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limenting tips Koreans should know

  Рет қаралды 2,988,476

세바시 강연 Sebasi Talk

세바시 강연 Sebasi Talk

4 жыл бұрын

"Unlike young people these days, you're doing a great job!" If someone says this, is this a compliment? Complimenting is an effective means of bringing positive change, but the wrong type of compliment can leave a scar on one's heart. A must lecture for Korean people! Kim Kyung-il, a psychology professor at Ajou University, talks about the art of compliments.

Пікірлер: 1 000
@user-pb7dm8xp2i
@user-pb7dm8xp2i 4 жыл бұрын
1. 재능보다 노력을 칭찬하라 2. 상대의 이름을 불러 인격을 칭찬하라 3. 의도치 않은 행동을 칭찬하라 4. 그 사람의 관계를 칭찬하라. 관계 칭찬
@sebasi15
@sebasi15 4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이 꼭 알아야 할 칭찬의 방법 - 김경일 편, 책 이벤트 발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칭찬의 기술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 행운의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난한쿡사람임돠 @ 영광 @hayung96 @ Astellah G @ JIN HAN 당첨자분들께는 '십대를 위한 공부사전' 김경일 교수 친필사인본을 선물해드립니다~ 아래 필독사항을 꼭 확인해주세요!! ------------------------당첨자 여러분들의 필독 사항입니다------------ 1. 5월 28일 목요일 오후 6시까지 friends@sebasi.co.kr으로 '당첨자 본인 확인이 가능한 캡쳐 화면'과 함께 '성함, 연락처, 주소, 개인정보 활용 동의 여부'를 보내주세요.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하신 분들 께만 책 선물 발송이 가능합니다) 2. 당첨 확인 가능한 캡쳐 화면은 본인이 쓴 댓글 (수정 상태로) 캡쳐 또는 유튜브 본인 아이디가 나와있는 프로필 화면 캡쳐입니다. 3. 5월 28일 목요일 오후 6시까지 정보를 보내주시지 않으면 당첨은 자동 취소됩니다. 선물 발송은 모든 자료가 취합된 이후에 발송해드립니다. 세바시는 여러분과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
@jacklim3568
@jacklim3568 4 жыл бұрын
Good point!
@user-dh7kl4vt7r
@user-dh7kl4vt7r 3 жыл бұрын
1.2.3.4.를 모두 합치면.. 0. 칭찬하지마라, 그에게 감사하라.
@user-cu7wu6mo6c
@user-cu7wu6mo6c 3 жыл бұрын
@다인파파 ??
@user-lw7ku5ut9y
@user-lw7ku5ut9y 3 жыл бұрын
인지의 기본이죠ㅎ
@user-gt8pf3uc1z
@user-gt8pf3uc1z 4 жыл бұрын
누군가에게 따뜻한 칭찬을 건네기 위해 이 영상을 보시는 여러분들이 레전드 칭찬 배워서 바로 실천하는 나도 레전드 우리 모두 레전드
@youngka1120
@youngka1120 3 жыл бұрын
와아 좋다좋다ㅋㅋ
@user-vc3en7qy8f
@user-vc3en7qy8f 3 жыл бұрын
임시연님은 내가 생각하는 최고의 댓글 레전드
@user-gt8pf3uc1z
@user-gt8pf3uc1z 3 жыл бұрын
@@user-vc3en7qy8f 문은정님 선플 ㄷㄷ레전드
@user-ks4ui1sh1h
@user-ks4ui1sh1h 2 жыл бұрын
이런 따듯한 댓글 너무 좋아요:)
@user-mo8tb6hy9g
@user-mo8tb6hy9g 2 жыл бұрын
행복하세요^^감사합니다🎶
@_musicplaylist7709
@_musicplaylist7709 4 жыл бұрын
사람은 남을 칭찬함으로써 자기가 낮아지는 것이 아니다. 도리어 자신을 상대방과 같은 위치에 놓는 것이 된다 .
@rrr3460
@rrr3460 3 жыл бұрын
상대방을 존중하고 높이며 나를 같이 높인다 그게 바로 지혜로운 말의 격 이라고 오늘 책 에서 읽었습니다! 복습하는 것 같아 재미써효!
@toryvic7775
@toryvic7775 Жыл бұрын
그렇지도 않아요. 웃기게도 오히려 내 머리 위로 올라서려 하던대요. 기고만장해져서.ㅎㅎ
@user-uz2uq1tj9v
@user-uz2uq1tj9v 4 жыл бұрын
"재능보다는 노력을칭찬하라","사람의이름을부르며 따뜻하게 칭찬해라","의도하지않은 행동도 칭찬하라" (요즘은칭찬이고픈 사회이다...)
