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박전기] 인산철보조배터리와 파워뱅크 / 주행중충전기가 있어야 하나 / 이게 뭐하는 물건? / 봄이 왔다, 슬슬 한국으로 출발해 보자 / 씨즌 8 (East Asia) 시작

  Рет қаралды 1,864

Sunny's Worldwide Overlanding

Sunny's Worldwide Overlanding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8
@김남숙-g2d5z
@김남숙-g2d5z 9 ай бұрын
반가워요 자동차 설명 감사 합니다 😅
@worldoverlander
@worldoverlander 9 ай бұрын
좀 생뚱한 내용인데 이리 응원까지 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가끔 글 주시면서 소통이 계속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멋진 봄날 맞이 하시길..
@박종호-p1x
@박종호-p1x 9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worldoverlander
@worldoverlander 9 ай бұрын
반갑습니다. 응원에 감사드리고 자주 글을 오려 주시고 함께 소통해 가길 소망합니다. 따뜻한 봄빛이 가득하시길..
@권선길-l1s
@권선길-l1s 9 ай бұрын
좋은정보 알려줘서 감사합니다
@worldoverlander
@worldoverlander 9 ай бұрын
여행중이라 답급이 좀 늦었네요.. 다소 생뚱한 이야기 인데 응원의 글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자주 뵙기를 바라며, Have a SUNNY day.
@glitter7077
@glitter7077 7 ай бұрын
어제 분명 질문댓글을 올렸는데 오늘보니까 없네요 아마 내가 확인을 누르지 않았는가 싶네요 질문좀 드릴께요 제 차의 시동배터리는 12v 고요 보조배터리는 24v입니다 서로 전압이 다르니 마땅한 주행충전기가 없습니다 있다고 해도 너무 출력이 작고요 그래서 승압컨버터로 시동배터리를 대용할려고 합니다 12v를 29.2v로 승압해주는 컨버터가 있고요 또 하나는 12v를 48v로 승압해주는 컨버터도 있습니다 이 2종류중 하나를 사용할려고 계획중입니다 출력 48v컨버터는 mppt입력에 물리면 될거라고 생각들고요 29,2v 컨버터는 보조배터리에 직결시키거나 또는 mppt 입력에 물리면 주행충전기 대용으로 사용가능하지 않을까 혼자 생각하고있습니다 근데 제 생각이 맞는지 틀리는지 확인할 어떤 동영상도 없어서 확인차 선생님께 이렇게 댓글로 질문 드리는겁니다 제 질문의 핵심은 승압 컨버터로 주행충전기을 대용할수있나? 없나?가 궁금해서 질문드리는거니 답변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worldoverlander
@worldoverlander 7 ай бұрын
제가 '치박전기'라는 채널도 운용하는데 아마 그곳에도 질문을 넣은신듯합니다. (1) 전제 : 보조배터리 제원 (인산철, 8S (24볼트)로 구성, 300AH 정도로 추정) (2) 주충기 역할 : 알터에서 오는 시시각각 변동하는 충전 전압과 전류를 보조뱃에 일정 전압 (4S 12V = 14.6, 8S 24V = 29.2v)과 균등한 충전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기기 (3) Converter = 직류를 직류로, 교류를 교류로, Inverter = 직류를 교류로, 또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 (4) 주충기도 DC-DC converter 이지만, 입력 변동이 어떠하든 출력을 정전압, 정전류로 고급 충전을 위해 장치. (5) 님께서 가지고 있는 12-29.2로 승압하는 컨버터는 일단 29.2 임으로 인산철 충전전압으로는 OK, 하지만, 실제 보조뱃을 연결하고 뱃 단자전압을 측정하면 당연히 29.2 이하로 측정될 것임. 