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은 정당한가?’ 철학자 피터 싱어가 다양한 예로 쉽게 설명해주는 공리주의에 대한 진실┃위대한 수업┃뇌벨업

  Рет қаралды 7,059

EBSCulture (EBS 교양)

EBSCulture (EBS 교양)

11 ай бұрын

『동물 해방』의 저자이자 효율적이타주의를 제창한 호주의 철학자 피터 싱어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의사들의 윤리적 선택, 도스토옙스키와 어슐러 르 귄의 문학작품을 차용한 철학적 사고 실험 등 다양한 예와 함께 공리주의 윤리관에 대해 알아본다.
📺방송정보
📌프로그램명: 위대한 수업 - 피터 싱어 - 실천윤리학 1강 왜 공리주의인가?
📌방송일자: 2021년 10월 12일
#위대한수업 #뇌벨업 #피터싱어 #공리주의 #윤리 #도덕 #정의

Пікірлер: 22
@user-jg6gu7vt4b
@user-jg6gu7vt4b 3 ай бұрын
???살아 계셨군요 옛날 철학자들이랑 항상 같이 나오시다 보니까...이렇게 동시대에 있다는 점이 너무 신기하네요
@CZ2I28
@CZ2I28 6 ай бұрын
논술 지문에 이 사람 윤리학 주장 나와있길래 이미 돌아가신 줄 알았는데 살아계셨네...
@user-zk5mi4je1i
@user-zk5mi4je1i 4 ай бұрын
0:01: ⚖ 공리주의와 윤리적 질문에 대한 설명 0:01: 복리주의에 대한 윤리적 질문 0:21: 국민주의와 공리주의의 차이 1:30: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공리주의적 상황 2:42: 의사의 중환자실 침대 선택 4:08: 공리주의의 논란과 결과 4:47: 🤔 공리주의에 대한 윤리 이론과 다른 이론에 대한 비교 4:47: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예시 7:03: 국리주의가 최선의 윤리 이론으로의 주장 7:10: 우엘칸트의 도덕 이론에 대한 설명 7:52: 사람을 수단으로 대하지 않아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의문 8:08: 파피승의 예시를 통한 사람을 수단 혹은 목적으로 여기는 것에 대한 고찰 9:49: 🤔 공리주의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과 윤리적 결정에 대한 고민 9:49: 긴급한 상황에서의 규칙 따르기 어려움 10:19: 공리주의의 현실적인 측면 강조 10:39: 행복과 쾌락을 추구하는 욕구 Recapped using Tammy AI
@whijaes
@whijaes 11 ай бұрын
다수가 악의를 품는다면 그것은 선일까 ...
@jjanggyuri
@jjanggyuri 7 ай бұрын
다수가 악의를 품더라도 결과적으로 사회에 좋은 영향을 미치면 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악의를 품은 집단 안의 개인 서로서로가 타인의 악의로 인해 피해를 받지 않는다면 그것은 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user-gn3hi8qb4p
@user-gn3hi8qb4p 7 ай бұрын
공리주의는 결과론적이라서 악의를 품든 선의를 품든 결과에 따라 선악이 달라집니다
@bleuuciel
@bleuuciel 2 ай бұрын
동기론적인 사고가 아닌 결과론적 사고를 중요시하고 정의라고 보는 공리주의의 입장에서는 다수의 선택이 선입니다 그것이 설령 범죄라고 하더라도요
@1arcaea
@1arcaea 2 ай бұрын
댓글 달려고 했는데 다들 잘 적으셨네요ㅎㅎ
@doyeon05
@doyeon05 Ай бұрын
다수의 동기도 선택도 아닌 쾌락이 선인거라 악의에 따른 행위나 범죄는 선이 되기 힘들듯 이런 행위는 필연적으로 타인의 고통을 야기하기 때문임 다수가 범죄를 의도해 쾌락을 얻더라도 그 행위들에 의해 증가하는 고통이 더 클듯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8 ай бұрын
여기서 말하는 최대 다수는 가능한 많은 다수지 가장 많은 다수로는 안보이는 편
@monbiotmiric284
@monbiotmiric284 2 ай бұрын
한 아이를 고문해서 세상을 구할 수 있다고 치자!! 그런데 그런 세상이 존재할 가치가 있는가?? 이 사람의 논리 대로라면 90명을 살리기 위해 89명을 죽여도 정당하다고 주장해도 된다.
@user-pr1ep8oy5m
@user-pr1ep8oy5m 2 ай бұрын
정말 궁금해서 묻는건데, 그럼 89명을 위해 90명을 희생하는건 정당한가요?
@monbiotmiric284
@monbiotmiric284 2 ай бұрын
의도적인 지 여부가 판단의 기준이 되겠지요@@user-pr1ep8oy5m
@1arcaea
@1arcaea 2 ай бұрын
​@@user-pr1ep8oy5m90명이 사는 게 89명이 사는 것보다 중요하니까 아마도 그건 아닐 것 같네요.
@user-dl8sk7nu2u
@user-dl8sk7nu2u 11 ай бұрын
이 자 한국의 법치 체험하면 생각바뀔것 ㅋㅋㅋㅋ
@user-vx6wm9sd2r
@user-vx6wm9sd2r 4 ай бұрын
상당히 모순적인 철학자. 사실 이미 폐기처분 해야하지만 그래도 기여도가 있으니 나오는 철학자. 동물 권리도 잘 보면 식물 생태계에게 모든 희생을 강요함. 극단적 공리주의자라서 희생을 당연시함. 인간이 동물의 아픔을 느끼기 때문이 괴로우니 해치지말자는건데 오만함.
불교의 발상지 인도에서 불교가 쇠퇴한 원인은?
18:35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509 М.
Pokey pokey 🤣🥰❤️ #demariki
00:26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Eccentric clown jack #short #angel #clown
00:33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FOOTBALL WITH PLAY BUTTONS ▶️ #roadto100m
00:29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75 МЛН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BTS멤버에게 그림을 판 무명화가 마크 도미너스
3:35
역사를 그려조
Рет қаралды 62
2022 공부독립수학 방학특강
4:23
공부독립TV
Рет қаралды 4,1 М.
Pokey pokey 🤣🥰❤️ #demariki
00:26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