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살에 세자로 책봉 한 경종을 내친 숙종? 인형왕후와 장희빈 사이에 낀 경종의 선택 |

  Рет қаралды 202,455

사피엔스 스튜디오

사피엔스 스튜디오

Күн бұрын

본격 우리 역사 스토리텔링쇼
#벌거벗은한국사
00:00 경종이 원자로 책봉된 후 쫓겨난 인현왕후
03:12 다시 후궁이 된 장희빈
07:03 장희빈의 난동과 경종을 위협하는 동생
11:03 인형왕후 죽음의 비밀
14:55 장희빈의 죽음 후 경종의 상태
16:45 대리청정을 하게 된 경종
20:38 30년 만에 왕위에 오른 경종
22:08 장희빈의 작호 회복을 청한 유생의 최후

Пікірлер: 130
@sapiens_studio
@sapiens_studio 3 ай бұрын
00:00 경종이 원자로 책봉된 후 쫓겨난 인현왕후 03:12 다시 후궁이 된 장희빈 07:03 장희빈의 난동과 경종을 위협하는 동생 11:03 인형왕후 죽음의 비밀 14:55 장희빈의 죽음 후 경종의 상태 16:45 대리청정을 하게 된 경종 20:38 30년 만에 왕위에 오른 경종 22:08 장희빈의 작호 회복을 청한 유생의 최후
@user-tr4kt5rd1e
@user-tr4kt5rd1e 3 ай бұрын
인현왕후 아닙니까?
@user-ti8bf7mz5n
@user-ti8bf7mz5n 3 ай бұрын
ㅎㅎㅎ르ㅡ하롷ㅎ으ㅡㅇ흥ㅎㅎㅎㅎㅎㅎㄹㄹㅎ릏ㅎㅎㅎㅎ읗흥흫릏ㅎㅎㅎㅎㅎ릏ㅎㅎㄹㅎ흥ㅎㅎㅎㅎㄹㅂㄹ읗웋ㅎㅇㅎㄹㅎㄹㅇ흥ㅎ읗ㅎㅎㅎ흥ㅎㅎㅎㅎㅎㅎㅎㅎ응ㅎㅎ믈ㄹㄹㅇㅇㅇㅇ르ㅡ렁ㅎㅎ흥읗ㅎㄹㅎ흫으ㅡㅇㅎㅎㅎㅎㅎㅎㅎ러ㅡㅎ응ㄹㄹㅎ흫ㄹ뭏ㅎㅎㅎㅎㄹㅇㅎ읗ㅎㅎㅎㅎ훟ㅎ우으ㅡㅎㅎㅎㅎㅎㅎㅎ릉릏ㅎㅎㅇㅎ읗릃ㅎㅇㅎㅎㅎㅎㅎㅎ흫ㅎㅎㅎㅎㄹㅎㅎㄹㅇㅎㅎㅎㅎㅎㅎㄹㅇㅇㅇㅇㄹㅇㅇㅇㄹㅎㄹㅂㅎㄹㅁㅎㅎㅇㄹㅎㄹㅎㅎㄹㄹㅎㅎㅎㄹㅎㄹㅎ흫ㄹㅇ라릏ㅎㅎㅇㅎㅎㄹㄹㅎㅇ홓ㄹ흫ㅎㅎㅎㅎㅎㅎㅇ릏ㄹㅎㅎㅎㄹㅁ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ㄹ읗ㅎㅎㅎㅎㅎㅎ으핳ㅎㅎㅎㅎㅎㅎㅎㅎ호5546655​@@user-tr4kt5rd1e
@user-fk6zl3kl2y
@user-fk6zl3kl2y 3 ай бұрын
ㅡ😊ㄷ6
@user-ln1tb3wc6o
@user-ln1tb3wc6o Ай бұрын
😮.ㅡ😢😢😢😢🎉나😢😢 난 🎉 13:15 😢🎉😢❤ㅅ
@user-qm5sh5lo8y
@user-qm5sh5lo8y 16 сағат бұрын
여기에서 나온 브금들 죄다 제목이 뭔가요?
@mr.mr.mr.7809
@mr.mr.mr.7809 3 ай бұрын
진짜 숙종은 엉망이었구나..영조성격도 저런 숙종을 닮은듯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Ай бұрын
사도세자도 그성격이고요
@user-ox5dg7lc6q
@user-ox5dg7lc6q 3 ай бұрын
한참 사춘기때에 저런 충격적인일을 당했는데 제정신일수가 있겠나..
