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교수님이 LFP가 최고라는데" 이거 정말인가? 거짓말인가?

  Рет қаралды 67,670

autogear

autogear

6 ай бұрын

#LFP #K배터리 #삼원계 #CATL #BYD #레이EV #토레스 EVX

Пікірлер: 190
@whyissueTV
@whyissueTV 6 ай бұрын
자주 말씀드린 내용이지만, LFP가 최근까지 전기차에 쓰이지 않았던 가장 큰 이유는, 미시건주에 있는 GM 배터리 연구소에서 12년도에 있었던 A123(현 LFP 공정특허의 원저작기업)의 LFP 배터리 실험 폭발 사건이 큽니다. 당시 순수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던 GM에서는 저렴한 A123의 LFP 배터리를 실험해보고자 모터 부하를 걸었고 그대로 폭발하면서, 연구원 5명이 부상을 입고, 911에 실려갔었습니다. LFP는 폭발하지 않는다? 폭발합니다. 높은 C-rate에 아주 취약하고, 실제로 수많은 중국의 전동킥보드 배터리 폭발 영상들의 배터리가 대부분 LFP입니다. 이러한 내용들은 이미 15~20년전에 모두 연구가 끝난 내용들입니다. 화학이란 원자들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학문이고, 화학적 특성은 우주의 법칙에 따른 원자의 특성에 기인합니다. 그렇기에 다른 환경조건을 만드는 것으로 더 나아지게 할 수 는 있지만, 본질적인 특성을 바꿀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LFP에 고 방전, 고 충전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한 운용방법이 아닙니다.
@kkmm9499
@kkmm9499 6 ай бұрын
멋지다 제인수 형 👍👍❤😊
@user-rv1zl3nw1c
@user-rv1zl3nw1c 6 ай бұрын
LG에너지솔루션이 공개한 중국산 LFP(리튬인산철) VS 국산 삼원계 배터리 비교 19가지 1. LG에너지솔루션이 2023년 9월 14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자체 테스트 결과 중국산 ESS용 리튬인산철 배터리 성능이 삼원계 배터리 대비 4% 차이로 나타났다. ESS에 공급된 전력의 충전과 방전 효율을 나타내는 RTE(Round Trip Efficiency)가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는 97%, 중국산 리튬인산철 배터리는 93% 내외였다 2. 즉 단순 성능으로 따지면 중국산 리튬인산철은 국산 삼원계 배터리의 70% 내외의 성능수준이라고 봐야 한다 중국산 LFP 인산철 배터리의 단점 3. 겨울철에는 인산철(LFP) 배터리의 효율이 너무 좋지 않다 4. 특히 회생제동도 겨울철에는 제한이 걸린다 5. 거기에다 전비도 겨울철에는 최악이다 6. 인산철(LFP)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리튬 삼원계(다원계) 배터리보다 높지 않다 7. 따라서 에너지 밀도가 낮으니 주행가능거리도 짧다 8. 거기에다 에너지 밀도가 낮으니 같은 용량대비 무게가 많이 무겁다 9. 결정적으로 인산철(LFP) 배터리는 수명도 짧아진다 (즉 2C 이상의 C-rate 사용환경에서는 NCM 대비 수명(Life Cycle)이 짧아진다) 10. 인산철(LFP)은 리튬 삼원계(다원계)보다 안전하지 않다 왜냐하면 씨레이트(C-rate)가 높아지면 화재위험이 더 높다 (즉 2C 이상의 C-rate 사용환경에서는 화재, 폭발의 위험성이 급격히 올라간다) 11. 구체적으로 씨레이트(C-rate)가 높아지는 현상은 언덕길을 올라가거나 급가속을 할 때 생기는데 이러한 경우 인산철(LFP) 배터리가 리튬 삼원계(다원계) 배터리보다 화재위험이 높다 12. 인산철(LFP) 배터리는 Memory Effect 때문에 주기적으로 배터리가 완전 바닥날때까지 방전시켜주고 그리고 100% 충전 시켜줘야 하는데 충전시간도 길고 번거롭다 13. 인산철(LFP) 배터리는 삼원계에 비해 1/7정도 밖에 되지 않는 전압범위를 갖기 때문에 0.1V에 90~20% 까지의 커패시턴스가 몰려있어, 배터리 잔량(SOC)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 14. 인산철(LFP) 전기차는 분명 배터리가 40%였는데 1초뒤에 30%로 바뀌는 등의 문제들이 빈번하다는게 실차 소유주들의 후기가 많다 15. 중국에서도 인산철(LFP) 배터리는 겨울철에 추운 중북부 쪽에서는 잘 쓰지 않는다 16. 따라서 겨울철에 추운 국가에서 인산철 배터리는 주행가능거리가 상당히 짧아진다 17. 실제 테스트 결과를 보면 인산철(LFP) 배터리는 영하 20도 한도 내에서만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삼원계(다원계)배터리는 영하 30도에서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18. 그리고 극한이 아닌 일반적인 저온환경에서 인산철(LFP) 배터리는 30%이상 기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삼원계(다원계)배터리의 기능저하는 15% 내외이다 19. 폐배터리 재활용 비용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진다 * 추후 새로운 단점을 발견하면 항목에 추가하여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user-ci5yd7ig1k
@user-ci5yd7ig1k 6 ай бұрын
@kimdaehyun2019
@kimdaehyun2019 6 ай бұрын
역시~
@whyissueTV
@whyissueTV 6 ай бұрын
@@han3862 어엌ㅋ.... 모델3 한번 더 빌려야겠군요.
@user-nu9gy3xq7p
@user-nu9gy3xq7p 6 ай бұрын
정보 감사드리며 건강하시고 좋은 나날들 되십시요!
@KimKyungHo1980
@KimKyungHo1980 6 ай бұрын
박철완 교수 이야기인거 같네요. 배터리로 보는 세상과, 전기차로 보는 배터리는, 서로 보이는 광경이 다를 수 밖에요.
