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s Cultural Revolution : The worst decade that completely ruined China

  Рет қаралды 254,925

현재사는 심용환

현재사는 심용환

2 жыл бұрын

'희망이 변질된 광기'가 얼마나 위험한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
▶️ 매주 목요일 저녁 8시 15분 업로드
▶️ 의상협찬 : 마에스트로(MAESTRO)
#문화대혁명 #마오쩌둥 #홍위병

Пікірлер: 559
@johnwhite4179
@johnwhite4179 10 ай бұрын
지금의 대한민국에는 혐오와 갈등을 부추겨서 이득을 얻고 정치적 입지를 다지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에 대한 지지는 더 커지고 있고요. 삶이 힘들어도 파멸로 가는 선택은 하지 맙시다. 제발!!
@Strider97887
@Strider97887 2 ай бұрын
광우뻥, 세월호, 이태원...좌빨들의 선동 수법
@user-fl7sh6rj6v
@user-fl7sh6rj6v 2 ай бұрын
저 시대의 듕국을 좋아하는 민주당
@user-cf8oz5pd2r
@user-cf8oz5pd2r Ай бұрын
너! 너! ​@@user-fl7sh6rj6v
@shine6803
@shine6803 Ай бұрын
​@@user-fl7sh6rj6v 가만히만 있어도 중간은 가는데 꼭 이렇게 무지함을 드러내시다니 ㅋㅋㅋ
@pago2835
@pago2835 Ай бұрын
우동 사리 뇌를 가진 생물이네​@@user-fl7sh6rj6v
@user-qy1tj3zr9v
@user-qy1tj3zr9v 2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다 부셔놓고 왜자꾸 남의 나라 문화에 깔짝대는건지 알 수가 없음. 지들 문화는 지들 손으로 부셔서 다시 꺼낼 수 없으니 저러나?
@user-kt3zk9ly6p
@user-kt3zk9ly6p 2 жыл бұрын
그건 국민의힘 지지자들하고 똑같네
@a0708
@a0708 2 жыл бұрын
@@user-kt3zk9ly6p 왜 이런 댓글 다는 사람의 다른댓글목록을 보면 하나같이 중국에 감사해야한다느니 이딴 댓글이나 달고있는걸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왜또 닉네임은 시진핑이 아닌거고?
@dongwookkim3247
@dongwookkim3247 2 жыл бұрын
@@user-kt3zk9ly6p 민주당이 이런 중국인들의 비호를 받나보네
@shinwoo2
@shinwoo2 2 жыл бұрын
춘원이 누가봐도 조선족
@plokoon7240
@plokoon7240 2 жыл бұрын
웃긴게 저렇게 많이 부셔놓고도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량 순위 1위임 ㅋㅋㅋ
@R2D2NEKO
@R2D2NEKO 9 ай бұрын
"무식한 사람이 신념을 가지면 무섭습니다"
@chulpark2526
@chulpark2526 2 жыл бұрын
무식한자가 신념을 가지면 위험하다-> 중국인들 얘기였고 우리도 항상 조심해야함
@renat.1341
@renat.1341 2 жыл бұрын
딱 페미니스트 말하는 것 같은데
@theduck3311
@theduck3311 2 жыл бұрын
중국 공원이나 공터에서 체조하는 아줌마들이 저때에 홍위병이었고 공동의 기억을 가지고서 그때를 추억하며 서로에게 위로받는 집단이라는 것이라는걸 알고 많이 놀랬다. 중국인의 상당수가 저때가 좋았고 자기가 옳았다고 생각하는듯 하다. 그러니 가장 큰 지폐에 아직도 마오쩌둥을 찍어낼 수 있는거겠지..
@user-kf7ol5tn7n
@user-kf7ol5tn7n Ай бұрын
집단무 홍위병들 고향으로 돌아가라해놓고 그네들 스트레스풀어주기위한 방법 집단무용 주로 그 당시 초딩.중딩이었던 60.70대
@heekyoeee
@heekyoeee 2 жыл бұрын
