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한국 첫 도입을 앞둔 미 스텔스 전투기 스텔라 F-35A!! 뜨거운 화제의 중심! 트럼프 무기리스트 F-35A, 이미 5년전 10년전 15년 전부터 추진되거나 결정된 사업들~ F-35A 전투기 도입 왜 필요한가? F-5 F-4 팬텀 전투기 등 퇴역이 예정된 구형 전투기들 30년 넘은 구형 전투기를 대체 할 새로운 전투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Пікірлер: 446
@너이노옴3 жыл бұрын
유용현 기자님이 사람이좋으셔서 참많이 참으시네요
@sunryon7 жыл бұрын
방영시간이 늘었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LEEGilSun6 жыл бұрын
sunryon lllolo
@여행내꿈4 жыл бұрын
8
@AHNKUK4 жыл бұрын
병영시간이 늘었다고 보여서 순간 존나무서웟다
@심현택-q3o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리다
@서병훈-j9m7 жыл бұрын
국군방송 유익함
@태왕사신기-g9q5 жыл бұрын
국군방송 정말 유익합니다 항상좋은 영상부탁드립니다
@곰돌슨5 жыл бұрын
국방티비입니다. 국군이 아니라 국방부에서 만드는 방송입니다. 군대와 국방부는 다른 조직입니다. 국방부장관은 민간인도 할 수 있으며, 신검받으라고 문자때리는 국방부 직원들은 군인이나 군무원도 아닙니다. 국방부는 행정부 산하조직으로, 군 위에도 아래에도 있지 않은 별개조직입니다.
이렇게 멋진 라이트닝2가 지금 현제 실가동률 50퍼센트 미만이라니....안타깝다 어서빨리 기술개선이 이뤄져서 높은 가동률을 가지길...
@별빛보석-k1v5 жыл бұрын
미국서는 6세대 만든다고 하더군요.
@dabinseori4 жыл бұрын
패트리어트를 제외하면 나머지 무기들은 당분간 들여와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미국이 응하진 않겠지만 돈 더 줄테니 F-35말고 F-22를 팔면 안되겠냐?
@yarn755 жыл бұрын
러시아가 미국 보다 사출 생존이 높다고 옛날에 본적이 있어요. 미국이 기술적으로 문제가 있었고 사출시 충돌로 사망하는 것이 영화 탑건에서 나오고요.
@김강민-h1k5 жыл бұрын
F-22 랩터도 스텔스 성능이 필요 없을 때 F-35 처럼 외부에 미사일이나 폭탄을 장착을 하나요🤔🤔🤔 그리고 F-22도 F-35 처럼 표면이 리벳(못자국)이 거의 없지 않나요???
@이은규-f1s5 жыл бұрын
정비는 어떻게 할건가요 일본에 가서
@울강쥐돼지5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정비 하기로 햇엇는데..뉴스에 나왓네요..오버홀은 미국에 가겟죠 그리고 f-3540기 주문 할수도 있다는데 그럼 어느정도 정비능력을 주겟죠.
@yunanyunhwan35547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새로운 군사지식들 얻어갑니다~^^ 2018년도 파이팅~! 그리고 '본방야사' 앞으로도 기대하겠습니다~!!
@대령통6 жыл бұрын
북한에 제공권이 있기는 한가?
@곰돌슨5 жыл бұрын
제공:못함 요격:못함 고고도방공:못함 저고도방공:강력 궁병대 앞에서 광선검 들고 설치는격 쎈데 안닿아ㅠ
@안희록4 жыл бұрын
저는 한반도 전쟁은 남북한 만의 전쟁이 절대로 아니라는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전쟁을 준비해야 하는 범위는 중국의 만주군과 러시아 블라디버스트. 하바루스키에 주둔하고 있는 병력까지 생각을 하고 대비해야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좀드 염두에 둔다면 일본군도 만약을 대비해야 할 것 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대한민국은 국방력에 있으서는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할 것이라 생각 됩니다. 중국 만주에 주둔하고 있는 군병력과 . 러시아 동북아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병력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스텔스 기능이 그렇게 작게 레이다에 나타나게 하는 효력이 있군요?
@sirokuro235 жыл бұрын
근데 레이더에 아주 작은 점이긴 하지만 찍힌다는건데 아주빠른속도로 움직이는 점에대해서 컴퓨터가 확대 집중 탐지하도록 할수는 없는건가? 그러면 스텔스 전투기 탐지 가능할것 같은데
@dongwooklim45117 жыл бұрын
공군은 솔직히 우리나라가 아쉽네요.... 원래 IMF 전까지만 하더라도 F-4나 F-5를 전부 F-15K 최대 120대 가량을 구입해 대체할 생각이었는데 IMF 터지고 도입물량이 반토막 나면서 공군기종 세대교체를 많이 못하게 되었죠 솔직히 우리나라 상황에 F-15K 120대도 엄청 부족한 보유대수입니다. 근데 반밖에 없으니 지금 상황이 별로 안좋습니다. F-35 도입 될때까지 노후기종으로 버텨야하는것도 문제지만 도입물량이 적어서 그 후에도 노후기종의 자리를 다 못채우는것도 문제죠 그리고 록히드마틴사가 100%로 확률로 가격 올릴테고..... 그럼 도입대수가 적어질지도..... 그리고 특히 요센 국방부가 해군에 예산 엄청 쏟아붙고 있는 것 같아서......
