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잃어버린 일본의 경고 "한국 이대로 가면 죽어" (일본 와세다대학 박상준 교수)

  Рет қаралды 283,633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7 ай бұрын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3분만에 글로 읽는 "삼프로TV 하이라이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섬뜩한 경고.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apps.3protv.com/3pro/home/lec...

Пікірлер: 711
@user-kw3st3ri6s
@user-kw3st3ri6s 7 ай бұрын
우린 이미 늦은듯....인구 5천만 유지가 아니라,즉 인구 증가를 위한 무리한 정책을 펼게 아니라 4천만 인구에도 경쟁력밌는 국가를 만드는 것으로 정책을 변경하는게 좋을 듯.
@user-uu8vc5yt1z
@user-uu8vc5yt1z 6 ай бұрын
속이 뻥 뚫이게 해주신 교수님 감사합니다 댓글을 적을 수 밖에 없습니다
@hnsgh77
@hnsgh77 7 ай бұрын
대한민국도 많은 반성을 해야 하죠...좋은 말씀 잘 듣고 갑니다...😊😊
@nop8v
@nop8v 7 ай бұрын
그래도 형님네 집값떨어지는검 싫긴하시쥬?
@user-hi6kp1jn9v
@user-hi6kp1jn9v 7 ай бұрын
상관없어요~~떨어져도 😊😊
@83nobleman
@83nobleman 7 ай бұрын
한국은 잘해야 일본이고 잘못하면 일본보다 더 비참한 미래가 올 거라 예상하는데 대다수 국민들은 천하태평 아파트 값 타령 하고 자빠졌으니 나만 괜히 심각한가 싶다 가도 지표를 보면 미래가 참 답도 없구나를 느끼며 단단히 준비하고 있습니다
@hnsgh77
@hnsgh77 7 ай бұрын
@@nop8v 전 집이 없네유...
@user-hk9mg5ru4g
@user-hk9mg5ru4g 7 ай бұрын
@@nop8v 난 부동산 없고 대부분 주식과 채권으로 가지고 있고 미국과 한국에 반반 투자한 상태라 집값 떨어지면 더 좋음.
@user-fu6dp5fy6r
@user-fu6dp5fy6r 7 ай бұрын
좋네요..일본의 임금방식 바람직하네요...부자는 아니어도 모두 생계걱정없이 사는 나라가 좋습니다
@user-qi3jb2ej9b
@user-qi3jb2ej9b 7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말씀 정확한 분석 많이 하시네요. 편견과 국뽕을 빼고 비교적 객관적으로 상황을 전달해주시는것 같아요. 자극적인 제목과 컨텐츠가 남발하는 요즘에, 피로감이 쌓여갔는데 교수님의 방송은 내용이 정말 깊이있고 차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7 ай бұрын
한국은 갈등 지수 세계 1위임. 일본은 주제파악 잘 하고 형편에 맞게 사는걸 당연하게 생각하는데 한국은 주제파악 못하고 개나소나 좋은 대학 , 좋은 직장, 좋은 남자 , 좋은 여자 , 번듯한 집 . 개나소나 영끌 부동산 투자 , 영끌 코인 투자... 개나소나 명품(1인당 명품 소비액 세계 1위) , 외제차 , 대형차 , 골프, 해외여행, 오마카세 ... 개나소나 눈만 높은 이런 나라는 반드시 국가 소멸 합니다 . 장담 합니다. 19년간 자살율 세계 1위 인데도 남이 죽든말든 , 남이 고통 있든말든 매일 국뽕 먹고 "오~ 필승 코리아" 만 외치는 나라!!!!!!! 말 못하는 아기들을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 지금도 해외입양 시키는 나라. 초저출산 세계 1위 . 은둔형 외톨이가 61 만명. 한국에 대한 문제점을 말하면 "그렇게 불만이면 너가 이민 가라" "너는 어느 나라 사람이냐?!" "너가 게을러서 그렇다 . 더 노력 해라" "너나 잘 해라".... 전부다 개인탓만 하는 사이코패스적인 사회!!!! 매년 국적 포기자가 한국은 2만명 정도 , 인구 2.5배 많은 일본은 3천명 정도 . 일본 보다 16배 국적 포기자 많은 한국.
@user-pu6td2kj4p
@user-pu6td2kj4p 7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이시지만 한국 실정 말씀하시는거중 안맞는거.. 우리나라도 육아휴직 대체인력 고용 지원 하구요.. 워라벨이라고 근로시간 단축하는거에 대한 인건비 감소분도 보존 해주고 있어요. 고용청에 문의하세요
@silvermask9679
@silvermask9679 7 ай бұрын
​@@user-ic1dj5tf7r님 말씀도 맞지만 장점도 많은 나라라고 봅니다.
@Kettlers
@Kettlers 6 ай бұрын
​@@user-ic1dj5tf7r 갈등지수 세계 1위라는 근거가 빈약합니다. 좋은 쪽이든 나쁜 쪽이든 한국이 세계 1위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많은 경우 과장이거나 근거가 없습니다.
@hyunwookim4897
@hyunwookim4897 6 ай бұрын
​르ㅠㅌ8ㅜ테츄9ㅛㅛㅔ0ㅎ 0:15
@user-tz9tk9we6n
@user-tz9tk9we6n 7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강의였어요. 젊은층들의 고용문제 해결이 시급합니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토론 해야 합니다 .
@user-rq7cw4jq9i
@user-rq7cw4jq9i 6 ай бұрын
사람이 필요없는 제 4차 산업혁명기에 일자리가 사라지는 입니다. 리프킨의 처방은 고령화로 늘어난 복지분야의 "사회적 일자리"의 창출입니다. 문제는 케어산업도 민영화를 하려는 것이겠습니다. 이미 양극화사회인데 복지 양극화로 가려는 것이 윤석열정부의 케어산업 시장화
@yun-xi7fl
@yun-xi7fl 5 ай бұрын
윤통이 문통정책을 계속 이어가는 것도 문제인데 확장하려고 하지요​@@user-rq7cw4jq9i
@sunglee3935
@sunglee3935 2 ай бұрын
20 놈들은 한국이 더좋다고 함
@hanpark4814
@hanpark4814 7 ай бұрын
교수님이 한국에 대한 애정이 정말 많으시네요 😊
@hsryu2219
@hsryu2219 7 ай бұрын
이번 내용이 정말로 좋습니다. 일본에 있었던 사람으로 항상 조금 편협한 내용이나 균형이 맞지 않은 보도나 평가들이 많았지만, 이번에는 객관적이며 어떤 편견없이 바르게 볼 수 있는 내용이었다고 생각합니다.