@KimKyungHo1980
@KimKyungHo1980 6 ай бұрын
제조업에서는 같은 제품이라도 용도와 시장이 바뀌면 전혀 다른 제품으로 인식하는 것이 상식입니다. 아무거나 대충 칫솔을 경우로 생각해 봅시다. 사람 이를 닦을 때 쓸 칫솔의 경우. 좋은 칫솔의 정의는 치아 마모를 줄이고 치아의 세균막을 잘 분해하기 위해, 털의 stiffness가 낮아 부드럽고, 고밀도에, 높이가 일정 한 것이 좋습니다. 같은 칫솔 제품인데 바닥 청소에 사용한다 생각해 봅시다. 칫솔 털의 Stiffness가 높아 이물을 잘 긁어내고, 털의 높이와 털의 밀도 분포도 랜덤하게 해야, 피세정체의 표면 추종성을 높여서 쓰기 좋은 칫솔이 될 것 입니다. 칫솔만 해도 용도(치아 세척용/청소용)와 시장 (일반 개인 위생용품 시장/세척업에 특화된 상업용 시장)에 따라 적합한 Spec이 전혀 달라지고, 기대 판매 수량과 가격 역시 판이하게 달라집니다. 이렇듯 세상에는 마법의 단일 종류 배터리가 시장 전체를 섭렵하는 것이 아니라, 용도와 시장에 적합한 배터리들이 취사선택되어 보급, 사용되게 되는 겁니다. *칫솔과 용도/시장 이야기는 비유를 위해, 방금 마음대로 지어낸 이야기니 사실로 오인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전 칫솔 업계 모릅니다.
@user-ci5yd7ig1k
@user-ci5yd7ig1k 6 ай бұрын
​@@KimKyungHo1980❤
@cryingbug134
@cryingbug134 6 ай бұрын
박철완 교수님이란 분은 배잘알이지만 차알못일 가능성이 크시쥬
@user-de9ey5bm5q
@user-de9ey5bm5q 6 ай бұрын
​@@cryingbug134배잘알도 아닌 듯
@whg5933
@whg5933 6 ай бұрын
방송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MrParkmoojoo
@MrParkmoojoo 6 ай бұрын
C rate 언급한 영상은 늘 꾸준히 잘 보고 있습니다. 명쾌한 설명 오늘도 감사합니다.
@Js-fv3fi
@Js-fv3fi 6 ай бұрын
처음 하신말씀에 깊히 공감합니다. 저는 여기저기 연구소니 대학에 근무해본 사람입니다. 아무리 어느쪽에 손에 꼽히는 박사라는분들도 자기분야 외에 관심없는쪽은 몰라서 답답한 경우를 많이 겪어봤습니다. 박사님이라고 하면 모든 다 알것같은 척척박사님이 아닌데 자주 겪어보기 힘든(?) 사람들이라 환상을 가진거에요.
@user-zq4pe3wc9v
@user-zq4pe3wc9v 6 ай бұрын
전문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풀이해주셔서 많이 배웁니다
@user-wx4pi7xc5q
@user-wx4pi7xc5q 6 ай бұрын
속시원한 설명 감사합니다
@user-ds4qw6ho7x
@user-ds4qw6ho7x 6 ай бұрын
현재 lfp 차량모델은 듀얼모터 모델이 없습니다. 이정도면 lfp 현재기술로는 고출력 못낸다 가 맞는거 아닐까요
@Shuriev
@Shuriev 6 ай бұрын
BYD는 있긴 있는데 그것도 말이 좀 많긴 하죠.ㅋ
@nkk5930
@nkk5930 6 ай бұрын
그리고 LFP배터리를 사용한다는건 원가 절감의 목적이 가장 크기 때문에 듀얼모터를 넣지 않는 것도 있죠.
@minu_i
@minu_i 6 ай бұрын
배터리 도 중요하지만 그 좋은 배터리를 안전하고 더 좋은 성능을 발휘 할수 있게하는 시스템이 앞으로는 더 중요 할것 같습니다!!!
@user-cb8et6jb8u
@user-cb8et6jb8u 6 ай бұрын
바로 이 내용을 정말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드디어 답을 들으니 속이 시원하네요. 이미 알고 있었던 사실이지만 왜 교수님은 LFP가 중요한 거라고 하실까 의아했거든요. 그나저나 선글라스 잘 어울리세요. 편광 선글라스 같은데 브랜드 궁금하네요. ㅎㅎ
@lionlamb688
@lionlamb688 6 ай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 개발해서 배터리 패권을 바꿔 보겠다던 도요타가 지난달엔가? LG 엔솔에 10년간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한거 꽤 의미심장하죠. 비록 (아마도) 2025년부터 미국내 출시 도요타 전기차 한정 공급인거 같긴 한데 그럼에도 그 규모가 30조 가량으로 추정되는 대규모 계약이니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보입니다. 일본의 자존심조차도 한국(물론 좁게 보면 LG) 배터리의 상품성을 인정하고 들어가는 계약인거죠..전고체 쪽으로는 여전히 뭔가 퀀텀점프가 없는 형국인거고 그렇다고 전기차 판매 손놓고 있을 수도 없고..중국산 배터리는 할말하않...어쨌든 도요타도 당장은 배터리 기술력 확보가 힘들다고 판단한건지 2025년부터의 배터리 수급 상황을 미리 대비를 하는 계약인셈.
@ohworld8067
@ohworld8067 5 ай бұрын
전고체 개발이 뚝딱 된다고 쳐도 양산하는거와는 별개인데 25년에 만들어도 양산한다고쳐도 28년 ㅋㅋㅋㅋ 삼원계도 안되면서 전고체 만든다는건 ㅋㅋ만들어도 가격이 비싸겠지만 힘들어보임 ㅋㅋ
@wonwonsisters504
@wonwonsisters504 6 ай бұрын
정말 어처구니 없는 주장에 잘 대응해 주시고 롱런해 부세요. 요즘 배터리에 억지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windies21
@windies21 6 ай бұрын
진짜면 LFP 배터리가 NCM 배터리보다 비싸게 팔리거나 NCM 배터리가 사라져야겠죠. 아무리 싼것도 10개 20개 항목을 비교하다보면 한두개는 비싼거보다 더 좋을수도 있어요. 딱! 그정도입니다. ㅎㅎ
@seungiklee216
@seungiklee216 6 ай бұрын
게다가 독3사 비롯한 고급브랜드 전기차들도 LFP밖에 안쓰겠죠ㅋㅋ 현실적으로는 염가형으로 출시된 전기차 이외에는 죄다 삼원계만 쓰는 중이고 앞으로 LFP로 바꿔나간다는 계획조차 없는걸로 아는데 LFP가 최고라는 근거는 도대체 어디가면 찾아볼 수 있는지 정말 궁금하네요.
