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useok Special Lecture for Those Who Want to Draw Hanbok (feat. Hyang Ah Chi)

  Рет қаралды 437,973

Macciatto

Macciatto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294
@macciatto
@macciatto Жыл бұрын
풀버젼 다시보기 : kzbin.infoUKHkkXk7eLE?si=WB-dtkdHiMi0qnCi
@LSEO0815
@LSEO0815 Жыл бұрын
28:03 고증을 다음 창작을 위한 튼튼한 디딤돌로 여기면 든든한 아군이 돼준다는 거 정말 너무 멋지고 감동적인 말이네요
@prettyworld4719
@prettyworld4719 Жыл бұрын
4:10 '견마기'가 아니라 '곁마기'입니다. 견마기도 없는 단어는 아니지만 대감님께서 말씀하신 부분은 '곁마기'입니다. 곁마기: 저고리 겨드랑이 안쪽에 자줏빛으로 댄 헝겊. (출처: 표준어국어대사전) 견마기: 예를 갖추기 위해 저고리 위에 덧입는 저고리. (출처: 우리말샘)
@been_river
@been_river 11 ай бұрын
오옹
@초뭄-l7e
@초뭄-l7e 11 ай бұрын
같은 발음으로 인한 작은 오류가 일어난듯
@kael1731_kms
@kael1731_kms 10 ай бұрын
곁마기> 겯마기(음절 끝소리 규칙) > 견마기(비음동화)
@junne2000
@junne2000 Жыл бұрын
진짜 향아치님 어디 교수나 대학원 다니면서 취미로 제2의 삶을 살고 있는게 아닌가... 싶을 정도의 지식 ㄷㄷㄷㄷ
@루루애오-t3e
@루루애오-t3e Жыл бұрын
향아치님 실물 존잘남이셔요..
@Maru13460
@Maru13460 Жыл бұрын
​@@루루애오-t3e그야말로 알파메일의 현신..
@마루-x8r
@마루-x8r Жыл бұрын
@@루루애오-t3e어디어디 ㄷ도댜체어디서보는겁니까
@drawkcab
@drawkcab Жыл бұрын
@@루루애오-t3e 어디서봄?
@잎-j9n
@잎-j9n Жыл бұрын
@@루루애오-t3e 헛소리 ㄴ
@정보없음-d3x
@정보없음-d3x Жыл бұрын
참고로 기모노를 많이 그리시다보니 한복의 깃을 넉넉하게 잡아서 그리시는 분이 많은데, 넉넉하게 그리시면 안되옵고 딱 맞게 뒷목을 감추어야 합니다. 그것만 조심하셔도 한복맵세가 나니 기억해주십쇼
@eddk6987
@eddk6987 Жыл бұрын
대감님 여기서 뵈옵자니 한층 더 캐릭터 내세운 ebs강사 같습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abuzark92
@Sabuzark92 Жыл бұрын
고증은 창작을 막는다 라고 가르치는 학원이 정말 많은데, 그에 반 하는 정말 좋은 말이네요...
@scottinmessyworld
@scottinmessyworld 11 ай бұрын
고증없는 창작은 사실상 왜곡이지
@deadline2827
@deadline2827 3 ай бұрын
좋은 말이에요 그걸 빌미로 정말 왜곡을 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daydream.X0
@daydream.X0 Жыл бұрын
정말 상상도 못한 조합이었는데 의외로 잘 어울리고 몰랐던 부분을 새롭게 깨달을 수 있는 영상인것 같아요! 생각보다 전문적인 설명이 많아서 그림을 그리지 않아도 재밌게 볼 수 있는 영상인 것 같네요!
@cdy1234
@cdy1234 Жыл бұрын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아닌데도 정말 유익하게 보고 갑니다. 향아치님 게임하면서 당하시는(?) 역할로만 많이 뵈었는데 정말 지식이 풍부하신 분이셨네요.. 교양 넘치는 강의 감사드립니다.
@technocracy90
@technocracy90 Жыл бұрын
내가 과거시험을 노름쳐서 붙을 줄 아느냐 이놈아! - 향아치
@시루인데여_7645
@시루인데여_7645 11 ай бұрын
@@technocracy90부계정인가? 진짜 향대감님 말툰데?