@sebasi15
@sebasi15 4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이 꼭 알아야 할 칭찬의 방법 - 김경일 편, 책 이벤트 발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칭찬의 기술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 행운의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난한쿡사람임돠 @ 영광 @hayung96 @ Astellah G @ JIN HAN 당첨자분들께는 '십대를 위한 공부사전' 김경일 교수 친필사인본을 선물해드립니다~ 아래 필독사항을 꼭 확인해주세요!! ------------------------당첨자 여러분들의 필독 사항입니다------------ 1. 5월 28일 목요일 오후 6시까지 friends@sebasi.co.kr으로 '당첨자 본인 확인이 가능한 캡쳐 화면'과 함께 '성함, 연락처, 주소, 개인정보 활용 동의 여부'를 보내주세요.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하신 분들 께만 책 선물 발송이 가능합니다) 2. 당첨 확인 가능한 캡쳐 화면은 본인이 쓴 댓글 (수정 상태로) 캡쳐 또는 유튜브 본인 아이디가 나와있는 프로필 화면 캡쳐입니다. 3. 5월 28일 목요일 오후 6시까지 정보를 보내주시지 않으면 당첨은 자동 취소됩니다. 선물 발송은 모든 자료가 취합된 이후에 발송해드립니다. 세바시는 여러분과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
@user-uz2uq1tj9v
@user-uz2uq1tj9v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ㅎㅎ
@user-ge5bs6pw3n
@user-ge5bs6pw3n 4 жыл бұрын
세바시 강연 Sebasi Talk ㅁ
@user-if8dt5zq6e
@user-if8dt5zq6e 3 жыл бұрын
그렇습니다 노력하는 시간은 새벽부터 전달 됩니다 ㅋㅋㅋ ㅣㅇㅇ 은 기본 👌
@user-tl7uh5oe8f
@user-tl7uh5oe8f 3 жыл бұрын
@@sebasi15 oooooooooopooooooooooooooooooo
@hk-jb5xv
@hk-jb5xv 4 жыл бұрын
이분의 부드러운 설득력 꼭 배우고 싶다
@junyeom1821
@junyeom1821 2 жыл бұрын
1.재능보다 노력을 칭찬해라 노력해야지 좋은 결과를 얻을 수있음 결과를 칭찬하면 과정에 중요시하지않음 2.인칭(이름)을 불러라 승준아 너는 잘한다 시험점수가 잘나왔네? ->승준아 너가 열심히해서 좋은점수가 나왔구나 3.의도하지 않은 행동도 칭찬해라 반사적인 행동 EX)할머니에게 자리를 양보함 나에게도 긍정적인 측면이 있구나 라고 생각 4.그 사람의 관계를 칭찬하라 관계문화 집단문화가 심하기 때문에 집단이 사라지면 자아가 사라짐 나의 관계도 존중받고 싶은 당연한 문화가 있음 요즘젊이들과는 다르게 일잘한다 ->요즘 젊은 친구들이 능력치가 뛰어나다던데 승준이가 그렇구나 나이가 드신분은 이런면에서 지혜가 있으다던데 팀장님이 딱그런분이시네요 가치를 공유해라
@smartsupporter153
@smartsupporter153 4 жыл бұрын
[요약] 0:53 칭찬법1: 재능대신 노력 칭찬 2:13 노력을 칭찬해야하는 이유: 노력을 중시하게 되고 성적유지 가능성 높음 2:28 칭찬법2: 이름을 불러 칭찬 4:05 칭찬법3: 의도치않은 행동도 칭찬 7:49 한국의 관계주의 문화/ 한국인은 자아의 경계가 유기적 9:51 ★한국인을 위한 칭찬의 기술: 관계를 살펴 칭찬하라 재능 말고 노력을 칭찬해야 한다는건 열심히 실천하고 있었는데 나머지는 새롭게 다가오는 칭찬법이네요. 특별히 한국인을 위한 칭찬법, 관계를 살펴 칭찬하는 방법을 열심히 연습해야겠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davidkang3241
@davidkang3241 4 жыл бұрын
이름을 불러 칭찬하는 게 크게 와닿네요. 한국인의 관계주의와도 연관이 되어 있는 것 같아서 기억에 오래 남네요. 감사합니다.
@smartsupporter153
@smartsupporter153 4 жыл бұрын
@@davidkang3241 이름을 불러 칭찬하는 디테일까진 생각을 못해봤던거같아요. 혹시라도 빼고 칭찬하지않도록 앞으로 더 신경써야겠어요ㅎㅎ
@nurgul2017
@nurgul2017 4 жыл бұрын
스마트서포터 요약 감사
@parkyeonock2577
@parkyeonock2577 4 жыл бұрын
스마트서포트님 이름처럼 요약도 스마트하시네염. 캡쳐해 갈게요. 감사합니다.
@smartsupporter153
@smartsupporter153 4 жыл бұрын
@@nurgul2017 감사합니닷ㅎㅎ
@hayung96
@hayung96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께서 일례로 들어주신 사례를 저도 직장에서 똑같이 겪었습니다. "젊은이 답지않게 성실하다"고 칭찬하시더라고요. 그 말을 듣는 당시에는 다른 젊은이들처럼 되지 않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 같은 압박이 들었습니다. 또한 주변에 제 또래 동료들과 비교하며 상사가 저를 칭찬했을 때, 기분이 좋지만은 않았던 이유를 깨달았습니다. 반대로, 제가 청소년일 때 엄마에게 "엄마는 엄마 세대랑 다르게 젊은 사람들 이해를 잘 해"라고 칭찬한 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엄마는 의아한 표정으로 "그래? 다른사람들도 공감 잘해~" 라고 하셨습니다. 당시에는 엄마가 칭찬을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생각했으나 그 때 엄마의 심정이 어땠을지 교수님 강의를 통해 이해하게 됐습니다. 상사에게 겪었던 일과 제가 엄마에게 범한 실수가 동일한 것이였더라고요. 이처럼 사람의 심리를 알면 일상생활에서 실수를 줄일 수있고, 더 지혜롭게 살 수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저는 어릴 때부터 엄마의 인정과 칭찬에 목마른 아이였습니다. 현재 학원 강사일을 하며 저와 같이 칭찬에 목마른 아이들에게 최대한 인정을 많이 해주려고 합니다. 아이들은 그럴 때 살아나더라고요.. 교수님의 강의를 보며 아이들에게 앞으로 어떻게 칭찬을 해야 효과적일지 생각해봤습니다. 더불어 저서이신 '십대를 위한 공부사전'을 읽으며 제가 겪은 시행착오를 겪지않도록 제 후배들을 돕고싶습니다! 좋은 강의를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oz5qm6qz1s
@user-oz5qm6qz1s 4 жыл бұрын
hayung96 정말 와닿는 경험담이네요 칭찬이더라도 처음은 들었을때 기분은 좋지만 압박감으로 다가오는 칭찬은 나중에가면 차라리 안해주는게 낫다라고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래서 칭찬을 할때 내가 느낀 것처럼 압박감이 들수도 있는 칭찬인지 아닌지 할까말까 생각해보다가 타이밍을 놓쳐서 말하지 못해준 칭찬들도 많네요... 그런것 같아요 강사님말대로 그 사람이 듣고싶어서 노력하는 부분에 대해 칭찬을 해주는게 제일 좋다고 생각해요 내가 칭찬을 하는 목적이 순수한 감탄보다는 상대방의 호감을 얻기 위해서라면 그만큼 효과적이고 역효과도 없는 칭찬이 없는 것 같아요 순수하게 감탄으로 칭찬을 한 적도 많지만 그게 상대방에게 압박감으로 다가오는 칭찬이 아니라고는 못하겠네요...그 당시엔 그냥 순수하게 별다른 생각없이 내뱉었던 칭찬들이라 제게 필요한 좋은 강의였습니다
@sebasi15
@sebasi15 4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이 꼭 알아야 할 칭찬의 방법 - 김경일 편, 책 이벤트 발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칭찬의 기술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 행운의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난한쿡사람임돠 @ 영광 @hayung96 @ Astellah G @ JIN HAN 당첨자분들께는 '십대를 위한 공부사전' 김경일 교수 친필사인본을 선물해드립니다~ 아래 필독사항을 꼭 확인해주세요!! ------------------------당첨자 여러분들의 필독 사항입니다------------ 1. 5월 28일 목요일 오후 6시까지 friends@sebasi.co.kr으로 '당첨자 본인 확인이 가능한 캡쳐 화면'과 함께 '성함, 연락처, 주소, 개인정보 활용 동의 여부'를 보내주세요.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하신 분들 께만 책 선물 발송이 가능합니다) 2. 당첨 확인 가능한 캡쳐 화면은 본인이 쓴 댓글 (수정 상태로) 캡쳐 또는 유튜브 본인 아이디가 나와있는 프로필 화면 캡쳐입니다. 3. 5월 28일 목요일 오후 6시까지 정보를 보내주시지 않으면 당첨은 자동 취소됩니다. 선물 발송은 모든 자료가 취합된 이후에 발송해드립니다. 세바시는 여러분과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
@bligemalibu606
@bligemalibu606 3 жыл бұрын
"요즘 젊은애들 답지않게"라는 발언 자체가 '젊은애들에 대한 편견을 갖고있는 것'으로 들려서 별롭니다. 젊은 사람들이 다 똑같은 성질을 갖고 있는 건 아닙니다. 사람마다 엄연히 성격이 다르고 능력도 다르고 가치관도 다르고 여러 면이 다른 그냥 '한 명의 존재'입니다. 그런 점을 무시하고 '젊은 애'라고 싸잡아서 지칭하는 느낌에 별로네요.
