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상 속 반말은 촬영과 편집을 담당하는 동튜브에게 설명하는 컨셉이니 이해부탁드립니다. ● 영상을 보시고 혹시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 차업차득 인스타그램 ] : bit.ly/3srzhAZ ● [ 차업차득 블로그 ] : bit.ly/3K0QHdI #자동차상식 #자동차관리 #운전상식
Пікірлер: 989
@정상현-h1k2 жыл бұрын
현직 검사원입니다. 검사가 끝난 자동차를 차주에게 넘겼더니 차주가 왈 검사가 끝나고 차가 안 나간다는 겁니다. 가서 확인해보니 주차 브레이크를 제가 체결한 상태에서 그대로 운전 했더군요. 황당했지만 친절히 설명해줬더니 주차브레이크를 처음 봤다는 얘기를 하더군요. 체결을 하고 안 하고를 떠나서 주차 브레이크 자체를 몰랐다는 황당한 얘기를.... 정말 차에 대해서 너무 모르고 운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자신뿐만이 아닌 다른 사람을 위험에 처하게 하는 일인데....
@빅친-n7p2 жыл бұрын
아이고... 저는 부모님이 타던차 첫차로 받았을때 자동차 메뉴얼 3번읽고 탔는데 요즘은 옵션이 많아져서 메뉴얼 꼭 읽어보고 타는게 개인적으로 좋은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ps. 자동주차 써본적 없음
@배고파-q1p2 жыл бұрын
에이 설마요... 무면허 아닐까요?
@scorpionred40902 жыл бұрын
면허증 발급을 다시 해야 합니다..ㅋ
@WhatThe.....2 жыл бұрын
@@저승사자-k6j 풋파킹보고 클러치 아니냐면서 자기는 2종이라 운전 못한다고 했던 대리기사분이 생각나네요ㅋㅋㅋ
@vsy562 жыл бұрын
최근에 신차로 운전시작한 사람이면 그럴수도 있을거 같긴 한데 그래도 너무하네요 ㅎㅎ
@yohan66612 жыл бұрын
평지에서 안채우는 버릇하면 나중에 진짜 채워야 할 경우가 생길때 무의식중으로 안채우고 내리는 경우가 생기기 떄문에 무조건 채우는게 좋습니다.
@soo86952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죠
@가을시선2 жыл бұрын
ㅡㅅ
@가을시선2 жыл бұрын
ㅈㄷ
@가을시선2 жыл бұрын
ㅊ
@가을시선2 жыл бұрын
ㅈ
@JjerryYang2 жыл бұрын
정보 감사합니다. 항상 주차를 하는곳(주로 집 주차장)에서는 P를 놓고 크게 움직이지 않으면 주차브레이크를 잘 채우지 않았는데, 앞으로는 잊지 말고 챙겨야 겠네요. 그리고 차에 고임목정도도 미리 준비를 해야 곘습니다. 더운 날에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유튜브회원-k3z2 жыл бұрын
와... 15년전 면허학원에서 강사님이 꼭 해야 한다고 알려주신 이후 평지, 경사 할 것 없이 전부 당연하게 해왔는데... 주차브레이크를 평소에 안한다는 분들이 많아서 놀랐네요;;
@풀뿌리민주주의-q1e2 ай бұрын
제 주변에도 진짜 많음
@김민수-s4p2 ай бұрын
저도 무조건 하라고 배웠어요
@풀뿌리민주주의-q1e2 ай бұрын
@@김민수-s4p 그 주차정산대에서 파킹 안하고 내려서 차에 낑겨서 죽는 사람들.... 정차 -> P단 -> 주차브레이크 공식만 습관들였어도 안죽었음
@grit81 Жыл бұрын
미션의 안녕을 위해 오래 전부터 해오던 습관을 공유합니다. D단에서 풋 브레이크 밟고, N단이동(풋 브레이크 유지) > 사이드 브레이크(풋브레이크 유지), 사이드 잘 걸렸나 브레이크 잠시 떼고 다시 브레이크 밟고, P단 이동 끝. 아직 모르시는 분들이 꽤 많더라구요. 순서를 적어보려니 잘 안 떠오르는데 몸은 이미 습관이 되어서 매일 차에서 내리는 것 마냥 일상이 되었네요.
@G.Hibiki2 жыл бұрын
그냥 습관이 되어서 무조건 하는편입니다 ㅎㅎ 막약에라는 사태를 대비해서 그리고 안전을위해 항상 채결하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2023MooHyeon2 жыл бұрын
사이드나 풋브레이크일때는 귀찮은데, 전자식을 구입한 이후로는 무조건 하는 편이네요. 버튼만 누르면 되니
약간만 경사가있어도 주차브레이크를 채웠었는데 이젠 그냥 평지에서도 맘편히 채워놔야겠네요~~유익한 정보예요!!!
@탱탱또또2 жыл бұрын
경사로에서 앞바퀴를 벽과 같은 장애물이 있는 쪽으로 돌리는 것도 잊지마세요. 브레이크에 부담도 줄이고 안전하고 벌금도 피할 수 있어요.
@jjjjjd92 жыл бұрын
이거는 무슨소리인가요? 몰라서 여쭤봅니다~
@cooger772 жыл бұрын
@@jjjjjd9 핸들을 틀어놓으란 소리입니다~ 경사면 쪽이라고 말해서 헷갈릴수있겠네요 정확히 쉽게 말씀드리면 경사로에 세울 때, 만약 자신의 차가 브레이크 고장으로 굴러갈때 도로 가장자리 가드레일이든 갓길이든 벽이든 그쪽으로 굴러가도록 핸들을 틀어놓으란 소립니다~ 아니면 고임목을 대던가 경사로 가장자리에 전봇대나 가로등이 있다면 경사로 윗쪽 방향에서 살짝 띄워서 굴러갈때 전봇대나 가로등에 막혀 멈추도록 주차하심 됩니다~ 물론 수 미터 이상 띄워놓는다면 전봇대나 가로등도 안전하지 못하겠죠? 50cm~1m정도 띄워놓으면 경사로 밀림시에도 충돌하지 않을 거리이니 적정한 거리라고 보여집니다 그 외에 다른 어떤 방법으로라도 자동차가 굴러가지 않도록 조치 해놓으면 됩니다 뭐 잘 잡는일은 없는데 FM대로 하자면 위 셋 중 하나라도 미이행시 범칙금 3만원 부과 대상입니다~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 부담은 상관이 있나 모르겠네요.
