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이해하기 - 석가모니 / 부처 / 싯다르타 / 불교

  Рет қаралды 797,411

계피생강의 지식탐구

계피생강의 지식탐구

Жыл бұрын

초심자와 만나는 붓다,
인물부터 사상까지 한방에 정리했습니다.
*해석에는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부처 #불교 #무아
영상자료 출처
-리틀 부다 Little Buddha , 1993

Пікірлер: 925
@user-jv1ni9ur8j
@user-jv1ni9ur8j 5 ай бұрын
불교는 마치 종교라기보다 철학같네요. 정말 이성적이고 합리적입니다. 감사합니다 부처님
@ljhosep9404
@ljhosep9404 Жыл бұрын
불교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는 스스로의 존재부터 인정한다는것이 아닐까 합니다 "천상천하 유아독존" 모든 생각과 행동은 나로부터 나오고 번뇌와 쾌락, 깨달음, 오만 까지 일단, 자존을 인정함을 통해 시작됩니다 부처에게 가르침은 받되, 의지하지 말라 아... 이 얼마나 현명한 가르침일까요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부처의 가르침은 사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sungminjun3159
@sungminjun3159 8 ай бұрын
저는 어떤 종교에 심취하지 않은 무교이지만 부처님의 말씀은 참 현실적이고 배울게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영상 감솨요~~
@Lesser_Kim
@Lesser_Kim 6 ай бұрын
불교는 부처라는 정신적 지주가 있긴 하지만.. 불교는 부처를 믿는 종교가 아닙니다
@mathadmission1742
@mathadmission1742 Жыл бұрын
일단 천재임.. 현대 정신분석학으로 봐도 대단한 통찰력을 가지신 분임...
@user-kw3se9oh3f
@user-kw3se9oh3f 8 ай бұрын
감히 평가를? ㅋㅋ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user-zw7so4bq3o
@user-zw7so4bq3o 2 ай бұрын
세상 그 누구도 석가모니를 판단하거나 평가할만한 사람은 없습니다. 감히라는 말이 나올 정도니까요. 아무리 시대를 앞서가는 천재라도, 석가모니의 철학이나 사상, 말을 보면 차원과 급이 다른 존재입니다. 같은 인간도 아니고, 인간도 아니고, 영혼으로 봐도 차원이 다른 존재네요.
@aisle11
@aisle11 Жыл бұрын
사는것이 고통의 연속임을 깨닫고 인정하므로써 삶으 고통으로부터 벗어날수 있다는 부처님의 깊은뜻
@dohakim4916
@dohakim4916 Жыл бұрын
이 위대한 진리를 2천년이 넘는 과거에 어떻게 깨달았을까요. 인간은 영원히 살지 못하지만 영원히 살 것처럼 모든것에 집착하고 갈애하며 살아가죠. 그것을 끊어내기란 쉽지 않고 특히 요즘같이 sns가 발달한 세상은 더더욱 힘들기만 합니다. 막대한 부와 명예를 가지는것보다 모든것을 내려놓고 평온하게 집착하지 않는것. 부처님의 말씀은 지금까지도 많은 중생들에게 큰 울림을 주네요.
@mumu-nn1tf
@mumu-nn1tf 7 ай бұрын
믿는다는 개념보다 배운다는 개념이 강하다고 느껴짐
@gigicreater
@gigicreater Жыл бұрын
내가 겪는 문제나 어려움이 무엇인지 먼저 제대로 인식하고 그다음 그것을 직면하고 인정해야만 진정한 해방 그리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알게된다는 붓다의 깨달음.😇 당연히 인생은 고통 그자체. 그 고통을 제대로 아는 것만으로도 고통에서 해방되는 기분을 가질 수 있다는게 중생들을 향한 붓다의 마음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잘 정리하셨네요
@canoneos2
@canoneos2 Жыл бұрын
설명 대박입니다 이정도면 부처님도 칭찬했을듯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살아계셨다면^^
@LeeTaeYoung1000
@LeeTaeYoung1000 Жыл бұрын
부처의 위대함이 무엇인지 이 영상으로 쉽게 이해했네요. 깨달음을 쫓다보니 깨달음이란 마치 사막 한가운데서 오아시스를 찾고있는 내가 만들어낸 신기루 와도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부처가 지금 까지 사람들에게 칭송받는 이유는 그시대에 대단한 깨달음을 얻었는데 그것에 그치지 않고 그 깨달음을 많은 사람들에게 설파한데있지 않나 생각하게 되네요. 깨달음이라는걸 얻는다고 초월적 존재가 되는것이 아니라 그저 살아가는건 변함이 없으나 그 삶의 질이 달라지는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user-mz6ve6xu5i
@user-mz6ve6xu5i 2 ай бұрын
수행을 통해서 몸과 마음이 정화가 됨으로 인해서 지혜가 개발이 되고 지혜 개발로 인해 심리가 바뀌는 것이 반복되고 번뇌가 덜어진곳에 청정함이 자리하고 행복감이 일어납니다 고로 어제의 나 오늘의 나는 다르다고 느끼며 수승한쪽으로 나아가서 결국 범부가 성인이 되는 경지에 이르게 되는것입니다.
@chillhill823
@chillhill823 Жыл бұрын
무교지만 불교의 뜻과 의미는 정말 현생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크게 귀감이 된다 생각함
@ndkndkd5900
@ndkndkd5900 Жыл бұрын
근데 부처상에 절하고 기도하는건 무슨..
@Nirbana
@Nirbana Жыл бұрын
@@ndkndkd5900 보통 불상이라 하는데.. 불교를 잘 모르시는군요?ㅋㅋ 그건 기복신앙과 비슷한 뉘앙스라 저도 좋다 생각하지 않지만 중요한건 마음가짐 입니다. 단순히 빌거나 복종하는게 아닌 깨달음을 구하거나 존경의 의미라면 우리가 설날 절을 하듯이 큰 문젠 없다 생각합니다. 그리고 동아시아에 대승불교(혼자만 알기보다 모든중생을 보살펴야한다는 종파) 가 들어오며 부처님이 신격화된 모습도 있습니다만, 그건 좋지는 않지요. 다만, 그리되지 않았다면 안타깝게도 불교는 이리 퍼질 수 없었을 겁니다. 종교는 정치적으로도 많이 이용되왔기에 (불교포함) 오히려 역설적이게도 신격화 덕분에 더 널리 퍼져 알려질 수 있었죠 (아마 대승불교권에서는 말이죠) 또, 많은 생(生)동안 (부처님은 부처님이 되기 이전 여러 전생 가운데에서 수련했습니다) 수련을 해 올바른 깨달음을 얻은 이니까요. 저는 깨달음을 얻은 삶 전과 후가 달라졌음을 느껴요. 전까지 있었던 집착,탐욕은 줄고 화도 줄었는걸요. 괜히 긴 글 남겨 죄송해요~
@jaydenchoi367
@jaydenchoi367 Жыл бұрын
@@ndkndkd5900 왜 십자가에 대고 기도하는 애들도 있는더
@ndkndkd5900
@ndkndkd5900 Жыл бұрын
@@jaydenchoi367 바보야..