@user-du3nq2ip4p
@user-du3nq2ip4p 7 ай бұрын
이프로님 항상 하시는 말씀처럼 내 이웃도 잘살아야 한다는 마음으로 살면 문제들 풀기가 쉬워 질 것입니다
@arpeggionephilos925
@arpeggionephilos925 7 ай бұрын
사람을 향합니다-일본.........돈을 향합니다-한국.
@aah8313
@aah8313 6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배려와 양보 그리고 합의가 실종된 사회는 쇠퇴할 수 밖에 없겠네요 슬픕니다...어쩌다 우리 사회가 여기까지 왔는지
@user-rq7cw4jq9i
@user-rq7cw4jq9i 6 ай бұрын
중산층 붕괴로 빈익빈 부익부의 양극화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분절된 노동시장에서 비롯된 것이지요
@kcastnet
@kcastnet 5 ай бұрын
문제인 소득주도성장... 결과론적으로 고용해고
@user-rq7cw4jq9i
@user-rq7cw4jq9i 5 ай бұрын
@@kcastnet 소득주도성장을 비방한 보수언론들이 문제. 박근혜때 26개월 연속마이너스 수출로 인해 2016년은 한국 제조업 붕괴였습니다. 그래서 탄핵당한 것이지요. 또한 그래서 내수성장을 위해 소득주도성장이 나왔던 것입습 니다. 수출이 안되니 내수로라도 기업을 살려야하기에 소득주도성장으로 내수소비확대를 꾀한 것입니다. 박근혜는 수출이 막히자 부동산 경기부양이라는 초이노믹스를 하였던 것입니다. 똑같은 내수성장을 하려던 것이지만 박근혜는 부동산 경기부양. 문재인은 내수소비진작의 차이
@marinesoundstage9986
@marinesoundstage9986 7 ай бұрын
서로 양보하지 않는 사회는 결국 공멸의 길로 간다는 것을 일본 사회가 이미 겪어보고 바꿨다는 말이네요. 한국은 이제 공멸의 초입길에 들어섰는데 옆에 일본이라는 예시를 놔두고 논의조차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현실이 참...
@usinokaori
@usinokaori 7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이 백만번 옳습니다.제발 국가의 미래를 생각해서 서로 양보하는 사회가되었으면합니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7 ай бұрын
한국은 갈등 지수 세계 1위임. 일본은 주제파악 잘 하고 형편에 맞게 사는걸 당연하게 생각하는데 한국은 주제파악 못하고 개나소나 좋은 대학 , 좋은 직장, 좋은 남자 , 좋은 여자 , 번듯한 집 . 개나소나 영끌 부동산 투자 , 영끌 코인 투자... 개나소나 명품(1인당 명품 소비액 세계 1위) , 외제차 , 대형차 , 골프, 해외여행, 오마카세 ... 개나소나 눈만 높은 이런 나라는 반드시 국가 소멸 합니다 . 장담 합니다. 19년간 자살율 세계 1위 인데도 남이 죽든말든 , 남이 고통 있든말든 매일 국뽕 먹고 "오~ 필승 코리아" 만 외치는 나라!!!!!!! 말 못하는 아기들을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 지금도 해외입양 시키는 나라. 초저출산 세계 1위 . 은둔형 외톨이가 61 만명. 한국에 대한 문제점을 말하면 "그렇게 불만이면 너가 이민 가라" "너는 어느 나라 사람이냐?!" "너가 게을러서 그렇다 . 더 노력 해라" "너나 잘 해라".... 전부다 개인탓만 하는 사이코패스적인 사회!!!! 매년 국적 포기자가 한국은 2만명 정도 , 인구 2.5배 많은 일본은 3천명 정도 . 일본 보다 16배 국적 포기자 많은 한국.
@Chris_Eva
@Chris_Eva 7 ай бұрын
@@user-ic1dj5tf7r 확실한건 님부터 망할듯 아님 벌써 망햇거나
@user-gq2nu7hx9w
@user-gq2nu7hx9w 7 ай бұрын
@@Chris_Eva 제 위 댓글 두개 캡쳐하면 퓰리쳐상감이네요
@83nobleman
@83nobleman 7 ай бұрын
@@Chris_Eva 내 보기엔 7r님은 망하지 않을 것 같아요 오히려 님이 더 망할 확률이 높아요 왜? 7r님은 현실을 제대로 직시하고 있으니까요 저 정도 안목이면 대비도 할 거라 보여집니다
@zjay9523
@zjay9523 7 ай бұрын
@@user-ic1dj5tf7r너부터 갈등을 일으키려하네 ㅋㅋㅋ 너라고 다른 게 아니야
@oscar_charlieee
@oscar_charlieee 7 ай бұрын
다른 유튜브 채널에서 주요 선진국 중 우리나라만 "돈"을 가장 중요시하는 삶의 가치로 꼽았다고 하더라구요. 그마만큼 돈, 효율을 중시하는 것이 당연한 인간의 본성이라기보다는 그 국가의 문화에 따라 다른 것이라고 보아야 할거 같습니다.. 결국에 돈, 효율만 중시하는 우리나라가 행복하지 않다면, 그 국가가 공유하는 핵심 사회적 가치를 서서히 바꿔나가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user-gt9js1my3q
@user-gt9js1my3q 7 ай бұрын
매번 '한국의 비하면 일본은 침몰하는 배다' 같은 무지성 국뽕 보다가 이거 보니 정화 되네요. 현실을 제대로 직시하는 설명!!
@dddk236
@dddk236 6 ай бұрын
에와 의를 구별해 쓰면 더욱 좋겠어요
@sunglee3935
@sunglee3935 3 ай бұрын
이명찬 이란 사람이 맨날 일본까지 한국이 더 심각한데 그사람 좀 모자란ㅍ사람같음
@alicela5600
@alicela5600 7 ай бұрын
일본이 우리나라와 다른건 일본 부동산 폭락 이후 집값이 안정. 소득이 적어도 거품이 빠진 주택을 살때 대출금상환비용이 감소등 주거비용이 덜 드니 저축도 할수있고 노후도 안정되는 효과. 주거비에 쓰던 여유돈을 소비할때 기업수익이 높아지고 고용도 많이 할 여지가 생김. 한국도 집값거품이 꺼져야 하는 이유이다.
@HemmingKIO
@HemmingKIO 7 ай бұрын
뭐랄까 일본은 20년을 겪어보면서 서로 합의점을 찾아가는것 같은데 한국은 이제 시작인데 아직도 대비를 안해놓아서 점점 더 최악으로 달릴것 같은...
