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 얼마나 발전했으면 저렇게 큰게 광속보다 빨리 움직이냐 지구보다 수십억년 빌전된 과학 기술이겠다
@akirama783 ай бұрын
내가 죽기전에 실체라도 보고죽자...
@퀘이사-s4o3 ай бұрын
저 정도의 우주선을 만들 수 있는 외계인이라면 지구 정복이나 파괴는 개미 죽이는 것보다 쉽겠네.
@이제주3 ай бұрын
@@퀘이사-s4o 관심없지 않을까요?
@elanjey85543 ай бұрын
우리가 길을 가다가 개미들이 개미굴 짓는데 그걸 파괴하려고 하지는 않자나요..... 지구를 거드려 봤자 의미가 없죠.그리고 우주 법규 인가 거기에 미개한 문명의 별은 접촉금지라고 하더군요,,
@hongpund3 ай бұрын
지구처럼 문명이 아직 초기상태인 별들이 한둘일까요 그저 그런 별이라고 관심밖일듯
@천공스승-u7y3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니 갑자기 10년 전 하늘을 보고 깜짝 놀란 일이 생각 나네요. 방송에서 새벽에 유성우가 쏟아진다고 해 새벽에 일어나 북쪽 하늘을 처다보던 중 갑자기 별 하나가 서서히 ㄷ자로 움직이면서 멈추더라구요. 움직인 시간은 40초~1분 정도이고 움직인 거리는 1억 광년도 더 될 거리인 것 같았습니다. 어디에 말도 못하고 있다가 지금 영상을 보니 감회가 새롭습니다.~ㅎ
@meliorvirshaun3 ай бұрын
지구 수십 배 크기의 비행체라니.. 도무지 이해가 안되네. 어마어마한 우주의 다른 생명체들, 그들의 문명이란?
@dyd89573 ай бұрын
불과 몇백년전까지만해도 마녀사냥을하고 지구가 평평하다 거렸는데 지금은뭐 인공위성에 달탐사도 좀 보내서 100년전에 가따오고 그러니까 뭐.. 현재인류같은 문명이 옮겨다니면서 영속하고 1억년만 있었다 하더라도 그거쯤이야 우스우리듯
@아이빌리브-i4j3 ай бұрын
항상 잘 보고있어요~~ 그래나도님 감사합니다~~
@tv-ew4wx5 сағат бұрын
외로운 기적 소리에 눈물 마져 메마르고~~
@V4love3 ай бұрын
1뜽!! 영상 감사합니다~😄👍
@minlov99-wy3mq3 ай бұрын
우주의 나이는 130억년인데 가장 발전한 문명은 수십 억년은 됐을라나. 그들에게 지구란?
@해롱해롱-o7m3 ай бұрын
것도 지구인 관점임 우주나이만큼 오래된 은하도 있음 한마디로 우주나이 인간의 한계임
@CHOI-xo1ho3 ай бұрын
우주는 인간이 모르는 뭔가있어!
@nothinglife793 ай бұрын
은하철도 999
@쿡몬3 ай бұрын
오무아무아도 저런거였을라나
@구멍가게주인님3 ай бұрын
신은 없고 외계인만 있을 뿐이다
@yongrinee38833 ай бұрын
그 외계인은 누가 만들었을까요?😂😂😂
@박변-v7k3 ай бұрын
계속 거슬러 올라가다보면신의 존재를 인정할수밖에...
@effekt21553 ай бұрын
내말이.. 결국 하나의 종착지는 신임
@chalnachalang3 ай бұрын
상상 너머의 다양하고 수많은 외계인들이 다차원에 걸쳐 존재한다고 봐야죠. 모두가 다 신의 일부이고, 더 확장하면 우주 자체가 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서로가 서로의 작품을 체험하는. 기억 상실 설정 놀이도 하고.
@박균불여세합3 ай бұрын
수메르 신화 에선 아눈나키 니비루행성 외계인이 인간을 만듬.인간비스무리한 종을 외계인유전자 흙등을 첨가해서.지우수드라 방주사건을 복붙한 노아의 방주,.
@pcy95513 ай бұрын
또다른 오무아무아..