@7ob1gj5h
@7ob1gj5h Жыл бұрын
눈치보는 사치
@julyrain7
@julyrain7 8 ай бұрын
저장해놓고 다시보기위한 타임스탬프 2:10 - 여자 치마 저고리 5:14 - 반회장/삼회장 저고리 6:55 - 남자 한복 (도포) 8:20 - 남자 한복 (두루마기) 10:33 - 겉옷과 속옷의 색조화 12:34 - 깃 13:03 - 소매/배래 14:58 - 고름 겉감/안감 19:20 - 신발 화,혜 20:00 - 한복 속옷 23:00 - 남자한복은 깃이랑 옷색이랑 같다! (깃바느질형태 살려두기) 24:54 - 갓 안에는 탕건모자 필수! 25:50 - 갓끈 (건영/패영)
@りん-s1d6x
@りん-s1d6x Жыл бұрын
향아치 대감은 방송 진행력이랑 지식이 출중해서 원래라면 재미없기 쉬운 내용들 진짜 잘 살림
@aqua-blue8o8
@aqua-blue8o8 Жыл бұрын
대감님이 말하고 마끼아또가 번역한다.. 하지만 둘 다 한국어를 하고 있다...
@greg7987
@greg7987 Жыл бұрын
저날 라이브 진짜 뭔가 고급지게 정신 나갈 것 같은? 그런 느낌으로 재밌게 잘 봤습니다. 그리고 한복의 구성에 대한 몰랐던 사실들도 많이 알게 되어서 정말 유익했습니다.
@airrn-i
@airrn-i 4 ай бұрын
고급지게 정신나갈 것 같은ㅜㅋㅋㅋㅋㅋ 아 무슨 말인지 알 것 같아요
@palas7840
@palas7840 Жыл бұрын
한복에 대해서 막연한 이미지가 있었는데 좀 더 알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앞으로 한복 그림을 볼 때 이 자는 사치를 부리고 싶었구나 이런 위치에 있었구나 같은 세세한 부분을 눈치챌 수 있을 것 같네요
@nahyeon1482
@nahyeon1482 Жыл бұрын
한복은 진짜 디테일의 끝판왕ㅋㅋㅋ 꾸안꾸의 민족이라는데 동의합니다 남자한복은 특히나 알 수록 디테일이 엄청남
@빔빔-v1p
@빔빔-v1p 7 ай бұрын
ㄹㅇ 다 똑같이 생긴 것 같은데 차이있는거 보고 너무 놀랐던..ㅋㅋㅋㅋㅋ
@메로나-v3z
@메로나-v3z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오랜 기간 한복을 가까이서 보던 사람입니다. 한복은 작은 디테일 하나만으로 다른 옷이 되어버리곤 합니다. 일반인에게는 그저 예뻐 보이는 퓨전 한복이지만 디자인 자체로는 한푸나 기모노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늘 설, 추석만 되면 여러 한복을 보면서 '한복이 아닌데..?'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렇게 좋은 영상 올려주시니 정말 멋있으십니다! 감사합니다! 속이 다 후련하네요🥰🥰
@user-el5ox5rg3q
@user-el5ox5rg3q Жыл бұрын
최근 퓨전 개량한복을 입은 캐릭터들을 구상 중인데 이 영상 덕분에 캐릭터가 입을 한복 디자인이 좀 더 구체적으로 잡힌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한복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몽실몽실몽쉬르
@몽실몽실몽쉬르 Жыл бұрын
한복에 대해서 정말 많이 알아가는 시간이었어요! 풀영상도 좋고 편집영상도 좋아요!
@user-rd1gu3qg5x
@user-rd1gu3qg5x Жыл бұрын
향아치님은 박학다식하셔서 다 설명해주시고 마끼아또님은 한 번 풀어서 설명해주시네요 두 분 합이 참 좋아요ㅋㅋ
@볼트보이-g8y
@볼트보이-g8y Жыл бұрын
한복은 상하의가 분리되어있고 팔목과 발목을 묶기도 했는데 이것은 중국과 일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복식 형태입니다. 유목, 기마 민족에서 볼 수 있는 양식인데 우리 한민족이 동남아나 일본, 중국을 통해서가 아닌 고대 스키타이 문화에서 부터 유라시아 대평원을 거쳐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 배사법, 금속 제조도 그것을 뒷바침해 줍니다.
