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f.안유화 중국증권행정연구원 원장

  Рет қаралды 110,595

삼프로TV 3PROTV

삼프로TV 3PROTV

26 күн бұрын

시진핑 중국 주석이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는 등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중 갈등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자 하는 야욕은 물론이고 6개월도 채 남지 않은 미국 대선에서의 결과를 예측하며 운신의 폭을 넓히고 있죠. 미중 경쟁과 더불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양안 관계 속에서 중국이 그리는 새로운 세계 질서는 어떤 그림일지 안유화 교수와 함께 들어보시죠.
삼프로 앱에서 영상과 오디오를 한 번에!
- 삼프로 앱이 "확" 달라졌어요! 영상을 시청하다가 자유롭게 오디오로 들을 수 있어요.
-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지구본 연구소, 위즈덤 칼리지(구.일프로TV), 압권 등 모든 3PRO 유니버스의 방송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어요.
- 지금 바로 3PRO 앱 또는 웹을 만나보세요!
👉🏻 3protv.page.link/S7cX
💎 각 분야 최고의 투자 마스터들과 함께 하는 '삼프로 멤버십'
- 오직 멤버십 회원들만을 위한 비밀 콘텐츠
- 품격있는 투자 소통이 이뤄지는 전용 커뮤니티 공간
- 투자에 진심인 분들과 함께 건강한 투자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 10일간 무료 체험하기 : bit.ly/3QmOuP7
❤️당부 말씀
- 삼프로TV는 시청자의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안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늘 감사합니다^^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m/original/pds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유튜브 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096,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gygesring@naver.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 출연자는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Пікірлер: 345
@3protv
@3protv 24 күн бұрын
안유화 교수 유튜브 채널 : www.youtube.com/@anyuhuatv 네이버 연재 《메타버스 이코노미》링크: naver.me/Gmf03ZXS 안유화 교수의 첫 단독 저서 《더 플로》 예스24 : zrr.kr/cL2o 안유화독서투자클럽 13기 소개 : anbookstudy.creatorlink.net 시진핑 중국 주석이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는 등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중 갈등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자 하는 야욕은 물론이고 6개월도 채 남지 않은 미국 대선에서의 결과를 예측하며 운신의 폭을 넓히고 있죠. 미중 경쟁과 더불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양안 관계 속에서 중국이 그리는 새로운 세계 질서는 어떤 그림일지 안유화 교수와 함께 들어보시죠.
@user-up7fw8pk6b
@user-up7fw8pk6b 23 күн бұрын
😊😊😊😊😊😊😊😊😊
@user-yi4cm4di3t
@user-yi4cm4di3t 23 күн бұрын
💩💩💩💩💩💩💩
@C10NE7oll
@C10NE7oll 23 күн бұрын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너무 비겁해서 중국에 저항하지 못한다. 인간 전쟁으로 인해 지구가 멸망되는 것을 어떻게 피할 수 있습니까? 가장 좋고 빠른 방법은 '중국(PRC)을 5개국으로 분리하는 것'이다. 현재 두 전쟁 선발국의 지원자는 모두 중국(PRC)입니다. 더 많은 국가들이 새로운 전쟁을 시작하기를 원하며 그들의 모든 지원은 중국(PRC)에서 비롯됩니다.
@LGelectron
@LGelectron 20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철학이 어딨어ㅋㅋㅋ 겉 다르고 속 다른게 중국이지ㅋㅋㅋ
@anej4710
@anej4710 22 күн бұрын
두분 이야기를 시간 가는줄도 모르고 들었네요. 한국도 세계를 함 제패해봅시다.프랑스도 야심만만인데...
@user-og5be1oj2g
@user-og5be1oj2g 22 күн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즐거운 방송 감사합니다 .
@jiyongkim4513
@jiyongkim4513 23 күн бұрын
중국인은 한국에 오래 살아도 안바뀌는 사람도 많음.. 무조건 중국은 어마어마 하고 다 준비 하고 았다고 함. 중국업체랑 경쟁해보면 앎.. 개발 초창기에는 고객사에서 중국업체는 빠르고 정확하다고 엄청 창찬함. 근데 양산 들어갈 때쯤 항상 문제 생기고 잘 만들지 못하는 재품 100개 만들어서 5개씩 납품한거 다 들킴...
@user-pn9uq8wu1l
@user-pn9uq8wu1l 21 күн бұрын
너도 안바뀌는거 같은데. ㅎ
@user-gm8rm1cw9q
@user-gm8rm1cw9q 20 күн бұрын
언제적 소리를 하고계세요 ~나도 한국에 오래살고 있지만10년간 한국은 거이변화없어요~2~3년에 한번씩 중국들어가면 변화가 놀라워요~가장혁신적인 국가가 중국임은 틀리없습니다
@seseh7068
@seseh7068 20 күн бұрын
중국은 13억이 피땀흘려 1억의 상위 생활수준 유지시킴. 한국은 13억의 마인드를 보고 아직 저평가하고 중국의 1억은 이런 한국을 보고 의아해함. 중국이 이 13억의 의식수준을 개조하지 않는한 절대 평균으로는 한국을 따라올수 없는데 문제는 13억을 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화주의가 13억의 무지함과 합쳐져서 필요치 않은 대외적 마찰을 일으킴. 외부관찰자로 그 중화주의의 선택이 결국 반중감성을 세계적으로 심을 것 같음. 아킬레스건이 될것.(경쟁자도 헛점 파고 들어 엄청난 반중 프레임 구축중) 뭐 이번 출시했다는 중국철학 집성책도 보면 매우 깊이가 얕음. 결국 그냥 과거 중국의 영광을 되찾자가 코어임..모든 인간을 감동시키고 이해시킬만한 논리적 철학 목표 비전이 없는한 일본의 잃어버린 40년처럼 된통 당할거임. 서양인이 나서서 스스로 퍼뜨릴정도의 중국철학이 나와야 미국을 넘어설수 있는 일말의 가망성이라도 나옴.