@이현상-p5h3 ай бұрын
은하철도 999인거 같다
@trustme-ee2 ай бұрын
우리도 한 몇천몇만년뒤에는 항성을 아예움직여서 우주를 여행다닐것같네요 지구라치면 지구가 그냥 우주선자체가되는거죠 그런상상해볼법하잖아요 인간은 상상한대로 발전하거든요
@경계-t8x3 ай бұрын
대단합니다
@Noname-ey6qe3 ай бұрын
참 진짜..햐..
@kingj97338 күн бұрын
초거대우주선이 광속을 초월하는 속도라면 그들의 문명단계는거의 절정일테고 저크기를 계산한다면 지구가 50개정도 들어갈 거대항성급 우주선이겠네요.
@몬스터M3 ай бұрын
제 생각도 같아서 딱 하고싶은말이였는데 시원하고 깔끔하게 해주셨네요 줌 땡긴 상태로 망원경 앞으로 뭔가 지나간것 같다는 생각이였거든요 ㅎㅎ
@다니엘-v6d3 ай бұрын
은하철도999 입니다~ 철이와 메탈이 타고 있지요^^
@seabase59083 ай бұрын
광속보다 빠르다면 물리학은 다 바꿔야 한다
@fuck18korpiganddog3 ай бұрын
광속보다 빠른게 아니라 공간이동이지 광속보다 빠른 건 없음 저건 다 웜홀같은 공간이동
@RabbitInsane-mb1xg2 ай бұрын
지구와 훨씬 가까운거리에서 움직인거일 가능성이 높지.. 그럼 광속이 아니라도 오리온성운내를 700광속으로 이동한것처럼 보일수 있고,, 크기도 거대한 우주선 정도가 될거고..
@kskim92593 ай бұрын
SF소설 아서 클라크의 "라마"에 나오는 원통형 외계우주선이 생각나네요.
@kkssY-pb5sk3 ай бұрын
놀랍네요. 저런걸 촬영하다니 대단합니다. 우린 개미입니다.
@라부찬3 ай бұрын
지금 본 그 물체가 1500광년 거리에서 있었다면 그 물체는 1500광년전의 물체인지 아니면 현 시간대의 물체인지 궁금하네요
@trustme-ee2 ай бұрын
1500광년전의 모습이죠 빛이 있어야 사물이보이잖아요 그말은 즉 빛이 1500광년걸려서 여기까지왔기때문에 저모습이 우리눈에보이는거에요 즉 그모습은 1500광년전의 모습이에요 다과거에요 만약 1500광년걸려서 우리가 저곳에 도착한다면 우리가 출발전에 봤던건없을거에요
@parkpphyoungkyu97573 ай бұрын
이미 모두 다알죠.. 우주에는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거대한 별이 태양보다 1700배 큰것도 있죠. 사람과 개미정도.. 그럼 그별의 행성은 지구보다 몇배 더 클가요? 그런곳의 중력에 익숙한 생명체라면 지구나 태양 중력 같은 것은 의미 없겠죠. 당연히 우리가 개미 쳐다 보면 신기해 하듯이 그들이 우리를 보면 신기해 할겁니다. 다른점이면 개미가 인간의 비행기 로켓을 보고 감탄하진 않겠지만 우리는 외계의 그런걸 보고 감탄 정도는 하죠.. 여담이지만 마블이나 만화의 우주 빌런과 진짜 우주 빌런은 1700배정도의 차이는 있겠죠..
@RecoveryRiderrr3 ай бұрын
어메이징😮
@종준이-i3r3 ай бұрын
초점이 오리온성운쪽이니 지구의 인공위성일 가능성이있다 길게 늘어져보이는건 카메라프레임속도가 물체속도를 못따라간것이구 초반영상보니 완쪽에도 다른 물체가 늘어져보이네
태양계내의 근접물체입니다. 초점은 먼곳을 향하고 있어도 가까운발광체가 찍힌 것이구요, 광속을 초과하는것은 찍히지 않습니다. 저도 그래나도님의 영상을 즐겨보는 사람입니다. 자체발광이 아니라 아마 목성보다 안쪽 화성궤도 인근을 스치는 반사발광체인데 그 자체도 놀라울 따름 입니다.