@domddoww9300
@domddoww9300 Жыл бұрын
@@ndkndkd5900 기복신앙이 되어버린 한국 불교는 믿으면 안되지. 그냥 불경들 사서 읽고 명상하며 내용을 곱씹는게 진정한 불자임.
@kdygreen
@kdygreen Жыл бұрын
부처님은 진짜 너무 너무 훌륭하십니다 ㅠㅠ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맞아요.
@gayin
@gayin Жыл бұрын
붓다의 출현은 인류의 행복입니다ㆍ! 수천년이 지난 지금도 불경은 많은 사람들을 구원하고 있으니까요ㆍ! 정말 좋은 유튜브 채널입니다ㆍ감사합니다!!
@fighting2632
@fighting2632 Жыл бұрын
인류를 통틀어 내가 가장 존경하는 사람. 석가모니부처님! 영상 만드신분은 불자인 저보다 설명을 더 잘 하시네요.👍
@user-vc8dx9mv5b
@user-vc8dx9mv5b Жыл бұрын
그분의 45년간의 설법이 수천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전해져내려오고 있네요. 감사합니다. 세존이시여..나무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나무아미타불
@user-yt8nr8tu9v
@user-yt8nr8tu9v Жыл бұрын
윤회가 진짜 있는지, 해탈이 진짜 있는지는 믿기 힘들지만 석가모니가 세상을 바라보는 견해는 확실히 생각해볼만함
@lotus4405
@lotus4405 Жыл бұрын
윤회를 한다는 것은 곧 전생을 믿는 것이니 오늘의 전생은 곧 어제요. 오늘의 내생은 곧 내일과 같습니다. 어제의 하루하루가 모여 오늘을 만들고 오늘의 하루하루가 모여 내일을 만드니 전생-현생-내생으로 생각하면 윤회를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윤회에서 벗어나 대자유인이 되기를 두손모아 발원합니다. 🙏
@user-my9nw8mt5i
@user-my9nw8mt5i Жыл бұрын
윤회는 이렇게보면됩니다. 죽으면 무엇이되도 되겠죠? 흙으로가든 물이되든 동물이되든 사람이되든..근데 사람이 그나마 가장 높은 존재입니다. 사람에서 떨어지면 다시 사람으로 오기가 힘듬. 왜냐면 동물이하는 업을 쌓기가 힘듬. 그래서 인간으로 태어났을때 좋은 업을 많이 쌓아라는거임. 해탈은 그 위 존재이긴함. 기독교는 나쁜짓을 하면 신이 벌해 착하게 살아라고하겠지만 불교는 좋은일은 좋은일을 낳고 나쁜건 결국 나쁘게 돌아오기에 착하게 살아라고합니다. 인간의 지성으론 그 인과를 못깨달을뿐입니다. 근데 현대과학에선 세상 모든게 연결되어있다고하는게 서서히 밝혀지고있죠. 쉽게말해 나비효과로 이해하면 그나마 이해가 쉬울겁니다. 그래서 윤회는 그런 개념으로 보면됩니다.
@sygie8276
@sygie8276 Жыл бұрын
님이 쓰신 글..그대로가 정답이에요. ( 있는지 믿기 힘들지만) ㅡ (세상을 바라보는 견해) ..두 문장을 조합해 보세요. "있는지, 견해" ㅡ> 이게 부처님 가르침 !!
@avionsky
@avionsky Жыл бұрын
믿음에 의심은 금물!
@user-kt5io6cy1d
@user-kt5io6cy1d Жыл бұрын
부처가 이런말을 했다죠. 신은 모두의 마음속에 있으니 깨달음 또한 너의 의지에 달렸느니라. 즉, '나약한 자들의 도피처가 종교를 믿는다'라는것~ 자신의 심신을 갈고 닦는다면 누구나 신!
@user-iv8eh1ky9i
@user-iv8eh1ky9i Жыл бұрын
정말 훌륭한 정리 입니다. 깊이 감사드립니다.♧♧
@user-ux9qp8bg1m
@user-ux9qp8bg1m Жыл бұрын
초기불교의 교리에 맞게 알차게 잘 준비하셔서 감사히 잘보았습니다 자칫 대승불교의 기복된 신앙과 신격화한 부분을 배제시키고 잘 엄선해 올려주신 덕분으로 많은 사람들이 정법을 향해가는데 도움이 많이될것이라 생각됩니다 부디 평안과 함께 하기를 빕니다
@lala-eo6kz
@lala-eo6kz 5 ай бұрын
어릴 적 부터 불교라는 종교에 익숙해서 절에 가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이렇게 깔끔하고 정성들여 정리된 설명을 들으니 너무 좋습니다 🫰🏻 감사합니다 🙏🏻 구독합니다~!
@user-lf1xx9pi7o
@user-lf1xx9pi7o Жыл бұрын
정리 애쓰셨습니다 감사합니다
@Werthersorrow
@Werthersorrow Жыл бұрын
멋진 설명 감사합니다. 이렇게 불교에 대해서 잘 요약한 영상을 본 적이 없는 듯하네요. 덕분에 팔정도에 대해서 더 관심 가지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저도 감탄하고 갑니다.
@user-mh6jh7gl5n
@user-mh6jh7gl5n 6 ай бұрын
최고 십니다.
@user-lo1us7dj4v
@user-lo1us7dj4v 7 ай бұрын
쉽게 정리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려요 . 부처님의 가르침에 한발 다가서는 느낌입니다
@heyho556
@heyho556 Жыл бұрын
집착을 버리라는 말은 여러번 들어왔고 그 말을 끊임없이 되뇌여왔지만 정작 무엇이 저의 집착인지 모른 채 살아온 것 같네요. 여전히 어렵고 멀지만 그래도 덕분에 실마리의 끄트머리가 보인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Bodhi-ur8mg
@Bodhi-ur8mg Жыл бұрын
나에 대한집착을 끊는것이 불교의 최종목적이지만 우리가 말하는 (나)는 근본적인 (나)가 아니라 표면의식속의 (나)이기에 선정이 해탈의 방법이 아니라 사성제에 의한 팔장도가 근본적인 나를 끊는 방법입니다.