@탱탱또또2 жыл бұрын
@@allaboutkoreanlife 바퀴를 돌리면 중력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중력과 방향이 사선이 됩니다. 쉽게 말하면 경사면으로 내려 가려는 힘이 작아집니다. 브레이크를 밟는 양으로 어느 정도 감이 오실 겁니다.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탱탱또또 네 중력은 아는데 제말은 브레이크가 이미 잡혀있는데 차가 움직이는게 아니면 경사라 하더라고 브레이크에 따로 부담이 갈게 있냐고 여쭤본거에요
@k_fever80572 жыл бұрын
한번도 주차 브레이크 안한적이 없는데 저 잘하고 있는거네요ㅎ 근데 의외로 주차 브레이크 모르는 분들이 많다는 사실에 놀랐네요
@sopberry2 жыл бұрын
무조건 "해야된다!" 입니다 안 해도 된다 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안전불감증에 걸린거나 마찬가지지요..
@hkim60822 жыл бұрын
차를 안타는건 어떨까요? 그게 더 안전할텐데
@yada_whatamidoinghere2 жыл бұрын
다만 겨울철 영하 이하의 날씨에서 주변이 습한 야외에 주차할 때는 주차브레이크를 하지 않고 주변에 돌멩이 구해다 받쳐놓습니다.
@masterediy2 жыл бұрын
반드시 하시고 걸어야합니다.
@yada_whatamidoinghere2 жыл бұрын
@@masterediy (아시아경제) 겨울철 꼭 기억해야할 차량관리법 4가지 구체적인 일반인이 잘 모르고 있지만 꼭 알아야 되는 겨울철 차량 운행관리 주의사항에 대해 꼼꼼히 살펴보면, 우선 겨울철에는 습관적으로 채우던 사이드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고무가 찢어져 수분이 들어가면 잘 마르지 않는데, 날씨가 추울 경우 결빙되어 해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겨울엔 가급적 평지에 주차하는 것이 좋으며, 주차 시 오토미션은 P(주차)에, 메뉴얼미션은 1단이나 후진에 넣는 것이 좋다. 사이드브레이크가 해제되지 않을 경우 당황하지 말고 사이드브레이크 레버를 세게 올렸다 내렸다 반복하면 얼어붙은 부분이 떨어져 풀릴 수 있으므로 응급처치를 하고 가까운 정비소에서 케이블을 교체하면 된다. EPB(전자식 주차브레이크)시스템이 장착 되어있는 차량은 도로 구배 및 주행조건에 따라 주차 케이블 장력이 자동 설정되므로 안심해도 된다. 차가 고장나도 본인차가 고장나는 것이니 굳이 하겠다면 말리진 않습니다.
@종이75 ай бұрын
@@yada_whatamidoinghere운전직 9년 일하면서 겨울철 사이드채워서 문제된적 한번도없음😂
@Ddd-tm5tx2 жыл бұрын
여기서 파킹브레이크 그냥 거는것보다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N단에 위치시킨후 파킹을 걸고 그다음에 브레이크를 뗏다가 다시 밟아서 P에 위치시키면 미션과 파킹폴에 무리가 가지않고 내구성이 증가합니다!!
@yunseojeong73122 жыл бұрын
죄송한데 파킹을 걸고라는 말이 사이드브레이크를 채우라는 말씀인가요? 초보라서요ㅜㅜ 파킹을 걸고 가 P에 위치시키란 뜻인지 사이드브레이크를 채우란 뜻인지 모르겠어서요ㅜㅜ다시 설명부탁드려요ㅡ 감사해요
@기본기본-t6c2 жыл бұрын
@@yunseojeong7312 브레이크밟고 n단 넣으시고 사이드 채우고 브레이크 발떼고 차 다 밀리고나면 p넣기 입니다
@기본기본-t6c2 жыл бұрын
@@yunseojeong7312 사이드채우고 바로 p단넣어도 경사로에선 차가 찔끔 뒤로 밀려서 그렇습느다
@KIM_T_WORLD2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 정말 유용한 영상입니다. 운전자들이 다들 봤으면 좋겠네요. 주차(파킹) 브레이크 꼭 사용합시다~~
@배고파요-j3b2 жыл бұрын
방향지시등, 주차브레이는 장식이 아니라 사용하라고 있는 기능 입니다.
@룩이-x1z2 жыл бұрын
1급 공업사 다니는 지인이 말하더군요. 평상시에는 사이드를 채우든 안채우든 연관 없다고 봐도 된다고. 경사진 곳에서만 사이드 제대로 채우면 멀쩡하게 잘 타고 다닌다고요. 일반평지에서는 자신도 사이드 안채이지만 조금이라도 차가 경사진다면 채운다고 합니다
@아들만셋-b4y2 жыл бұрын
평지에서도 해야하나 말아야하나 그게 중요한게 아니고 항상 채우는 습관이 중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달마도-y4nАй бұрын
@@아들만셋-b4y그 습관이ㅋㅋㅋ눈 많이 오는 날 평디에 세워두고 사이드 채우면 케이블 얼어서 사이드 안 풀린다 ㅋㅋㅋ니가 다 정답이라고 생각 하지마라 ㅋㅋ
@아들만셋-b4yАй бұрын
@@달마도-y4n 그런 상황따지지 말고 평상시에 잘하라고ㅋㅋㅋ그러는 넌 니가 정답이라고 생각하는거지?ㅋㅋㅋ누워서 침뱉는 소리나 하지말고 눈많이 왔으면 차는 놓고 다녀라ㅋㅋ
@김무성-w9z2 жыл бұрын
무조건!!! 내 차, 타인의 생명 및 재산이 중요하다면 항상 파킹브레이크 체결하시길...
@wkp63492 жыл бұрын
중립>사이드>풋브레이크해제>파킹 순으로 출고하자마자 평지든 아니든 항상 하는중... 평지인줄 알았는데 사이드 하고 브레끼 푸니까 살짝 밀리는 경우도 있기에...
