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세상을 어떻게 바꿨길래? 자본주의를 움직이는 거대한 축, 플랫폼의 역사와 미래 | 현재사 비즈니스 인사이트

  Рет қаралды 118,256

현재사는 심용환

현재사는 심용환

2 жыл бұрын

인류역사상 가장 강력했던 플랫폼!
'철도'를 통해 플랫폼의 의미를 함께 알아보시죠.
▶️ 매주 목요일 저녁 8시 15분 업로드
▶️ 의상협찬 : 마에스트로(MAESTRO)
#기차 #철도 #플랫폼

Пікірлер: 71
@seijun_yang
@seijun_yang 2 жыл бұрын
웹툰작가이자 대학의 만화 전공 교수로 일하고 있습니다. 스스로도 웹콘텐츠를 제작하는 입장이기도 하고 관련 강의도 진행하면서 '플랫폼'이라는 단어를 평소 참 많이도 말하곤 합니다. 단어의 어원은 알고 있었지만 플랫폼의 역사적 맥락과 그 세계사적 의미에 대해서는 이번 기회에 자세히 알게 됐네요. 플랫폼을 대하는 자세에 있어 방어적 태도로 일관한 에스파냐의 패착이나 반대로 적극적으로 활용한 독일, 미국 북부의 이야기는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도 큰 영감을 주는 이야기네요. 유튜브라는 새로운 플랫폼 덕에 선생님의 좋은 콘텐츠를 만날 수 있어 감사한 마음입니다ㅎㅎ 구독자로서 앞으로도 좋은 콘텐츠 기대하고 응원하겠습니다! :D
@gusfrido9967
@gusfrido9967 2 жыл бұрын
작가님의 스토리 전개와 그 과정에서의 스펙트럼은 항상 놀랍네요 올해도 현재사는 심용환의 지금까지 없었던 유니크한 컨텐츠 기대하겠습니다 🤙🏻🤙🏻
@nowstory
@nowstory 2 жыл бұрын
2022년 달려보겠습니다🤙🏻🤙🏻
@ykjh022kim3
@ykjh022kim3 2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히 좋은 지식과정보 감사합니다.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user-ns6eb4tl8q
@user-ns6eb4tl8q 2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user-kim88
@user-kim88 2 жыл бұрын
너무재밌어요👏👏💙 애들이랑 유익하게 볼수있는 유투브 ebs 느낌ㅎㅎㅎ
@k_g.k8656
@k_g.k8656 2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은 조만간 개떡상함....
@nowstory
@nowstory 2 жыл бұрын
(제발....!!🤣)
@user-zc8cn2cf8j
@user-zc8cn2cf8j 2 жыл бұрын
작가님 채널 너무 잘 보고 있어요 !! 깨알같은 웃음과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작가님 영상의 힘이 대단합니다 역사를 바로 알기위해 세계사와 함께 한국사까지도 다시 한번 공부하며 재미있게 보고 읽고 있어요 언제나 좋은 컨텐츠를 기다리며 아즈앗!! 귀엽습니닷 ㅎㅎㅎ
@ant_guitar4376
@ant_guitar4376 2 жыл бұрын
목소리 텐션 좋고 표정 좋고!!! 너무 재미지게 잘 들었습니다.
@nowstory
@nowstory 2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xd4nj8pq3e
@user-xd4nj8pq3e 2 жыл бұрын
우왕 벌써 목요일이네요. 쌤. 편집자님들. 명절은 잘 보내셨어요? ㅎㅎ 저는 IT업 종사자라서 플랫폼, 플랫폼서비스라는 용어를 진짜 많이 씁니다. 늘 접하던 용어지만 쌤 덕분에 인문학이 더해지네요. 어디가서 아는척 해야징 ㅋㅋ 지난번 영상처럼 플렛폼제공사, 사회에 영향력을 끼치는 거대 기업과 서비스들은 그래서 더욱 사회적인 도의적인 책임감을 가지고 경영을 해야하는 것 같네요.
@user-sg9hu1pq9v
@user-sg9hu1pq9v 2 жыл бұрын
정말 알고 계시는 지식이 많으신거 같아 감탄 스럽습니다, 가능하시다면 몇명의 희망 방청객들을 과의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는 어떠실까요ㅎ
@user-kn9vr4pl4t
@user-kn9vr4pl4t 2 жыл бұрын
쌤 덕분에 많은 걸 알게 된 것 같아요. 항상 좋은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콘텐츠도 사모하는 마음으로 기다리겠습니다.