@dongwooklim45117 жыл бұрын
하사장님 말이 맞습니다. 해군이 더 시급하죠;; 지금도 해군이 많이 후달리구요 주변국에 비해;; 적어도 최소 일본해자대 전력의 80% 정도되야 되야하지 않나 봅니다. 지금 60% 가까이 수준이라는데;; 아직도 갈길이 멀어요;; 거기다 정보나 지원체계등등도 후달리고 대잠능력도 후달리다 들었습니다.
@choi6927 жыл бұрын
Lim Dong Wook 해자대가 세계 2~3위.... 중국도 넘어섯다고 하는사람도 많아요.. 한국해군 60% ? 그럼 걱정도 안하게요.. 진짜 많이 봐주면 40%정도 아닐까 합니다..
전쟁병기 전문 방송인데...뭔가 전문성에 문제가 있는 듯 하네요..요즘은 밀덕도 상당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어서..많은 준비하시고 방송하셔야할 듯 합니다.
@타이거유튜브-n8u7 жыл бұрын
2018년도에도건강하세요! 새해복많이받으세요
@오용길-n1b5 жыл бұрын
스텔스 성능은 형체 와 도료로 완성 됨. 폐인트는 특수도료. 스텔스기도 전,측,후면의 RCS가 조금 다름. 전면이 가장 적고 측,후면은 전면보다 조금 큼ㅡ이것만 팩트. 자세한 건 군사 비밀.
@dreamingmachin82623 жыл бұрын
무작정 5세대 전투기의 수량을 늘리기 보다 똑똑한 4.5세대 하이급 전투기의 수량을 늘려 가는것이 합리적이다 일례로 미국도 F22의 운영을 포기한다는 소리가 있다
@JuK-yh5nn6 жыл бұрын
3차 중동전이 아니라 4차 중동전 아닌가요??
@trai131azer6 жыл бұрын
F35A랑 F15K랑 비교했을때 뭐가 더 우세일까요??궁금))
@구름-v8t1i5 жыл бұрын
f15k가 레이더로 감지하기 전에 f35a가 먼저 감지해서 요격할듯
@plethodon48303 жыл бұрын
당연히 f35지 현존하는 가장 출력좋은 엔진 단 전투기한테 어딜 f15따위가
@GGg-kk6jo6 жыл бұрын
넘 재밌어요 역시 러시아가 가성비 최고 미국이 비싸게 만들면 러시아가 약점을
@ll-tg7xz6 жыл бұрын
아무리 그래도 랩터한테 비비면 안되지. 얘는 랩터 보급형 수준인건데.. 그리고 왜 미국이 수출을 안하는 이유도 생각을 해야지.....
@geuluteogi-stub68006 жыл бұрын
우리라고 랩터를 못 만들 이유는 없죠. 이번에 보니 미국 무기도 카탈로그 스펙 같더이다. 랩터도 스텔스 도료 떡칠 했을지 누가 알까요?
@user-NavalAviator6 жыл бұрын
geuluteogi -stub F-22랩터의 형상만 봐도 스텔스가 되는 형상입니다. 도료는 추가적으로 발라주는것이기 때문에 아마도 F-22는 도료를 꼭 안칠해도 될겁니다.
@geuluteogi-stub68006 жыл бұрын
@@user-NavalAviator 스텔스 설계는 이미 1차대전 독일이 설계할때 부터 정립된 기술 입니다. 추가 되는게 도료 입니다. 계속 유지 하기 위해선 어쩔수 없는게 현실 입니다. 뙤놈들이 카나드 달린 기체도 스텔스기라고 구라치는 이유가 그거죠. 설계상은 이미 다 뽀록단거일뿐. 설계상 스텔스엔 한계가 있죠
@hotalsocold6 жыл бұрын
@@user-NavalAviator 그렇진 않아요. 영상에 나온 스텔스 도료 코팅이 35 나 22의 스텔스 기능의 핵심이예요. 랩터 운용비 중에 스텔스 도료비가 어마어마하게 든다고 하네요. 그래도 35는 22의 스텔스 기능보다 뛰어나다는 영상의 설명은 잘못되긴 했네요. 22가 훨 월등하죠. 그래도 35가 운용면에서는 값도 싸고, 나온대로 최신 기술이 더 많이 들어갔고, 다목적 운용에는 더 탁월하다는 말은 맞습니다. 우리는 사실 22가 필요가 없고, 운용하기 부담스러울 겁니다.