@user-gh9ip7is6l
@user-gh9ip7is6l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께 배우는 학생들은 더 행복할거 같네요 화이팅!
@dongjupark4686
@dongjupark4686 4 жыл бұрын
칭찬이라는 것은 아주 쉬워보이지만 막상하려고 하면 뭔가 서먹서먹하고 타이밍을 놓쳐서 못하는 것이 거진 90%이상 일겁니다. 물론 잘하시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강의를 듣으면서 다시 한번 더 각인 시켜보내요. 작은 말의 표현 습관을 가져보도록 노력해야겠어요.
@om_WHAT
@om_WHAT 4 жыл бұрын
칭찬도 습관입니다. 해본 사람이 하는 것이죠..더구나 칭찬을 어떻게 해야 한다는 논리까지 나왔으니~이걸 습관화 할려면 시행착오를 엄청나게? 겪어야 할 것입니다..ㅎㅎㅎ 어쩧든 칭찬 안하는 것보다는 미친놈 소리 듣더라도 칭찬하는게 낫다라는게 제 생각입니다.ㅎㅎㅎ 실제 그런 사람을 봤어요~ㅎㅎ
@olafinspring
@olafinspring 4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이후 청중이 없으니 연사 분이 어색하지 않도록 제작진이 열심히 환호성과 박수로 연사를 맞이하고 열심히 반응하시는게 따뜻하게 느껴져요. (feat.웃음소리ㅎㅎ) 세바시 제작진분들 칭찬합니다👏🏻👏🏻👏🏻
@user-sv1tq7tn3c
@user-sv1tq7tn3c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저는 발령받은지 얼마 되지 않는 신규 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칭찬을 하려고 노력하지만, 마음대로 잘 되지가 않아 고민이 많았습니다. 이 강의를 들으니 제가 작년 일년동안 아이들을 가르치며 어떻게 칭찬을 했었는지 돌아보게 되네요. 그 때도 '왜 내가 이렇게 칭찬을 해 주었는데 오히려 기대했던 만큼 결과가 나오지 않지?' 라는 고민을 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 강의를 들으면서 무릎을 탁! 치게 되었습니다. 저도 어릴 때부터 들어왔던 칭찬을 무의식중에 아이들에게 똑같이 하고 있었고, 제가 어렸을 때 칭찬 받고도 갸우뚱했던 것처럼 아이들도 그렇게 느꼈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교직에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조금 더 효과적인 칭찬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싶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msg7532
@msg7532 4 жыл бұрын
@user-gs4wl4ze5c
@user-gs4wl4ze5c 4 жыл бұрын
이미 훌륭한 선생님~^^
@eunhyelee380
@eunhyelee380 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멋져요~
@coco-eu4cj
@coco-eu4cj 4 жыл бұрын
고민하고 자신을 돌아보는 분이시니 꼭 좋은 선생님이 되시리라 믿습니다. 초심 오래 간직하시구요.
@user-oh7jb4or7o
@user-oh7jb4or7o 3 жыл бұрын
김하영님께 수업을 듣는 학생분들 김하영님과 함께하는 모든분들이 김하영님의 의도와 노력 그로인한 예쁜표현들로 조금 더 예쁘게 세상을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김하영님께선 너무 멋진 분 이시네요
@tracy8137
@tracy8137 4 жыл бұрын
아빠가 내가 소개하는 친구들에 관해서 무관심 하거나 나와 비교하면서 친구들을 깎아 내릴 때, 내가 좋아하는 아이돌 그룹을 깎아 내릴 때 정말 단절감을 느끼고 정말 속상했던 이유를 알게되었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interpro
@interpro 2 жыл бұрын
실제적인 좋은 예제들 이네요. 고마워요.
@user-pu2zn1ms7y
@user-pu2zn1ms7y 4 жыл бұрын
칭찬을 하는데 있어 겉치레식으로 하는게 아니라 진정성을 갖고 과정을 고찰하는 것이 유의미한 칭찬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jskim8778
@jskim8778 4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코로나 대처에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이유도 나도 나지만 나와의 관계가 있는 가족과 커뮤니티에 내가 해를 끼칠까봐 적극적으로 검사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user-ik7kr8cu6e
@user-ik7kr8cu6e 10 ай бұрын
정말 교수님 강의는 많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잊을만 하면 다시 들어야 되새김이 되고, 마음에 새겨지기 까지는 오랜 시간이 듭니다. 교수님이 이야기하신 행복이란 거, 큰 사탕하나보다는 알사탕열개가 더 좋다는 의미, 연예인들의 목숨을 끊을 때와 비유해서 말씀 하신 거 들으면서 많이 마음이 아팠습니다. 한 시대의 사랑을 한몸에 받지만 행복의 양은 누구나 비슷하다며, 작은 파도의 여러번이 큰 파도의 한번 보다 낫다는 의미, 인기배우들의 큰 사랑을 받고 그것이 계속 이어질 수 없기에, 거기에 오는 상실감, 괴리감으로 인한 큰 슬픔. 그래서 주위에 나의 친구들이, 그리고 따뜻함을 나눌 수 있는 이웃들이 필요한 거 같습니다. 매스컴을 통해 많이 얼굴을 비춰주시고, 그럼으로 심리학과 우리 보통 서민들의 메신저가 되어주셔서, 저 같이 심리학을 모르는 사람도 심리학과 가깝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은 호빵맨일때 더 친근감이 느껴집니다. 늘 건강하세요
@cooljoejack615
@cooljoejack615 4 жыл бұрын
한국 사람은 관계를 중시한다는 말씀이 굉장히 인상 깊었습니다. 저도 아들이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아들의 친구 관계를 존중하는 것이 아들과의 관계 개선에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user-xu9jn3qf9x
@user-xu9jn3qf9x 4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 도서봉사를 갔는데ᆢ 어떤 아이가 ○○어머님이시죠?? ○○이가 불량써클 대장과 단짝인데 어울리지 말라고 하세요ᆢ 그러는거에요ᆢ 전 그 아이의 눈을 보면서 말했네요~ 우리 딸이 그 아이와 친하다면 그럴만한 이유가 있겠지? 난 내 딸을 믿는다ᆢ라구요~ 상대방 남자 아이는 놀란 표정을 짓더군요ᆢ 그 후에 딸아이 이야기를 들어보니ᆢ 학교에서 학폭위가 열렸는데ᆢ 그 남자아이와 불량써클 대장이라고 표현했던 아이간에 다툼때문이였더라구요ᆢ 그래서 불량 써클 대장이라고 한거구요ㅎ; 내 친구가 소중하면 딸 친구도 소중한거겠죠??
