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과 알람설정은 저희에게 많은 힘이 됩니다. 로터리 엔진을 개발하고 상용화 했던 옆나라 일본 기업 마쯔다의 거의 모든것! #마쯔다 #로터리엔진 #mazda
Пікірлер: 1 200
@89BROS3 жыл бұрын
마쯔다의 거의 모든것 2편은 바로 여기 있.. kzbin.info/www/bejne/nqGVl6ygZZyggKs 그리고 프린스를 인수한 회사는 도요타가 아닌 프린스입니다! 죄송합니다!
@jaywoo94573 жыл бұрын
집중해서 보다가 킹받네....ㅋㅋ
@bill---gates3 жыл бұрын
마끼다랑 다른회사네요
@Ulsan_813 жыл бұрын
야마하 R1 엔진을 모닝이나 스파크에 언지면 어떻게되는지도 영상만들어주세용
@박성태-t5r3 жыл бұрын
ㅇㅅㅇㅅ
@sean_pk0152 жыл бұрын
원폭으로 멸종될뻔한 곳이 10년만에 마이카 시대가 된게 전부 한국전쟁의 피를 빨아 처먹은거죠. 전쟁은 저놈들이 일으키고 피해는 우리가 받은
@shakielee13023 жыл бұрын
자동차공학과 출신 현업 종사자입니다. 27년 전 대학 입학하여 과내 학술동아리 첫 과제가 로터리 엔진에 관한 자료 수집이었습니다. 감회가 새롭네요. 언제나 좋은 자료 정리 잘 해주셔서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1년 한 해 마무리 잘 하시고 22년 새 해 미리 복 많이 받으세요~
@89BROS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gsp_gamsung Жыл бұрын
해피 해피 해피~ 해피해피해피 해피~
@goldeneagle32182 жыл бұрын
네, 마쯔다 RX-7 로터리 룅클B 1.3리터 터보 엔진에 대해서 80대 초반에 들었습니다. 높은 RPM을 감당하는 혁신 적인 엔진 이지만 기름 먹는 하마 이며, 에이팩 실이 낡으면 엔진 전체를 분해 해서 교환 해야 하는 골때리는 엔진 입니다.
@89BROS2 жыл бұрын
😅
@whenever08072 жыл бұрын
근래에 20만 정도에서 두 배 이상 크게 개선됐어요
@aniguitars3 жыл бұрын
아마 RX7 을 재대로 타는사람들이 몃명있었던 다음까페시절 90년말부터 2006년쯤까지가 로터리를 10만km 이상 경험해보신 분들이 없지않을까 싶습니다. 일본에서도 RX7 동호회 회장 가끔만나고 아키하바라에서 자주모이는 동호회이기도합니다. RX8 은... 그냥 마쯔다의 삽질의 마지막 발악이었다고 보고 RX7 이 그냥 명불허전이었습니다. 일반차량보다 20cm 정도 낮은 지붕과 차체 엔진위치부터 저중심설계오져서 260km 을 지금에와서 달려도 바람이 차를 스치는 푸아아악 하는 소리가 잘들리지않는 차입니다. 그만큼 공기역학이 끝내주는차이고 직진성도 꽤나 좋은편이지만 하체가 그당시에는 그럭저럭 이었는데 2010년이후의 차들과 비교를 할수는 없습니다. 트랙션이 너무 안좋고 하체의 각부분 연결부위나 구조방식이 차체까지 전달되는게 자연스럽지않은 차라서 마쯔다가 닛산보다 기술력이 많이 떨어진다는걸 보여줬던차입니다. 차량이 무게배분이 다른차에 비해 아주좋았기때문에 기대감이 크지만 실제운전은 뒷바퀴가 많이 놀고 잘흘러서 튜닝으로 셋팅을 갈아엎다시피해야 와인딩을 할만한차였고 RX8 에와서 그러한 후륜의 부품들이 개선되어서 바닥을 잘읽는편이었는데 연비좋게한다고 5km 씩이나 갈만큼 좋아진게 그냥 터보 빼버린거였죠. 로터리엔진은 보어사이즈를 키우면 그만큼 들어가는 엔진블럭이나 워터라인같은걸 수정을 하는게아니라 재설계를 해야하기때문에 엔진개발비가 일반엔진의 몃배이상이 들어갑니다. 일반엔진은 미쯔비시가 현대엔진 가져다가 했던것처럼 심을 박아버려서 특허를내거나 여러가지 개조를하는 방식이 존재해서 돈이 별로 안들어갑니다. 