@성냥2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 방식으로 하고있어요! 어디선가 주워들어서....ㅋ
@ssong58162 жыл бұрын
요즘차는 마지막은 그냥넘어가도 시동꺼지면 자동으로 파킹으로가요 ㅋ
@K9vvip2 жыл бұрын
제일 중요한건 시동 끄고 풋브레이크 발 떼는거임 파킹- 사이드 -시동끄고 풋브레이크 발떼는식으로 해도됨
@ZzxsSxX2 жыл бұрын
@@ssong5816 자동으로 파킹 가는게 문제가 아니라 중립상태에서 p 기어 걸리기 전에 사이드 먼저 채우고 발떼면 완전히 사이드로만 잡고 있으니 이때 p로 기어변경하는게 포인트임.. 님이 말한 기능은 김여사들이 무지성으로 d에 놓고 차에서 내려도 차 안굴러가게 제조사가 배려해서 만든 기능일 뿐 주차시 이렇게 하세요 라고 만든게 아님 이 영상에서도 그걸 지적하고 있는게 본론이고.
@user-os1ls3hi1d2 жыл бұрын
@@ssong5816 답답하네 신형 차량들이나 그런거고 아직도 길거리 돌아다니는 차량들은 수동식 파킹브레이크가 대다수입니다
@wolpidong2 жыл бұрын
3분 20초 짜리 영상인데 결론은 2:00에서 나오네요ㅎㅎ
@다가나-t3v2 жыл бұрын
주차 브레이크는 평지 경사 상관없이 당연하게 하는건줄 알았는데 그게 아닌분들이 생각보다 엄청 많아서 당황스럽네요..
@Bhgxzdgg3 ай бұрын
@@LImperatrice0면허 어케 땀?
@KpopKeeper2 жыл бұрын
주차시에는 주차브레이크를 무조건 하는 1인 일본어식 영어인 사이드 브레이크로 명칭을 아시는 분이 많은데 우리나라 명칭은 주차브레이크가 맞습니다.
@새가날아든다2 жыл бұрын
변속기어에 데미지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주차브레이크는 무조건 해야 한다고 봅니다!
@이준토끼2 жыл бұрын
현직 정비사입니다. 한가지 더 알려드리자면 간혹 운전하시면서 신호에 걸리면 n 에 두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그냥 드라이브에 두고 브레이크를 밟고 계시는게 더 안전하고 미션에 무리를 안줍니다.. 연비 차이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조언좀 해주세요. 정비소에서 엔진오일교환하고 출고 대기 시 짧은 시간동안 세워놓지만 정비기사가 파킹브레이크 안하고 P에만 놔서 (정비소 앞은 경사진 곳이 많음) 신경 쓰이는데 이거 어떻게 정비기사한테 뭐라 말하는게 좋을까요??? 출고대기 시 파킹브레이크 좀 채워달라고 말하면 이상한 사람같아 보일거 같은데.. 그리고 사실 채워달라고 말해봤자 경사로에서 그냥 P에 놓고 브레이크 발 떼서 덜컹 한다음에나 파킹 채울것같기도 하고...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이준토끼2 жыл бұрын
@@allaboutkoreanlife 아 p에서 드라이브로 옮길시에 덜컹거리면서 충격을 말씀 하시는것같습니다. 경사진곳에서는 왠만해선 파킹브레이크도 같이 하는게 좋죠. 제일 올바른 방법은! 경사로 주차시에 브레이크를 밞은 상태에서 n단 > 파킹브레이크 체결> p단에 두는것입니다. 그러면 나중에 변속 하셔도 덜컹 충격은 없으실겁니다! 경사로에 사이드 체결안하면 미션에 무리를 많이 주니 꼭 사이드 체결 하라고 해주세요!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이준토끼매번 갈때마다 유별나 보이게 그걸 말하는것도 껄끄러운데.. 정비사분들이 왜 주차브레끼를 안채우는걸까요
@이준토끼2 жыл бұрын
@@allaboutkoreanlife 계속 꾸준히 말을하세요 ㅎ 언젠간 자연스럽게 사이드를 채울것같습니다
발렛이나 정비 마치고 차탔을때 주차브레이크 안걸려있어서 당황스러웠던적이 많은데 많은분들이 봤으면 좋겠네요.. 차를 세우면 주차브레이크 하는게 당연한건데..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진짜 발렛기사는 몰라서 그렇다 치고 정비기사가 그렇게 하는거는 뭐라고 이해야할지 나도 모르겠어요. 몰라서 그렇다고 하기도 우습고, 자기 차 아니니까 그렇다고 하기도 그렇고..
@쫑이-c3h2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전자식주차브레이크가 있어서 살짝 경사만있어도 자동으로체결되지만 비록 경사이니여도 주차브레이크는 하는습관을 갖는게 중요한것같습니다~
@kwj3302 жыл бұрын
주차브레이크 안하면 누군가 실수로 뒤나 앞을 들이받는다 치면 그 차량은 가만 있을까요 아마도 2차 사고가 발생 할 수도 있습니다...차대차 사고면 다행이지만 차뒤에 놀던 아이들 뭐 이런 인사 사고가 생길수 있어서 꼭 해야 합니다...
@본부봉구2 жыл бұрын
오토홀드 맹신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오토홀드 관련 영상부탁드립니다. 지인 정차하고 차에서 잠깐 나올때 오토홀드키고 차에서 내리는 사람들 보고 식겁했네요
@2-J-u-n-e2 жыл бұрын
오토홀드키고 문열고나오면 자동으로 파킹모드로 바뀝니다
@이재훈-q6w8z2 жыл бұрын
몇년전 어린이집 교사분이 사망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오토홀드 믿고...