@SL-mc8jv
@SL-mc8jv 7 ай бұрын
일본도 20년 전에 준비됐을까~ㅋ
@williamkim7504
@williamkim7504 7 ай бұрын
교수님 이나라도 20년간 일본 처럼 똑같이 당해봐야 정신 차립니다..그전에 사회적 합의는 결코 있을수 없습니다..집.주식이 폭락해서 불로소득이 불가능 하다는걸 깨달아야 사회적 합의를 합니다..옆나라 보고 배워서 우리는 그렇게 하지 말아야지 할 정도로 현명한 국가가 절대 아닙니다..
@user-fb8yw2kx2x
@user-fb8yw2kx2x 7 ай бұрын
왜 주식이 불노소득이야??
@williamkim7504
@williamkim7504 7 ай бұрын
코인은요? 로또는요? 강원랜드 포커판은요? 그럼 뭐가 불로소득인지 가르쳐주시면 고맙겠습니다..잘 모르는대 뇌피셜로 지껄이면 그게 개돼지입니다..그냥 마려우면 싸제끼는 개돼지요.. 그리고 남의글에 답글을 하실때는 정중하게 존칭을 사용하세요..대부분 그지들이 분간 못하고 건방지게 반말하더라고요..4가지가 근본 4가지라서 그런지
@lifequiet8216
@lifequiet8216 7 ай бұрын
100프로 공감합니다. 조선인들은 얻어터져야 이제 늦었구나 후회합니다. 조선말기 당파싸움했던 거 보세요..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7 ай бұрын
옳은 말씀입니다. 👍🏻
@gwbctv-2593
@gwbctv-2593 7 ай бұрын
맞는말씀임. 호되게 당해봐야 정신 차릴거에요. 안타깝지만 한국의 국민성은 딱 그 정도임.. 근데 주식은 불노소득 아닌듯요
@user-ev9vm1oz6z
@user-ev9vm1oz6z 7 ай бұрын
마지막 말이 정답이네요 누구 감옥 보낼 생각만 하는 한국이 문제네요 양당이 한국 문제를 해결할 생각은 안하고
@kcastnet
@kcastnet 5 ай бұрын
문산군과 촛불 그리고 공산주의 그림자.....
@user-nu7bg3nq3v
@user-nu7bg3nq3v 7 ай бұрын
일본의 방향이 꼭 맞다고 볼 수는 없겠지만 교수님 강의의 취지는 굉장히 공감됩니다. 교수님 말씀이 공론화되면 좋을 듯 합니다.
@user-fg6sy7ou4h
@user-fg6sy7ou4h 7 ай бұрын
정말 좋고 필요한 토론 입니다 .
@Barber411
@Barber411 6 ай бұрын
여태껏 보았던 전문가들 말씀 중에 가장 공감이 많이 가는 분이네요 정확한 지적입니다 일본은 현 상황에 대해 엄청난 깊은 고뇌와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 상황을 유지하는거고 한국은 전혀 다른길을 갈거라고 봅니다.. 전 왜 그리스나 베네수엘라의 길을 갈거라고 보이는지 모르겠네요 참담합니다..
@user-yr4ur6hd6x
@user-yr4ur6hd6x 7 ай бұрын
박상준교수님보는눈이정확합니다
@user-bh1lu9kp3i
@user-bh1lu9kp3i 7 ай бұрын
정치인들의 생산적인 논의 공감합니다 뉴스도 서로 비방적인 내용만 가득해 피로도가 쌓입니다
@jinaoh9426
@jinaoh9426 3 ай бұрын
정확한 교수님의 분석에 댓글 안달 수가 없네요! 자주 나와주세요!!👍👍👍
@jsteacher1905
@jsteacher1905 7 ай бұрын
간만에 수준 높은 강의를 들은 것 같습니다. 언더스탠딩과 박상준 교수님 감사합니다.
@user-xw8ic6to5w
@user-xw8ic6to5w 7 ай бұрын
교수님은 세상을 정확히 보고 계십니다 역시 와세다 교수이십니다 공무원 생활하면서 가장 어려윘던 적은 임신한 직원이 배치되는 것입니다 말그대로 임신한 직원이 출산하러 집에 들어가면 인원이 보충되는 것이 아니라 나머지 직원이 업무를 분담해야 합니다 출산하러 들어가는 직원도 힘들고 남아있는 직원도 힘들죠 공무원 조직은 규정상 정원을 늘리지 못하기 때문이지만 기업은 바로 손해로 이어지는 문제죠 이게 출산율이 떨어지는 정확한 현실분석입니다 한때 공기업에서 무능한 낙한산 수장이 효율성이라는 미명하에 손쉽게 인력을 자르는 것이 유행한적이 있었죠 문제를 알고 더나은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 일본 국민의 집단지성이 두렵울 정도입니다 인원을
@user-ev9vm1oz6z
@user-ev9vm1oz6z 7 ай бұрын
일본 무시 못하죠 우리나라는 다들 너무 이기적
@user-tk9xd8gs5e
@user-tk9xd8gs5e 7 ай бұрын
아~이런 분이 서울대에 계셔야 하는데! 진정 나라와 국민을 생각하는 양심적이고 도덕적인 지성인을 처음 본 것 같아요~ 결국 기득권이 양보하고 주위를 돌봐야 하는데~어떻게 그런 사회분위기를 만들지~교수님 말씀대로 이런 말씀을 하시는 이런 지식인들이 많아져야 하겠지요~
@papago230
@papago230 7 ай бұрын
이교수님 참순진하시네요 일본은 20년간 임금 동결을 참는 노조 우리나라는 적자에도 임금상승 노조 파업
@chonghyunchong7301
@chonghyunchong7301 7 ай бұрын
교수님^^ 너무 공감있습니다 50~60 대 기득권 엄마 아빠들 10~20대 자식들을 위해 투표 잘 합시다 여야당 국회의원님 국민을 위해 일 좀 해 주세요^^
@user-su5bg8mr1w
@user-su5bg8mr1w 7 ай бұрын
30~40대는여ㅜ
@madduxly3228
@madduxly3228 7 ай бұрын
뭘 잘함? 둘 다 혐오로 먹고살면서 이미 폐급 집단인데. 새로운? 별로 기대는 안되지만 그 집단이 나서야지 ㅉㅉ
@iiliil_ilil
@iiliil_ilil 7 ай бұрын
결론이 투표 잘하자가 아니잖아. 누가되던 변화 없으니, 그쪽(정치)는 냅두고, 우리라도 사회적으로 합의를 하자는거지.