@Wang_HoYoung
@Wang_HoYoung Жыл бұрын
스키타이가 문화형태 잡기전에 왔을껄요 우리나라가 몽골이랑 같이 북방유목민족이라 유목민 특징이 보이는거죠 갠적으로 홍산문명이 우리만이 아닌 몽골과 만주족을 통튼 하나의 문화권이라고봄 거기서 갈라져나온게 고조선이었던거죠
@dri13829
@dri13829 Жыл бұрын
@@Wang_HoYoung 님아 근데 몽골과 만주족은 그 때 존재 하지도 않던 민족임...... 오히려 예맥이 진짜 동아시아의 원시 유목 민족급임. 님이 말하는 몽골과 만주족은 이후 예맥과 중앙아시아계열의 유목 민족의 분화 과정에서 분리된 잔가지이지 그들이 원류가 아님.
@user-el5ox5rg3q
@user-el5ox5rg3q Жыл бұрын
​@@dri13829근데 저분도 몽골과 만주족이 원류라는 식의 말씀은 안하셨는데요?
@빔빔-v1p
@빔빔-v1p 7 ай бұрын
근데 그런 형식은 중국에도 있긴 있어요 워낙 민족이 다양하고 면적이 넓어서 생기는 문화차이같아요 물론 말면옷같은 건 고려의 영향을 받은거지만요
@RedEye_Rei
@RedEye_Rei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하고 재미있게 봤어요! 제가 넘 좋아해온 두 분 >< 저는 동양 전통옷 중 한복을 특히 좋아하는데요, 지조있고 매우 화려하면서도 단아하고 정갈한 매력이 있는 한복과 장신구들이 참 좋아요~~! 알고있는 부분은 더 자세하게, 잘 모르거나 생소한 부분은 새롭게 알아가는 시간이었네요 ^^* 즐거운 추석연휴 보내셔요~~
@라라랄라-y8q
@라라랄라-y8q Жыл бұрын
3:12 에 깃이 동정을 감싸고 있는 부분이라고 설명을 해주셨는데, 만드는 순서로는 깃을 먼저 달고 그 위에 동정을 다는 형태입니다. 깃은 목을 감싸는 부분이라는 건 맞지만 동정이 존재하는 이유는 우리가 셔츠를 입으면 카라(셔츠 깃)에 목때가 뭍는 것처럼 깃에 목때가 뭍는 걸 방지하기 위해 다는 것으로,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게 쉽게 뜯을 수 있는 바느질을 합니다. 3:36 묶여있는 부분을 고름이라고 설명해주셨는데, 저고리를 여미는 끈을 고름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고름을 맨다‘라고 표현하는 것을 ’끈을 맨다‘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편해요 18:24 한복도 기모노처럼 겹으로 입습니다. 하지만 속에 입는 게 겉에 입는 저고리보다 크기가 크지 않아서 겉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속에 입는 저고리는 속적삼이라고 부릅니다. 지금으로 따지면 내복? 런닝같은 속옷 느낌이죠 21:15 무지기를 먼저 입고 그 위에 대슘치마를 입기도 하고 대슘치마 입고 무지기를 입기도 합니다. 속옷과 저고리, 치마를 입는 순서에 대한 구체적인 것 외에도 한복 그림 그릴 때 흑요석 작가님이 내신 책-흑요석이 그리는 한복 이야기- 를 참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작가님이 자료조사를 열심히 하셔서 낸 책이라 한복 잘 모르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SeungWon_Oh
@SeungWon_Oh Жыл бұрын
교육영상 느낌이 쎄게나는데 진짜 재밌다 나랏일 하시는 분이 역시 가르치는 것도 잘 가르치네
@Sogum_siosan
@Sogum_siosan Жыл бұрын
한국풍 너무 좋아해서 자주 검색해보고 했는데 말도 어렵고 이해도 힘들어서 그냥 이 정도면 되겠지 하고 포기하곤 했는데 대감님의 설명으로 한복이 얼마나 매력적이고 꾸미는 방법도 여러가지라는 것을 배웠네요 ㅎㅁㅎ 설명도 재밌고 이해하기도 쉽고 개인적으로 도포를 여러 색으로 겹쳐 입어서 색을 만든 다는게 너무 좋았어요! 우리나라 문화이고 전통인데 모르는게 많아서 슬프네요 ㅜㅠ..