@user-NavalAviator6 жыл бұрын
김현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새로운 사실을 알고 가네요~ 감사합니다~~
@김강민-h1k5 жыл бұрын
중국의 일부 무기들은 보면은 미군 무기 뿐만 아니라 러시아 무기들까지 보고 베낀 경우가 많네요.
@곰돌슨5 жыл бұрын
B형을 사긴 할까요? 항모는 말만하고 진지하게 고려중이진 않은것 같은데.
@김강민-h1k5 жыл бұрын
원래 3차 중동전쟁은 1967년에 일어나지 않았나요? 그런데 27:06에 뭔가 자막이 잘못 나온 것 같은데요 원래 1973년에는 3차가 아니고 4차 중동전쟁인데요.
@이놈리스크7 жыл бұрын
긴급 궁금한게 있음 양쪽에 같은 무게 미사일 달고있다가 왼쪽 미사일 한발 쏘면 무게 중심 안맞지 않음? 오른쪽이 더 무거운데 미사일쏠때 무조건 2발씩 쏘는거임? 무게중심 위해서?
@intruder26277 жыл бұрын
정말 무거운 폭탄이나 미사일이 아닌이상 무게중심이 많이 흔들리거나 하지 않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PBW(플라이 바이 와이어)같은 시스템들이 무장 투하 후 무게중심 흔들리는걸 수정하고 보정해주는걸로 알고있습니다.
@ksm82415 жыл бұрын
비행보조시스템이 제어해줘요
@아야세에리-y4p7 жыл бұрын
형수님... ㅋㅋ
@JUSTVIDEO14647 жыл бұрын
왜 레이다가 레이저로 오타 났지?
@김강민-h1k5 жыл бұрын
왜 미국의 육군, 공군 무기들 중에 일부는 비쌀까요?
@곰돌슨5 жыл бұрын
비싸니까요. 안비싼데 비싼척하고 대금치루고 뒤로 돈빼돌리는것 같아요? 인터넷에서 대당 가격 보고 뇌피셜쓰는거면 무기가격에 대한 관념을 새로 잡아셔야합니다. 몇십만정씩 찍어내는 소총같은게 아니라 수백대 만드는 전투기같은 무기의 경우 생산량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 됩니다. 100억주고 10대 살 수 있는 10억짜리 전투기가 20대 산다고 하면 200억이 드는게 아니라 120억이 들 수도 있어요. 만들면 너도나도 다 살 수 있는 기성품이 아니라 구매자가 군대로 유일한 군용병기들은 주문한만큼 만들기 때문에 정확한 가격이 없고, 절반 주문한다고 돈이 절반 드는것도 아닙니다. 더군다나 f35는 아직 개발중인 전투기입니다. 완성품이 나왔지만 기체개량과 추가모듈개발을 계속하고 있어요. 당연히 가격은 계속 바뀝니다. 중간에 사겠다고 하던 나라가 빠져나가면 나머지 국가들의 구매가격은 더 높아질 수 있고요. 내놓으라고 난리치는 터키에게 판매허락이 떨어지면 가겨은 또 떨어질겁니다. 모르는거예요. 위키에서 한대 몇억원이다 하는거 읽고와서 그것보다 비싸면 방산비리다, 싸면 잘샀다 할 수 있는 단순한게 아니란겁니다.
@pablop63615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는데요 만약에 스텔스가 점만하게 보인다면 그 점만한 표시가 빠르게 이동하는걸 감지하는 스텔스전용 레이더를 만드는건 어떨가요
@강동식이5 жыл бұрын
만들어봐..
@김윤-c7e4 жыл бұрын
북한 상대로는 사치지 그것도 명품급 사치
@ppowerunlimited81757 ай бұрын
13:08 스타 해설자답게 애드원 드립 ㅋㅋ
@무추그라샤아스3 жыл бұрын
5G 디지탈을 이용해서 자동 플로팅 원리를 이용하면 AI기술로 스텔스기를 포착 할수 있겠는데요...아무리 작은 점으로 레이더에 포착이 된다지만 포착이 안되는 것은 아니잖아요. 그렇다면 이것도 컴터를 이용해서 포착이 가능 하겠는데요... 이글을 보는분중에 개발자가 계시다면 ...개발해 주시길...
@leonardlee51768 ай бұрын
북한의 허접한 공군력 정도야 F-15K, F-16 조합만으로도 손쉽게 제압 가능…F-35 도입은 중국과의 공중전을 염두에 뒀거나 아니면 스텔스 성능을 이용하여 개전이 시작되자마자 북한의 미사일, 핵시설을 정밀폭격을 하기 위한 것이라고 봐야 함.
@짱신-p1i5 ай бұрын
우리세금으로 구매한 뜰때마다 미국허락이 필요한 비행기~~~ 두고두고 다음세대에게 짐을 지우게 하는 우리돈으로 생산한 미국이 승인해야 뜰수 있는 비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