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서 감명받은 일본이 제국주의를 꿈꾼 순간? | 서양 문명에 눈 뜬 일본의 성공과 한계_일본 근대화 2탄

  Рет қаралды 295,916

현재사는 심용환

현재사는 심용환

2 жыл бұрын

같은 시기, 같은 곳을 갔지만 달랐던 그 후의 이야기.
현재의 우리는 어떤 사회적 자산과 장기지속적인 힘을 갖고 있을까요?
▶️ 매주 목요일 저녁 8시 15분 '현재사는 심용환'
#일본근대화 #제국주의 #근현대사

Пікірлер: 1 100
@user-ck5no9dq8z
@user-ck5no9dq8z Жыл бұрын
일본제국주의로 인해 조선이 당했다고 원망하기보다 일본은 어떻게 근대화했는데 조선은 왜 못했나? 이런 공부가 우리의 미래를 위해 바람직한데 정말 좋은 강의네요.
@subwsin4359
@subwsin4359 4 ай бұрын
그래도 우리민족에게 지은 죄는 사죄해야하는것 아니냐???? 맞고 들어온 자녀한테 넌 왜 힘 없어서 얻어 맞고 사냐??면서 힘쎈놈 도리어 것과 뭐가 다르냐?
@Yun_Sensei_JPN
@Yun_Sensei_JPN 4 ай бұрын
​@@subwsin4359사과는 수십번 넘게 했고, 한국은 정권에 따라 사과를 받기도 하고 없던 일로 하기도 했습니다.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해야 한다고 하는데, 진정성 있는 사과의 정의가 뭔가요?
@son7797
@son7797 4 ай бұрын
맞아요. 조선이 뭐가 부족했는지, 비교분석이 필요한데, 역사로 태클 거는 문해력 부족한 인간들이 많네요
@AhKaSoom
@AhKaSoom 4 ай бұрын
@@Yun_Sensei_JPN 진정한 사과는 독일이 제일 모범적인 예지. 정치권에서 '위안부는 매춘부다' 같은 발언을 한 인사를 쓰는게 진정한 사과임? 거기다가 일본은 근현대사 제대로 교육도 안하는 나라인데ㅋㅋ 걔들은 하겐크로이츠가 뭔지도 모르는 애들이 태반임
@user-sd3kk8bg3f
@user-sd3kk8bg3f 4 ай бұрын
​@@subwsin4359국제사회는 철저히 힘의 논리에 의해서만 움직이는 야생입니다. 아직도 현실 직시 못하고 명분에만 얽매여 징징거리는 당신 같은 분들 덕분에, 21세기 들어 다시 한번 급변하는 세계정세 속에서 대한민국이 구한말의 실수를 답습할까 두렵네요.
@user-pb2xe1wy9q
@user-pb2xe1wy9q 2 жыл бұрын
대체 왜 이런 역사강의에도 너 친일이냐 하는 저열한 댓글들이 달리는지 아쉬움... 저런 사람들이 많으니 나라가 안 무너졌겠나...
@ISTP9061KIM
@ISTP9061KIM Жыл бұрын
사람은 아는만큼 보이는법인지라...
@taixxxchan
@taixxxchan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저런 사람들이 그 시절에도 있어서 남들 기계화 시작할 때 척화비 세운듯
@user-wc1pl8zl4r
@user-wc1pl8zl4r Жыл бұрын
망국의 역사를 알아야죠 늘 남탓만 하다기 망하는거죠
@user-id1xd6xs1t
@user-id1xd6xs1t Жыл бұрын
ㄹㅇ 미개
@heicheymizuhara6435
@heicheymizuhara6435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이해하기 쉽게 강의해주시는분이 계신대도 수준이 너무 미개해서 그렇습니다...밑도 끝도 없이 일본에 대해 조금이라도 좋은 점, 심지어 중립적인 말만해도 친일이냐고 하는 사람들은 멍청한 정도를 넘어서 그냥 공산주의 골수분자들처럼 뭔가에 세뇌가 된거라고 봐야됩니다.
@hoony076
@hoony076 Жыл бұрын
와...와...라는 감탄밖에...기존의 반일 감정으로 도배된 강의만 보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역사적인 관점으로 설명해주시는 교수님의 강의에 감탄하고 갑니다. 이젠 우리나라도 팬덤식 정치에서 벗어나 객관적이고 토론적인 방식으로 미래의 자산을 형성해나가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명강의에 감사드립니다.
@ittsssmeo1770
@ittsssmeo1770 2 жыл бұрын
꼭 우리가 알아야 할 내용인듯해요ㅎㅎ 역사를 배우는 이유를 늘 이 채널에서 다시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hg8242
@hg8242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그래도 당시에 이미 길이 다 정비되어있고 상업이 발달되어있고 충분한 숙련공들이 존재했었음 그리고 나가사키 데지마를 통해서 근대문물을 계속 받아들이고 있었기때문에 이미 근대화에대한 어느정도 대비가 되어있었음, 그래서 해외순방을 통해서 얻은 지식을 국가에 대입시킬수있는 여지가 있었는데 조선은 도로도 정비되어있지 못했고 상업은 거의 발달되어있지 못했고 무능한 관료사회였음. 그야말로 해외순방 다녀와서 그냥 벙찌고 올수 밖에 없었던 나라.
@coolp4680
@coolp4680 2 жыл бұрын
근데 일본의 도로정비가 왜 잘되어있는지 안다면... 역사를 너무 근시안적으로 보는듯 조선이 무능한 관료사회라는건 중기이후부터 적용되는말임 일본은 지금 현재가 무능한 관료사회인데 그럼 일본역사전체를 무능한 관료사회라고 평가할거임???
@user-lp1zb8tv3n
@user-lp1zb8tv3n 2 жыл бұрын
@@coolp4680 원 댓글에서는 조선역사 전체가 무능한 관료사회였다고 한적이 없는것 같은데 마지막으로 하신 문장은 어떤 의미로 쓰신건가요?
@coolp4680
@coolp4680 2 жыл бұрын
@@user-lp1zb8tv3n 글싹튀
@jiwoolee4552
@jiwoolee4552 2 жыл бұрын
나라가 발전하려면 상업이 발전해야..
@user-gs8cy2fh9d
@user-gs8cy2fh9d 2 жыл бұрын
팩트. 그리고 인구수도 통일신라때부터 일본이 한반도보다 많아지기 시작. 즉 경제력도 추월
@dongyoungkim962
@dongyoungkim962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덜 민족주의자의 시간으로 개화사 현대사를 봐서 다행이네요. 조선이 망한것이 모두 일본 탓하는 것 보면 정말 답답하니다. 구한말 조선이 어떤 나라였는지 조금만 봐도, 얼마나 부패하고 악덕한 곳이였는데. 조선이 진짜 헬조선이면 헬조선이죠.
@yumu3655
@yumu3655 2 жыл бұрын
남탓 할게 못되죠 제국시대에서 일본 아니였어도 중국 라시아 미국등 식민지 하려는 나라 많았습니다. 나라가 약했는데 누굴 탓 할가요. 그렇다고 일본을 옹호하는건 아닙니다. 식민지 만행을 꼭 되갑아야 할 나라인것은 분명함.
@grand5367
@grand5367 2 жыл бұрын
조선은 망할 만 했고 망해도 싼 나라였죠. 일본 아니더라도 중국이나 러시아한테 먹혔겠지
@user-qx6xe4vs3w
@user-qx6xe4vs3w 2 жыл бұрын
조선은 고문으로 따지면 지금은 북한보다 더하면 더했지 더하지 않았음 일본보다 더 잔인했지
@freedomjayoo
@freedomjayoo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침략한 일본도 나쁜것은 분명하지만 모든 책임을 일본놈들에게만 돌리고 마치 조선만 선량하고 순수했던 피해자라는 이미지를 끊임없이 어필하고 유리한 사실은 너무 불려버리고 불리한 사실은 축소하고 왜곡해버리고 아몰랑 무조건 전부다 일본탓 이렇게만 해버리고있다는게 심각한 문제인거 같습니다
@user-bx1xl7gl5b
@user-bx1xl7gl5b 9 ай бұрын
​@@user-qx6xe4vs3w조선이 웬 고문이래ㅇㅅㅇ 사극 넘 많이 보신듯
@narakuma6295
@narakuma6295 2 жыл бұрын
보면 뭔가 답답할 것 같아서 미뤘다가 이제 봤습니다. 한국사 잘 가르켜주시는 쌤들은 많으시지만 일본역사는 표면적이고 감정적으로 넘어가는 분들이 많은데, 심용환쌤은 객관적으로 다뤄주셔서 시야가 넓어지는 것같아요:) 오늘도 또 배우고갑니다!