@rarabt3232
@rarabt3232 Жыл бұрын
서양옷에서 많이 보이는 레이스와 프릴들은 사람의 목과 팔부분같은에서 나오는 땀이나 때같은것들과 옷이 여기저기 스치면서 옷의 가장자리 부분에 뭍을수있는 여러 오염 물질들과 스침과 마찰로 인한 가장자리 천의 헤짐같은것들로부터 당시에 엄청난 고가였던 중요한 겉옷의 가장자리들을 지키위해서 옷에 탈부착하던 오염방지천이고 한복에서 이런 서양옷의 레이스와 프릴에 역할을 하던것이 바로 옷깃이라고 하는 이야기는 들어본적이 있는데 이렇게 자세히 한복 이야기를 그림설명과 함께 보면서 들어보니까 알기가 쉬워서 좋네요
@rarabt3232
@rarabt3232 Жыл бұрын
그러고보면 도포는 여름에도 입는 느낌에 옷이라는 느낌인데 두루마기는 왠지 옛날 이야기나 매체들을 보면 겨울에만 입는 옷이다라는 느낌이 예전부터 있었는데 그 이유를 이번 영상덕분에 알수있는 느낌이었습니다 도포랑 다르게 두루마기는 트이는 곳이 없는 지금으로 치면 옆트임같은게 없는 코트나 롱패딩같은 느낌에 옷이니까 옷 사이에 바람이 들어와서 시원해줘야하는 여름옷이라도 양반의 체면으로 긴 겉옷을 입어야할때는 옆트임,뒷트임이 있어서 바람이 통하는 도포를 입어야하는거고 가을이랑 겨울같이 몇겹으로 옷을 껴입고 그 옷 사이로 찬바람이 들어오면 안돼는 겨울옷으로는 트임이 없어서 바람이 들어오기 힘든 두루마기를 양반이든 백성이든 다 입기때문에 두루마기는 겨울옷이라는 이미지가 있었던거 같네요
@찌개-s4p
@찌개-s4p Жыл бұрын
편집본으로 보니까 더 이해가 잘 되네요 추석에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진수-g9e
@진수-g9e Жыл бұрын
영상 올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추석동안 한복 강의 보면서 시간을 보낼 수 있겠네요 ❤😊❤
@czteamlove
@czteamlove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한복에 이렇게 자세하게 알아본거는 처음이고 이것도 극 일부일것인데 파면 팔 수록 더 재미있어지는 부분일거같아요
@user-gd5cy7bi3e
@user-gd5cy7bi3e Жыл бұрын
23:17 와 전삼 한번에 쓱 그리시는데 입체감이 소름돋았어요 ㄷㄷㄷㄷ
@매-n1e
@매-n1e Жыл бұрын
저분 분명 팬들이 자신을 근육짱짱맨으로 그리는거 보고 한숨쉬는것만 봤는데.. 한복전문 유트버였다니 ㅋㅋㅋㅋ 설명도 쉽고 재미있어 새로이 한복 옷에 대해 배우네요 즐거운 추석 보내세용 ㅎㅎ
@scottinmessyworld
@scottinmessyworld 11 ай бұрын
향아치 한복전문 아님....🥴
@yeoun_ne
@yeoun_ne Жыл бұрын
