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일반인이 따라 하시면 감전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절연 장갑을 착용하고 안전한 조건에서 작업을 하시길 바라며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There may be a risk of electric shock or fire if ordinary people follow this. Wear insulated gloves and work in safe conditions. Be sure to seek professional help.
@zxzi55623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 합니다. 화이팅
@diymania3 жыл бұрын
아이고~ 감사합니다...^^
@hojunsang17596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저희 집 에어프라이어가 뭐가 떨어져 끼었는지 열리지를 않아서😂😂 직접 뜯어볼까 해요.
별도로 구입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연결할만한 적당한 걸 찾아 연결해 주어야 할 겁니다. 커넥터 핀을 빼서 어떻게 개조하면 될 것 같긴 합니다.
@박정순-h1k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영상 잘보고 갑니다^^
@diymania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김종순-d9b3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드립니다.
@diymania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master-vb7of22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덕분에 용기내서 에어프라이기 수리중입니더. 온도휴즈 찾앗고요.. aupo bf157 G1이라고 써잇는데.판매되는 제퓸은 aupo bf157 M1 밖에 없네요.사용해도되는건가요?
@diymania22 күн бұрын
데이타 쉬트를 찾을 수가 없네요. 온도 휴즈는 온도가 중요합니다. 스팩상 컷 오프 온도만 같다면 상관이 없을 겁니다.
@bondj9725 Жыл бұрын
에어프라이 용기를 삽입하면 조작버튼 불이 들어왔다 바로 나가서 먹통이 되는 데 용기 삽입감지센서 이상 이거나. 콘덴서 이상 같은데 어디가 원일일까요. 버리는 샘치고 분해해볼까 하는데. 기종은 다르지만 구조는 비슷하겠지요.
@diymania Жыл бұрын
일반적으로 용기 감지는 스위치가 많이 쓰이는 것 같습니다...그것 때문에 들어 왔다가 다시 나갈 것 같진 않습니다 아마도 회로쪽 문제일 것 같긴 합니다..어차피 버리실거면 차근차근 체크해 가면서 수리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참한행님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대부분 전원이 안들어오면 온도휴즈 불량인 경우가 많은가요? 기존휴즈보다 조금 더 높은 휴즈로 교체해도 되는지요?
@diymania Жыл бұрын
안전을 위해서 전열 기구엔 대부분 과열을 막는 온도 휴즈가 사용 되는 것 같습니다...구입을 하실 경우는 가급적 동일한 스팩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겠지만 보유하고 있는 휴즈가 너무 높지 않고 약간 더 높다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master-vb7of23 күн бұрын
시메르 에어프라이어 사용중 전원이 안들어와서 검색하다 보게되었습니다 .. 에어프라이어에는 일반 휴즈가 아닌 온도휴즈가 둘어가는건가요?
@diymania23 күн бұрын
일반 휴즈는 회로를 보호 하기 위해서 들어 가지만 전열기엔 과열로 인한 화재 방지를 위해 온도 휴즈가 대부분 들어 갑니다. 일반 휴즈처럼 정해진 온도가 넘어가면 끊어 지도록 되어 있습니다.
@master-vb7of23 күн бұрын
@diymania 답변 감사합니다 .전원 연결을 안하고 작업해도 감전위험이 있나요 ?
@diymania19 күн бұрын
전원을 연결하지 않으면 감전이 되거나 하진 않습니다~
@Bluebirds123984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잘봤습니다
@diymania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편한 밤 되세요...
