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56'S 무료 상담 혜택! ▶ pf.kakao.com/_iqisG 🔥 한국은 왜 이렇게 대학에 집착할까? ▶ han.gl/UbVAVW 🎁 무료상담 받고 가이드북 받자! ▶ han.gl/kcaeHS
@30번국도9 ай бұрын
O형이 적기 때문이예요.
@정드래곤-e3nАй бұрын
삼성 신입 5년간 면접관 경험자로써 학벌,학력은 사실무근입니다. 누가 조직에 제일 적응잘하고 그일에 맞는지가 우선입니다. 서울대라고 일 잘하지 않습니다. 제가 팀장으로써 경험자로써 말합니다. 그래서 세상은 도전해 볼만 합니다. 태권도,유도 10단 필요없어요 싸움 1단 요구합니다. 학벌9단 필요없고 일 1단이 더 중요 합니다.
@sanyupseok Жыл бұрын
모 기업 인사 담당자 입니다 제 손을 거처서 올해 뽑은 직원이 150명 넘습니다 구글의 알고리즘이 여기까지 인도하였네요 요세 너무 이상한 사고방식 가진 친구들이 많아서 학교?학벌? 이런거 예전보다 많이 안봅니다 자기소개서에 이상한 소리 써놓는 친구들도 많습니다 회사와서 제발 문제 안일으킬 직원이 1순위입니다
@5채널-i3e3 ай бұрын
5년 10년 15년 장기간을 봤을때 말잘듣는 착한 직원이 금메달입니다 들은 얘긴데 실제 있었던 일이라고 합니다 어느 대기업 인턴 채용에서 면접을 1등으로 통과한 신입이 있었는데 인턴생활 거의 끝나는 무렵 회사 회식이 이었는데 면접을 1등으로 통과한 신입이 회식때 잘보이려고 이런 말을했다 하네요 신입 왈.. 저에게 난이도 있는 어려운 일좀 부탁합니다 라고 얘기 했는데 결과는 최종 정규직 전환에서 탈락됐다 하네요 면접에서 1등으로 합격했는데 결국 탈락된 신입 인사 담당자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YOULJAE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인성이 절대적로 중요합니다. 국내 최대공기업 부사장 지낸 제경험으론 서울대 출신들이 오히려 기대에 못미쳤습니다. 중상위권 이상 대학 출신중 인성이 뛰어난 사람이 성공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이현무-o6i24 күн бұрын
3점일운동😂
@JW-726 күн бұрын
그냥 저기에 나온 학교들은 최소한 학교 이름으로 억까당하지는 않는 대학들임. 개인의 실력과 덕을 쌓으면 됨. 근데...그게 진짜 힘듦. 특히 덕성을 쌓기가...
@장미-y7s8 ай бұрын
흥미로운 분석 감사합니다 짝짝짝 😊😊❤❤
@150키로파이어볼러7 ай бұрын
인사담당자입니다.현재까지 200명이상 뽑았는데 입사후 직원평가해보면 가성비는 수도권대가 만족스러웠어요..공부도 적당히 했고 융통성,조직융합,일머리등기준으로요..이건 제 개인 생각입니다!