또한 로터리엔진은 출력을 올리면 엔진이 파트별로 나누어진 부분들에 엔진내부 압력이 높아지는만큼 그에 대응할수있는 소재를 써야하는데 동재질의 가스켓과 특수본드를 써도 압력을 오랜시간을 버텨내지 못하기때문에 대부분 튜닝카들이 엔진이 사망하는경우가 많아서 내구성 없는 엔진으로 생각을하지만 애정이 많으신분들은 오랜시간 튜닝없이 타시는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더이상 이엔진은 환경법을 통과할수가없습니다 일반차량에비해 일산화탄소양이 더많은 엔진이라 줄이기위해서는 이차량만의 촉매를 써야하는데 일반촉매는 안되고 디젤차량이 쓰는 DPF처럼 배기관내부에서 부산물을 태워서 정화해주는 장치가 필요한데 로터리엔진은 상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일반엔진과 달리 그냥 회전체를 직결하는 방식때문에 다른차보다 악셀반응이 엄청빠르고 RPM도 빠르게 오릅니다. BMW엔진은 직렬6기통기준으로 보어가 넓고 스트로크가 짧아서 RPM이 빠르지만 후반 가속력 벨런스가 좀떨어집니다 로터리엔진은 그에비해 후반가속벨런스가 아주좋은 엔진인데 이게 환경법을 적용하면 출력이 매우떨어지게됩니다. 그래서 마쯔다는 이엔진을 살릴수가 없는거구요. 유럽을 제외한 미국지역에서는 환경법을 무시하는곳들이 있기때문에 오토바이를 만드는 혼다가 일본과 미국에서만 판매할수있는 유로5 대응을 안한 엔진의 오토바이들을 팔듯이 마쯔다도 그냥 그렇게해서 유럽시장을 포기할까 생각할수도있지만 유럽시장을 포기하고 엔진개발비가 왕창들어간 년간 30만대 스포츠카 시장에서 적자를 안볼수가없다고 본겁니다. 닛산이 GTR이라는 어마무시한 차를 만들었는데 생각보다 닛산이 그차로 돈을 많이 번건아니고 신화적인 이미지만 키웠죠 실제로 돈을 버는차는 도요타의 캠리나 혼다의 어코드였으니까요. 현재도 전세계 최고의 영업이익을 보여준것도 토요타이고 돈버는 차량도 이런 스포카는 큰의미가 없으니까요. 마쯔다역시 세계적인 유행을 따라 4기통 저배기량 엔진에 도전하고있지만 현대자동차 수준을 못따라가기때문에 답이없는 회사죠.. 처음 RX7 을타던 2000년초가 정말 유지하기가 너무 어려웠습니다. 일본 폐차장에서 부품을 시켜서 부천에 일본차수리하는 지금도 유명한 그 샵들에서 수리하는게 헤드라이트 한짝에 100만원하던 시절인데.. 지금은 BMW 7 시리즈헤드라이트도 100만원을 안하는데... 유지비가 현재의 5배이상은 들었던것같습니다. 3만km 마다 리빌트를 한다는 인터넷에 떠도는이야기도 실제는 8만넘게 타다가 그냥 팔아버린사람도 많았고 대부분 RX7 에대한 카더라는 사실이 아닙니다. 그당시에 10만 20만 넘어가는 주행거리동안 고장안났던 차이지만 현재는 차령이 30년이 넘었으니 당연히 삭아서 고장나는게 당연한거고 그때 S15 타시던분들 RX7 타신는분들 다들 아시는분들이죠. 지금은 제네시스쿠페로 한국드리프트랑 외국까지 나가서 활동하시는분들 한창 드리프트 입문하고 일빠이셧을때 다던차들이고 수퍼레이스 나가시는분들이나 그당시 타셧던분들이 지금으 한국모터스포츠계의 별들입니다. 근데 지금와서는 그당시 일본차들 추억은 가지고있지만 딱히 이야기는 안합니다. 옛날차는 그냥... 옛날차이고 다시 사고싶다는 생각하는사람도 없는것같습니다. 과거 일본차들이 정말 예리한 칼날처럼 빠른반응의 기계식적인 느낌의 차량들이 태반이었는데 2000년 말쯤에 모든차들이 환경법에 적응하려고 흡배기방식을 전자식으로 바꾸면서 마쯔다 역시 전자식으로 바뀌었는데 BMW는 전자식으로 넘어와서도 어마무시하게 빠른 디지털제어를 흡사 아날로그같은 감성으로 M3 을 만들었을때 일본은 끝났던것같습니다. ISF가 M3 라이벌로 나왔다가 너무나도 실망스러운 감성으로 말아먹고 일본 자동차산업은 그때부터 그냥... 내리막길을 타면서 마쯔다도 기술력이 그냥 바닥기는 수준이아니었나 싶은데 아니면 말구요. 잘알고계신 고수분이 계시다면 경청하겠습니다. 지나가는 어줍잖은 지식이니 그런가보다 해주세요
@89BROS3 жыл бұрын
와우 장문의 글.. 추가정보 감사합니다!
@chaedeukkim3 жыл бұрын
오! 잘 읽었습니다.
@야채토마토2 жыл бұрын
시간 날때 마다 자주 들러셔서 얘기 많이 해주세요 ㅎㅎㅎ
@Marksomali3 жыл бұрын
로터리 엔진을 장착한 차의 스포츠성은 정말 좋으나 유리같은 엔진의 내구성 때문에 10년 타면서 세컨카였는데도 오버부스트 한방에 엔진 깨져서 오버홀을 했었어야 했다능. 제 채널에 10년 넘게 타던 350파력 RX7 FD3S start영상있음.