@user-nk1py3jo8k
@user-nk1py3jo8k 2 жыл бұрын
반일감정 없이 일본역사 공부하면 일본은 지정학적으로 봉건사회 , 해외무역교통구비(필리핀,타이완,류큐제도) , 일본인들의 개혁개방 사고방식 .. 사실상 근대화가 될 수 밖에 없는 국가고 조선은 모든면에 일본과 반대되며 일본에 식민지로 될 수 밖에 없던 나라였죠
@MyHappythanworld
@MyHappythanworld 2 жыл бұрын
@@user-nk1py3jo8k게다가 붙어있음 일본이랑 ㅋㅋ
@aidanielman
@aidanielman 2 жыл бұрын
@@user-nk1py3jo8k 맞습니다. 일본에 식민지배 당했다는 열등감에 일본을 미워하고, 오히려 비하하는데.. 어이가 없죠. 조선 말기 보면 망해도 싼 나라였어요. 오히려 일반 민중 입장에선 탐관오리들보단 일본이 더 나았습니다.
@jakean3234
@jakean3234 2 жыл бұрын
@@aidanielman 네 짧게 봐도 정조 사후 70년 이상을 무능한 군주와 세도가문들이 조선을 박살내놨는데 어떻게 일본을 이기겠어요? 솔직히 임란 때 나라 뒤집어져서 혁명적인 나라로 탈바꿈했어야 맞는 나라였죠
@user-wk8dd5xx4s
@user-wk8dd5xx4s 2 жыл бұрын
@@aidanielman 님의 의견에 동감합니다. 한일합방 때 조선의 하층민들이 오히려 좋아했다는 기록(출처는 기억이 안 나네요.)이 있다네요.
@user-qm6uz3fk8c
@user-qm6uz3fk8c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해요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nam-ho4qt
@nam-ho4qt 2 жыл бұрын
참 좋은 강의네요~ 반일주의 때문에 무조건 일본 나쁜놈 하던 시대는 지나간듯~ 우리 아이들은 있는 그대로의 역사를 배우고 그속에서 깨닫고 발전할수 있는 대한민국이 되길 바래봅니다~
@coolp4680
@coolp4680 2 жыл бұрын
그렇죠 저런일본이 지금은 한국보다 가난한 나라가되다니 지금은 일본이 한국을 배워야할시기네요
@MrYou-wf1df
@MrYou-wf1df 2 жыл бұрын
@@user-pl3rn3km8e 아............한국인들이 역사를배우면 반일교육이구나 ㅄ같은논리. 난 나치역사도 배웠는데 반독이겠네???미국 인디언들 학살등 남북전쟁역사도배웠는데 반미겠고?? 일본자민당식논리를가지고있노 교육때문에 일본에 부정적인사람들이많을거라고생각함???완전 일본 넷우익논리 일본에 부정적인 사람이많은건 교육문제가아님니다 지금하고있는 짓거리보면모름?? 오히려 일본이 지금도 정규방송에서 한국에대해서 주작해서 방송만드는건팩트 한국인 인터뷰내용도 목소리지우고 떠빙으로 주작하는나라인데
@jeremykim4061
@jeremykim4061 2 жыл бұрын
무조건 반일도 문제지만 그렇다고 일본이 한 만행들은 잊지 말아야 하고 꾸준히 문제 제기 해야 하며 슬기롭고 지혜롭게 일본을 대응해야 합니다.
@DeedoDoop
@DeedoDoop 2 жыл бұрын
@@coolp4680 도대체 뭔 개소리지
@coolp4680
@coolp4680 2 жыл бұрын
@@user-pe6jj4qs9l 평균적인 일반 국민들이 한국보다 가난함 일본 옹호해주고 싶으면 일본 공부좀... 난 일본문화나 서민생활이런거 많이 찾아봄 일본서민은 생활이 궁핍해서 재테크라는 개념도 잘없음
@sungbae_vvs2234
@sungbae_vvs2234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1700년대 상하수도를 수도 에도에 전반에 깔고 에도는 당시 런던과 파리의 인구수 2배를 뛰어넘는 세계최대의 소비도시였고 오사카는 그런 일본의 중앙시장역활,쿄토는 면직공업의 중심지였음,오사카와 교토는 인구 30만의 구한말 한양보다 큰 도시들이었고,이미 18세기가 되면 오사카에 세계최초의 선물거래 시장이 들어섬,이거 반박하고 싶다면 시카고 선물거래소에 가보면 그 기원이 오사카의 도지마 시장이라고 적혀있음."조선은 왜 무너졌는가?"라는 책을 보면 조선은 1410년부터 이미 망조의 기운에 잠식당하던 나라였음.종이의 원료가 되는 나무를 전문적으로 재배하는 사람이 백명중에 한명도없다고 신하의 상소문이 올라옴. 내가 진짜 궁금한건,1700년대 조선통신사들이 에도까지 가서 인구 100만이 넘는 세계최대의 소비도시를 보고도 출판사업,하수도,상업,문화,이런것들에 전혀 관심도 없고 자기들이 "소중화 문명의 중심지"라는 자부심에 쳐박혀서 일본인들을 오히려 오랑캐로 하등하고 깔봄. 정말 답없는 왕조고 배울것 없는 왕조가 조선임.
@user-hp5sv7ot6c
@user-hp5sv7ot6c 6 ай бұрын
이씨조선은 한글 말곤 후대에 도움이 된 게 단 1도 없음. 열하일기에서도 조선은 말 키우는 방식이 잘못됐다 썼어도 아무도 안 고침. 그냥 병신왕조. 심지어 나라 팔고 왕공족으로 잘먹던 왕조. 평민들이 2등시민으로 차별 당하고 독립운동할 때 고작 일본귀족이랑 결혼했다며 징징대던 게 다임.
@maple4801
@maple4801 5 ай бұрын
한반도랑 일본이랑 다르니까 일본은 경제가 활성화 된 이유부터가 은이나 구리같은 광물이 일본열도에는 썩어 넘치게 많아서였음. 반면 한반도는 기껏 발견한 연은분리법도 정작 캘 은이 없어서 버린 나라임.
@son7797
@son7797 4 ай бұрын
조선은 일본이 아니었어도 망할 나라였네요. 사농공상의 나라,,, 유교와 성리학의 나라,, 지금 봐도 속상한 선조들이네요,, 요즘 유행하는 웹툰처럼 회귀해서, 소현세자를 살려서,, 뒤늦게라도 상업,과학 발전시키고 싶네요.
@one5477
@one5477 4 ай бұрын
어쩔티비?
@wol8245
@wol8245 4 ай бұрын
근데 그 당시 사람들의 입장도 이해해야함. 그당시 중국은 현대 미국급의 거대 제국 이었고, 소중화다라고 하는 것은 단순히 중국 속국의 의미가 아닌 문명국의 중심이다는 의미였음. 지금 2030 한국인들이 미국의 51번째 주를 영광스러워하는거나 그 당시 조선인들의 소중화 사상이랑 크게 다를 바가 없음.
@ytking6427
@ytking6427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내용입니다
@baseboy5152
@baseboy5152 2 жыл бұрын
믿고 보는 심쌤. 선따봉 후시청합니다.