@nakeaastuio-le6ou
@nakeaastuio-le6ou 18 күн бұрын
되게 빠르게 발전했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그손해나는걸 계속 빚내서 계속 지금까지 쌓아온거고 그래서 중국을 빚으로 세운경제라고 하는겁니다 그취약점을 막으려고 금융개방을 안하거고 근데 그빚으로세운경제는 결국 허상처럼 무너질수밖에 없다는거임 계속 성장하지못하면 그래서 지금도 손해보면서도 빚으로 계속 국유회사들 안망하게 하면서 계속손해보면서 빚돌려막기중이라니까요 미친듯이 물건찍어내고있는거임 돌력막기로 부자된게 그게 얼마나 위험한건데 그거터지면 일본버블의 몇십배가될거임
@user-pn9uq8wu1l
@user-pn9uq8wu1l 18 күн бұрын
@@nakeaastuio-le6ou님. 희망 사항.미쿡도 안망하는데? 어짜피 쭝은 체재도다르고 체급도 우리랑 다름.님말대로면 벌써 망했지. 이래서 편견 가진 사람들이 무시당하는거임
@user-ge9mj8db4n
@user-ge9mj8db4n 7 күн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좋아요
@user-ud9yb6it8z
@user-ud9yb6it8z 16 күн бұрын
정확한 해석 👍👍👍
@K-yi9rj
@K-yi9rj 23 күн бұрын
안교수님의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는 중국 입장으로 바라보는 세계 관점에서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 있습니다
@user-Name-is-Zeeko
@user-Name-is-Zeeko 23 күн бұрын
마크롱, "유럽은 유럽의 말을 해야 한다" 한국은 한국의 말을 하고 있는가... 아니면 미국을? 일본을? 대변하고 있는가
@user-xr5pd6bs7t
@user-xr5pd6bs7t 21 күн бұрын
그것이 한국 스탈입니다. 내부적으로 물고 뜯고 싸우고..
@user-ur9lc2zf3d
@user-ur9lc2zf3d 14 күн бұрын
한국엔 그유명한영화 이있자나 왜상을탔을까? ㅋㅋ
@yatingchen8571
@yatingchen8571 23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전세계중심인걸 알려주는 대표적인 교수죠 ㅋㅋ 중립적인듯 말하나 뒤에는 중화주의가 딱박혀있음 ㅋ
@addyeo5292
@addyeo5292 23 күн бұрын
이분은 확실히 친중 입장임 ㅎㅎ
@Tanghuru888
@Tanghuru888 21 күн бұрын
중국사람이에요...
@choiduhwan1979
@choiduhwan1979 24 күн бұрын
중국의 일방적인 측면 입장을 들어 볼 수 있는 강사로 보면 좋을거 같네요~
@user-wl4jh9uy1i
@user-wl4jh9uy1i 23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일방적도 아닌 미국의걸 전부 가져다 쓰면서 중국의도말하면 안되냐
@solsotti
@solsotti 23 күн бұрын
​@@user-wl4jh9uy1i 한국이 미국의걸 전부 가져다 쓴다 자체가 님 착각이죠 평소 쓰신 댓글모음보니 알만하네
@user-rh1ti5hm3r
@user-rh1ti5hm3r 23 күн бұрын
@@user-wl4jh9uy1i 중국의 일방적인 측면 입장 들어볼수 있다고했는데 왜 부들댐? 미국 끌어와가면서 부들대야할 일임? ㅋㅋ
@user-nn3uh6eg7c
@user-nn3uh6eg7c 23 күн бұрын
조선족인듯..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23 күн бұрын
ㅎㅎㅎ 중국의 입장도 당연히 들어봐야 합니다.. 그래야 수를 쓸 수도 있는 것. 다른 댓글들 보면 불편하다느니 뭐라하는데 진짜 수준 떨어집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거늘... 얄팍한 사고방식에 한국 이대론 괜찮나...싶은 지경.
@user-ek9oo1pz6q
@user-ek9oo1pz6q 9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게 들었습니다!! 넓은 식견과 안목이 느껴집니다!!
@user-ge9mj8db4n
@user-ge9mj8db4n 11 күн бұрын
안교수님 최고 최고
@josephhwang9936
@josephhwang9936 24 күн бұрын
안원장 말 행간에 중국의 의도를 간접적으로나마 읽을수 있어서 좋았다. 다른 나라가 그러하듯. 현실을 직시하되, 철저히 `Korea first`.
@user-Name-is-Zeeko
@user-Name-is-Zeeko 23 күн бұрын
ㅋㅋ 아메리칸 퍼스트겠지... 미국의 한 부속물처럼
@guangxingqi5390
@guangxingqi5390 20 күн бұрын
안교수님 자주 3프로에서 보면 좋겠습니다
@Korykang.0526
@Korykang.0526 23 күн бұрын
우리는 서방중심적인 사고만 하다가 중국의 시선에서 바라보니 너무 유익한데 적을 먼저 알아야 대응이 가능하지 않나요? 안유화 교수님 얘기를 듣다보면 내가 얼마나 사고가 좁았는지 느끼게 되고 신선합니다 저 말을 듣고 와 중국이 세계최강이다 중국이 최고다 이런 생각하는 분이 과연 있을까요?