@AcarDcar3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7mmalltheway3 жыл бұрын
쉐비 LS-1 엔진으로 워리 프리의 삶을 사시길 ! ㅎ
@HaerooFilm3 жыл бұрын
그게 보완된게 rx-8 이죠 ㅎ
@Marksomali3 жыл бұрын
@@7mmalltheway 그냥 차를 바꾸는 게 낫죠. ㅋㅋ
@Marksomali3 жыл бұрын
@@HaerooFilm rx8도 마찬가지에요. 출력을 7보다 낮춰서 덜 깨지는거지 출력을 7만큼 높이면 깨져요. 로터리엔진의 구조적인 한계에요. 뭐 3밀리 아펙스씰 넣고 별짓 다해도 그 어떤 메이커도 로터리 엔진으로 스포츠카 안만드는 게 그 이유에요. 레시프로 엔진도 출력 높이면 내구성 줄어드는데요뭘.
@안되는차되게하라3 жыл бұрын
저 멀리서 들려오는 점점 다가오는 귀를 찢어낼정도의 하이톤 분명 12기통은 아닌데 고작 2.6리터 4로터 자연흡기만으로 가지고 900마력을 내어 르망 24시 동양 최초 위닝카787b가 탄생하게되죠 정말 제조업에선 노력의 승리라고 여겨지는 전설적인 일대기입니다
@89BROS3 жыл бұрын
2편도 빨리 준비하도록 하겠!!
@keberossoh82233 жыл бұрын
감사감사 2편이보고싶어요
@LuvUrd3 жыл бұрын
4로터면 어떻게 보면 4행정 V12랑 비슷하다고 볼 수 있죠 아니지 1회전당 3번씩 터지는게 4개 달렸으니 2회전에 24번으로 24기통이네요
@qqqq12343 жыл бұрын
이부분에서 끊으시네ㅋㅋㅋㅋㅋㅋㅋ 빨리 다음편 내줘요 현기증 난다고요ㅋㅋㅋ
@89BROS3 жыл бұрын
2편도 빨리 준비하도록 하겠!!
@shkim73923 жыл бұрын
오류가 하나 있다면, 프린스 자동차는 도요타가 아닌 닛산에 흡수되었습니다. 프린스 자동차의 유산으로는 지금까지 이름이 이어져 내려오는 스카이라인(몰론 지금은 성격이 바뀌어서 고급C세그먼트로 인피니티 Q50으로 팔렸던)하고 고급차로 나와서 닛산 합병 후에도 세드릭과 형제차(딜러 판매회사만 달리하고 뱃지만 다른)로 팔린 글로리아 일본그랑프리에서 포르쉐를 이기기 위헤 개발한 R380 레이싱카 정도?
@89BROS3 жыл бұрын
추가정보 감사합니닷
@우주야암3 жыл бұрын
회사에 대한 역사 영상을 만들어 주시는거 너무 좋아요!!
@89BROS3 жыл бұрын
재밋게 봐줘서 땡큐
@이성진-o2u6j3 жыл бұрын
차를 잘 모를때 95년도 미국에서 87년식 마쯔다 rx7을 잠시 몰았습니다. 엔진리빌트를 어느정도 기간마다 해야한다고 들었고 앤진오일도 자주 보충해줘야 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89BROS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95년도에ㅜ미국 부럽습니다!
@만다린-z6c2 жыл бұрын
이거 재벌 아드님 이신가?
@이성진-o2u6j2 жыл бұрын
@@만다린-z6c 당시 환율이 700원대 안정적이었고 당시 미귝은 정말 부유했습니다. 가솔린이 1갤런에 500원정도 슈퍼언리드도 99센트이하였어요. 일본차가 발류가 좋아서 10년된 어코드가 당시 400만원이 안됐구요. 10년된 rx7은 유지비용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았던거 같아요. 아는 형이 3000달러 정도에 구입했던 거 같네요. 저는 형 방학때 한달정도 차 관리해주면서 탔었구요. 국내에서 알바해서 돈 가지고 간거랑 식당에서 파트타임해서팁 받고 해서 살만했던 미국 겅기였어요.
@만다린-z6c2 жыл бұрын
@@이성진-o2u6j 타국에서 알바하면서 공부하셨나보내요. 아마 지금은 고위 공무원이나 대기업 부장님 이신듯 대단하십니다.
@이성진-o2u6j2 жыл бұрын
@@만다린-z6c 그냥 저냥 살고 있습니다. IMF이전 풍요로운 시대를 살았지만 IMF때문에 정해진 길 포기하고 돌아왔어요. 올라버린 환율이 발목을 잡고 미국이라는 나라도 서서히 이민자에 대한 차별이 심해졌지요 그렇게 잘 주던 대학내 장학금도 점점 외국유학생애게 줄어들고... 그냥 저냥 살고 있습니다. 나이가 제법 들었는데도 아직도 잘 사는지도 잘 분간 못해요. 즐거운 한가위되세요.
@trynd12505 ай бұрын
로터리 엔진이 과연 미래 산업에 가능해질까 기대가 됩니다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있으니까요
@manitv97082 жыл бұрын
마쯔다 RX-7 은 지금 엄청난 프리미엄이 붙었더군요. 서킷에서 운행하는거 보니 왜 로터리엔진에 빠지는줄 충분히 이해할수 있었습니다 ㅎㅎ
@da-eunoh860111 ай бұрын
로터리 엔진은 정말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제품이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89BROS11 ай бұрын
👍👍
@phkair3 жыл бұрын
로터리 엔진에 대한 마쯔다의 노력은 거의 종교적인 수준인듯....ㅎㅎ
@89BROS3 жыл бұрын
잠시 뒤 다음편 업로드 됩니다잇!
