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대 지구가 리셋했다는 증거(핵전쟁의 흔적..?)

  Рет қаралды 1,328,966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오늘은 유라시아 고고학자 강인욱 교수님을 모시고 미스터리한 초고대문명 인더스 문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0:32 고고학자가 보는 지구 리셋설
01:11 이집트도 놀란 인더스 문명
04:31 핵폭탄으로 소멸한 인더스 문명
08:43 인더스 문명이 하루아침에 사라진 이유
16:17 인더스 문명이 남긴 미스터리한 기록들
17:18 고고학자가 고대 문명을 계속 찾는 이유
📖 강인욱 교수님의 저서
[세상 모든 것의 기원]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
yes24 - www.yes24.com/Product/Goods/1...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역사#문명

Пікірлер: 807
@barista_kr
@barista_kr 2 ай бұрын
역사학자는 돈을 버는 직업도, 몸이 편한직업도 아니다 단지 여러분들이 읽는 역사책 한 줄을 바꾸기 위해 수십명의 학자들이 수십년을 연구하는, 조용하고 느리지만 열정적인 직업이다... 한 번도 생각해본 적 없는 사고였는데 뭔가 경종을 울리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ok4il6yh7l
@user-ok4il6yh7l 2 ай бұрын
환빠들 다 잡아넣어야합니다
@user-fr8xm6om7y
@user-fr8xm6om7y 2 ай бұрын
맞네요. 오히려 이상한 사람으로 낙인 찍혀 버립니다. 감악산이 5곳이있는줄도 모르는 분들이 많죠. 유물이 있어도 돌이니알아주지도 않고...
@user-qo2ih6co3b
@user-qo2ih6co3b Ай бұрын
경종을 울리다 잘못이나 위험을 미리 경계하여 주의를 환기시키다. 어떻게 뭔가 경종을 울렸나유?
@user-cw4vl6br6h
@user-cw4vl6br6h Ай бұрын
18:15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문제는 이상한 신념을 가지고 그걸 끼워 맞추고자 하는 이들이 종종 있던... 개인적으로 정사보다 야사나 흥미위주 역사를 좋아하는 편이라 과거 15년전 자칭(확인해보지 못해) 사학과 대학원생이라는 분과 이야기 나눠본 적 있는데 일본서기가 역사서라느니 하면서 약간 일제시대 식민사관에 절여져 있는것 같기에 중국쪽에서 출토되는 백제유물을 근거로 대륙백제설로 낚아봤음. 단순유물만으로 실질점유였는지 교류였는지 알 수 없다는 말에 그렇다면 우리가 그 시대에 살아본것이 아니니 트로이전쟁과 같이 아직은 충분히 근거가 부족하지만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연구하다보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 거 아니냐고 말하자마자 절대 그럴리 없고 절 무슨 국뽕에 미친사람취급하더군요. 그 뒤로 연락된적 없고 이미 오랜 시간이 지나 생각해보면 지금쯤 그 사람은 어찌지내고 있을지 한번씩 궁금하기도 하고 그렇게 사학계에서 여전히 그렇게 식민사관의 명맥이 이어져 나가는거 같아 씁쓸하기도 하더군요.
@user-zr4bn6im4q
@user-zr4bn6im4q Ай бұрын
좌파역사가는 힘들지 않게 선동하는 직업 그리고 왜곡역사로ㅜ먹고 살지
@Oddeye96
@Oddeye96 2 ай бұрын
난 진짜 고고학자분들은 특히 더 존경함. 지식도 필요하고 육체적노동도 필요하면서 세심한 후작업, 그 후 또 발굴한것을 토대로 연구하고 논문내고... 대부분 고고학자들은 적은 지원금으로 근근히 활동하신다 들었습니다. 거기서 눈에띄는 논문이 많아지면 거의 말년되서야 교수직달고 책나오고... 단순 기회비용적인 측면에선 진짜 학구열과 호기심이 없다면 존재할 수 없는 직종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누군가는 해야하고 유지해야한다는것은 동의합니다.