@serotoninwalking5136
@serotoninwalking5136 Жыл бұрын
컨텐츠가 신선합니다!! 무척 동안이셔서 깜짝 놀랬어요^^;;
@user-go9eb1om5g
@user-go9eb1om5g Жыл бұрын
신선한 소재를 가지고 역사 강의를 하시는 심용환님 ❤❤❤
@user-er4ov9wo9p
@user-er4ov9wo9p Жыл бұрын
들을수록 도움됩니다
@johnkim4623
@johnkim4623 2 жыл бұрын
작가님은 주제 마다 공부를 추가로 하시나요? 진짜 저 옛날 부터 현대 까지 다 아시는듯ㅋㅋㅋ 대단하세요 진심
@user-ls4le4xv8f
@user-ls4le4xv8f 2 жыл бұрын
아껴서 이제 봅니다 ♡♡♡ 플랫폼과 시의성이 맞아떨어지면 좋은 컨텐츠를 가질 수 있는 것 같습니다
@seungyeonyun4103
@seungyeonyun4103 2 жыл бұрын
배경음이 너무 커서 말소리가 잘 안들려요…. 배경음악 없는 게 훨씬 좋을 것같습니다 작가님 목소리가 공백이 없고 물 흐르듯 음악 같으니까요!! 제발
@user-lj5iy3wi6b
@user-lj5iy3wi6b 2 жыл бұрын
이분도 말씀 정말 잘하심 최태성님 이랑 비슷하거나 더 뛰어남
@il5947
@il5947 2 жыл бұрын
예 아주 좋아요
@qrlee6762
@qrlee6762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채널에 구독했어요. 다른 채널에서 뵙는데.. 번창하시기를
@jinyoungan4830
@jinyoungan4830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1,453mm 표준궤보다는 협궤철도를 국토 대부분에 깔고 사용하는 나란데 3:35에서 좀 오해의 소지가 있네요 그 외에 러시아나 주변국들(핀란드, 우크라이나, 몽골 등)도 비슷한 이유로 더 넓은 광궤를 쓰고 있죠.
@nickn1991
@nickn1991 2 жыл бұрын
2:51 1808년 나폴레옹의 침략으로 시작된 '이베리아 반도 전쟁'으로 스페인은 당연한 선택을 한거임. 4차 대불동맹에서 프로이센이 프랑스한테 처참히 패배한 걸보고 스페인도 방심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음. 물론 프로이센이 처참히 패배한 이유는 7년 전쟁 기간동안 혼자 프랑스, 오스트리아, 러시아, 스웨덴을 상대로 싸워야 했기 때문에 국력이 상당히 약해져 있었던 상황이었지만.
@kawhileonard4696
@kawhileonard4696 2 жыл бұрын
감스트님 이제보니 똑똑하시네요
@user-sn9zh9nb4d
@user-sn9zh9nb4d 2 жыл бұрын
플랫폼의 발전과 정보의 유통 그리고 자본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윤리와 행복을 함께 도모하지 못한 것이 비극 입니다, 특히 기존의 삶에 충실한 느리게 사는 사람들을 소외 시킨 것,,,,,,,,,,,참 어렵다,,,,,자본주의,,,,
@user-kr8no9ee4z
@user-kr8no9ee4z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의 플랫폼은 무엇인지 고민하게 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lc2pg4dn6u
@user-lc2pg4dn6u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철도는 식민지때 다 일본에서 깔았죠
@user-uy6wz6qx4g
@user-uy6wz6qx4g 2 жыл бұрын
형님 처럼 매력적인 사람이 되는법도 갈쳐주십쇼
@kjl3305
@kjl3305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JR(예전 국철)재래선은 1067mm 협궤 고속철도 신칸센이랑 일부사철은 표준궤입니다만 사철은 자기 입맛대로 궤간을 정해서 운영하는 부분이 있어서 딱 이거다 라는건 없습니다
@user-fj5vy1nu5i
@user-fj5vy1nu5i 2 жыл бұрын
철도때문에 시계 기술도 발달된 부분도 있음ㅎㅎBall워치ㅋㅋ
@mondle7946
@mondle7946 Жыл бұрын
혹시 주제 추천도 된다면 한국과 일본의 위한부 역사 알려주세요 일본이 한일협정을 지금까지 물고 늘어 지는지 현재는 어떤상태로 있는지. 그리고 친일파 이영개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나. 한일협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알고 싶습니다.