@user-qu3io1kk9c
@user-qu3io1kk9c 6 ай бұрын
좋은건 삼원계가 더 좋죠.. ㅋ 하지만 효율대비 lfp와 가격을 비교하면 어떤게 정답인제 모르겠네요... 예를들어 lfp가 영하10도 이하 효울이 10% 20% 떨어진다하면 우리나라 기후상 1년에 15일~30 내외가 영하 10도일텐데 출퇴근으로 계산하면 10키로 20키로 차이... 1년에 20키로 충전비하고 삼원계 차가격이 1천만원 비싼거로 따지면 효율성이 어떤게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user-lk6lu9lq5h
@user-lk6lu9lq5h 6 ай бұрын
​@@user-qu3io1kk9c그정도까지 보강된다면 배터리가격이 많이 뛰어서 의미가 없습니다
@user-lk6lu9lq5h
@user-lk6lu9lq5h 6 ай бұрын
​@@user-qu3io1kk9c배터리도 현시점에서 새로운 광물 발견하는거 아닌이상 95프로 이상 발전한 상태라서요 그정도까지 효율을 끌어 올린다면 가격이 올라가서 의미가 없어요
@leejjong88
@leejjong88 6 ай бұрын
LFP배터리 탑제 차량들이 많이 풀리고 있고...올 겨울이 지나고 나면 모든게 확실하게 판명이 나겠죠.
@supyoo
@supyoo 6 ай бұрын
이미 판명이 나고 있어요. 겨울철 주행거리 줄어드는건 심각하고 더 심각한 문제는 배터리가 20프로대로 내려가면 남은 양을 파악하지 못할만큼 조루가 되고 뚝뚝 떨어진다는거죠. 심지어 중국자동차들은 배터리전압에따른 용량체크를 할수가 없어서 100프로 75프로 50프로는 그냥 주행거리로 대충 맞춰서 계산하고 25프로 남아서 전압강하가 시작되었을때 실제 남은 배터리와 연동시키는데 그러다보니 마지막에 뚝뚝 떨어지게 됩니다. 마치 중국산 자전거 라이트 같죠. 하루종일 100퍼센트 보여주다가 갑자기 90 80 50 20 .. 이러고 꺼지는...
@user-qu3io1kk9c
@user-qu3io1kk9c 6 ай бұрын
아이오닉5타다 모델y로 갈아타고 이번 겨울 지내는데.... 솔직히 염려를 많이해서 그런지 체감상 차이를 전혀 못느끼겠습니다... 비슷한 가격에 모델y로 가면서 편의성이 대폭 상승해서 그런걸수도...
@user-zs3bw1sf3i
@user-zs3bw1sf3i 5 ай бұрын
@@supyoo 전혀 못느끼겠는데요 ? 영하 10도에서 차박도하고 청송 다녀올때도 기존 주행거리내에서 큰 차이 없었습니다. 남은 양을 파악 못한다? 이것도 팩트가 아니네요 화면에 찍혀있는 주행거리에서 큰 오차 없습니다. 3일전에 다녀왔습니다. 카더라가 아니라 진실을 알리세요
@Spertzi
@Spertzi 2 ай бұрын
판명이 났나요?
@Lee-iq6wh
@Lee-iq6wh 6 ай бұрын
👍👍
@user-fq2wf4dm3u
@user-fq2wf4dm3u 6 ай бұрын
Ev9 hdp옵션 넣고 한없이 기다리다가 얼마전 취소하고 레이ev 계약했습니다. Ev9 나오면 쏘하를 출퇴근으로 쓸려고 했지만 쏘하를 계속 가족차로 운행하고 레이ev를 출퇴근으로 하려고 합니다ㅋ Lfp가 좋아서 사는건 아니고 생활패턴상 충분하다 생각했구요 쏘하 대신 가족차는 다음 em플렛폼으로 가려고 합니다~
@user-jx3sm7og9j
@user-jx3sm7og9j 6 ай бұрын
저도 지난달에 출고했어요, 정말 좋습니다. 출퇴근 마실용으로 최고에요, 용도에 맞게 사는거죠 뭐 ㅎㅎ
@user-oh8gz9kn3p
@user-oh8gz9kn3p 6 ай бұрын
Em플랫폼 나오믄 하나 더 사시려는군요 부럽습니다^^ 저는 일할때 쓸 es플랫폼 승합차 기대 중 입니다
@user-ex3bx5yh6d
@user-ex3bx5yh6d 6 ай бұрын
배터리때문에 알게된채널인데 누구보다 근거를가지고 논리적으로 알기쉽게 설명을 잘해주십니다.❤
@user-ci5yd7ig1k
@user-ci5yd7ig1k 6 ай бұрын
@juniorkittystar
@juniorkittystar 6 ай бұрын
항상 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
@chriswantaekim2826
@chriswantaekim2826 6 ай бұрын
대학에 있는 교수들이 학술적으로 연구하지 전 세계 산업동향이나 기술 트랜드 분야에서의 업데이트는 어려울수 있는게 팩트죠. 순수 학문이 아닌 이상 모든 산업에서 [현실-기술-트랜드-학술] 공통사항임.
@user-no4ug1gr6d
@user-no4ug1gr6d 6 ай бұрын
정확하고 좋은 정보 항상 감사드립니다.
@user-bf3jp2ky6e
@user-bf3jp2ky6e 6 ай бұрын
말씀을 들으면 속이 뻥뚫립니다 😂 항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
@user-be1gs7gb7p
@user-be1gs7gb7p 6 ай бұрын
운전하시면서 말씀을참잘하시네요~
@sunheeman6671
@sunheeman6671 6 ай бұрын
차를 몰라~~~ ㅎㅎㅎ 매력 터지는 교수님 어법😄😄😄2차전지 산업은 우리나라 성장산업인데 왜 언론과 기관들이 못잡아 먹어서 안달인지 이해를 못하겠네요?!?! LFP로 가장 이해관계에 득을 보는 곳이 어딘지??
@qwerty-it6pt
@qwerty-it6pt 6 ай бұрын
아마도 현기차아닐까요 그리고 00증권의 한00과 삼아마츄어등 등등 2차전지산업발전을 가로막는 신0증권등 공매도 세력들?~~~
@sunheeman6671
@sunheeman6671 6 ай бұрын
@@qwerty-it6pt 동감입니다!
@mingw00
@mingw00 3 ай бұрын
모델Y RWD말고 모델Y 롱레인지 사면 되는거죠?
@user-di7wk7jm1g
@user-di7wk7jm1g 6 ай бұрын
가격이 문제지 가격을 획기적으로 내리지 않으면….
