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패시터와 유전율 (충전과 방전원리, 유전체에서의 정전용량, 전기쌍극자, 분극, 전기장, 전압 그리고 전속밀도)

  Рет қаралды 31,722

윤박사의 전기교실

윤박사의 전기교실

3 жыл бұрын

커패시터의 원리와, 진공에서와 유전체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현상들과 원리들을 설명한 영상입니다. 유전율의 의미와 유전체의 분극현상, 그리고 전속밀도와 자속밀도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Пікірлер: 42
@kazuyamishima3170
@kazuyamishima3170 2 жыл бұрын
단언컨데 제가 지금까지 본 캐패시터 강의중에 최고입니다. 그 어떤 강의보다 훌륭하고 완벽합니다. 영상의 품질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며, 강사님의 설명도 아주 명확합니다. 이런 좋은 강의를 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user-ye3du2ur3k
@user-ye3du2ur3k Ай бұрын
정말 최고입니다.
@user-wb5pk4tq6l
@user-wb5pk4tq6l 2 жыл бұрын
상당히 깊이가 있는 정확한 개념 감사함니다^^유투브내 최고 유전율 강의입니다
@user-rj6ov1dz8h
@user-rj6ov1dz8h 2 жыл бұрын
기본적인 원리를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sx1kn9ox1t
@user-sx1kn9ox1t 2 жыл бұрын
눈물나게 감사합니다 선생님. 꼭 행복한 한해되세요
@user-on8he5mk3j
@user-on8he5mk3j 2 жыл бұрын
근본적인 원리를 잘 설명해주시니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user-pu5xx3mu9o
@user-pu5xx3mu9o Жыл бұрын
커패시터에 의한 위상차 이유를 찾다가 커패시터에 의한 전압 발생이 어떻게 생기나와 연결되어 이 영상을 보게 됐는데, 그 이유를 전자의 분리 이동과 절연체에 의한 분극에 따라 전계가 발생하고 그 차이가 전압으로 증가 또는 감소된다는 설명이 아주 잘 와닿네요. 한번 보고 바로 이해된건 아니고^^, 한번 보니까 그럴듯해서 두번 보니까 이해되네요. 전기를 배워갈수록 기본 원리가 절실해지는데, 이런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dosungpark
@dosungpark 3 ай бұрын
직류와 교류에서의 작용이 다릅니다. 직류를 기준으로 하신 설명이십니다. 유전율 부분은 아주 명강의네요.
@b.h2han582
@b.h2han582 Жыл бұрын
착착 들어 맞는 강의 -찿다찿다 만들어야지 마음 먹었던......
@user-fe9rl2wv9r
@user-fe9rl2wv9r 2 жыл бұрын
이해하기 쉬운설명 감사합니다
@youjay9810
@youjay9810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잘 보고있습니다~ 제겐 어려운 내용인데, 여러번 반복해서 보니 이해도가 높아집니다. 감사합니다!
@user-iy9re9ke4y
@user-iy9re9ke4y 3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신다니 다행입니다. 전자기학이나 전기분야는 시각화하기가 쉽지 않아서 공식이나 언어로 설명하고 넘어가는 부분이 많습니다. 그렇다 보니,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아 암기해야 하는 부담때문에 공부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집니다. 저의 채널에서는 개념과 원리등을 최대한 시각화해서 직관적인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직관적인 이해가 되면, 공식같은 것은 자동으로 외워집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user-tc8tg1wy5z
@user-tc8tg1wy5z 3 жыл бұрын
쉽게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qf1tu8wg6d
@user-qf1tu8wg6d 2 жыл бұрын
와우!! 정말 감사합니다. 잘 배우겠습니다*^^*
@rein4266
@rein426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
@llllliliii
@llllliliii 2 жыл бұрын
소름돋았습니다. 교수님 아니셨으면 전 평생 몰랐을겁니다. 참고로 전자공학부 학생입니다.