@user-px1ch5ie7w
@user-px1ch5ie7w 3 ай бұрын
김건희를 위해 일해야죠 ㅋㅋㅋㅋㅋㅋㅋ 이제 끝났어요 ㅋㅋㅋㅋㅋ
@SHEnHIM
@SHEnHIM 7 ай бұрын
일본 사람들에 비해 우리나라 사람들이 욕심이 심하죠. 짧은 기간에 고성장 원동력도 잘 살아 보겠다는 의지+욕심이 있어서 가능 했겠지만, 더 이상 성장이 되지 않는 나라에서 욕심이 남의 것을 빼앗아야 해소가 되니. 사기범죄 1위 국가인 이유가 괜한 게 아니겠죠. 나라 경제는 꼬꾸라 지는데, 욕심은 갈수록 더 심해 지고 있고... 코로나를 겪으며 폭발해서, 이제는 되 돌릴 수 없을 정도가 된 듯...
@sabinapark3017
@sabinapark3017 7 ай бұрын
젊은이들 취업문제 진짜 심각합니다ㅠㅠ출산 장려도 취업문제 해결 안하면 도루묵입니다.
@user-px1ch5ie7w
@user-px1ch5ie7w 3 ай бұрын
자업자득입니다.. 문재인때는 청년실업 그렇게 떠들더니… 지금은 입 닫았네여…. 들어보면 알지만 청년실업… 꾸준하게 나빴어요 ㅋㅋㅋㅋㅋ
@whiteasasa
@whiteasasa 7 ай бұрын
와 교슈님은 진짜 말씀 잘하시네요 😊
@gcaptain2133
@gcaptain2133 7 ай бұрын
상준갑 영상은 뜨면 무조건 봄. 표정, 어조, 리액션 다 얌전한데 따박따박 말한마디에 ㄹㅇ 가공할만한 흡인력이 있음. 무엇보다 뭔얘길해도 눈매가 늘 싱글벙글해서 계속보면 은근 기부니가 좋음. 다죽는다면서 썸네일서부터 이미 싱글벙글
@junchulkim9631
@junchulkim9631 7 ай бұрын
정확한 비유네요.
@user-ht5ot8nj5h
@user-ht5ot8nj5h 7 ай бұрын
부자였다가 가난해지고 있는 옆집 사람 우습게 보고 있었는데, 오랫동안 생존을 위해 내실을 다지고 있었다는걸 알게 되었네요. 우리도 빨리 생존을 위한 사회적 합의와 중대 결정을 해야 하는데, 그렇기 위해서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충분히 생각하고 토론을 거쳐야겠어요. 반드시 지금 해야 할 일인거 알겠습니다. 좋은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gwbctv-2593
@gwbctv-2593 7 ай бұрын
노노, 가난해지지는 않았어요. 일본은 여전히 세계 3위 강국이에요. 근데 일본은 20년전 세계 2위 -> 3위로 떨어진 정도이기 때문에 엄청 선방했으나, 과연 현재 13위인 한국은 몇위까지 추락할지.....
@user-rz9tx1bx5f
@user-rz9tx1bx5f 7 ай бұрын
남녀갈등하고 대통령 욕하느라고 그럴 시간이 없는듯요
@mapx2100
@mapx2100 7 ай бұрын
일본은 특유의 국민성에 기반한 그들만의 해법을 찾아나가고 있는 것 같네요. 한국은 뭘 하고 있는걸까... 지금의 1보 후퇴가 2보 전진을 위한 건지 아니면 2보 후퇴를 예고하는건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쉽지 않네요.
@user-sn9nr3fq4u
@user-sn9nr3fq4u 7 ай бұрын
이진우가 질서를 말할 때 설국열차에서 질서를 외치던 여자가 생각나네. 그냥 그렇다고. 우리나라가 일본처럼 내수중심의 국가였어도 과연 일본처럼 변화할 수 있었을까? 그러면 또 그에 맞는 궤변이 나왔겠지. 우리는 한 번 바닥을 치는게 맞을수도. 그러면 그 때 정신을 차릴거야. 우리는 항상 그래 왔으니까. 그 전까지만 나만 아니면 돼. 그러며 다들 각자도생하겠지. ㅎㅎ 일본이 왜 대한민국이 끝났다고 했을까? 지들이 갔던 길을 대한민국이 뒤따라 오고 있어서 선험자가 얘기해주는거지. 게다가 지들처럼 앞에 어떤 미래가 있는지 모른체 우리는 다를거야 하고 있으니ㅎㅎ
@user-eh9se1hj6y
@user-eh9se1hj6y 7 ай бұрын
저도 중국을 오가면서 25년을 살다보니 양국에 문제가 다 잘 보입니다. 오늘 교수님의 말씀을 들으니 공감이 갑니다. 나이든 사람들이 젊은이들 생각해서 많은 양보가 필요합니다. 나이든 사람으로서 젊은이들에 희망을 빼앗은것 같아서 미안한 마음이 큽니다.
@user-ei9rd7fu5j
@user-ei9rd7fu5j 6 ай бұрын
아주아주좋으신말씀이십니다다같이젊은이들을바르게바라보고인정해줄것은하루빨리인정하여야합니다요또한지적할점은지적해주고통밀되는대한민국하루빨리이루어중국과일본의샌드위치면합시다요오오드을~~~
@user-rq7cw4jq9i
@user-rq7cw4jq9i 6 ай бұрын
세대격차의 극단적인 수단이 부동산입니다. 고로 갈등해소의 통로는 의 자산가격을 낮춤으로써 무주택 청년들의 주거비용을 줄이는 것입니다
@yun-xi7fl
@yun-xi7fl 5 ай бұрын
노인이 양보하려해도 목구녕이 포도청인 분들이 넘 많아서 노인자살율이 넘사벽이지요
@user-zs4zp1wx4m
@user-zs4zp1wx4m 3 ай бұрын
​@@yun-xi7fl 수입이 하층인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것이 아니지요.
@user-jn8et2yx9y
@user-jn8et2yx9y 7 ай бұрын
내가 봤을때에는 한국은 아직도 개도국 마인드에서 못벗어나는 것 같군요 그래도 이것이 참인지 아는 사람들이 많은게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문제입니다 오로지 정권만 바뀌면 세상이 변화하는지 아는 무지함이 이 사회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SL-mc8jv
@SL-mc8jv 7 ай бұрын
일본인도 마인드가 별반 다르지 않네요.
@hyuns_bun
@hyuns_bun 7 ай бұрын
가난한 MZ세대가 스벅 가는 이유는.. 아메리카노 한잔 사면 하루종일 죽치고 있어도 쫓아내지 않기 때문입니다..ㅠㅠ
@JH-bn8qz
@JH-bn8qz 7 ай бұрын
아..... 슬프네요.. 글로 보니.
@user-li3vg2kl6l
@user-li3vg2kl6l 7 ай бұрын
박상준교수님 강의 감사합니다. 쉽게 알려주시는 경제. 삶에대한 태도에 도움을 받습니다.