@송순예-v6s Жыл бұрын
같은 모델인데ᆢ 당근에서 샀는데 사용중 차단기가 떨어지는건 뭐가 문젤까요
@diymania Жыл бұрын
제품에 누전이 있거나 아니면 연결된 콘센트에 부하가 많이 걸리는 가전이 함께 연결이 되어 있다면 차단기 용량을 초과해서 떨어지는 경우가 있을 것 같습니다...테스트 방법은 프라이어가 전력 소모가 큰 제품이다 보니 독립된 다른 콘센트에 연결해 보시거나 사용 중엔 다른 부하가 큰 가전을 끄고 동작을 시켜서 문제가 동일하게 발생이 된다면 프라이어기 누전일 가능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뭉게-r4b2 жыл бұрын
에어프라이어 고장 수리 영상 감사합니다. 그런데 저희 기필 에어프라이어는 많이 사용하지 않았는데, 전원을 넣으면 1초정도 팬이 도는 듯 작동하다 꺼져 버리는데 왜 그럴까요? 어찌해야 되는지 알려 주세요~ㅠ ㅠ
@diymania2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러한 증상은 경험이 없어 뭐라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AS에 우선 문의를 한번 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wonsung7887 Жыл бұрын
오래전에 올리신 영상에 질문 댓글을 올리는데 확인하실지는 모르겠으나 혹시나 하는 마음에 여쭤봅니다. 저의 제품은 2019년 9월에 구입한 알렌토 스카이 에어프라이어 [jsk-18010] 모델입니다. 몇일전부터 열선에 열이 안나오고 펜이 돌아가는 소리가 나지않습니다. 외부를 만져보면 뜨겁고 작동은 되는데 음식물을 뎁히는 수준정도로 되버렸네요. 아무래도 위에 말씀드린 열선에 열이 뻘겋게 되지않으니 그런것 같습니다. A/S센터에 문의하니 단종된 제품이고 A/S도 불가하다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이제 3년정도 사용한 제품인고 당시에는 나름대로 큰돈주고 구입한건데 그냥 버리려고 하니 억울하네요. 무엇이 문제인지 수리할 방법이 있다면 제가직접 수리해 보고 싶습니다. 알려주시길 부탁드립나다.
@diymania Жыл бұрын
단종 되었다고 수리를 안 해 준다는 건 좀 문제가 있어 보이네요...수리를 위해서는 우선 전기적 지식이 필요합니다. 저 또한 이 제품의 전문가가 아니다 보니 증상만으로 무엇이 문제인지 알기가 힘듭니다. 원리는 전기가 공급이 되면 발열이 되고 그 열을 팬이 돌면서 내부에 뜨거운 공기를 순환 시키게 되고 정해진 시간 동안 해당 온도가 되면 발열이 멈추었다가 다시 식으면 작동이 되는 원리이므로 그러한 배선 과정에서 과열을 방지하는 온도 휴즈나 바이메탈 스위치가 있을 수 있고 용기를 감지하는 스위치도 있을 수 있습니다. 전기 코드부터 시작해 배선을 하나하나 찍으면서 최종 열선과 팬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이 잘 되는지 확인해 나가는 방법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wonsung7887 Жыл бұрын
@@diymania 말씀만 들어도 복잡하네요.ㅠㅠ 바쁘실텐데 정성껏 답변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검색을 해보니 온도퓨즈 이상일경우는 전원자체가 안들어온다고 하네요. 그러면 바이메탈 고장일 확률이 높은것 같은데 바이메탈 위치는 어디쯤에 있는지 아시는지요? 바이메탈 역시 검색해보니 비슷한 모양이 에어프라이어 내부에 아무리 찾아봐도 안보입니다. 에어프라이어에 있는 바이메탈은 생김새가 다른건지요? 너무 무지해서 죄송합니다...
@diymania Жыл бұрын
말씀처럼 온도 휴즈는 끊어지면 전기가 전혀 들어 오지 않습니다...제품마다 온도 제어는 다를 수 있어 꼭 바이메탈 스위치가 있는 건 아닙니다...온도 센서로 감지해서 전자적으로 제어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온도 센서가 불량이 나면 온도 제어를 정상적으로 할 수가 없겠죠...모두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지만 온도에 이상이 있다면 온도 센서를 의심해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wonsung7887 Жыл бұрын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더 여쭙고 싶은것이 있으나 너무 귀찮게 하는것같아서 각설하겠습니다.ㅎㅎ 항상 건강하시고 가내 두루두루 평안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그리고 구독도했고 올리신 영상 꾸준히 시청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iymania Жыл бұрын
지금 당장 수리를 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시간이 날 때 마다 하나 하나 원리도 파악을 하면서 공부도 하시고 하다 보면 조금씩 보이는 경우도 있고 부품을 구할 수 없어 수리가 불가 할 수도 있겠지만 원리는 다 비슷하니 다음에 또 수리 할 일이 생기면 좀 더 쉽게 수리를 하실 수가 있을 겁니다. 장마에 건강 잘 챙기시길 바랍니다~^^
아이고 어쩌시다가...비닐이 눌러 붙었다면 심각하네요...분해를 한다 해도 비닐이 잘 떨어질지도 의문이네요...
@hscheol723 жыл бұрын
저희 에어플라이어는 전원도 들어오고 열도 가해지는 걸로 보이는데 팬이 돌지 않네요. 혹시 점검방법 알 수 있을까요?