@jinjin1599
@jinjin1599 2 жыл бұрын
몇시간짜리 일본 강의보다 더 통찰을 주는 좋은 강의였습니다! 아주 본질적인 부분을 간결하게 정리하셨네요. 보면서 너무 감탄했습니다. 항상 역사의 전개양상은 동전의 앞뒷면처럼 양면적인 속성을 띠고 있는 것 같아요. 지금 우리나라가 가진 자산들은 무엇인지 돌아보면서 어쩌면 우리가 가장 뒤쳐지고 또 그렇기에 다방면으로 전국민적 노력을 뒷받침하여 많은 부분에서 일본을 비롯한 다른 선진국들이 가지지 못한 자산이 형성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모든 역사는 현대사이기에... 항상 과거를 돌아보며 내일을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드네요. 좋은 강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jjjeans
@jjjeans 2 жыл бұрын
조선은 피해자 일본은 가해자라는 인식에서 벗어나서 이제는 감정 좀 내려놓고 객관적으로 조선은 왜 망했고 일본은 왜 열강반열에 오를정도로 성공했었는지를 돌아봤으면 좋겠다 그런 생각이 있었는데 딱 그에 맞는 영상인듯해서 좋네요 일제 나쁘다는건 그동안 질리도록 배웠으니 이제는 이런쪽도 돌아보고 적이라도 배울건 배우는 그런 대한민국이 되었으면
@hyeonlee8695
@hyeonlee8695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일본에게 배울 것은 도저히 말로 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user-kn9vr4pl4t
@user-kn9vr4pl4t 2 жыл бұрын
선감상 후댓글 쌤~ 어제와 오늘 포함해서 1부, 2부 영상 업로드해주시고 또 우리가 뭘해야될 지 마지막 영상에서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avidchang4559
@davidchang4559 Жыл бұрын
So informative!!
@park6126
@park6126 2 жыл бұрын
과거 역사를 보면 일본이 메이지 유신으로 어느날 갑자기 뿅! 근대화 국가가 된 거 같지만 기본적으로 서양 문물이 이미 일찍이 들어왔었고 (임진왜란 당시 조총부대 라던지 가토 기요마사가 천주교인 이였던것처럼) 에도 막부 때만 가도 도쿄인구가 200만을 넘었고 경공업이 매우 발달 해 있었음
@user-eo7qf7gp1n
@user-eo7qf7gp1n 2 жыл бұрын
고니시가 카톨릭신자..
@user-uf3zi3th6z
@user-uf3zi3th6z 2 жыл бұрын
노부나가는 신자는 아니었지만 교회도 지어주고 했음
@CM-wm9im
@CM-wm9im 2 жыл бұрын
상업의 발달로 어느정도 도시의 기반이 형성 되었고, 포르투갈, 네덜란드등에 서양문물을 접하면서 근대화의 기초가 됨. 그리고 메이지유신으로 근대국가 설립.
@sungbae_vvs2234
@sungbae_vvs2234 2 жыл бұрын
@@CM-wm9im 일본 에도가 발전하고 오사카에 도지마시장,다시말해 세계최초의 선물거래시장 이 들어선건 외국문물과는 전혀 상관없습니다.그냥 학문의 흐름에 난학이 등장하고 양명학을 받아들여 성리학도 유학의 한 뿌리라고 스스로 정의내리기까지 한거죠. 사실 쇄국정책때문에 모든것을 자기 스스로 해결해야하는 자급자족 경제시스템에 가까웠습니다.
@shotgun2992
@shotgun2992 4 ай бұрын
상업을 부흥시키지 않은 이유가 상업이 발달하면 무협지 속 무림마냥 무력집단이 생김 그럼 정부는 그걸 통제하거나 치안을 유지할 생각을 해야지 귀족들을 군대 보내기 싫어서 아예 상업을 탄압함ㅋㅋ 전세계 유일한 귀족이 군대를 가지않는 국가였음ㅋㅋㅋ 어라? 군대 안간 국가가 있긴 있어! 하면 걔네 100년을 못넘김ㅋㅋㅋ 100년 넘긴데 있는데? 해서 보면 걔네는 귀족이 군대를 가는게 아니라 귀족이 사병을 거느린 지방 사령관이거나 군벌임ㅋㅋㅋㅋ 군대를 가지 않다보니 귀족은 책임 없는 쾌락만 즐겨도 선만 안넘으면 됨ㅋㅋㅋ 유럽이면 그 상황 되면 시민혁명 터졌을텐데 우리는 왜 안했냐? 북한처럼 성리학으로 전국민을 세뇌시켜서 광신도로 만들어버려서임ㅋㅋㅋ 진짜 쓰레기 국가가 조선이고 반박하는 사람은 민족주의, 국가사회주의에 빠진 얼간이임
@TheCharlie1061
@TheCharlie1061 2 жыл бұрын
아니 이렇게 좋은 강의를 155명밖에 못봤다니....근대사 중 최고의 스토리네요. 한국은 일본이 아시아 중에 젤 먼저 근대화 된거에 대해서만 배웠지 구체적으로 어느 나라를 모델로 삼아서 어떤 근대화를 추진해서 급성장 한건지는 한번도 들어본적이 없거든요. 강의 한번에 심작가 광팬 됬어요. 앞으로도 계속 좋은 강의 부탁드려요.
@dongyoungkim962
@dongyoungkim962 2 жыл бұрын
함재봉 박사님 강의는 이것보다 더 깊게 정확하게 들어 갑니다.
@user-od4dk3ki4b
@user-od4dk3ki4b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국힘/극우 지지합니까? 왜 ♥연은분리법♥빼고 말합니까? 세계최초로 조선에서 발명한 연은분리법덕에 일본이 은이넘처나고 에도시대를 연건데 그 자금위에서 서양.명과 교역하며 상공업을 꽃피운거고←→조선은 은이 없어 비교적 쇄국을.할수밖에없는 처지였고 (쌀로 교역하면 다 털리죠) 일본이 수천년 역사상 최초로 조선의Gdp를 역전한게 연은분리법덕이고 그게 국제무역. 임진왜란 자금. 일본의 근대화의 초석이됐는데 왜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는 연은분리법을 안가르치는건지 참 참고 DAUM에서 중앙일보기사 참조
@Changyeol2
@Changyeol2 2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soomin2g
@soomin2g 2 жыл бұрын
하루만에 또 업로드 넘우조타ㅏㅏㅏ..
@user-fn4cp1xx8w
@user-fn4cp1xx8w 2 жыл бұрын
제작진 열일 감사합니다 마냥 미운 나라였는데 작가님의 영상 보면서 누구 처럼 역사에 무지한 사람이 되지 않도록 앞뒤 관계 생각하게 되는 유익한 컨텐츠입니다. 한편으로는 참 너무 아쉬운 생각이 들기도 하구요 ㅠ ㅠ 작가님과 열일하는 제작진 감사해요 다음 편도 기대할게요 !
@lojinlee1074
@lojinlee1074 2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어요~~ 한국사만 어느 정도 알지 관련된 세계사는 거의 모르는데 재밌네요 ㅎㅎ 많이 올려주세요!
@mjh324
@mjh324 2 жыл бұрын
선댓글 후감상❤️❤️
@dragondoorbonga287
@dragondoorbonga287 5 ай бұрын
와...최고세요👍너무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user-ed9hf4mu8q
@user-ed9hf4mu8q 9 ай бұрын
근데 생각해보면 예전이나 지금이나 일본 무시하는건 바뀌질 않았네
@user-whysoserious
@user-whysoserious 5 ай бұрын
100년 이내 인구소멸로 일본이나 미국에 편입될듯 결국 역사는 또 반복되는겨 에휴
@jaewhite7120
@jaewhite7120 2 жыл бұрын
영상은 짧지만 좋은 내용이었습니다. 우리가 겪었던 아픔을 잊지 않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왜 그런일이 일어났으며 다시 겪지 않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지 생각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무조건 배척하기보단 우리보다 나은 점은 잘 빼먹으면 됩니다.