@thomas64704 ай бұрын
지거국은 뭐랄까 야구팀 같은 느낌? 자기 지역 지거국 출신이면 본인이 서울 학교 출신이라도 선호하는 뭔가 끌림이 있음 특히 부산 사람한텐 부산대는 롯데 자이언츠 같은 거임
@youngbeompark8760 Жыл бұрын
대기업 직원 엄밀히 말하면 배터리 인생인데 왜 난리들인지 직업은 나를 위한 일이면 충분히 성공한거다 ㅎㅎ
대기업 인사담당자들도 생각이란 걸 합니다 동종업계에서 자신의 위치가 탑이 아니면 서울대나 연고대 잘 안뽑아요 이직을 쉽게 하거든요
@조선김삿갓 Жыл бұрын
인사담당은 누구를 지칭하는것인가? 대기업은 담당임원, 인사부장(인력팀장) 및 직원이 수십명인데... 서류전형 및 면접도 실제 채용할 담당부서로 위임됩니다. 인력팀은 그런 시스템을 조정 및 관리만 합니다. 인력팀장 마음대로 뽑는게 아닙니다~
@ryujd05332 ай бұрын
성대에 관한 자료는 그냥 웃을 수 밖에 없죠. ㅋㅋㅋ 연대와 고대 순위 얘기는 정말 끝도 없고 결론이 없으니. 그냥 둘 다 명문대이고 누구나 가고 싶어 하는 대학교죠. ^^
@kyunghaklee2501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대학교 순위는 졸업생 이 형성하고 있다
@jinnam6822 Жыл бұрын
방송 감사 합니다... 그런데... 현실에서는.... top 3 >top10 > top 15 위권 까지 대기업 인사 부장들 우선 각 각 채용 선호도 있습니다... top 16~ top 40 위 까지는 편견 없이 개인들이 우수하면 선발하는 정도... 정확히는 현실에서는 top 20위 이하들에서는 선호도 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게 대기업 인사들의 의지... 그러나 통계적으로 조사들 하다 보니.. top 50 위 까지 나오는 것 투표 형태 이니... 조사 방법들이... 그게... 대기업들 일자리들 년간 수요숫자들은... 거의 top 20 까지 대학들로 다 차면 대기업들 년간 job 수요 끝납니다.... 그러나... top 20이내 대학들 졸업자들도 개판 친이들이 있고.... 대기업들 job 수요 없는 전공(과)들이 많아서( 그과 학생들 제외 등)...... top 50 까지... 우수 공급자들인 졸업자들이 채우고 해서 그런 것임.... 현실이 그래요.. 철저히.... 대기업 대졸 job 수요 한정= 대기업 job 졸업자 공급자 대학들은 한 100개 되지만.... 수요 공급 law 에 따라....... ---- 최종 정리 ! 대기업들 대졸 년간 job 수요 숫자( 전공 =과)= 대기업에 년간 졸업자 공급하는 (전공 x 대학)은 한 20개 ~30개 정도 되면 수요 대부분 찹니다.
이대 실망감이 큰 학교...건대는 요즘 입결이 미친듯...입시제도, 입지 등이 운이 좋은듯...경북대나 부산대도 지역에서 취업하거나 사업한다면 좋은 선택일수도
@둘기닭-k3o Жыл бұрын
(7년차 헤드헌터 꼰대입니다) 일단 서연고 제외하고 경험상 찐 유능함 기준 . 연령대 30 정도로 보고(그 이전은 많이 달라요) 인서울 > 성균관대, 한양대, 서강대. 외대, 중대 까지. 경희대는 좀 아닌 듯 , 홍대, 건대 이직많아 선호되지 않음. 동국대 삼국대중 압도적, 단국대는 별로 . . . . 수도권대 > 아주대, 인하대 압도적, 인서울 못지 않음. 그 외 보이지 않음 지거국>부산대 경북대 예전 같지 않으나 특정 전공자 인서울 못지않게 유능함(과거와는 비교열위)열등, 전남대는 확실히 아님. 충남대 그나마 양호, 충북대는 안쳐줌.
@seisochoa Жыл бұрын
씹덕프사달고 헤드헌터니 어쩌니ㅋㅋ 전 대통령인듯?
@둘기닭-k3o Жыл бұрын
@@seisochoa 세상불먼가득찬 루저의 변
@조선김삿갓 Жыл бұрын
주로 계약직, 파견직들이 헤드헌터를 통해서 취업하지요?
@bullsnam22395 ай бұрын
꼰대가 맞네
@미숭산Ай бұрын
전남대 4등급입결
@ryujd05332 ай бұрын
취업률은 별 의미가 없어요. ^^ 그리고 대학에 대한 평가는 대부분의 경우 일반적인 사회적 인식과 별 차이 없어요. 전 80년대 학번인대 지방 국립대가 거의 몰락에 가까운 것 아니면 비슷하네요. 그리고 일단 직장에 자리 잡으면 좋은 평을 듣는 대학교는 자리 자주 바꾸지 않고 회사에 열심인 사람들입니다. 자기 잘났다고 여기저기 기웃거리는 사람들 무지 싫어해요. 제대로 잘났으면 애초에 그 회사에 가지도 않았겠죠? 자기가 간 학교에서 최선을 다 해서 능력을 키우고 준비하시면 되요. 50대 중반의 사람입니다. ^^
@생각-e1m Жыл бұрын
성대는 6년 연속 전국 취업률 1위 대학입니다. 따라서 성대와 관련하여 인사 담당자 선호도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네요. 더구나 의대,약대 입학 수능 점수는 모두 고려대를 처음부터 이미 앞서가고 있고 의대, 약대의 세계 대학 순위는 이미 연대보다 높습니다. 한국의 수능 점수별 대학 서열화는 문제가 많습니다 연구실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세계화이고 실질적인 평가입니다 더구나 취업률 수치가 더 중요합니다
@레드맨-k3w Жыл бұрын
성대는 5-7위 왓다갓다 함.
