어떻기 시뮬레이션 할건데.
@ocean.color.
@ocean.color. Жыл бұрын
​@@iidtxbc 어떻게 확신하는데?
@crescendo_999
@crescendo_999 Жыл бұрын
​@@ocean.color. 그러게요. ㅋㅋㅋ 과학기술 발전 속도 보면 머지 않아 상용화 되어버릴지도.
@user-iz8gc7rn5w
@user-iz8gc7rn5w Жыл бұрын
이 팀위 경우 아직 논문이 완벽히 검증이 되지 않았고 저번에 네이쳐에서 논문을 철회한 걸로 알고 있기 때문에 아직은 더 살펴보아야 합니다.
@user-kn7zo9rc6o
@user-kn7zo9rc6o Жыл бұрын
저런걸 시도하고 있다는거 자체가 천조국이랑 미개한 조선과의 차이인거지.
@pks737
@pks737 Жыл бұрын
​@@user-kn7zo9rc6o 머지 이 ㅂㅅ은?
@doyunkang1011
@doyunkang1011 Жыл бұрын
근데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 1만 기압이면 기체인 공기 기준일텐데 밀도가 더 큰 고체로 하면 금방 달성하지 않나요? 정확한 변환식을 모르겠네
@user-hx6lb8cx1b
@user-hx6lb8cx1b Жыл бұрын
저거 상용화 되면 에너지문제를 해결할수도 있겠네
@jjh11112
@jjh11112 11 ай бұрын
1. 대기압의 1만배의 압력을 가해야 한다. 2. 영상에 나온 디아스 박사는 데이터 조작, 논문 신뢰성 부족 등의 이유로 논문이 철회되었다.
@conel42
@conel42 Жыл бұрын
상용화 되면 가장 만만한 철도사업부터 싹 바뀔 것이다. 물류혁신이 이뤄지면 IT혁신에 버금갈 정도로 세상이 또 한번 바뀔꺼다. 이제 큰병 없으면 누구나 100살까지 사는 시대긴 하지만... 100살 내로 별걸 다 보겠구나. 현시대에 사는 걸 감사하게 생각한다.
@user-mw9bz6ge6s
@user-mw9bz6ge6s Жыл бұрын
와 조그만 더 연구하면 마이너리티 리포트 같은 영화에서 나오던 미래자동차들 자기부상 자동차들도 실현되겠네요 여기서 좀더 발전하면 저런기술 이용한 우주선도 나올거 같고요
@AlphaGo27
@AlphaGo27 Жыл бұрын
초전도체 조건이 계속 완화되면 상용화 가능한 날이 언젠간 오겠지
@user-hz1kt6lw9g
@user-hz1kt6lw9g Жыл бұрын
고도로 발전한 과학은 초능력과 구분 할 수 없다,,,
@crescendo_999
@crescendo_999 Жыл бұрын
마법아님?
@user-wr8qy6xp8x
@user-wr8qy6xp8x Жыл бұрын
100년전에 스마트폰 있었으면 마법임
@user-bb1wi5xi3e
@user-bb1wi5xi3e Жыл бұрын
조선인들은 꿈깨라 천조국이 개발한 기술 훔쳐서 베끼고 모방하고 자기꺼라고 우기지말고
@JD-gj8lz
@JD-gj8lz Жыл бұрын
​@@user-wr8qy6xp8x 100년전에 스마트폰은 그냥 고철일 뿐
@user-kt6gg3nv4g
@user-kt6gg3nv4g Жыл бұрын
@@JD-gj8lz 계산기만써도 엄청날꺼같은데요
@user-nk4rn6wj6j
@user-nk4rn6wj6j 11 ай бұрын
이거 문재 있다고 철회 됬잖아. 굳이 이걸 쭉 개시 하야 하나
@ororo1002
@ororo1002 11 ай бұрын
4개월전 기사잖아
@jajakage-jolin-darkdoritang
@jajakage-jolin-darkdoritang Жыл бұрын
와 거의 말도안되는 저온에서 말은되는 저온까지 발전했다고 들은게 얼마 전인데 갑자기 20.5도까지 확 발전해버리네 ㄷㄷ
@voninctrl
@voninctrl Жыл бұрын
인공태양 만들때 좀더 수월 하겠네.. 투입 에너지가 많이 감소할듯. 플라즈마 가두는 힘도 안정적일듯.