@LOL-lt3vn3 ай бұрын
@@대한민국-j6b 발광체라고 하기에는 그리 빛나지도 않으며, 확실히 물리적이고 각진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고로 발광체는 아닙니다
@kickass79223 ай бұрын
엄청난 것을 잡아 냈다는것이 더 대단하네.
@hyunwoo56043 ай бұрын
카메라앞 벌레라고 댓달릴때도 됬는데ㅋ 아쉽게도 초점이 오리온이라 벌레가 안찍임ㅋㅇㅋ
@예정된시간3 ай бұрын
아닙니다 벌레는 지구. 우주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디즈니-z9f3 ай бұрын
오리온 이쪽얘들이 싸가지가 없어요.. 아나진짜
@etang04253 ай бұрын
구체형 유앱이 너무 빨라서 시가형 유앱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겠지요?
@sky-hi7og3 ай бұрын
난 현 세상이 가상현실이라고본다 내 개인 생각
@茶民다민3 ай бұрын
철이와 메텔이 타고 있네~~~
@이해양-j9c3 ай бұрын
애내들 신나게 돌아 다니는 라이더 이군요 ! 좋아요 우주를 상대로 여행한다는게 이게 진자 여행이군요 ,
@core974x3 ай бұрын
은하열차999??
@titea753 ай бұрын
0:20 스타링크도 초거대 우주선이라고 해줘
@이요원-y6b3 ай бұрын
지구로부터 700광년 거리의 물체.에 함정이 있다. 적색편이가 일어나지 않는 천재의 거리를 그냥 질러버릴수 없다. 지구에서 쏘아올린 인공구조물일 가능성도 있다.
@mnjongin20443 ай бұрын
에고. 거리를 모른다는게 문제지여. 거리를 모르는데 그 물체의 속도를 어케 앎니까. 촛점은 수십미터 수킬로미터 이상이면 무한대에 맞춰지기 때문에 다 맞게 마련. 광년 거리면 촛점에 의한 거리추정이 의미 없다 봅니다.
@권태준-u2d3 ай бұрын
궤적도 보이고 겁나 빠르네
@준-u9m3 ай бұрын
지구가 문명적으로다가 어느정도 발전하는데 걸린시간이 대략 1천년전후라치고 우주나이가 대략 100억년이사이니까... 외계인이 없다치고 지구 문명이 멸망하지않고 별들을 옮겨다니면서 100억년이란시간정도가 흘렀다치면 저정도 기술은 우리도 습득 되어 있것지?? 저건 아무리봐도 100% 물체가 맞는거같은데 크기도 놀랍지만 난 제일궁금한게 저 속도일뿐... 저 비행체 안에서 저 속도를 견딜수 있는 지적생명체가 있다는게 믿어지지 않고 아마 인공지능 컴퓨터가 조종하는건 아닐까라는 ㅂ ㅅ 같은 생각을 한번 해본다.. 일요일인데 낮잠이나 더 자자 ㅡㅡ;;
@종성최2 ай бұрын
1000광속까지는 인간도 탈수있지 내가만들거니까 .
@남영환-o1n3 ай бұрын
오리온 성운보다 지구에 조금 가까운게 아니고 지구에 근접한 천체여야 그런 결과가 나올수 있지요...
@danano3 ай бұрын
빛보다 빠른 속도.,ㅎ
@asasasxx28353 ай бұрын
🚆 은하철도999가 ㅋㅋ
@포동-n6o28 күн бұрын
죽기전에 만나보고 싶네
@gameofthronesss3 ай бұрын
스타링크 같은데?
@dia-pj3om3 ай бұрын
우주 포커싱하고 있는데 지구 대기에 뭔가 지나가면 안찍힘?
@여행가자-o6m3 ай бұрын
@@dia-pj3om 엄청크고 흐릿한게 지나가겠죠 크기는 화면 꽉채울정도 아닐까요
@rush_dark17883 ай бұрын
광속보다 빠르다니 700배?