@diymania3 жыл бұрын
팬 불량인지 전원 공급 문제인지 부터 확인해 보는 것이 순서인 것 같습니다 팬에 들어가는 전선의 전압을 찍어 보면 금방 알 수가 있습니다 AC 220가 들어 갈 겁니다 테스트기 AC모드에서 220V가 찍히는지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전압이 찍히는 경우 팬 불량이라고 보시면 되고 안 찍히면 기판에서 문제가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hscheol723 жыл бұрын
@@diymania 예 감사합니다
@eun37827 ай бұрын
해결하셨나요?? 저희집 에프기가 오늘 갑자기 펜이 안 돌아서요ㅠㅠ다른 기능은 다 잘 되는데 펜도 도는 걸로 lcd창에서 보이는데 막상 웅 거리는 소리가 안 나네요ㅠ
@pianobear777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휴즈는 그냥 휴즈 사면 되는건가요? 에어프라이어 휴즈라고 검색하니까 나오질 않아서요..
@diymania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네이버에서 온도 휴즈로 검색을 하시고 각각 끊어지는 온도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해당 온도에 맞게 구입을 하시면 됩니다
@ele06543 жыл бұрын
영상 보다가 아실것같아 질문 드립니다 혹시 통돌이 세탁기 조작잔압은 몇볼트인지 아시나요 세탁 끝났을때 부져소리가 너무 작거든요
@diymania3 жыл бұрын
글쎄요 제가 세탁기 컨트롤러는 경험이 없지만 조작 버튼이나 마이콤를 포함한 IC들은 5V 전원으로 동작이 되지 않을까요~
@푸름이-y7i4 жыл бұрын
추천하고갑니다~
@diymania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allllllllllin66102 жыл бұрын
혹시 지금도 댓글을 보실런지요 ㅎ 저희집 에어 프라이어 온도퓨즈도 172도 인데요 정확히는 AUPO BF172 TF172°C 로 되어 있는데요 172도 짜리로 아무거나 교체해도 될까요? 같은회사의 제품을 찾아보니 암페어 규격이 10A와 16A 가 있던데 기존꺼는 A를 모르겠네요
@diymania2 жыл бұрын
온도만 같으면 교체해도 상관이 없을 것 같습니다....
@allllllllllin66102 жыл бұрын
@@diymania 감사합니다. ^^ 같은회사 제품은 해외구매밖에 안되어 다 뜯어논채 기다리기가 너무 길어 타사 같은 온도로 교체해야 겠어요. 댓글 주셔서 감사합니다.
@승끼-p5e2 жыл бұрын
전원도 들어오고 소리도 나는데 온도가 올라가지 않는경우도 온도퓨즈 문제일까요?
@diymania2 жыл бұрын
온도 휴즈가 끊어지면 작동 자체가 되지 않는 것이 대부분입니다...아마도 히터쪽이 의심이 되네요~
@leeknf67932 жыл бұрын
질문드립니다 에어프라이어 처음사서 냄새없앤다하며 돌렸는데 안에 안내설명서를 뇌두고 태웠습니다 이후 전혀안되는데 어찌해야할까요 250도 온도센서 구입처를 알수 없을까요?
@diymania2 жыл бұрын
안되는 이유가 설명서가 타서라기 보다는 내용물이 없이 작동을 시켜 과열이 된 것 같네요 온도 휴즈는 네이버에서 온도 휴즈로 검색하시면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 참고 바랍니다 해당 온도 휴즈가 없을 때는 약간 더 높거나 낮은 온도를 구입하시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search.shopping.naver.com/search/all?query=%EC%98%A8%EB%8F%84+%ED%9C%B4%EC%A6%88&bt=-1&frm=NVSCPRO
@leeknf67932 жыл бұрын
@@diymania 안내감사드립니다 온도휴즈부분이 그슬린건맞는것같습니다 그런데 휴즈가 이 링크 사진에 없는게 좀아쉽습니다 . 휴즈를 천정에 붙여놨는데 길다란 연철같은 줄로 온도제어 스위치에 연결된 휴즈이네요 아뭏든 친절하신 답변 감사드립니다.
@귀히여기라거룩하자순4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온도휴즈 찍을때 테스터기 어디다 놓고 찍나요?
@diymania4 жыл бұрын
휴즈는 다이오드(통전) 모드에 놓으시면 됩니다...
@김영동-l1j2 жыл бұрын
온도 휴즈는 몇도로 구매해야하나요?