마끼아또님과 향아치대감님의 합방이 색다르고 한복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된 시간이었습니다~ 막상 한복을 그리고 싶어서 그려도 그린 저마저도 어색함이 들정도로 한복을 그리기 어렵다고 생각하였는데 마지막으로 말씀해주신 고증을 다음 창작을 위한 디딤돌로 생각하라고 말씀하신것을 마음에 새겨놓겠습니다~ 이렇게 훌륭한 방송을 만들어주신 마끼아또님과 열심히 알려주시고 피드백 해주신 대감님 감사합니다~
@눈알사탕-d4i
@눈알사탕-d4i Жыл бұрын
갑자기 아는 얼굴 두 분이 나타나셔서 우당탕탕하며 달려왔습니다. 한복 자료를 많이 찾아봐서 대부분 아는 내용이었지만 두 분이 티키타카하며 설명해주시니 너무 즐거웠습니다( ◜𖥦◝ )
@ksmb2333
@ksmb2333 Жыл бұрын
어... 그런데 갓끈과 갓구슬장식 끈을 문관은 둘 중 하나만 썼다는 이야기가 좀 ?? 이러네요. 신윤복 그림 보면 무관이 아니라도 종종 겹쳐쓰는 선비들 보여서요. 주로 기생 꼬시거나 돈 많아보이는 그런 애들... 무엇보다 늘어뜨린 구슬끈은 갓 고정 기능이 아니라 말 그대로 장식용으로 아는데.. 갓을 안 동여매고 구슬끈만 하는 게 가능한 건지 모르겠어요. ㅇㅅㅇ
@noting_interesting
@noting_interesting Жыл бұрын
@@ksmb2333 풀영상에 영조대왕때부터 건영과 패영을 같이 쓰는 게 유행했다고 언급하십니다
@MartisRYO
@MartisRYO Жыл бұрын
한복의 원형도 지켜나가면서 알려주신대로 한복의 특징들을 잘 가미해서 다양하게 어렌지 해가지고 양옆나라처럼 기념일이나 다른 날에도 전통옷을 좀 자주 입을 수 있는 사회가 좀 빨리 왔으면 좋겠다
@움냠냠-x8b
@움냠냠-x8b Жыл бұрын
영상 보면서 한복에 대한 아름다움에 대해 새롭게 알아가는 시간이었어요, 두 분 께 좋은 컨텐츠 만들어 주심에 감사합니다ㅎ
@soo23302
@soo23302 Жыл бұрын
세상에 이렇게 세세하고 쉽게 설명해주셔서 한복 그릴땐 앞으로 더 잘그릴수있을것 같네요 최고의 명강의였습니다
@7ob1gj5h
@7ob1gj5h Жыл бұрын
진짜 궁금했던 거 속시원하게 알려주시는 와중에도 말로만 들으면 어려울 부분을 찰떡같이 그림에 표기해주시는 마키아또님 덕분에 알기 쉽고, 향아치님 설명도 구독자들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면서도 이건 완벽한 한복이 아니라 틀리지 않게 그릴 수 있게 하기 위한 설명이라 해주시는 게 너무 따뜻하고 좋네요! 그림 그릴 줄 모르는 입장이라도 보면서 흥미롭고 너무 재밌어요!
@xochj358
@xochj358 Жыл бұрын
정말 입문자 눈높이 맞춘 강의여서 그런지 재밌고 즐거웠어요 한복의 특징들이 정말 많다는걸 배우고 가요 좋은 강의 감사해요❤
@라랄랄랄-i9v
@라랄랄랄-i9v Жыл бұрын
엄청 유익하고 좋은 영상이네요. 한복 그릴때마다 참고할게요 감사해요!
@니코세이
@니코세이 Жыл бұрын
한복... 진짜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깅하얀
@깅하얀 Жыл бұрын
17:00 말을 하지 않아도 전할 수 있는 한복.. 빠져든다...