@강둔촌3 ай бұрын
광속의 700배라 만배는 되어야 우주여행할만한데
@황금알-l8j3 ай бұрын
나좀 납치 해가라 ㅠㅠ😮
@sickojara3 ай бұрын
우주이야기를 하시는 박학 다식한 박사님들은 일정수 준의 프레임안에 갇혀있어 요 왜 우주선은 금속으로만 들어진 지구식 비행선 이죠 왜 외계생명체는 인간처럼 유기체 라고 생각하죠 이 두가지 대명제 안 에서는 절대로 광속이동은 불가능 합니다
@user-vw2yc9xr6r3 ай бұрын
몇번을 봐도 저 물체 앞에 별로 가로막힌 지점을 찾을 수가 없네요. 성간 비행인지 정확하게 모르겠어요. 망원경 앞에서 찍힌 물체일지도...
@다울라기리3 ай бұрын
광속의 700배가 가능한가?
@김영훈-c7f4d3 ай бұрын
원근법을 적용하세요. 이건 말이 안되요.
@박병권-l5v3 ай бұрын
진짜 외계인들의 기술력은 도대체 어디까지 일까. 그들에 비해서 우리는 미개하구나.
@흥분기저귀3 ай бұрын
스타링크인가???
@erwinkim49053 ай бұрын
저거 카메라 앞쪽에서 지나가는 날벌레들이 저렇게 찍히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박수열-b2s3 ай бұрын
우주에서 우리만 생명 잇는 행성이 잇는 것이 아니군
@Wolf-mh9ey3 ай бұрын
광속이상 속도를 낼수 없다는데.. 아마 벌레일거임.
@jewonyeon68183 ай бұрын
초점을 오리온성운에 맞췄다고 해서, 저 물체가 오리온 성운 거리에 위치한 것이라는 가정은 무리가 있습니다. 가끔 망원경과 카메라로 달을 촬영할때 (달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해야겠지요.) 지나가는 새가 같이 촬영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흔합니다. 예시 1: kzbin.infotRxWIltqaYo ) 일반인 망원경과 카메라에 찍힌 물체의 선명도로 물체의 거리를 수백광년이라 추정하는것도 무리가 있어보입니다. 수많은 미스테리 유투브 채널중에 그래도 가장 신뢰가 가는 채널이라, 답글 답니다. 미스테리 채널로 오래 가시려면 "혹~" 하는 기사보다는 조금 더 과학적인 설명과 분석, 검증에 힘쓰셨으면 합니다.
@예정된시간3 ай бұрын
지구에 왜 피라미드가 있을까요. 나중에 우주에서 더 큰 걸 만들라는 메시지입니다
@우주인-c9g3 ай бұрын
그래서 왜 돌아 다닐까 외계에서 쫒겨났나
@올징글3 ай бұрын
어런걸 보면 정부의 장비에는 실사같은 자료가 넘치겟네
@Photoncraft3 ай бұрын
오리온좌 촬영하다보면 자주 보이는 물체들로 대부분 위성들 일거에요. 하지만 닐짜 텀을 두고 찍힌 시가형 물체는 좀 흥미롭네요.
@금성-s9f3 ай бұрын
진짜우리는 아무것도아닌 존재네ㆍ
@미스터리하니3 ай бұрын
...아무리봐도 벌레가 지나간거 같은데..;;
@김성준-p4o3 ай бұрын
ㅋㅋㅋ 주변에 작은것들은 스타링크고 저건 벌레같은거에요 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ssh7yr6tuteyii3 ай бұрын
이러니 외계지적생물체가 널 개미 만도 못하게 보지..ㅋ
@박준성-o2s3 ай бұрын
그냥 드론이라고해라 ㅉ
@맥믹커3 ай бұрын
비행체가 아니라 유성이라고 봐야죠.. 지구에서 별똥별바라볼때 엄청 빨리 지나가죠? 그게 결국 우주에서의 속도라는건데 유성의 종류가 한 두개가 아니겠죠
@LOL-lt3vn3 ай бұрын
@@맥믹커 유성은 저런 각진 형태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움. 게다가 비행체가 갈때 잔상도 생김. 고로 유성이라는건 설득력이 없음
@rlee48053 ай бұрын
아 머지
@mjoo61953 ай бұрын
물체가 아닐ㅈㅣ도
@syh74943 ай бұрын
신이란게 인간의 상상력의 산물 미개한 인간의 사고로 고도로 발달한 과학력은 미개한 인간이 봐라볼땐 신처럼 느껴질것이고 또 인간은 신을 바라지 .. 인간은 누군가가 날 지켜줄거라고 무의식으로 바란다 정신이 약한거 인간은 존재라고 본다 존재가 다른 무언가를 바라는건 혼란스럽고 아주 미약한 존재이기도하고 강할수도있는게 인간 고로 자지자신의 심신이 건강해야 다른 무언가를 바라지 않을것이다
@old4jeans3 ай бұрын
주거지 도둑 촬영 때문에 오리온성 주거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하급 문명인으로서의 추태를 삼가하고 특히 밤 시간 촬영 자제를 부탁드립니다.