@user-er3oe1ew5w
@user-er3oe1ew5w 2 ай бұрын
예전엔 간첩신고 들어간 적도 있다지요...
@user-nj5rz8cr3r
@user-nj5rz8cr3r Ай бұрын
그래서 상당한 부자여야만 할 수 있는 직업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지원되는 돈이 없기 때문에 세계를 돌아다니고 굴착작업 복원작업 이송작업등
@junhjcl-2843
@junhjcl-2843 Ай бұрын
근근이
@user-cy6cs8kl8i
@user-cy6cs8kl8i Ай бұрын
그래서 국가지윈이 필요한데 한국은😢😢
@daylight5531
@daylight5531 2 ай бұрын
역시 교수님이에요. 유튜브에서 이런 저런 영상 보는데, 작가, 기자 많지만 역시 공부가 업이신 교수님들이 제일 통찰력이 깊으시고 넓고 길게 보심.
@wordianlee
@wordianlee Ай бұрын
😊ㅔ😊ㅣ
@wordianlee
@wordianlee Ай бұрын
00😊😊⁰😊😊⁰😊😊⁰😊😊⁰ㅖㅖㅔㅔㅖㅖ😊😊😊😊
@bavan4744
@bavan4744 Ай бұрын
과거에는 이 정도 깊이가 없으면 남들 앞에서 특정 주제에 대해 왈가왈부할 수도 없었음. 유튜브니까 별 그지깽깽이 같은 놈들도 출처불명의 어설픈 지식썰을 풀 수 있는거죠.
@yj_jj
@yj_jj Ай бұрын
정말 재미있고 유익해요. 설명을 너무 잘하셔서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benjamink8473
@benjamink8473 Ай бұрын
순수학문 하시는 분들이 진짜 존경스러움 유퀴즈에서도 나온 표현 중 망망대해에서 자맥질하는 기분이 진짜 정확한 듯 요즘 의대열풍에서 느끼는건 누군가 이미 간 길을 전력질주로 따라가는 것도 물론 어렵지만 인류 최전방에서 순수학문을 한다는건 없던 길을 개척해나가는 느낌이랄까.. 단 한번의 성공을 위해 수천수만수십만번의 실패를 감내해야하는 그런 직업인거 같아서 정말 존경합니다 한국사회는 주입식 교육으로 의대 법대 딱 하나찍어서 성공하는걸로 아는 그런 저질스런 인식이 바뀌었으면 하네요 저마다의 호기심으로 인생을 개척해나가는 그런 문화가 자리잡혔으면 합니다
@nanajun-pt9cc
@nanajun-pt9cc Ай бұрын
님과 같은 분들이 선각자이고 이러한 소수의 선각자들이 역사를 움직이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중은 결코 알지못합니다.
@user-xe9jt7xm5s
@user-xe9jt7xm5s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돈이 되냐 안되냐가 1순위가 되어버린 국제사회가 되버린거 같아 안타깝습니다
@user-xd3xy7py5e
@user-xd3xy7py5e Ай бұрын
순수학문은 돈이 안돼서 국가차원에서 지원을 해야 되는데 우리나라는 진보보수를 떠나서 순수학문에 투자를 너무 안함 당장 눈앞에 숫자로 나타나 않는곳에는 투자를 안함 당장 일본 중국만 해도 순수과학이나 역사학계에 지원하는 돈이 상상을 초월함 첨단기술이 무기라면 순수학문은 방패고 방어구임 지금 중국이 기초과학에서는 이미 10년전에 한국을 아득히 넘어섰고 역사왜곡에 동원되는 역사학자 수는 거의 백만 단위임 우리나라 역사전공자들 전체를 합친것보다 몇배가 많습니다 정치인들 진짜 정신 차리고 지금이라도 기초학문에 투자하지 않으면 맨날 죽쒀서 개주는것만 하다 나라 망하는 겁니다
@user-br5dr2kt6v
@user-br5dr2kt6v Ай бұрын
역사를보다 교수님들 중에 이분이 제일 좋아요!!! 차분하게 자세히 잘 설명해주셔서 귀에 쏙쏙 들어와요 설명 감사합니다!