@MrKarlotto001
@MrKarlotto001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의 핵심은 유전체의 분극에 의한 전계의 상쇄현상이네요. 커패시터의 이해에 도움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Baebbang_
@Baebbang_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이 공학물리 수업에서 허덕이는 저를 살렸습니다..ㅠㅠ 최고에요
@user-ds8ff9hm2q
@user-ds8ff9hm2q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user-ne9ih2xu5r
@user-ne9ih2xu5r 2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user-np4iy7qz2u
@user-np4iy7qz2u 3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질문이 있습니다.! 23:25 에서 분극의 세기가 -에서 +로 가는데 원래 방향은 +에서 - 아닌가요..? ㅠ 쌍극자라서 -에서 +로 가는건지 궁금합니다
@user-tm3ot3mo2x
@user-tm3ot3mo2x 3 жыл бұрын
질문이 있습니다! 인가 전압이 직류일때의 커패시터 충방전원리에 대해 설명해주셨는데요, 교류인 경우에는 전압의 크기가 계속 바뀌게 되는데 어떤 현상이 일어나게 되나요?
@user-pp8ot7pu7d
@user-pp8ot7pu7d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 유전체에 충전된후 방전시 그럼 구속전하들은 그대로 유지 되나요 아님 이것도 중성이 되서 없어지나요?? 내용으로 보면 구속전하들은 전압에 영향을 안주게 되는데 방전시 전압차에 의하여 전하가 이동해서 중성이 될텐데 구속전하가 아닌 전하가 먼저 중성이 되면 전압이 사라져서 전류가 안흐르는 건가요?
@user-iy9re9ke4y
@user-iy9re9ke4y 2 жыл бұрын
방전할때는 구속전하들도 같이 방전해서 중성이 됩니다. 그래서 유전체가 있을 때는... 충전과 방전특성이 좋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uuytnh
@uuytnh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봤는데 유전체를 사용해서 C를 늘리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즉 Q 전하량은 같은데 C(분극+충전전하량)으로 C가 커져서 V가 낮아진다. 이 의미가 맞나요? 그런데 실질적으로 정전용량이 늘어도 충전전하량은 같은데 왜 유전체를 사용하는지 실용적인 면이 무엇인지 이해가 안갑니다. 전원 off 안해도 충전->방전->충전하는 이 상태가 다인 거 같은데요..
@dosungpark
@dosungpark 3 ай бұрын
오호❤
@uuytnh
@uuytnh Жыл бұрын
그럼 유전체에서 충방전은 이것이 맞나요? 충전->분극으로 인해 방전->유전율 크면 충전 진행으로 계속 유지 충전->분극으로 인해 방전->유전율 작으면 분극으로 방전상태로 계속 유지 이게 맞나요?
@user-cq3cp9iw5x
@user-cq3cp9iw5x 3 жыл бұрын
20:28경 유전체를 넣으면 정전용량이 증가하는데, 어떻게 충전전하량이 같다고할수있나요~?비유전율을 무조건 1인 경우에만 그렇게 되는거 아닌가요~? 똑같은 극판두개가 있는데, 다 충전하고서 나중에 한쪽에만 유전체만 넣으면 그렇게 되는걸로 그냥 이해하면 되는건가요~?
@user-ge4vz1tv4c
@user-ge4vz1tv4c 3 жыл бұрын
충전전하량은 유전체에 의해서 상쇄되어서 똑같다고 보는거 같구요 전원을 분리시키고 방전시킬때 전자들은 서로 밀어내어서 커패시터 양극으로 전자들이 이동하는걸 볼수있습니다 이때 양극은 중성상태로 돌아가고 쌍극자로의한 상쇄되었던 애들도 중성 상태로 돌아가므로 용량이 늘었다고 볼수있습니다
@user-ge4vz1tv4c
@user-ge4vz1tv4c 3 жыл бұрын
일단 저도 전기초보라 설명도 잘 못하고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모르겠네요
@user-iy9re9ke4y
@user-iy9re9ke4y 3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여기서는 충전전하량이 같다고 "가정"한 것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커패시터를 충전한 후 전원을 분리시켜서, 충전된 상태에서 유전체를 삽입한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충전전하량이 같을 때 유전체를 삽입하면 정전용량은 증가하지만, 전계와 전압은 유전율에 반비례해서 작아진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user-ge4vz1tv4c