@sweetfan3250
@sweetfan3250 Күн бұрын
원효라는 고승이 한말같은데 어디 부처님말씀에 있어요?
@user-yz8xq8qo8u
@user-yz8xq8qo8u Жыл бұрын
알기 쉽게 설명 감사합니다~^-^
@HizukiRui
@HizukiRui Жыл бұрын
2000년전의 가르침이 아직도 유효하다는것은 인간의 어리석음은 2000년동안 그대로라는 것입니다
@nikkicarlmaxwell5875
@nikkicarlmaxwell5875 Жыл бұрын
정확히 2566년전이죠....그냥 그렇다는 겁니다. ^^
@Little_bit
@Little_bit Жыл бұрын
@@nikkicarlmaxwell5875 숲을 가리키면 숲을 봐요 손가락을 보지마시구요..
@ojw0127
@ojw0127 Жыл бұрын
절대적인 진리는 없다 종교란 결국 인간이 마음의 평안을 얻기 위한 도구일 뿐이다. 오랜시간이 자나도 가르침이 유효하다는 것은 그만큼 대단하다고 봐야지 인간이 어리석다는 편협하고 부정적인 시각으로 봐라보는 것은 어르석은 행동이 아닌가 싶다. (feat。부처가 예수님임? 2000년...)
@HizukiRui
@HizukiRui Жыл бұрын
@@ojw0127 진리는 하나로 통합니다. 부처님의 가르침. 예수님의 가르침. 전혀 틀리지 않습니다.
@user-dj9yl4hv4b
@user-dj9yl4hv4b Жыл бұрын
2000년 정도가 아니라 구석기 시대면 우리의 선조잔아요? 그때의 인간과 지금의 인간은 차이가 없습니다.
@user-xb3jm9ec6t
@user-xb3jm9ec6t Жыл бұрын
참 좋아요 ~^^
@hawkeye4496
@hawkeye4496 Жыл бұрын
부처님 말씀대로 인생 살아가는 방법은 중도가 최고임 한쪽에 치우치는 순간 괴로워짐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nsungryu5405
@unsungryu5405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농막생활
@농막생활 Жыл бұрын
불교의 핵심을 잘 설명해주셨습니다.🤗
@llamagoodkim811
@llamagoodkim811 Жыл бұрын
무아 사상에 대해 정확히 이해 했습니다 고맙습니다
@lmj-infj-t3987
@lmj-infj-t3987 Жыл бұрын
착한 생각,착한 행동,착한 마음,착한 언어,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KDragona
@KDragona Жыл бұрын
저는 마음 바라보기라고 말하는데 마음챙김을 해보세요... 도의 시작이고 기본임을 알게 되실겁니다. 변화가 찾아 오는데 저는 대략 한달 정도 걸렸습니다.
@user-fh2lg4ps2j
@user-fh2lg4ps2j Жыл бұрын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user-ux9qp8bg1m
@user-ux9qp8bg1m Жыл бұрын
@@KDragona 위빠사나 수행을 하시는군요 도의 시작이라느말에 깊은 공감을 합니다 부디 열반으로의 성취가 있기를 기원합니다
@user-mv7lr6dp7j
@user-mv7lr6dp7j Жыл бұрын
부처님 경전은. 귀한고 귀한. 보석 같습니다 요즘 현실에 꼭 듣고 조금이나마 실천 하고 살고 싶습니다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나미아미타불
@user-fc4ni2vk8t
@user-fc4ni2vk8t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설명이 참 아름답네요.
@user-ux6mo1wr3r
@user-ux6mo1wr3r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rgst617
@rgst617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sanggilee1655
@sanggilee1655 Жыл бұрын
나무아비타불 관세음보살~~~~
@user-zn3xd3gc6y
@user-zn3xd3gc6y Жыл бұрын
불교의 핵심 감사합니다
@bsbaek1420
@bsbaek1420 Жыл бұрын
정말 영상 잘만든셨네요 불교를 이해하는데 유용할듯
@theknifemartialarts.9053
@theknifemartialarts.9053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user-nm6ic8zc6y
@user-nm6ic8zc6y Жыл бұрын
설명이 쉽게 되었네요 이해가 쏙쏙
@hhkim6193
@hhkim6193 Жыл бұрын
설명이 최고입니다!! 핵심요약 일타십니다. ^^
@strong_mentalTV
@strong_mentalTV Жыл бұрын
오직 괴로움의 소멸 그것이 부처의 법이지요 감사합니다.🤩🙏🏻😄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괴로움의 소멸 맞네요
@hanun114
@hanun114 Жыл бұрын
짧고 굵고 담백한 정리 고맙습니다. 💎👍 #Seokmun #石門呼吸
@user-dd8oq1pb6u
@user-dd8oq1pb6u Жыл бұрын
참으로 붓다의 실체실상을 정확히 간명히 가장 잘 설명하셔 주셨습니다. 아마도 불교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이렇게 불교전체를 가장 간명히 간단히 정확히 말씀 하시는 것은 모두모두 처음 들어보았을 것으로 봅니다. 모두모두 부분적으로만 설명(법문)할 뿐입니다. 사실상 불교공부를 제대로 정확히 못한 모든 세상 사람들은 불교는 재물 받치고 절하면 부처님이 도와주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이래서 이것이 부처님모습이다 하고 웅장하고 화려하게 절지어 놓으면 모두모두 여기에 와서 온갖 거액의 재물을 받쳐놓고 절을 수천번 수만번 하며 세속에 온갖 욕망, 욕심(소원, 소망, 탐진치)을 들어 달라고 애걸복걸 애절하게 빕니다. 이래서 사실상 절이란 모르는 중생들로 부터 온갖 금전과 이쁜여성의 성착취의 강력한 도구 입니다. 한번 보십시요. 이러한 한심한 사찰(절)의 실태실상과 영상에 말씀과 비교해 보십시요. 확실히 정반대 이잖습니까? 확실히 부처님은, 붓다는 무지한 세상사람으로 부터 온갖 재물과 이쁜여성의 성착취하는 도구를 만들어 놓고 이따윗 못된 짓거리하는 것이 붓다도 아니고 부처님도 아니며 불교도 아닙니다. 바로 영상에 말씀 하시는 말씀과 같이 이렇게 살도록 가르치고 권하는 것이 바로 정확한 불교 입니다.