@user-zm8nk5pm9t
@user-zm8nk5pm9t 3 жыл бұрын
히빱
@user-xu9jn3qf9x
@user-xu9jn3qf9x 2 жыл бұрын
@냠이 냠 "내 딸이 만나는 친구는 무조건 좋은 아이다"가 아니라, 우리 딸 아이가 좋은 아이이기때문에 좋은 친구가 되어줄수 있을거라는 믿음입니다. 몇년이 지난 지금도 그 친구와는 잘 지내고 있습니다 부모간에 교류도 있구요^^
@111you8
@111you8 3 жыл бұрын
10:37 요즘 젊은 사람들 답지 않게 일 잘하네.. 칭찬이라는 것을 머리로는 인지하지만 마음은 불쾌하게 느낀 이유를 말로 풀어내시네요
@user-ir6zy4fi9u
@user-ir6zy4fi9u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 강의가 옳습니다. 잘못된 칭찬은 불안하게 하고 관계를 깨뜨립니다. 한국인에게 맞는 칭찬법은 관계를 존중해 주는 칭찬법이네요~ 사려깊은 마음이 1% 성장하는 내가 됩니다.
@jklee4237
@jklee4237 4 жыл бұрын
그냥 아무 생각없이 했던 행동이나 말들을 다시 한 번 뒤돌아 보게 되는 강의 입니다. 감사합니다.
@happynessdog
@happynessdog 4 жыл бұрын
칭찬은 처음이 어렵지 두번 세번하면 칭찬한 사람이 같이 더 좋아 지는 것 같아요. 오늘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vk9zr7jo2i
@user-vk9zr7jo2i 4 жыл бұрын
칭찬도 아무 생각없이 하기 보다는 칭찬하는 대상이 가지고 있는 관계를 존중하며 칭찬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user-tx5tg5qm3k
@user-tx5tg5qm3k 4 жыл бұрын
진짜 노력은 칭찬해줘야 하는거같애요. 노력으로 인해서 원하던 결과가 안나오더라도 노력하는 동안에 칭찬받으면 결과가 좋지 않도라도 제 스스로가 기특하게 느껴지더라구요. 강연 정말 의미있게 잘봤습니당ㅎㅎ
@n1o2w3
@n1o2w3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관계중심 칭찬법 너무 감사합니다 칭찬에도 깊이가 다름이 느껴집니다 오늘 배운 칭찬법을 잘 활용해서 좋은 관계를 맺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hereismirror
@thereismirror 4 жыл бұрын
뭔가 무의식적으로는 느끼면서 산 것 같은데 강의에서 이를 명시적으로 제시해주시니 막혀있던 것이 뻥 뚫리는 기분이 드네요! 앞부분의 칭찬법은 이미 들어봤던 것들 위주였는데, 거기에 더불어 칭찬을 하더라도 관계를 존중하려고 노력해야겠어요!!
@kaypark7063
@kaypark7063 4 жыл бұрын
칭찬에 관한 여러가지 책들이 있는데 '한국인'에게 특화된 칭찬법이라 더더욱 내용이 유익했습니다. 핵심적인 내용을 짧은시간안에 정리해주셔서 앞으로 인간관계를 맺는데 있어 무척 도움될 것 같습니다. 교수님께서 재미있게 이야기를 잘 풀어주시네요^^
@user-fk1di2vx2v
@user-fk1di2vx2v 4 жыл бұрын
귀에 쏙쏙들어오는 강연이에요! 1)노력칭찬 2)이름불러 인격에 칭찬 3)의도하지 않은 행동도 칭찬 4) 관계를 살펴 칭찬, 인정해주고 지혜롭고 칭찬하는 법을 항상 염두해야겠습니다^^
@campushotspot9529
@campushotspot9529 4 жыл бұрын
인문학자 김경일 교수님의 강의는 언제 들어도 새롭습니다. 항상 좋은 강의를 위해 노력해주셔서 강의마다 깨달음을 얻습니다.
@yunpeter7
@yunpeter7 4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의 심리와 문화를 꽤뚫는 칭찬법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공감합니다! 자신의 관계 속에서 나를 찾고, 자부심을 느끼는 것은 한국인의 특징인거 같습니다. 한편으로 관계가 틀어지거나 비뚤어져 있으면 시기와 질투도 강한 것 같고요. 동질감에서 오는 칭찬받는 느낌은 좋은 관계속에서 나오는 것 같아요.
@user-wd8fz6qf3k
@user-wd8fz6qf3k 4 жыл бұрын
우리 삶에서의 사소한 언어습관이나 우리의 생각들을 구성하고 있는 것들을 정말 쉽게 쉽게 알려주시는 김경일 교수님께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제 막 고딩이 되는 학생이고 평소에 친구들과의 관계같은 것을 항상 고민하고 제 주변사람들에게 좋은 말만 해주고 싶고 좋은 인상을 남기고 싶어하는 저 같은 사람에게는 유용한 시간으로 와닿았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연 많이 부탁드립니다 김경일 교수님!
