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스는 중소형 헬기에 가까워서 결국에는 한계가 명확했져. 그래서 같은 기종이나 다름없는 AW159를 구해서 AESA레이더를 앞세운 성능에 만족은 했으나 결국에는 체급문제가 있어서 MH-60R를 구하개됐져. 아마도 이제 대잠헬기도 하이로우믹스로 할거라 생각합니다. AW159도 AW101 멀린 대잠헬기랑 한팀으로 하기 때문이져.
@정짭스Ай бұрын
말씀하시는 말투 너무 중독적이져
@Blackstar12212Ай бұрын
@@hyeoungjun6887링스보다 속도 나오는 헬기 자체가 다 뒤져봐도 별로없을걸요?
@싯가5Ай бұрын
Mr60 은 돈낭비임 초계기 사업이나 더 하고 와일드켓이나 더 사면 딱인데
@csoplaymaker6125Ай бұрын
이번 회차는 우리 해군이 운용중인 슈퍼 링스로군요. 헬기들의 로터 블레이드가 꺾인 이유에 대해서 오늘 처음 알게 되었는데 매우 흥미롭군요. 알루에트의 후임으로 도입했기에 기령이 꽤나 높은것으로 알고있지만, 우리 해군이 여전히 운용하고 있는 헬기라 재밌게 보았습니다! 매번 영상 잘 보고 갑니다!
@mixedcountry78526 күн бұрын
링스헬기는 좀특이한건 보통 해상에서 미사일이 날아다니면 헬기를 철수시키는게 일반적이지만 링스는 반대로 적항공기가 발사한 대함미사일을 감지하면 아군 함정에 알리고 플레어를 터뜨리거나 전자장비로 교란시켜 아군함정을 보호하기도 합니다.
@L-E-N-N-E-LАй бұрын
3대 손실X 2대 손실 O 1대는 바다에서 다시 건져서 제 사용중
@Awesome-rc8ruАй бұрын
간혹 어법 용법에 맞지않게 문장을 구사하셔서 약간 불편했는데 훨씬 정제되었네요. 내용도 알차고 잘 보고 있습니다.
@Cypher-d1b27 күн бұрын
5:20 근대 공격헬기를 공대용으로 쓸일이 있을지부터 궁금한데 공대공 임무를 수행시킬거면 차라리 전투기를 출격시키는게 낫지(아파치 헬기도 그렇게는 안쓰이는데)
@orange_latte92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해군 항공 홍보대사로 임명하고싶어여...
@재밌는놀이90Ай бұрын
대량도입 덕분에 지금도 링스는 전에 설명했던 이지스함에 비하면 내구도가 좋은 편. 만약 시호크(S-70B)를 도입했다면 무리하게 굴리다가 F-5처럼 추락사고가 만연했을지도...
@donghoonkang4919Ай бұрын
임무는 충분히 열심히 굴렸어요.... 사람들 갈아 넣으면서 운용률 유지 시켰다는 설명이 더 적합할거 같아요 ㅠㅠ
님 궁금해요 지금시대에 항모가 유사시에 초음속대함미사일의 쉬운 먹잇감이 아닌가요 항모의 위치를 쉽게 발각이되면 이건 사실 격침된거나 마찬가지 아닌가요 항모의치를 인공위성이 있어도 추격이 쉽지 않다고 하는데 지금이시대에 그큰덩치를 지닌 함선이 위치추적이 힘들다는데 이해가 안갑니다 여기에 대해 궁금증을 풀어주십시오
@황테온Ай бұрын
전자전
@soekwonkimАй бұрын
그거 잘 안 맞아요. 격추되기도 쉽고
@재밌는놀이90Ай бұрын
방어측이 미사일 날아오는 걸 우와 미사일이다~~ 하면서 폭죽놀이 구경하듯 있지 않기 때문
@가람김-w6sАй бұрын
인공위성으로 정지한 함선의 대략적인 위치는 추적할 수 있고 시간차를 두고 추적하여 대충 어느 방향으로 가는지 까지는 추적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작전중인 함선을 미사일 유도가 가능한 수준으로 탐지/추적하려면 결국에는 함선이 직접 가서 재밍을 뚧고 탐지하거나(그런데 말이죠... 이건 항모가 제대로 작동을 하고 있지 않아야 가능합니다.) 정찰기로 직접가서 탐지하거나 뿐입니다. 적 함대에 항모가 있으면 탐지/추적 단계에서도 부터 벽이 생깁니다. 지속적인 탐지/추적이 안되면 극초음속이네 뭐네 해도 명중률이 소수점 아래단위로 추락합니다. 현제 탄도탄 기반 극초음속 미사일은 탄도미사일을 공중에서 발사하여 목표물 까지 관성비행을 해서 명중시키는거라 정확한 탐지/추적이 안되면 그냥 다 빗나갑니다. 움직이는 물체인데 10초 전 위치만 안다고요? 그거 못맞춤.
@4yacha878Ай бұрын
기술적인 요소를 제쳐두고 해상에서 선박은 정말 작습니다 대충 50미터 수영장에 종이컵 떠있는듯이 생각하시는듯한데 실제론 그 수영장 수면위에 모기 한마리 떠있는듯한 느낌 정도? 2만톤이든 10만톤이든 별 의미없을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