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는 버스에 들어온 파리는 속도를 따라갈 수 있을까? | 범준에 물리다

  Рет қаралды 53,447

범준에 물리다

범준에 물리다

Күн бұрын

📢오늘의 주제: 도대체 자석은 어떻게 만들까?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자석에 대해 교수님과 이야기 나눠봤는데요.
많은 구독자분들이 공통적으로 댓글 남겨주신 질문도 도입부에 한번 다뤄봤습니다!
오늘 영상도 재밌게 시청 부탁드립니다.💙
🔻타임라인🔻
00:00 인트로
00:29 달리는 버스에서 파리는 어떻게 될까?
05:44 인류 역사에서 자석이 미스터리한 이유
09:13 N극과 S극은 어떻게 정해진 걸까?
10:39 자석의 세기는 무엇을 기준으로 정해질까?
12:06 현재 자석으로 개발하고 있는 기술들

Пікірлер: 161
@beomphysics
@beomphysics 14 күн бұрын
바늘이 상자성체라고 한 부분은 오류여서 바로잡습니다. 바늘은 자체로는 전체가 자성을 갖지 않지만, 철로 이루어진 바늘의 내부는 여러 자기 구역(magnetic domain)으로 이뤄지는데, 각각의 자기구역은 강자성(ferromagnet)입니다. 제각각 다른 방향으로 자성을 만들어내는 여러 자기구역이 있어서 전체의 자성이 없을 뿐이지, 바늘을 상자성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막대자석을 이용해서 외부에서 자기장이 작용하면 바늘 내부의 여러 자기구역이 자기장의 방향에 맞춰 정렬하게 되어서 바늘이 자석으로 자기력을 받아 끌려갑니다. 상자성(paramagnetism)을 보이는 물질의 경우도 외부의 자기장이 있을 때에는 그 방향에 맞춰 자기장이 형성되어서 인력이 작용하게 되지만, 이러한 상자성체의 자기력은 그 크기가 상당히 작다고 하는군요.
@I_LOVE_Strokes
@I_LOVE_Strokes 14 күн бұрын
무슨 소린지는 모르겠지만 오류 수정 좋습니다 ㅅㅅ
@Loot_1115
@Loot_1115 14 күн бұрын
그럼 바늘이 상자성체도 아니고 강자성체는 당연히 아닐테니 반자성체라고 보는 게 맞나요?
@tekqge
@tekqge 13 күн бұрын
@@Loot_1115자기구역을 가지고 있으면 강자성체로 분류됩니디. 반자성체는 자기장의 반대방향으로 자기화 되어 자석을 갖다대면 오히려 밀려납니다
@herhaho
@herhaho 12 күн бұрын
어쩐지 이상하더라고~
@MystoreisOpen
@MystoreisOpen 14 күн бұрын
버스에 탔던 파리입니다 제가 버스에 탔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mild_coffee
@mild_coffee 14 күн бұрын
버스기사입니다 오늘도 퐈리가 얼굴주변에 날라다니더군요 ㅠ 아오.. 아무리 달려도 뒷유리에 부딪치지않아요
@yunhahaerin
@yunhahaerin 1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어떠한 근거보다 와닿네요
@user-rk4bh5yh2w
@user-rk4bh5yh2w 14 күн бұрын
그렇죠 승용차 안에서도 똑같아요 잡으려고 하면 도망 잘가요
@Milkyway-vl1ih
@Milkyway-vl1ih 14 күн бұрын
파리가 달리는 차에서는 창문을 열어도 밖으로 내 보내질 못해요 근데 세워놓고 창문을 열면 밖으로 쉽게 나가는데 그건 왜그럴까요 제가 잘몰라서요 ㅎㅎㅎ
@Milkyway-vl1ih
@Milkyway-vl1ih 14 күн бұрын
쉽게 생각하면 공기 저항때문에 그런가…..
@j-mincompany3457
@j-mincompany3457 14 күн бұрын
기사님 고생많으십니다 앞으로도 승객들의 안전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wonsik0723
@wonsik0723 15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잘 보겠습니다!!
@LevinSama
@LevinSama 14 күн бұрын
궁금증 해결 감사합니다 교수님~
@user-ii6ue4ry5v
@user-ii6ue4ry5v 14 күн бұрын
학교때 물리 죽도록 싫었는데 교수님 덕분에 친숙해 지고 이해도가 넓어졌습니다 ~ 감사합니다~*^^*
@user-rv1gc8rs7r
@user-rv1gc8rs7r 14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공부가 되었어요
@rlfskal
@rlfskal 12 күн бұрын
늘 잘보고있습니다
@user-ss3kz8xv4e
@user-ss3kz8xv4e 14 күн бұрын
진짜 행복해요.