@annabelle7123
@annabelle7123 2 ай бұрын
고고학도 그렇고 인터넷 설을 믿으면 안된다는거, 레퍼런스 체크, 크로스체킹! 중요한 포인트네요 😮 영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ytking6427
@ytking6427 29 күн бұрын
정말 좋은 내용입니다
@ssoongi6295
@ssoongi6295 2 ай бұрын
강인욱 교수님.. 정말 최고입니다 . 이번편 정말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 인더스 문명에 대해 가장 최신의 자료로 제머리를 업데이트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user-uk2ol4od5r
@user-uk2ol4od5r Ай бұрын
사학과신가요?
@hohoppa
@hohoppa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ginalee7384
@ginalee7384 Ай бұрын
고고학 정말 좋아하는데 오늘 강의 좋아요. 감사합니다
@nakun572
@nakun572 2 ай бұрын
마지막 말씀이 많이 와닿네요. 잘 봤습니다.
@heewonkim5156
@heewonkim5156 2 ай бұрын
정말 강의를 잘하십니다..아니 가르침과 울림이 있는 유익한 수업 감사드립니다. 자주 뵀으면 좋겠어요!❤
@gl6750
@gl6750 2 ай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마지막에 정말 멋진 말씀이네요.
@user-lc4gv4zc3k
@user-lc4gv4zc3k Ай бұрын
오늘 인더스문명에대한 설명은 참 좋았습니나. 인터넷에 떠도는, (검증되지 아니한) 유튜브 썰들에 빠져있던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내용들 입니다. 잘못 알고 있던 것들에서 벗어날 수 있군요
@user-qs1mz3ef1i
@user-qs1mz3ef1i Ай бұрын
훌륭한 내용입니다. 인더스문명, 말만 들어왔는데 이것저것 봐야겠네요..
@nanajun-pt9cc
@nanajun-pt9cc Ай бұрын
이런 교수님같은 분이 더 많이 계셨더라면 더 열심히 공부했을것같다.진짜 학자로서뿐 아니라 가르치는 스킬도 대단!!!귀에 쏙쏙!!^^
@Username34857
@Username34857 Ай бұрын
재밌게. 들었습니다. 구독합니다
@cyruskiwooklee7058
@cyruskiwooklee7058 Ай бұрын
It was really meaningful presentation. Thanks to you doctor!!!
@user-nx3bg8cq2l
@user-nx3bg8cq2l 23 күн бұрын
선생님 재미있게 잘 듣고갑니다 역사에대한 자세와 꿈을 계속 짊어지고 가시는것이 정말 멋있습니다 응원하겠습니다!!
@shan721
@shan721 2 ай бұрын
세계사에서 이상한 일이 일어났을 경우 영국을 찍으면 대충 맞는다.
@user-zq1yn4cw4i
@user-zq1yn4cw4i 2 ай бұрын
차선책으로 프랑스~
@user-kv9iv3o
@user-kv9iv3o 2 ай бұрын
유럽이라고 하자
@user-fr8xm6om7y
@user-fr8xm6om7y 2 ай бұрын
맞아요. ㅎ 영국이 역사를 새로 만드는데 배후에 이스라엘이 또 있어요. 아브라함을 띄우기위해 그 앞 역사를 지워온거죠. 영국은 차마 못들어오고 거문도에 있다가 도로 가버렸는데 일본을 앞세워 역사를 찾으려 한겁니다. 달의신 단군이 통치하던 방법인 기후변화 원리 였죠. 세상 누구도 못 찾도록 숨겨 놓은겁니다. 때가되면 한반도 후손이 찾을거라고...