@pingu_1004
@pingu_1004 Жыл бұрын
어 풀영상으로도 봤었는데 편집본 보니까 또 되게 명확하게 며릿속으로 들어온다
@esonotd
@esonotd Жыл бұрын
여러모로 되게 유익한 방송이었습니다👍👍
@karonkro
@karonkro Жыл бұрын
지식과 멘트들이 끊임 없어서 거의 30분이 되는 분량을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봤네요
@songsong413
@songsong413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유익해 재밌다.. 똑똑한 사람 넘 멋있다
@Tongireth
@Tongireth Жыл бұрын
21:26 더워보인다는데 사실 현재 한반도 연평균기온이 2022년 13.2도 인데 비해 1908년 10.4도, 석탄을 덜 땐 더 과거엔 아마 더 낮았을 테니 그렇게까지 덥진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sgtkuma
@sgtkuma Жыл бұрын
캐나다군도,소련군도 625때 벌벌벌떨었다는 미친 혹한을 가지고있는 한반도 ㄷㄷ
@Act-xi2bc
@Act-xi2bc Жыл бұрын
사실 한복이라고 했을 때 아 그냥 예쁜 옷이구나 했는데 이런 식으로 다양한 이야기와 함께 접하니까 진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강의 들었네요 ㅋㅋ 진짜 옷 하나에 이런 식으로 많은 이야기가 들어있을 줄은 정말 몰랐어요.
@bella.G123
@bella.G123 Жыл бұрын
저희 할머니는 한복 천 장사를 하셨죠 그래서 예쁜 한복 비단에 둘러싸여 자랐죠 예쁜 한복 비단이 정말 많아요
@Lord_Unicorn
@Lord_Unicorn Жыл бұрын
참고로 고구려뿐만 아니라 신라 백제도 바지문화가 발달된 특징이 있습니다. 백제는 말할것도 없이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고 신라도 마찬가지로 유목민족의 흔적이 남아 있었거나, 옆 나라 고구려나 백제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추정되긴 합니다.
@에솔레솔
@에솔레솔 25 күн бұрын
기가 시험 범위에 한복 있어서 생각나서 찾아옴 진짜 수업보다 도움 많이 돼요ㅠㅠ
@CSDM0
@CSDM0 Жыл бұрын
향아치 대감께서 게스트로 나오고 또 한복이라는 역사적 의상을 알아보는것이다 보니 집중해서 볼 수 있었소이다...
@chensoyul
@chensoyul Жыл бұрын
생각보다 엄청 유익한 내용으로 가득차 있는 내용이네요...
@퀘스
@퀘스 Жыл бұрын
상상도 못 한 콜라보..! 향아치님을 여기서 보게되다니..😂
@13cabinet
@13cabinet 11 ай бұрын
한복은 정말 이해하기 어렵다는 쪽이었는데 이번 강좌로 많이 쉬워졌고 친숙도 역시 높아진 것 같습니다~ 간만에 메모하면서 영상 보는데 감동도 감동이지만 설에 한복 그림도 도전해보고 싶어집니다:)
@aiyuir
@aiyuir Жыл бұрын
와 대감님이랑 마끼아또님ㅋㅋㅋ 두 분 다 자주 보는 분이신데ㅋㅋㅋ
@KCNwa_1031
@KCNwa_1031 Жыл бұрын
덕분에 한복에 대해 더욱 많이 배우고 갑니다!!🥰🩵
@삐리빠리뽀-w7k
@삐리빠리뽀-w7k Жыл бұрын
우왕 좋은합방😊
@irbis7591
@irbis7591 Жыл бұрын
그림이랑 관계 없이 그냥 한복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좋은 강의가 아닐까 싶습니다 한복도 좋은데 요즘에야 죄다 개량한복이고 그것도 잘 입지도 않는데 일본은 심심하면 입어보고 뭐 하는거 보면 좀 부럽더라고요 이런걸 어디 학교 교육과정에서 배워야 하는게 아닐까 합니다..
@AgyoN
@AgyoN Жыл бұрын
알고는 있었지만 향대감 지식에 감탄할수밖에 없었다;;; 컨셉으로 끝나지않는 지식보관소;;
@okaa9858
@okaa9858 Жыл бұрын
대감 설명하는 소리가 아주 귀에 착착 감깁니다요
@현채빈-f3j
@현채빈-f3j Жыл бұрын
오 ㅋㅋ 향아치님 매력있다 알고 있었던 부분도 몰랐던 부분도 두분의 말솜씨 덕에 너무 재밌었어요😊
@dkc2018
@dkc2018 10 ай бұрын
제가 어린 사람과 어른들 모두와 대화를 시도 하는데, 요즘 어린 사람들이 더 현명하고 우리의 역사를 더 잘 아는것 같아요. 너무 고맙고 감사해요. 향아치님 말대로 즐기는 우리 문화가 되었으면 해요.