@user-yd4zm9hq2k
@user-yd4zm9hq2k 3 ай бұрын
나쁜아빠임 자식한테 엄마죽여서 상처줘놓고 냉대까지하고ㅠ
@user-zf5nf5ep5n
@user-zf5nf5ep5n 2 ай бұрын
숙종은 모친인 명성왕후도 고개를 저을정도로 고집도 쎄고 변덕도 심했다하죠
@user-st6qo2ym3v
@user-st6qo2ym3v 3 ай бұрын
숙종은 성격이 변덕스러운 사내였나봐요
@user-in4do6je8b
@user-in4do6je8b 3 ай бұрын
이제껏 모르던 얘기도 있네요 영조가 사도세자를 미워하는 모습이 아버지 한테도 있네요
@user-ht7dx7tb6l
@user-ht7dx7tb6l 3 ай бұрын
지밖에 모르는 애비땜에 경종이 고생겁나 했네
@pele2434
@pele2434 3 ай бұрын
장희빈은 경종을 위해서 숙종의 자진명령을 받아들이고 스스로 죽었으며 경종을 성불구로 만들지도 않았음. 그랬으면 자진으로 끝나는게 아니라 분노한 숙종에 의해 더 처참하게 죽을수도 있었고 그런 일이 실록에 안 남을수가 없음. 경종이 성기능에 문제가 생긴거는 당연하다면 당연한 것이 적모인 인현왕후와 사이가 매우 좋았고 당연히 인현왕후가 죽었을때 슬퍼했음. 그런데 갑자기 낳아준 생모도 숙종에 의해서 죽었고 장희빈이 강등된 시점부터 경종을 향한 숙종의 사랑은 냉대로 바뀌었고 적모와 생모가 죽고 난 후에는 아예 자신의 자리가 위협받는 하루를 매일 살아가는데 그런 극한의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는데 성기능에 문제가 생겨도 이상할게 없음. 숙종 한 사람때문에 인현왕후는 14살때부터 34살까지 불행하고 비참하게 살다가 생을 마감함. 폐비시절 얻은 병으로 복통, 설사, 발열, 구토, 오심이 계속 나타나서 차라리 죽고 싶을 정도로 오랜 투병생활을 하다가 죽음. 장희빈은 처음에는 아들을 낳고 그 덕에 중전이 되고 탄탄대로를 걷는듯 했으나 5년만에 희빈으로 강등되며 울분의 나날을 보내다가 자결하라고 숙종이 명령해서 죽어야 했고 그 모든 일들을 지켜본 경종은 마음고생하다 쇠약해져서 죽었음. 숙종=소비에슈
@user-uk5nm2fm7s
@user-uk5nm2fm7s 3 ай бұрын
열심히 읽다가 갑자기 소비에슈갘ㅋㅋㅋㅋㅋㅋ 숙종이 다른 업적이 많아 그렇지 부인들한테는 개비에슈급 쓰레기죠 진짜...
@pele2434
@pele2434 3 ай бұрын
@@user-uk5nm2fm7s 이방원은 외척이나 공신을 숙청해도 바른말하는 신하들은 안건드렸죠. 오히려 간언을 하게끔 권장했고 처가와 사돈집을 박살냈어도 아내와 며느리는 놔뒀고 오히려 왕권강화를 중시한 만큼 왕실의 권위를 위해 아내나 며느리가 무시당하는 일도 없게 했고 원경왕후 소생들에게 제일 잘했던거 보면 숙종은 왕권강화 때문에 어쩔수 없었다는 변명도 못하죠
@Nare806
@Nare806 3 ай бұрын
인간적으로 너무나 가엾은 사춘기를 보냈군요 얼마나 힘들었을까요...