@최길순-v8e Жыл бұрын
성대가 10위권 안에든 것도 다행이다
@krislee1200 Жыл бұрын
성대는 서/연/고/서/성/한 - 5위 6위권 ....
@AUTVT Жыл бұрын
성대 위상이 높아졌단 소문을 익히 들었는데 이런 글이 올라올 정도가 되었군요 이 기세 잘 유지하길 바래요 5~6년은 좀 짧은거 같아요 몇년 반짝하다 내려간 대학들도 있어서... 이미 충분한 명문이나 그동안 쌓은 업적이 있는 연고대 이상 되려면 인식이 확 바뀔 만한 격차를 벌이거나 아니면 시간이 좀더 필요할거 같아요
@이수익-z3z Жыл бұрын
댓글에 성대 까는 글이 많은데 재단이 삼성이라서 그런것같네
@남불내로-b8w Жыл бұрын
요즈음 옛날처럼 면접관이 선호대학 있지 않습니다. 개인의 능력과 인성을 제일 중요시 합니다. 입사를 하게 되면 부서원 또는 타부서와 협업을 해야 할게 있고, 거의 어느부서든 간에 기업의 이윤과 다 연결이 되어 있거든요. 선호대는 옛날 쌍팔년도 이야기를 하고 있네요.금융권에서 횡령도 면접시 인성을 제대로 못 걸러낸 탓이기도 합니다
@Chime-x9v6 ай бұрын
과기원이 저 레벨이라고? 걍 대기업 안가서 그런거 아님? 대기업 지원만 하면 좋다고 뽑아줄텐데
@현정강-n1tАй бұрын
오!!! 영남대. 최고의. 박정희. 대통령께서. 설립. 자랑스러워요
@michaelkiske4878 Жыл бұрын
부경대 서울에선 몰라요...
@user-ecrtqdvsfk Жыл бұрын
서울 사는데 알아요~
@sangkwonhyun9254 Жыл бұрын
나름 괜찮은 국립대 임. 과거 수산대?
@안토-y3x Жыл бұрын
당신만 모르고 다른 사람은 다 알아요...
@seisochoa Жыл бұрын
니가 몰라도 인사담당자는 안다잖아ㅋㅋ 니 인식이 무슨 의미가 있냐
@Tottenham1207-q9t11 ай бұрын
부경대공대가 서강대문과보다 취업이 훨 수월하다는 팩트를 들이대면 충격 받으실까?
@HOWARDKIM-p6u Жыл бұрын
SKY가 123이고, 그와중에 경희대가 5등이다 ㅋㅋㅋ
@abcdef-ug4kr Жыл бұрын
강원대는 40위에도 없네
@scko9337 ай бұрын
명문 인지도 보다 실속 취업률 보고 진학하세요ㆍ지방의대가 서울대보다 가기 힘들어요ㆍ 대기업 공기업 취업률 높은 대학들이 실속 있습니다ㆍ예를 들어 삼성그룹 취업자 출신대학들 참고 해보세요ㆍ입결 인지도 와는 차이나지만 대기업 취업률은 좀 다른것 같아요ㆍ삼성그룹 공채 합격자수 2020 20개대학 순위보니 1위 성균관352명 2위인하대289명 3위 한양대 252명4위 연세대189명5위 광운대161명6위 고려대순 158명 7위건국대149명 8위숭실대130명,9위중앙대115명,등등순서로 나오네요ㆍ자기 합격가능한 인풋트대비 아웃풑 가성비 좋은 대학 골라서 진학하세요ㆍ
@일베메갈아웃5 ай бұрын
서울대 출신의 정치인 ㅋㅋㅋ 존경할 만한 분들도 많은데 왜 저런 사진? 정치 후진국인 우리나라에서 아주 자랑스러워 할 만한 사진이구만
일제 시 조선총독부가 친일파를 양성하기 위한 경성제국대학이었다 그런데 해방 후 미군정이 들어서자 미군정 하아지 중장의 학무국장이었던 엔스테드 대위가 친일계와 친미계 대학총장과 밀실 에서 모여 경성제대를 서울대학으로 만드는 모의를 한다. 그래서 서울대학은 친미파를 양성하기 위해 미군정이 세우는 학교가 되었다. 이 당시 국민들은 미군정의 신탁통치를 강력하게 반대하였고 동시에 서울대학의 국립 대학화 반대운동을 전개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국립 서울대학교의 초대 총장은 미군 해리 B 앤스테드 해군대위 였다.당시 임명권은 미군정 장관에게 있었던 만큼 당연한 인사였다. 