@joezz99953 жыл бұрын
그런 마쯔다도 포기한 엔진ㅋㅋ
@김경호-c1y3 жыл бұрын
아이~~2부!! 쥰나 집중해서 보고 있었는데~~
@89BROS3 жыл бұрын
1부 2부 순서대로 봐주세요! ㅋㅋ
@나장첸이야-i3f3 жыл бұрын
최대의 단점이 로터리엔진 내부에 고회전에 의해서 자국이 생기는데 그게 악마의손톱 자국이라고 명칭이 있습니다.
@89BROS3 жыл бұрын
오우 디테일하게 잘 아시는군요 ㅋㅋㅋ 아쿠마손톱자국
@korealumberjack74213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죽었다 깨나도 일본을 절대로 이길수없다
@89BROS3 жыл бұрын
엥..?! 왜쥬..?!
@benjaminlee08263 жыл бұрын
엔진 내구성은 잘 모르겠고, 현재 미국에서 마즈다3 해치백 타다가 CX-9 으로 바꿨는데 두 차종 운전 너무 재미있게 잘 하고 있습니다.
@Ministeryofsound-w5k3 жыл бұрын
CX-5는 RAV4보다 더 많이 보이더라구요
@89BROS3 жыл бұрын
뭐든 안전히 잘 타시길 바라겠습니다!! 미국에서도 봐주시고 감사합니다잇!🙇♂️
@eqs903 жыл бұрын
2스트로크와 함께 배기음이 특이한 엔진 환경규제 덕분에 듣기 귀해진 엔진음 ㅠ
@89BROS3 жыл бұрын
크... 맞아요 잠시 뒤 다음편 업로드 됩니다잇!
@gilbertlim27823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현재 cx-5(딸아이 차)와 마즈다3 를 타고 있습니다, 만족하며 타고 있는데 로터리 엔진에 대해 알게 되어서 반갑네요.
@이상우-x3g3 жыл бұрын
지금 타고계신 차들은 일반 엔진아닌가요? 현재 로터리는 rx 시리즈에만 나오는걸로 알고있는데
@gilbertlim27823 жыл бұрын
@@이상우-x3g 네 맞습니다, 그래도 마즈다차를 타면서 로터리 엔진에 대해서 궁금 했는데 올려주셔서
@89BROS3 жыл бұрын
크 미국에서도 봐주시고 감사합니다!! 항상 안전 운전 하시길 바랍니다!
@이상우-x3g3 жыл бұрын
@@gilbertlim2782 네 전 호주에있어서 가지고계신 차들을 다 알지만 혹시나 us버젼은 로터리가 들어가나했습니다👍
어쨌거나 저걸 완성해 냈다는것에 대해 마쯔다에 큰 박수를 보낸다 하여간 일본놈들 정말이지 대단하다
@89BROS Жыл бұрын
👍
@melonaaah5 ай бұрын
엔진오일 한달에 한번 갈면서 관리에 제일 돈 많이 들어갔던 엔진이지만 제일 재밌었던 rx8.. 지금 brz 타는데 아직도 그립습니다. 돈 모으면 로터리 스왑하거나 fd 살 예정. 묘하게 매력적인 로터리…
@canada-wonq2 жыл бұрын
이런 엔진을 개발한 회사라 그런가 마즈다 차는 엔진이 참 좋았던 것 같다. 미션은 나락이었지만 ㅜㅠ
@ll_POWER_ll2 жыл бұрын
쓰레기 엔진 망한 엔진 ㅋㅋㅋㅋ
@89BROS2 жыл бұрын
로터리 갬성이 있자나유ㅠ 그래도
@earthwormrrr4663 Жыл бұрын
개발이 아니라,개선 아님???
@tutmaster35993 жыл бұрын
Rebuilt engine every 5k…. I can’t keep up the maintenance fees but i love it
@89BROS3 жыл бұрын
lol
@게라리3 жыл бұрын
저에게 로터리엔진은 타카하시 형제밖에 생각이 안납니다.,..ㅎㅎ
@fotza_inter_sempre3 жыл бұрын
RX7
@89BROS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이니셜딬ㅋㅋ 인상이 강하게 남긴하죠 ㅋㅋ
@HamsterBrother3 жыл бұрын
인정...
@이준일-s5r3 жыл бұрын
마쯔다 로터리엔진은 타미야에서 자동차프라모델로 나올정도로 엄청난 엔진입니다. 거기다가 르망머신대회에 나갔다고합니다. 마쯔다 로터리엔진으로 하이브리드 계획한다고들었습니다. 자동차공학책에서 보았는데 재밌었습니다.ㅎㅎㅎㅎ로터리엔진인 1300cc엔진에서 바이크배기음이 납니다.ㅎㅎ 사촌형한테 들었습니다만 로터리엔진은 일반엔진과 달리 회전문(?)형태로 움직입니다만 가장큰문제는 마모,스크래치가 심해서 리빌드(완전 다시 분해해서 교체후 재조립)한다고합니다. 수리비 가격이 꽤비싸다고 들었습니다.
@89BROS3 жыл бұрын
잠시 뒤 다음편 업로드 됩니다잇!