@blk2728
@blk2728 13 күн бұрын
좋은영상감사합니다👍👍👍
@shkim1924
@shkim1924 14 күн бұрын
이번 주제는 살면서 정말 궁금했던 내용이네욬ㅋ
@Kikiluv2
@Kikiluv2 12 күн бұрын
요즘 궁금해하던 주제였는데 ㅎㅎ
@koonjs6009
@koonjs6009 14 күн бұрын
너무재밌어요
@KwonEunBi1995
@KwonEunBi1995 14 күн бұрын
이거 20년전부터 수천번 생각해봤던 궁금증인데 어디가서 물어볼데도 없어서 그냥 끙끙 앓았는데 이걸 다뤄주시는분이 계시네.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FlinaKIM
@FlinaKIM 14 күн бұрын
고등학교 때부터 궁금하던 거였는데 어느순간 그런갑다 하고 살던 소재를 다뤄주셨네요. 이런 소재가 몇개 있었는데 언젠가 다 다뤄주시면 좋을듯.
@user-pd5er5md5k
@user-pd5er5md5k 14 күн бұрын
어릴 때 이게 항상 궁금했었는데~^^
@user-bx2fv6rz3l
@user-bx2fv6rz3l 9 күн бұрын
보다 통해서 김범준 교수님 봤는데 너무 팬입니다~ 아무런 논란 없이 좋은 컨텐츠 오래 만들어주세요~!
@root4Arsenal
@root4Arsenal 11 күн бұрын
다음부턴 파리같은 벌레는 그림으로 대체해주시면 안됭까요?..
@odeeh6355
@odeeh6355 12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교수님 덕분에 물리학을 접하게 되어 재밌게 알아가고 있는 문과생입니다 ㅎㅎ 양자역학을 공부하면서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입자는 관측되기 전까지는 파동으로 존재하다가 관측되는 순간 파동성이 붕괴되어 입자가 된다고 배웠는데, 빛은 어떻게 결이 맞지 않는 조건, 즉 관측된 상황에서도 입자이면서 동시에 파동인 것일까요? 빛은 예외인 것인지, 아니면 파동입자 이중성에 대한 제 이해가 잘못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user-ql2hl7on5f
@user-ql2hl7on5f 9 күн бұрын
❤❤ 너무 궁금한데 설명해주실수있나요? 자전거 바뀌 바람이 탈때랑 방치할때 빠지는양이 다른가요?
@sihyun384
@sihyun384 14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개인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소리는 매우 빠르지만 초음속기체를 통해 소리보다 빠르게 날 수 있습니다. 이 초음속 기체 안에 있는 사람은 기체 외부의 소리를 어떻게 들을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빛의 속도로 사람이 움직인다면 그 사람의 눈에는 어떤 모습이 보일지 매우 궁금합니다. 빛의속도는 일정하기때문에 공간수축이 된 모습이 보일지 아니면 다르게 보일지 궁금합니다.
@user-nk2ir3pk8j
@user-nk2ir3pk8j 14 күн бұрын
김범준교수님 언제뵈어도 정말 건강한 에너지만 있으시네요 ❤
@user-zk9bx6ic9r
@user-zk9bx6ic9r 14 күн бұрын
재미있으시니가 점점 올라서 궁금하네요.😅
@user-he3vi6fk3b
@user-he3vi6fk3b 14 күн бұрын
잘봤습니다 뜬금없이 일드 갈릴레오가 생각나네요
@Darkdarida
@Darkdarida 14 күн бұрын
오늘도 또 물렸네요. 감사합니다.
@user-ec7hf8fn9n
@user-ec7hf8fn9n 11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과학을 보다와 범준에 물리다 채널 재미있게 보고 있는 지나가는 학생입니다! 과학을 보다 11개월 전 나온 영상의 2분쯔음에, 영화 토탈 리콜의 더 폴이라는 이동장치에 대해서 얘기해주셨는데요, 중력은 지구의 중심을 향하니 지구 반대편으로 가진 못하고 핵에 멈춰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리고 평소에 궁금했던 내용 질문하고 싶습니다! 왜 밧줄은 아래로 끌어내리는 건 쉬운데 위로 밀어내는 건 어려운가요? 흐물흐물한 것과 관계가 있을 것 같긴한데, 감이 잘 안와 전문가 설명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
@jinugiid
@jinugiid 12 күн бұрын
과학을 재밌고 쉽게 설명해주시네요~ㅎ 파리의 이야기랑 비슷하다고하면 만약에 고속열차 내부에서 점프했을때 착지위치가 그대로라고한다면 고속열차 밖 천장에서 점프한다면 위치가 달라지겠죠?
@NfK
@NfK 7 күн бұрын
공기저항에 의해 점프한 사람의 속도가 줄어드니까 맞습니다
@user-md7lh9ll2t
@user-md7lh9ll2t 11 күн бұрын
경부고속도로위를 전부 태양열 판넬 설치하면 어느정도 발전량될까요`
@user-zk9bx6ic9r
@user-zk9bx6ic9r 14 күн бұрын
7시 하는줄 알고 기다렸는뎅... 벌써 8시넘어가네요...😊
@billkim9368
@billkim9368 12 күн бұрын
교수님 과속방지턱 넘을때 사람은 덜컹거림을 느끼는데 공중에 떠 있는 파리도 느끼나요??