@watersnow9087
@watersnow9087 6 ай бұрын
가격이 제일큰 문제라면 프리미엄 메이커들은요? 그냥 안정성과 충전인프라가 제일큼
@mkkm3626
@mkkm3626 6 ай бұрын
걍 납축전지 쓰면 4~5백만원 밖에 안합니다. 달고 다니세요. 아니 얹고 다니는 개념이겠네. 무게 1톤 정도 나갑니다.
@ever77777
@ever77777 6 ай бұрын
전기차 바꾸는이유 지구온난화 안바꾸는 자동차 기업 망할수도 있다 하네요
@Panorama-memory
@Panorama-memory 6 ай бұрын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시장 보면 이미 다 답 나왔고 논쟁이 불필요함. 리튬이온 베터리 조차도 국내정발 제품은 되도록 국내산 베터리 넣음. 더 비싼데도. 초반에 죄다 중국제 리튬이온전지 넣었었다가 업체들이 개피봤음. LFP베터리 넣은 전기자전거, 킥보드 있나? 있을지도 모르지만, 제대로된 국내업체는 그딴거 안넣음. 그게 진짜 쓸만했음 이미 다 그거 넣었겠지.
@m4ki9h76
@m4ki9h76 5 ай бұрын
전동킥보드는 초소형 플랫폼인데다가 저전압(32V, 48V, 52V) 고전류를 쓰는 모터 특성상 C레이트가 높기 때문에, 고방전률에 취약한 LFP는 애초에 적합하지 않은 활용처입니다.
@park6312
@park6312 6 ай бұрын
형님 고생많으십니다^^ 뭐 계속 반복해서들어도 괜찮습니다만 종교에빠진사람들 구하려면 힘좀드시겄어요~~
@user-dx6ur3sn2j
@user-dx6ur3sn2j 6 ай бұрын
신일전자 무선선풍기 중국산 밧데리 사용, 방전되면 재 충전안됩니다 ㅎㅎ 밧데리. 무한교체비용 발생
@user-sy4po7oy9v
@user-sy4po7oy9v 6 ай бұрын
국내 유투버들 LFP 테스트 보면 죄다 서울 부산급 거리를 테스트하면서 LFP 멀리가는데? 이러는데 누가 매일 서울 부산 서울 강원도급거리를 다닙니까… 장거리가면 배터리 열 적정수준 올라오니 어느정도 안정화된 상태에서 하니 나오는거지 출퇴근으로 몇일 해봐야지… 그리고 LFP 충전속도 안나오는건 말도 안함
@user-ci5yd7ig1k
@user-ci5yd7ig1k 6 ай бұрын
한 겨울 그것도 기온이 가장 낮은 새벽에 출근하고 기온이 낮아지고 차가 많은 저녁 퇴근 무렵이 적정한 테스트 조건에 가까운 것 같습니다.
@peu815
@peu815 6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옛날 볼트ev 처음 나왔을 때나 서울 - 부산 테스트가 중요하지 요즘은 5분이나 30분 안에 얼마나 빠른 충전을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한 듯합니다 앞으로 부동산에선 고속 충전소 인근 지역 충세권도 나올 듯요
@user-qd6ys8lj3p
@user-qd6ys8lj3p 6 ай бұрын
MIL STD 810g테스트 11개항목 극한의테스트 내구성중에서 극한테스트라고 있다고하니 전기차에사용하는LFP도 적용해서 내구성테스트를 거쳐서검증이된것인지 궁금 하기도 하네요..
@-tube721
@-tube721 6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자주 잘 보고 있습니다~ 요즘 핫 이슈인 NCM 배터리와 LFP 배터리의 절체절명의 시험무대는 이번 겨울 우리나라 중부지방이라고 봅니다. 최소한 이번 겨울은 LFP(토레스 evx나 레이, 심지어 테슬라까지도)의 실질적인 인증테스트를 받는 기간이라 봅니다. 이미 캐나다를 비롯한 북미 지역의 LFP 차들은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고 들었어요. 저는 창원에 살고 있고, 이곳 기온은 그리 낮지 않아 내년 봄에 차를 받을 수 있을까 해서, 예약을 했고, 이번 겨울을 주시할 생각입니다. 물론 아이오닉5도 예약했고, 싼타페 hev도 예약을 했어요. 저에게나 오토기어에게 아주 뜻 깊은 겨울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TV-ll7nn
@TV-ll7nn Ай бұрын
대학교수 ?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애꾸눈? 자동차에는 삼원계 밧테리가 정품이다. 아주 무식한 교수들 많아요. 요즘은 개나 걸이나 다ㅈ교수하니까~~
@user-jb6jr6xl4c
@user-jb6jr6xl4c 5 ай бұрын
LFP밧데리가 좋으면 스마트폰 에 진작에 체택했겠지요
@BABLKIM
@BABLKIM 6 ай бұрын
어후 답답 상황마다 말뒤집고 정말 이런 억까가 ...
@kakrashini
@kakrashini 6 ай бұрын
인터스텔라에 나오는 박사 블랙홀 옆 행성에서 7년 잃고 비행선 돌아와서 Reality is different 하면서 질질짜는 거 생각나네요
@user-nt3nd5ez6y
@user-nt3nd5ez6y 6 ай бұрын
lfp신봉자들아 모델 s x에 lfp쓰면 살꺼냐 ㅋㅋㅋㅋㅋㅋㅋ
@user-do3yp6ou1l
@user-do3yp6ou1l 6 ай бұрын
아직도 이런 사이비교수가 있다니 놀랍다! 분명한 것은 진리는 하나인데,지협적인 문제를 어째든 진실을 호도하는 자가 곳곳에서 진정성이 의심되는 자들이 암약하고 있다는 걸 직시할 필요가 있다
@doit4781
@doit4781 6 ай бұрын
배터리 주식 카페가 종교,교주가 되고있습니다. 수십조가 이렇게 쏠린다면, 후폭풍이 클겁니다. 시절이 어지럽단 방증같아요.
@user-db5qr7qr8p
@user-db5qr7qr8p 6 ай бұрын
옳습니다 ❤❤❤❤❤❤
@changmokoo9049
@changmokoo9049 6 ай бұрын
그교수가 누굽니까?
@user-ch8ym6cj8m
@user-ch8ym6cj8m 6 ай бұрын
박철완?
@user-gf2np5xg2u
@user-gf2np5xg2u 29 күн бұрын
중공에서 스폰서를 받았나?