@pele2434
@pele2434 3 ай бұрын
@@Nare806 숙종부터가 병약해서 잔병치레를 하고 크게 병환에 시달려서 오늘내일 한적도 있는데 경종도 숙종의 유전자 때문인지 어릴때부터 잔병치레를 했습니다. 몸이 약한데다 가정환경도 최악이고 두 어머니까지 아버지 손에 의해 죽었고 자신도 언제 내쳐질지 모를 상황에 처해있으니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나 매우 고통스러웠겠죠. 그러니 재위기간도 얼마안되고 금방 죽을수 밖에요. 숙종이란 인간은 자기 아내들과 자식도 가지고 놀며 망치는 게 취미인가 봅니다
@tazmania21
@tazmania21 3 ай бұрын
조선의 헨리8세~ 😂
@user-xu7cy3it6d
@user-xu7cy3it6d 3 ай бұрын
중학생때 친모가 사사되는것을 지켜봐야 했으니 슬픔과 한이 가득했겠네요
@user-in4do6je8b
@user-in4do6je8b 3 ай бұрын
영조가 숙종을 많이 닮았네요
@user-yd4zm9hq2k
@user-yd4zm9hq2k 3 ай бұрын
당연하죠 그아빠에 그아들임 근데~숙종은 연잉군보다 연령군을 더 이뼈했음
@user-in4do6je8b
@user-in4do6je8b 22 күн бұрын
@@user-yd4zm9hq2k 맞아요 그속에서 왕이 되고픈 야망은 더 컸을 겁니다 신기한것이 어떤사람들은 자기를 쏙 빼닮았는데 싫어하는경우가 던데 여기도 그런것 같은 느낌이예요 장희빈전은 궁녀들이 쓰게하고 영조에게 좋은 반응을 받을수록 더 진실과 멀게 포장된것을 강의를 통해 알았네요
@user-zg9jo5yf8f
@user-zg9jo5yf8f 2 ай бұрын
저주를 했다고 인현왕후가 죽은것이 아니고, 장희빈이 저주한 물건을 자신의 방에 두었을리도 없다고봄. 장희빈도 모함을 받았을수도 있을듯
@user-eq5ho5sr1d
@user-eq5ho5sr1d 2 ай бұрын
역사는 승자 쪽에서 기록한것이기에
@pele2434
@pele2434 5 күн бұрын
장희빈이 저주물을 자기 처소에 둔게 아니라 대부분의 궁녀들이 장희빈쪽으로 기울어서 장희빈 휘하의 궁녀들이 인현왕후가 거처하는 침소 창문에 구멍을 뚫어 인현왕후의 병세를 염탐해도 막아주는 이가 없었을 정도임. 그리고 저주물은 조선후기 왕비가 사용하는 대조전과 통명전에 파묻어서 발견된거임
@user-lz7em2vo8m
@user-lz7em2vo8m 3 күн бұрын
@@pele2434 인현왕후 드라마 작가 들이 졸라게 미화 해놔지 천하에 지고지순한 여자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오히려 그반대인데 ㅋㅋ 이병훈 신봉승이 장희빈 만고에 쳐죽일년 만들어놧죠 ㅋㅋㅋ 그리고 인원
@ireneshin828
@ireneshin828 2 ай бұрын
연산군 이후 원자(원손), 세자, 왕 코스 밟고 장기간 집권한 유일한 왕인 숙종. 연산군은 진성대군(중종) 이라는 대체제라도 있었는데 숙종은 어머니인 명성왕후 김씨의 성격 덕분에 아버지가 일부종사 하셔서 대체제가 없었음. 숙종이 연산군보다 더 했음 더 했지 덜 하진 않음. 14살이란 나이에 친정을 할때도 대신들이 조금이라도 자신이 어리다고 깔보는 기세가 보인다 싶으면 나이 직급 외척 불문하고 모후인 명성왕후 김씨보다 더 지랄맞은 성질 머리로 패악질 함. "너님 내가 나이어린 왕이라고 무시하냐. 니가 감히 날 무시해?" 였음. 하도 지랄맞은 성질 머리 때문에 대신들이 "너님 연산군 될거냐." 하면 "ㅈㄲ 나 말고 왕 할 인간이 없는데 지금 그 발언 반역이고, 역모인거 알지? 난 연산군과 다름." 시전했다는 숙종. 연산군일기를 챙겨보며 지랄맞은 성질머리로 사대부 대신들을 길들이는데 성공한 숙종임. 조상님 대대로 내려오던 사패 기질도 있음. 자신한테 유리한 정국을 만들기 위해서 중전과 후궁을 폐위시켰다 복위 시켰다 무한 반복한 숙종임. 경종이 단명한게 어찌보면 당연한 것임.