@user-mc2ue9vs5y
@user-mc2ue9vs5y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 대단한 기술입니다 인류를 바꿀 기술이에요
@user-bb1wi5xi3e
@user-bb1wi5xi3e Жыл бұрын
지난 수십년간 조선인들은 미국일본기술 훔쳐서 베끼고 모방하고 자기꺼라고 우겨왔듯이 이번에도 한 10년뒤에 그럴듯
@user-df4sx2ll9t
@user-df4sx2ll9t Жыл бұрын
호들갑
@user-ri4pd9hn3n
@user-ri4pd9hn3n Жыл бұрын
@@user-df4sx2ll9t 상온초전도체는 ㄹㅇ바꿀 수 있을거 같은데
@uzsoda5778
@uzsoda5778 Жыл бұрын
@@user-df4sx2ll9t 상온초전도체 발명은 곧 전기시대의 혁신으로 이어집니다. 저항이 0이라는 건 새어나가는 에너지가 0이라는 의미를 뜻합니다. 상용화가 가능해진다면 그동안 우리가 누려왔던 전기문명의 결과물이 전부 몇 단계씩 업그레이드 된다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rksk1004
@rksk1004 Жыл бұрын
​@@user-df4sx2ll9t 인류가 불을 발견한수준인데 무슨ㅋㅋㅋㅋㅋ 상용화만되면 지금 컴퓨터는 만배이상빨라질거고 모든 일상이 바뀔일인데
@Hadigreece
@Hadigreece Жыл бұрын
특이점에 점점 다가가는 느낌 극초기 단계 인공지능 ChatGPT 안전하고 무한의 가까운 에너지원 그걸 만들 재료까지 제발 죽기살기로 러시아의 핵전쟁만 없다면
@user-bx5we8de8t
@user-bx5we8de8t Жыл бұрын
기적이다...
@eddiey2921
@eddiey2921 Жыл бұрын
진실성 논란이 있을만큼 대단한 발명이다 앞으로 모든 베터리류 전자장비의 싸이즈가 대폭 작아지고 파워는 올라가는건가 상상할수 없을만큼 신세계가 올지 모른다
@MarineEngineer360
@MarineEngineer360 Жыл бұрын
NDLH에 가압해야한다는 단점이있지만 초전도체의 특성답게 반자성으로 부양한다는 점을 이용해 그 주위에 가압장치를 두르는 방법을 개발하게된다면 상용화될수도 있겠네요
@user-mm9rw5fv9d
@user-mm9rw5fv9d Жыл бұрын
파워가올라가는게아니고 전기저항이 0일경우 무한에너지를 얻는거와 같다고하던데요
@rsoftzoom
@rsoftzoom Жыл бұрын
무한 에너지가 아니라 무한이 손실 없이 에너지를 저장 하는 겁니다. 필요할 때 꺼내 쓰는, 자연의 번개를 충전해서 사용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그것만 가능하면 에너지 문제는 해결이죠.
@na.v4375
@na.v4375 Жыл бұрын
​@@user-mm9rw5fv9d 에너지는 무한이 될 수 없어요
@na.v4375
@na.v4375 Жыл бұрын
@@wwcd5181 뭔 말이 안 되는 소리죠? 초전도체에서 저항이 없다는 소리는 에너지를 손실없이 보낼 수 있다는 뜻인데 에너지를 무한이라고 칭하는 건 뭐죠?
@user-uu7jl8bu7p
@user-uu7jl8bu7p Жыл бұрын
인류가 발전하는걸 눈으로 보다니 정말 영광이다
@yea7080
@yea7080 Жыл бұрын
넌 왜 발전이 없누
@lostliferoad
@lostliferoad Жыл бұрын
​@@yea708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sz6hs4gf6t
@user-sz6hs4gf6t Жыл бұрын
​@@yea7080 왜 여기서 혼잣말로 자기비하를 하니 친구야. 아이고 ㅉㅉ
@yea7080
@yea7080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ㅔ
@user-of9sg1vv1w
@user-of9sg1vv1w Жыл бұрын
@@yea7080 투자 수익률이 이래야 할텐데ㅋㅋㅋ
@user-dg4cx4mo3f
@user-dg4cx4mo3f Жыл бұрын
그렇게만 된다면야 ......믿기 힘든 발표네요
@toothmonster8705
@toothmonster8705 Жыл бұрын
중요한건 압력인데 압력 어느정도지?
@alterrrrrrr
@alterrrrrrr Жыл бұрын
이거 상용화, 보편화 성공하면 인류의 새시대가 열립니다. 그거 이룩한 사람은 노벨상 확정이구요...너무 엄청난 발견이 순식간에 등장해서 당황스럽네
@_sura
@_sura Жыл бұрын
진짜면 엄청 대단한 건데..
@we_tech_lover
@we_tech_lover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어떻게 했지? 진짜 교과서에서만 보던건데 대단하다...
@야스의심장
@야스의심장 Жыл бұрын
와 저번주까지 이거 개발 언제쯤되려나 하고있었는데 바로 나와버리네 ㄷㄷㄷㄷ
@keikim7341
@keikim7341 11 ай бұрын
Lk99 보고 온 사람들 개추 ㅋㅋㅋㅋㅋ
@kosart77
@kosart77 11 ай бұрын
한국은 기압없이 초전도체 ㄷㄷㄷ
@semtlove
@semtlove Жыл бұрын
대단하다.. 미래로 한발 더 나아간 듯..