@uandikk82
@uandikk82 14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요즘 차 급발진 이슈가 핫 한데 물리적으로 차가 100km/h로 달릴때 브레이크의 진공이 비정상적일때 물리적으로만 작동하는 브레이크에 얼마나 않은 힘을 가해야 멈출수 있을지 계산이 될카요?
@eunha_da
@eunha_da 9 күн бұрын
교수님 궤도님이랑 수박게임 한번 해주세용 완전 재밌을듯해여
@LeeDongRyoul
@LeeDongRyoul 14 күн бұрын
그럼 비둘기 정도 크기의 새도 마찬가지인가요? 창문을 열고 달리는 버스에 새가 날아 들어온다면 버스 안에 진입한 후에는 (거의) 제자리 비행으로 버스와 함께 이동이 가능한 건가요? 예전에 버스 타고 다닐 때 생각했던 문제인데 이번 주 영상을 보고 떠올라서 질문 드립니다.
@ghb7089
@ghb7089 12 күн бұрын
새는 제자리 비행 자체를 못하지 않나요?
@NfK
@NfK 7 күн бұрын
네 그렇습니다. 창 밖의 기류가 들어오는 구간을 벗어나고 버스의 이동속도와 같아진다면 제자리 비행으로도 버스와 함께 이동이 가능합니다
@jjjjeee03
@jjjjeee03 14 күн бұрын
불금 최고의 선택…❤️‍🔥
@Outset41
@Outset41 14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시간여행을 주제로 한 영화를 보다가 생각한건데 시간이 흐르는건 영상과 같이 순간순간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흐르게 느껴진다는데 그럼 이 세상은 초당 몇 프레임으로 움직이고 잇을까요?
@NfK
@NfK 7 күн бұрын
초당 몇 프레임은 불연속적인 움직임을 위한 단위입니다. 연속적인 세상은 프레임이 없어요. 다만 이 세상의 한 프레임은 1 플랑크초 라는 주장이 있긴 합니다
@donghyun0926
@donghyun0926 8 күн бұрын
소방호스에서 물을 사출할 때 반작용이 발생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총포의 경우 내부에서 화약이 폭발하여 앞뒤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니 뒤쫃으로도 충격이 가는게 이해가 갑니다. 하지만 소방호스의 경우 기본적으로 호스 외부에 펌프가 있고 여기서 물을 ‘호스를 통해 밀어내는’ 힘이 있을 텐데, 실제로 소방호스에서 강하게 물을 사출할 경우 호스가 뒤나 위로 밀려나거나 사방팔방으로 난리치는 상황을 보게 됩니다 물은 그대로 흘러나갈 뿐인데 호스를 밀어내는 힘은 어떻게 발생하는 걸까요?
@ganadwagnd5307
@ganadwagnd5307 14 күн бұрын
홀리 잘먹겟슴니다
@user-nc4vk3bt6n
@user-nc4vk3bt6n 13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너무 궁금한데 물어볼데가 없어 여기에 질문 남깁니다 상대성 이론에서 유명한 동시성에 대한 이야기 있지 않습니까 (기차가 빠른 속도로 등속운동하고 있고, 기차 정 가운데에 양쪽으로 빛을 발사할 경우 내부 관측자와 외부 관측자별로 빛이 기차 양 끝에 도달하는 시간차가 동시일수도 아닐수도 있게 보인다는.. ) 저 실험을 조금 더 이어서 생각하다보니 이상한게 있습니다. 만약 기차 양끝에 빛 센서를 두고 동시에 빛이들어온다면 아무 일이 안일어나고, 빛이 한쪽으로 먼저 들어온다면 총이 발사되어 기차안에 사람이 죽는다고 한다면 내부에 탄 사람은 스스로가 아무일 안 일어난다고 느끼겠고 외부 관측자는 총이 발사되어 사람이 죽는걸 보게 되나요? 그럼 나중에 기차가 다시 원 위치로 돌아와서 상황을 확인하면 결론은 어떻게 되나요 이걸 조금만 더 확장한다면 두 센서에 빛이 들어오는 시간차에 따라 컴퓨터가 각기 다른 연산을 해서 모니터에 결과를 보여주게 한다면 관측자별로 각기 다른 연산에 대한 결과를 관측하게 되나요? 그럼 병렬연산이 관측자의 숫자(관측자가 각기 다른 속도로 이동하면서 기차 내부를 본다고 가정했을때)만큼 가능하게 되는걸까요? 너무너무 궁금합니다
@davidDavid-gy8ms
@davidDavid-gy8ms 11 күн бұрын
슈퍼 이끌림
@user-eh1ec2nx6j
@user-eh1ec2nx6j 14 күн бұрын
화성의 자기장을 지금의 두배로 할려면 어느정도 크기의 자석으로 해야 될가요 자석은 화성에 남북에 두고 현재 가장강한 영구자석으로 화성의 남북에
@user-xy1kd9ry8k
@user-xy1kd9ry8k 14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영상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약간의 오류가 있는 것 같아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상자성(paramagnetism)을 설명하실때 바늘을 예시로 드셨는데 바늘이 어떤 물질로 되어있는지 언급은 안하셨지만 보통 바늘은 철로 만들어 집니다. 바늘(철로 만들어진) 같은 경우는 자구(magnetic domain)이 랜덤으로 정렬되어 전체적으로 보면 자성을 띄지 않는것 처럼 보이지만 철(Fe) 자체는 강자성(Ferromagnetism)으로 분류하는게 맞습니다.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14 күн бұрын
니가 뭔데 니가 교수냐 방구석 전문가 이런 댓글 달릴거에요 준비 잘하세요
@JoonMong
@JoonMong 14 күн бұрын
알루미늄이나 300계 스테인리스 바늘이라면 상자성이라고 할수있겠네요. 그래도 자석에 붙진 않겠지만..