@leepotato0130
@leepotato0130 2 жыл бұрын
바로업로드떠서..너무좋아♡어제내용포함다시이어서볼께요~~연결해서보는맛이있죵?
@socracrishu8043
@socracrishu8043 Жыл бұрын
매우 좋네요 감사합니다
@user-ck4if2mk2f
@user-ck4if2mk2f 2 жыл бұрын
잘못의 비난 보다 미래에 대한방향 설정! 굳!
@user-mt6uo4sx2u
@user-mt6uo4sx2u 2 жыл бұрын
집에가서 다시 보러오겠습니다!
@trecime
@trecime Жыл бұрын
매년 다시 봐야하는 명강의입니다. 세번째 봅니다.
@hotongo1
@hotongo1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의 간단 명료한 설명이 너무 좋네요 한국사람은 좀 단순해서 간단한걸 좋아합니다 파이팅!!
@YwJLee-et5fh
@YwJLee-et5fh 2 жыл бұрын
실크로드 무역에서 가장 주변에 있던 지역인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했던 고민들과 끝내 대항해시대를 열어제낀 부분이 연상되네요
@user-op9uf4gm8r
@user-op9uf4gm8r 2 жыл бұрын
사람들보면 개혁 개방만 하면 근대화된다고 착각하는 사람들 있는데(자기들 인생하나 제대로 못 이끌어가는 사람들이 세상사는 너무 쉽게 생각함) 조선, 일본보다 개방 먼저한 국가들 엄청 많음 이집트, 베트남 등등등.... 그중에 근대화에 성공한 국가는 일본 밖에 없음 오히려 일본만 근대화에 성공한 이유를 생각하는게 맞음
@donghyeonkim9958
@donghyeonkim9958 9 ай бұрын
개혁개방만 하면 된다고 일본 근대화를 평가절하하지만 과연 조선이 일본과 같은 상황에서? 절대 근대화못했음. 애초에 서양오랑캐한테 배울게 없다고 했을겁니다
@dusi-kq4qe
@dusi-kq4qe 7 ай бұрын
@@donghyeonkim9958ㅋㅋㅋ 자기가 중화인데 서양 오랑캐를 받아들이는게 비정상이지
@Hachinko
@Hachinko 2 ай бұрын
태국 베트남 얘네는 그런 일본보다 몇백년은 더 빨리 개방했는데 ㅋㅋ 결과는? ㅇㅇ 뭐든지 국력이 강해야 성공할 가능성이 커지지 무작정 개혁개방 근대화를 한다고 성공하는게 아니잖아 ㅋㅋㅋㅋㅋㅋ 진짜 인생 사는게 그렇게 쉬웠으면 무능했던 조선도 1200년대에 아니, 고조선때 완전 처음부터 개방했겠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일본이 왜? 어째서? 근대화를 성공했는지 아직도 본질적인 이유를 모름 ㅋㅋㅋㅋ 알고도 모르는척인지
@user-mq9hn4kr8e
@user-mq9hn4kr8e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gc1fr9in1d
@user-gc1fr9in1d 6 ай бұрын
이분이 진짜 어떤 감정없이 팩트만 알려주시는 강사분입니다.. 역사의 평가는 듣는사람의 각자의 평가가 남는거지 알려주는 사람의 주관적인 감정은 배제되야된다고 생각합니다.
@hwanheeoh2988
@hwanheeoh2988 2 жыл бұрын
항상 *지금* 우리가 무엇을 해야하는지 인사이트를 주시네요..♥♥
@user-cj7bo2st2u
@user-cj7bo2st2u 2 жыл бұрын
당대 조선사회와 비교해서 유신을 앞 둔 일본의 역동성들은 확실히 다르긴 하네요. 그 기반에는 축적시킨 경제력도 있지만 어떤 국가를 만들지에 대한 포부와 자신감이 보여서 참 부럽기도 하네요. 다행히 현대에 와서는 그런 역동성들을 오히려 한국 사람들이 더 자신있게 가지게 된 듯 해서 지난 역사를 살아온 어르신들과 동시대를 사는 시민분들께 감사하게 되네요. ㅎㅎ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od4dk3ki4b
@user-od4dk3ki4b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국힘/극우 지지합니까? 왜 ♥연은분리법♥빼고 말합니까? 세계최초로 조선에서 발명한 연은분리법덕에 일본이 은이넘처나고 에도시대를 연건데 그 자금위에서 서양.명과 교역하며 상공업을 꽃피운거고←→조선은 은이 없어 비교적 쇄국을.할수밖에없는 처지였고 (쌀로 교역하면 다 털리죠) 일본이 수천년 역사상 최초로 조선의Gdp를 역전한게 연은분리법덕이고 그게 국제무역. 임진왜란 자금. 일본의 근대화의 초석이됐는데 왜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는 연은분리법을 안가르치는건지 참 참고 DAUM에서 중앙일보기사 참조
@DC-jt7ye
@DC-jt7ye Жыл бұрын
응 지금 조선시대 말기
@hyeonlee8695
@hyeonlee8695 Жыл бұрын
일본의 역동성이라는 것은 나쁜짓 해서 라도 먹고 살자는 것이 배이스이고 조선은 굶어 죽더라도 의를 지키자는 것입나다.
@jr1800
@jr1800 Жыл бұрын
@@hyeonlee8695 개소리하지마 ㅋㅋ 백성들 굶어 뒈져도 유교만 외쳐대던 게 조선의 현실임
@ignisilluminati
@ignisilluminati Жыл бұрын
@@hyeonlee8695 나는 나쁜짓 해서라도 먹고 살래
@solution680
@solution680 2 жыл бұрын
진가역 다시 보는거 같아 좋네요 ^^
@norinee
@norinee 2 жыл бұрын
정말 돈내고도 볼 채널..♡
@greatehan1630
@greatehan1630 2 жыл бұрын
과거의 일본은 그저 대단하다고 인정 할 수밖에 없다 자신의 위치를 철저히 파악하고 섬세하게 받아들여 근대화를 이룬건 배워야한다
@gingerbeerenjoyer
@gingerbeerenjoyer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한국보다 나음
@user-qx6xe4vs3w
@user-qx6xe4vs3w 2 жыл бұрын
@@gingerbeerenjoyer ㅆㅇㅈ
@anonymous7537
@anonymous7537 2 жыл бұрын
@@gingerbeerenjoyer 비교가 안됨
@iuyoon6713
@iuyoon6713 2 жыл бұрын
@@gingerbeerenjoyer 애초에 비교대상도 아님
@Hachinko
@Hachinko 2 ай бұрын
걍 일제강점기라는것만 아니었음 우리도 냉정히 친일국가였음. 아시아에서 가장 앞서 근대화 올라서고 애초에 메이지유신 이전에도 이미 일본의 국력, 경제력 자체도 넘사였고. 하필 그런 일본한테 크게 한번 데여서 그런거지, 일제식민지만 아니었다면 우리도 일본 물고빨고 대놓고 동경하고 그랬을껄? 당장 태국이 일본제국한테 당한거 하나없는 유일한 동남아 국가 잖슴. 실제로 태국이 친일 많기로 유명한 동남아중에서도 압도적 친일국가이기도 하고.
@wonnysdiaries4666
@wonnysdiaries4666 2 жыл бұрын
넘 잘생겨서 강의가안들어와ㅜㅜㅜ 장난이고 눈도 귀도 즐거운 강의 감사드려요 몰입도10000% 현장강의 꼭 해주세요 제발 ㅜㅜ 방송나오는 역사선생님중 최고에요❤️
@user-bp2gz1mt2s
@user-bp2gz1mt2s 2 жыл бұрын
똑똑한 분에게 역사를 배우는게 즐거운거 같음
@YKeun30
@YKeun30 2 ай бұрын
메이지유신 전부터 조선보다 일본이 더 큰나라였어요...조선을 제쳤다고 하는건 틀린거임
@TV-vz6lu
@TV-vz6lu 2 жыл бұрын
심용환 강사님 내용 너무 좋습니다. 진작에 역사를 이런식으로 바라봐야 했어요. 대항해시대 이후의 역사는 자국의 역사라도 반드시 세계사와 연동해서 바라봐야 합니다. 언제까지 을사오적과 일본만 죽일놈 만들면서 진실을 외면할 순 없죠 ㅋ 강사님 화이팅입니다~!