@energeticianable3 жыл бұрын
엔진 오버홀 주기가 왕복동 엔진에 비해서 매우 짧은게 치명적인 단점이라 많이 사용되지 못한것으로 압니다
@doyun__193 жыл бұрын
왕복동 엔진 대신 엄복동 엔진은 어떠신가여
@89BROS3 жыл бұрын
내구성 및 연비.. 등등.. ㅠㅠ
@Wantc2 жыл бұрын
@@doyun__19 그럼 중간중간에 몇개 사라짐
@coolrunning62692 жыл бұрын
제가 타는 카렌스도 실질 설계는 마즈다에서 해왔다고 합니다. 그 당시 기아에서 카렌스2 개발하시던 분에게 이야기 들었습니다
@89BROS2 жыл бұрын
기아랑 제휴가 있엇죠 ㅋㅋ
@CrossFieldz3 жыл бұрын
기존 로터리엔진의 위상을 뒤집은 LiquidPiston 이란 것이 최근에 개발됐습니다. 삼각형이 밖이고 계란빵이 안에서 회전하는 구조인데 수소도 연소시킬 수 있다고합니다. 이것도 나중에 소개해주시면 좋을듯합니다
@김충현-r6z3 жыл бұрын
Liquid
@크리스탈크리스탈-g1r3 жыл бұрын
그엔진은 4행정로터리엔진이라는 장점을 갖고있지만 단점으로는 로터를 한개만 사용할수있다는겁니다 동력원으로는 부족하죠
@CrossFieldz3 жыл бұрын
@@크리스탈크리스탈-g1r 그래도 소형발전기로 전기차에 탑제되면 개이득 아닐까요?ㅎㅎ 발전출력은 나올태니까요.
@89BROS3 жыл бұрын
마쯔다 시대흐름에 적응해야할때!
@whoareyou--3 жыл бұрын
완전 역발상 구조던데요 ㅋㅋ 아펙스씰 위치도 로터에 위치한것도 아니고 하우징에 있고 신선했습니다.
@busanfirefighter3 жыл бұрын
로터리 엔진의 장.단점 잘보고 갑니다
@89BROS3 жыл бұрын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mmanhb5523 жыл бұрын
이니셜D를 본 사람들이라면 로터리엔진에 관심이 없을 수 없지 극악의 엔진내구성땜에 리빌트해줘 기름먹는 하마... 그래도 시대를 풍미했던 엔진인건 뭐...
@89BROS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이니셜d가 한몫했죠 ㅋㅋ
@Ministeryofsound-w5k3 жыл бұрын
비록 내구성때문에 수리비 작살 나도 호주에서 RX-8타던 그때 그 감성 잊을수없다
@89BROS3 жыл бұрын
크.. 은근히 rx7,8 타신분들이 많군요 ㅋㅋ
@kangwonbo13 жыл бұрын
저는 지금도 로터리 엔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긴 사용하는 무인헬기의 심장이 로터리엔진 입니다
@89BROS3 жыл бұрын
크.. 지리네여
@LunaticMaru3 жыл бұрын
헐 제가 가장 사랑하는 로터리엔진... 고등학교때 공학발표로도 다뤘던 로터리엔진인데 반갑네요
@89BROS3 жыл бұрын
크 고딩으로 타임머신 태워드럇습니다 ㅋㅋ
@user-wy4zf1by6m3 жыл бұрын
아직 고딩때를 못벗어나노
@왕토끼-t2l2 жыл бұрын
이제 엔진의 시대는 가고 모터의 시대가 와서;; 이제 제로백도 모터가 비교가 안될정도로 빠르죠
@김지환-o1k2w Жыл бұрын
전기차 배터리 밀도와 내구성 개선 못 하면 절대 완전 전동화 못 합니다 보조금 없으면 내연기관보다 수천이 더 비쌀 텐데 과연 누가 살까요? 그리고 유럽같은 선진국이나 충전 인프라 깔지 개도국이나 국토 넓은 나라에선 도로포장도 안 돼있는 경우가 태반인데 전기차를 어떻게 굴릴까요...
@한대만맞자3 жыл бұрын
이론적으론 최고의 엔진 하지만 내구성이 문제
@golani-xival3 жыл бұрын
엔진도 소모품으로 봐야한다는 엔진....
@e92_033 жыл бұрын
@@golani-xival 원레 엔진도 소모품이긴 하죠 ㅋㅋ 비교적 수명이 긴
@gongdoly3 жыл бұрын
내구성 문제로 더이상 개발 안하고 이제 진짜 포기된 엔진 입니다.
@89BROS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댓글들이ㅜ더 웃기네요 ㅋㅋ
@e92_033 жыл бұрын
@@gongdoly 내구성은 상관없어요.. 세상에 돈많은사람이 얼마나 많은데.. 환경문제때문에 못만드는겁니다.. 사실상 2티엔진이랑 비슷한거죠
@algo_2013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나오다싶이 로터리엔진의 각 주요 연료분사와 배출부등에 고무실링이 들어가 있습니다. 다만 이 실링또한 직간접 마찰이 되서 자체마모가 있어 키로수 상관없이 최소 1년에 한번이상 엔진 보링과정을 통해 실링교체를 권하고 있습니다. 마쯔다에서 로터리 엔진을 포기한건 기술력때문이 아닌 구조상 초고출력엔진인지라 배기가스 유로기준을 맞추지 못하여 생산을 중단하게 되었고, 19년도인가? 다시한번 도전했지만 그역시도 실패해 지금은 역사속으로 사라진 자동차엔진이 되었습니다. 여담으로 자동차에만 안쓰일분. 초대형 선박등에는 여전히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89BROS3 жыл бұрын
추가 정보 감사합니다!