@kwen1157
@kwen1157 23 күн бұрын
지구상 모든 국가들의 집권정부는 전부 자국의 이익기준으로 움직이는게 맞지요... 우리가치관이랑 안 맞으니, 너도 바뀌 내말대로해 입장차이 일뿐.... 주먹이 쎄고 여룐을 잘이용하면 누구는 정의 누구는 악의축이 되는법 ...ㅎㅎ
@Tanghuru888
@Tanghuru888 21 күн бұрын
가랑비에 옷젖는 법입니다.
@user-os9pi4vm1b
@user-os9pi4vm1b 23 күн бұрын
국정원을 빨리 복원시켜야 한다
@user-ft4ju7cr3y
@user-ft4ju7cr3y 13 күн бұрын
중국에대해서 과대하게평가하거나 편파적평가하지않고 정확한 설명을하고있다에 박수! 세계 경제를 공부하고있거나 좀 인식하눈사람들은 공감함! 우리 젊은세대들 좀 배워갑시다.😂
@yu-fm1oz
@yu-fm1oz 23 күн бұрын
개의 운명
@soyeonbaek7684
@soyeonbaek7684 20 күн бұрын
김프로님 찾아 삼만리 했었어요 뵙고싶었어요~~
@cdh8983
@cdh8983 22 күн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시각이 정확 하시네요. 러시아 가스의 새로운 시장으로 중국이 급부상 한다면 많은 변화가 있을 겁니다. 추가로 러시아의 야말 가스전을 비롯한 북극해 가스가 저렴 하게 중국에 공급 된다면 석유화학과 에너지 쪽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단적인 예로 유럽 석화 쪽은 타격이 아주 커서 급하게 공장 이전을 서두르고 있죠. 우리나라 석화기업들도 신경을 많이 써야 합니다. 우리나라에 장점은 중국이 가스 난방 하면 미세먼지는 좋아 지겠지만 세계 공급망 변화에 빠르게 대처 못 하면 큰 어려움에 빠질수 있습니다.
@user-po5fw3gs5g
@user-po5fw3gs5g 7 күн бұрын
한국핵무장
@hcc-wx2ml
@hcc-wx2ml 21 күн бұрын
한국산 배터리만 노났죠. 중국산 대체는 한국산 배터리뿐이 없고 중국산 전기차 100% 관세가 중요한 게 아니라 중국산 배터리 25% 관세가 중요하고 중국기업 미국 현지 생산이나 멕시코 등 주변국 우회 생산뿐만 아니라 중국산 배터리 원부자재 포함된 배터리도 모두 미국이 제재하고 있고 이미 원부자재 조달 방안까지 다 마련해둔 미국이라 한국은 대박남.
@user-ql2qc2ec8r
@user-ql2qc2ec8r 23 күн бұрын
공산당원 1억 그 따까리 3억 30으로 70을 먹으려 하는데 중국은 망하게 되있다
@user-cr1pu5sp1o
@user-cr1pu5sp1o 20 күн бұрын
인상 쓰면서 강압하는 상대와 웃으면서 착취 하는 상대 사이에서 등이 터지는 국가 같다는 생각에 암울 하네요
@user-ct8jp5gm6d
@user-ct8jp5gm6d 23 күн бұрын
두망강하류에다 항구도시를만들기로 결정됏다..그러면 러시아 중국 몽골 북한4개국에 일본 한국도 ..
@qianjili9643
@qianjili9643 24 күн бұрын
한국에 엄청난 기회가 왔다.어떻게 잡을지 ? 지혜가 필요한 시기이다.
@user-lk5xn8wl4x
@user-lk5xn8wl4x 24 күн бұрын
😊😊😊
@apsarasapsaras2903
@apsarasapsaras2903 24 күн бұрын
타이틀이 참 자주 바뀌시네 저 양반... 타이틀이 자주 바뀌면 뭐다?
@hhj2238
@hhj2238 23 күн бұрын
김프로님 세계글로벌시장의 큰그림을 말해줄수있는 한양대 OOO교수와 안유화교수의 토론을 함께 준비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user-ju3np4dp4k
@user-ju3np4dp4k 23 күн бұрын
러시아와 중국이 한번 붙으면 재미 있겠네 언젠간 시끄러울 겁니다
@user-vn9mu8vf6d
@user-vn9mu8vf6d 24 күн бұрын
알리 테무 문제가 있는건 확실함 싸서 좋긴한데 정작 사보면 쓸 수 없는 물건 사기물건 너무 많음 차라리 문제있는 제품들 받아줄 한국지사 필요하다고 봄 그리고 2차전지 안정성 없는거면 그렇다고 치는데 이제품으로 인해 2차적 피해 발생하면 큰문제로 바뀔 가능성 있음 그래서 중국 제품들중에 일부 배터리 들어간 물품들은 최대한 몸 가까두고 다님
@kwen1157
@kwen1157 24 күн бұрын
안사면 피해없는게 테무 알리지요... 천원내고 만원품질 요구하는것이 웃긴일 .....
@user-vn9mu8vf6d
@user-vn9mu8vf6d 24 күн бұрын
@@kwen1157 똑바로 이야기 해야죠 중국에서 천원에 때와서 한국에서 만원에 파니까 이사단이 벌어졌죠 그렇다고 as대응 해준적도 없고 팔고 나서 입닦는거 수입업자나 테무나 알리나 다를바 없으니 차라리 보상을 요구할수있는 쪽이 났죠? 그러니 테무나 알리서 사죠 쿠팡, 지마켓 다를거라 생각 합니까?