이 단자측정값이 27.2v 이상이면 단순한 승압기일찌라도 주충기로 사용하여 용량의 98% 까지 만충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혹시 전류 측정기가 있으시다면, 단자 전압이 계속 올라가 29.2에 가까이 올라가는 현상 (즉, 만충이 가까와 오는 지점)이 보이면 자주 충전 전류를 보아 전류값이 계속 떨어 지고, 단자 전압을 29.2에 접근해 가면 만충에 가까운 지점입니다. 이때, 전류가 만충에 가까와 지면서 1A 이하까지 계속 떨어 진다면, 이건 그냥 승압기 입니다. 하지만, 승압기도 충전을 하지만 주충기 보다는 만충에 가까와 질 수록 충전전류가 주충기와 비교시 약해지기 때문에 시간이 점 더 걸리는 것 뿐입니다. (6) 정리를 하자면, 29.2 승압기로 보조뱃 주충기로 배선을 하시고, 만충에 가까울 때 보조뱃 단자 전압의 변동과 충전 전류를 10분 단위로 기록해 보세요. 충전전류가 1A 이하로 지속되는 시간이 길어 지면 이건 그냥 충전기 역활이고, 29.2 만충전압에 가까와 지는데도 상당량의 충전전류가 계속 들어 가면 이건 진짜 주충기 역할을 하는 것임.. 단지 차이는 만충 인근에서 충전시간에 차이가 날 뿐입니다. (7) 12볼트 전원장치가 있으시면 차를 시동키고 운전하면서 측정하기가 좀 뭐하죠. 전원장치 12볼트에서 승압기로 연결하고 다음 24볼트 파뱅을 연결하고 파뱅 전원단자의 전압에서 측정해 보세요. (8) MPPT는 제조사 마다 입력전압 범위가 다릅니다. 솔라는 알터와 달리 외부 환경에 따라 24-600볼트 범위까지도 아주 전압 진동폭이 광범위하 상황에서 이것을 12나 24로 안정적인 전압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입력되는 태양 전력을 최대한 24볼트 전력으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이니 주충기 역활과는 좀 큰 차이가 있습니다. 주의할 것은 제조사마다 특성이 다르고, 또 대부분 납산계열 (AGM, GEL등등)을 지원하는 것이 기본이고, 리튬을 지원한다고 해도 리튬이온, 리튬망간, 리튬인산철 등등의 리튬계열이라도 충전전압과 방식이 각각 상이하니 MMPT를 님의 과정에 도입해 보는 것은 그리 추천하지 않습니다. (9) 가장 근접한 해결책은 소지하고 있는 29.2로 12볼트 전원장치로 한번 만충 근처에서 측정을 해 보세요..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혹여 긴 글에 헷갈리시면 다시 연락주세여.
@glitter7077
@glitter7077 7 ай бұрын
@@worldoverlander 바쁘실텐데 상세한 답변 에 너무 감사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고요 하루하루 즐겁고 행복한 여행이 되시길 바랍니다 궁금증이 한방에 해결되서 다시 재차 감사드립니다
@gwanghkwon
@gwanghkwon 8 ай бұрын
Elkw03 따님의 만학을 축하드립니다 항상 전문적인 지식으로 여행의 진솔한 기록을 늘 감사드립니다 나의 Ford Transit 250 Mid Top에 지난 2019년 DIY로 설치한 차에 사용하고 있는 2개의 Renogy Deep Cycle AGM Battery 12 Volt 200Ah, 가 주행시엔 136V내외가 엔진을 끄면 잠시후엔 123~5Volt로 떨어집니다 솔라패널은 Renogy 160 W x 3w 장 Doctor 125 Amp/150 Amp Battery Isolator EDECOA Pure Sine Wave Power Inverter 3500W DC 12V to AC 120V 60A MPPT Charge Controller 60 amp 12V 24V 36V 48V AUTO - Negative Ground Solar Charge Regulator Max 150V 3200W Input for Lithium
@worldoverlander
@worldoverlander 8 ай бұрын