@jakean3234
@jakean3234 2 жыл бұрын
과거에 우리나라가 못살때는 솔직히 그런 식의 역사교육이 필요했다고 봅니다 그때부터 팩트로 후드러패면 솔직히 국민들이 패배의식이 너무 강해졌을 거 같아요 근데 지금은 자부심을 가질 정도로 발전했기 때문에 진실을 마주하고 반면교사로 삼는 교육을 해야 더 발전할 수 있다고 봅니다
@Luia_Lee
@Luia_Lee 5 ай бұрын
뼈아프네요 😂
@user-wb5hw4kb2h
@user-wb5hw4kb2h 2 жыл бұрын
일본이 우리나라 식민지 만들었다고 미워만 할게 아니라 똑같은 시기에 똑같은걸 보았음에도 실천하는게 왜 달랐나 깨닫고 교훈삼는게 중요한거 같네요. 어차피 당시 조선은 일본이 아니었다고 해도 중국이든 러시아든 먹힐 운명이었고 독립국으로 유지되긴 힘든 국제정세였으니까요.
@coolp4680
@coolp4680 2 жыл бұрын
미워해야해 뭘잘못이해한갓같은데 일본을 개방시킨 미국은 일본을 식민지로 삼지 않았음 무역대상으로 삼았지 당시에 유럽은 침략후 식민지로 삼고 미국은 침략후 식민지는 아니고 무역개척으로 삼는 외교를 했음 근데 일본은 미국에게 침략받고 미국은 개항만 요청했음 그런데 한국에게는 침략후 유럽의 방식인 식민지로삼는걸 선택한거임 우린 일본욕해도됨 일본도 미국처럼 개항만 요구해도되는 거였음
@user-om7qn9gp8t
@user-om7qn9gp8t 2 жыл бұрын
@@coolp4680 뭔소리임 ㅋㅋ 일본이 식민지화 안된건 개항 후에 미국에서 남북전쟁 터져서 천운으로 근대화의 시간을 번것때문임 그럼 필리핀은 미국 식민지였는데 뭘로 설명함?
@coolp4680
@coolp4680 2 жыл бұрын
@@user-om7qn9gp8t 미국이 영국식민지에서 독립한국가라서 기본적인 외교방침은 식민지해방이야 그리고 필리핀은 스페인식민지였는데 미국vs 스페인전쟁에서 미국이 이기면서 모든 권한을 미국이 넘겨받으면서 미국식민지가 된거임 미국이 전쟁으로 침략해서 식민지가된게아님 미국의 욕심으로 필리핀식민지를 바로 해방안시킨건 잘못한거지
@coolp4680
@coolp4680 2 жыл бұрын
@아나룬탈라 미국은 기본적으로 식민지해방정책을 펼쳤지만 미국의 이익에 따라서 식민지화도 일부했음 내가 말하는건 미국이 일본에게는 식민지화를 하지 않았다는거임 근데 일본은 영국을 롤모델로 조선을 식민지화함 그래서 일본의 제국주의는 욕해도된다는거임
@coolp4680
@coolp4680 2 жыл бұрын
@아나룬탈라 그리고 유럽의 제국주의 식민지화를 종식시킨게 미국임 미국이 패권국가가되면서 제국주의식민지가 종식된거임 미국은 무역으로 인해 경제적 식민지화를 하고있지만
@karmait97
@karmait97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강의 너무 좋습니다.무조건 일본이 나쁘다기보다 우리나라가 왜 식민지가 됬는지 객관적인 관점으로 자성하는 해설도 앞으로 많이 부탁합니다.
@smw6535
@smw6535 Жыл бұрын
아~하~~무릎을 탁~~칩니다. 저당시 일본의 근대화가 독일의 예를 따르면서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를 배제하라는 조언에 따른 결과였군요.. 제국주의의 패스트 팔로워라는 같은 입장에서요.. 우리는 2차 세계대전후 냉전의 폐허에서 다시 일어서면서 최근에 산업화,민주화를 이루어 내었고요..
@yjun1436
@yjun1436 2 жыл бұрын
후속편좀올려주세요 ㅜㅜ
@wherewhy4268
@wherewhy4268 Жыл бұрын
사람도 그렇지만 국가도 폐쇄적이면 발전하기 힘듦. 서로 연결되고 왕래해야 발전함. 잘된 사람들보면 혼자 잘되지 않음. 늘 배우려고하고 변화하려고 함.
@user-en9wp1xc9g
@user-en9wp1xc9g 8 ай бұрын
내가 이제껏 알고 있던거는 산업혁명 비슷한거를 한국은 30년만에 일본은 50년만에 미국은 100년 영국은 150년 등등...이렇게 알고 있었는데... 사실 일본은 이미 18세기부터 아주 조금씩 산업기틀을 닦고 있었던거....증기기관,자동차같은것만 없었을뿐이지 왠만한 제조기술 , 금융 , 산업기반시설은 이미 점점 발전되고 있었다는거.... 진짜 한국은 6.25이후 30년 걸렸지만 일본은 한 200년동안 조금씩 성장한거 같음.
@Hachinko
@Hachinko 2 ай бұрын
애초에 우리랑 일본이 노벨상 개수 0대 26으로 격차가 클수밖에 없음. 일본은 이미 18세기쯔음부터 기술 기르고 국력 기를 수준이었고 우린 그럴만한 능력도, 생각도, 관심도 없었음. 일본은 그런 조상 덕에 현대시대에 G7 경제 탑5 대국이라는 보답을 받을 수 있었던거고. 그래서 흔히 일본은 전통선진국, 20세기 중후부터 급격히 발전한 한국을 신생선진국으로 분류하는 이유지. 근데 더 무서운건 그런 일본도 전통선진국에선 상당히 늦은나라이라는 사실. 영프독,이탈리아 얘네는 그냥 더 오래됐으니 ㅎㄷㄷㄷㄷ
@what_the_nikname
@what_the_nikname 5 ай бұрын
그랬던 독일 일본 나란히 2차대전을 무리하게 일으켜 패망했다는 사실이 참 공교롭고 이후 전후복구를 보란 듯이 해내 한때 미국을 위협할 정도로 경제부흥을 이루어냈다는 점도 흥미롭죠. 조선은 그냥 역사적으로 봤을때 중국의 껍데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어서 별로 의미가 없음.
@shincheonkwon2450
@shincheonkwon2450 2 жыл бұрын
매불쇼보고 왔습니다. 또나와주시요 ㅋㅋㅋㅋ
@user-xz1xc9pq5u
@user-xz1xc9pq5u 2 жыл бұрын
왜 갑자기 일본이 근대화에 성공했는지 이제야 제대로 알게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
@user-ux7gz5pk6h
@user-ux7gz5pk6h 2 жыл бұрын
갑자기는 없죠. 사실 우리나라가 동아시아 세국가 중에선 본의아니게 가장 폐쇄적이었죠. 중국은 오래전부터 서방국가들과 활발한 무역을 통해 다양한 문물들이 이미 오가고 있었고 일본도 역시 네덜란드, 포르투갈과의 제한 무역을 통해 이득을 취하면서 어느정도 서구문물에 익숙했지만 (임진왜란 때 조총이 일본에서 갑자기 나온게 아니죠) 조선은 모든 걸 중국을 거쳐 받아들였기 때문에 정보량과 문물 지식이 중국 일본보다 한계가 있었죠.
@jaewhite7120
@jaewhite7120 2 жыл бұрын
일본이 갑자기 세상에 눈을 뜨고 근대화에 성공했다는건 상식적으로 말이안되죠. 미국에 강제로 개항 되기 오래 전 부터 네덜란드와 교역하며 서양 문물, 서적을 제한적으로나마 받아들이고 번역해 철저히 자기네 것으로 만드려 했습니다.