@본부봉구2 жыл бұрын
@@2-J-u-n-e 되는차종이 잇고 안되는 차종이있어요....현재 도로위 달리는 오토홀드 적용차량 중 안되는 차량이 대다수일 겁니다
@Mohave27m7 ай бұрын
전자파킹 추가 옵션이 오토홀드로 알고있음
@토롱-b8g2 жыл бұрын
주차브레이크 안쓰고 P 주차만 했을땐.. ⚙️ 기어에 스트레스가 쌓이게 돼고.. 사람 뼈로 비유하자면 (스트레스골절) 피로골절 로 부러지게 됩니다.. 다 죽습니다~ 다~ 다~ 죽는겁니다~ 주차브레이크 로 주차하고 싶을때는 1.브레이크를 밟고 > 밟은 상태에서 2.주차브레이크 ON > 차량멈춤 확인 > P 주차브레이크 해제하고 싶을때는 1.브레이크 밟고 > N 2.브레이크 밟은 상태로 > 주차브레이크 off 3.원하는 변속단 D 또는 R 놓고 천천히 이동 p.s 급가속이 느껴졌다면 전방 좌우를 살피며 사람 없는 쪽으로 핸들을 미친듯이 감아서 벽에 꼴아박는다 (수리비는 나와도 자차 처리하면 돼고 다른 사람을 안죽이고 나도 안죽을수 있다) ●출발전 안전벨트 필수!!! ■고속도로 주행시 tip 화물차 < 나 > 버스 사이에 끼어서 운전하지 말것 고속도로 운전 tip을.. 대충 읽고 넘기면 피떡 압사로 돌아가실 확률이 올라가요.. 현기..주차브레이크 방식을 풋방식으로 만들던데..풋브레이크 방식 극혐입니다.. 손으로 땡기는 주차브레이크를 만들어주세요
@photoopen0528 Жыл бұрын
맨위 글 기어 스트레스 그말이 완전 100% 평지 일때도 해당되는 말인가요? 고속도로 휴게소 그정도 미세한 경사도 아니고 완전 100%평지 일때도 P주차만 하면 기어 스트레스 받나요?
@에르떠보2 жыл бұрын
주차완료후 중립(N)기어 > 파킹브레이크 > P 기어 이거만 잘 지켜주어도 아주 좋죠
@로션티슈2 жыл бұрын
최근 전자식 브레이크 차량은 차량 스스로가 주차된곳은 경사도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하는거 같습니다
@slndalsu94992 жыл бұрын
무조건 해야죠 ~~~ 자꾸 안하고 그러면 그게 버릇이 되서 자꾸 못도 모르고 안하다가 .. 주차브레이크 안하고 그냥 갑니다 ~~ㅠ 그래서 꼭 여러분들 주차 브레크 꼭 채우시길 부탁 합니다 ㅎㅎㅎ
@경훈서-p6v2 жыл бұрын
이게 컨텐츠로 찍을 만한 주제라는게 놀랍다 ㄷㄷ 기본 아닌가
@김기덕-z9i2 жыл бұрын
주차시 풋 브레이크 밟은 상태에서 (자동)변속기 N 이동 후, 주차 브레이크(사이드브레이크) 채운 다음 변속기 P로 이동 하고 풋 브레이크 떼라고 하더라구요. 그래야 차에 데미지 덜 간다고..
@랄랄루sw2 жыл бұрын
평지에서는 그렇게 안해도 됨 걍 주차브레이크하고 P놓아도 충분함. 경사 주차에선 도움이 되겠지만여.
@MySkyline322 жыл бұрын
평지고 경사로고 나발이고 그냥 하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뭐하러 그런거 따로 구분해서 하고 말고 하나요? 뭐 어렵나요? 힘든가요? 복잡한가요? 시간이 오래 걸리나요? 그게 귀찮으면 운전은 어떻게 할까요? 그게 차량에 데미지가 덜 간다고 하기도 하고 그게 올바른 과정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저는 최전방 부대에서 운전병 교육받을때부터 그렇게 습관을 들여놔서 10년째 그렇게 합니다. 뭐든 습관이 중요합니다.
@mocrevan2 жыл бұрын
D나 R에 물려있다가 바로 P로 바꾸는거 보다는 중립으로 기어 1초 정도 아예 빼서 어떤경로로든 미션 간섭안하게 한 다음에 사이드 채우고 파킹거는게 좋지않을까요.
@MySkyline322 жыл бұрын
@@fly_blue 주차 스토퍼 때문입니다. 전면 또는 후면 주차로 주차 스토퍼에 걸릴만큼 주차를 완료하고 나서 기어를 N으로 변경하여 주차 스토퍼와의 거리를 살짝 떨어뜨리는겁니다. 너무 딱 붙은 상태라면 후에 경사로에서 시동걸고 출발하는것과 같은 현상이 생기는데 기어가 잘 안 빠진다거나 변속충격이 있습니다. 이것도 그냥 습관으로 주차 스토퍼가 있든지 없든지 그냥 하는게 신경 쓸것도 없고 좋습니다. 뭐 풋 브레이크 뗐다 밟는데 무릎 연골 얼마나 닳을까요?
@@Mad_bread P단 넣고 주차브레이크 해도 괜찮아요 조건은 브레이크를 안 때고 하면 됩니다. p단 물리고 브레이크만 잘 밟고 주차브레이크 넣으면 미션에 무리 안가요
@kdyu1782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 밟은 상태에서 P로 변환 후 핸드브레이크 올려도 됩니다.
@junytt2 жыл бұрын
@@Mad_bread 정확한건 아니지만 제가 주차경험이 일반인보다 우월하게 많은데 제 경험상은 엔단에서 잡고 피단넣는게 낫습니다 다른댓글들이 상관없다고하는데..제 경험상 브레이크를 마지막에 떼도 피에서 사이드잡아도 약간의 유격같은 밀림이 생기면서 기어뺄때 부드럽지않았습니다
@kimjinhyeok02 жыл бұрын
@@junytt 이게 정답 ㅋ
@숨성2 жыл бұрын
@@junytt 저도 이렇던데
@cjsthdghk81902 жыл бұрын
운전 경력 30년 입니다. 평지든 아니든 주차 브레이크는 항상 해야 된다는 사실은 운전자라면 염두에 두어야할 중대 사항 아닌가여? 차에서 내리면 차가 움직이지 않도록 철저하게 해놓는게 안전을 위해서 그리고 사고 유발을 막는 중대 사항이 아니냐는 것입니다. 애초 습관이 되면 차가 주차 되었을때 자동으로 주차 브레이크를 걸어 놓고 골목가라도 죄회전 우회전 일때 따라오는 뒷차가 없더라도 깜빡이 켜는 습관 자동으로 해나간지 삼십년 입니다. 앞차가 깜빡이를 안켜면 뒤에서 쫒아가다 어디로 가는지 애매할 경우도 있고 저멀리 골목가에서 마주오는 차가 깜빡이를 보고 지나가게 세워주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깜빡이 신호 역시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여~
@뒷동산멧돼지2 жыл бұрын
역시 믿고보는 방송 항상 궁금했는데 여기는 결론부터 말하고 설명해줘서 너무 감사합니다
@붕어빵-m6g4 ай бұрын
다른 전문가분들은 평지에서 채울 필요없다고 합니다 이 분 영상도 보면 평지에서 안채워도 된다는건데 평지가 아닐수도 있으니 습관적으로 채워야한다는거죠 본질은 안채워도 된다는 것임. 전 평지에서 안채웁니다 하지만 반드시 N에 두고 평지인지. 아닌지 체크해보죠 차 지금 23만인데 한 번도 드럼통 간적없음
@mseiksby45412 жыл бұрын
제조사가 바보도 아니고 그 큰 돈 들여서 주차브레이크 만들어놓은 이유가 다 있는거지 자동차 기술이 몇십년째 발전하는데도 주차브레이크가 옵션이 아니고 필수로 들어가는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ba_nana_2 жыл бұрын
요즘 차들 중에는 브레이크 밟은상태로 P에 기어를 놓으면 전자식사이드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잠기도록 되어있죠. 물론 출발하려고 브레이크 밟고 D로 기어를 변속한 후 엑셀을 살짝 밟으면 전자식사이드브레이크가 자동으로 해제되어 운전자가 불편하지 않도록 도와주고요. 오토홀드랑 거의 비슷한 원리라 어려운 기술도 아니구요, 참 좋은 기능입니다. 앞으로는 전 차종에 적용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하고 P에 놓는다고 자동으로 사이드 안 채워지던데요? 시동까지 끄면 채워져요??