@kwen1157
@kwen1157 24 күн бұрын
@@user-vn9mu8vf6d 중국내부에서는 테무 알리 AS잘됩니다, 물건은 됬고 돈만 환불해주는 시스템이 잘되있슴...전에 경우는 수입업자가 지금은 알리나 테무가 해결해야할 문제이고....제 요지는 많은 소비자들이 천원내고 만원짜리 품질요구하는 현상이 이해안된다는것을 얘기하는 거죠
@oikddja9872
@oikddja9872 23 күн бұрын
싸구려만 사지말고 중국에도 중간급 이나 고급 상품도 사세요.
@psh6116
@psh6116 23 күн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_
@user-nr1se7qi3z
@user-nr1se7qi3z 22 күн бұрын
관세로 중국 을 죽을수있나.???
@user-so1jp9pm5n
@user-so1jp9pm5n 20 күн бұрын
중국을 죽일려고 하는게 아니라 선거에서 이길려고 하는거임,결과가 중요한거 아님
@Cococo-kx5wh
@Cococo-kx5wh 16 күн бұрын
중국분렬되면 아시아가 혼란스러워져😮 두번째 중동… 러시아 일본 인도 다들 가만히 있을수는없고 한국은 무슨 역할 하게될까🫡🫡🫡
@unjaeshin9941
@unjaeshin9941 23 күн бұрын
문화의 깊이가 있는 국가에서오신분의 깊이있는 식견 정말 대단 우린 문화의 깊이를 갖지 말자 도저히 연구하는 사람의 의견이라 생객이 안듬 도저히 못듣겠다
@user-os9pi4vm1b
@user-os9pi4vm1b 23 күн бұрын
뭔말야
@user-fr2pf1uw3c
@user-fr2pf1uw3c 22 күн бұрын
한국인인척 하려면 제대로 하쇼. 번역기 엉망이라 다티남. 중궈들 음습하게 왜 한국인인척 하는거야?소름돋게스리.
@user-ct3rh9zt4w
@user-ct3rh9zt4w 19 күн бұрын
러시아나 중국이나 남에 나라를 탐내지않으면 자유로운나라를세우면 서로 협력하여평화롭게 살텐되요 ㅠㅠ
@user-rl1wx1rb5f
@user-rl1wx1rb5f 24 күн бұрын
안유화 중국인이 중국 방산에 투자하라고 해서 소름 끼쳤는데 뼈속까지 진 중국인이네. 중국이 부국이 되면 중국은 방산을 강화하고 아시아는 전쟁으로 늪으로 빠지게 된다. 항상 중국은 침공했다.
@Sophia1184
@Sophia1184 23 күн бұрын
맞아요. 그러고는 항상 망했죠. 중국 역사가 답을 보여주네요
@user-fu9lt9sl8q
@user-fu9lt9sl8q 23 күн бұрын
미친소리항상미국이침공하고 한국일본이따랏다.
@user-rl1wx1rb5f
@user-rl1wx1rb5f 23 күн бұрын
@@user-fu9lt9sl8q 언제 미국이 침공함?
@user-rl1wx1rb5f
@user-rl1wx1rb5f 23 күн бұрын
@@user-fu9lt9sl8q 송나라빼고 한국을 침공함
@user-rl1wx1rb5f
@user-rl1wx1rb5f 23 күн бұрын
@@user-fu9lt9sl8q 중국이 침공한 나라 한국 태국 미얀마 인도 위그루 티벳 베트남 몽골 만주 돌궐
@raybrown5890
@raybrown5890 24 күн бұрын
삼국지?..전설속의 뻥튀기 소설말인가? 역시 중국과는 결코 섞일 수 없다. 삼프로..나중에 중국스파이로 역풍 맞지말고 돈에 너무 환장하지마라. 엿되는 수가 있자.
@user-ql2qc2ec8r
@user-ql2qc2ec8r 23 күн бұрын
중국의 문제는 농촌 있는데 무슨 정치경제를 말할까 중국인구 중 농민이 반인데 국민 70을 안고 못가는 국가는 바로는 아니라도 서서히 망한다
@coryodang8018
@coryodang8018 24 күн бұрын
중국이 미국채를 팔아버리고 금을 대량 매입하는 것을 보면 앞일을 준비하는 것이 명백. 양자 전쟁시 한국이 끌려들어갈지 걱정.
@kwen1157
@kwen1157 24 күн бұрын
한국이 조금 이상한 증세가 보이면 북한이 움직일거임.... 대만은 먹히거나 미중 전쟁을 3차대전 일어나는 시발점 요것 밖에없슴....
@psh6116
@psh6116 23 күн бұрын
빨리 다음편도해주세요.
@thek.nightweretiger5969
@thek.nightweretiger5969 24 күн бұрын
안유화는 중국 공산당의 시각을 드러내준다는 점에 있어서 귀하다. 듣는데 나는 짜증만 참을 수 있으면.
@user-cd2nl6te1q
@user-cd2nl6te1q 23 күн бұрын
고생했다
@user-gs4fo3br6g
@user-gs4fo3br6g 23 күн бұрын
짜증나면 안 듣으면 되는데 참느라고 고생 많네
@thek.nightweretiger5969
@thek.nightweretiger5969 23 күн бұрын
@@user-gs4fo3br6g 눈치안보고 공산당 입장 대변해주니까. 내가 알기론 중국공산당 당교 교수로 있다가 성대랑 교환교수 비슷하게 해서 한국 온 걸로.