@pulsar9422
@pulsar9422 Жыл бұрын
역시 한복을 그릴때는 디테일을 살려야 맛이 나는듯요. 합방넘 좋다구욥~
@peachblossom3672
@peachblossom3672 Жыл бұрын
한복 그리고 싶어지고 한복 사입고 싶어집니다 한국 전통 옷 소재로 아이디어 생각하고 있었는데 두분 덕에 한복에 대해 쉽게 알게 되었습니다
@윤영동-h1g
@윤영동-h1g Жыл бұрын
아니 너무 유익하고 재밌잖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youwhat488
@youwhat488 Жыл бұрын
역사 너무 재밌다;; 진짜 빠져드는 향아치 선생님..
@AnizK
@AnizK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재밌고 알찬 영상이었습니다~^^
@ryumew8905
@ryumew8905 6 ай бұрын
한복을 요즘 시대에 맞게 리폼 하는것도 멋있고, 전통을 지키는것도 멋있어요
@데이지-x2c
@데이지-x2c Жыл бұрын
헐 설명 진짜 귀에 잘들어오는거 같아요! 설명 진짜 잘하세요
@Sinabeuro120
@Sinabeuro120 Жыл бұрын
한복 처돌이로써 쭉 훑어주시니 좋네요ㅠ 특히 이런 정보들은 검색하면 변형된 것들 잘못 알려진 것들도 같이 나와서 헷갈리는 것들이 꽤 됬는데 너무 감사드립니다
@user-lq7iq7jj1w
@user-lq7iq7jj1w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유익하고 재밌었어요!! 두 분 다 설명을 너무 재밌게 잘하심
@jinney4994
@jinney4994 Жыл бұрын
대감님 강의 너무좋슴다😂
@SiSihada-hd2hx
@SiSihada-hd2hx Жыл бұрын
와 대감님 한복지식에 감탄하고 갑니다.
@hanbam833
@hanbam833 Жыл бұрын
마끼아또님 방송에서 향아치님을 보게 될 줄이야..! 진짜 유익하고 마지막에 남기신 말씀까지 너무 좋았어요!!
@cocoabox8166
@cocoabox8166 Жыл бұрын
너무재밌다... 요즘 묘하게 한복에 관심이생겼는데 너무 유익하고 재밌었어요!!
@qkdrnrqhd
@qkdrnrqhd 4 ай бұрын
아ㅠ올해 추석 맞이 연성하다가 한복 생각안나서 급하게 달려왔어요ㅠㅠㅋㅋㅋㅋㅋㅋ
@IIlIllIlIIIlIllllI
@IIlIllIlIIIlIllllI 3 ай бұрын
앞으로도 매년 찾을 예정입니다...
@오마뉘반배홈
@오마뉘반배홈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좋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D2024D5
@D2024D5 Жыл бұрын
와 시간가는 줄 모르고 봤네요!유익해요
@Luckymann1223
@Luckymann1223 Жыл бұрын
아니 대감님 드립력이 진짜 장난아니라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cpueasy8868
@cpueasy8868 7 ай бұрын
오오 한복그림 그릴때 참고하기 좋은 영상이네요
@goyan_chacha
@goyan_chacha 10 күн бұрын
이거 보고나서 사극에 삼회장저고리 보면 반가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오뚜기-g5z
@오뚜기-g5z 5 ай бұрын
유익해요 짱!!!
@mamel1227
@mamel1227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한복 공부한 느낌이라 좋았습니다.유용하고 재미있는 영상 잘보고갑니다😊
@sir_earlgrey9309
@sir_earlgrey9309 Жыл бұрын
아니 이렇게 유익하다니...ㄷㄷ
@안동사과빵
@안동사과빵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유익합니다. 옳은 자료인지 아닌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 감사합니다 ^^
@하늘-x1g
@하늘-x1g 4 ай бұрын
으약 내 최애들이 같이 있다니이이ㅣㅣㅣㅣㅠㅠㅠㅠ 흐어어어ㅜㅜ❤❤❤감사합니다
@woosonho
@woosonho Жыл бұрын
유익했다!