@박건-j4k3 жыл бұрын
다음 르망편 기대됩니다 역대 르망우승팀중에 70년대 일본 있는거 보고 놀랐어요 어서 올려주세요~
@89BROS3 жыл бұрын
잠시 뒤 다음편 업로드 됩니다잇!
@스맛쿠스틱파이터맛쿠3 ай бұрын
로터리엔진 ❤
@588243 жыл бұрын
벽을 강한 원심력으로 긁어가며 돌기때문에 내구성이 너무 안좋아서 일반인이 타기에는 무리가 있죠
@@곽정규-y7k 아마 8만에 교환인가 했던걸로.. 걍 상용화라는 말이 무색함. 일본은 5만이상차는 국내 10만이상의 가치정도로 밖에안봐서 8만 10만까지가도 오래갔다고 보는게 일반적..
@tdjfghjhioh45dffc44311 ай бұрын
르네시스 엔진을 끝으로 로터리는 끄~~~읏
@89BROS11 ай бұрын
😭
@shimeunseob3 жыл бұрын
흡입 압축 폭발 배기를 하는 4행정 기관과 다르게 한번에 네가지 행정을 다 할 수 있어 배기량 대비 출력이 상당히 높지만 연비는 4행정기관만큼 좋지 않은 엔진
@89BROS3 жыл бұрын
추가정보 감사합니다
@rdmmechguy3361Ай бұрын
배기량대비 출력비. 딱 그거 하나 뿐임.
@djnice2503 Жыл бұрын
크.. 너무 좋은 내용입니다
@89BROS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javaxerjack3 жыл бұрын
저 로터리 엔진은 자동차 공학 책을 펴보면 나오는 엔진 종류 중 하나일 정도로 혁신적인 엔진이긴 했는데 그래도 문제가 너무 많았던 엔진입니다. 차라리 가스터빈 엔진이 좀더 현실적이지 않을까 싶네요.(결국 예네도 항공기나 배, 전차 같이 특수한 경우에 한정해서만 쓰였지만)
자동차에는 가스터빈보다 로터리엔진이 더 현실적이죠. 실제로 지엠이였나 미국회사가 터빈넣은 시제품을 만든적이 있긴합니다만..
@truth14722 жыл бұрын
연비가 문제죠.
@MOCMAKEPERSON2 жыл бұрын
0:01 팝업 램프는 올렸다 내렸다 할때 특유의 귀여움이 있죠 ㅋㅋ
@89BROS2 жыл бұрын
윙크띠!
@Eddiya3 жыл бұрын
Rx7 사서 채널 운영하는데 고장만나서 차도 못타고있어요, 매일 고치고만 있습니다..ㅋㅋ 나는 미쯔비시 전범기업이라 미쯔비시 쳐다도 안봤는데 마쯔다도 한몫 했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ㅠ)
@89BROS3 жыл бұрын
앗.. 그런 아픔이 잇엇군요..ㅋㅋ
@chaedeukkim3 жыл бұрын
로타리 엔진 rx7희소성 때문에, 형편이 된다면 소장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이미 오래전부터 컬트적으로 빠는 차쟁이들이 많은데다가, 비슷한 이유로 단종된 공냉식 박써엔진은 이미 저 세상급으로 가서, 포르쉐911은 말 할거도 없고, 발에 수 없이 차이던 공냉식 볼크스바겐 타잎 1과 2 같은 당시 인기도 별로 없던 차들을 보면서..
@시나매3 жыл бұрын
빨리 다음영상 보여줘요~ 보여주란말이에요~ 아 현기증난단말이에요~ 빨리~
@89BROS3 жыл бұрын
2편도 빨리 준비하도록 하겠!!
@3KKK-v7l3 жыл бұрын
오 정말 관심있던 주제 다루시네 ㅠㅠ
@89BROS3 жыл бұрын
재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더!
@chal-woongkim891111 ай бұрын
마쯔다 아니고 독일 자동차회사 NSU가 개발한 엔징을 마쯔다가 독일에서 사갔습니다.
@TheMadebyR3 жыл бұрын
마쯔다는 아직 일본에서도 꽤 잘나가는 회사입니다. 스카이액티브X엔진의 성능도 그렇고. 같은 값의 토요타 혼다 닛산보다 상품성도 훨씬 좋구요.
@ThaiHan-wc7ul3 жыл бұрын
동남아 시장에서도 혼다 도요타보다 마쯔다를 더 윗급으로 생각합니다.
@사랑합니다그대3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신뢰도는 위의 3사가 좋다고 생각하는데 로터리를 제외한 마쯔다의 엔진, 미션의 내구도는 어떤가요?? 요즘 mx-5가 머리에 맴돌아서요. 😬
@Ministeryofsound-w5k3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도 도요다 다음으로 잘나가는데..