@user-fr8xm6om7y
@user-fr8xm6om7y 2 ай бұрын
환국을 한반도와 주변으로 보기에 역사가 축소된겁니다. 환은 고리처럼생긴 모든 땅 즉 지구입니다. 북반구가 바이칼시대는 육지고 남반구는 바다였어요. 이걸 모르고는 상고사가 유사사학 이라 할수밖에 없죠. 음양 오행이 기후변화 이론 이었다는것을 아는 사람도 없고... 그러니 환단고기를 역사가 아니라 하는겁니다.
@user-dy2me8kk5c
@user-dy2me8kk5c 2 ай бұрын
​@@user-fr8xm6om7y혹시 핀환대전과 공룡오적은 진실인가요?
@semtlove
@semtlove 27 күн бұрын
기대 안 하고 봤다가 좋은 내용이네요.
@jeans8065
@jeans8065 2 ай бұрын
완전 흥미로워요!
@JunHoY7032
@JunHoY7032 Ай бұрын
얼마전에 김진명 소설 중에 '풍수전쟁' 떠오르네요. 풍수전쟁 읽고 이 사람이 꽁트하나 싶었습니다. 교수님 논리적인 말씀 감사합니다.
@user-no4up6te3l
@user-no4up6te3l Ай бұрын
픽션 넌픽션 구분좀
@allen-kt3mz
@allen-kt3mz 2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 교수님:)
@JK-bm6im
@JK-bm6im 2 ай бұрын
이보다 더 교육적인 채널이 또 어디에 있을까
@user-le1my6zo2y
@user-le1my6zo2y 2 ай бұрын
지즐냥!
@user-pl4ti5kp9i
@user-pl4ti5kp9i 18 күн бұрын
유익한 말씀 감사합니다
@goodensal6384
@goodensal6384 2 ай бұрын
재밌어요 또 해주세요❤
@user-zo8ts1hg4y
@user-zo8ts1hg4y Ай бұрын
멋진열정이에요 교양으로들었던 역사수업 교수님도 비슷한말씀을하셨었는데
@hihappy82
@hihappy82 2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입니다 합리적인 해석입니다
@ImperatorDDragon
@ImperatorDDragon 2 ай бұрын
강교수님 덕분에 고고학이 재밌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unjenacheoreum
@unjenacheoreum 4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user-rb2yu1ch8x
@user-rb2yu1ch8x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yscho0512
@yscho0512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역사에 대해 다시 한번 고민해 보게 되네요.
@Dr.-Sapiensology
@Dr.-Sapiensology 2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봤네요
@user-kw5qt1te7w
@user-kw5qt1te7w Ай бұрын
믿고 보는 강인욱 교수님..... 앞으로도 많이 출연해서 많이 알려주세요
@audrey-rk8yp
@audrey-rk8yp 11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너무좋아요❤
@user-qu6oe5gi5z
@user-qu6oe5gi5z Ай бұрын
아 이제 확 이해가 가고 궁금증이 풀리는듯 합니다
@mingtube8470
@mingtube8470 2 ай бұрын
와!! 끝까지 완전 집중하면서 시청했습니다. 마지막 고고학자에 대한 말씀 또한 감동이네요!! 자주 뵈었으면 좋겠습니다!!
@nanyoungkim444
@nanyoungkim444 2 ай бұрын
진심으로 고고학 분야에 일하시는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역사책 한 줄을 바꾸기 위한 노력이라니... 모든 학문이 그러하겠지만, 역사와 과학 분야는 과거의 지식에 대한 포기와 변화를 위해 용감한 결단을 내려야 할 때가 있는 거 같아요.
@nangmanpilgaek
@nangmanpilgaek 2 ай бұрын
어린 시절 흥미롭게 읽었던 고고학 미스테리를 냉정하게 깨부수는 교수님.... 😂😂😂 판타지가 깨져서 마음이 아프지만... 그 대신 고급 정보를 알게 되어 기쁩니다. 유식해진 느낌? ㅎㅎ 😆😆😆 감사합니다!