그러나 서울대의 초대 수장이 미군 장교이었다는 사실은 좋든 싫든 서울대가 한국 사회 에서 차지하는 법인 국립대 로서의 위상에 대한 각양의 해석을 가능케 한다. 초대 앤스테드 총장이 1년 2개월만에 물러난 뒤 최초의 한국인 총장으로 취임한 이춘호 박사는 재임 7개월만에「국대안」반대운동 파동으로 물러나 최단명 총장으로 기록됐다. 국대안 파동은 경성의전 수원농전 등 기존의 대학을 통합, 서울대를 설립하려는 미군정의 추진을 대상 학교들이 반대하고 나서고 서울대 내부 교수진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들끓었다. 국민들이 일제 경성제대를 폐교조치 안하고 오히려 미군정이 서울대로 전환 시킨 것에 대한 국대안 반대 여진이 계속돼 동맹 휴업 좌우 사상 논쟁으로 번져갔다. 결론적으로 서울대는 미 군정이 친일파 교육자들가 밀실에서 모여 신탁통치를 찬성하고 기존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세워진 대학인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립대 으로서의 정통성을 상실한 까닭에 법인대학으로 변경 되어 겨우 자리 매김한 대학인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thomas64704 ай бұрын
그래서 근본인건데?
@벼리-w9qАй бұрын
ㅋ ceo 방출 ㅎ
@원더풀-l4n Жыл бұрын
아주맛대로구만숙대40/부경28이것이정상이냐
@sangkwonhyun9254 Жыл бұрын
부경대를 몰라서 하는 말씀.
@정기덕-n9k Жыл бұрын
ㅇ
@이석-k6k Жыл бұрын
서연고 서성한 은 영원히 바뀌지않는다 유튜브 맘 되로 정한거 같아 경희 중앙 은 아닌듯
@하하하하-p5w Жыл бұрын
서강대는 이대로가면 정말로 중앙대랑 바뀔듯... 애초에 공대가 약한학교는 요즘 시대에 살아남기 힘듦
@복서니-j2h Жыл бұрын
우리아들 서강대 중앙대 같은전공합격후 " 중앙대 "선택
@hyepiazzo9369 Жыл бұрын
서강대 는 이제 아닌 거 같아
@feel-tp4ul7 ай бұрын
서강대 재단은 뼈를깍는 노력을 통해 학교이미지 향상을 위해 힘써야한다 이미지 추락에 학생들과 졸업생들이 뭔죄가 있겠나...
@달려라-p9f5 ай бұрын
서강대는 서강고등학교라는 비아냥을 들을 만큼 캠퍼스의 규모와 질 면에서 미니미니하다는 인식 하에 위상 추락이 현실화되고 있는 듯요 요즘 사람들 인식이 점점 '성한중서' 로 현실화되어 가고 있음 중대에 올해 신축해서 27년도에 완공될 예정인 세계 최대규모 대학 건축물인 공학관이 완공되고 나면 중앙대는 310관 경제학부 건물과 함께 세계 최대규모 메머드급 학과 건물만 무려 두개를 보유하게 되고 국내 최대규모 메머드급 학과 건물은 무려 3개를 보유하게 되서 학교 위상 뿐만 아니라 인기와 인지도와 입결 컷도 급상승할 예정이라 성한중서로의 순위 변경은 임박인 듯 해요 중대는 지금도 스카이를 뺀 현실적으로 도전 가능한 입장에서 볼 때 한국인들이 가장 가고 싶은 인기 대학 1위에 선정되었을 정도인데 27년도에 세계 최대규모 메머드급 학과 건물이 하나 더 생겨 버리면 서강대는 중앙대에 상대가 안될 예정이랍니다 3년 후에 보세요 입결 순위가 성한중서로 확실하게 바뀌어 있을 거예요 전국 입시학원들이 인식하는 분위기도 그렇다네요
@박종해-z7b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순스카이가대한민국을이끌어간다
@Tottenham1207-q9t11 ай бұрын
문과제외
@이인복-g1r23 күн бұрын
앞으로 설대는 빼는게 국민 정신건강에 좋겠습니댜
@vincero3831 Жыл бұрын
인성은 글쎄?