@die_eule
@die_eule 2 жыл бұрын
제가 아는것이랑은 조금 다르네요, 표준궤는 마차의 말두마리의 폭에서 유래했다고 알고있습니다, 또한 영국은 인도를 식민지로 삼고 더 많은 자원을 나르기 위해서 광궤를 채택했죠 영국에서 표준궤를 쓰는데 똑같이 표준궤를 사용하지 않았다는것에서 다시 한번 더 표준궤가 좋다고만은 말할 수 없겠네요 또한 일본은 과거에 그리고 현재 대부분은 협궤를 사용하고있는걸로 알아요 산악지형이많아서요 요즘에 빠른 열차를 제작하기 위해 표준궤로 만든곳도 있지만요 굳이 표준궤가 공통으로 사용해서, 좋아서 그리고 에스파냐의 광궤가 패착이라고만은 볼 수 없을것 같아요
@user-fl9ix5qw7s
@user-fl9ix5qw7s 2 жыл бұрын
유러피언 책 추천
@user-xi9zy5wo5d
@user-xi9zy5wo5d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대부분 노선 철로는 협궤이고 신칸센과 일부 사철 노선만 표준궤 입니다 일본이 초기 철도 건설 당시 자금 부족으로 어쩔 수 없이 협궤로 시공해서 추후에 표준궤로 가려고 했지만 세계공황과 전쟁으로 인해서 지금까지 이어져 왔지만 일제치하 조선과 만주국에는 표준궤로 처음부터 건설해서 대륙철도로의 기반을 만들고 그당시일본국철과 남만주철도 (만철)에서 연구하던 탄환열차(신칸센)에 대한 기초를 만들었죠 패전후에 일본에서 추가 연구해서 만들어진게 세계최초 상업용 고속열차 신칸센 탄생해서 여러나라에 기술수출 및 차량운영 노하우 전수중이죠 한때 경부 고속철도 입찰에도 참가했지만 기술이전 쪽에서 낮은점수로 탈락했죠... 제시한 모델은 도카이도 신칸센 300계 차량이었습니다
@user-uf3zi3th6z
@user-uf3zi3th6z 2 жыл бұрын
그때 독일 이체가 거의되는거였는데 프랑스가 외규장각문서 드립처서 지들거 들여왔지 그담에 통수 제대로치고 ㅋㅋ
@yschi608
@yschi608 2 жыл бұрын
오 철도 개발로 발전된 새로운 음식? 뭐지? 피쉬앤 칩스 아...
@kar91ss
@kar91ss 2 жыл бұрын
세계 최고의 철도 회사는 윌포드 인더스트리 !
@user-dq6tf9ms6q
@user-dq6tf9ms6q 2 жыл бұрын
영국은 정말 다방면으로 천재들의 나라인듯 작은 나라지만 부강해질 수밖에 ㅎㅎ
@sukamuljokevin2029
@sukamuljokevin2029 2 жыл бұрын
아직도 3만밖에 안됐나요? 한달 내에 50만 예상해 봅니다. ^^
@user-hp4hl7px2r
@user-hp4hl7px2r Жыл бұрын
러시아도 1674mm인데,,, 러시아도 침략이 두려워서일까요??
@whistle1597
@whistle1597 2 жыл бұрын
일하면서 듣는데 근무시간이 사라졌어요
@user-co1wp1vq2r
@user-co1wp1vq2r 2 жыл бұрын
글씨가 너무 빨리 지나감 ㅜㅜ
@user-oj7mu6sm7x
@user-oj7mu6sm7x 2 жыл бұрын
독소전쟁 독일군 보급상황 열악하게 된 사유에도 러시아 철도의 광궤가 그 이유였죠...
@user-ei8os5xi3x
@user-ei8os5xi3x 2 жыл бұрын
내가 알기론 리버풀이랑 맨체스터는 사이가 안좋은데 안좋은 계기도 알ㄹ주실수있나요?
@polyseaful
@polyseaful 2 жыл бұрын
EPL
@user-pb3sk1hk6d
@user-pb3sk1hk6d 2 жыл бұрын
운하때문에 리버풀에서 맨체스터로
@user-fr5sv4sf6v
@user-fr5sv4sf6v 2 жыл бұрын
강추 캡 ♥
@julioandreotti2266
@julioandreotti2266 2 жыл бұрын
유럽이랑 영국 철도이전에 강으로 물자가 오가는 유로보트가 되는 자연환경이였지만 스페인은 그것도 안좋은 상황에 철도까지 그랬으면 눈물나네ㅠㅠ
@user-wr2ph6kq3z
@user-wr2ph6kq3z 2 жыл бұрын
저 철도 때문에 스페인독감도 어마어마 했지 ㅋㅋㅋ
@user-tq6fc9oo7s
@user-tq6fc9oo7s 2 жыл бұрын
피아노 배경음악이 듣는데 매우 방훼가 되는군요 최대 낮추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insanesceptor
@insanesceptor 2 жыл бұрын
2:05 축구만 잘 하는 동네가 아니구나
@pcarobsessed9778
@pcarobsessed9778 Жыл бұрын
저때 유럽은 사업혁명한다고 철도깔고 있는데 조선은 장희빈이 사약을 먹네마네 이러고 있으니 조선이 발전이 늦어지고 후에 일본침략까지 당할수 밖에 없었다.