@사랑합니다그대3 жыл бұрын
@@Ministeryofsound-w5k 오… 😯
@따끔일침야옹이3 жыл бұрын
HCCI!!
@inholee15352 жыл бұрын
황당한게 마쓰다 외 다른 독일, 일본 회사가 기술약이 없어서 로터리 엔진 상용화 포기 한게 아님에도 마치 마쓰다가 엄청난 기술력이 있는 회사로 포장하고 있음 다른 회사는 불량으로 판정 할 수준의 엔진을 성공 했다 주장하며 상용화 한게 마쓰다의 기술 수준
@89BROS2 жыл бұрын
😅
@whaaw56443 жыл бұрын
인트로와 엔딩. 유치하지만.. 너무 귀여운 ㅋㅋㅋㅋ 뭔가 새로운 아이디어 고민하면서 즐거워할 제작자들 표정이 상상되네요!
@89BROS3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인트로 기대하시는분들이 많아서 어떻게 병맛으로 로고를 튀어나오게 할지 인트로 고민만 한시간 넘게 할때도 있답니다🤣🤣
로터리 꿈의 엔진이죠 좋습니다 전범기업 그런거는 뒤로 제껴두고 고알피엘에서 터지는 알피엠 맛이 질질 쌉니다?
@89BROS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ㅋㅋ 실제로 경험해보니 엄청나더라구요 ㅋㅋㅋㅋ
@민종923 жыл бұрын
그 시대를 풍미했던 엔진... 다시 볼수 있으면 좋을텐데..
@89BROS3 жыл бұрын
볼수야 잇긴하쥬 ㅋㅋ
@ll_POWER_ll2 жыл бұрын
쓰레기 엔진을 왜 ㅋㅋ
@oifv-v8o Жыл бұрын
다시 출시합니다
@킹받는레옹구독해주세3 жыл бұрын
ㅎㅎㅎ 좋네요
@89BROS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시간나시면 2편도 봐주세요!
@킹받는레옹구독해주세3 жыл бұрын
@@89BROS 넵 ㅎ 꼭 볼게요
@VanguardOfHorus3 жыл бұрын
무안단물마냥 좋았으면 썼을텐데,장점보다 단점이 너무 많아서… 그나저나 RX8 후속모델이 없는게 아쉽네요.
@89BROS3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잠시 뒤 다음편 업로드 됩니다잇!
@수수해-t5s3 жыл бұрын
08:34 라고 써 있는데 불사조라면 Phoenix가 아닐까요. 오타인지 프로젝트 팀이 이름을 일부로 저렇게 지었는지 난감하군요.
@89BROS3 жыл бұрын
오타에유ㅠㅠ
@divetothegarage55353 жыл бұрын
1.내구성이 유리엔진이라 불리었던 원인줕 아펙스씰은 지금은 강화된 애들로 에프터마켓에서 나와서 내구성이 상당히 많이 올라갔습니다. 2. 연비 - 로터리 특성상 폭발에너지를 가두어두는 시간이 레시프로에 비해 너무나도 짧아 배기불꽃으로 날라가고 효율이 20%언저리의 단점이 있으나 새로운 개념의 리퀴드피스톤방식(로터리를 다시한번 역발상한 엔지니어링)으로 레시프로 이상의 열효율을 끌어올릴수 있을거라 보여지지만 현실은 전기차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있기 때문에 가망성이 없어짐. 3. 구조특성상 토크가 매우 낮음. 대신 엄청난 리스폰스와 이론상 무한대의 회전영역을 가질수 있음. 토크가 어느정도 낮냐하면 오르막길에서 긴장해야 할정도임. 참고로 오르막에서 엔진 멈췄을때 1단에 기어 넣어도 엔진이 역회전하면서 차가 뒤로 굴러감. 4. 대단한 엔지니어링이기는 하나 현실시대의 벽은 넘기 힘든 시대의 엔진이라 소형발전기같은 계열빼곤 사실상 자동차엔진으로는 다시는 접하기 힘든 엔진. 5. 로터리 경험 못한 사람들이 로터리 환상이 쩔어버림…..종교처럼 맹신시키기 딱 좋음…ㅎ
@퐝-y9z3 жыл бұрын
훠이 훠이 물러가라~~~ 훠이 훠이
@divetothegarage55353 жыл бұрын
@@퐝-y9z 농부아저씨 너무 자세한 설명 싫으신가??ㅎ
@89BROS3 жыл бұрын
추가정보 감사합니다!
@chaedeukkim3 жыл бұрын
와! 감사! 그런데, 미국에서는 처음 접한 사람들도 아닌데, 맹신도 들이 중고차 값을 점점 더 올려놔서 이제는 공냉식 포르쉐값을 따라가네요. 사실 예전의 신 차때도 rx7은 911과는 비교도 안 되게, 저렴해서 비교하자면 924급, 하지만 924나 944는 현 가치는 별로..
@최동훈-u9z3 жыл бұрын
프린스를 인수한 메이커는 닛산이죠 그 유명한 닛산 스카이라인이 프린스의 대표적인 차량이구요
@89BROS3 жыл бұрын
닛산 맞아요 제실수요^^
@eagles21162 жыл бұрын
일본 엔지니어들의 곤조(근성)가 배어 있는 차, 럭셔리 카는 아니지만. 나름 명차로 불리울 자격이 있는 차로군요.