@michael_cardrivelove
@michael_cardrivelove 6 ай бұрын
👏👏👏
@user-kp5bl6cu9v
@user-kp5bl6cu9v 6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모든사람이 아는대학교의교수님인가요?아니면 과거 2년짜리 전문대학교의 자동차학과 교수(?)인가요? 한국의 누구나아는10개대학교에는 자동차학과가없는거로아는데요?
@sjlee5523
@sjlee5523 6 ай бұрын
한양대에 있긴합니다 ㅎㅎ
@youngkim4829
@youngkim4829 6 ай бұрын
자동차 디자인 교수도 나와서 2차전지 산업 얘기하더군요..
@sam06912
@sam06912 6 ай бұрын
자동차 교수가 아니라, 배터리 관련 교수인가 봅니다!
@user-kp5bl6cu9v
@user-kp5bl6cu9v 6 ай бұрын
@@sjlee5523 한양대 교수정도면 어설프게 유투브 나방송에 출연하지않습니다ㆍ대체로 듣보잡 학교에서 강사정도나 사와서쓸데없는소리나하죠
@user-bd8gj8xp3g
@user-bd8gj8xp3g 6 ай бұрын
ㅎㅎㅎ 무척 깔아 뭉개고싶군요 어설피 인신공격마시고 팩트공격하세요 옆에서 보기 민망해요
@glousor302
@glousor302 6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수주잔고
@user-lc7gx1xk4l
@user-lc7gx1xk4l 5 ай бұрын
테슬라가 중국산LFP베터리 탑재한 모델 때문에 국내 현대,기아차가 판매부진을 고전하고 있다는데요?
@painkiller9695
@painkiller9695 6 ай бұрын
LFP 전기차의 체감상 가성비가 좋아서 NCM 전기차의 점유율이 LFP에 비해 많이 밀릴거라는 주장이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user-ve1db9vh9n
@user-ve1db9vh9n 6 ай бұрын
전기차가 아직 초기니까 실제 운행 데이터가 쌓이며 저절로 판명 되겠지요.
@4k4kstrollman6
@4k4kstrollman6 6 ай бұрын
LFP는 ESS 시장에서 미래가 있지 전기차 시장에선 한계가 뚜렷하죠
@bbjlee2851
@bbjlee2851 6 ай бұрын
교수 부심 ㅋㅋ 그런데 차를 몰라 인산철이 그렇게 좋으면 삼원계 보다 싸게 팔까?
@user-lf8zt8qc7b
@user-lf8zt8qc7b 5 ай бұрын
싼 게 비지떡! 비싼 건 비싼 이유가 있습니다.
@user-mq1kz4no7r
@user-mq1kz4no7r 6 ай бұрын
삼원계 배터리의 부피를 25% 줄이면 성능과 가격은 같고 무게는 현저히 낮아서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봅니다.
@user-ue4bc9zq8x
@user-ue4bc9zq8x 6 ай бұрын
환경을 위한 재활용 면에서 인산철은 그냥 폐기물
@woochive
@woochive 6 ай бұрын
특정 조건 하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품이 있을지는 모르지만(심지어 전기차에서 과연 LFP가 우수한지는...?), 무조건 00가 최고다! 는 이 세상에서 믿기 어렵지요... 사람도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는데 말입니다.. 요사이 언론보도가 너무 단편적으로 나가는 게 우려스럽습니다. 장점과 단점을 명확히 알고 타협해서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게 아니라, 지나치게 중국 배터리를 저렴하다는 이유로 너무 띄워주는 것 같아서요…
@sinirq
@sinirq 6 ай бұрын
섣부른 무당이 사람 잘 잡죠 ㅋㅋ
@paran0829
@paran0829 6 ай бұрын
국내 배터리 3사 lg엔솔 삼성sdi sk온에서 lfp를 하지않은 이유가 전기차에 부적합하기 때문이죠 지금은 시장이 원하니 어쩔수없이 lfp를 하려고 하는것뿐이구요
@user-ef2fw1bq3c
@user-ef2fw1bq3c 6 ай бұрын
????? 먼소리하는거 앞뒤가맞다고 생각하는거? 대기업이 본인들은 아니라생각하는데 만들어달라니까 만든다고요? 그런 멍청한말이어딧습니까? 내가만들어판 제풍이상생기면 누가 책임생길까? 지발 생각좀 하셔라
@TheSickerp
@TheSickerp 5 ай бұрын
뭔말이야 ㅋㅋ 시장이 싫어하는 휴대폰만 만들다 망한 회사가 얼마나 많은데 ㅋㅋㅋ 망한단 소리임?
@user-fc9lz5up3n
@user-fc9lz5up3n 6 ай бұрын
화학업종 50년 넘은 대기업들이 바본가? 그리좋으면 벌써 하고남았지 ㅋ
@user-hb5xw3bu4g
@user-hb5xw3bu4g 6 ай бұрын
ncm보다 싸면... 답 나온거임!😂
@user-kk9sc9bx3o
@user-kk9sc9bx3o 6 ай бұрын
명색이 교수라는 친구가 좀더 깊히 연구ㆍ고찰해서 얘기하지. 당장 폐배터리 문제만 봐도 심각한거 모르니?
@UncleAzzu
@UncleAzzu 6 ай бұрын
아직도 지구가 평평하고 우주의 중심이 지구라고 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아무리 설명해도 믿음의 세계에서는 논리가 안통합니다.
@user-hm7vz2me3h
@user-hm7vz2me3h 6 ай бұрын
그 교수님이 이 영상 꼭 봤으면 좋겠네요.
@user-di9cy9gy5l
@user-di9cy9gy5l 6 ай бұрын
저격했다고 방방 뛰실지도? ㅋㅋㅋ
@user-vb6wg8zp1e
@user-vb6wg8zp1e 6 ай бұрын
사람 안바껴요. 특히 내가 전문가다라며 자부심 센사람들
@starrypak
@starrypak 6 ай бұрын
'(부들거리며) 감히 나를 차알못 취급해?'
@PaWeGiWo
@PaWeGiWo 6 ай бұрын
사기꾼 조심하세요 분명한 과학이고 산수인데 이것을 부정하는 사람들. 이해당사자들이에요. 뭔가 이권이 걸려있으면 1+1 = 2 가 아니라고 합니다. 이것은 어느 문명사회에나, 역사적으로 존재합니다. 그러니 분쟁이 세계곳곳에 잇는것 아니겠습니까?