@user-pk5ue4fp2t
@user-pk5ue4fp2t 2 жыл бұрын
식민지에 철도먼저 건설하는건 다 이유가 있지 ㅋㅋㅋ
@fossilfresh8995
@fossilfresh8995 2 жыл бұрын
미국이 철도를 발전시킨 속도를 보면 유럽보다 10배는 빠르게 해냈네.... 우와.
@user-lc2pg4dn6u
@user-lc2pg4dn6u 2 жыл бұрын
철도국 일본은 왜 안나오나요?
@younglee4430
@younglee4430 2 жыл бұрын
철도가 표준궤로 설정된 이유가 정말 효율성 때문인게 맞나요? 시스템의 표준은 실제로 효율성 때문이 아니라 퍼스트무버가 제시한 기준이 표준으로 자리잡는 경우도 많고 해당 표준이 비효율적이여도 이미 자리잡은 이후에는 좀 더 효율적인 방식이 탄생해도 교체비용이 크기 때문에 기존의 표준을 유지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 쿼티자판이 불편하지만 지금까지 표준으로 남아있는 것처럼요.
@user-il5rs4tr2t
@user-il5rs4tr2t 2 жыл бұрын
저는 비행기라고 생각했었는데 비행기 이전에 철도수송으로 인한 인류발전에 가속화가 이루어졌군요
@user-uf3zi3th6z
@user-uf3zi3th6z 2 жыл бұрын
그대신 비행기는 대량수송이 불가능하고 갈 수있는곳이 한정적임 활주로가있어야하니
@user-rf9mv7du5s
@user-rf9mv7du5s 2 жыл бұрын
신성로마제국(962~1806) 독일 1871~1918 1919~1933 1934~1945 1945~1990 1991~
@user-lm7jp8pp3w
@user-lm7jp8pp3w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다르던데? 철로가 좁아터져서..
@k_2pa807
@k_2pa807 2 жыл бұрын
어..철도마차는 너무 동물학대같은데요
@sangmee_kim
@sangmee_kim 2 жыл бұрын
서유럽 근대사 얘기 듣다보면 항상 에스파냐 의문의 1패. ㅋㅋㅋ 구교에 매어있고 왕들이 꼰대스럽고 결정도 과거지향적이고... 왠지 모르게 웃픈데, 이것도 교훈 같기도 하고... 아휴 영상보면서 한참 웃어요.
@0Ooc
@0Ooc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협궤를 쓴다던데??
@gwisekor
@gwisekor 2 жыл бұрын
이분 좀 하네요 ㅎㅎ 매불쑈~
@SHKim-uv4wo
@SHKim-uv4wo 2 жыл бұрын
인터넷이죠... 역사 학자들이 증기기관은 설명할 수 있어도 인터넷은 쫌... 그리고 철도의 미학은 그 폭과 함께 커브를 돌 수 있도록 제작도 차축이죠.
@user-mv3ef4uu7f
@user-mv3ef4uu7f 2 жыл бұрын
음악소리땜에 내용이 집중이 안되요. 소리좀 줄여 주세요.
@user-no9xn4wl7l
@user-no9xn4wl7l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협궤임
철도, 미래를 향하다 [#다큐S프라임] / YTN 사이언스
42:16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38 М.
The reason why the U.S. dominated the global economy
14:54
현재사는 심용환
Рет қаралды 345 М.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Can You Draw A PERFECTLY Dotted Line?
00:55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75 МЛН
Жайдарман | Туған күн 2024 | Алматы
2:22:5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이란 역사 5,000년] 영혼 갈아 총정리합니다
46:37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286 М.
The Most Genius of Architecture
12:08
예술의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아직도 책을 꼭 사서 읽는 이유? 유현준만의 독서 방법
14:05
팬터그래프 뒤의 뛰어난 엔지니어링!
9:50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159 М.
패권의비밀; 4차산업혁명시대, 부국의 길 - 서울대 김태유교수
1:50:50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