@아리모-i2v
@아리모-i2v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많이 배웠습니다
@이리네-n6u
@이리네-n6u Жыл бұрын
향아치님떄문에 왔는데. 뭔가 유익한 방송 같아서 구독하고 나중에 볼게용
@pitohui6786
@pitohui6786 5 ай бұрын
엄청 유익했다
@HAEDO_
@HAEDO_ Жыл бұрын
반회장 삼회장 / 두루마기 도포 차이 감사합니다 이제 한복 그림 볼 때 더 재밌게 볼 수 있겠네요
@cherry_131
@cherry_131 Жыл бұрын
????이게 뭐지???? 하면서 들어왔습니다 갑자기 합방영상이라니 엄청 놀랐네요
@길을거닐다
@길을거닐다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보고갑니다!
@banggookbbong
@banggookbbong Жыл бұрын
그림그리는 사람으로서 너무 유익하고 재밌어요ㅠㅜ❤❤
@fierwalt
@fierwalt 11 ай бұрын
진짜 교육방송이네요 ㄷㄷㄷ
@pup5355
@pup5355 Жыл бұрын
먼가 재미로 보러왔다가.. 지식이 +2가 돼어 나간다..😅😅😂
@파티마제로
@파티마제로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유익했습니다.
@wonseokchoi131
@wonseokchoi131 11 ай бұрын
중간 '삼회장'을 설명할 때 자료로 노란 색동저고리가 나왔는데, 80년대 아니 90년대 초반까지 새색시의 한복저고리는 자료처럼 노란색(아니면 연두색)에 붉은 색을 쓴 색동저고리를 입었었죠. 이 이야기를 꺼낸 것은 지금은 트렌드가 바뀌어서 색동저고리를 입는 분들이 드물지만, 지금과는 분위기가 많이 달랐다고 생각해요. 현재 미디어에서 현대화된 한복 복식(주인공들의 옷은 특별히 제작)이 나오고, 그게 아니더라도 퓨전사극이 많아지며 지금의 시선에서 촌스럽지 않은 옷들이 많아져서 우리는 그게 더 익숙해져 있기는 하지만요. 그렇다보니 아무래도 방대한 자료를 찾는 작가분들도 계시지만, 대다수는 시간의 문제로 미디어 자료를 참조하시는 분들이 생길 수 밖에 없고, 복식 고증에 있어서는 소홀함이 생길 수 밖에 없다고 봐요. 오늘의 영상은 단순히 지금의 세대에게 한복에 대해 알려주는 것('탕건' 같은 경우는 갓을 써본 사람만 아는 정말 좋은 부분)을 넘어 그림 그리시는 분들에게 정말 도움이 많이 된 내용 같아요. 이걸 바탕으로 마끼아또님도 멋진 그림 많이 그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The secret of drawing that keeps attracting me! How to draw overwhelming feelings
14:22
일러스트레이터를 고증으로 죽이는 방법
9:28
Hyang Ah Chi 향아치
Рет қаралды 332 М.
$1 vs $500,000 Plane Ticket!
12:20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22 МЛН
JISOO - ‘꽃(FLOWER)’ M/V
3:05
BLACKPINK
Рет қаралды 137 МЛН
모든 독학러가 알아야 할 급성장 노하우 No.1│ 고민상담
8:11
마끼아또 Macciatto
Рет қаралды 12 М.
800만원 버튜버 관복
28:01
Hyang Ah Chi 향아치
Рет қаралды 153 М.
Background hacks that are only 1 percentile pros secretly use
10:33
마끼아또 Macciatto
Рет қаралды 120 М.
역사적 관점으로 본 사랑의 하츄핑 [풍문동아리]
24:42
Hyang Ah Chi 향아치
Рет қаралды 190 М.
Waist? Breast? Leg lines? How to draw more natural body lines!
18:36
마끼아또 Macciatto
Рет қаралды 269 М.
$1 vs $500,000 Plane Ticket!
12:20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2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