@user-pq2ll5nc1r
@user-pq2ll5nc1r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말씀 휼륭합니다ᆢ 이졔. 불교의 이론ㆍ견지(견도)를 잘아시니 직접. 수행정진 하시어 이론과 합일 되는.마음(의식)몸ㆍ기운이. 통일 되어. 성취자가 되시길(붓다의 가르침ㆍ수행은. 비구ㆍ비구니ㆍ일반인. 남ㆍ녀 가.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누가나 다. 불성이 있고. 붓다가. 될수 있다고 합니다ᆢ 수행정진 하시길ᆢ
@user-dd8oq1pb6u
@user-dd8oq1pb6u Жыл бұрын
@@user-pq2ll5nc1r 님♥♥♥ 감사합니다.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옳습니다. 땡중이나 목사나 다를 것이 전혀 없지요. 자신이 깨끗한 삶을 살았던 많은 스님들과 목사님들만이 청결하고 고귀한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본인만 아는 것입니다. 고귀하고 청렴결백한 삶을 살았거나 살고 있는지 대중에게 보여지는 이미지만으로는 알 수없습니다.
@user-ke9kw2yh6r
@user-ke9kw2yh6r 8 ай бұрын
이 영상도 그리 잘 설명되었다고 보진 않습니다만 님의 현재 사찰 실태에 대한 의견에는 동의합니다.
@user-mz6ve6xu5i
@user-mz6ve6xu5i 2 ай бұрын
한단면만 보고 다인양 하시면 안됩니다 지금도 부처님 가르침 그대로 실천하며 살고 있는 수행자들도 많고 숨은 도인들도 많습니다 불교가 3천년 가까이 내려오는 것이 그냥 내려온것이 아닙니다 전세계적으로 볼때 계율지키며 열심히 수행정진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붓다의 가르침에 어긋나게 사시는 분들은 인과에 맡기고 개의치 마시기를... 인과가 역연하거니...
@hmad
@hmad Жыл бұрын
이런 귀한 내용을 자기 전 누워서 볼 수 있다니..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누워서 10분 보다가 자고 일어나서 다시 봤네요 ㅋ
@linesharing9734
@linesharing9734 Жыл бұрын
불교에 대해 이것저것 보고 있는데, 이렇게 간단하게 꿰뚫어 볼 수 있게 만들어진 통찰력있는 영상은 처음이예요. 연속 세 번 보았어요😅 불교의 핵심용어도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이분 누구시지?하는 궁금증이 생겼어요.노자,장자 뵙고 다시 한번 더 봅니다. 구독, 좋아요, 알림설정도 했어요👍👍
@kitto512
@kitto512 Жыл бұрын
너무 영상 잘 만드셨어요. 이해하기 쉽게 영상만들기 위해 고생 많이 하신 흔적이 엿보입니다. 부처님이 그러 했듯이 말이죠
@ssss-ou4bn
@ssss-ou4bn Жыл бұрын
부처님은 정말 위대한 분이십니다..3천년전에 이미 남녀평등과 동물살생 금지를 말씀하셨으니깐요!! 인간이 수명이 주는건 살생때문이라고 했습니다..인류가 수명이 느는건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살생이 줄어들기때문이 아닐까 합니다..!..!!(물론 전쟁때문에 도루묵이지만) 거기다 부처님의 첫번째 불교의 핵심 교리는 보시 즉 기부입니다.. 아무리 도를 딱아도 전생과 이생에 보시를 쌓지 않으면 한계가 있습니다!! 부처님은 제물은 물론 몸도 스스로 바치는 엄청난 보시를 거의 매생애 마다 쌓아서 부처님이 된것입니다..!! 지구상에 그렇게 보시를 쌓아서 될사람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user-np5cs9ju3n
@user-np5cs9ju3n 10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영상이었어요.. 감사합니다!
@user-mu8yd1gz8i
@user-mu8yd1gz8i Жыл бұрын
판타지에 치우치지 않은 객관적인 해석 감사합니다 불교에 굉장이 관심이 많은데 제가 본 영상중 제일 깔끔한것 같습니다!
@tae3584
@tae3584 Жыл бұрын
저 역시 동감합니다. 불교를 철학적으로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대단히 깔끔하게 정리했네요. 무상 무아 등은 어차피 거의 깨달음의 경지에 가서야 얻을 수 있는것이기에 실질적으로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사성제와 팔정도 겠지요. 다른건 다 거의 뜬구름이겠지요. 너무나 논리적이고 명백한 사실을 평생을 공부했지만 24시간중에 23시간 이상은 까먹고 사는듯... 영원한 범인으로 남을 인생을 살 모양입니다.
@user-ux9qp8bg1m
@user-ux9qp8bg1m Жыл бұрын
@@tae3584 지나가는길에 잠깐 의견 남깁니다 무상ㆍ고ㆍ무아를 깨닫기위해선 팔정도의 정념에 해당하는 사념처수행(위빠사나수행)을 철저하게 하시면 무상ㆍ고ㆍ무아를 처절하게 깨닫게 되있습니다 그깨달은 후의 사념처수행과정과 목표는 탐진치를 소멸해가는데있죠 무상ㆍ고ㆍ무아를 먼저 깨닫게되며ㆍ 저절로 탐진치를 소멸해야겠다는 강한서원이 생김니다 그러다보면 사념처수행슬 통해 탐진치를 완전소멸하게되는 경지에 이르게 됩니다 열반에 이른게 됩니다 부디 사념처수행을 시작하시길 기원합니다
@kimstone2147
@kimstone2147 Жыл бұрын
@@user-ux9qp8bg1m 그런 식으로, 될 거 같지가 않은데... 모든 것이 연기라는 것에서 출발, 3법인 무상, 고, 무아에 대한 이해 그 자체가 깨달음의 처음이자 끝이지... 4성제나 5온, 8정도니 하는 것은 그 과정이나, 그런 상태를 유지함을 설명한 것이고??? 뭔가, 순서가 잘 못된 느낌이네요~ 판단은 각자가 하는 것이지만 ㅎㅎㅎㅎ 애초 삶이 괴롭지 않은 사람은 굳이 깨달을 필요 없습니다. 가르칠 것도, 배울 것도 없지요. 윤회니, 열반이니, 불상, 스님이니... 하는 것에 집착하면, 그냥 우습지요 ㅎㅎㅎㅎ 부처님의 마지막 설법에 다 있지요~
@user-ux9qp8bg1m
@user-ux9qp8bg1m Жыл бұрын
@@kimstone2147 무상ㆍ고ㆍ무아 이 삼법인은 이세상이 돌아가는 이치에 대한 진리이지요 이진리를 깨달았다고 해서 수행의 끝이 아니지요 무상ㆍ고 ㆍ무아의 현상의 이세상에서 탐ㆍ진ㆍ치를 소멸해야 모든 괴로움에서 벗어날수 있습니다 깨달음의 처음이자 마지막 목표는 탐ㆍ진ㆍ치의 완전한 소멸이지요 윤회를 끊고 열반을 획득하는 서원을 세우는것을 두고 이것또한 집착이라고 말하는 것은 억지에 가깝습니다 그것은 집착은 불선법을 낳지만 열반으로의 서원은 선법을 낳습니다
@kimstone2147
@kimstone2147 Жыл бұрын
@@user-ux9qp8bg1m 탐진치의 완전한 소멸 해보셨어요??? ㅎㅎ
@ggulong
@ggulong Жыл бұрын
덕분에 고대 철학에 관한 지식을 쌓고갑니다
@TV-wg8zf
@TV-wg8zf 4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번뇌 쾌락 깨달음에 대한 깊이를 느낍니다.