@HalGwaGeumChan
@HalGwaGeumChan 2 жыл бұрын
막부말이 잘못 흘러갔으면 2차 전국시대마냥 각 번끼리 된통 싸우는 꼴이 됐을수도 있겠죠.
@HalGwaGeumChan
@HalGwaGeumChan 2 жыл бұрын
@@user-ux7gz5pk6h 지리적으로도 무역하러 갈떄 조선은 너무 안쪽에 있는 나라라서 딱히 통상할 의미가 없었죠. 옆에는 초특급 슈퍼거대시장 중국, 조선보다 살짝 덜 들어가면 나오는 일본이라 굳이 조선까지 들어갈 필요가 없어서..
@user-ux7gz5pk6h
@user-ux7gz5pk6h 2 жыл бұрын
@@HalGwaGeumChan 외국 상인들이 일본 가는길에 조선에 들어가게 된 사례들이 있었지만 중국 일본과는 다르게 무역틀 생각은 안하고 부려먹거나 종교박해하거나
@user-vt5mn5pn6u
@user-vt5mn5pn6u 2 жыл бұрын
2부 감사합니다. 작가님 및 제작진분들! 이제 3부 4부로 쭉 이어 갑시다(?)
@user-uw6vz5mw4w
@user-uw6vz5mw4w 2 жыл бұрын
일본역사는 진짜 몰랐는데 한번 알아보고싶네요
@bmw6654_
@bmw6654_ 5 ай бұрын
개화기 때 배우려고 하는 일본의 자세가.. 우리나라와 가장 큰 차이점이었네요
@Hachinko
@Hachinko 2 ай бұрын
우린 시간 걸리고 안될꺼같은건 그냥 애초부터 하지도않고 관심도 안가지는 성격인데 일본은 확실히 저런 dna덕에 근대화에 성공할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던거 같음. 빨리빨리문화도 그렇고 그냥 좋든 안좋든 뭐든 그나라의 다 유구한 전통임....
@user-bb9mj8sj6d
@user-bb9mj8sj6d 2 жыл бұрын
이미 전국시대 한반도 경제력을 초월했음 경쟁이 없으면 망한다는걸 아시아에서 일본이 증명함
@HalGwaGeumChan
@HalGwaGeumChan 2 жыл бұрын
경제력은 초월했는데 백성 삶은 존나 하락of 하락 기본(기초, 근본)세율에서부터 최소4배 차이에 6~7배까지 나던게 일본.
@user-vi8ri8oq3x
@user-vi8ri8oq3x 2 жыл бұрын
경제력도 그렇고 잦은전쟁으로 인한 징병도 ㅎㅎ. .과연 그렇다고 조선 백성들이 행복했을까요? 나는 그것도 아니라봄
@HalGwaGeumChan
@HalGwaGeumChan 2 жыл бұрын
​@@user-vi8ri8oq3x 행복은 상대적인거라서 말이죠.. 일단 임란 이전까지는 그래도 당시 시대치곤 먹을만큼 먹고 나름 행복했다고 생각합니다.
@user-qx6xe4vs3w
@user-qx6xe4vs3w 2 жыл бұрын
조선은 고려시대보다 가난했음
@Hachinko
@Hachinko 2 ай бұрын
훨씬 더 이전, 조상님인 고려보다 더 가난한 조선은 진짜 문자 그대로 뭘해도 안되는 수준이었음. 국력자체가 노답인데 개항이건 뭐건 되겠나고. 일본처럼 국력이 받쳐주면 개항을 성공하든 안하든 논할 수준이라도 되는것도 아니었고.
@jinhwalee4202
@jinhwalee4202 Жыл бұрын
일본무사들이한문을못읽는다 ㅡ그건아닌것같아요ㅡ 무사들이지은한문시가많아요ㅡ 일본은지금도한문을사용하잖아요ㅡ일본어 좋은강의ㅡ감사합니다
@user-gx4sf3lg5d
@user-gx4sf3lg5d 4 ай бұрын
전국시대 무사들은 못 읽는 사람이 많았어요.
@user-rj1hh1ms9z
@user-rj1hh1ms9z 2 жыл бұрын
심용환!심용환!!심용환!!!과아이들!!!
@Hana-fp3tm
@Hana-fp3tm Жыл бұрын
심용환 선생님 너무 좋아해요 . 응원합니다❤
@leeslikeness
@leeslikeness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부분에 간략하게 마무리 되긴 했지만 근대화에 성공한 일본 -> 제국주의 일본 -> 2차세계대전 패망한 일본 -> 경제적으로 부활한 일본 -> 버블경제 이후의 일본 -> 현재와 미래의 일본에 대해서도 한번쯤 다루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jaehoda21
@jaehoda21 2 жыл бұрын
세계사라고 하면 영국/프랑스/중국사만 많이 배우고 상대적으로 미국/일본사는 많이 안 배우는게 안타깝습니다. 미국사/일본사에 대해 많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amayulhyultv
@samayulhyultv Жыл бұрын
동감입니다
@ignisilluminati
@ignisilluminati Жыл бұрын
일본사는 그 썩을 놈의 민족주의 사학자들 때문에 조금이라도 긍정적인 면모를 쓰거나 배우자고 하면 발광하는 놈들이 많아서 정규교육에서 제대로 다루기가 어렵고, 미국사는 세계사적 맥락에서 할 말이 너무 없음. 교과서에서 다루는 미국 독립혁명, 남북전쟁, 양차대전과 그 이후, 이걸 제외하면 그냥 인디언들 때려잡다가 나중에는 멕시코 스페인 때려잡으면서 서쪽으로 서쪽으로 계속 확장한 게 전부라서.. 골드러시나 서부개척시대 이런 건 진짜 미국만의 역사라 알아봐야 도움도 별로 안 되고. 물론 미국의 통치 체제 변화나 정당사, 수정헌법같은 건 시사점이 많긴 한데, 그런 건 또 초중고교 수준 교육에서 다루긴 너무 과한 주제고.
@user-gn6gs6kc4p
@user-gn6gs6kc4p 4 ай бұрын
명분
@lokstotoro
@lokstotoro Жыл бұрын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서 세계사와 국사를 다시 공부 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본 것중에 당연 최고라 생각이 들었습니다. 역사는 되새길때마다 생각을 다시 하게 되네요.
@user-jn9gg1eh3t
@user-jn9gg1eh3t 2 жыл бұрын
아무도 가르치지 않았던 일본이 강해진 역사 느무조타
@user-jz9rq2ez8n
@user-jz9rq2ez8n 2 жыл бұрын
일본이 조선을 제친건 꽤나 오래되었죠 인구수부터 폭발적인 인구수 증가로 조선을 역전했어요 조선은 다양한 악조건과 조선중화사상으로 이익보다도 대의가 더중요했죠
@user-ug6qc7ke5i
@user-ug6qc7ke5i 10 ай бұрын
심용환씨 덕분에 역사 공부 많이 합니다 유투버 고맙습니다. 또 올게요?
@jason1647
@jason1647 Жыл бұрын
정말 일본을 이기고 싶으면 이런 객관적인 사실도 냉철하게 받아들이고 배워야 한다고 생각함 반일감정에 선동되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님
@banu8667
@banu8667 28 күн бұрын
옛날부터 한국인들은 일본을 이긴다고 하는데 그게 실현 가능한 일인지 전혀 생각도 안 하고 말하는 것 같음 ㅋㅋㅋ 지금의 출산율 0.6 명으로는 절대로 불가능한 일
@dandymeursault
@dandymeursault 2 жыл бұрын
일본근대사를 야무지게 다룬 책이 혹시 있을까요? 사카모토 료마라는 인물을 예전에 알고 나서 그 배경지식으로 우선 소설이지만 훌륭한 대망은 다 읽었구요, 일본근대사에 대한 책은 찾기 어렵더라구요.