@duckvirus2024
@duckvirus2024 14 күн бұрын
@@user-sz3bl1jr3y 아무도 그렇게 생각 안하는데.. 악플러 눈엔 악플러만 보이나요?
@beomphysics
@beomphysics 14 күн бұрын
네. 맞습니다. 오류였네요. 제가 곧 공지글로 바로 잡을게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14 күн бұрын
@@duckvirus2024 어느 부분에서 화나신거임?ㅋㅋㅋㅋㅋ
@user-ke8zy7xd8j
@user-ke8zy7xd8j 14 күн бұрын
파리 드셔보셨어요? 의외로 맛있답니다. 특유의 고소함과 감칠맛이 있어요
@user-ef6bc9ee7m
@user-ef6bc9ee7m 12 күн бұрын
자석으로 무한동력 만들수잇을거같은데 이건안되나용?
@user-vr5sg6oj1d
@user-vr5sg6oj1d 10 күн бұрын
초음속 전투기에 파리가 있어도 마찬가지 인가요?
@user-ux2pp7zn3e
@user-ux2pp7zn3e 10 күн бұрын
엔트로피가 무질서도라고 들었는데 검색해보니 불필요한 에너지와 관련이 있더라고요. 엔트로피라는 것은 정확히 무엇인가요?
@user-iy5bp4ev7f
@user-iy5bp4ev7f 14 күн бұрын
과학을보다 멤버들도 게스트로 초대해주세요 꿀잼일듯
@brtstar-jl6pv
@brtstar-jl6pv 14 күн бұрын
버스 구조물 어딘가에 앉아 있던 파리는 사람과 똑같이 영향을 받겠죠. 날고 있다면 교수님 말씀이 맞구용~
@Korea_Land_Dokdo
@Korea_Land_Dokdo 11 күн бұрын
1:07 자구는 자전하고 태양주의를 공전하는데도 뱅기와 헬기는 지구밖을 벗어나지 않는다. 초딩때 배우는 내용
@Epikrous
@Epikrous 14 күн бұрын
달리는 버스에 파리가 들어오면 짜증나죠.. ㅜ 잡아!!
@pigpjg
@pigpjg 7 күн бұрын
등속직선운동을 하는 차 안에서 운행 도중 드론을 띄우면 어떻게 될지 헷갈리네요
@user-we4zy2bo9v
@user-we4zy2bo9v 14 күн бұрын
버스 기압차 얘기 보다가 궁금한게 엄청 긴 기차가 직선 주행한다 가정할때 앞량과 뒤량의 기압차가 생길 수 있는건가요? 밀폐상황에서는 안 생길거 같긴한데?????
@NfK
@NfK 7 күн бұрын
가속하는 경우, 각 열차의 량이 독립적으러 밀폐되어있다먄 앞량과 뒤량은 같은 기압을 가집니자. 하지만 밀폐되어있지만 모두 이어진 공간이라면 그건 그냥 긴 버스라고 생각하면 돼요. 앞량과 뒤량은 기압차가 생깁니다
@user-gk4ip2zy9z
@user-gk4ip2zy9z 14 күн бұрын
잼민이 아들이 차에 모기가 있을때 어떻게되는지 친구들이랑 토론을 했는데 뭐가 맞냐고 물어보더라구요. 과학을 보다에 물어보고 정확하게 말해주겠다고 했는데 오늘 딱 파리 친구가 나왔네요. 감사합니다~ ㅎㅎ
@wja5082
@wja5082 14 күн бұрын
사람이 일정한 속도로 달리고 있는 버스안에서 제자리 점프를 하면 제자리로 떨어지나요?? 그럼 일정한 속도로 달리는 버스 바깥으로 점프대를 빼놓고 그위에서 사람이 제자리 점프를 하면 사람이 점프대 뒤로 떨어지나요?? 바람의 영향이 없다고 했을때가 궁금합니다.