@user-ef9np7dh5u
@user-ef9np7dh5u Жыл бұрын
와 ! 정말 정리 잘하셨네요. 불교가 위대한 이유는 4성제,연기법 같은 구체적인 진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종교는 뜬구름잡는 거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막무가내로 믿으라 하죠. 불교는 맹목적으로 믿는 것보다 똑똑한 지성을 발휘해 깨닫는 것이라 지혜로운 사람들의 종교라 생각됩니다.
@user-ww9gi2ms4z
@user-ww9gi2ms4z Жыл бұрын
다른 종교는 신을 믿는 것이고 불교는 진리로 향하는 훈련을 하는 것입니다. 방향 자체가 다릅니다.
@JooBeomSoo
@JooBeomSoo Жыл бұрын
그 진리가 맞습니다 말그대로 그 본능들을 비워내면 열반이지요 기독교에서는 그본능들을 근본적인 죄라고 얘기하고 우리가 지옥의 고통으로 향하는것은 우리의 죄때문에 가는것이라고 합니다 조금 다르지만 불교 얘기도 같은 맥락이구요 그냥 신을 믿으라 하는것이 아니라 기독교도 그 죄의 해결을 제시하는것입니다 아무리 저 방법들을 실천해도 정말 무아가 될수 있을까요? 정말 완전히 죄를 비워낼수 있을까요? 비워낸것 같다가도 조금만 툭건들면 그세 올라오는게 인간 본성 아니겠습니까 인간은 아무리 해도 도저히 할수 없기에 그 고통을 대신 감당해 주셨다는 예수님이라는 해결책을 믿고 그분께서 가르쳐주신 삶의 선한방향을 따라 살아가고 끝내는 그분과 같은 성화(불교에선 이걸 열반이라 표현하네요)의 과정에 이르는것입니다 그냥 무작정 너네 복받을거니 믿으세요 이게 아닙니다.. 진정한 크리스챤이라면 현세에서 내대신 이 모든 고통을 감당해주신 예수님을 믿으며 감사하고 다시는 그와 같은 죄에 빠지지 않기위해 날마다 앞으로 나아가는 삶을 삽니다 인간이기에 넘어지지만 내대신 감당한 예수님의 고통과 그 사랑을 생각하며 매일매일 선으로 나아갑니다 저도 이 불교 교리를 많이 들어보았지만 해결될수는 없었어요 인간이 아무리 노력한다 한들 완전히 비워낼수가 있겠습니까..
@JooBeomSoo
@JooBeomSoo Жыл бұрын
@@user-ww9gi2ms4z 기독교도 그냥 맹목적으로 신을 믿는것이 아닙니다.. 깨달음 뭐 열반 죄에서 해방 무아 이런것에 대한 해결책을 믿는거예요 아무리 백날 죽는날까지 노력한다고 온전히 나를 비워낼수 있겠습니까 100퍼센트 ..?
@ranoldola
@ranoldola Жыл бұрын
@@JooBeomSoo 지나가다 우연히 읽었는데 공감이 많이되네요.. 최근에 이런 사색을 즐기게 되어서 성경에 대해서도 공부해보고 싶네요
@JooBeomSoo
@JooBeomSoo Жыл бұрын
@@ranoldola 감사합니다 ㅎㅎ 만약 공부하신다면 신약부터 쭈욱 먼저 읽어보시고 구약으로 넘어가길 추천드립니다 신약은 마태복음 다음 로마서 읽어보시길 추천드려요 !
@user-or4ej6hx4o
@user-or4ej6hx4o Жыл бұрын
또 하나의 깨달음을 얻고 갑니다~~
@jkim3084
@jkim3084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무아를 30년 만에 이 영상의 설명으로 알았습니다
@user-ds8ix6no5q
@user-ds8ix6no5q 9 ай бұрын
설명이 쉽네요 쏙쏙 들어옵니다
@zoo974
@zoo97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sanglium
@sanglium Жыл бұрын
부처님의 존경스런 점은 그가 자신을 신격화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겸손하면서도 정직한 성품의 소유자였습니다.
@HizukiRui
@HizukiRui Жыл бұрын
알면 알수록 신선한 우유를 마시듯 새로운 맛을 느끼게 하죠.
@user-gv3wf4ot1k
@user-gv3wf4ot1k 9 ай бұрын
참말로 대단하십니다......
@hell6906
@hell6906 Жыл бұрын
석가모니는 신이나 종교를 창시한 사람으로써 알고 있었다만 이 영상을 보니 그 누구보다 뛰어난 철학가 처럼 보인다.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석가모니는 위대한 철학가가 맞지요. 신이 아닙니다.
@user-yr7ur3bk8l
@user-yr7ur3bk8l 11 күн бұрын
세상 어떤 철학자도 석가모니를 뛰어 넘을수없으며 석가모니부처님은 인간만가르친것이 아니며 많은 신들에게도 많은 가르침을 주었기에 인간이라기보단 신이라고 봐야한다.. 신을 뛰어넘는 신적인존재다..
@sweetfan3250
@sweetfan3250 Күн бұрын
나외는 다른 신을 섬기지마라 이런 이기주의.배타적인 놈을 봤나!사랑이란 정신은 신봉한다지만!