@user-gw4pb4jz6t
@user-gw4pb4jz6t Ай бұрын
거지같은 왕이라 신하입장에서는 아주 치를 떨만한 인간이지만 백성 입장에선 그냥 저냥한 왕이었기에 큰 문제는 아닐듯
@user-lw8dq1qu6l
@user-lw8dq1qu6l 3 ай бұрын
경종이 오래 살았으면 좋았을걸요 장희빈도 불쌍 하네요 죽일것 까지 숙종도 참 으이구 쯧쯧
@CWG-op9td
@CWG-op9td 2 ай бұрын
Perhaps better for Joseon if Yeongjo never became king
@user-mn6xn6ul1v
@user-mn6xn6ul1v 3 ай бұрын
영조가 숙종을. 빼닮았다 장희빈 조용히 납작엎들여. 살지 그랬으면 경종도 그렇고. 자신도 손주도. 않아보고 오래 행복. 했을텐데. ~사랑이 너무. 깊어서 분노도 컸겠지만 조금만. 참았으면. 정말. 운명이 라는게 있었네요~~~~~영조하고. 숙종하고. 똑 같네요
@user-go8po3qh8z
@user-go8po3qh8z 2 ай бұрын
음악소리가너무커서 스트레스
@user-jn2bl6fs8y
@user-jn2bl6fs8y 3 ай бұрын
배경 음악이 넘 커서 못 알아 듣겠네요
@mochalatte04
@mochalatte04 2 ай бұрын
경종 너무 불쌍하다. 희빈이 아들을 생각했다면, 좀 욕심을 버리고 있는듯 없는듯 살지. 뻔히 숙종 성격을 알면서;;;;ㅠㅠ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Ай бұрын
희빈성격에 조용히 살긴 힘들죠 그렇게 조용히 사는 성격이었으면 중전이 될 수 없었죠 성격 못바꿔요
@CWG-op9td
@CWG-op9td 2 ай бұрын
English subtitles please ❤
@user-sj6cy1qu5y
@user-sj6cy1qu5y 2 ай бұрын
아들도 죽인놈이 경종을 안죽였겠냐
@user-yd4zm9hq2k
@user-yd4zm9hq2k 3 ай бұрын
숙종을 보면 영조가 세도세자를 미워하는모습까지 보이네요 숙종이 편애한자식은 명빈박씨소생 연령군임 오히려 연잉군보다 더 이뼈했지만 요절하는바람에 세자자리 물려주지도 못했음 연잉군조차 숙빈최씨사후에는 그닥 잘해준적이 없었음 즉 아내든 아들이든 정치적으로 이용만 해먹고 버리는것같음?
@user-qy5ue3ch8o
@user-qy5ue3ch8o 3 ай бұрын
제목에 인형왕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인형?
@stellalee7774
@stellalee7774 8 күн бұрын
숙종시키.. 엄마 둘을 보내버리네..
@user-yc4ju7uk4x
@user-yc4ju7uk4x Ай бұрын
경종은 엄마의 사사가 원통해서 울분증에 괴로웠을 듯.
@user-lc4it1ll3k
@user-lc4it1ll3k 3 ай бұрын
이시원분도나오셧네요
@user-gf8bu7iw5m
@user-gf8bu7iw5m 2 ай бұрын
숙종과 그 모후 명성왕후의 성깔을 보면 영조가 그 핏줄이 확실하단 걸 알 수 있음. 영조가 다른 남자 아들이라는 이인좌의 주장은 모함이 맞음.ㅋㅋㅋ
@jamesyoung9593
@jamesyoung9593 3 ай бұрын
숙종같은 모자란 왕은 진작에 갈아치워야했다. 중종반정 같이 말이다
@user-yd4zm9hq2k
@user-yd4zm9hq2k 3 ай бұрын
맞아요ㅠ 폐위안된것이 어이없어요
@user-fs5ly3ot1z
@user-fs5ly3ot1z 2 ай бұрын
개판오분전 역사속의인물들 나라꼴이 잘돌아갈리없다
@user-el6cv6pz8c
@user-el6cv6pz8c Ай бұрын
영조가 아버지 숙종 성질머리 고대로 닮아 아들학대했네
@user-su8yu4ue7e
@user-su8yu4ue7e 6 күн бұрын
경종이 불쌍하다
@user-to8hb9cd6e
@user-to8hb9cd6e 2 ай бұрын
장희빈이 역사에서 억울한 부분도 다소 있었겠지만 아들낳은 유세로 위아래도 없었고 왕비로서의 덕은 많이 부족했던것도 사실임
@user-rq5mi4gt9g
@user-rq5mi4gt9g 18 күн бұрын
역사는 승자의 것이라 님이 쓴 댓도 추측일뿐
@user-el1ji1vs3u
@user-el1ji1vs3u 27 күн бұрын
역사을 바로 알려주세요. 실록에는 장희빈이 중전을 저주굿을 한 기록은 없습니다. 몸이약한세자아들을 위한 기도을 한것으로 보이고 중전저주굿을 했다고 말한이는 숙빈이였다고 합니다! 왕권을 더욱 강화하기로 쥐었다가났다가 이리저리 변덕스럽에 손바닥뒤집은 숙종때문에 희생된거 아닌가 싶어요!