@NfK
@NfK 7 күн бұрын
네. 전부 맞습니다
@goldenlaver
@goldenlaver 14 күн бұрын
7:13초에 침개상투에 침 폰트가 명조체에 한국한자가 아니네요; 그 다음 설명에서는 쇠금변이 제대로 나오고 있네요.
@sakylee
@sakylee 11 күн бұрын
교수님 폭포 물 위아래 온도차가 있나? 하는 영상보고 여기에 질문글 올립니다. 1.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어서 온도가 오른것이라면 만약 쇠구슬등 기타 물체도 높은곳에서 떨어뜨리면 떨어진 후 온도가 더 높을까요? 공기와의 마찰을 없애기 위해 진공상태에서 실험한다고 가정하구요. 2. 전기자전거 타고 다니다가 든 궁금증인데요.. 학창시절 물리배울땐 왜 안궁금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전기에너지와 운동에너지가 같은 단위를 사용하잖아요? 그런데 운동에너지와 전기에너지가 상호 전환되는 과정에서 아무런 손실이 없이 100퍼센트 전환된다고 했을때 두 에너지의 크기가 같은건지요? 전압 전류에서 유도된 P=VI 의 와트와 속도와 거리에서 유도된 P = 일/시간 에서 유도된 와트가 물리적으로 서로 호환되는 같은 크기라면 대체 어떻게 이런 관계가 성립되는 건가요?
@NfK
@NfK 7 күн бұрын
1. 네. 정답입니다. 2. 이것 또한 정답입니다. 에너지 보존법칙이라고 하죠. 해당 공식의 상관관계를 말로 풀어보자면 어떠한 물체를 일정 시간동안 일정 거리만큼을 움직일 수 있는 힘을 내려면 일정한 전류와 전압이 필요하다는게 되죠. 따라서 이상적인 모터를 가정하면 Work/Time = VI라는 공식을 그대로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hks4722
@hks4722 14 күн бұрын
버스 바깥에서 5km/h 속력으로 날고 있던 파리가 있습니다. 그런데 70km/h로 옆으로 지나가는 버스에 열려 있는 창으로 샥 들어갔을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반대의 경우로 220km/h로 달리는 차에서 창 밖으로 살포시 내려놓은 볼링공은 포탄처럼 강렬하게 볼링핀을 다 날려버리던데.
@user-we4zy2bo9v
@user-we4zy2bo9v 14 күн бұрын
이미 타있는상태에서 관성이 생긴게 아니라 상대속도라 다르지 않을까 싶긴하네요
@NfK
@NfK 7 күн бұрын
그럼 뒤쪽으로 훅 밀려들어갈겁니다
@domagecom
@domagecom 14 күн бұрын
2001년 버스 뒷자리에 앉아서 친구들하고 이 이야길하면서 갔던 기억이 나네요. 준형이 잘 살고 있나
@user-cj7fu8me3q
@user-cj7fu8me3q 10 күн бұрын
아직 영상은 안봤지만 고등학교에서 배운 수준에서는 등속도 운동에서 가만히 있으며 가속 운동중에는 뒤쪽 정지는 관성에 의한 앞쪽으로 이동할거 같습니다. 단 이는 창문이 닫혀있고 기체 흐름이 외부와 차단되어 있다는 가정입니다. 공중에 떠있다고 해도 내부 기체는 가속에 따른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HGWB0924
@HGWB0924 3 сағат бұрын
스키점프 선수들이 미끄러지듯 착지해서 안다친다고 하던데 그럼 높은 계단 에서도 그런식으로 점프해서 지면에 착지하면 안다치나요?
@vs289
@vs289 11 күн бұрын
버스 바깥은 바람도 맞는데 당연히 다르겠죠? 가끔보면 고속도로 달리다가 휴게소 들려서 밥먹고 출발할때 앞에 유리창에 벌레 붙어있는경우 있는데 고속도로라서 1시간동안 안멈추고 달렸는데 숨막혀 죽지도않고 바람에도 안밀려가고 붙어있다가 1시간뒤에 시내길나와서 멈추니깐 바로 기어가던데..
@venra8920
@venra8920 7 күн бұрын
오 그럼 진공 상태의 버스에선 파리가 뒤로 날아가 부딪히나요?