@bhh7698
@bhh7698 2 ай бұрын
교수님 너무 좋아
@windofsilence378
@windofsilence378 Ай бұрын
가장 이상적인 연구하는 방식과 자세를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cx1nf8xc9d
@user-cx1nf8xc9d 2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역사를 좋아하지만 제대로 배우지 않으면 알 수 없는 부분까지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너무나 존경합니다~
@user-sn7ux9zr2b
@user-sn7ux9zr2b 2 ай бұрын
존경받는직업을가지신교수님존경합니다
@Sarang-hm3fr
@Sarang-hm3fr Ай бұрын
많이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user-wd2fd1yv3z
@user-wd2fd1yv3z 2 ай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습니다.
@daniellab1928
@daniellab1928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꿈이 꼭 이루어지기를 기원합니다. 저도 우리의 기원을 알고 싶습니다.
@chichi-video
@chichi-video 2 ай бұрын
고대의 문명은 모르는 부분에서 상상력이 더해져서 판타지가 되고 그걸 믿는 사람도 생기는거 같네요 ㅎㅎㅎ
@andy8761
@andy8761 2 ай бұрын
저도 어릴때 모헨조다로 유적, 인더스문명에 대해 여러 매체로 봤을때 아리아인에 의해 멸망, 또 베다의 표현이 핵전쟁 묘사라는 내용을 상당히 신빙성 있다 생각했는데 그냥 설이었군요, 좀 더 객관화된 연구가 필요하군요, 😂
@iml3075
@iml3075 2 ай бұрын
과학을 보다 역사를 보다에서 이런 주제를 이과 문과 교수님들이 같이 토론해보는걸 보고싶다
@DrKeith895
@DrKeith895 29 күн бұрын
너무 멋지시다..
@user-ok6wv8nc7e
@user-ok6wv8nc7e 2 ай бұрын
진짜 멋쟁이세요
@kmh624
@kmh624 2 ай бұрын
보다 보면서 느끼는거지만 똑똑한 사람들은 본인의 생각을 말이라는 방법으로 정말 잘 표현하는거 같음. 진짜 이해가 쏙쏙됨
@ccc4142
@ccc4142 2 ай бұрын
똑똑한 사람이라는 건 무엇인가? 똑똑한 사람은 말을 무조건 잘하는가?
@user-gp5zn2xb9u
@user-gp5zn2xb9u 2 ай бұрын
@@ccc4142 말이라기보다 표현을 잘하는거겠죠? 그러니 결과가 항상 있으니까요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2 ай бұрын
​@@ccc4142너는 사람인가?
@user-dq9xk6rc3s
@user-dq9xk6rc3s 2 ай бұрын
​@@ccc4142똑똑한사람을 보면 지식도 그렇고 이타심도 높음. 이타심을 가지는것도 머리가 좋지 않으면 안되는거죠. 왜냐면 상대방에게 이해를 시킨다는건 그만큼 생각자체를 많이 해야 한단 소리니까. 생각을 안하는 요즘 애들보면 아무리 얘기해도 이해를 안하겠지만..
@dohmygoodness
@dohmygoodness 2 ай бұрын
교수님, 보다, 항상 감사함미다!!
@hori_day
@hori_day 2 ай бұрын
인도스 문명에 대해 잘 몰랐는데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더 많은 미스테리들이 풀리기를 바라며 좋아요 꾸욱❤
@user-hu4sj5zd1i
@user-hu4sj5zd1i Ай бұрын
@cloudsong3452
@cloudsong3452 Ай бұрын
고고학이 갖는 한줄. 알겠네요. 인더스문명 실종. 재밌는 가설들이 있었군요. 질좋은 인문이었습니다.