@stellalee7774
@stellalee7774 8 күн бұрын
유모라던가 대비라던가 아이를 잘 보듬을 사람이 있었으면 좋았을텐데..
@user-tk3sk6yk5o
@user-tk3sk6yk5o Күн бұрын
근데 이 프로는 기록에 의한 지극히 교과서 적인 프로다. 승자에 의한 역사.
@user-kb2xu5vz7z
@user-kb2xu5vz7z 3 ай бұрын
😊😊😊
@lana-ri3sj
@lana-ri3sj 3 ай бұрын
장희빈도 모함당한 지점이 전혀 없었을까?
@user-jx9ze5hk7k
@user-jx9ze5hk7k 2 ай бұрын
있었습니다ㅡ 그로인해 늘 불안했던 장희빈 ㅡㅡㅡ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Ай бұрын
그게 모함인지 아닌지 확실한것이 없죠 그런데 장희빈은 인현왕후 내쫓을때 모함을 했죠
@kbl2310
@kbl2310 3 ай бұрын
숙종이 명성왕후 성깔을 닮았다고하던데 어려서부터 머리빗기기도 힘들정도였다고한다. 오은영 선생님 같은 분을 만나 명성왕후와 숙종이 같이 상담받고 동생인 영조도 함께 케어받았어야 했나보다. 명성왕후 이후로 자손들 성깔이 장난이 아니라는 얘기가 농담은 아닌것 같다
@user-ee1je1vn7r
@user-ee1je1vn7r 2 ай бұрын
명성왕후 때 후궁이 하나도 없었다고 해요. 대단한 일이죠.
@user-ku4zi9jp1o
@user-ku4zi9jp1o 2 ай бұрын
숙종 성질이 너무 까칠해서 하인들이 머리를 빗기지 못할정도라 명성왕후가 들어가 머리를 빗겨주면서 한대 때렸다는 얘기도 있더라구요.. 그 엄마도 한 성질하는데도 자기 아들은 못이긴다고 본인 입으로 얘기했다네요,.ㅋ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Ай бұрын
@@user-ee1je1vn7r 명성왕후때 후궁이 하나도 없었던것은 칭찬할 일이죠 숙종이 강력한 절대왕권을 누릴 수 있었던것은 어머니 명성왕후 덕분입니다
@user-jw9pl4kc9j
@user-jw9pl4kc9j 3 ай бұрын
장희빈이 피해자 였을지도 모르지 요
@user-xu7cy3it6d
@user-xu7cy3it6d 3 ай бұрын
환국정치로 인한 극과 극을 오가는 삶이었죠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Ай бұрын
수혜자겸 피해자죠 중인신분으로 중전이 되었다는것 자체가 대단한 특혜입니다 무속을 행했다는 이유로 사형당한것은 심했죠
@taiyunchung7991
@taiyunchung7991 2 ай бұрын
최민수 왕 역할은 안맛는개 악랄한 역할은 그런데로 ㅎㅎㅎ
@user-ie4uy8hd2v
@user-ie4uy8hd2v 16 күн бұрын
숙종이나 영조나 아무리 왕이라지만 너무 권력믿고 사람 맘을 좌지우지하는게 좀 그렇다 좀 더 인자했으면 얼마나 좋아 위치도 위치인만큼 더 모범이 되야지 지들 맘대로야 사람 맘 다치든지 말든지
@user-in4do6je8b
@user-in4do6je8b 3 ай бұрын
영조가 궁녀들에게 쓰게해서 남은 장희빈 얘기는 많이 꾸며졌다고 합니다 그렇게 써야 좋아했고 보상이 있었겠죠 무술이 였으나 효도 받고 아들도 왕이 되고 윗분들 한테도 사랑받았으니 처세술도 능하고 복이 있다 생각되네요
@bigsmile1353
@bigsmile1353 2 күн бұрын
무수리.