@ba_nana_2 жыл бұрын
@@allaboutkoreanlife 그런기능이 없는 찬가 봅니다 르노 차들은 다 있어요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ba_nana_ 제 차도 전자식주차브레이크라서 뭐 오토홀드 상태에서 문열거나 하면 자동으로 채워지고 그런건 맞는데요, 제가 궁금한 건.. 그냥 P단만 놔도 자동으로 주차브레이크가 채워지냐는 거에요. 그런건 아니지 않나요? 르노차는 P단만 놓으면 주차브레이크까지 채워져요?
@ba_nana_2 жыл бұрын
@@allaboutkoreanlife 네 P로 놓으면 주차브레이크가 무조건 같이 걸려요 그러고 다시 D로 넣고 악셀 밟으면 다시 풀리면서 갑니다. D로 넣고 악셀 안밟으면 해제가 안되서 앞으로 안나가요.. 대부분 대리기사분들이 첨 타보시면 항상 차가 출발안한다고 물어보시더라구요
@ykhhero Жыл бұрын
신기하네요 전자식도 채워야될텐데
@youngcheasin2 жыл бұрын
요즘 차들은 파킹만 넣어도 주차브레이크가 잠긴다지요? 그런거 보면 평지건 경사건 무조건 주차 브레이크 잡는게 맞나봐요 ㅋㅋㅋ 륜쌩님 차 밀려서 후다닥 뛰어가시는 연기 너무 인상적이었습니다!ㅋㅋ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해요~~♡
@wandoo7172 жыл бұрын
처음 운전할때부터 습관이 들어서 주차후에 중립->사이드브레이크->파킹해놓습니다 경사로에서는 바퀴도 돌려놓는게 좋아요 이중주차가 아닌경우엔 사람들 안전을 위해서 내 차를 위해서 주차브레이크는 필수입니다 3중 안전장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오송근-k4f2 жыл бұрын
전 평지에서도 주차브레이크를 항상 채웁니다.기어중립 N 후 주차브레이크 걸고 P로 놓고 내립니다.습관이라서요~^^
@다이어트유지중인돼지2 жыл бұрын
기어중립이 먼저에요??? 전 p에넣고 체우는데
@thsutleosmswlsfl2 жыл бұрын
전자식파킹브레이크는 항상 작동합니다. 당연히 주차브레이크는 어느때나 하는게 맞습니다. 경사로는 고임목까지 둬야 하구요
@Black-cats2 жыл бұрын
역시.. 쉽고 좋은설명 감사합니다.👍👍👍
@KamuzXDriver2 жыл бұрын
많은 사람들 지금까지 주차(사이드) 브레이크 안 하고 있었던게... 놀랐네요
@Overmind__2 жыл бұрын
주차 브레이크 꼭 해야죠. 혹시 모를 상황에 타인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해야한다고 생각해요. 지인이 평지에 주차했는데 차 밀려서 뒷차 박은 걸 본 적이 있습니다. 습관으로 하지 않다보면 아예 주차 브레이크 하지 않는 사람도 종종 봤습니다.
@해바라기-v2w2m2 жыл бұрын
구동바퀴축이 아닌 축에 주차브레이크가 사용되는게 아니라 주차브레이크는 그냥 다 뒷바퀴에서 작동합니다..
@jokejoke_go2 жыл бұрын
채우는게 습관화 되어 있어서 혹시나 해서 봤는데 채우는게 좋다고 하니 다행입니다. 평지에서도 차는 움직일 수 있기에 위험합니다.
@MonoDoo2 жыл бұрын
알려주려면 올바른 사용법도 알려주셔야죠 평지든 경사로든풋 브레이크를 밟은상태로 주차브레이크를 넣고 발을떼야합니다 요즘나오는 차들은 파킹을 버튼이나 트리거로 조작시 풋브레이크를 밟은후 누르거나당기라고 알림이뜨지만 불과 2~3년전 차만하더라도 사이드레버를당겨 주차브레이크를 체결하는차량이 많기에 반드시 풋브레이크를 밟은상태로 주차브레이크를 체결해야합니다 풋브레이크를밟지않은 상태로 주차브레이크 체결시 차량의 고정은 안정될지 모르나 영상에서 언급된 파킹툴의 핀부분에 가해지는 데미지는 주차브레이크를 체결하나 안하나 별반 다를바 없습니다
@흑쥐와찍찍이2 жыл бұрын
고임목도 반드시 갖고 다닙시다~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하드코어시네요 ㅋㅋ 차종이 트럭이세요?
@Qody_449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너무 좋으세요! 배철수님 목소리 비슷하네요. 귀에 쏙쏙 들어오는 설명 감사합니다 😊
@아아앙-z7c2 жыл бұрын
역시 동튜브~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TheHyobin242 жыл бұрын
P만하면 된다는 사람들이 많아요 전자식사이드로 변경되고 사이드가 없다고하는 사람도 많구요ㅠ
@shinhomotors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도 너무 자주 쓰다보면 고장이 날거 같긴 하네요ㅠ
@yongboba71652 жыл бұрын
구독자입니다 ㅎㅎ정비하시면서 실제로 고장난차가 많나요?