멋진 규격입니다. 차량도 장기출장에 공간이 넉넉해서 좋으시겠습니다.. ㅎㅎ AGM이 2개, 400이란 말씀이죠? 전압도 모두 정상범위에 있는 것아 아직은 배터리들의 힘이 있는 듯합니다. 단 3500와트 인버터가 용량이 큰데, 혹여 마이크로 사용하세요? Transit은 잘 모르겠는데 Sprinter는 화물차용 출고라서 인지, 알터에서 하우스뱃으로 건너 오는 용량이 90A까지 치고 오드라고요.. Transit 알터도 상당양 하우스 충전이 들어 올 것 같아 멀지 않은 운행에도 충전속도는 좋을 듯 하네요. MPPT도 넉넉한 용량이고... 한번 DIY 구경을 하고 싶은데 혹여 찍어둔 유툽 영상이 있으신가요?? 지금 어느 곳이세요. 저는 오레곤주 포틀랜드에서 좀 오래 있네요. 곧 한중일 방향으로 건너 갈려합니다... 자주 연락 부탁합니당.. Have a SUNNY day~
@gwanghkwon
@gwanghkwon 8 ай бұрын
@@worldoverlander 바쁘신 일과중에 곧 바로 회신주심 넘 감사드립니다. 원래 월~킹밴으로있던 깡통밴을 구입하였으며 스텔스 차박을 위한 전면 윈도우와 드라이브석과 조수석만 유리창이고 Side slide', Rear Door는 창문이 아닌것으로 구입했읍니다. 지난 2월 팔순을 마지한 건강한 시니어로 남은날들은 가능한한 여행하려고 하고 있으며 3월에는 시카고에서 Key West에 15일 혼자 밴 여행을 다녀왔읍니다 지금까지 밴 여행길에 전혀 문제는 없었읍니다 질문 몇가지~~~ @ 지금있는 AGM 배터리를 인산철로 바꿀필요가 없는지? 납산배터리 두개의 무게가 만만치 않습니다 @나의 소견으론 삼년 넘은 납산배터리가 이제 수명을 다하기전 인산철로 바꾸는것은??? 인산철로 업그래드시 지금의 시스템에 무엇이 필요한지 준비사항을 알려주시면 고맙겠읍니다. @ECOFLOW Portable Power Station DELTA 2 Max, 2400W LFP Solar Generator, Full Charge in 1 Hr, 2048Wh를 집에서 충전하여 사용할려고 준비하였는데 DC-DC Charger controler설치하여 여행밴에서 충전하면 어떨가요?
@worldoverlander
@worldoverlander 8 ай бұрын
@@gwanghkwon 하, 저도 5년전에 AGM을 사용하다 인산철 (LFP)로 바꾸었답니다. 저는 제 필요때문에 300AH 파뱅 3대를 사용합니다. ECOFLOW는 아마 모두 일체형으로 된 제품이 아닌가 싶은데 기본이 약 2KW (150AH) 정도일 건데요... 이 정도는 냉장고, 팬, 랩탑, 마이크로 잠깐 동안 등을 하루 정도는 사용하지만, 2일 이상은 충전없이 버티기 힘들것 같습니다. 그리고 태양광이 있지만 이건 날씨 따라가고, 충전을 위해 땡볕아래에 차를 주차해야 해서 없는 것 보다는 낮지만 그래도 Ecoflow에 정차시 충전을 해 주지 좋을 듯 합니다. 하지만, 차가 커서 일단 알터에서 충분히 DCDC 충전량이 들어 올 것으로 보아 (알터 순정 출력을 찾아 보세요), ECO의 경우 (뱃터리 기본 하나 장착으로 가정) 30~60AH 정도의 DCDC 충전기면 (1,2시간 운전하면 만충을 시킬듯) 태양광 날씨나 장소, 관리상태 등에 무관하게 일반적인 차박 스타일에 맞지 않을까 봅니다. 모든 것은 설치된 전자기기의 소모량과 그리고 자신의 캠핑 스타일을 정하고 기기의 용량을 정하는 것이 순서입니다. 참고로 저는 냉장고 2대와 작은 A/C 및 기타 잡다한 기기 및 조리를 하기 때문에 300AHx3대로 아껴쓰면서 5-7일 정도를 운행없이 광양에서 태양광 없이 버틸 수 있습니다. 참조로 저의 알터는 120이며, 운행중 55암페어로 충전을 하며, DCDC는 60로 전기가 있는 곳에서 충전을 하면서 7년차 별 무리없이 인산철로 지내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채팅창으로 긴 이야기 드리기는 힘들듯 하니 저의 카카오 톡 아이디가 'drsunnylee'나 WhatApp 은 +12132687079 입니다. 연결이 되면 좀 편하게 대화가 될 듯하네요.. 좋은 하루 되세요.