@Sophia1184
@Sophia1184 23 күн бұрын
동감이요. 중국 공산당의 의도 파악하는 정도가 이 분의 쓰임새임
@user-xr5pd6bs7t
@user-xr5pd6bs7t 21 күн бұрын
지피지기 백전불태
@qiaoshan2601
@qiaoshan2601 9 күн бұрын
제발좀가라 사랑하는 중국으로!
@jok2759
@jok2759 23 күн бұрын
팩트 우편 연합 맹점 악용한 테무 알리 우편 비용 한국 내 발송 부분은 한국 우체국이 지불해야 해서 체신청 적자 보는 중
@user-qc2wx1bv5h
@user-qc2wx1bv5h 23 күн бұрын
안유화 교수님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
@user-to1fb5ob6r
@user-to1fb5ob6r 23 күн бұрын
안교수님 입장은 이해하나...교수님 중국은 사드사태때 우리나라에 대한 외교에 있어서 전략적 오판을 한게 가장 크다고 봅니다. 물론 우리나라도 실수 한게 있긴 하지만 미국 우방국중에서 유일하게 중국의 전승기념일에 참가한 나라는 우리나라 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전쟁까지 치른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한국의 상황에서 미국과의 군사동맹은 절대 가치로 인식되고 있는데 사드배치를 문제삼아 우리나라에 행한 짓은 한국민 입장에서 도저히 참을 수 있는 외교적 선택이었습니다. 뿐만아니라 그 방법 마저도 강압적 굴역적있었으며 마치 과거 속국 대하듯이 눈깔고 무릎끓어식 폭압적 강요를 했습니다. 대한민국 중에 이걸 참을수 있는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이 상황에 중국에 있어서 대만의 중요성을 말하시는데 반대로 얘기하면 중국이 우리나라와 일본의 목줄을 쥐고 흔들수 있다는 소리인데 사드사태때 중국의 횡포를 겪은 우리나라 입장에서 중국이 대만 점령하는걸 어떻게 바라보겠습니까? 중국이 한국에 대해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는 지는 모르지만 중국의 대한 외교는 실패해도 한참 실패 했습니다.
@user-7jwej29n23
@user-7jwej29n23 22 күн бұрын
사드를 반대 한다는 논리가 중국이 제재할것이라고 떠든 사람들이 누구인지 잘생각해보면 됨 그런사람들이 집권하니 그럼 제재해주지요. 지들이 떠들엇는데
@Tanghuru888
@Tanghuru888 21 күн бұрын
사드가 아니라도 다른 이유를 찾아서라도 혐한 분위기를 만들었을 겁니다. 왜냐면, 결국에는 우리나라랑 군사력으로 한번 엮여야 하거든요..., 북한 문제때문에라도... 그럴려면, 자국내에 엄청난 바람으로 불고 있던 한류를 잠재워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왜냐면, 전쟁하는 연령대의 사람들이 한류에 파묻혀서 한국을 숭배하면, 전쟁이 필요할때 상당한 반발이 일어나기 때문이죠... 1900년대 초 일본도 조선을 먹기위해서 사전작업으로 혐한을 자국민들에게 조직적으로 퍼트리고 교육을 했었습니다.
@user-ts2kl8eg2u
@user-ts2kl8eg2u 24 күн бұрын
싸구려점쟁이 같은 것은 뭐지!
@user-zj5vx3dh5f
@user-zj5vx3dh5f 22 күн бұрын
어찌됐든 내가 아닌 타인을 존중하는 정상적 표현으로 오시면이 맞지 ...
@user-zj5vx3dh5f
@user-zj5vx3dh5f 22 күн бұрын
덧붙여 . 나보다 어릴지라도
@user-zj5vx3dh5f
@user-zj5vx3dh5f 22 күн бұрын
아무래도 권위주의 국가라서 여러 오해와 소란으로부터 조심하자는 취지겠지만 예의에 바탕하면 오시면에 굳이반감 어필까지는 지나친 듯
@DAOYINGLI
@DAOYINGLI 13 күн бұрын
우리는아무리그래두야쿠자는이겨야돼
@user-qf5yj2bj1y
@user-qf5yj2bj1y 23 күн бұрын
미국은한국을 등수로 친다면 몇십번째로 갈까 .한국이 착각에 빠지는거 아닐까
@user-lc8kg9rc5f
@user-lc8kg9rc5f 23 күн бұрын
중국 예찬 잘 들었습니다 ㅋㅋ
@u_tuv
@u_tuv 21 күн бұрын
동북아에서 민족이 세운 국가 역사로 치면 한국 역사가 제일 긴데?
@seseh7068
@seseh7068 20 күн бұрын
벌써 금융전쟁은 일어났고 미국 서방 호주 연합이 총공격에 들어갈것. 새우등 안터지깅 바랄뿐
@user-lb3vs1sl1e
@user-lb3vs1sl1e 21 күн бұрын
중국 위주로 세계 질서가 재편 되는건 반갑지 않지만 우리나라는 늘 일방향 외교만 하다 신흥 부상국을 무시하다 골로 간 경험이 자주 있엇어요 임진왜란도 일본을 무시하다가 벌어진 거고 늘 중국에(당시엔 미국같은 존재) 사대하다가 만주족 오랑캐 청나라에 굴욕 당하고 병인양요 신미양요도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합니다 과거 중국에 사대한거 처럼 미국에만 충성심으로 사대하면 안된다고 생각해요
@Tanghuru888
@Tanghuru888 21 күн бұрын
동감합니다만..., 중공이랑 잘 해 보고 싶어도..., 중공은 너무 오만해요... 주변국에 대한 예의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본인들이 맨날 주장하는 대국이라는 것에 대한 어떤 대인배적 기질이나 이런 것도 없고... 주변에 이웃 등쳐먹을려고, 잔대가리 맹렬하게 굴리면서 행동하는 동네 밉상 졸부를 보는 느낌이라... 협력하기가 거시기 합니다. 제가 볼땐, 군사력 강화만이 살길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핵무장... 숫자도 백단위 이상 200-300기 수준은 되야 한다고 보구요... 그정도 되면 중국도 함부로 공식 석상에서 소국이니 어쩌고 떠들지 못하겠죠...