@shinhomotors2 жыл бұрын
@@yongboba7165 저는 정비쪽이 아니고 판금도색 사고차 관련이긴 해서 제 전문은 아니지만ㅡ 실제로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오류도 많긴 합니다
@전지적뉴비시점2 жыл бұрын
@@yongboba7165 그냥 선택임.. 저는 평지라고 판단되면 안해요 케이블타입이건 전자모터 타입이건 그것도 쓸 수록 고장이 발생하죠 케이블타입들은 케이블 늘어나서 바꾸게되고 모터타입도 연식 좀 되면 간간히 먹통 봤습니다
@100613s2 жыл бұрын
고장나면 갈아야죠
@Aggggopp7 ай бұрын
@@전지적뉴비시점그게 평지라는걸 어떻게 장담함?? 진짜 운나빠서 사고로서 사람 한명 죽이는거보다 케이블 가는게 싸게먹히는거 아닌가?
@춘하추동-w7f2 жыл бұрын
제가 차 망가트리는 사람이였군요. 무식한거 설명 조금 해드리자면 2007년 신차 출고해 올해 4월까지 타고 다니는 동안 사이드 채운게 기억이 나지 않을정도고요 타워 주차장 관리자 분이 사이드 있는 힘껏 댕겼는지 내릴때 힘든 기억이 있네요. 너무 과신해서 오르막 이던 내리막 이던 그냥 P만 해놨어요(많진 않았어요) 아무 문제 없었고 당연히 브레이크 패드도 안갈았어요 (13만 km정도 탔네요) 차 바꾸고도 사이드 이야기를 영상으로 접하긴 했는데 경사로가 아니면 아직도 안채우고 다닙니다.
@duckraccoon.2 жыл бұрын
주차시 P에 놓고 발 떼지 마시고, N에 놓고 주차브레이크 넣고 발떼신 후에 다시 밟고 P에 놓는 것이 영상에서 나온 P기어 홈 마모가 덜 되는 방향이래요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에서요?
@duckraccoon.2 жыл бұрын
@@allaboutkoreanlife 이 영상에서 P기어 홈 마모에 대해 언급하는데, 마모 덜 시키는 방법 이야기 없길래 지인에게 들었던거 말한거에요. 이렇게 하면 마지막에 남은 힘이 P기어가 아니라 N기어로 전달되어 P기어에 영향이 덜 간다네요.
@Matt-pz5uo2 жыл бұрын
습관이 들수도 있어서 평지에서도 무조건... 채우게 됩니다 물론 언급하신대로 이중주차때 빼곤요.. 이게 습관이 무서워서 실수로 안채우면 곤란하니...
@LYJ93852 жыл бұрын
크.. 저 항상 하고있었는데 잘하고 있었다니 뿌듯합니다.
@seungjaeyeom19902 жыл бұрын
오! 그런가요? 전 경사진곳만 하고 평지엔 하지않는것이 옳은줄 알고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평지에선 안 해도 된다가 아니라 옳지 않다고까지 생각하신거는 왜 그런건가요? 궁금궁금
@seungjaeyeom19902 жыл бұрын
@@allaboutkoreanlife 풋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 한번씩 쿨렁하잖아요.
@오예오예멍멍2 жыл бұрын
무조건 채웁니다 단 2중 주차땐 조심해야죠 ㅎㅎ
@tl89862 жыл бұрын
확률은 적어도 다른차가 박던지 지진나던지 돌발상황에 조금이나마 예방된다면 쓰는게 좋아보이네요, 말그대로 주차브레이크니깐요
@게임똘이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꾸벅 늘건강하셔서 좋은 영상 많이 만들어 주세요
@stanpark82552 жыл бұрын
주차 브레이크라는 용어 자체가 주차시 사용하는 브레이큰데 이게 무슨 논란거리가 된다는 거 자체가 면허를 돈주고 딴 넘들이 많다는 소리
@goodbyedpi2 жыл бұрын
주차브레이크를 매일같이 사용하면 또 주차브레이크 쪽에서 발생하는 메인터넌스의 문제점도 있죠 게다가 중립-주차브레이크-파킹 의 프로세스를 따르지 않고 파킹-주차브레이크 사용시 이미 파킹폴이 힘을 지탱하고 있는 상황에 주차브레이크가 채결 되기 때문에 파킹폴의 내구성을 보호하지도 않고요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메인터넌스 ㅋㅋㅋ 차 자체를 매일 사용하는데 주차브레이크를 매일 사용 안할건 또 뭔가요 ㅋㅋㅋ
@goodbyedpi2 жыл бұрын
@@allaboutkoreanlife 10년이 훌쩍넘는 기간동안 여러대의 자동차로 백만km 가까이 달리면서 파킹폴 고장으로 정비를 맡긴 경험은 단한번도 없는 반면 매일같이 사용한것도 아닌 주자브레이크의 정비 사례는 다수 존재했으니까요 차를 매일 사용하니까 주차브레이크를 매일 사용해도 문제 없다는 소리는 어디서 나온 근거인지
@동-g9j2 жыл бұрын
사이드를 올린 후 p로 놓으면 파킹폴이 힘을 받지 않는 형태가 되는게 아닐까용??
@goodbyedpi2 жыл бұрын
@@동-g9j 네 주차브레이크-파킹 넣으면 힘은 주차브레이크가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shiningworld1432 жыл бұрын
습관이 중요 하죠. 안하던 습관이 들면 무의식적으로 경사로에서도 안할수도 있고... 그런 한순간의 방심이 내 차가 부서지는 거야 상관 없지만.. 다른 가정에 파탄으로 끌고 갈수 있죠... 전 그래서 경사로가 좀 심한거 같으면 주차브레이크 당기고 바퀴도 벽쪽으로 돌려놔요....
@문이네유튜브2 жыл бұрын
혹시 주차브레이크를 오랫동안 해놓으면 발생되는 문제는 없을까요? 만약 주차브레이크를 오랫동안 하고 있으면 헐거워 진다는 등의 문제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masterediy2 жыл бұрын
고착이 되는 경우는 있지만(습한 곳에서 몇년정도) 보통은 늘어나거나 헐거워지는 경우는 많이 사용하고 많이 시간이 지나서 문제가 생깁니다.