@user-jo2cd7nz2x
@user-jo2cd7nz2x Ай бұрын
전쟁이 무서운 시대에는 전쟁으로 멸망했다고 하고, 기후변화가 무서운 시대에는 기후변화로 멸망했다고 하고.. 그냥 시대 상황에 맞게.바뀌는게.그냥 모른다가.맞겠네요😊
@user-pw2ht5kz8i
@user-pw2ht5kz8i 2 ай бұрын
와~ 재미 있는 고고학 이야기 이네요^^ 좋아요가 하나 밖에 없어서 아쉽네요 앞으로 재미있는 고고학 이야기 더 부탁드립니다~ ^^
@user-cl4ni1ct7j
@user-cl4ni1ct7j 2 ай бұрын
고고학자들 멋지네요 한줄을 바꾸기 위해 인생을 바치는분들.
@kephas7772
@kephas7772 2 ай бұрын
강인욱 교수님과 같은 시기에 고교시절 학력고사시 선택 과목 중 하나였던 세계사 시간에 배울 땐 인도의 드라비다족을 침입한 아리아인들이라고 했던게 생각남...역시 역사공부도 계속해서 새롭게 해석하고 용어도 달라지는 것이 있으므로 알아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옛날 달달 외웠던 정규과목 25점짜리 국사의 '중원고구려비'가 익숙한데, 요즘 공식 명칭은 '충주고구려비'나 '충주고려비'(장수왕때부터는 대내외적으로 고려라 했기에)라 하더라는...
@gluttony_
@gluttony_ 2 ай бұрын
충주의 고대 명칭이 중원이었다고 들은 거 같아요
@ssari-zm6yu
@ssari-zm6yu Ай бұрын
전에 교수님 책 읽고 유라시아사에 흥미가 많이 생겼습니다. 교수님 이름과 얼굴이 매칭이 안되다 보니 보다에 나오셔도 시큰둥했네요. ㅋ 카스트제도, 아리아인이 또 영국과 연결되는군요.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GREENCODI
@GREENCODI Ай бұрын
와우 대단하군요~~ 현재 문명도 어느날 그렇게 될 수도 있군요~
@good5402
@good5402 Ай бұрын
고고학에 대한 조심스럽고 신중한 접근, 정말 좋습니다 흥미 위주보다 기원을 밝히는 것이 제가 지향하는 바입니다
@healtheworld8564
@healtheworld8564 2 ай бұрын
4:59 공교롭게도 핵폭탄의 아버지인 오펜하이머 박사가 마하바라타의 일부인 바가바드기타를 좋아했고 그 유명한 '나는 죽음이요, 세계의 파괴자가 되었다.'라는 대사가 그 경전의 한 구절이죠
@FuwaSakii
@FuwaSakii Ай бұрын
진짜 멋지시다
@surfjack2
@surfjack2 2 ай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shlee2873
@shlee2873 Ай бұрын
박수~~~드립니다
@seankimde
@seankimde 2 ай бұрын
내가 읽는 그 텍스트 한 줄에 몇 명의 인생과 꿈이 녹아들어있었던 걸지 생각해봅니다.
@user-zp6ng6lo4j
@user-zp6ng6lo4j 2 ай бұрын
최고 !
@pscar9208
@pscar9208 2 ай бұрын
사이비과학뿐만 아니라 사이비역사, 사이비고고학에서 파생된 잘못된 인식 경계해야 한다는 메시지 꾸준히 각인시켜주는 보다 영상들 응원합니다!
@user-be3zs7jn1j
@user-be3zs7jn1j Ай бұрын
고고학은 증명안되면 다 사이빕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배척해도 안되는게 또 고고학입니다. 설에서 파생되어 증명된것도 많으니깐요 트로이가 그랬으니깐요. 증명안된 많은 설들은 그런게 있구나로 인식하고 열린사고로 봐야 될것같습니다.