@happyrrr-ov6vj
@happyrrr-ov6vj 7 ай бұрын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user-tt2gt2mg2v
@user-tt2gt2mg2v 7 ай бұрын
일본을 미워만 할것이 아니라 배울건 배워야됩니다. 좋은내용 잘 들었습니다.
@Bora_san
@Bora_san 7 ай бұрын
일본에서 제초작업시 풀 깎는 사람 옆으로 돌 튀지 않도록 펜스 들고 다니는 사람이 따로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일본이 비효율적이지만 동시에 편의와 안전을 위해서 사람을 좀 더 많이 뽑는 문화더군요.
@user-pu6td2kj4p
@user-pu6td2kj4p 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공공에서 제초작업할때는 그렇게 합니다 ^^
@nar-lk3ty
@nar-lk3ty 7 ай бұрын
​@@user-pu6td2kj4p군대는 사기업이었군요?
@user-iw6js1pm5g
@user-iw6js1pm5g 7 ай бұрын
@@user-pu6td2kj4p한다구요? 못 봤는데요 안하시는걸까요?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7 ай бұрын
한국은 갈등 지수 세계 1위임. 일본은 주제파악 잘 하고 형편에 맞게 사는걸 당연하게 생각하는데 한국은 주제파악 못하고 개나소나 좋은 대학 , 좋은 직장, 좋은 남자 , 좋은 여자 , 번듯한 집 . 개나소나 영끌 부동산 투자 , 영끌 코인 투자... 개나소나 명품(1인당 명품 소비액 세계 1위) , 외제차 , 대형차 , 골프, 해외여행, 오마카세 ... 개나소나 눈만 높은 이런 나라는 반드시 국가 소멸 합니다 . 장담 합니다. 19년간 자살율 세계 1위 인데도 남이 죽든말든 , 남이 고통 있든말든 매일 국뽕 먹고 "오~ 필승 코리아" 만 외치는 나라!!!!!!! 말 못하는 아기들을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 지금도 해외입양 시키는 나라. 초저출산 세계 1위 . 은둔형 외톨이가 61 만명. 한국에 대한 문제점을 말하면 "그렇게 불만이면 너가 이민 가라" "너는 어느 나라 사람이냐?!" "너가 게을러서 그렇다 . 더 노력 해라" "너나 잘 해라".... 전부다 개인탓만 하는 사이코패스적인 사회!!!! 매년 국적 포기자가 한국은 2만명 정도 , 인구 2.5배 많은 일본은 3천명 정도 . 일본 보다 16배 국적 포기자 많은 한국.
@kys9906
@kys9906 7 ай бұрын
@@user-pu6td2kj4p 매년 자전거도로에서 제초작업하는 거 자주 보는데... 펜스는 아직 한번도 못봤네요.
@bss4334
@bss4334 7 ай бұрын
일본에 대해서 우리는 제대로 배운적이 없군요 오해와 편견과 미움과 무작정 동경만 있을뿐이고
@Vivalarealvida
@Vivalarealvida 7 ай бұрын
이프로님. 중소기업이 인건비 밖에 내놓을게 없어 단가를 후려치는거라면 대기업도 해외에 내놓을만한게 가격밖에 없으니 협력업체 가격을 등쳐먹고 있는거지. 경쟁력이 있다면 다 주고도 경쟁력으로 먹고 살아야 하지 않나요?
@user-rz9tx1bx5f
@user-rz9tx1bx5f 7 ай бұрын
문제는 그런 중소기업들도 고용이 주로 외노자란 거죠. 고용이 외곽의 공장에서 발생하고 일이 험한데 최저임금이라 한국청년들은 외면하는 중.
@leopardofkilimanjaro
@leopardofkilimanjaro 7 ай бұрын
일본을 비웃지마라 일본이니까 이만큼이라도 하는 거다. 아무 생각없는 한국이 걱정이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7 ай бұрын
한국은 갈등 지수 세계 1위임. 일본은 주제파악 잘 하고 형편에 맞게 사는걸 당연하게 생각하는데 한국은 주제파악 못하고 개나소나 좋은 대학 , 좋은 직장, 좋은 남자 , 좋은 여자 , 번듯한 집 . 개나소나 영끌 부동산 투자 , 영끌 코인 투자... 개나소나 명품(1인당 명품 소비액 세계 1위) , 외제차 , 대형차 , 골프, 해외여행, 오마카세 ... 개나소나 눈만 높은 이런 나라는 반드시 국가 소멸 합니다 . 장담 합니다. 19년간 자살율 세계 1위 인데도 남이 죽든말든 , 남이 고통 있든말든 매일 국뽕 먹고 "오~ 필승 코리아" 만 외치는 나라!!!!!!! 말 못하는 아기들을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 지금도 해외입양 시키는 나라. 초저출산 세계 1위 . 은둔형 외톨이가 61 만명. 한국에 대한 문제점을 말하면 "그렇게 불만이면 너가 이민 가라" "너는 어느 나라 사람이냐?!" "너가 게을러서 그렇다 . 더 노력 해라" "너나 잘 해라".... 전부다 개인탓만 하는 사이코패스적인 사회!!!! 매년 국적 포기자가 한국은 2만명 정도 , 인구 2.5배 많은 일본은 3천명 정도 . 일본 보다 16배 국적 포기자 많은 한국.
@user-xq8tm5nm7s
@user-xq8tm5nm7s 7 ай бұрын
​@@user-ic1dj5tf7r일본도 늘어나고 있어
@SL-mc8jv
@SL-mc8jv 7 ай бұрын
일본은 세습정치 아래 국민들이 순종적이고 수동적 자세지 동남아 국민성과 닮았다고나 할까~ㅋㅋ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7 ай бұрын
​@@user-ic1dj5tf7r국적포기많은건 군대때문이지 ㅋㅋ 글고 딱봐도 너는ㅋㅋㅋ 능력도없고 외국도못나가는 사회부적응자같은데
@user-nw7yl7iu2f
@user-nw7yl7iu2f 7 ай бұрын
​@@user-ic1dj5tf7rㅠㅠ
@gwbctv-2593
@gwbctv-2593 7 ай бұрын
내용이 너무 좋아요. 유튜브에 이렇게 전문적인 콘텐츠를 풀어주는 채널은 거의 없는것 같아요. 화이팅
@user-zf5ck6vk3c
@user-zf5ck6vk3c 7 ай бұрын
이제 일본이 이해가 되네 안정을 위한 비효율을 선택한다.