@user-ut2ft5yq7b
@user-ut2ft5yq7b 12 күн бұрын
어릴때 궁금했던 궁금증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또 하나의 어린시절 궁금함이 있어서 여쭈어봅니다. 어린시절 시간이 멈추는 능력은 참 매력적이면서 이야기였죠 근대 여러 시간을 멈추는 능력에 대한 이야기들을 보다가 여러 과학을 배우니까 궁금해진것들이 있습니다 조건: 시간이 멈추지만 자기 자신의 움직임과 활동대사는 정상적이다 1.이럴경우 과연 인간은 움직일수가 있을까요? 2.우리의 눈으로는 세상을 볼수있을까요? 1-1궁금증 모든것이 멈추어진 세상에서 공기또한 멈춰있는데 인간이 움직인다면 공기층을 밀어내면서 전진하는건대 과연 그압력을 밀어내면서 이동할수 있는것인가? 2-1 과학시간에 배우기로는 빛 또한 속도로 움직여 물체를 반사해서 우리 눈으로 볼수있게 된다고 배웠는데 시간이 멈추어진 세상에서 빛의 속도 또한 멈추어있는데 우리가 볼수있을까요? 째깍째깍 이라는 애니메이션을 보다가 문득 그들이 멈추어진 세상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고 보고 숨쉰다는것이 문리적으로 가능한건지 궁금해서 적어봅니다 감사합니다!
@NfK
@NfK 7 күн бұрын
시간정지 참 재밌는 설정이죠ㅋㅋㅋㅋㅋㅋ 주어진 조건에서 본다면 본인은 빛보다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것입니다. 일단 물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전제를 위반했기 때문에 기존 물리학 상식에서는 대답할 수 없죠.
@user-rn3kq3wd8p
@user-rn3kq3wd8p 8 күн бұрын
날계란 두 개를 서로 부딪혀서 깨트리면 왜 한쪽만 깨지나요?
@poo4851
@poo4851 14 күн бұрын
지구 속은 엄청 뜨거운텐데 지구가 자기장을 계속 유지하는 이유가 궁금해요
@JD-bu1lt
@JD-bu1lt 14 күн бұрын
지구의 외핵이 가만히 있는게 아니라 대류를 하면서 지구 안에서 돌고 돌면서 자기장이 생깁니당. 외핵이 흐름을 멈추면 자성이 사라지겠죠.
@user-nb2vc2uc4o
@user-nb2vc2uc4o 14 күн бұрын
아 파리입장에서 생각해보라는 사자성어가 생각나네요 파리피플 ~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14 күн бұрын
파리바겥
@user-pi8yl1gq5p
@user-pi8yl1gq5p 11 күн бұрын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궁굼한것들이 한 번 씩 문뜩뮨뜩 떠오르는데 어디 물어볼 곳은 없고 ㅜ 여기다 적으면 읽으시려나요 ㅜ
@anakin7057
@anakin7057 14 күн бұрын
급 기동 하는 전투기 캐노피 안에 있는 파리는 더 큰 중력가속도를 받으니 날기에 더 영향이 있는거죠?
@NfK
@NfK 7 күн бұрын
@user-ui3ze4tn7i
@user-ui3ze4tn7i 12 күн бұрын
버스 타있을때 내가 앉아있는 앞자리 등받이쪽에 먼지뭉치같은게 붙어 있었던적 있었는데 버스 출발하자마자 뒤로 날아감
@user-fb3uw2pv9r
@user-fb3uw2pv9r 8 күн бұрын
창문이 열려있는 버스가 시속 60킬로로 가고 있습니다. 똥파리 한마리가 시속 60킬로로 버스옆에서 같은방향으로 날다가 옆으로 이동해서 창문으로 쑉 들어갔다고 해봅시다. 버스에 진입한 후 파리는 어떻게 될까요? 1. 버스에 들어온 순간 시속60킬로로 버스 앞유리에 부딫힌다. 2. 버스에 들어온 순간 제자리에서 날게된다. 3. 버스에 들어온 순간 시속 60킬로로 버스 뒷유리에 부딫힌다
@user-vl6hr1zp8r
@user-vl6hr1zp8r 11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숫자4와 5사이에 숫자가 하나 더 존재하면 세상은 어떻게 될까요? ^~^
@user-jl9up6xw9p
@user-jl9up6xw9p 14 күн бұрын
만약에 드론이 떠 있는 상태에서 버스가 출발해도 같을까요?
@siegfriedsage42
@siegfriedsage42 9 күн бұрын
공기보다 무거우면 뒤로 가고, 가벼우면 심지어 반대방향으로도 갑니다. 이미 풍선 실험한 영상이 있죠. 즉, 가속시 파리가 제자리로만 난다면,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뒤로갑니다. 뭐 파리가 가만히 날지는 않겠죠. 무게가 달라도 똑같은 속도 자유낙하 실험은 일단, 엄격하게는 공기도 없는 빈 공간부터 가정을 해야긴 하죠.
@user-rn3kq3wd8p
@user-rn3kq3wd8p 8 күн бұрын
우주의 크기를 무한대라고 가정한다면 빅뱅 시작점의 크기도 무한대라고 봐야 하나요?