@sungbae_vvs2234
@sungbae_vvs2234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이성현님 1,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일본사 +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세계사 추천합니다.저는 개인적으로 일본의 에도시대에 전혀 관심없이 하등시하다가 이 책 한페이 한페이지 넘어가며 읽었는데 그 페이지마다 소름이 돋았습니다.정말 한국사람들의 일본사에 대한 무시와 편협함 폐쇄적임은 정말로 문제입니다.정말 강력추천합니다.
@dandymeursault
@dandymeursault 2 жыл бұрын
@@sungbae_vvs2234 추천 감사합니다. 저는 순수히 역사적인 관심 때문에 그렇지만 애국주의적 입장에서도 왜 우리가 식민지가 됐는지, 일본은 어떻게 세계 열강의 반열에 아시아 그 어느 나라보다도 빨리 들어갈 수 있었는지를 파악하는 건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그 시대를 이해하려면 임진왜란부터 에도막부, 그리고 막부 말기 번들의 움직임과 료마 및 메이지유신의 중요 인물들, 그후 군국주의로의 진화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역사를 가리키는 한자 중엔 거울 경이 있죠.
@sungbae_vvs2234
@sungbae_vvs2234 2 жыл бұрын
@@dandymeursault 소름 돋네요.저는 개인적으로 위 언급한 책들을 읽고 중고서적까지 뒤져가며 '거상들의 시대'라는 374p분량의 책도 사서 읽는 중인데, 에도야말로 일본의 중세에서 근대로 이어지는 가교,다시말해 진화단계 그 자체였다고 봅니다.부디 성현님의 안목과 세계관이 넓혀지시길 바랍니다.
@akdncis2649
@akdncis2649 10 ай бұрын
7분13초 쯤 나오는 라 캄파넬라 st음악 알려주실수있나요!
@user-ur7cz9el4d
@user-ur7cz9el4d 2 жыл бұрын
종교로 대통합... 지금은 그것이 발목을 잡고 있는 것 같기는 하지만 역시 타이밍이네요.
@hiyong8259
@hiyong8259 2 жыл бұрын
더 객관적으로 말해줘도 괜찮을 것 같아요. 굳이 조선 쉴드나 일본 비판할거리를 억지로 만들거나 배울점을 배울점이라고 말못하는거는 보면서 안타깝네요
@readytofighttonight7960
@readytofighttonight7960 2 жыл бұрын
언제나 지적하고 싶지만 우리와 일본이 마치 근대화 시기에 간발에 차가 있었던 것 처럼 말하는거 완전 잘못된 겁니다. 일본은 쇄국 시기에도 계속 네덜란드와 교역하고 그런 산업적 문화적 뿌리가 저변에 있었어요. 우린 상공업을 무시하고 거의 아프리카급이었고, 일본은 그 당시에도 서양문화를 받아들일 저변이 있었던거에요. 1780년에도 일본은 태엽인형을 만들 정교한 기술자가 있었어요. 그렇게 비교하는게 맞을 겁니다. 그런 전반적 시각으로 역사를 설명해주시길 바랍니다.
@SO-oy2li
@SO-oy2li 2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급이라뇨. 그리고 네덜란드 어쩌고는 비약이 심해요. 그래봐야 미국이 흑선 가져올때 아무것도 못하는 수준. 태엽 인형 만들면 근대화의 기반이 되나요? 그 정도는 오스만도 했지만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도 결국 일본 수준의 근대화를 이륙하지는 못했죠. 근대화는 겨우 잔기술로 이루는게 아니에요. 일본의 근대화는 객관적으로 일본의 내재적인 힘도 있었고 분명 참고할만하지만 독보적인 운도 따랐던게 사실입니다.
@jaehyunlee9764
@jaehyunlee9764 2 жыл бұрын
@@SO-oy2li 운도 실력이죠~?
@gcho330
@gcho330 2 жыл бұрын
@@SO-oy2li 운을 잡는것도 실력이 있어야 잡는거죠. 그리고 태엽인형을 무슨 잔기술이라 하는데 그당시에는 태엽시계의 기술이 들어간 사치품이었고 이런 기계식 시계가 나오고 기계가 인력을 대체하면서 산업혁명이 이뤄진건데...
@user-yy1ol6hg3h
@user-yy1ol6hg3h 2 жыл бұрын
@@SO-oy2li 아프리카한테 미안해야지
@user-od4dk3ki4b
@user-od4dk3ki4b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국힘/극우 지지합니까? 왜 ♥연은분리법♥빼고 말합니까? 세계최초로 조선에서 발명한 연은분리법덕에 일본이 은이넘처나고 에도시대를 연건데 그 자금위에서 서양.명과 교역하며 상공업을 꽃피운거고←→조선은 은이 없어 비교적 쇄국을.할수밖에없는 처지였고 (쌀로 교역하면 다 털리죠) 일본이 수천년 역사상 최초로 조선의Gdp를 역전한게 연은분리법덕이고 그게 국제무역. 임진왜란 자금. 일본의 근대화의 초석이됐는데 왜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는 연은분리법을 안가르치는건지 참 참고 DAUM에서 중앙일보기사 참조
@latenight5865
@latenight5865 2 жыл бұрын
이 시대의 상황은 어디가 좋다 나쁘다, 가치 판단의 문제로 보기보다는 사실관계를 중심으로 냉철하게 보는게 맞다고 봄. 그리고 근대화라는 것도 지고지순의 최고의 가치, 혹은 우리가 반드시 나아갔어야 하는 방향으로 보기보다는 이것도 하나의 새로운 사조, 새로운 시대로만 보는게 맞음.
@crows0226
@crows0226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잘 봤습니다 근데 배경음악이 자꾸 집중력을 흐트려놓네요ㅠㅜ
@kohsh
@kohsh 2 жыл бұрын
심용환쌤! 시각이 너무 보편적이어서 참 좋습니다. 우리의 아프거나 잘못된 역사라도 역사는 바르게 알아야겠지요. 쌤, 혹시 '이회영' 선생님 일가의 이야기를 테마로 영상 만들어 주실 수 없으신가요? 자세하게 알고 싶은, 너무나도 존경하는 분입니다. 부탁 좀 드려봅니다! 심용환쌤, 건강하시고 행복하십시오~~~~
@nowstory
@nowstory 2 жыл бұрын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 D
@user-mf8qv9ob9u
@user-mf8qv9ob9u 2 жыл бұрын
불편한 진실은 임진왜란 이전부터 일본의 경제력이 조선을 압도하고 있었고, 그 간극의 역사는 수백년에 걸쳐 오늘에 까지 이름
@user-uc2sg1wi5u
@user-uc2sg1wi5u 2 жыл бұрын
기후는 우리 제주도나 남해안 수준이고 땅도 넓었죠.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당시는 국토와 기후에 따른 농업 생산력이 곧 국력이었죠
@GreenMushroom.
@GreenMushroom. Жыл бұрын
중국노선을 택한 나라와 서양 노선을 택한 나라의 차이
@GreenMushroom.
@GreenMushroom. Жыл бұрын
+대륙에서 맨날 침략 당한 나라와 단 한 번도 침략 당한 적이 없는 나라의 차이
@user-qx6xe4vs3w
@user-qx6xe4vs3w Жыл бұрын
@@GreenMushroom. 즉 조선은 청나라 딱가리
@philiphsuful
@philiphsuful Жыл бұрын
@mc아베 왕권유지에는 존나 신경씀 ㅋㅋㅋ
@dhlee7196
@dhlee7196 Жыл бұрын
부럽네.... 같은시기에 우린 자국민 털어먹기 바쁜 지도층이 대부분이었는데
@cubicpin555
@cubicpin555 Жыл бұрын
역시 이 선생님은 다루네,,, 에도시대말기에 영걸들이 없었다면 지금 동아시아 3국이 다 구미 식민지였을수도 있겠네, 조선이 느려서 일본이 지켜줬다는말도 납득.