@jjo4350
@jjo4350 Жыл бұрын
요점만 잘 정리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박
@veritasastro
@veritasastro Жыл бұрын
키아누 리브스가 나왔던 리틀 붓다도 아름다운 영화입니다. 관심있으면 한번들 보세요.
@user-pq8mx1yg1h
@user-pq8mx1yg1h Жыл бұрын
ㄱㅅ
@user-di7in2zh4v
@user-di7in2zh4v 11 ай бұрын
매트릭스 😊
@Sinra1999
@Sinra1999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보고갑니다
@user-zd9st9wj2y
@user-zd9st9wj2y Жыл бұрын
대단히 감사합니다.ㅎ 최근 한국에서 니까야가 쉬운 한글로 번역되어 나와 있습니다.ㅎ 전재성 선생님과 초기불전연구원에서 각각 나와 있습니다. 근데, 같은 부분을 비교하여 읽어보시면 전재성 선생님의 번역본이 너무 쉽게 잘 되어 있습니다.ㅎ 기존의 대승경전들을 많이 읽으신 분들이 니까야를 읽으신다면, 아마도 의구심이 많이 들겁니다. 니까야 속 세존께서는 대승경전 속 부처와 많이 다르다는 사실에서 말이죠. 결국 경전 속 가르침마저 크게 다릅니다.ㅎ 후기 인도불교가 대승불교화 되고 이는 동아시아의 새로운 종교의 탄생 즉 선종을 만들어 내는 원인이 되었죠. 다른 종교입니다. 명칭은 불교라 해도 말이죠.ㅎ
@user-ve8dg7gm8n
@user-ve8dg7gm8n Жыл бұрын
보살운동이랄 수있는 대승불교가 인도에서 일어나면서 대승불교가 힌두교화 되고 (그래서 경전의 기록도 브라만들이 쓰던 산스크리트어로 기록되고( 초기불교(니까야)는 빨리어로 기록됨.), 중국으로 전파되면서 중국 특유의 격의불교인 '선불교'가 성립된거죠,,,,
@net-carrier
@net-carrier Жыл бұрын
경전은 온전히 전해지지않았으나 그 시작으로 철학은 그걸 기반으로 더 발전하게 되는거죠
@user-zd9st9wj2y
@user-zd9st9wj2y Жыл бұрын
@@net-carrier 네, 감사합니다.ㅎ 그렇다해도, 우리 스승 고타마세존의 가르침은 스승을 믿고 가르침을 믿고 올바르게 계정혜를 실천하여 다시는 이 지구라는 사바세계에 더 이상 윤회전생하는 것을 끊는 것이죠. 서구의 그 철학처럼 학문을 탐구하는 바가 아니죠. 이 점이 대승이라 자처하는 종교와 서구철학과의 극명한 차이점이죠.
@eun_e9663
@eun_e9663 Жыл бұрын
깔끔하네요
@anon12q
@anon12q Жыл бұрын
와우 정리 깔끔하네요
@user-hlsj3dnek5
@user-hlsj3dnek5 3 ай бұрын
이해가 잘되고 정리가 잘된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mobydick1162
@mobydick116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maykim8916
@maykim8916 Жыл бұрын
고집멸도 사성제까지 단순하게 정리하셨네요. 감사합니다.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불교는 어려운데 잘 정리하셨어요. 묘법연화경 한 번 읽었어요.
@user-hu6gs9sn2v
@user-hu6gs9sn2v Жыл бұрын
티벳사자의서를 읽다가 넘 어려워서 집중하기 힘들었는데 오늘 영상을 보고 해석을 참 이해하기가 쉽게 올려주셔서 감사하고 고맙습니다
@user-hn9kd6rs3z
@user-hn9kd6rs3z 8 ай бұрын
불교에 관심이 생겨 찾아보았어요.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raymeta5848
@raymeta5848 Жыл бұрын
잘배우고갑니다. 추천
@user-ox6fr9dv1f
@user-ox6fr9dv1f 9 ай бұрын
아 한달동안 여기저기 찾고 들어도 이해가 어려웠는데 계피님의 이내용으로 이해가 쉽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11:45사성제 고집멸도 ()()()
@user-lf7px4hk2r
@user-lf7px4hk2r Жыл бұрын
영상 끝까지 잘 보았고 유익했습니다. 아무리 훌륭한 성현일지언정 인간의 육신을 가지고 현생의 시간을 스쳐지나갈 운명이라면 선택이라는 굴레를 못벗어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모든것에 너무 집착하지 마시고 누구에게나 도움이 될수 있는 일에 집중하고 선택하시면 본인의 운명 또한 밝은 빛을 보고 스스로 빛나는 별이 되리라 생각해 봅니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공감하실것이 우리는 본연에 주려고 태어났지 얻으려고 나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그러니 좋은것을 주고 가는것이 좋겠죠~^^ 어떠한 종교든 좋은것을 후대에 주는것이 목적이였듯이 말이죠~단순한 세포처럼.......
@haydengrant6639
@haydengrant6639 4 ай бұрын
정말 쉽게 잘 설명해주시네요 감사합시다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두 번 봤습니다.
@user-gr8sd6tx1f
@user-gr8sd6tx1f Жыл бұрын
천상천하 유아독존 뜻은 내가 가장 잘났다는뜻이 아니라 이세상에 오직 나만 존재한다 바로 나 자신을 깨닫는게 중요하다는말입니다 즉 생명의 소중함에 대해서 말한겁니다
@user-eh8nb2xh9q
@user-eh8nb2xh9q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Chloe-dn5wb
@Chloe-dn5wb 6 ай бұрын
이해하기 쉬운데 핵심만을 정리해 알게되는데에 큰 도움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user-uz5fq3zq1b
@user-uz5fq3zq1b Жыл бұрын
설명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broocelee9683
@broocelee9683 Жыл бұрын
부처님은 인류의 영원한 위대한 스승입니다.
@TV-ft1lv
@TV-ft1lv Жыл бұрын
아닙니다. 그는 치명적인 이율배신을 하고 지옥에 간 사람이며 그 폐해는 실로 어마어마 합니다.
@filajungwon
@filajungwon Жыл бұрын
너무도 많은 사람을 지옥으로 끌고갔습니다.
@TV-ft1lv
@TV-ft1lv Жыл бұрын
@@filajungwon 초과목표달성이죠
@sanggooklee451
@sanggooklee451 Жыл бұрын
@@TV-ft1lv 어째서 그런 생각을 하는거죠? ㅋㅋㅋ
@TV-ft1lv
@TV-ft1lv Жыл бұрын
@@sanggooklee451 난 그런생각 안함. 그건 사실일뿐인걸 밝힘자체임
@Relax-zx3zy
@Relax-zx3zy Жыл бұрын
구독합니다 훌륭합니다
@micheck8
@micheck8 7 ай бұрын
지금 현대에 가장 필요한 가르침이자 인물.... 극단에 치우쳐 나누고 가르고 싸우는 이 시기에 치우치지 말고 자신의 길을 가라는 건.....