@user-ow8gk6yc1x
@user-ow8gk6yc1x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 귀에 쏙쏙 들어오는 강연 감사합니다. 교수님 강연 늘 찾아듣는데 강연 들으면 아~ 정말? 하고 물음표가 찍히는게 아니라 아~ 정말!!하고 느낌표가 찍힙니다. 그리고 실천하려고 노력하게 되고요. 앞으로도 좋은 강연 많이 부탁 드립니다. ^^
@user-qw7vy6sw1v
@user-qw7vy6sw1v 4 жыл бұрын
칭찬도 노력을 많이하자 감사합니다. 와우와우👍👍 오늘도화이팅입니다 👏👏👏👏👏👏👏
@user-kn4mg5gv5b
@user-kn4mg5gv5b 4 жыл бұрын
노력, 이름을 부르고 관계를 존중하며 상대방을 진실로 기분좋게 할 수 있는 칭찬을 할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KIM._.Hoyoung
@KIM._.Hoyoung 4 жыл бұрын
사실 우리나라사람들도 칭찬받고 많은 칭찬을 하려 노력한다. 하지만 익숙하지 않거나 하는 방법을 잘 모른다. 이영상을 보고 더 많은 우리나라사람들이 칭찬의 방법을 배워갔으면 좋겠다
@reny8826
@reny8826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 강의 정말 집중해서 잘 들었습니다. 관계요소를 뺀 칭찬. 노력이나 과정이 아닌 재능이나 결과를 뺀 칭찬에 오히려 기분 나빴던 경험이 있었는데 왜 그런지 이제야 이해가 됩니다~ 앞으로 칭찬을 할때 교수님 이론을 참고해서 칭찬하는 습관을 갖도록 노력해야 겠어요~ 10살이 된 아들에게도 제대로 된 칭찬을 통해 좋은 모자관계를 유지하고 싶네요~ 선생님 강연을 통해 저를 바꾸는 계기가 되었음 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lh1uk3lq2r
@user-lh1uk3lq2r 4 жыл бұрын
제가 너무 좋아하고 존경하는 교수님 ㅠㅠ♡♡ 예전에도 들어본적있는 결과에 대한 칭찬이 아니라 노력에 대한 칭찬이 중요하다는 걸 들어본적있습니다. 하지만 이 영상은 더욱 구체적이네요. 이름을 붙여 칭찬하고 예상하지못한 부분에 대해서 칭찬하는 것. 사소한 것이지만 매우 중요합니다. 이름을 부르는것!! 인격을 존중하는것!! 항상 영상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user-ir1bi5tr8u
@user-ir1bi5tr8u 4 жыл бұрын
한번도 생각해보지 못한 관계의 칭찬.. 깊이 배워갑니다 내 부모와 아이에게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user-zd1iz7uw2j
@user-zd1iz7uw2j 4 жыл бұрын
칭찬이 좋다고는 알고있었지만, 왜 좋은지, 어떻게 칭찬해야 좋은지 구체적인 이유까지 근거를 들어 말씀해주셔서 저 또한 그렇게 칭찬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다짐을 할 수 있었습니다!! ‘관계’를 고려한 칭찬. 마음에 너무 와닿네요..
@user-wx7ox1eh8p
@user-wx7ox1eh8p 4 жыл бұрын
♡노력을 칭찬해라 ♡이름을 불러 칭찬해라 ♡의도치 않은 행동도 칭찬해라 ♡한국의 관계주의 문화 -관계를 살펴 칭찬해라 그 세대의 장점을 이해하면서 칭찬하는 것 세바시 덕분에 정말 많이 배웁니다
@derekheo
@derekheo 4 жыл бұрын
늘 좋은 강연 잘 듣고 있습니다. 말을 참 재밌게 하셔서 대부분의 강연을 지루하게 느꼈던 저도 푹 빠졌습니다!
@user-tu9wu9qe8o
@user-tu9wu9qe8o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의 강의는 귀에 쏙쏙!! 관계 중심의 칭찬이 중요하다는 말씀 새겨 듣겠습니다. 엄마의 관계를 무시하는 말을 했을때 엄마가 얼마나 상처받으셨을지 이제야 깨닫게 됩니다. 아이들과 소통하려 그들 문화를 배우려 하기보다 또래문화를 인정해주는 것이 낫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교수님 강의를 들으면 교수님 얼굴의 미소덕분에 저까지 기분 좋아집니다. 고맙습니다^^
@umb7175
@umb7175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한국인들의 칭찬을 해야하는 부분을 알 수 있게 되어서 매우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eunicecha4411
@eunicecha4411 4 жыл бұрын
한국인만의 독특한 관계, 심리학적 접근이 귀에 쏙 들어오는 강의입니다~~ 아이와도 부모님과도 한 마디씩 관계로 칭찬하는 법 연습해 보겠습니다. 관계 심리에 대해 더 듣고 배우고 익히고 싶네요~~♡ 너무 흥미있네요~~
@jayapark
@jayapark 4 жыл бұрын
인격에 칭찬하라- 너무나 공감가네요. 일이든 성적이든 결과 지상주의인 우리나라에서.. 정말 필요한 화법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교수님 말대로 저도 당해봤고 알게모르게 남에게 해봤을지도 모릅니다. 상대에 따라 인칭을 생략하거나, 혹은 그 사람을 띄우거나. 반성하고 되돌아보는 강연, 15분이 되었습니다. 교수님 강연은 어떤 형태가 됐든 얻어가는 게 있네요ㅎ 감사합니다.