@hih3745
@hih3745 2 ай бұрын
인현뫙후가 먼저 죽었네요. 숙종ㆍ영조 넘싫어요.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Ай бұрын
그보다 더 싫은것은 사도세자입니다 사도세자도 돌쟁이 아들을 칼로친후 연못에 던졌어요 다행히 목숨은 건졌지만 사도세자 아들도 너무 불행하게 살다 단명했어요 사도세자 아내와 첩도 다들 불행하게 살았고요 후궁 박빙애는 사도세자한테 목숨을 잃었어요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Ай бұрын
숙종 경박하고 즉흥적이고 변덕스럽고 저열하고 잔인하고 냉혹하고 품위가 없다
@davidyoo5466
@davidyoo5466 7 сағат бұрын
줬다 뺏었다 지 맘대로 관심법이네. 질투하면 추방... 영국처럼 계승순위를 존중하던지.....
@mandyh9906
@mandyh9906 3 ай бұрын
연산군은 친모가 사사되는 걸 보지 못해서 기억은 없는데 경종은 그걸 두 눈으로 보았으니..쯧쯧... 숙종의 변덕과 나르시시즘.. 그걸 닮은 영조... 손주 사도세자까지 미쳐버려서 광인이 된 듯...
@ksmb2333
@ksmb2333 7 күн бұрын
장옥정의 인성이나 행실 관련해 인현왕후 시각으로 쓴 야사가 심하게 섞이긴 했지만 경종이 받은 스트레스를 충분히 보여주는 스토리텔링이었습니다. ^^
@user-lz7em2vo8m
@user-lz7em2vo8m 3 күн бұрын
굿했다는걸 말한사람이 ㅋㅋ 영조엄마임 ㅎㄷㄷ 즉 ...한효주 ㅠㅠㅠㅠ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ай бұрын
숙종 🤴 👑 🤴 인현왕후 ➡️ 장희빈 👑 세살경종 세자책奉 ☘️ 연잉군 숙빈최씨 📣 갑술환국 😢 장희빈 😮 남인 ☯️ 인현왕후 😢 서인 ➡️ 5년 환궁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ай бұрын
인현왕후 민씨 서인측은 두 갈래요 소론 😮 연잉군 노론 😂 경종 남인 😮 장희빈 😮 숙종은 사약주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ай бұрын
1701년 장희빈 😮 14살 아들 경종 사약사死죽네요 숙빈최씨 아들 연잉군 😮 영조대왕 노론 이이명 독대후 대리청정 경종
@user-tw1uy3mq2b
@user-tw1uy3mq2b 3 ай бұрын
최민수가 숙종?
@user-jq5cl8xr8m
@user-jq5cl8xr8m 7 күн бұрын
태종ㆍ세조계열의성격임..친동생이고이복동생이고있었으면다숙청당했을듯
@user-dv1oh6ro2h
@user-dv1oh6ro2h 2 ай бұрын
하늘아버지하늘어머니감사합니다❤❤❤
@SH_Lee7420
@SH_Lee7420 3 ай бұрын
장희빈 악행은 거의 다가 야사임.
@pele2434
@pele2434 3 ай бұрын
ㄴㄴ 실록에도 충분히 적혀져 있음. 뭐 경종을 고자로 만들었다거나 숙종이 인현왕후를 폐위시킨건데 마치 장희빈이 인현왕후를 모함해서 내쫓겼다는건 야사맞음. 근데 숙종을 욕할순 없으니 인현왕후 폐위에 대한 책임을 희빈에게 덮어씌워서 그런거임. 그리고 실록에 이미 장희빈과 장희재의 악행은 야사가 아니어도 충분히 기록되있음. [숙종실록 35권, 숙종 27년 9월 23일 정미 1번째기사 1701년 청 강희(康熙) 40년] 「대행 왕비를 무고한 죄인 장희재를 처형하라는 비망기를 내리다」​ "내가 복위된 뒤, 세자의 사친(왕위를 물려받은 자의 친부모, 희빈 장씨를 의미)을 받들어 올리는 규정을 논하면서 '마땅히 일반 후궁과는 달라야합니다' 라고 하니, 그때부터 궁안 사람들이 다 희빈에게 기울어졌다. 원래 궁중의 법도에 따르면 후궁 처소에 속한 궁녀들이 내전에 드나들 수가 없는데, 희빈 장씨의 궁녀들이 항상 나의 침전에 왕래하였으며, 심지어 창에 구멍을 뚫고 안을 엿보는 짓을 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침전의 시녀들이 감히 꾸짖어 금하지 못하였으니, 나로서는 돌아가는 상황이 한심했지만 어쩔 수가 없었다. 