@user-vp1jq2kc2m
@user-vp1jq2kc2m 6 ай бұрын
정말 알차고 의미 있는 강의 감사드립니다. 대한민국의 미래와 현실을 진단하는 안목의 방향을 제시해주신 것 같습니다. 일본은 20년동안 일본의 위기와 청년실업 등 경제위기에대해 끝없이 제기해온 언론이 있었고 사회적 공론화로 저임금 고용률의 방향성의 합의를 이끄는 데 역할이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언론은 연예인소식들과 갈대같은 이슈들의 잡음들, 정치계를 염두해두는 이슈공론화 등으로 경제문제에 집중을 못하게 된 측면도 없지 않은 것 같습니다. 물론 다양한 범죄증가와 공정한 사법체계의 문제가 대두되고 해결이 나지 않았기때문에 경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실질적인 접근이 미뤄지고 있는 듯 하기도 하네요..
@herwerld
@herwerld 7 ай бұрын
정말 차분하고 굉장히 큰 길을 보이게 해주시는것 같다 적어도 희망이란게 보인게 해주심에 감사한데 이런분이 국회의원이나 나라를 이끄는 데에 도움이 되면 참 좋겠다라는 생각. 언제나 한국의 뿌리깊은 빨리 빨리의 결과보단 이제는 질과 사람들이 서로를 배려하고 “같이” “잘살기”위한 보다 먼 시선으로 부디 좀..
@michaelshin8874
@michaelshin8874 7 ай бұрын
역시 이성적이시고 좋은 아이디어네요. 토론자체를 두려워하지 말고 솔직해지죠...
@hkanglee159
@hkanglee159 7 ай бұрын
30년에 걸친 체질화가 이젠 안정화 되었나 봅니다 한국 초고령화로 인한 경제 수축 기간이 알마나 될지~
@Janghun13
@Janghun13 7 ай бұрын
그러네요. 내가 체력이 떨어져서 한번 일하면 이틀 쉰다 가 기본이 되면 거기 맞춰 사는 것처럼
@user-yi8vu1gp1d
@user-yi8vu1gp1d 7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mireajoe5915
@mireajoe5915 7 ай бұрын
교수님이 얘기하는 일본이 변화해 가는 모습은 북구에서 이루어져 있는 시스템입니다. 한국도 앞으로 모두가 잘 살아가기 위해서 조금씩 양보를 할 각오를 사회적으로 인식되어져야 한다 봅니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7 ай бұрын
한국은 갈등 지수 세계 1위임. 일본은 주제파악 잘 하고 형편에 맞게 사는걸 당연하게 생각하는데 한국은 주제파악 못하고 개나소나 좋은 대학 , 좋은 직장, 좋은 남자 , 좋은 여자 , 번듯한 집 . 개나소나 영끌 부동산 투자 , 영끌 코인 투자... 개나소나 명품(1인당 명품 소비액 세계 1위) , 외제차 , 대형차 , 골프, 해외여행, 오마카세 ... 개나소나 눈만 높은 이런 나라는 반드시 국가 소멸 합니다 . 장담 합니다. 19년간 자살율 세계 1위 인데도 남이 죽든말든 , 남이 고통 있든말든 매일 국뽕 먹고 "오~ 필승 코리아" 만 외치는 나라!!!!!!! 말 못하는 아기들을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 지금도 해외입양 시키는 나라. 초저출산 세계 1위 . 은둔형 외톨이가 61 만명. 한국에 대한 문제점을 말하면 "그렇게 불만이면 너가 이민 가라" "너는 어느 나라 사람이냐?!" "너가 게을러서 그렇다 . 더 노력 해라" "너나 잘 해라".... 전부다 개인탓만 하는 사이코패스적인 사회!!!! 매년 국적 포기자가 한국은 2만명 정도 , 인구 2.5배 많은 일본은 3천명 정도 . 일본 보다 16배 국적 포기자 많은 한국.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7 ай бұрын
​@@user-ns8ki5dt2h이럼말하지말고 빨리떠 이런말하느벌레치고 잘난사람못봄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7 ай бұрын
@@user-ns8ki5dt2h 펙트는 반박못하고 ㅋㅋㅋ 니가 진짜 가고싶었음 벌써 갔겠지 니실력으론 베트남도힘들어셋꺄
@83nobleman
@83nobleman 7 ай бұрын
@@user-ns8ki5dt2h 굳이 뜰 필요 잇음? 미국 주식 사놓으면 되는 걸
@bluesky3017
@bluesky3017 7 ай бұрын
더욱 더 초 경쟁적 환경을 만들어서 인생의 부와 명예에 대한 변화를 개인별로 느끼기 쉬운 사회. 초경쟁에서 객관적으로 평가 받고 소수가 모든 과실을 가져가는 것이 좋다는 사람이 현실 속에서는 한국인의 의견 중 대부분이던데.... 댓글에서만 불만이 많군요.
@user-vw6je3lm6x
@user-vw6je3lm6x 7 ай бұрын
박상준교수님 항상 깊은 혜안과 울림있는 말씀 잘듣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rt6yn8wq4e
@user-rt6yn8wq4e 7 ай бұрын
굉장히 좋은 문제제기입니다.많은사람들이 공감하고,대책을 세우면 즣겠네요.물론 힘들겠지만요...
@wj-np4dj
@wj-np4dj 7 ай бұрын
이프로님 말씀과 교수님 말씀 참 잘들었습니다 두분 모두 역시 언더스탠딩~
@user-lx5ql5zh5y
@user-lx5ql5zh5y 7 ай бұрын
일본판사들이 솔로몬의 지혜를 보여주었네요. 한국인들은 일본을 우습게 알지만 일본은 전통을 중시하고 그 체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처럼 전통을 헌신짝 처럼버리는 나라가 따라갈수 없는 지혜가 있습니다.
@TV-rq2ki
@TV-rq2ki 5 ай бұрын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받았지 않느냐하는 무형의 이익을 인정하였네요. 좋은 판결이라고 봅니다.
@hyj7862
@hyj7862 7 ай бұрын
모든 문제해결의 시작은 문제를 인정하고 직시하는데 있다. 한국의 문제는 이제 한국은 더이상 3% 이상 성장할 수 있는 국가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프로님이 말하시는 '효율을 목표로 하는 경영 교과서'라는게 계속 3% 이상 성장하는 미국에서만 통용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드네요
@s5shilla181
@s5shilla181 7 ай бұрын
일본이 우리보다 낫다는 생각이 드네요. 한국은 건축회사 살리려고 소중한 세금을 부동산에 쓰고잇는데 말이죠
@user-if4jf8xg3h
@user-if4jf8xg3h 1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sophialee5103
@sophialee5103 7 ай бұрын
교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사항, 즉 고용이 안정되고 주택과 노후 문제가 없다면 그게 바로 선진국인 거 아닐까요? 결국 선진국을 결정짓는 큰 요인은 상생에 대한 인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서로 죽자가 아닌, 서로 살자는 생각에 있어 확실히 일본이 한국보다는 우월한 거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정치가 완전 썩어서 그게 가장 문제이고 해야 할 일은 안 하고 자기들 밥그릇 찾기만 바쁘고 하는 게 암울하기만 합니다! 안타깝지만 인정해야 할 명백한 사안 같습니다!