@gsjeong38842 жыл бұрын
@@masterediy 고착된 파킹브레이크는 수리가 가능한지요~ 2004년식 옛날 차량인데, 연비가 이상하게 안나와서 점검했더니, 고착되어있어서 풀고, 정비사가 웬만하면 주차브레이크 하지 말라고 해서 지금껏 안하고 있었는데, 이 영상보니 빨리 고쳐야하겠네요...
@masterediy2 жыл бұрын
@@gsjeong3884 보통 사이드브레이크 줄이 늘어나거나 그부분고착이라 해당부분 부속이있으면 교환하면됩니다
@gsjeong38842 жыл бұрын
@@masterediy 답변 감사합니다.~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주차브레이크는 아끼는게 아니에요~ 다른 모든 자동차부품에 비해 주차브레이크가 제일 덜 소모됩니다~~ 무조건 꽉꽉채우세요!
@ht302 жыл бұрын
어..? 주차브레이크 전혀 안했는데.. 이제라도 해야겠네요
@9118Lee2 жыл бұрын
형님 올리시는 거 늘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내일부터 비가 많이 온다네요. 안전 운전 하셔요~ 꾸벅.
@footro12 жыл бұрын
정확한 파킹브레이크 사용법 1. 브레이크 + 기어 중립 2. 파킹브레이크 (사이드, 풋, 전자식) ON 3. 브레이크 해제 (차량 덜컹거림) 4. 브레이크 밟고 기어 파킹으로 차 세울때 이걸 습관화하면 됨 훨씬 안전하고 부드럽게 정차가능
@touch3buttons2 жыл бұрын
3번을 생략하고 2번에서 4번으로 바로 넘어가면 안될까요? 궁금합니다.
@아스콘쿤스트2 жыл бұрын
무조건 해야됨!! 변속기의 건강과 나의 정신건강을 위해서!!! 전체적으로 자동차의 안녕을 위하여 주차브레이크 필수임!ㅎ
@jinyoung4942 жыл бұрын
항상유익하고 무심할것같은것을 알려주셔서감사합니다 참많이 유용해요~
@JyjFelix2 жыл бұрын
운전면허시험 볼때 학과에서 도로교통법관련한것만 주로 배울게 아니라 차라는게 어떻게 움직이고 구동되는지 기본적인 시스템도 같이 배워야 합니다
@GaegolMaster2 жыл бұрын
주차 브레이크는 해야 하지만.. 한가지 오류가 있습니다. 파킹 톱니는 기어와 무관하게 회전축과 접합되어 있습니다. 파킹 톱니는 기어가 아닙니다. 기어박스 안에 있다고 모두 기어가 아닙니다. 아울러 파킹으로는 차량 무게의 2배인가? 3배인가를 버티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경사로에서 왜 흘러가냐.. 톱니에 잘 물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톱니가 물리기 위해 체결되기전에 구르기 시작한다는 겁니다. 파킹 기어 파손등 보다 체결압이 낮아 제때 빨리 덜컹 하고 체결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가 대다수 입니다. 실제 생각해보십십시요 파킹기어 톱니가 하나 깨져도 다음 톱니에 걸려야겠죠? 톱니에 걸리는 축은 굉장히 강건한 금속으로 엔간해서 깨질수 없고 깨지면 해당 차량 전체 리콜에 해당할 만큼 중대한 사안입니다.
@likeacat48762 жыл бұрын
뭐 케이블 늘어날까봐 안쓴다는둥 겨울철에는 얼까봐 안쓴다는둥 하는분들 계신데 케이블은 조이면 되는거고 만약 교체가 필요하다 쳐도 부품값에 공임포함 몇만원이면 됩니다. 그 몇만원이 아까운분들이 생각하셔야 할 게 파킹기어나가면 미션내려서 미션 전체분해해서 수리/파킹기어관련부품 교체해야됩니다. 만약 미션내에 파킹기어 깨진조각있는거 모르고 시동걸고 기어넣었으면 미션 통짜 교환이구요. 그 비용이랑 케이블 장력조절/교체비용을 비교대상에 놓는 자체가 넌센스입니다. 또 겨울철에 사이드채웠다고 고착생길정도로 얼정도면 지하주차장이 아니라 외부주차라는거고 (제가 강원 고성사는데도 지하에 대면 외부기온 영하 20도 넘는 추위에도 사이드 그렇게 쉽게 얼지 않습니다. 또 그정도로 추워서 사이드해둔게 얼어서 고착되었으면 하루정도 택시타는게 맞죠? 얼까봐 안전장치 안하는게 자랑이 아닙니다.) 외부주차해서 평지라 밀리진 않는 정도라고 해도 그렇게 사이드가 얼어붙을만큼 추운날이면 노면상태 안좋을 가능성 높은데 이때 타 차량이 내차를 치고 사고가 난 이후 내차에 사이드 안채워져 있어서 평지에 주차했었는데 사고로인해 밀려나서 경사로로 진입했고 그로인해 대물/인사사고가 난다던지하는 2-3차 피해 심각해지면 당연히 사이드 안채운 주차차량에도 2-3차 사고에 대한 후속피해에 대한 일부과실부여 되는점 알고계시기바랍니다. (당연히 최초 유발차량이 가장 과실은 크겠지만 추자때 사이드 안채워서 밀린것으로 인해 차량이 내리막으로 진입했다던지 하는식으로 피해커지면 주차 차량도 과실따지는 대상이 된다는겁니다.)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이 분이 제대로 알고 계시는 드문 분이네요. 그리고 사이드 얼까봐 안 채울거면 고임목은 필수고요, 저는 강원도 안 살아서 그런진 몰라도 혹한기 외부주차에도 사이드가 얼은 적은 사실 한번도 없었습니다. 사이드가 그렇게 쉽게 어는게 아니에요.
@seulgilee4832 жыл бұрын
당연히 해야하는 것이라 생각했고 질문자체가 왜?? 라는 의문이 들지만 실제로 제 주변에 굉장히,, 저도 나름 안전 운전이라 생각하지만 그것을 상회하는 안전운전을 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평지라고 주차브레이크를 안 땡기시더라고요... 제가 얘기하니까 '아 평지엔 안 해도 돼~~'라고 하시던...