@C_Aat
@C_Aat 2 ай бұрын
자기가 이해못하면 상대방에게 책임을 떠넘기는게 아니라 자기수준을 의심해봐야합니다
@user-ni8qv2no1k
@user-ni8qv2no1k Ай бұрын
좋은말씀 오래기억되겠네요 책한줄을 바꾸기위한 노력 인더스문자는 상업인들의 문자이니 각기다른문자가 아니었을까요 문자는 보통 하나의 문자일거라고 생각하고 공통점을 찾는게 시작일텐데 각자 다른출신들이라서 출신에 따라 각자 다른 문자를 썼다면요
@jaehonglee2017
@jaehonglee2017 2 ай бұрын
어쩌면 카르다쇼프척도 1단계를 넘거나 외계행성 테라포밍을 시도하기 전에 우리 문명 역시 멸망할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매우 좋은 강의이셨습니다.
@user-mt1cv1bm2r
@user-mt1cv1bm2r 2 ай бұрын
교수님 최고에요!
@DavidKim-rs3fp
@DavidKim-rs3fp 2 ай бұрын
고고학은 발경된 유물을 근거로 연구 하는 학문이니 보다 많은 유물이 발견 된다면 바뀔수도 있겠죠.
@user-kt2ci4vh7p
@user-kt2ci4vh7p 6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tr2xx6pn9d
@user-tr2xx6pn9d 2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fo6nk6yz1e
@user-fo6nk6yz1e Ай бұрын
고고학자는 힘든연구직이라는걸 알았습니다 잘들었습니다
@action4710
@action4710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j.svaraba9193
@j.svaraba9193 2 ай бұрын
고고학 포에버~~ 고고학 천세 만세 만만세~~
@user-sc1kw9lv5d
@user-sc1kw9lv5d 2 ай бұрын
승자가 쓰는 역사는 일단 의심해봐야 하고 지형이 바뀌는게 쉽게 상상이 안되지만 당장 한강 상류만 봐도 한 해 사이에 섬이 생겼다 없어졌다 하기도 하니...
@user-sp3vb7tk8r
@user-sp3vb7tk8r Ай бұрын
중세시대때도 공산주의 민주주의가 갈라진지가 오래되서 뻘갱이들이 앞도한 시대가 되어 우리모두 내자신이라도 민주주의라도 챙깁시다
@yjp-xl9ue
@yjp-xl9ue Ай бұрын
4대문명은 중국학자가 중국문명을 띄우기 위해 황하를 억지스럽게 껴 넣어 만든 용어라 동아시아쪽만 잠시 쓰였지만 이제는 쓰지 않습니다 이거 학교서 배운 분들은 최소40대ㅠㅠ
@RM-ji1cy
@RM-ji1cy 2 ай бұрын
고고학자는 다들 품고사는 꿈이있다..! 낭만적이네유
@user-ug8se2hb5w
@user-ug8se2hb5w Ай бұрын
가봉에있는 20억년전 원자로에대한 내용도 다루어주시면 좋겠네요 ㅎㅎ
@user-yk3tr7zf9i
@user-yk3tr7zf9i Ай бұрын
역시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군요..
@user-nw5uc7ll3q
@user-nw5uc7ll3q 2 ай бұрын
좋은영상
@giunion
@giunion Ай бұрын
감동이네요 잘 들었습니다
@kilee2861
@kilee2861 2 ай бұрын
고고학자화이팅🎉
@HyungsupYoon
@HyungsupYoon Ай бұрын
그렇다면 인더스 문명의 멸망은 기후설이 있는데, 가뭄, 홍수, 이상 기후 중 어떤 것이 더 가까울까요? 지질학적으로 연구가 가능할 것같은데. 좀 더 가능성이 많은 것을 얄려주시면 좋겠습니다. 멋진 강의 감사합니다. ~
@simonlee8154
@simonlee8154 Ай бұрын
고고학을 연구하진 않지만 중앙 아메리카 마야문명 전 문명이 어마어마한 도시를 개척했었는데 나무가 건물위에 자랄정도로 흙으로 다 덮어져있었고 도시인구가 다 사라져서 기후변화와 병을 예로 이야기하는데...같은 이유가 아닐런지요... 만약에 기후문제였다면 여러문명을 휩쓴 대기근은 정말 무서운것이네요.