@명완전전멸3 ай бұрын
외계인들는 지구행성 이 있다는 것을 모르나 본데 지구가 쪼끔해서 볼수가 없나 지구땅에 내려와 봐라 외계인아
@swyoon14183 ай бұрын
우주 자체가 빛(광범위한)인데 빛보다 빠를수가 없고 빛의 속도 근처로만 날아 갔어도 저 주변 시공간은 다 휘어져 왜곡되야 . 사진이 저렇게 찍힐수가 없음
@chichididi41243 ай бұрын
위성이네
@신상욱-c6i3 ай бұрын
ㅋㅋ 빛보다 빠른 물체라는 얘기 같은데, 빛보다 빠른 물체를 잡아내는 카메라가 존재한다라...
아마 인공위성의 일종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인공위성이 어떻게 저렇게 길쭉한 모양이냐!"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저 물체가 성운을 촬영하기 위해 노출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저 만큼의 거리를 이동한 것이라면 저렇게 찍히는 것은 부지기수로 벌어지는 일입니다. 휴대폰의 프로 모드를 켜놓고, 노출 기능을 활용하여 밤에 손전등을 휘둘러서 궤적을 만드는 것과 비슷한 이치입니다. 손전등이 궤적을 그려서 그렇게 찍혔을 뿐 실제로 손전등의 모양이 길쭉길쭉 흐물흐물하지 않듯 말입니다. 성운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정말 거대한 천문대급 망원경이 아니라면 보통 단장을 촬영하는데 적게는 10초에서 많게는 10분 이상 노출을 진행하기 때문에, 그 시간동안 인공위성이 저 자리를 움직였다면 저런 식으로 궤적이 찍히는 경우는 많습니다. 특히 오리온 대성운을 비롯하여 오리온자리 인근 영역 자체가 워낙 인공위성의 이동이 잦은 곳인지라(말머리 성운, 마녀머리 성운 등등) 실제로 망원경을 이용하여 촬영해보면 인공위성의 기다란 궤적은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아마 시가형의 물체가 지속적으로 장거리를 움직인 것이 아니라, 그저 매일매일 성운을 찍었을 뿐인데 그때마다 같은 궤도를 돌던 위성이 우연찮게 저 자리에 궤적 형태로 촬영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이상 수년간 천체사진 아마추어로 찍어온 개인 경험에서 비롯된 주관적 의견이었습니다...
@LOL-lt3vn3 ай бұрын
애초에 위성이 저렇게 각진 형태의 기다란 모양이라는건 매우 어렵고, 형체가 움직일때 잔상 같은게 남습니다. 유성은 잔상같은게 남지도 않고요. 즉, 유성, 위성으로 보기에는 매우 어렵습니다
@Bisque_fx3 ай бұрын
@@LOL-lt3vn 댓글 다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OL-lt3vn3 ай бұрын
@@Bisque_fx 다시 읽어봤습니다 저건 일단 유성이 아닙니다
@Bisque_fx3 ай бұрын
@@LOL-lt3vn 네 일단 유성은 아닙니다. 잔상이 남지 않는다는 말이 정확히 무슨 말씀인지는 모르겠지만 유성이 저런 식으로 계속 같은 궤적을 반복해서 남기긴 어렵습니다. 위성으로 추측된다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