@덩기-d6k2 жыл бұрын
뭐든 습관이 중요하죠. 주차브레이크는 잠깐을 정차해도 항상 합시다.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저보다는 항상 안하실걸요? 저는 발레기사 앞에서 세워서 발레파킹 맡길려고 내리는 그 짧은 시간동안도 사이드 채우고 시동을 끕니다 ㅋㅋㅋㅋ
@ko9tezvbkd2 жыл бұрын
저는 평지에 주차해도 주차브레이크를 꼭 체결하는 습관이 있는데 사무실에서 여럿이 쓰는 영업차는 다른 직원들이 주차브레이크를 체결 해놓지 말라고 해서 안 하고 있습니다. 이 영상을 보여줘야겠어요.
@allaboutkoreanlife2 жыл бұрын
차 타고 출발하기전에 주차브레이크 푸는게 뭐 그리 어렵다고들 그러는건지 모르겠네요;;;
@고양이-l8k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당 차업차득님! 저 하나 궁금한게 있는데 주차할때 순서가 궁금합니다 1. P단 - 주차브레이크 2. 중립 - 주차브레이크 - P단 저는 주로 2번 방식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어떤 순서가 좋은 순서일까요?
@Chuck-d1i2 жыл бұрын
2번이 좋다고 합니다!
@poor15412 жыл бұрын
그냥 1번으로하세요 굳이 중립 하고 할필요없어요
@skdidufjfndbde2 жыл бұрын
@@poor1541 ㄴㄴ 2번으로 해야 자동차 수명 유지에 많은 도움 된다고 많이 알려져 있어요. 자동차 사면 설명서에도 다 그렇게 하라고 되어 있는걸요
@jupitermaker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론 후진주차 기준으로 턱에 걸리면 중립 > 브레이크 한번 놨다가 다시 브레이크밟고 P놓고 사이드 채웁니다. 2번이 맞는 방법입니다. 1번으로 하게 되면 타이어가 받는 하중이나 부하가 풀리지 않은 상태로 채워놓으면 안좋아요. 영상에서 말한 그 걸림쇠에 영향을 주거나 사이드브레이크 라이닝에 영향을 줍니다. 그래서 중립에서 브레이크에서 발을 한번 떼어서 그런 부하를 풀어주고 다시 브레이크 밟고 사이드 채우는게 가장 좋아요.
@chmetai2 жыл бұрын
수명 같은 소리하네 그냥 1번 하세요
@chmetai2 жыл бұрын
주차할 때 걸라고 있는 게 주차브레이크입니다.. 기능시험에도 나오고 매뉴얼에도 나옵니다.
@motobiker29342 жыл бұрын
N단 -> 브레이크 유지 -> 파킹브레이크 -> 브레이크 떼고 다시 브레이크 밟고 ->P단으로 변경 -> 시동off 엔진예열시에 미션도 같이 해주면 좋습니다 바로 D로 가지마시고 R->N->D 순으로 각각 5초씩
@hyune75172 жыл бұрын
미션 예열에 살짝 의문이 생기는데요 어차피 토크컨버터 때문에 차가 정차하면 미션안의 기어는 움직이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게 5초씩 기어를 넣는다고 의미가 있나요?
@kor12time2 жыл бұрын
n ㅡ 주차 브레이크 ㅡ 브레이크 발 떼고 p 순으로 하고 있음
@내일중성화수술하는날2 жыл бұрын
벌써 댓글에 면허 반납해야 되는 애들 보이내
@TTAJ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또 오겠습니다!
@이댕댕-z9u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증이 있는데 에어컨이 켜진 상태에서 그냥 시동을 꺼도 차에 무리는 없는 건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라이-h8o2 жыл бұрын
요즘 자동차는 모르겠지만 6년 전 에 자동차 정비 학원 선생님이 모든 전자기기는 사람이 꺼주고 시동 끄는게 좋다고 들었어요 몇 년 은 고장 안 나지만 컴퓨터도 하다가 갑자기 코드 뽑는 행위랑 같은 행위라고 그렇게 배웠습니다
@김정빈-q5o2 жыл бұрын
조금 덥거나 반대로 추우시더라도 에어컨이나 히터는 목적지 도착 5분 전 정도에 Off 해 주시는 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차량 컨디션에 좋습니다. 특히 이렇게 해줘야 에어컨 가동으로 인해 소진된 배터리를 조금이라도 충전해 줄 수가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에어컨의 경우 끈 후 반드시 통기 모드를 '외기 순환'으로 돌려놓으신 후 시동을 끄셔야 전면 유리 하단의 플랩이 Open 상태가 되어 내부 수분 등이 완전히 건조 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곰팡이 등에 의하여 냄새가 나게 되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연기없는담배2 жыл бұрын
안녕~ 동튜브 1시간 만들어주세요
@fly21312 жыл бұрын
수동식 파킹브레아크(일명 사이드브레이크)의 경우 주기적으로 관리를 해주는데 전자식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수동 젠쿱을 타고 있지만 나중에 차를 바꾸게 되면 미리 알아두는게 좋을 듯해서)
@DuDuDuX102 жыл бұрын
수동식은 와이어로 땡겨서 기계적으로 잡는구조이구요 전자식은 모터가 밀어서 뒷바퀴 패드를 잡기때문에 별도의 관리품목이 애매합니다 모터 고장 확인이나 패드 관리 정도가 끝이라 생각되네요
@남사주대통2 жыл бұрын
사이드 끝까지 쎄게 당기면 와이어가 늘어나서 헐거워지고 나중 수리비 많이 나온다고 정비사가 조언해주더라고요 그러니 적당히 당기셔요
@이강직-d5q2 жыл бұрын
전자식이라 알아서 걸리기때문에...언덕일때만 사이드 버튼 올려서 시이드브레이크 최대치로 걸 때만 따로 걸어주죠
@박종필-l8c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겨울에 싸이드 얼어서 지각한 경험이 있었는데 ..요즘나오는 차량은 괜찮은가요?
@박종필-l8c2 жыл бұрын
답글 감사합니다
@리끼께까-l1p2 жыл бұрын
무조건 해야죠.. 평지인지 경사인지 눈때중으로 판단하는것도 웃기고.. 뉴스보니 어디 놀이공원 주차장 평지라 생각하고 주차했다가 차밀려서 다른 사람 사고난거거 본거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