@diymania2 жыл бұрын
기존의 휴즈 겉면에 허용 온도가 표시 되어져 있습니다 그것과 동일한 온도를 구매 하시면 됩니다
@seongjinkim2679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온도센서는 잘 동작하는데 송풍기가 안도는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diymania3 жыл бұрын
송풍기 모터 문제인지 아니면 송풍기 쪽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인지 부터 확인을 해 보시는 것이 순서인 듯 합니다..테스트기로 송풍기쪽 전원을 찍어 보시고 220v전원이 없다면 기판회로를 점검 하셔야 하고 전원이 들어 가는 상황이면 모터를 교체 하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esl88924 жыл бұрын
혹시 어디세요? 저 수리의뢰 가능한지 여쭙고싶네요
@diymania4 жыл бұрын
죄송합니다 제가 전문으로 수리하는 사람은 아니고요 취미로 수리를 하는 것이라 의뢰는 받지 못 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봄바람이-e4j4 жыл бұрын
diy쾌감 ㅋㅋ
@김대운-e8t4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오늘도 하나 배우네요. 부품조달은 어떻게 하나요?
@diymania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부품 구입처는 동영상 설명 부분에 링크되어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미토-z7z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보았습니다. 저희 집에도 에어프라이가 하나 있는데 전원을 넣으면 작동을 하다가 열이 좀 오르면 누전 차단기가 내려갑니다. 그러다 차가워진 후 다시 연결하면 누전차단기가 또 내려갑니다. 그런데 우연히 플러그를 거꾸로 꽃았더니 누전 차단기가 내려가지 않고 끝가지 작동을 해서 음식을 요리할수가 있었습니다. 제품에 문제가 있는 것일까요? 계속 사용하면 위험한가요?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diymania4 жыл бұрын
가정에 들어 오는 전기 두 가닥중 하나는 핫라인 이라고 살아있는 선이라고 합니다 나머지 한가닥은 중성선입니다 차단기가 내려가는것은 어딘가 누전이 되면 차단기가 내려 갑니다 반대로 코드를 꽂으면 누전이 되는 선이 중성선이 되어서 차단이 되지 않는 것으로 추측이 됩니다 멀티탭 연장선을 사용 하셨다면 멀티탭을 바뀌 보시고 아시겠지만 프라이어가 전기를 많이 소모를 합니다 그래서 같은 코드에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가전 기기가 함께 꽂혀 있다면 내려 갈 수도 있으니 다른 콘센트에 단독으로 독립적으로 꽂아서 사용를 해 보시거나 다른 가전의 코드를 뽑은 상태에서 프라이어만 꽂아서 사용를 해 보시는 것도 원인를 찾는 한 방법입니다 그래도 동일한 증상이면 에어프라이어 내부에 누전이 되는 것일 수 있으니 점검을 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테스트기가 있으시면 테스트봉 하나를 프라이어 철판에 대시고 하나는 코드를 번갈아 찍어서 저항값을 한번 보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미토-z7z4 жыл бұрын
@@diymania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테스터기가 있는데 한번 확인해 보겟습니다.
@diymania4 жыл бұрын
@@미토-z7z 아시겠지만 프라이어가 전기를 많이 소모를 합니다 그래서 같은 코드에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가전 기기가 함께 꽂혀 있다면 내려 갈 수도 있으니 다른 콘센트에 단독으로 독립적으로 꽂아서 사용를 해 보시거나 다른 가전의 코드를 뽑은 상태에서 프라이어만 꽂아서 사용를 해 보시는 것도 원인를 찾는 한 방법입니다
@미토-z7z4 жыл бұрын
@@diymania 감사합니다. 현재 에어프라이어는 벽 콘센트에 단독으로 꽂혀 있습니다. 맞는 방법인지 모르겠지만 에어프라이어의 전원코드의 접지부분을 테스터의 검은색 리드선에 대고 전원 코드의 나머지 돌출된 2부분을 빨간색 리드선으로 각각 찍어 본 결과 전원의 핫라인과 마주하는 전원코드의 접점에서 저항값이 변동이 있었습니다. 그러면 제품자체의 누전이 있는것인가요? (전기 지식은 예전에 중학교 다닐때 기술수업, 고등학교때 물리수업에 배운게 전부입니다. 그리고 집안의 led 전등은 모듈만 사서 제가 직접 교체한 경험은 있습니다. )
@diymania4 жыл бұрын
@@미토-z7z 메가옴 정도의 저항은 나올수 있습니다...테스트기가 있으시면 통전모드 또는 다이오드모드에서 찍어 보시고 쇼트가 되지는 않는지 살펴보시고 의심이 되시면 분해를 해서 살펴 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