@ainrdja9733
@ainrdja9733 Жыл бұрын
이중표 교수님 내용과 비슷하네요 잘 들었습니다
@bul4816
@bul4816 Жыл бұрын
다른신을인정하고 다툼이없는불교야말로 진정한종교다
@Keepgoing-gj1hv
@Keepgoing-gj1hv Жыл бұрын
다른 신을 인정한다는건 그 자체로 종교가 아니죠. 무슨 그리스 신화도 아니고
@deadpool113
@deadpool113 8 ай бұрын
그런 식으로 내 문화 사상만 진실이고 남은 거짓이라는 태도가 역사 속에서 얼마나 많은 비극을 만들었는지 알지?
@user-ws9ni5zq5m
@user-ws9ni5zq5m 10 ай бұрын
공부 합니다 고맙습니다.
@sade22223
@sade22223 Жыл бұрын
오로지 생각만으로 인류물리학의 최고점인 양자역학을정확히 보았다 그는과연누구인가
@sade22223
@sade22223 6 ай бұрын
양자역학이해한거도대단하지만 그당시인간들이 그나마이해할수있게 풀이한게더대단하다고봄
@user-zc4vz6br7g
@user-zc4vz6br7g Жыл бұрын
짧은 영상에 훌륭한 정리.. 감사합니다!!
@boyaknam
@boyaknam 8 ай бұрын
저도 감탄하고 갑니다
@A_Buddhist_flower_in_The_Sky_7
@A_Buddhist_flower_in_The_Sky_7 4 ай бұрын
오,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user-vc4vj7we5u
@user-vc4vj7we5u Жыл бұрын
귀의합니다
@drmphy
@drmphy Жыл бұрын
붓다가 6년간 고행정진 하면서 얻은 깨달음을 나는 한 10년+@ 정도 집중적으로 고민을 해서 깨달은 듯 하다 물론 붓다의 깨달음과 나의 깨달음이 같은 수준은 아니다 나는 그저 나만 이해할 수 있는 깨달음이고 붓다는 모든 중생에게 설명할 수 있는 깨달음이다 내가 10여년 동안 고민해서 깨달았다고는 하지만 그 고민들 속에는 분명 붓다의 유산이 없지 않을 거다 그러니까 속세의 삶을 병행하면서도 10여년만에 나만의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을 거다 대부분 나혼자 사색을 하면서 고민을 했을 뿐 누군가의 사상을 탐닉한 것은 아닌데 깨달음을 얻어가면서 세상을 둘러보니 이미 나와 같은 고민을 했던 사람들이 동서고금 너무 많았고 붓다 장자 공자 예수 니체 아들러 같은 위인들의 사상이 별로 놀랍지가 않고 그들의 격언이 너무 당연하게 수용이 되었다 그래도 놀라움이 있다면 추상적인 사상을 이렇게 구체적으로 체계화시켜 놓았다는 점이다 나름의 깨달음을 얻기는 했는데 마음이 편안하면서도 한편으론 괴롭기도 하다 그런데 그 괴로움을 괴롭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user-yc6zx4oc9c
@user-yc6zx4oc9c Жыл бұрын
어떤 깨달음인지 어떤식으로 사색해 나갔는지 알려주실수있나요
@user-sl8il6my9u
@user-sl8il6my9u Жыл бұрын
깨달음에 대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깨달은 사람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앉아만 있어도 평안하고 아무런 불편함, 이를테면 지겹다든가, 지루하다든가 하는 느낌이 없습니까? 다시 말하면 밥이나 먹고 잠이나 자고 아무런 취미활동도 없고, 친구도 없이 홀로 그야말로 나물먹고 팔배게 하고 나무 밑에 주구장창 누워 있어도 만족합니까? 깨달은 사람의 마음 상태는 어떠한 것입니까?
@drmphy
@drmphy Жыл бұрын
@@user-sl8il6my9u 깨달음이라는 인간의 언어에 집착하지 마세요ㅋㅋ 인간의 언어는 추상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일 뿐 그것이 결코 본질은 아닙니다 노자가 말하는 도라고 할 수 있는 도는 더이상 도가 아니다 와 비슷한 겁니다 깨달았다고 했으나 그 깨달음을 인간의 언어로 설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사전적 정의도 되도록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서 아주아주 최소한의 의미만 담고 있을 뿐입니다 깨달은 사람은 가만히 있어도 평안하고 아무런 불편함이 없다는 것도 깨달음을 설명하거나 정의하는 한가지 방법일 수는 있지만 그것만이 깨달음을 설명하는 전부는 아닙니다 앞으로 더 고민할 것은 이 깨달음을 어떻게 인간의 언어로 설명할 것인가 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세상 무엇을 봐도 왠만해선 더이상 놀랍거나 새롭지가 않아요 영상에 나오는 붓다의 사상도 잘 정리되어 있어서 좋기는 한데 저에게는 너무나 당연한 내용들이네요 어째서 세상이 놀라지도 않고 새롭지도 않고 너무나 당연하게 느끼냐고 한다면 아직 명확하게 설명할 수는 없네요 그래도 설명해달라고 한다면 장님이 코끼리를 더듬어서 설명하듯이 이렇게 저렇게 설명을 해야겠지요ㅋㅋ
@ojw0127
@ojw0127 Жыл бұрын
@@drmphy 욕망에서 해탈했다는 의미인가요? 그런 깨달음이 생에 어떤 의미를 가져다 주나요? 모든 것이 무의미하게 보인다면 무엇을 의미로 두고 살아가고 있는 것인가요?