@user-ge4vz1tv4c 3 жыл бұрын
@@user-iy9re9ke4y 혹시 제가 답글 쓴게 물리적 특성으로 맞나요~?,
@user-iy9re9ke4y
@user-iy9re9ke4y 3 жыл бұрын
@김용환 설명하신 내용의 전체 흐름은 맞습니다. 조금 부연설명을 드리면... 충전전하량은 유전체에 의해서 상쇄되어서 똑같다고 보는거 같구요 ---> 충전전하량은 처음부터 같다고 가정하고 시작합니다. 전원을 분리시키고 방전시킬때 전자들은 서로 밀어내어서 커패시터 양극으로 전자들이 이동하는걸 볼수있습니다 이때 양극은 중성상태로 돌아가고 쌍극자로의한 상쇄되었던 애들도 중성 상태로 돌아가므로 용량이 늘었다고 볼수있습니다 ---> 전원을 분리시키고 유전체를 삽입하면, 유전체내의 전기 쌍극자로 인해서 충전된 전하들이 중성이 되어 버립니다. 중성이 되어 버린 만큼 새로운 충전전하가 들어 올 수 있으니까 충전용량은 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user-ey8bz2gx2x
@user-ey8bz2gx2x Жыл бұрын
박사님, 내용 감사합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전원전압이 유전율에 상관없이 같을때 (예. 10V. 유전율 1 & 10), 유전율이 1이면 충전이 10V가 안되는 건가요? 유전율에 반비례해서 충전이더 잘되는것은 알겠는데, 보통 충전기 전압은 같은 데 시간상의 문제로 10V가 될때까지 충전될것 같은데요. 조건이 유전율에 따라서 충전전압이 다르다고 봐야 하나요?
@hyejijung9703
@hyejijung9703 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유전체를 넣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유전체를 넣으면 분극에 의해 전압도 낮아지고 전기장도 낮아지는데 왜 쓰는건가요?!ㅜ
@user-xo1mb4ux7f
@user-xo1mb4ux7f Жыл бұрын
바로 그런 특성을 이용해서 정전 용량을 높일 수 있는 이점에 더해서 저손실, 경량화가 가능해지는 것이기 때문으로 알고 있네요. 유전율이 아주 높으면서도 구하기 쉽고 싼 소재를 개발한다면 현재까지의 산업을 근본부터 완전 혁신할 수 있을지도.....
@wjsrbdud
@wjsrbdud 4 ай бұрын
전속밀도는 유전율과 관계 없다. (단, 전하를 더 받을 공급원 (전원) 이 없을때.) .. ㅋㅋ
@qqqwwrw
@qqqwwrw 6 ай бұрын
와 내가 생각했던게 맞았네 난 천재인가?
@kazuyamishima3170
@kazuyamishima3170 2 жыл бұрын
8:52 15:30
@user-yp7dg7pp8f
@user-yp7dg7pp8f Жыл бұрын
어렵네요
임피던스와 리액턴스 (진정한 의미를 알아봅니다)
13:31
윤박사의 전기교실
Рет қаралды 24 М.
Climbing to 18M Subscribers 🎉
00:32
Matt Larose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0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Can You Draw A PERFECTLY Dotted Line?
00:55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58 МЛН
[전기회로] (무편집본) 유전율 개념설명
7:53
안녕하쌤
Рет қаралды 3 М.
커패시터, 커패시턴스 쉽게 이해하기
16:38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394 М.
우리는 정말 매트릭스 세계에 살고 있는 걸까?
21:44
리뷰엉이: Owl's Review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YOTAPHONE 2 - СПУСТЯ 10 ЛЕТ
15:13
ЗЕ МАККЕРС
Рет қаралды 92 М.
Simple maintenance. #leddisplay #ledscreen #ledwall #ledmodule #ledinstallation
0:19
LED Screen Factory-EagerLED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miniphone
0:16
Miniphone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Lid hologram 3d
0:32
LEDG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ПОКУПКА ТЕЛЕФОНА С АВИТО?🤭
1:00
Корнеич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