@user-un8pn9oo4p
@user-un8pn9oo4p 2 ай бұрын
요샌 소설을 현실로 믿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보여서 참 걱정임.. 역사를 어디 인터넷 사이트만 보고 판단한다던가 그냥 반발심 원툴로 기존의 연구는 다 무시해버리는 무지함을 자랑한다던가
@user-uq5ie2ve2g
@user-uq5ie2ve2g 2 ай бұрын
내주위엔 역사를 드라마로 배우는 사람도 있어서 대화가 전혀안되여😂😂😂
@jeiw5705
@jeiw5705 2 ай бұрын
한국영화로만 배우는 사람도 많습니다. 특히 지난 20여년 동안.
@user-tp3pz5ck8b
@user-tp3pz5ck8b 2 ай бұрын
국회의원 중에서도 환빠들 수두룩함
@user-ok4il6yh7l
@user-ok4il6yh7l 2 ай бұрын
도올같은 사람만 봐도 얼마나 유사역사학자들이 많은지😂😂😂
@sunbisoo
@sunbisoo Ай бұрын
한번 생각해봅시다. 우리 아버지있었죠? 분명 역사죠? 우리 아버지의 아버지있었죠? 분명 역사죠. 그럼 이렇게 계속 올라가면 이게 역사일까요 신화일까요? 이러한 역사의 시작을 기록한 민족은 유대인과 우리 한민족입니다. 이런 시원에 대한 깊은 통찰이 지금의 우리를 만든겁니다.
@user-er3oe1ew5w
@user-er3oe1ew5w 2 ай бұрын
인다아나 존스 보고 왔다는 대답한 학생도 있었습니다. 교수님이 얘기하셨지요. 면접시험서 그러는데 당황하셨대요.
@user-SabaPing
@user-SabaPing Ай бұрын
핵폭탄을 제대로 사용할려면 폭격기나 icbm과 같은 것들이 필요한 데 만약 그 당시에 그걸 개발할 기술이 있는 수준의 문명이였으면 진작에 세계 정복하고도 남았겠지
@Rmi-nyangnyang
@Rmi-nyangnyang 2 ай бұрын
꿈을 향해 달린다는 말을 실천하고 계신 교수님, 존경합니다.
@user-rb1tz2id1p
@user-rb1tz2id1p 2 ай бұрын
1분전 귀하다
@seabase5908
@seabase5908 Ай бұрын
이분은 찐이다
@user-nl3ie5cx4j
@user-nl3ie5cx4j Ай бұрын
3:00 고조선이나 고구려 때 구슬이 많이 발견되며 금보다 구슬을 좋아했다던 이야기가 있던데 인더스문명과 고조선과 연관이 있을까요? 고구려 때는 인도로 불교유학 갔다는 이야기가 경전에 있더라고요.
@s_goo3099
@s_goo3099 2 ай бұрын
선생님 체널은 없으신지? ❤❤
@user-rs7dg3fn8s
@user-rs7dg3fn8s Ай бұрын
교수님 목소리 톤이 너무 좋아서 집중이 잘되네요. 시옷발음은..귀여우심ㅋㅋㅋ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6 СЕРИЯ
21:5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506 М.
Black Magic 🪄 by Petkit Pura Max #cat #cats
00:38
Sonyakisa8 TT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100😭🎉 #thankyou
00:28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
Мама оставила меня в машине одну
0:26
Даша Боровик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She’s Giving Birth in Class…?
0:21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игрушка)
0:3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Thử Thách Uống Nước Kinh Dị #shorts
0:53
Triệu Khải Duy Vlog
Рет қаралды 5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