@루묵도-l4u2 жыл бұрын
래디얼 엔진 초창기의 용어가 rotary라서 제목만 봤을때는 순간 헷갈렸네요. 반켈엔진이군요!
일본차역사에 대해 알려드리자면 5:44의 특수법이라는게 자동차메이커 통폐합 명령입니다 작은 메이커들은 큰 메이커에 통폐합된 사건이죠 프린스자동차는 그 유명한 고급 패밀리세단인 스카이라인과 최고급 세단인 글로리아 슈퍼식스를 만든 업체이죠 두 차량의 3세대모델은 본래 프린스에서 후속으로 막 니올 차량이었지만 타메이커 마크를 달고 나온 비운의 차량이 됩니다ㅠㅜ 그런데 잘못 알려주신 부분이..... 프린스자동차공업은 토요타가 아닌 "닛산"에 합병되었습니다 토요타와 합병된 업체는 간토자동차공업이었고요 여하튼 닛산과의 합병으로 역사가 사라지는 프린스 엔지니어들은 악에 받쳐 괴물을 만들어내게 되는데...... 그차량이 R380입니다 네 맞습니다 포르쉐를 이긴 그 스포츠카죠
@89BROS3 жыл бұрын
추가정보 감사합니다!
@elvenisar3 жыл бұрын
사실 로터리 엔진의 모든 장점은 취하고 단점은 버린게 바로 전기모터....
@열대주택3 жыл бұрын
전기모터가 더먼저만들어졌지 않았나요
@쭈니-g1l3 жыл бұрын
트랜스미션의 부재로 효율적인 운용이 불가능한 점은 모터의 가장 큰 단점이죠.
@89BROS3 жыл бұрын
포르쉐의 앞날이 더욱 기대되는..
@hyune75173 жыл бұрын
@@쭈니-g1l 그마저도 출력이 너무 세서 변속기가 감당을 못한다는.....
@쭈니-g1l3 жыл бұрын
@@hyune7517 전기가 토크는 세죠. 어쨋든 고속 고회전으로 갈수록 효율이 떨어지는게 모터의 유일한 하자라고 봅니다. 그것만 개선되면 주행거리가 확 늘어날텐데 말이죠.
@outerlevi62542 жыл бұрын
로터리 엔진 자체가 결함 그 자체인데, 괜한 말 빨로 전설인듯이 얘기해서, 일본인들이 실제로 만들어봤는데, 영 아니라는 결론을 내림.
@후배위한선배-s2f2 жыл бұрын
지금생각하면 말도안되는 기술이지만 거의 사용하지않는 추세인데도 불구하고 진짜 장인정신은 대단한듯
200년에 걸쳐 엄청난 엔진을 개발했는데 이제 모터로가는 전기차시대가 왔어.ㅠㅠ. 심지어 현대도 2030년부터 전 라인 전기차생산라인으로 바꾼데 이제 기름먹는 자동차는 구시대유물이 될날이 얼마안남은듯
@김태홍-q8n3 жыл бұрын
하겠...에서 영상 끊는거 정말 열받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89BROS3 жыл бұрын
2편도 빨리 준비하도록 하겠!!
@링베돌링2 жыл бұрын
마츠다도 참 대단한회사야
@쭈니-g1l3 жыл бұрын
독일 애들이 기술이 없어서 방켈 엔진(로터리 엔진의 원형은 방켈 엔진입니다)을 완성시키지 못한 것이 아닙니다. 다만 매각 당시까지 로터를 밀봉시킬 마땅한 소재가(카본이나 기타 합성 소재 등) 없었을 뿐이고, 당장 수익이 중요한 대기업이 손을 놓자, 마즈다가 그 것을 먼저 운 좋게 집어 삼킨 것 뿐이죠. 이후 특허라는 발목에 묶여 마즈다에서만 로터리 엔진을 취급하다 보니, 그 엔진은 집단 지성의 부족 때문인지 기술적 한계를 돌파하지 못했고, 고성능이지만 내구성이 부족한 바람에 결국 무게 대비 출력이 중요한 레이싱에서나 좋은 엔진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전기의 시대가 와버렸네요. 한 때 미아타 5세대를 보고 드림카였던 적도 있었으나 전범 기업임을 알고 치워버렸죠ㅎ 마쓰다는 거즘 끝났어요. 다음 세대에 마쓰다의 자리는 거의 없다고 봅니다.
@89BROS3 жыл бұрын
마쯔다ㅠㅠ 화이팅 ㅠㅠ
@5cylinders5803 жыл бұрын
로터리엔진 다시나온데요 ㅋㅋ
@jwh98112 жыл бұрын
역시 일본은 독일 및 미국을 능가 할 수 없네요. 항상 명예 백인을 꿈꾸지만 절대 될수 없는 그나라.. 파리 신드롬이란게 일본에 있다는게 너무 웃겨요
@goodwdw702 жыл бұрын
@@jwh9811 그래도 아시아에서는 가장 먼 곳까지 가봤던 나라입니다. 이건 인정해 줘야 될 듯합니다. 물론 앞으로는 절대 그렇게 되지 못하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