@jomin5860
@jomin5860 8 күн бұрын
그럴듯한 말로 선동질하는것도 참 말은 그럴듯해 보이지만 앞뒤하나도 안맞는 말만 하면서 똑똑한척하네 ㅉㅉ
@user-zc8pn8mb5p
@user-zc8pn8mb5p 21 күн бұрын
국제정치에먹통이다
@yuna90s45
@yuna90s45 24 күн бұрын
이분은 은연중에 한국이 이리이리 잘하고 있다. 그럼 그거 다 중국이 먹었다는 식으로 중국을 높임. 헝가리 2차전지 먼저 투자하고 정착한거 한국인데 중국이 다 구축했다. 미국에서 한국제품 시작이 넓을거 같다 그러니 러시아 한국대신 중국이 다 먹었다. 미국과 러시아 시장규모나 소비력이 같나? 거기다 중국이 미국이나 유럽 공략하기 위해 공장 이전하면 중국내 그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는건데 국민들은 더 삻이 힘들어질거고 그건 정치적 부담이 될텐더 그런문제는 지적하지 않고 중국은 안무너진다 이런소리만 한다. 지금도 중국내 일자리 문제 심각해 지고 있지 않나?
@user-ko9jz4ot9n
@user-ko9jz4ot9n 23 күн бұрын
불편하세요?
@user-rh1ti5hm3r
@user-rh1ti5hm3r 23 күн бұрын
@@user-ko9jz4ot9n 저 사람 주장을 요약하고있는데 진짜 불편한건 님 아님? ㅋㅋ 그냥 어떤사람이 이야기한거에 이악물고 박수치기만할거면 중국정치랑 다를게 뭐임? ㅋㅋㅋ
@user-os9pi4vm1b
@user-os9pi4vm1b 23 күн бұрын
@@user-ko9jz4ot9n 안불편하세요? 쭝꿔인가
@user-ko9jz4ot9n
@user-ko9jz4ot9n 23 күн бұрын
@@user-os9pi4vm1b 아닌데요?왜요? 불편하세요?
@user-os9pi4vm1b
@user-os9pi4vm1b 23 күн бұрын
@@user-ko9jz4ot9n 안불편하구나 ㅋ
@user-of5ze1ui4g
@user-of5ze1ui4g 22 күн бұрын
한탕 해 쳐먹으려는 고귀하지 않은 국가와 미래를 설계 하는 고귀한 국가 그런 차이가 있었네
@user-yg1kb1tp2i
@user-yg1kb1tp2i 20 күн бұрын
이제 일아니 아디발😮😅
@hk0445
@hk0445 23 күн бұрын
극혐
@user-iy4th5js7o
@user-iy4th5js7o 24 күн бұрын
러시아가 중국과 진심으로 협력할까? 협력하면 할수록 중국에 잡아 먹힌다는걸 누구보다 잘 알텐데? 우크라이나 문제가 매듭 지어지면 러시아는 중국을 견제할 수 밖에 없음
@kwen1157
@kwen1157 23 күн бұрын
유럽에 그렇게 호의를 배풀어도 맨날 무시당했고 적국처럼 대했는데...중국과 손않잡으면 더이상 기회없슴.
@user-iy4th5js7o
@user-iy4th5js7o 23 күн бұрын
@@kwen1157 호의라? 러시아 주변나라들이 나토에 가입한 것은 푸틴 집권 이후에 자국 안보에 위험을 느껴서 인데 그 나라들이 러시아를 침공할려고 가입 했다고 생각함?
@user-gu6zu2nh5e
@user-gu6zu2nh5e 22 күн бұрын
옆집보다 앞집 보면서 하시면 감사 드립니다
@Cococo-kx5wh
@Cococo-kx5wh 16 күн бұрын
조선언어 중국에있으면서 만이변했지😊
@user-wg7fi7qs3j
@user-wg7fi7qs3j 18 күн бұрын
중국과 러시아는 왜 이웃 국가를 침략하는가?
@Cococo-kx5wh
@Cococo-kx5wh 16 күн бұрын
와 중국은뭐했다고 ??? 꼭미국에 꿀어야된다는거야?
@user-op7mk4vt4m
@user-op7mk4vt4m 23 күн бұрын
하얼빈과 연변은 천리길...
@user-zm2gs9wh4e
@user-zm2gs9wh4e 13 күн бұрын
러시아가 나토가입하겠다니? 말이안되는 이론 입니다. 나토가 뭔지 확인 먼저 해주세요.
@user-to1fb5ob6r
@user-to1fb5ob6r 24 күн бұрын
반갑습니다. 김프로님
@user-rk7nh8kp3m
@user-rk7nh8kp3m 22 күн бұрын
세계개방 그면. 뭐하노 롯데처럼 망하고 나오는데
@leebobkyung390
@leebobkyung390 22 күн бұрын
안유화씨 국제정세 쉽고 유익하게 잘 들었습니다
@user-qr8se7kj6r
@user-qr8se7kj6r 24 күн бұрын
중국의 헛된꿈 시진핑의 망상을 들었습니다 ㅋㅋㅋ
@qqqccc-dm9hq
@qqqccc-dm9hq 24 күн бұрын
망상이 뭔가요?중국이 망한다고 분열된다,그기에서 하나 줏겠다 70년전부터 한 생각을 망상이라고 함
@user-wv1fd6lv7s
@user-wv1fd6lv7s 22 күн бұрын
마이크 성능문제?