@NfK
@NfK 7 күн бұрын
빅뱅 시작점의 크기는 0으로 봅니다
@user-gw1tr8ou7o
@user-gw1tr8ou7o 13 күн бұрын
사람의 시력이 있으니 멀리있는 별,,,해,,,,달 일출,,,일몰등은 보는사람과 의 거리가 무척궁금합니다 부탁 드립니다
@OIEI_OIOF7I
@OIEI_OIOF7I 6 күн бұрын
나의 과학수업이 늘 이랬다면 나는 문과가 아니라 이과를 선택했을거야......
@Smeejang
@Smeejang 13 күн бұрын
구독자님들의 질문에 답변해주시는 것보고 저도 신기한 것을 발견해서 문의 드려봅니다. 자니베코프 효과라는 영상인데 정말 신기하네요. 어떤 원리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부탁드립니다. ^^ kzbin.info-7GtzVvl6-g?si=orX8WF7pbQLCX2nO 항상 교수님 컨텐츠 기다리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ri5gs2pt5l
@user-ri5gs2pt5l 8 күн бұрын
무식해보일수있지만.. 버스가 가다가 급정거할때 사람처럼 파리도 떨어지거나 어디 부딪힐수있나여..? 이부분고 궁금해여 ㅋㅋㅋ😂
@NfK
@NfK 7 күн бұрын
네ㅋㅋㅋㅋㅋ충분히 가능합니다
@yongtaekkim4555
@yongtaekkim4555 14 күн бұрын
불루투스 외이도염 해결방밥 뭔의드립니다..
@user-rk4bh5yh2w
@user-rk4bh5yh2w 14 күн бұрын
자석에 대해서는 김갑진 교수 강의 들어면 확실하게 알수 있어요 카이스트 교수 입니다
@user-wn6wc5ho8l
@user-wn6wc5ho8l 10 күн бұрын
파리나 날고 있을때 차 브레이크 잡으면 앞유리에 부딪히던데 ㅋㅋ 반대로 날고 있을 때 차 출발하면 순간 뒤로 확 날라감 ㅋ
@slowkim2548
@slowkim2548 11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최근 유튜브를 보다가 비행기 날개의 양력의 발생원리가 날개 위 아래 기압차에 의한 것이 아니고, 비행기 날개가 공기를 아래로 뿌려주고 그 반작용으로 날개는 위로 힘을 받기 때문에 양력이 발생한다는 내용의 영상을 보았습니다. 그런데 다르게 설명하는 영상들도 많고 해서, 뭐가 맞는 설명인지 혼란스럽네요. 비행기 날개의 양력은 어떻게 발생하는 것인지 설명해주시면 재미있게 시청하겠습니다!
@NfK
@NfK 7 күн бұрын
첫번째 설명은 베르누이법칙, 두번째 설멍은 작용 반작용 법칙인데, 둘 다 영향이 있다고들 설명합니다
@user-hs1fc2nv4n
@user-hs1fc2nv4n 13 күн бұрын
그럼 오픈카에 파리는 어떻게 설명할수 있나요 ????
@franceair5114
@franceair5114 11 күн бұрын
바람에 날라갑니다 버스도 오픈카처럼 뚜껑열고 가보면 똑같이 날아감
@kml6960
@kml6960 10 күн бұрын
달리는 버스안에 들어온 파리는 당연히 버스앞유리에 충돌한거랑 같지 않나요?
@free_self-control
@free_self-control 13 күн бұрын
오호... 귀신 퇴치? 말빨이었던 지평좌표계 아성?이... 무너지는 건가?
@user-fb3uw2pv9r
@user-fb3uw2pv9r 8 күн бұрын
지구 자기장이 그렇게 약한데 어떻게 나침반이 N극,S극을 가리킬 수가 있는건가요? 그보다 수만,수십만배 강한 자석이 지구상 어딘가 존재한다는거잖아요? 그럼 나침반의 N극은 북쪽을 가리키지 못하고 그 자석쪽을 가리키케 되어야 하지않나요?
@damo07
@damo07 13 күн бұрын
2:50 제 지식의 짧음으로 인한 질문일지 모르겠지만 지구가 잡아당기고 있을 때 가만히 있는건 뉴턴 제 3법칙에 의한 수직항력 때문이 아닌가 싶어서요..
@NfK
@NfK 7 күн бұрын
관성과 중력의 동일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입니다
@yonggulee2391
@yonggulee2391 11 күн бұрын
지하철에서 지하철 카사이 문이 모두 열린상태로 지하철이 출발하면 가장 뒤에 칸에 탄사람은 바람이 부는걸 느끼거든뇨.... 이건 뭐죠?
@jhlee1930
@jhlee1930 13 күн бұрын
버스=지구, 파리=사람 으로바꿔도 비슷한 이치일것같은느낌?..