정말 생각없이 살면 안되겠네요ㅠㅠ계속 배움으로서 스스로를 객관화 하는게 중요할 것 같아요. 작가님 오래오래 유튜브 해주세요!🙌🏻🙌🏻
@user-ik6fk3yg6l
@user-ik6fk3yg6l 3 ай бұрын
1979년 유신체제가 무너질 때까지 학교에서 가르쳐주지도 않고, 언론보도도 없었기 때문에 중국 소식은 전혀 몰랐습니다. 고작해야 '대약진운동' 이 실패했고, '문화대혁명'이 지금 진행 중인데 '비림비공, 주자파, '4인방' 등의 용어만 들었을 뿐입니다.
@jermja9432
@jermja9432 2 жыл бұрын
광우병 사태를 보면 우리에겐 모택동이 없는거지 홍위병이 없는게 아님.
@user-jr4ij2po8u
@user-jr4ij2po8u 2 жыл бұрын
광우병 시위는 30개월 이상된 육우를 수입하지 않기로 결정되면서 시위도 끝났어요. 당시 무분별한 거짓정보의 확대생산같은 문제점이 있었던건 사실이지만 한미FTA에 걸려있던 방역주권문제가 있었던 일이라 그렇게 단순하게 폄하할 문제는 아닙니다. 오히려 그 사례 하나만으로 많은 사회적문제점을 무시한채 본인들이 이성적, 냉정하다고 믿고 반사회적인 행태를 보이는 요즘 극우들이야 말로 홍위병에 어울리죠.
@dalso2552
@dalso2552 2 жыл бұрын
잘못된 신념으로 과거의 잘못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래봅니다.. 이걸 보니 지금 시대의 분위기가 더 위태위태하게 느껴지네요.
@mmkhmin
@mmkhmin 2 жыл бұрын
쟤넨 더해야 됨 바닥까지
@user-uo2vl7xh3k
@user-uo2vl7xh3k 2 жыл бұрын
지금 시대에 우리나라안에 벌어지고 있는 페미니즘광기 남성혐오광기가 그 홍위병에 비유될 수 있겠네요
@InOS-ex6hb
@InOS-ex6hb Жыл бұрын
@@mmkhmin 요즘 토목기술 좋아요. 지하까지 가야죠
@hope7496
@hope7496 8 ай бұрын
늙은 광기는 치매와 함께 사라지더라 전탱크와 그 추종자들
@renat.1341
@renat.1341 2 жыл бұрын
종교나 사상심취가 무서운 이유.. 종교나 사상이나 거기서 거기라 둘다 뒤틀린 신념을 가져버리면 그 집단성 때문에 자기 집단 안에서 자중이 안됨. 하는 사람은 이미 척결 당하고.. 외부 시선은 상관도 안하고
@Yoonwungsik
@Yoonwungsik 2 жыл бұрын
정말 문화대혁명에 대해서 핵심에 대해서 정확하게 그리고 간략하게 얘기 잘 해주셨는데 전 이거 들으면서 정말 문화대혁명같은 일이 앞으로도 미래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봐요. 이전보다 통신수단이 많이 발달해서 이러한 집단광기나 더 폭발적으로 확산되기도 쉬울 것 같고 정보왜곡 등으로 이러한 분위기나 문화에 동화되기도 쉬울 것 같기도해요. 개개인 한명이 이에 대해서 끊임없이 자아성찰하고 서로간의 건전한 비판이 이뤄져야만 잘못된 역사가 반복이 안될거라고 생각해요.
@t.gforest5274
@t.gforest5274 2 жыл бұрын
우리 주변의 육칠팔십대 노인들 보세요... 아직도 빨갱이 타령 하고 있죠 문자도 보낼 줄 모르면서 젊은이들에게 훈계질 하려 드는걸 보면 참
@user-dv3dn9zj4w
@user-dv3dn9zj4w 2 жыл бұрын
@@t.gforest5274 국가는 다르지만 저 빨갱이들과 시대를 같이 살아온 자들에게는 일종의 트라우마가 아닐까요? 지금도 반미 친중주의를 주창하는 자들이 넘쳐나는 세상이라 참 안타까울 뿐입니다.
@umum8974
@umum8974 2 жыл бұрын
@@t.gforest5274 영상에서 하지말자고 말하는거 바로 하시네요;;
@x302x6
@x302x6 2 жыл бұрын
@@t.gforest5274 네 맞습니다. 그 외에 대표적인 집단광기 사례로 광우병 선동시위가 있었죠.
@hyonkwanyun8432
@hyonkwanyun8432 2 жыл бұрын
2번남들만 봐도 답나오죠 와 나는 윤석렬이 당선 될줄은 상상도 못함
@GAGALEE
@GAGALEE 2 жыл бұрын