@user-id8qd6qk9e
@user-id8qd6qk9e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말씀하신것 처럼 칭찬이라는 말을 듣고도 기분이 좋지 않았던 적, 내가 어떤 대답 해야 하나 라고 고민한 경험이 많이 있었습니다. “내가 칭찬을 들은건가?, 저사람은 왜 저런 말을 할까?” 생각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영상을 보니 저도 상대방에게 제대로 된 칭찬을 하지 못했던 것 같고, 저도 모르게 타인에게 말 실수를 많이 했겠구나,,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습니다! 강연 내내 공감하고 심지어는 필기까지 하면서 열심히 들었습니다~ 김경일 교수님,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astellahg6664
@astellahg6664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 예전에 충남도서관에서 강연들었던 사람입니다.💙 그때도 센스있는 언변은 변함 없으셨고 무엇보다 강연후 질문자들에게 한명한명 웃으며 공손히 대하는 모습이 굉장히 인상 깊었습니다. 제가 충남도서관에서 들었던 강연자 중 가장 겸손하신분이셨습니다😌 그래서 맘속으로 내심 행보를 응원했는데 요즘 유튭인기영상으로도 가끔 나오시는걸 보면 반갑고 좋으네요ㅎㅎ 그때 인지심리학이란 심리학중엔 가장인기없는 분야이다. 라고 하셨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두각을 나타내는 인물이 되셨으니 정말 존경스럽네요! 앞으로도 계속 응원하겠습니다👍😊😊
@sebasi15
@sebasi15 4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이 꼭 알아야 할 칭찬의 방법 - 김경일 편, 책 이벤트 발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칭찬의 기술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 행운의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난한쿡사람임돠 @ 영광 @hayung96 @ Astellah G @ JIN HAN 당첨자분들께는 '십대를 위한 공부사전' 김경일 교수 친필사인본을 선물해드립니다~ 아래 필독사항을 꼭 확인해주세요!! ------------------------당첨자 여러분들의 필독 사항입니다------------ 1. 5월 28일 목요일 오후 6시까지 friends@sebasi.co.kr으로 '당첨자 본인 확인이 가능한 캡쳐 화면'과 함께 '성함, 연락처, 주소, 개인정보 활용 동의 여부'를 보내주세요.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하신 분들 께만 책 선물 발송이 가능합니다) 2. 당첨 확인 가능한 캡쳐 화면은 본인이 쓴 댓글 (수정 상태로) 캡쳐 또는 유튜브 본인 아이디가 나와있는 프로필 화면 캡쳐입니다. 3. 5월 28일 목요일 오후 6시까지 정보를 보내주시지 않으면 당첨은 자동 취소됩니다. 선물 발송은 모든 자료가 취합된 이후에 발송해드립니다. 세바시는 여러분과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
@user-pd6of3yc7c
@user-pd6of3yc7c 4 жыл бұрын
어머니의 관계를 건드리는 말을 자식들이 한다는 말에 정말 공감합니다. 내 기준으로, 내 잣대로 어머니께 간섭하고 비판을 했다는 생각. 또 마찬가지로 나의 딸들에게도 그렇게 했었네요 ㅠㅠ 항상 칭찬도 기술이 따른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zf2op3sx8d
@user-zf2op3sx8d 4 жыл бұрын
한국은 '관계주의'라는 말에 공감이 갑니다 그런데 한국도 점차 변하고 있는 것 같아요 개인이 소중하고 나의 행복이 우선시 되어가고 있는 것 같네요 어떤게 좋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저는 이런 변화가 긍정적이라고 봐요 너무 관계에 얽매여서 개인의 소중한것을 포기하지 말았으면 해요
@Monle_Milk
@Monle_Milk 4 жыл бұрын
모든 중요한건 밸런스라고 생각해요.
@user-xz7bs9ds5s
@user-xz7bs9ds5s 4 жыл бұрын
하지만 개인의 중요한 것만을 위해서 행동하는 것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어서는 안되죠
@agehaj6752
@agehaj6752 3 жыл бұрын
개인주의와 관계주의는 반대되는 개념이 아닙니다. 개인이 아무리 소중해도 관계를 떠나서는 행복할 수 없어요. 이 강연에서도 말하듯이 집단주의와는 개념이 아주 다릅니다!! 옛날 한국에서는 개인의 행복보다 집단의 이익이나 질서가 우선되었죠. (군대 문화, 조직 문화) 일본의 영향이죠 ㅠㅠ.. 지금은 님 말씀대로 우리도 개인주의로 서서히 변해가고 있구요. 당연히 그런 변화는 좋은 현상입니다. 개인의 행복이 선행되지 않고는 절대 건강한 사회가 될 수 없으니까요. 하지만 개인주의를 ‘관계보다 개인이 중요하다’는 의미로 생각하는 건 오류입니다. 개인주의는 ‘집단’보다 ‘개인’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지, 관계보다 개인이 중요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개인주의와 ‘관계’라는 게 대립되는 개념이 절대 아니에요!
@user-ds1iv5tj8v
@user-ds1iv5tj8v 3 жыл бұрын
@@agehaj6752 맞아요 개인이중요하다고 남에게 상처주고도 신경안쓰는 가끔다큰어른들보면 참 너무하다는생각도듭니다 이제내가소중해졌다고하면서 남은 안돌보는건 거의 이기적이지요 관계무시하는 그개인이 진짜행복한지 요즘 개인만 앞세우는 몇몇분 돌아보면좋겠어요
@mjk3500
@mjk3500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 강의를 들을때마다 마음이 따뜻해집니다. 이번 강의에서의 관계를 포함해서 칭찬하는 방법을 꼭 실천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fernandohermanlee9445
@fernandohermanlee9445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 어른 세대를 대표해서 소중한 지혜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소중한 지혜의 말씀들 귀담아 새기겠습니다. 늘 지혜롭게 중심을 잡아주셔서 감사합니다.
@aedahnedo9510
@aedahnedo9510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교수님! 강의 너무좋아요 너무 탁월합니다 뭔가 특별함이있는 집중하게되는강의!!!
@Missyun0049
@Missyun0049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넘 좋아요..^^ 부드러운 교수님만의 목소리 톤이 집중하게 만들죠..^^
@1000_sj
@1000_sj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교수님 강의는 항상 정보와 함께 재미도 같이 있어서 너무 좋아요! 세바시강연 좋다는건 알고 있었지만 교수님께서 다시 한 번 증명해주시네요ㅎㅎ 오늘도 배우고 갑니다^^
@JindodogNewYork
@JindodogNewYork 3 жыл бұрын
김 경일 교수님 강연 정말 우리나라에서 최고예요. 김 경일 교수님 강연은 다 들었어요. 좀 더 많이 들여 주세요. 감사합니다. 🙏🏻
@TV-zt3pv
@TV-zt3pv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강연을 통해 또 하나 배워갑니다 집에 있는 십대 아이들과의 관계도 시골에 계신 어머님과의 실수가 많았음을 느끼게 됩니다 귀한강연 감사합니다
@user-su5ub8ry3h
@user-su5ub8ry3h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는 늘 챙겨보고 있습니다~~
@a01068177388
@a01068177388 4 жыл бұрын
열번도 더 들어도 좋을것 같은 훌륭만 말씀, 감사합니다^^
@user-qm1my9kn6q
@user-qm1my9kn6q 4 жыл бұрын
어려서 부터 무얼 하든 칭찬해주신 나의 부모님 내가 하는일은 무었어든 잘한다 칭찬 해주신 엄마 아버지 너무감사 합니다~
@wnltnrl12
@wnltnrl12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교수님 유쾌하시고 유머러스 하셔용ㅋㅋ ㅋㅋㅋ강의 너무 재밋어서 일부러 찾아보고 잇습니당!ㅋㅋㅋㅋㅋ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당😍
@mojuhoho
@mojuhoho 4 жыл бұрын
노력과 인격과 관계를 칭찬... 반대로 그것들을 무시하면 안 되겠네요...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gongdeokjang
@gongdeokjang 3 жыл бұрын
관계~~관계에서 받고 싶은건 인정이죠. 나와 관계된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그게 살아가는데 기쁨이되고 자존감이 올라가고 행복하다고 느끼게 합니다.