@PureWhiteU
@PureWhiteU 24 күн бұрын
무조건이란다 ㅋㅋ 중국이 한짓을 모르는척하네, 중국사람인가?
@user-cd2nl6te1q
@user-cd2nl6te1q 23 күн бұрын
니가 느끼는걸 한국인은 다 느껴
@jeendeer
@jeendeer 12 күн бұрын
한국이 한짓을 아는 중국인이 맞지
@ch_5651
@ch_5651 20 күн бұрын
삼국지 시대인가😢
@user-mh9ls7iq7k
@user-mh9ls7iq7k 24 күн бұрын
아깝다. 남의 속내를 알다니~ 점쟁이 빤스를입었나
@user-hz9rn5iw7u
@user-hz9rn5iw7u 19 күн бұрын
중국~지겹다
@user-iy4th5js7o
@user-iy4th5js7o 24 күн бұрын
중국의 공급망 안에 들어가는 순간 중국의 갑질에 고개를 숙여야 하고 그게 중국이 꿈꾸는 세계질서지~
@kwen1157
@kwen1157 23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안그랬나?
@user-xd7mo4pe2m
@user-xd7mo4pe2m 22 күн бұрын
그래? 허모 인도에 머리숙이고 인도산을 쓰머 되잔어! 아~ 맞다 베트남도 있잔어!
@user-iy4th5js7o
@user-iy4th5js7o 22 күн бұрын
@@kwen1157 맞아 결국 미국에 고개 숙이느냐 중국에 고개 숙이느냐인데 미국은 적어도 수천년간 자기네 속국었다, 모든 문화는 자기네에서 비롯됐다는 멍멍거림은 안하지
@kwen1157
@kwen1157 22 күн бұрын
@@user-iy4th5js7o 미국이 몇백년 역사밖에 없으니까 그런것 못하지...근데 미국이 하는 행동을 봤을때 그냥 양복입고 말만 번지르르하는 날강도임
@user-iy4th5js7o
@user-iy4th5js7o 22 күн бұрын
@@kwen1157 말귀 못알아 먹냐? 미국 역사가 몃백년이든 몇천년이든 우리와 관계 없지? 미국이 날강도인건 맞는데 중국과는 다르게 최소한 명분은 갖추거든~ 한푸 입고 대놓고 양아치짓 하는 중국은?
@user-mk4fu5tz8c
@user-mk4fu5tz8c 21 күн бұрын
중국 못난이 화이팅
@user-dt8fj5zw8g
@user-dt8fj5zw8g 16 күн бұрын
중국인좀 아라오게 해주세요
@user-gs1im2dv9v
@user-gs1im2dv9v 23 күн бұрын
안교수님 오늘도 화이팅. 옷이 참 잘 어울려요.
@user-iz4or1pv4v
@user-iz4or1pv4v 24 күн бұрын
너무너무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kissday8
@kissday8 22 күн бұрын
저번에도 그렇지만 객관적으로 말하는거 같으면서도 중뽕에 취한 느낌
@huacho4104
@huacho4104 21 күн бұрын
일반적으로 큰 다 민족 국가는 정통성과 단합을 위해 독재성향이 짙은 쪽으로 갈수밖에 없습니다. 일반 평민한텐 민주제도가 좋긴하나 너무 개성을 중요시 하다보니 국민모두가 맨날 편갈라 싸우기에 정력 퍼붓다 보니 불 필요한 국력소모가 너무 심해서 쩍하면 선거로 상대를 묻어 버릴려 드니 심하면 나라도 저들끼리 쉽개 분렬 시킬수 있습니다
@sungjinpark8628
@sungjinpark8628 24 күн бұрын
중국에 오래된 역사가 있나? 참고로 난 중어중문학과 졸업하고 중국 천진에서 유학도 했다. 문화대혁명으로 본인들의 수천년 역사를 파괴하고 중국공산당이 만든 문화만 향유하다가 몇몇 돈되는 문화(삼국지,수호지등)만 돈벌이로 개발하던 나라인데. 젊은이들이 누리던 대부분의 문화는 일본, 한국에서 온거였고. 그런 주재에 오래된 문화를 가진 나라의 특성? ㅋㅋㅋㅋ
@user-si9gr3gt3c
@user-si9gr3gt3c 23 күн бұрын
분서갱유를 했다고 진나라이전의 역사가 지워지는 것도 아니고 문자의 옥때문에 청나라이전의 역사가 지워지지 않는다. 문화혁명10년으로 중국사 4천년이 지워진다고? 무슨 자기위안이람?
@kbp0412
@kbp0412 23 күн бұрын
문화란게 대체 뭔지도 모르는것 같은데? ㅋ ㅋ ㅋ 춤추고 노래하고 노는것 그리고 일부 소설 그런것들은 중요하지도 않는 일부의 오락문화지 시대적 흐름의 판을 읽고 나라의 장기운영에 도움이 되는 철학은 아니다. ㅋ ㅋ ㅋ 중어중문화를 전문으로 배웠다 쳐도 보통 중국인들의 수준정도뿐이지 고위급 정치 또는 상업앨리트들에 비하면 진짜 쵸딩수준도 못됨. 최소 서양식 사고와 중국고대문어문으로 쓰여진 중국고전의 철학적 논리로 실무에서 실천해봐야 비로서 안교수님이 말하는게 뭔지를 알아채릴듯.