@user-je9qv1cu3o
@user-je9qv1cu3o 26 күн бұрын
이새ㅡ끼도 지 불리하니까 안들을려고 하는게 지가 한 얘기랑 똑같노 ㅋㅋ
@GnusNi-rv6bq
@GnusNi-rv6bq 6 ай бұрын
그아재 그냥 작전하는거 같음
@gorapa23
@gorapa23 6 ай бұрын
@user-zs3bw1sf3i
@user-zs3bw1sf3i 6 ай бұрын
LFP배터리 쓰레기고 겨울에 광탈한다 하셨습니다. 이번 겨울 지나면 모두가 알게될겁니다. ㅎㅎ
@Panorama-memory
@Panorama-memory 6 ай бұрын
lfp가 더 좋다는 놈들은 시장경제체제 조차도 모르는 넘들임. 지능이 낮다는 걸 스스로 인증하는 거. 시장에서 후졌는데 아무런 장점이 없는데도 심지어 더 비싸.. 이런 물건은 애초에 시장에서 빠르게 퇴출됨. 시장에서 구하기도 힘들어짐. 이게 흔히 말하는 싸고 좋은 건 없다 라는 거임. 반대로 비싼게 있다는 이야기잖아. 그게 시장에서 퇴출도 안당하고 주력이라는 이야기. 그게 주력인 이유가 있다는 거다. 싸고 좋은게 있으려면 비싸고 후진게 있어야 말이 되는거잖냐.
@joongokan1264
@joongokan1264 6 ай бұрын
그사람 사기꾼 같아요
@hayu812
@hayu812 6 ай бұрын
무슨 히터를 켠다고 80km가 줄어들까요
@user-tj5lo4pg8p
@user-tj5lo4pg8p 6 ай бұрын
핸드폰 밧데리가 LFP입니까 삼성, 애플은 바보라서 리튬이온전지 씁니까
@jeil254
@jeil254 5 ай бұрын
그럼 현기가 바보입니까? 납산 배더리 쓰고 있잖아요?
@TangJJa
@TangJJa 3 ай бұрын
@@jeil254캐스퍼에 lfp쓴다그래서 검색해보다 들어온..
@fpdlsk
@fpdlsk 6 ай бұрын
어제도 전기차 택시 사고후 불탔어요.. 지금 전기차는 안전에서도 큰문제임.. 자동차를 미래를 보고 타는건가요 현재을 보고 타는거지 " 시기상조 "
@nowmad7926
@nowmad7926 6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매년 내연차 5000대 넘게 불타는 건 알고 있나요? 전기 자동차도 완벽한 상태는 아니지만 내연차에 비해서 화재 발생 수와 고장률이 극히 적은데요?
@user-ir1yi3ss8s
@user-ir1yi3ss8s 6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만 내연차 하루 13.7대 불입니다. 1년에 몇 대 안 나는 전기차 화재가 뭐가 대수라고 이리도 난리인지 원
@user-ef2fw1bq3c
@user-ef2fw1bq3c 6 ай бұрын
언론이 문제
@jeil254
@jeil254 5 ай бұрын
맞아요. 아파트,주택도 시기상조 땅굴에서 살아야 합니다
@nowmad7926
@nowmad7926 5 ай бұрын
@@jeil254 맞는 말씀! 주차장에서도 불나고 아파트도 무너지기 일보 직전인 곳도 있어서 땅굴 파고 살아야지요 아암!🤣
@jihoonjang3737
@jihoonjang3737 6 ай бұрын
전문대 교수는 믿고 걸러야죠
@user-wk4zv3bm7h
@user-wk4zv3bm7h 5 ай бұрын
이양반아 그래서 뭐 어쩌나고?? 일반인이 그런거 공부하고 차사냐??그냥 주행거리길고 이쁘고 멋지고 내주머니 사정이랑 맞으면사지
@user-xb1pz2hx6p
@user-xb1pz2hx6p 6 ай бұрын
오토기어님 응원합니다 ~!
@eurostar3017
@eurostar3017 6 ай бұрын
결국 배터리는 충전속도로 판가름 날듯 충전소가 많아도 속도가 빠르지 않으면 자연히 퇴장되겠네요
@user-le3qq9yr6l
@user-le3qq9yr6l 6 ай бұрын
그럼 KGM의 EVX 보증을 100만KM 10년으로 한건 나중에 큰 위험요소가 되는거 아닙니까?
@tedpark5011
@tedpark5011 6 ай бұрын
kgm은 미래를 바라볼만큼의 여유가 아직은 없겠죠.
@dsk1199
@dsk1199 5 ай бұрын
NCM은 0.5C기준스펙 표기 안하는것처럼 말씀하시고 NCM은 고속충방전시 데미지특성이 더 좋은것처럼 말씀하십니다 기본적인 스펙부터가 LFP쪽이 용량 등 몇가지 빼고 전기차용으로 들어맞는게 많아요 NCM이 순간적인 고방전 상황에서 잠시 버틸수는 있어도 내부저항때문에 발열이 무한히 올라갑니다 이것이 NCM들이 고속충전시 안전영역을 크게 가지고, 충전레이트도 한정적일수 밖에 없는거 아시잖아요 오히려 LFP쪽은 특별한 고방전 설계없는것도 15C/5C 대응되지만 NCM은 특별한 고방전설계로 용량이 20~30% 적어진 셀에서 조차 15C/3C 성능을 간신히 냅니다 NCM고방전셀의 수명저하도 LFP와 다를바 없거나 더 심하죠
@storysusu
@storysusu 6 ай бұрын
서정(전문)대 박철완 교수? 무슨 연구결과가 있죠? 하하하 연구결과를 보여주세요
@user-yb2od7gj2j
@user-yb2od7gj2j 12 күн бұрын
제정신? 교수? 정체가?
@user-ns2ex1zw6l
@user-ns2ex1zw6l 6 ай бұрын
1.같은 LFP배터리라도? BYD회사 CATL회사 중 어느 회사 제품이 좋은가요 그냥 LFP 배터리라 같은거라 보면 되나요? 레이 EV 테슬라 모델Y 는 CATL 토레스 BYD 맞나요? 2.니로EV 코나EV는 중국업체 배터리라도 NCM 배터리 맞나요? 궁급합니다
@RIRIRUGI
@RIRIRUGI 6 ай бұрын
1. LFP쪽에서 현시점 자동차용 제일 진일보한 배터리는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 시스템이라고들 합니다. 2. 레이EV 테슬라는 CATL 각형으로 알고있습니다. 3. 토레스 EVX는 아예 BYD의 플랫폼입니다 4. 현세대 니로 코나는 CATL NCM입니다.