@user-nk2lx2iq2h
@user-nk2lx2iq2h 7 ай бұрын
차가운 날씨에 가슴 따뜻한 마음으로 PPT를 만드셨넹
@1750jyh
@1750jyh 7 ай бұрын
박교수님 ^^ 좋게 잘 하셔서 ^^ 잘듣고 있습니다.
@helonj3524
@helonj3524 7 ай бұрын
박교수님이 애국다십니다❤
@yellowlovely2140
@yellowlovely2140 7 ай бұрын
유익하고 재밌었습니다 다음에 또 나와주세요!!
@user-iv6yu3xi9n
@user-iv6yu3xi9n 6 ай бұрын
다 공감하고도 슬픈 진실이지만 어느 누구도 이런 이야기를 들으려하지 않다는것이죠. 내 배만 부르면 누구도 관심을 두지 않는다는 것이죠. 변혁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절실히 필요한 시기다. 정부가 강력히 주도해야 한다. 국민세금으로 월급 받는 이유가 아닐까.
@SS-xz3sw
@SS-xz3sw 6 ай бұрын
원댓글님도, 저도, 이 영상 보신 분들도 좋은 말씀 듣고 깨닫고 마음이 움직이잖아요. 작게나마 변화의 가능성이 움트고 있다는 것에 희망을 가져보자구요.
@user-wm9su4yk3h
@user-wm9su4yk3h 6 ай бұрын
이런 얘기 하는 분들 영상 엄청 많이 봤는데 박상준교수님 말씀 지적 최고입니다 대부분 일본은 망하고있고 우리나라는 일본을 이미 이겼고 이런얘기만 하는데 이분은 아주 객관적이면서도 날카로운 지적 많이 해주셨네요 진행자 두분이 이해할수 없다는 반응으로 앉아계신게 참 안타까웠는데요 한마디로 그게 바로 국민성이에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본이 칼문화였기 때문에 무서워서 반항이나 반대의견을 못내고 이렇게 생각하면서 무시하는 경향? 이 있는데 어쨌거나 일본사람들의 정신은 남다릅니다 대의를 위해서는 내가 참는거에요 무사문화고 뭐고 나라가 잘되려면 또 사회가, 내 직장이 잘되려면 조금씩은 양보해야죠 우리는 그걸못하기 때문에 합의가 안되고 엉망인겁니다 내가 왜 피해를 보냐 이런 마음으로는 잘 되길 기대할수가 없죠 저 교수님이 차마 이말씀은 못하시는것같았어요
@user-qq2uo4kw9n
@user-qq2uo4kw9n 6 ай бұрын
박상준교수님!자주 방송출연해추셔서 대한민국 일깨워주시는 전환점!의역활!절대적 필요합니다.언제나 감사드립니다
@camerata8165
@camerata8165 5 ай бұрын
사회자는 일본 무시해서 아니라보수꼴통마인드 그대로, 노상 하는 그말 그대로 하는 거예요.
@YJdaddy90
@YJdaddy90 4 ай бұрын
​@@camerata8165좌익꼴통마인드
@sunglee3935
@sunglee3935 2 ай бұрын
그러니 출산율이 0.65 지
@user-3p28ojoj12
@user-3p28ojoj12 7 ай бұрын
일본이 뭘 잘해서 그런게 아니라. 한국 다 못해서 그렇게 보이는것임.
@user-tk2fn3xo5t
@user-tk2fn3xo5t 7 ай бұрын
참 좋은 말씀입니다. 지금이라도 정신 차려야 하는데...
@alohamaui6288
@alohamaui6288 7 ай бұрын
존엄사 허용 논의를 시작하자
@maniac30739
@maniac30739 6 ай бұрын
건강한 60대라는게 참 신선한 비유네요
@user-ln4hi2hn4w
@user-ln4hi2hn4w 7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말씀이세요
@shinjongchan2807
@shinjongchan2807 7 ай бұрын
저도 나라가 잘사다고 내가 잘사는게 아니라는것을 요즘 느끼고 있었는데 많은 생각을 하게되는 내용이였습니다
@user-cx8lc4ho8c
@user-cx8lc4ho8c Ай бұрын
박상준 교수님 말씀 너무 맞는 말씀입니다. 저는 일본에서 40년을 살고 있는데... 교수님 말씀이 너무 맞습니다.
@ljs2358
@ljs2358 7 ай бұрын
지금의 대한민국 사회에 꼭 필요한 논의네요. 훌륭한 컨탠츠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어요~
@user-bb2qz1vy4i
@user-bb2qz1vy4i 7 ай бұрын
정치가 엉망인 무법천지 상황에서 경저 사회 문화의 문제가 자연스럽게 나아지고 변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망상이다. 신뢰할 수 있는 공정한 정치 풍토가 근본이 되어야 한다
@psw8989
@psw8989 7 ай бұрын
잃어버린 20년을 몸소체험한 일본인들이니까 잃어버린 20년때 얼마나 많은걸 해봤겠어요 이것도 해보고 저것도 해보고 그래도 국민들은 안되는걸 몸소느끼고 그러니까 2010년대 이후에서 쇠퇴하는걸 인정하고 한 방법이 통하더라잖아요 그래서 와세대 교수님 말이 일본처럼 잃어버린20년 겪고 나서 쇠퇴하는거 인정하고 시작하지말고 지금부터 하자는거잖아요 근데 이게 경험해보지 못했으니까 청개구리 마음이라고 아니 우리는 4차산업으로 혁신해서 생산성 높여서 다시 잘살아질건데라는 철벽같은 마음가짐이 최후의 마지노선마냥 있을텐데 이게 되겠냐 그거죠 항상 우리가 하던거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이이가 10만 양병설해도 안하고 임진왜란이 막상터지니가 난세의 영웅이 나오듯 당장 코앞에 닥치면 뭐라도 하게 될겁니다
@SS-xz3sw
@SS-xz3sw 6 ай бұрын
얻어맞기 전에 잘 좀 하고 싶은데ㅠㅠ 어쩔 수 없다면 적게 맞고 정신차릴 수 있기를
@jeongmyeongho6034
@jeongmyeongho6034 7 ай бұрын
정말동의합니다.