@user-zl5fq3wz3p
@user-zl5fq3wz3p 11 ай бұрын
사기라 판명되고 논문 철회됨 ㅋㅋ
@su-57pakfa17
@su-57pakfa17 Жыл бұрын
지금 핵융합발전이 상용화 안되는 이유가 1억도의 플라즈마를 초전도 자석으로 띄워놓은 상태를 유지해야 해서 그런거임(이게 그 유명한 토카막 장치) 극저온의 초전도 자석과 1억도의 플라즈마가 같은 공간에서 온도를 유지하는건 쉽지 않은데 20도 정도만 유지해도 된다면 정말 조만간 핵융합이 상용화 될 수도 있음
@user-cd5zf1zi1h
@user-cd5zf1zi1h Жыл бұрын
플라즈마는 가벼우니 공기쏴서 부양 안되나?
@Youtube-whyhandle
@Youtube-whyhandle Жыл бұрын
핵융합발전으로 향후 지구온난화까지 해결가능?....
@Zman158
@Zman158 Жыл бұрын
저거 핵융합발전 에 이용할 방법이 있으려나 핵융합 이 워낙 뜨거워서 그 열을 견디고 붙잡고 있을 만한 물질이 없다보니 공중에 둥둥 띄워놓은 채 핵융합을 하는 방법을 여러가지 구상중이던데
@Yorido_jua
@Yorido_jua Жыл бұрын
와 저거면 전선으로 전력 에너지 누수 0 되는 건가요?.?
@18kkak
@18kkak 11 ай бұрын
한국의 초전도체 이슈의 원본인가...
@clearx7506
@clearx7506 Жыл бұрын
낮아졌다고해도 대기압의 만배 ㅅㅂ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dn4vj6zf3s
@user-dn4vj6zf3s Жыл бұрын
부럽지만 우리도 할수 있습니다. 기초과학기술을 위하여 우리나라도 더욱 투자가 아뤄졌으면 합니다.
@JMS-1005
@JMS-1005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저걸 현실에서 상용화하여 쓸 수 있느냐인데... 언제쯤 상용화될 수 있을까...?
@kangsaengi
@kangsaengi Жыл бұрын
현재 제한적으로 산업계에서 초전도체 이용하고 있습니다
@helloworld1318
@helloworld1318 Жыл бұрын
와 이건 진짜 대박인데? 20도대 초전도체면..
@roadlee3322
@roadlee3322 11 ай бұрын
미국이 개발하면 호기심 한국이 개발하면 사기
@jaysonlim6777
@jaysonlim6777 Жыл бұрын
사실이라면 노벨상감의 혁명적인 기술인데 앞으로 어떻게 진행되는지 관심있게 봐야겠네요. 기사내용대로 핵융합발전에 필수적인핵심기술이고 자기부상열차나 양자컴퓨터등등 비약적인 한단계도약하는 인류혁신을 일으킬 대사건이네요
@jun-fb7du
@jun-fb7du Жыл бұрын
저게현실이고 상용화된다면 인류는 에너지걱정이 없어질뿐만아니라 환경문제,의학,과학,식량문제에서 벗어날수있음. 즉,와칸다현실버전이라고보면됨
@user-du4xd6jw9c
@user-du4xd6jw9c 11 ай бұрын
이건 사기라고 밝혀졌지
@user-wm1nk9ix6c
@user-wm1nk9ix6c 11 ай бұрын
이걸 고려대가 ㅋㅋㅋㅋㅋㅋㅋ
@green_dollar_sign
@green_dollar_sign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상온 초전도체에 포커스를 맞추는거 같은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그보단, 이전보다 더 낮은 수준의 압력으로 상온 초전도체를 구현할 수 있다에 포커스를 맞춰야 한다 생각함. 이전에도 상온 초전도체는 있었지만 이 연구에서의 압력보다는 훨씬 높은 압력을 필요로 했음
@chilpal789
@chilpal789 Жыл бұрын
대기압의 만배 압력.. 상용화는 힘들겠군요..
@ssuduruk
@ssuduruk Жыл бұрын
이미 상용화된 인공 다이아몬드 제조에도 5만 기압이 필요합니다. 만 기압이면 불가능하진 않은거 같은데요.
@user-ey2wt5gk3x
@user-ey2wt5gk3x Жыл бұрын
말도안돼!!😮😮😮😮 이게 진짜면 대박인데 말도 안되는데
@UKTAKU
@UKTAKU 11 ай бұрын
대기압의 1만배면 손오공도 뒤지것다..
@user-hb8qf9tk5d
@user-hb8qf9tk5d Жыл бұрын
한국은 3년전에 LS전선에서 초전도케이블 개발완료 상용화했음..
@ditto7
@ditto7 11 ай бұрын
4개월전에도 초전도체 뉴스가 있었군요. 8월 대한민국에서도 상온 초전도체가 난리도 아니네요.
@user-vf1bq1wu8b
@user-vf1bq1wu8b Жыл бұрын
미국이 외계인을 데리고있다는게 맞는것같다
@yusijak8392
@yusijak8392 Жыл бұрын
이거 사기라며
그래핀만으로 초전도체를 만드는 것에 성공했다! [초긴급과학]
8:05
Happy 4th of July 😂
00:12
Alyssa's Ways
Рет қаралды 65 МЛН
Gym belt !! 😂😂  @kauermtt
00:10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Now THIS is entertainment! 🤣
00:59
America's Got Talent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