@stone7139
@stone7139 14 күн бұрын
정답 버스가 순간 움직일때 오줌 지리고 사람 머리위에 앉는다 😂
@user-gp8wg1lj2i
@user-gp8wg1lj2i 12 күн бұрын
저의 2024.05.19 PM 07:35에 전송한 메일을 받은 순위는..., [김]범준 교수님이 금은 바로 [1]위 이십니다. 국내 최고 명문대 졸업생 답게, 매우 정신과 행동이 빠르고 철학적이며, 저, 한태은과, 인연이 될 가능성이 크시네요. (2024.05.20 AM 07:35)
@jaegerlecoultre1477
@jaegerlecoultre1477 10 күн бұрын
이쪽 분야는 정말.. 김갑진 교수님이 원탑이신데 그분이 정말 ..정말로 설명잘해주십니다 유튜브 검색하시면 나오는데 반드시 들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안보면 인생 손해봅니다!
@Shinnosuke-Nohara
@Shinnosuke-Nohara 14 күн бұрын
드론으로 실험하는. 영상잇엇음 좋앗을건데 말로들어도 머리론 이해가. 안되네ㅜㅜ
@lalalaal9934
@lalalaal9934 14 күн бұрын
보면 이런 정보, 지식 유튜브가 은근 조회수 잘 나옴 그런데 관련 교수가 그것도 언변이 뛰어난 교수가 한다? 안 되는 게 더 신기할 것임
@HGWB0924
@HGWB0924 12 күн бұрын
스키점프 선수들 높은 곳에서 하늘을 날듯 멀리가는데 착지할때 왜 안다치나요
@NfK
@NfK 7 күн бұрын
내리막길에 미끄러지며 착지하면 긴 시간에 걸쳐 충격량을 나눠받기 때문이죠
@genchicken
@genchicken 14 күн бұрын
파리는 어떻게 지평 좌표계를
@user-we4zy2bo9v
@user-we4zy2bo9v 14 күн бұрын
중력이 고정해주었죠
@user-sh1ne8vb4y
@user-sh1ne8vb4y 14 күн бұрын
고등 물리시간에 파리와 버스는 하나의 계(system)이기때문에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고 배웠습니다.
@JD-bu1lt
@JD-bu1lt 14 күн бұрын
버스에 탄 사람도 하나의 시스템인데 가속할 때 몸이 기울어지잖아요.
@magic_guitar
@magic_guitar 14 күн бұрын
그래서 그설명을 디테일하게 설명하고있는데 또 원초적인 얘기를하시네ㅋㅋ
@fjord38
@fjord38 14 күн бұрын
@@JD-bu1lt그건 버스도 마찮가지에요. 시스템 전체가 영향 받는 겁니다
@JD-bu1lt
@JD-bu1lt 14 күн бұрын
@@fjord38 버스가 가속을 하는 조건에서는 가속도와 중력에대한 합력이 파리에 작용하기 때문에 (가속을 하기전과 동일하게)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중력 만 받는다) 는 틀린 설명입니다.
@user-nj1bw4jm6q
@user-nj1bw4jm6q 14 күн бұрын
​@@magic_guitar와 제가 딱 얘기하고 싶은말을..ㅜㅜ 2-3=-1임을 설명하고 있는데 지나가던 초딩이 저희 쌤이 더큰수(number)는 뺄 수 없다고 배웠습니다. 이러는 수준인데 하... 너무 답답함 대단하지도 않은데 지가 똑똑한줄암..ㅜㅠㅠㅠ
@user-soda-
@user-soda- 11 күн бұрын
가끔 날파리 차에 들어와도 가속을하든 정차를하든 계속 내앞에 계속맴돔 그냥 모든 창문열고 내보냄ㅋㅋ
@JohnSmith-jz7hu
@JohnSmith-jz7hu 14 күн бұрын
달리는버스 생각할게 아니라 지구 자체가 돌고있으니까 파리 모기 새들 다 못날아다님 버스보다 지구 자전이 훨씬 빠름 근데 파리 모기 새들 뒤로 안튕겨나가지? 그게 진실이고 굳이 버스안에 드론 날릴 필요없음
@ccj3372
@ccj3372 14 күн бұрын
버스를 오픈카로 만들면 파리가 없겠다
@user-zv2xv4lc2h
@user-zv2xv4lc2h 14 күн бұрын
지평좌표계 나올때 됬는대 ㅋ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어떻게 복원할까?
7:06
조승연의 탐구생활
Рет қаралды 177 М.
狼来了的故事你们听过吗?#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0:42
超人不会飞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
ХОТЯ БЫ КИНОДА 2 - официальный фильм
1:35:34
ХОТЯ БЫ В КИНО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ONE MORE SUBSCRIBER FOR 6 MILLION!
00:38
Horror Skunx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L'atome (partie 2) - 31 - e-penser
26:50
e-penser 2.0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어쩌다 영어는 세계를 삼킨 언어가 됐을까?
17:15
보다 BODA
Рет қаралды 400 М.
4차원의 그림자- 정다포체
3:30
쌤-톡스, 배움이 즐거운 공간
Рет қаралды 7 М.
狼来了的故事你们听过吗?#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0:42
超人不会飞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