@gwanghkwon
@gwanghkwon 8 ай бұрын
한국 여행준비로 바쁘신 중임에도 긴 답신 주셔서 감사합니다 게획하신대로 순조운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전화드리도록 하겠읍니다 가능한 전화 통화 시간을 알려 주시면 고밉겠읍니다 감사합니다
@juya-ut4ez
@juya-ut4ez 9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시동용 배터리 인산철 100a 로 시동 off 하면 항상 13.1~13.2v 나오네요. 말씀하신 13.4 또는 13.6v는 본적이 없는것같네요. 시동시에는 13.7~13.9v 나옵니다.
@worldoverlander
@worldoverlander 9 ай бұрын
시동 off하고 한두시간 경과후 측정하세요. 바로 시동끄고 13.1~13.2라면 꽤 낮은 상태. 일단 볼트미터가 싸구려는 오차가 많으니 신뢰하지 마시고, 좀 정교한 볼트미터로 인산철 단자의 전압을 1-2시간 경과후 찍어 보세요. 천원짜리 볼트 미터를 사용하는 업체가 많은데 별로 신뢰가 없을 수 있습니다. 주충기 충전전압을 14.4~14.6 인데요, 만충이 되면 약 10분 경과후 13.8.. 한시간 후쯤에 13.6 쯤으로 내려 가면 정상이고 완충상태입니다. 이때 다시 충전하면 금새 14.4로 올라 설것입니다. 이 경우는 내부에 있는 셀들이 대부분 밸런스가 잘 잡혀 있을 경우이고요, 셀 중 하나라도 다른 것들과 달리 많이 떨어진 전압이 나오면 이는 액티브밸런서를 가지고 4개 셀이 거의 같은 값을 같도록 해주는 밸런서를 투입해서 잡습니다. 시동시 주충기가 있다치고 13.7~13.9가 잡히면 충전이 되고 있는듯 보입니다. 만충으로 갈 수로 이 값이 계속올라가서 14 이상까지 올라 가야 합니다. 말한 것처럼 시동이 꺼지면 당연히 전압이 내려가는데 13.1까지 뚝 떨어지면, 배터리의 내부저항이 커졌든지 (망가져 가는 상태) 또는 충전 전압은 맞지만 충전전류가 시원치 않던지 하는 이유등일 것으로 추정합니다. 하여튼, 충전을 끈고 한두시간 이후의 인산철 배터리 단자에서 정확한 볼트미터기로 측정을 해서 다시 알려 주시면 함께 고민을 해 보죠. 잘 되시길..
@juya-ut4ez
@juya-ut4ez 9 ай бұрын
네, 자세한 말씀 감사합니다.
"배터리 교수님이 LFP가 최고라는데" 이거 정말인가? 거짓말인가?
16:58
오토기어 autogear - 자동차에 대한 모든 정보
Рет қаралды 72 М.
Маусымашар-2023 / Гала-концерт / АТУ қоштасу
1:27:3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390 М.
잔량계가 장착된 MD홍 120A 파워뱅크
42:45
퀀텀캣&MD홍
Рет қаралды 277 М.
Пайка для новичков.
47:23
Э+М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현대차, 전고체전지 문제점 이렇게 해결했다!
17:47
파워뱅크 선택 어떤게 좋을까요?? 유니테크파워뱅크 알아봐요
24:52
자작꾼TV(자작꾼의 취미생활)
Рет қаралды 172 М.
Маусымашар-2023 / Гала-концерт / АТУ қоштасу
1:27:3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39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