@상도-w2b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최고지 윤석엿이 있지 ㅋ
@abcdef-ug4kr Жыл бұрын
절라도 분인가? 윤석열입니다. 이죄명을 찢이라고 해보세요
@징한징이6 ай бұрын
민족고대가 1위여야는거 아니냐
@김닌겐-i9n Жыл бұрын
잘못된 정보네...홍대가 인서울인데 전라도 학교보다 취업을 못한다고? 진짜 정확한 자료를 올려주세요 다음부터
@김진현-w7d4i Жыл бұрын
대학입결과 기업의 대학선호도는 무관합니다
@jkjkl8899 Жыл бұрын
지방인재채용목표제 때문에 그거랑 이건 다를 수 있어요
@김닌겐-i9n Жыл бұрын
@@김진현-w7d4i 멍청아 기업의 대학 선호도라 해도 대학에도 수준별 인식이 있는데 대기업 신입 뽑는분들이 그걸 모를꺼라고 생각하냐 생각이 없냐 넌
@김진현-w7d4i Жыл бұрын
@@김닌겐-i9n 모 대기업 2023년 신입채용 대학별 등급표에서 경희대랑 경북 부산대를 동일한 등급으로 보고있네요 그리고 누가 누굴보고 멍청하다는거야
@김닌겐-i9n Жыл бұрын
@@김진현-w7d4i 그리고 경북대랑 부산대 지방에 있는 대학이 어떻게 인서울권 경희대랑 진짜 등급이 같겠냐 그냥 등급별로 대충 포장해서 자료 보여준거지 븅신 진짜 대기업 합격 서류 학교보면 다 보면 경북 부산대보다 경희대가 훨씬 많은데 넌 요즘 취업 정보 알기나 하는거냐
다른 건 모르겠고, 사실을 지적하면 1987년 중대 이사장이 정치질 할 때 (당시 집권 민정당 국회의원) 선거에 학교불법자금대다가 방송국에 투서가 날라왔고 이 때문에 정치도 강제은퇴했고 여론에 밀려 이사장 직도 내 놓으며, 일본 버블경제 시기 제일교포 부동산 재벌에게 소유권이 넘어간 적이 있음 (징용공 출신으로 조국의 명문사립에 기여하겠다는 사명감) 이후 버블붕괴로 자산이 급격히 줄었음에도 운영에 최선을 다하다가 결국에는 현재의 두산그룹에 매각함
@김민석-s7p Жыл бұрын
건국우유 ㅋ
@30번국도9 ай бұрын
20년 후 10위 성균관대. 9위 고려대. 8위 연세대. 7위 청홍대. 6위 전남대. 5위 부산대. 4위 강천대. 3위 서울대. 2위 경북대. 1위 전북대.
@30번국도9 ай бұрын
서울대 경북대 부산대는 초일류대였고 연세대 고려대 전남대 전북대 충남대는 일류대였는데 지금은 8일류대중 거점 국립대들은 서울대를 빼고는 2류대였던 서성한 아래로 모두 밀려나고 말았네요. 대한민국이 아니라 서울민국이 되었습니다. 나라가 망할 징조네요.
@Samahcl3 ай бұрын
경북대 부산대 일부학과가 연고대에 필적한 경우는 있었어도 전체적으로 연고대 위에 있었던 적은 없었고 전남대 전북대 충남대는 연고대 근처에도 가본적없음. 80년대 충대의대가 연고대 공대보다 낮았음. 역사왜곡금지
@川흐르는세월Ай бұрын
에이~경북대 나온 내가 민망하다. 그러지 좀 마.
@최정기-i8eАй бұрын
경북대 부산대 연고대급 이상이였고 전남대 충남대 서울 건대 이상 이었어요 모두 사실 입니다. (1980년대 이전에)
@SamahclАй бұрын
@@최정기-i8e 경북대 부산대가 연고대보다 높았던적은 역사적으로 없었음
@불개미-v6mАй бұрын
양심 있으면 전북대는 빼야할듯요.😅
@광야에서서 Жыл бұрын
이젠 서강대는 빼자.뭐 서성한? 삶은 소대가리가 웃겠다. 세종대와 이웃인 대학이 뭔 서성한이여.아웃풋도 엉망이든데.
@charleslee266323 күн бұрын
@@광야에서서 박근혜 졸업한지가 언젠대 아직도 박통 오라 생각하냐 ㅋㅋㅋ 서강대를 높게 쳐주는 이유를 잘 모르게 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