지금 이렇게 몸이 아프니 사람들이 말하기를 ‘반드시 빌미가 있다’ 고 하는데, 나도 이런 상황이 의심스럽다." ​-------------- [숙종실록 35권, 숙종 27년 9월 26일 경술 2번째기사 1701년 청 강희(康熙) 40년] 「인정문에 나아가 궁녀 축생 등을 친히 국문하다」 "너는 본가(本家)의 비자(婢子)로서 숙영(淑英)과 더불어 심복이 되어, 내전의 동정(動靜)을 남몰래 염탐하지 않는 바가 없었다. 언제나 항상 내전의 침전(寢殿) 창(窓) 밖에서 엿보았고, 심지어 칙간(厠間)에 갈 적에도 또한 반드시 엿보았다. 경춘전(景春殿:창경궁(昌慶宮)의 인현 왕후가 거처하던 곳.) 이 승하(昇遐)할 때 남쪽 창에 구멍을 뚫어 병의 증세를 몰래 엿보았다가 목숨이 떨어지자 기쁜 기색이 넘쳐 흘렀다. 구멍을 뚫은 흔적은 아직도 남아 있고, 나도 또한 직접 본 바이다. 반함(飯含:염습[殮襲]할 때 죽은 사람의 입 속에 구슬이나 쌀·동전 등을 물리는 일.)할 때 내가 아주 가까운 곳에 나아갔는데, 왔다갔다 하면서 기뻐 날뛰는 모양이 너무나도 망측스러웠다." ---------- [숙종실록 35권, 숙종 27년 10월 7일 경신 2번째기사 1701년 청 강희(康熙) 40년​​] 「국청 죄인 숙정·숙영 등이 흉물을 궁전에 파묻은 사실에 대해 하교하다」​​ 하교하기를, "모역(謀逆)한 죄인 숙정(淑正)과 숙영(淑英) 등이 저주한 일을 자복한 뒤 각씨(角氏)와 참새·쥐의 뼈가루 등의 물건을 대조전(大造殿) 동쪽가 침실 안에서 찾아 내었다. 이외의 흉악하고 더러운 물건으로서 대조전과 통명전(通明殿)의 섬돌 아래에서 파낸 것도 또한 많았다." 하였다. 저주굿만 저주가 아니라 땅에 흉물을 파묻는것도 저주행위라서 빼도박도 못하게 장희빈이 인현왕후 저주한거 맞고 심지어 자기 궁녀들 시켜서 창문에 구멍을 뚫으면서까지 인현왕후의 병세를 염탐하고 측간(화장실)가는 것 까지 염탐했으니 대역죄를 지은건 부정할수 없는 팩트임
@user-mg5qf9vm1j
@user-mg5qf9vm1j 3 ай бұрын
어떻게 보면 방송사에서 자극적.시청률 때문에 야사 만 보면서 장희빈을 다룬듯 하네요
@user-ss5nu8yn7h
@user-ss5nu8yn7h 3 ай бұрын
이조오백년 실록에 기록되어있는데 왜들 각자 해석하는지
@pele2434
@pele2434 3 ай бұрын
@@user-ss5nu8yn7h ㅇㅈ 실록에도 동물의 사체랑 뼛가루들 파묻어서 저주한거 다 나옴. 야사는 경종을 성불구로 만들었다는 둥 사약을 세 사발이나 마셨다, 숙빈을 뭐 고문하고 장독으로 감춰뒀다 이러는데 그런것들 빼면은 장희빈의 악행은 팩트임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Ай бұрын
아들을 고자 만들었다는것은 사실이 아니고 열병을 앓아서 고자된것이라네요 각시형상의 인형 7개가 나왔어요 저주한것은 맞다고 봅니다 장희빈은 중국에다 거액의 뇌물을 받쳤어요 왕세자 승인을 받으려고요 장희빈이 중전이 된후 사치가 심해서 내탕금이 바닥이 났다네요 숙종은 장희빈을 첩으로 들인다고 세금을 많이써서 대신들의 원성을 샀어요 장희빈이 후덕한 성품은 아니었죠 인현왕후는 할말은 다 하면서 후덕한 성품이었던게 실록에도 나오죠
@user-tf2os7iv1d
@user-tf2os7iv1d 2 ай бұрын
초등학생 대상 강의? 정도의 수준 인데 이걸 보라고? 방송사도 참
@user-mn6xn6ul1v
@user-mn6xn6ul1v 2 күн бұрын
장희빈 납작 엎들여살지 그러면 경종도 오래살고 영조 사도세자. 일이. 없었을것. 인데 🤔
@user-wo9hs5nn7v
@user-wo9hs5nn7v 3 ай бұрын
최민수는 왕역할에 너무 안 어울림.😢
@user-lz7em2vo8m
@user-lz7em2vo8m 3 күн бұрын
살수집단 우두머리 하면딱임 ㅋㅋ
@eun6258
@eun6258 2 ай бұрын
예나 지금이나 아수라장이네
@syj3468
@syj3468 2 ай бұрын
이기적인 인간