@radiance_at_east
@radiance_at_east 6 ай бұрын
1. LFP는 BYD가 장인일 겁니다. 차종별 공급 업체는 말씀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유럽형 테슬라는 BYD가 들어 간다는 얘긴 있습니다만, 정확한 건 다른 분께서.... 2. 해당 차량은 중국 CATL에서 공급하는 NCM 523 입니다.
@user-dk8pf3rl4x
@user-dk8pf3rl4x 6 ай бұрын
1. CATL보단 BYD LFP가 더나음 대신 제조사공급 단가가 더쎔 테슬라, 레이 CATL LFP 토레스 BYD 블레이드배터리 2. 니로 코나 2세대 CATL NCM523 / SK NCM622쓰던 1세대보다 성능안좋아서 내구성안좋고 오히려 토크 깎여나감. MPV(택시용)인 니로플러스가 2세대가 아닌 1세대기반인게 그 이유
@kakrashini
@kakrashini 6 ай бұрын
아무리 잘만들어도 고작 LFP일뿐 입니다
@user-md1yp2zl3g
@user-md1yp2zl3g 6 ай бұрын
중국산을 믿나.. 그것도 목숨걸고 타는 자동차인더..
@kkmm9499
@kkmm9499 6 ай бұрын
출고 후 타고다니다 오늘 123km를 찍었네요 ㅎㅎ
@Psh722
@Psh722 6 ай бұрын
Lfp는 더이상 논쟁거리도 아님 거론할 가치도 없음
@nowmad7926
@nowmad7926 6 ай бұрын
박사라고 모든 분야를 다 잘 알거라는 착각을 하는 이들이 참 많습니다 과학은 끊임없이 계속 공부하고 배우는 학문입니다 과학이 워낙 숨은 고수들이 많은 분야라 함부로 떠들었다가 참교육 당하는 경우를 많이 봤기 때문에 굉장히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는 분야지요
@user-hd7bi9hf7v
@user-hd7bi9hf7v 6 ай бұрын
레이는 축제 분위기 던데요ㅋ
@user-md6ow5wi2u
@user-md6ow5wi2u 6 ай бұрын
기대보다 많이 안 팔립니다. 대박이라고 하는데 4000대 수준이죠. 그리고 레이ev 사는 사람들 상당수가 첫차라 뭐가 뭔지 잘 모르죠ㅎㅎ
@mwkim159
@mwkim159 6 ай бұрын
진실을 많이 알려주세요. 늘 응원합니다.
@user-eq8ns2el9u
@user-eq8ns2el9u 5 ай бұрын
중국지커자동차007신형 Lfp 배터리 15분충전,800k로 주행한다는데,이게사실일까여? 중국거짓말을마니해서 이것도믿음이안가네여
@user-dc7ew7xu7n
@user-dc7ew7xu7n 6 ай бұрын
폴스타 괜찮아 보이네요.
@user-jg2zj9cy9s
@user-jg2zj9cy9s 6 ай бұрын
LFP배터리가 우수하다고? 최고라고?????????????? 한글이 중국꺼고 손흥민이 중국사람이래??????????
@letsrunNjump
@letsrunNjump 6 ай бұрын
그럼 NCM이든 LFP든 그 교수님 말씀대로 뭍고 더블로 가면 되지 뭘 확인받고 싶어서 그러나요. 어차피 보고싶은 것만 보는 답정너 들인데 보고 싶은것만 보시고 베타테스터 들이나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yh4hy7yr8m
@user-yh4hy7yr8m 6 ай бұрын
배터리 문제가 아님.. 그냥 자기 형편에 사는거지.. 그냥 내가 오바할수도 있지만 배터리에 주식물린사람들이 많은가.. 인산철 배터리 괜찬지 않아 얘기하면 그냥 역적됨. 머머리아재 덕분에 이차전지 덕분에 이런 논란도 있는듯.. 그냥 지형편에 맞춰사는거지. 트럼프형 나오면 전기차 어찌될런가 궁금하네
@_sura
@_sura 6 ай бұрын
그냥 고 방전에 약하고 온도에 대한 저항도 약해서 즉 성능이 구려서 안쓰는거..
@user-ni8pd1wi4p
@user-ni8pd1wi4p 5 ай бұрын
어느교수가 개소리를ㅠㅠ
@MmMm-yg6zh
@MmMm-yg6zh 6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외쳐봅니다~!! 0 ㅋㅋ
@autogearr
@autogearr 6 ай бұрын
ㅋㅋㅋ
@ethenlee3875
@ethenlee3875 6 ай бұрын
뜰딱대면 답이없다.. 내가 뜰딱인지 돌아보는분 아니면 진짜 답없음
@dhkang8968
@dhkang8968 6 ай бұрын
ㅎㅎ ㅂㅅㄷ
@user-nu2oh6pn1d
@user-nu2oh6pn1d 6 ай бұрын
충전속도 향상의 기술적 한계가 명확해보이고 이에 종전전망과 같은 급속한 전기차 전환은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임. 이렇게 전기차 전환이 지연됨에 따라 E-Fuel 같은 또다른 대체 기술에 의해 자동차산업이 변모할 가능성이 높아졌음. 업무상 전기차 많이 운용하고 있지만, 자차로 운행하겠나? 라고 묻는다면 절대 X임.
@nowmad7926
@nowmad7926 6 ай бұрын
이퓨얼이 대체 기술이라고요????? 전세계 최고 기술과 최고로 투자를 많이 하는 포르쉐가 고작 1000억원 어치 투자를 하는데 전기 자동차와 한국산 배터리 회사가 투자하는 비용은 수십조는 아주 우습게 나가는 상황인데 이퓨얼이 대체다? 좋은 기술도 대중화가 되어야 의미가 있는 거에요 그리고 업무상 전기차? 그렇게 불편하면 내연차로 바꾸면 되지 왜 그렇게 불편함을 느끼면서 전기차를 타는지 참 궁금하네요
@user-nu2oh6pn1d
@user-nu2oh6pn1d 6 ай бұрын
@@nowmad7926 "이퓨얼 같은" 대체기술이요. 문장 속 이퓨얼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요. 더불어 제 차는 이미 내연차입니다. 업무상 보급된 차량이 전기차라 어쩔 수 없이 타는 거고요. 솔직히 너무 불편해요.