@user-zy3mi3kt9z
@user-zy3mi3kt9z 21 күн бұрын
한강(汉江)명나라 황제가 지어준 이름이다.코강으로 바꾸라.헌법에서 한자 빼고,니 신분증이름 한자로 표기하지마라.
@jeendeer
@jeendeer 12 күн бұрын
오락을 문화라 생각하는데
@user-yy1mm8py3m
@user-yy1mm8py3m 23 күн бұрын
중국이 가만히 얌전히 있는데 미국이... 그냥 웃지요.
@user-ic8vl9ni2r
@user-ic8vl9ni2r 24 күн бұрын
안유화는 넥스트아이 감사로 중국에 한국 기술 팔다 걸리셨는데 어떻게 나옴?
@xx-du6vc
@xx-du6vc 22 күн бұрын
이거 어디 북한에서 넘어온 사람이가 ?
@singhdodo4053
@singhdodo4053 24 күн бұрын
북유럽은 중국 뿐만이 아니라 인권에 문제 있는 나라들에 적대적인 걸로 유명하지 않나요?? 최근에 스웨덴이 튀르키예랑 쿠르드 소수민족 문제로 갈등을 빚어 나토 가입 못할 뻔 한 적도 있고요.
@johnkim2963
@johnkim2963 22 күн бұрын
그렇다고 중국에 개방해주면 그나라 기업들은 모두 폭망한다. 중국도 이제 공정하게 세게경쟁에 참여해야한다.
@yun-xi7fl
@yun-xi7fl 24 күн бұрын
러시아와 중국은 절대 가까울 수 없는 관계입니다 중국이 인구로 넓은 땅을 차지하려고 하는 두려움이 있지요
@user-si8lr2is4k
@user-si8lr2is4k 24 күн бұрын
러시아는 지금 중국한테 빌붙을수밖에 없어요 원래는 형남 노릇하다가 갑자기 눈치나보면서 비굴모드로 바뀜 거대한두나라 합치면 먼들 못핫겠어요
@user-Name-is-Zeeko
@user-Name-is-Zeeko 23 күн бұрын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크니 그렇게 보이는 것이겠죠... 희망고문 ㅎㅎ
@user-hg6oo1gh9sdhhssh
@user-hg6oo1gh9sdhhssh 21 күн бұрын
한국은 혜택국
@user-xv8dk5db5s
@user-xv8dk5db5s 23 күн бұрын
그렇게 전문가가 없나? 이분 방송에 글에 부정적의견달면 어디선가 조선족들이 나타나더라? 무슨 커넥션인지 단체라도 있는건지. 요즘은 뭐든 중국관련해 중국인들 그럴때마다 중국의 무슨 해외관련활동 지원받나 의심됨.
@user-nj5uk3so6p
@user-nj5uk3so6p 21 күн бұрын
중국이라면 지원가능하지않을까요? 온세계 미디어는 다 들어와서 댓글준비중일텐데 ㅎㅎ
@MOM-ql7sz
@MOM-ql7sz 24 күн бұрын
북한을 빨리 먹어야 될거 같다..ㅎㅎㅎㅎ
@user-kh5gp4tb3t
@user-kh5gp4tb3t 24 күн бұрын
역시 최고십니다 ❤
@Waterflow333
@Waterflow333 22 күн бұрын
예전에는 새로운 관점에서 이야기도 하고 통찰력도 있었는데 이제는 연구를 게을리 하시는건지 옛날에 했던이야기 반복에 대충 웹서핑하면 나오는 말들 늘어놓으시는거 같아요
@user-qr8se7kj6r
@user-qr8se7kj6r 23 күн бұрын
중국의 망상을 듣는것은 더이상 참을수 없다 . 헛웃음이 날뿐.... 제발 나와 한번 토론장에서 만났으면한다. 안유화 엉털이다. 그만 출연시켜라.
@user-jg2cn1uy8s
@user-jg2cn1uy8s 24 күн бұрын
중국은 좋겠다 다수의 의견이없어서 일인쳬제 하나의 생각이라
@yilongHang
@yilongHang 24 күн бұрын
나라는 어떤 제도하에서도 무조건강해야 하고 전 세계가 한 제도하에 있으면 1%는 왕이고 나머지99%국가는 노예 국가로 살수밖에 없다
@user-nm1ro3xn3v
@user-nm1ro3xn3v 23 күн бұрын
미국에 중국 전기차가 없어서 관세 100% 먹이는 효과가 거의 없는게 문제냐? 이제 따라서 유럽 등 대부분의 친미 국가들이 죄다 관세 쳐올릴텐데 이게 문제 아니겠냐??ㅉㅉㅉ
@user-gq1gt2nc2l
@user-gq1gt2nc2l 19 күн бұрын
이분이무슨전문가인가!
@anhaa8186
@anhaa8186 24 күн бұрын
시 황제가 까닥하면 왕따가 될 판인데, 러가 머??? ㅋㅋㅋ
@yongkang2265
@yongkang2265 23 күн бұрын
중화사상에 깊이 쪄들어있는 안유화.
@tmtlsuchlrh7848
@tmtlsuchlrh7848 23 күн бұрын
한국이 프랑스를 흉내내면 절 대 안 됌. 한국은 일본을 따라해야지. 주제파악하고 분수에 맞게 행동하면서 1000년에 한번 오는 기회를 매의 눈으로 포착해야함.
They RUINED Everything! 😢
00:31
Carter Sharer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WHO DO I LOVE MOST?
00:2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인간이 60세가 되면 이것부터 망가집니다 (강동경희대병원 신장내과 이상호 교수)
1:0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