@user-pn7lo2kn5g
@user-pn7lo2kn5g 3 ай бұрын
장희빈은 악랄한 인간이었다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Ай бұрын
숙종이 더 악랄하고 장희빈도 욕심많고 안하무인이었죠
@user-eq5ho5sr1d
@user-eq5ho5sr1d 2 ай бұрын
국짐당 파 민주당파
@user-mg9ju6ff1f
@user-mg9ju6ff1f 10 күн бұрын
변덕스럽고 권력욕에 여인들을 이용한 나쁜 임금 숙종
@KIM-xe1um
@KIM-xe1um 2 ай бұрын
저 설명하는사람 너무 편파적인 방송 하는거 아닙니까? 경종입장에서만 설명 하지맙시다 장희빈이 희대의 악녀 잖아요
@baek6468
@baek6468 3 ай бұрын
쫓아내고 병들어 들이면 뭐하냐? 사악한 장희빈한테 놀아나서는 ~
@user-ku7hk6ow2h
@user-ku7hk6ow2h 2 ай бұрын
전생을 보는 어느보살의 말에 의하면 ~ 장희빈 이 이시대에 환생하여 살고 있는데 ~ 조선족이라함 ㅋ 가난하기도 하고 키도작고 외모도 못나서 심적으로 고통받으며 일생을 살게된다고함~(믿거나말거나)
@user-wo9hs5nn7v
@user-wo9hs5nn7v 3 ай бұрын
역사물에 출연패널이 왜 흑인들이 여럿 나오는지 뭔가 상당히 이상함. 뭔가 생뚱맞은 느낌ㅡ
@mandyh9906
@mandyh9906 2 ай бұрын
조나단은 스스로 한국인의 정체성을 가지고 사는 (초중고 한국에서 나옴) 방송인이예요.
@user-uc8dw1ix7y
@user-uc8dw1ix7y 2 ай бұрын
굳이 흑인이라 표현 할 이유가? 외국인이라 하시지..
@user-lz7em2vo8m
@user-lz7em2vo8m 3 күн бұрын
님글은 인종차별적느낌이 심하네요 ..
@user-zy8dr8kd8j
@user-zy8dr8kd8j 3 ай бұрын
지난 역사지만, 이조 오백년은 그야 말로 🐕 판 오분전이 었다.
@jykim2203
@jykim2203 2 ай бұрын
이조? 왈본이니?
@user-to8hb9cd6e
@user-to8hb9cd6e 2 ай бұрын
이조는 이씨들의 조선이라고 일본이 우리왕실을 무시해서 쓰는 단어임
@user-lz7em2vo8m
@user-lz7em2vo8m 3 күн бұрын
@@user-to8hb9cd6e 맞는말이긴함... . 왕씨집안을 철저하게 도륙냇으니 ㅋ 그러니깐 사람들이 이씨역사라고 말해도 머라고못함ㅋㅋㅋ 왕씨집안을 도룍을 안냇으면인정 해줄만한데 ㅋㅋㅋ 지들 논리을 펼치기위해서 너무 한집안을 도륙을냄ㅋㅋㅋ 킬방원 형님은 지하에서 억울할듯 이씨집안이 시작하고 민씨집안한테마무리 당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원경왕후 승 ㅎ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user-lc4it1ll3k
@user-lc4it1ll3k 24 күн бұрын
이시원분도나오셧네요
The Worlds Most Powerfull Batteries !
00:48
Woody & Kleiny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100❤️ #shorts #construction #mizumayuuki
00:18
MY💝No War🤝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La final estuvo difícil
00:34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ONE MORE SUBSCRIBER FOR 6 MILLION!
00:38
Horror Skunx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The Worlds Most Powerfull Batteries !
00:48
Woody & Kleiny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