@user-tg5td3zy4n
@user-tg5td3zy4n Жыл бұрын
칭찬하는 방법을 이리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좋게 유지하고, 처음 본 사람과도 잘 친해지는 방법 중 하나가 칭찬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덕분에 소통능력이 더 좋아질 것 같아요. 좋은 정보를 주시고 실천할 수 있게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df8kl4pn1r
@user-df8kl4pn1r 4 жыл бұрын
목소리만 들어도 마음이 편안해져서 늘 듣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user-tw7hp8bq8v
@user-tw7hp8bq8v 4 жыл бұрын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td2db5px6t
@user-td2db5px6t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 응원하고 있습니다^0^ 초등사춘기가 시작된 딸과 부딫힘이 많은데‥ 많은 도움 되겠어요~~ 감사합니다~♥
@ygh9809
@ygh9809 4 жыл бұрын
강의 정말 잘 하시네요! 칭찬에 대해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어요.
@user-wngpwlscjswoek
@user-wngpwlscjswoek 3 жыл бұрын
너무 귀한강연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잊지않고 실천하며 살겠습니다 ^^
@daamdaam5929
@daamdaam5929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 강의를 세바시에서 처음 만나서, 그 후에 모든 강의를 챙겨보고 있어요! 인지심리학에도 관심이 많이 생기게 되었고, 제가 실생활에서 고민하는 지점들과 명쾌하게 맞닿아있는 걸 정말 많이 느껴요. 김경일 교수님,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 세바시에게도요! 김경일 교수님 책 받아서 꼭 읽어보고 싶어요- 이벤트 신청합니다 :)
@moodybookworml2855
@moodybookworml2855 4 жыл бұрын
칭찬하는것도 정말 쉽지 않은듯합니다... 아이들이 칭찬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게 제탓이었군요ㅠㅠ 칭찬의 기술 하나 배워갑니다~~ 나 자신을 발전시키고 주위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을수 있는 좋은 강의들 감사합니다^^
@otpioneer
@otpioneer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에 제 자신에 대한 사회적 기술의 향상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제 자신에게 부적한 것들 반성해야할 것들 잘하고 있는 것들 되새기며 16분이 오늘 하루중 가장 소중한 시간이 되었습니다.
@taebonge
@taebonge 3 жыл бұрын
칭찬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강연 잘 들었습니다. 교수님, 존경합니다.
@user-vu2mi7xt1v
@user-vu2mi7xt1v 4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을 위한 칭찬의 기술 ~관계를살펴 칭찬하라~ 들을수록 공감 되는 말씀이니다
@TV-qe4qj
@TV-qe4qj 4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konair4948
@konair4948 4 жыл бұрын
진정으로 궁극적으로 소중한것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되는 계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Hyewonjang
@Hyewonjang 4 жыл бұрын
상대의 관계까지 고려하는 칭찬 ^^ 새로운 접근이네요! 감사합니다
@ChrisSukyongJang
@ChrisSukyongJang 4 жыл бұрын
역시 김경일 교수님이신요. 학부 골라야 한다면 교수님께 배웠었다면 제 삶이 어땠을까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user-cx2bd5rj9u
@user-cx2bd5rj9u 4 жыл бұрын
저도 올바르게 칭찬해야겠어요.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1. 재능보다 노력을 칭찬하고 2. 이름을 부르면서 칭찬하고 3. 의도하지 않은 행동도 칭찬하고 4. 관계를 칭찬해라 3,4번은 좀 어렵더라도 1,2번은 꼭 실천해 볼려고요
@3tv441
@3tv441 4 жыл бұрын
영상 꾸준히 보고있습니다. 정말 삶에 도움이 되는거 같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user-yenature
@user-yenature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 강연 너무 좋아요.. 몇 년 전에 다른 강연으로 처음 접했는데 여전히 제게 큰 깨달음과 조언을 주시네요!
@002yw
@002yw 4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정말 좋아하는 김경일 교수님. 일부러 강연들을 찾아볼 정도로 하시는 말씀 하나하나 공감하고 생각해보게 됩니다. 이번 칭찬의 방법을 알려주신 강연도 많은 걸 배우게 되네요. 친필 싸인책을 받게 된다면 큰 영광이 될 것 같습니다.
@고니_TV
@고니_TV 4 жыл бұрын
칭찬은 구체적으로 정확히! 그 사람을 탐구해서 그 사람의 특징을 담아서 진정성 있게 하면 좋겠네요
@tv-iq6tf
@tv-iq6tf 4 жыл бұрын
말씀이 넘나 재미져요~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user-qx3ro9jk4b
@user-qx3ro9jk4b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교수님의 강의는 역시 대박입니다 너무 감사해요 이런 강의는 자주 해주세요
@lester6488
@lester6488 4 жыл бұрын
칭찬에 인색한 우리에게 정말 소중한 강의입니다. 비난하고 시기질투하는 사회가 아닌, 인정하고 칭찬하는 대한민국이 되길 바랍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ht7ey4so7m
@user-ht7ey4so7m 4 жыл бұрын
중2학생입니다 저로써는 정말 공감하였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공부에 찌들리고 경쟁에 찌들려 삽니다 하지만 저는 무엇보다 학생들이 가장 힘들어하는건 부모님들에게 사랑을 못받고 노력이 무시되어 포기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겁니다 교수님 아이러니하게도 경쟁속에서 살아가지만 어떻게든 관계를 형성하는 모습이 어떻게 보면 안타깝게 보이기도 하네요 저는 교수님의 이번 강의를 통해 우리인간들이 절대 혼자서는 이삶을 살아갈 수 없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정말 휼룡한 강의였습니다 요즘 세바시를 통해 정말 많은 깨달음을 얻은것 같고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을것만 같습니다 개인적으로😊제발 안사라졌으면 좋겠습니다 세바시 화이팅!!!