@misookkim3775
@misookkim3775 6 ай бұрын
교수님 역시 정확하게 짚어 주시네요. 고맙습니다.😂
@user-zp7fp3oc9w
@user-zp7fp3oc9w 7 ай бұрын
훌륭한안목과문제점을제대로제시하는 날카로운 통찰력 을가진교수님입니다.
@user-dq6do3ri4o
@user-dq6do3ri4o 7 ай бұрын
오늘 내용 너무 좋았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TV-sd2lw
@TV-sd2lw 5 ай бұрын
박상준 교수님 존경합니다 자주 나와 주세요. 메이저 언론도 나와 주세요
@user-du3nq2ip4p
@user-du3nq2ip4p 7 ай бұрын
대기업들의 양심 문제도 있는거 후려치고 기술 빼앗으니까
@gracefirst5597
@gracefirst5597 7 ай бұрын
교수님강의 정말 잘들엏습니다~
@user-tk6lq8le1z
@user-tk6lq8le1z 7 ай бұрын
교수님 좋은 말씀감사함니다❤
@user-zp8wy1vn6l
@user-zp8wy1vn6l 7 ай бұрын
진보인가 보수인가 가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빙자한 사리사욕을 노리는 세력 그로인해 국가와 국민이 피해를 받는 것이문제입니다 그것을 가려낼수 있는 안목을,그런 상황이 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gmk5801
@gmk5801 7 ай бұрын
감사한 강의였습니다. 일본도 뼈를 깎는 고난 후 많은 구조개혁을 실시했네요. 괜히 일어버린 30년 언급하며 일본을 내심 격하한 제가 부끄럽습니다.
@daesungkim9010
@daesungkim9010 7 ай бұрын
내가 늘 애기하지만... 잃어버린 30년이라고 하면서 모든 언론이나 한국인들은 조소 섞인 미소를 띄우면서 잘 됐다 라는 뉘앙스를 느끼는데..... 나는 이런 사람들을 보면 한심하다고 생각해 아니 30년을 제자리 걸음하는 나라를 못 따라잡은 우리는 얼마나 병신이길래 라는 생각이 먼저 드는데 말야... 30년동안 일본을 이기겠다는 나라가 아직도 일본 GDP의 1/3 이라는 게 말이 안 되지 않나? 가만 보면 말로만 일본 이겨야 한다 망해라 라고만 하지 실제로는 일본을 이길 생각이 없는 매국노만 있는 듯 하다
@user-oe4uh5mz1o
@user-oe4uh5mz1o 7 ай бұрын
1인당 gdp는 사실상 따라잡긴 했어요.
@illiliiilil
@illiliiilil 7 ай бұрын
⁠​⁠@@user-oe4uh5mz1o 한국이 일본 1인당 gdp 따라잡은적이 없어요. 명목기준 작년 예상으로 올해에 역전 한다고 되어 있으나 작년에 한국이 역성장한 덕분에 격차가 오히려 더 벌어졌어요.
@YSKim-sp2ue
@YSKim-sp2ue 7 ай бұрын
인구생각은 안하냐? 중국이 최고 선진국이냐? 인도가 우리보다 잘 사냐?
@user-xx9mu4ob4o
@user-xx9mu4ob4o 7 ай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chonghyunchong7301
@chonghyunchong7301 7 ай бұрын
너무 공감입니다^^ 기득권 좀 내려놓으세요 언론,공무원,국회의원,노조 등등^^
@chinocat8940
@chinocat8940 7 ай бұрын
노조는 빼라
@user-px1ch5ie7w
@user-px1ch5ie7w 3 ай бұрын
김거니, 박그네 이멍박이 빼돌린 돈 만 ~~ 다시 회수해도…. 윤서렬 술값만 회수해도 ㅋㅋㅋ 될듯
@user-in1je1mx8w
@user-in1je1mx8w 6 ай бұрын
알면서 기득권들이 안 하는 거지 특히 대기업과 관료 언론 정치권 다 한통속이지 절대 상생할 마음이 없는 거지
@Nami-rc1nj
@Nami-rc1nj 6 ай бұрын
국회의원같은 고위공무원들 월급 삭감 대한민국 국회의원들 2가구이상이며 강남3구아파트 보유자가 75%랍니다 대통령 외국순방비도 삭감하고 복지나 중소기업에 지원해줘야하는것 아닐까요?
@user-xl7xs8pp2n
@user-xl7xs8pp2n 7 ай бұрын
교수님 여기는 그런 지혜가 받아지려면 삼십년도 힘들것 같네요.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user-xq9fx4jd1b
@user-xq9fx4jd1b 7 ай бұрын
정말 어려운 문제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해답을 찾고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중요하겠지요
@vti84
@vti84 7 ай бұрын
내용이 너무 좋네요~ ㅎ
@Nami-rc1nj
@Nami-rc1nj 6 ай бұрын
출산율높이는 방법 1.아기출산 1명 20평대 임대아파트 2.2명출산 30평대 임대아파트 3.3명이상출산 40평대 아파트와 부모에겐 취업우선순위 2명이상출산 부모에겐 바우처 육아지원 6세까지 부모한분에겐 육아에 몰빵할수있게 해준다 초등학교 저학년 3년동안 등하원도우미지원 저리교육비지원 2명이상출산자에겐 대학등록금 1~2회지원
@user-jg9fj1lo8w
@user-jg9fj1lo8w 7 ай бұрын
한국 국민이 선택한 길입니다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은 우리의 착각 (박상준 교수/일본 와세다대학)
1:18:13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418 М.
일본의 황혼이혼이 갑자기 줄어든 이유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한순구 교수)
1:18:34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400 М.
Sigma Girl Past #funny #sigma #viral
00:20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54 МЛН
Just try to use a cool gadget 😍
00:33
123 GO!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85 МЛН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핵 보유국 인도 군대가 엉망진창인 이유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강성용 교수)
1:10:28
벼랑 끝 한국, 차라리 일본이 정답일까? (일본 와세다대학교 국제학술원 박상준 교수)
1:00:30
과학에 미친 영국은 이게 달랐습니다 (에스엔에이치연구소 민태기 소장)
1:12:10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48 М.
60조 원 몰빵 지원한 일본, 인도 시장 통째로 먹는다? (수출입은행 김기상 부장)
1:06:08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50 М.
버핏이 일본에 투자한 진짜 이유는 이겁니다 (한동대학교 ICT창업학부 김학주 교수)
57:02
전쟁이 앞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는 이유 (한동대 ICT창업학부 김학주 교수)
1:08:08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29 М.
중국정부가 갑자기 식량확보에 올인하는 이유 (이철 작가)
1:19:23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521 М.
유럽의 미래는 앞으로도 어둡다 (조선일보 손진석 기자)
1:10:51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21 М.
Sigma Girl Past #funny #sigma #viral
00:20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