@hyanghoonkim5708
@hyanghoonkim5708 Жыл бұрын
사실 일본이 왜 19세기말 부강해졌나 하는 내용은 "객관적 시각을 가지고 역사를 들여다보자"라는 생각을 조금만 가진다면 금방 알아낼 수 있는 매우 간단한 것입니다. 이런 간단한 내용조차 이제야 알고서 눈이 깨였다 하는 사람들이 조금씩 나온다는게 참 어이없습니다. 늦어도 너무 늦습니다. 우리의 역사학계는 피해의식에 사로 잡혀 일본나빠! 만 외쳤을뿐 그들이 왜 강해졌는지는 전혀 모르고 아니 감춰왔죠. 사실 일본 근대화 이전에 그 급속한 발전을 가능케 한 200년의 에도시대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죠. 에도시대의 일본 농민들이 동시대의 런던시민들보다 잘 살았다는 영국인의 방문 기행문도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못살때는 감추고 있다가, 이제 우리도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니 그제서야 역사적 진실을(아주 기초적인 사실들)을 조금씩 꺼내는것 같습니다.
@user-wp8eh1zl8c
@user-wp8eh1zl8c 2 жыл бұрын
객관적이면서 꼭 필요한 내용. 멋지다.
@user-zz5jn8cx8k
@user-zz5jn8cx8k 2 жыл бұрын
▶ 개인이든 기업이든 국가든간에 시대의 흐름에 맞춰 빠르게 하면 앞서나가고 뒤처지면 퇴보하는게 역사의 순리입니다!
@keke-bv2tz
@keke-bv2tz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여러 친구들을 만나봤지만 독일인이랑 일본인이 확실히 국민성이랄까요? 그 느낌에서 비슷한 점을 많이 느꼈습니다.
@user-nq5my1xy3b
@user-nq5my1xy3b Жыл бұрын
조선도 오만한 중앙관료왕조가 사그러지고 지방호족들이 발호하면서 저 사카모토 료마, 이토 히로부미, 야마가타 아리토모, 마스카타 마사요시, 모리 아리노미 같은 인재들이 활동했어야 했는데... 성리학 관료체제 때문에 못그래서 망했습니다.
@pahkk
@pahkk 2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입니다만 문화적 다양성의 수용을 들고 싶습니다. 현재 한국이 많이 발전했다고는 하지만 과거 전체주의 시스템의 관성력으로 현재 시점에 도달했다고 보는데... 문화적 다양성의 수용은 물리적으로 제국주의의 지배를 경험하지 않고도 제국주의적 즉 다원론적 관점을 가질수 있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완전히 새로운 교육계혁(다른 나라의 모델을 선택하여 따라하는 정도를 초월한 독자적인) 이 필요하다 고 생각합니다
@carlosj8637
@carlosj8637 9 ай бұрын
우리는 여전히 일본에 대해 배워야 합니다. 여전히 일본에서 보고 배워야 할것이 있고 절대 따라가야 하지 말것도 있습니다. 백년전에는 그러하였으나, 지금 서울은 세계에서 가장 번영한 도시 중에 하나가 되었습니다. 늘 과거를 경계하고 미래를 탐구해야 후손들에게 좋은 것을 물려줄 수 있습니다.
@SeanCho101
@SeanCho101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일제시대와 6.25전쟁이 뼈아픈 역사지만 한편으로는 그 사건들이 과거의 전통들을 많이 사장시키고 밭을 갈아엎는것과 같은 효과가 되어 이후 일본 메이지유신이 군부정권 주도의 성장을 이루어 내었듯이 비민주적이지만 군사정권주도의 성장과 거기다 미국의 지원까지 받으며 지금의 대한민국으로 성장한 부분이 있는것같습니다. 잿더미에서 해양세력인 미국의 군정시기와 지원을 거쳐 한반도에서 전에없고 새로이 만들어진 70년역사의 국가가 바로 대한민국인 만큼 그 정체성을 받들어 앞으로도 아시아전통사상과 아시아대륙중심주의로부터 거리를 두고 분리적으로 나아가며 대한민국을 지속시켜나가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kimys4484
@kimys4484 8 ай бұрын
백년전 피해로 감정적 발작할게 아니라 객관적으로 돌아보고 미래에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user-un7eo2hk8v
@user-un7eo2hk8v Жыл бұрын
국뽕은 조선때나 지금이나 변화가 없구나....
@day1day111
@day1day111 4 ай бұрын
쓰라리고 감탄이나오는 강의...
@user-rk7fd2lg9o
@user-rk7fd2lg9o Жыл бұрын
국제정치에서는 감성이 아니라 철저한 이성 뿐만이 통한다
@user-jx1gq7dn3u
@user-jx1gq7dn3u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질문도 대답해줘요 ㅠㅠㅠㅠ
@user-oc9fx7ni9y
@user-oc9fx7ni9y 2 жыл бұрын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사 보면 중도 입니다...일본 입장에서 조선침탈은 피해갈 수 없었고...그 와중에 이토가 제일 순한맛이었다는 거죠....착한사람이라는 건 아님.. 하급무사에서 순전히 자신의 힘으로 고위직까지 올랐고...철저하게 자국의 이익을 위해 움직였을 뿐...
@gholbang
@gholbang 2 жыл бұрын
미운나라의 잘나간 시간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 참 힘들고 눈치 엄청 보였을텐데 수고하셨습니다 일본이 동시기에 미국유럽으로 가서 100권이나 회람전기를 쓴걸로 봐서 아주 작정하고 갔었나보네요
@0Ooc
@0Ooc 2 жыл бұрын
번이 한국으로 치면 도랑 같은 행정단위인가요?
@Epicure3333
@Epicure3333 Жыл бұрын
공개된 영상이기 때문에 비교는 하지 않으셨지만 역사공부의 가장 큰 목적은 타산지석이죠 반드시 비교분석하고 같은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아야 합니다
@bullred8661
@bullred8661 2 жыл бұрын
민영익의 말이 가슴에 꽂힌다 빛의 세계에서 다시 어둠의 세계로 왔다 부럽고 우리도 저렇게 했으면 좋겠는데 답이 없는거지 어디서 부터해야 하지? 마치 거대한 쓰래기 매립지 정리하고 대저택 세우는거 처럼 뭘해야 할지 알수없고 꽉 막히고 답답한 마음이 그대로 묻어나오네
@user-uo1lp1zb7w
@user-uo1lp1zb7w 2 жыл бұрын
에도막부가 붕괴되고 천황중심의 근대국가가 수립되는 메이지 유신이 성공할수 있던 것도 지방 봉건제 때문에 중앙정부의 지방세력에 대한 통제력이 제한이 많을수밖에 없었던 도쿠가와 일본의 국가적 구조 때문에 지방세력이 근대화를 추구하는 세력들의 주 기반이 되어 막부를 붕괴시킬수가 있던 것이었지요
@KrMorgan12
@KrMorgan12 2 жыл бұрын
지방세력은 양이. 막부는 개혁 임.. 공부좀 하세요.
@HalGwaGeumChan
@HalGwaGeumChan 2 жыл бұрын
어떻게든 지방세력 통제능력을 극대화해보려고 에도막부가 산킨고타이같이 이것저것 해보긴 했지만 지방세력들의 부 축적을 막을 수가 없었죠.
@user-uo1lp1zb7w
@user-uo1lp1zb7w 2 жыл бұрын
@@KrMorgan12 ; 양이와 근대화를 동일시하냐 이를 구분못하고 지방세력들의 양이는 막부를 공격하기 위한 구호에 불과할뿐
@user-do8xr1sd4t
@user-do8xr1sd4t 2 жыл бұрын
부족국가였던 일본의 정치체제가 오히려 근대화를 도와준 꼴
@hydrocynus415
@hydrocynus415 Жыл бұрын
​@@user-do8xr1sd4t 부족국가란다 ㅋㅋ
[Korean history] Why did Joseon (Korea) collapsed? It's not just because of Japan.
13:59
Always be more smart #shorts
00:32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игрушка)
00:3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일본이 근대화에 성공한 비결 [이창민의 일본정독 1화]
31:15
China's Cultural Revolution : The worst decade that completely ruined China
14:50
현재사는 심용환
Рет қаралды 254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