@MYSY536
@MYSY536 3 жыл бұрын
어휴~ 학생들이 이렇게 훌륭한 생각을 갖고 있다니 어른인 저보다 낫네요~ 참 대견스럽네요^^
@yjjh1020
@yjjh1020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 강의 늘 재밌고 유쾌해서 시간가는 줄 모르고 보게 됩니다. 평소에도 칭찬인데 왠지 찜찜한 칭찬같은게 있더니 다 그런 뜻이 있었네요. 관계에 의한 칭찬 기억해두겠습니다^^
@user-zh5zc1bt4x
@user-zh5zc1bt4x 4 жыл бұрын
저는 따라하고 배우고 싶은 분이 김경일 교수님입니다. 말도 잘하시고 유머스럽고 처음보는 사람들을 집중할 수 있게 만드는 힘이 보이며 심리학적으로 알려주시는 행동들을 모두 실천하고 있습니다. 1달에 두번씩 인부묻기와 화가날때는 그자리에서 도망가고, 목표는 항상 크게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시간은 칭찬을 통해 또 행동으로 옮기면서 자기계발을 키워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pl8nc3py8w
@user-pl8nc3py8w 4 жыл бұрын
의도하지 않은 행동을 칭찬한다. 정말 정말 좋은 말씀입니다. 저도 초등학생때 우연히 받은 이 칭찬으로 인해 그 이후 앞날이 달라졌어요. 그림에 대해 소질이 없다고 생각하며 살던 제가 우연히 다니게 된 미술학원에서 내가 잘했다고 생각하지 못한 포인트에서 칭찬을 받았었습니다. 그런 칭찬을 받은 첫 기분은 당황이었고 몇초후 기분이 날 듯했어요 . 단언컨대 그때만큼 기분이 날듯한 순간은 없었습니다. 그이후 저는 제 스스로 잘난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살았고 점점 잘난 사람으로 변해갔습니다. 취미로 배웠던 거지만 지금은 미대 친구들만큼의 실력이 됩니다. 성인이 된 지금도 그 기분, 그 상황을 잊지 않고 저의 자존감을 지키고 높이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 기분을 저만 느낄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느꼈으면 해서 열심히 실천하며 살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제가 느꼈던 감정을 느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더 열심히 실천하며 살겠습니다. 더 잘난 사람이 되겠습니다.
@user-fs5ft6kk8n
@user-fs5ft6kk8n 4 жыл бұрын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는데, 교수님의 강연을 듣다보니 저도 모르게 칭찬의 3가지 방법을 전부 사용하고 있던걸 발견해서 뿌듯한 마음이 드네요. 특히 설령 누군가의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선생님은 OO이의 잠재력을 믿어. 선생님도 많이 아쉽지만 다음엔 더 좋은 결과가 있을꺼야~"라는 말로 더 응원하게 되곤 하더군요. 관계의 측면까지는 생각해보지 못했는데 이제 그 부분까지 신경써서 칭찬을 해야겠습니다. ㅎㅎ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예시도 너무 와닿고 전달력이 정말 좋으시네요
@user-ne5vb7rn9p
@user-ne5vb7rn9p Жыл бұрын
3ㅡ3ㅡㅡ3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3ㅡ
@user-ss2gc1rj4j
@user-ss2gc1rj4j 4 жыл бұрын
사람 심리를 이용해서 저를 통제하고 이용하려는 사람에게서 상처 받고..교수님 강의를 들으면서 치유 받고 가요. 늘 감사드려요.
@user-nd4lv3pc3b
@user-nd4lv3pc3b 4 жыл бұрын
김경일교수님 좋아요~ 😍 지루하지 않고 귀에 쏙쏙~ 😍
@sebasi15
@sebasi15 3 жыл бұрын
"⭐️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 bit.ly/3gAQXT6"
@user-yf2zm6tz4h
@user-yf2zm6tz4h 3 жыл бұрын
ㅣ111ㅣㅣㅅ.
@user-yi1rf9hj7g
@user-yi1rf9hj7g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관계주의 문화라는 배경을 깔고 보니 이해되는 게 많네요. 도움되는 강의 감사합니다. 김경일 교수님 강의는 꼭 챙겨봐요^^
@user-hx9ie7uv4i
@user-hx9ie7uv4i Жыл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 강의가 적절한 것 같습니다. 잘못된 칭찬은 불안하게 하고 관계를 깨뜨립니다. 한국인에게 맞는 칭찬법은 관계를 존중해 주는 칭찬법인 것같습니다. 사려깊은 마음이 1% 성장하는 내가 된다는 말이 가장 마음에 와닿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ye9zb2ic5z
@user-ye9zb2ic5z 4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하고 즐겁고 유쾌한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너무 잘봤어요!!
@user-ec7yy4se1j
@user-ec7yy4se1j 4 жыл бұрын
이름을 부르며 노력을 정확하게 칭찬하는 습관을 만들어 가도록 하겠습니다 ^^
@user-bx6ht1wd8v
@user-bx6ht1wd8v 4 жыл бұрын
많이 배웠습니다. 나이든 세대를 이해하는 소중한 관계 존중해 드릴게요
@user-rc7pu8kh2f
@user-rc7pu8kh2f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명 강의~ 칭찬의 접근과 방법에 대해 잘 들었고 실천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uxfium
@luxfium 4 жыл бұрын
정말로 댓글을 안다는 편인데, 교수님 감명을 많이 받았습니다. 지금에라도 이것을 알았다는게 너무 다행입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제 주변과 좀 더 풍성한 인생을 꾸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solzzi15
@solzzi15 4 жыл бұрын
평소 유튜브에서 김경일 교수님 강의를 잘 듣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좋은 강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두 딸을 키우는 입장에서 이번 이벤트 경품이 탐나네요^^;;;;;; 욕심이라는 감정은 인간으로서 자연스러운 감정이겠죠?!?!^^;;
@koreamenitionentertainment7618
@koreamenitionentertainment7618 3 жыл бұрын
한국인들만의 특징(모든 사람들이 전부 다 그렇다는게 아니라 대략 보편적으로) : 관계주의=집단주의=오지랖=획일화 ➡ 넷다 똑같음. 숨막힌다...
@leahna5356
@leahna5356 4 жыл бұрын
인칭을 넣어서, 동기와 과정을, 의도되지 않은 행동까지, 칭찬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구체적으로 배우고 갑니다. 나아가 세대를 이해하며 관계를 인정하는 멋진 칭찬 정말로 획기적이고 효과적일것 같아요. 오늘부터 당장 사용할거에요.
@user-mp7ob7hg8p
@user-mp7ob7hg8p 4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내용이네요 부모나 교사뿐 아니라 직장인들에게도 필요한 내용입니다 노력과 인성에 대해 칭찬하는 사람이 되어야겠습니다
착한데 매력적인 사람이 가진 세 가지 이것 (김경일 교수)
15:30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311 М.
TRY NOT TO LAUGH 😂
00:56
Feinxy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Tom & Jerry !! 😂😂
00:59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잃으면 후회할, 당신을 매력적으로 만들어 줄 사람들의 특징 (김경일 교수)
17:53
TRY NOT TO LAUGH 😂
00:56
Feinxy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