@drmphy
@drmphy Жыл бұрын
@@ojw0127 인간은 타인의 욕망을 욕망한다고 하죠 다르게 말하면, 타인을 의식하면서 사는 삶이기도 하고, 남들이 하는 대로 따라하는 삶이기도 하죠 그러한 삶에 의문을 품고 내가 정말로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고 오직 나만의 욕망이 무엇인가 생각해보니 욕망에서 해탈한 것이 아니라 나만의 진짜 욕망은 없더군요 그 무망감에 한동안 괴롭기도 했지만, 한편으론 해방감과 진정한 자유를 느꼈습니다 왜냐면 내 마음대로 삶의 의미나 욕망을 채우면 되니까요 진정한 자유라고 해서 마냥 좋은 것만 같지만 때론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던 때가 덜 괴롭다고 느낄만큼 진정한 자유는 정말 괴로운 일이기도 합니다 타인의 욕망이 시키는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나만의 욕망으로 삶의 의미를 만들어가는 게 쉬운 게 아니더군요 이런 게 쇼펜하우어나 니체의 사상들이죠 심지어 그들은 인간은 자유라는 형벌에 처해져있다는 말도 하더군요 그래서 인간은 종교를 만들어서 그것에 맹목적인 믿음을 가지고 살아가나 싶기도 합니다 종교도 결국 좀 특별한 타인의 욕망인 거죠 그렇게 종교에 귀의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것도 자신만의 욕망과 삶의 의미를 만들어가는 한가지 방법이 될 수도 있지요 많은 사람들은 행복하기 위해 살아간다고 하는데, 행복이라는 단어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행복을 인생의 목표로 삼는 것은 별로 좋은 방법은 아닌 거 같아요 행복은 인생을 살아가기 위한 "수단"이죠 생존에 필요한 행복들은 적당히 누리면서 살고 있죠 맛있는 음식을 먹거나 햇살의 따뜻함을 느끼거나 살랑이는 바람결의 시원함을 느끼거나.. 영화 소울과 비슷합니다 그런 행복은 당연한 거고, 살아있으면서 하고 싶은 것(욕망)이 무엇인지 삶의 의미를 만들어가는 것을 고민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단적인 예로 윙수트 입고 베이스 점프 하는 익스트림 스포츠 선수들을 동경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부상이 없는 스포츠라고 조롱을 하지만 그들은 목숨까지 걸 만큼 신나고 재밌는 일을 하고 있는 겁니다 삶의 허무함 속에서 아직도 죽지 않고 살아있는 건 어차피 언젠가 죽을 인생인데 목숨까지 걸 만큼 의미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그 의미는 남 눈치 볼 것도 없고 논리적으로 설명할 필요도 없습니다 내 스스로 그렇게 느끼면 그만입니다 근데 남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의미를 찾는 것은 쉬워도 나를 만족시킬 수 있는 의미를 찾는 건 진짜로 쉬운 일이 아닙니다 세상을 둘러보면 그런 자신만의 의미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도 분명 많이 있는데 그렇지 못한 사람들이 더 많아요 그래서 생어우환 사어안락인 겁니다
@sunggyoseo2054
@sunggyoseo2054 Жыл бұрын
간단명료! 좋은 자료 고맙습니다
@user-sk4jg9lj2q
@user-sk4jg9lj2q Жыл бұрын
목소리는 젊어 보이는데ㆍ 실제는 알 수 없지만 구독자로 들을 때 마다 감탄이 나오는 설명 입니다ㆍ깔끔한 정리 잘 듣고 갑니다
@user-kb6nj3kj9d
@user-kb6nj3kj9d 6 ай бұрын
불교는 아니지만 요즘 불교사상에 관심도가고 마음공부차원에서 더 알아보고싶다는 종교예요. 근데 너무쉽고간결하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쉽습니다. ㆍ넘 감사합니다 ❤
@kyapruenumarma3006
@kyapruenumarma3006 Жыл бұрын
Namo Buddhay 🙏🙏🙏🌹🌹🌹❤️❤️❤️
@48.9billion
@48.9billion Жыл бұрын
부처가 보리수 아래에서 단식수행을 하고 있을때 강의 배위에서 악기를 팅기는 모습을 보고 중도를 깨달았습니다. "줄을 너무 세게 당기면 줄이 끊어지고 줄이 느슨하면 소리가 나지 않는다" 고행으로만 깨달음을 얻을 수 없다. 그리고 단식 수행을 멈추었다고 합니다. 이것이 부처이 첫번째 깨달음 이었습니다.
@user-di7in2zh4v
@user-di7in2zh4v 11 ай бұрын
섯가모니 수행중 나가 출현
@user-wc6xw9mu9u
@user-wc6xw9mu9u Жыл бұрын
잼개 보구가요
@user-hk9gr7sx5h
@user-hk9gr7sx5h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유투버
@himchage
@himchage 4 ай бұрын
여러분! 불교는 참선 위빠사나 명상 등과 불교경전읽기 염불 등 여러 방법으로 공부 수행 하는 종교이고 부처님 열반 후 여러 주장이 있습니다. 한쪽으로만 공부 수행하지 말고 다양하게 공부 수행하길 바랍니다. 불교를 만나면 그 인연 끊지 말고 진리를 깨달아 부처님 되어 영원한 자유인이 되길 바랍니다! 모든 생명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기원합니다. 나는 역사에서 불교만큼 위대한 종교를 보지 못했습니다 우리 모두 부처님 되어 불국정토 극락정토 이룩해야 합니다 힘차게 나무아미타불관세음보살 일본에서도 제대로 된 불교가 있고 사이비가 많고 sgi(남묘호렌게쿄)도 사이비입니다 제대로 된 불교를 종교로 하여 모두 부처님 되시길
@user-vu6ex8dt9k
@user-vu6ex8dt9k Жыл бұрын
참고로 법등명 자등명은 열반 하시기 전이 아니고 춘다의 공양을 받기전 약 3개월전에 하신 말씀입니다
@user-cf1rv7ub3y
@user-cf1rv7ub3y 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달마,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이해하기 - 보리달마 / 선종 / 불교
11:18
계피생강의 지식탐구
Рет қаралды 840 М.
🌊Насколько Глубокий Океан ? #shorts
00:42
小女孩把路人当成离世的妈妈,太感人了.#short #angel #clown
00:53
UFC Vegas 93 : Алмабаев VS Джонсон
02:01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222 М.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8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조주, 그는 누구인가? - 선문답 / 선종 / 불교 / 화두 / 종심
13:13
계피생강의 지식탐구
Рет қаралды 150 М.
나가르주나, 대승불교의 아버지 - 용수 / 공사상 / 연기 / 중도
14:34
계피생강의 지식탐구
Рет қаралды 132 М.
인도에서 불교는 왜 소멸했는가?(feat. 신을 믿는 종교와 불교의 차이)
17:11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795 М.
딱 1일만 이렇게 살아보라. 그냥 100년 사는 것보다 낫다
26:03
아카식 레코드, 보이지 않는 신의 도서관 (Akashic Records)
14:57
🌊Насколько Глубокий Океан ? #shorts
0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