@nowmad7926
@nowmad7926 6 ай бұрын
​​​@@user-nu2oh6pn1d 지금 이퓨얼은 효율성도 바닥이고 투자도 독일이나 말로만 털어대지 전기 자동차 잘 만드는 회사들은 지금 전기 자동차에 열을 올리고 있고 앞으로 충전 속도나 효율은 더욱 좋아질 차례고요 그리고 당신 업무 때 타는 자동차가 불편하다고 모든 전기 자동차가 불편할거란 생각은 좀 내려 놓고 멀리 보면 생각이 조금은 바뀝니다
@user-nu2oh6pn1d
@user-nu2oh6pn1d 6 ай бұрын
@@nowmad7926 이퓨얼은 예시일 뿐이라고 말씀드렸는데도, 물고 늘어지는 고집이나 현재 전기차 수요 감소 추세만 봐도 여러가지를 짐작할 수 있는 것인데 누가 생각을 바꿔야 할지는 명확해 보입니다. 애당초 이동수단이라는 것이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필요한 것인데, 그 시간을 충전하는데 잡아먹고 있으면 대체 차는 사서 어따 쓴답니까??
@nowmad7926
@nowmad7926 6 ай бұрын
@@user-nu2oh6pn1d 제대로 반박도 못하고 그저 고집 부린다는 꼬라지 봐라 ㅋㅋㅋㅋㅋ 이퓨얼같은 대체가 또다른 무언가가 있는지 설명하고 의견을 제시하는 게 아니라 아몰랑 전기차 불편행! 니는 그저 고집불통이양! 이러고 있으면 참 잘도 대화하고 싶겠네요잉? 충전 속도 급할 땐 불편한 건 어느 정도는 인정하는데 현대기아나 테슬라는 기본적으로 충전 속도가 다른 브랜드보다 더 빠르고 전비도 좋아서 아주 급하지만 않으면 잘 쓸 수 있어요 업무용 싸구려 전기차나 아이오닉이나 테슬라급 자동차도 비교하면서 말을 할 생각도 안하고 그저 고집 부린다는 태도로 참 잘도 상대가 의견 받아들이겠수?
@user-hb1jb5yv8e
@user-hb1jb5yv8e 2 ай бұрын
Lfp배터리는 일상 근거리 시내주행의 저출력는 무리가 없고 충분한 가성비가 있다면 삼원계보다 사용용도에 따라서 가치가 있을것이고 삼원계배터리는 급격한 고속, 장시간의 고출력의 주행환경에서는 가치가 더 있을겁니다. 따라서 뭐가 좋은지는 주행환경에 따라서 판단이 달라지는 것이니 논쟁의 여지가 없을것 같습니다.
@user-cb9ss8do3o
@user-cb9ss8do3o 6 ай бұрын
반년전에 중국배터리랑 현기차까는 댓글다니깐 득달같에 달려오던 애들많았는데 주인장이 까니 어쩔 수 없겠지? ㅋㅋㅋㅋ
@venom1053
@venom1053 6 ай бұрын
교수는 단순한 학자가 아니라 일종의 기업같은 직종인데 모르실리가 없다고 생각이 되긴 하네요. 가령 집안 어르신중에 로봇공학 교수님이 계신데 그렇다고 ai이런쪽 모르고 그러시지 않습니다. ai도 누구보다 열심히 공부하고 계세요.. 아예 노선이 다른거 같은 자동차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지식이 있으시구요. 뭐 집안 어르신의 경우가 특이 케이스라고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말씀 들어보면 그런것도 아니구요. 최소한 이공계 끼리는 서로 만나서 이야기도 하고 지식교류도 하신다고 하셨거든요. 자동차에 대해서 전문가는 아니실지 몰라도 전기차에 대해서도 모르시진 않겠지요. 물론 진짜 배터리만 아실수도 있겠지만요. 전기차가 지금도 그렇고 미래 먹거리인데 그걸 모르면 미래를 대비할 수 없을테니 돈 벌기 위해서라도 알려고 노력을 하시겠죠;
@user-md6ow5wi2u
@user-md6ow5wi2u 6 ай бұрын
교수에 대해서 환상을 가지고 계시군요. 자기 분야 외에도 포괄적인 공부를 하시는 분은 전체 10% 정도나 될까 할겁니다. 대다수는 그냥 교수 임용 시절 지식으로 버티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ㅎㅎ 존경받을만한 교수님도 계시지만 대부분은 그냥 직업인일 뿐입니다. 참고로 자율 주행 학과 교수님을 개인적으로 아는데 자동차에 대해서는 놀라울 정도로 모르십니다ㅎㅎ
@dduunnll
@dduunnll 6 ай бұрын
하시겠죠? 결국 추측이고 희망사항이네
@user-bd8gj8xp3g
@user-bd8gj8xp3g 6 ай бұрын
결국 본인이익과 안티가 많으시군요 다좋은데 인신공격하는순간 진겁니다 팩트 논리적 이론적으로 논쟁하세요 추잡한 장사꾼으로 보여요
@venom1053
@venom1053 6 ай бұрын
@@user-bd8gj8xp3g 뭔소리 하는거임?
@altair-1726
@altair-1726 6 ай бұрын
토레스EVX 상온 433km 겨울 333km "이래도 LFP 안 된다고 할텐가?"
23:17
오토기어 autogear - 자동차에 대한 모든 정보
Рет қаралды 143 М.
Шокирующая Речь Выпускника 😳📽️@CarrolltonTexas
00:43
Глеб Рандалайнен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I Need Your Help..
00:33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160 МЛН
리튬 인산철 수명 길고 불이 안 난다? 절대로 그렇지 않습니다!
17:17
오토기어 autogear - 자동차에 대한 모든 정보
Рет қаралды 57 М.
리튬 인산철에 뒤통수 맞았다? 다급해진 K배터리?
22:55
오토기어 autogear - 자동차에 대한 모든 정보
Рет қаралды 110 М.
중국 전기차 업체 줄줄이 도산하는 이유
15:19
오토기어 autogear - 자동차에 대한 모든 정보
Рет қаралды 345 М.
극단적인 LFP 배터리 광기! 중국발은 왜 다 이 모양인가? 정상적인 게 없네!
18:52
오토기어 autogear - 자동차에 대한 모든 정보
Рет қаралды 103 М.
МОЩЩЩНОСТЬ ZEEKR 001 FR
0:46
ШОРТЫ АКАДЕМИКА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Стоит покупать Гелик? Будут ли с ним проблемы?
0:59
Автосервис Мерседес MBSEMENOV
Рет қаралды 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