말미에 집단광기말씀하시면서 안티카페에 비유해주신거 너무 찰떡입니다... 집단광기라는게 사람을 미워해서모일수도있다...😔😔
@user-rn2wt5fz5m
@user-rn2wt5fz5m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이고 우리시대에 필요한 내용인 듯 합니다 댓글에서도 보면 정치집단들이 이해관계에서 나눈 좌파니 우파니 나눈개념들인데 일상을 사는 사람들은 솔직히 자신의 이해관계에서 상관없이 넘나드는데 내 생각과 다르다고 악처럼 만들고 파를 만들고 분열을 조장하는 사람들이 무서운 듯 합니다.
@lsy54812
@lsy54812 2 жыл бұрын
감사히 잘 듣겠습니다~^^ 어쩜 이리 자세한 부분까지 잘 아시고 가르쳐 주실까요~?^^ 건강 유의하세요~^^
@user-ir8tm7im8s
@user-ir8tm7im8s 2 жыл бұрын
작금의 중국은 문화대혁명 당시로 회귀하는듯한 모습입니다. 지금 올림픽에서 보이는 중국인들의 추태만 보더라도 집단 이기주의와 오직 자기들만이 맞다는 식의 무지성의 혐오가 만연한듯 보입니다. 정말 걱정이 되는건 문혁은 그나마 중국내에서 시작되어 종결되었지만, 지금은 경제, 외교, 안보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중국 밖의 주변국들에게 안하무인으로 행패를 부린다는 겁니다. 거기다 언론을 통해보면 '신홍위병'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젊은세대들의 왜곡된 애국심이 극에 달하고 있는데... 과거 문혁때와 달리 이들은 소위 '소황제'라 통칭될만큼 이전 세대보다 부유하게 자랐고, 상당수가 고학력자들인데도 불구하고 자신들과 자국 정치의 문제점에 대해 자각하지 못하거나 외면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중국의 정치와 권력이 모두 공산당 1당 체제하에 그것도 시진핑 한사람에게 집중되면서 주변국들에게 까지 악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제2의 마오시대'를 여는게 아닌지 대한민국 국민의 한사람으로써 매우 우려스럽습니다.
@user-pt4yu4jq3r
@user-pt4yu4jq3r 2 жыл бұрын
중국을 떠난 중국인이 한말......지금의 중국은 문화혁명세대들이 다수를 차지하기때문에 중국은 대국이 못된다
@ymh09151
@ymh09151 2 жыл бұрын
진짜중국의 모습은 대만이 가지고잇다고합니다 중화민국=대만. 중화인민공화국=중국
@user-vt4tp2qr2d
@user-vt4tp2qr2d 2 жыл бұрын
하 선생님 유튜브를 이제야 알게 되다니ㅠㅠㅠㅠㅠㅠ선녀들도 넘 재미있게 봤는데 유튭도 구독하고 얼른 정주행 해야겠어요,,,♥︎
@jaemookjung
@jaemookjung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입니다!!
@samki530
@samki530 2 жыл бұрын
어째서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하는지 왜 자신의 수준을 알아야하는지 심용환 선생님의 이 강의로 알았습니다...자신의 수준을 모르고 정신차리지 않고 덮어놓고 멍하니 살다가 어떤거에 꽂혀서 휩쓸려버리면 그래서 때려부수고 그렇게 되면 그게 문화대혁명 같은 일이 될테니깐 말이죠..근데 저 문화대혁명이 나쁜것만은 아니지 않나요..우리가 발전할수있었던게 저 중국이 저런 엉터리같은일을 벌려놓아서 그걸 수습하느라고 시간을 써버리는 동안 우리가 발전했기때문에 말이죠...
@qhdhfbejdndnwwsb
@qhdhfbejdndnwwsb 2 жыл бұрын
이런 거 볼 때마다 개딸,문빠 등 극성 정치인 팬덤이 생각나네요...시대가 달라졌다해도 홍위병들과 다를 게 없는 사람들이 아직도 우리나라에 실존한다고 생각합니다. 문화대혁명은 정치인이 팬덤화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보여주는 가장 극단적인 예시라고 생각합니다. 나라 전체를 위해 언제나 정치인은 비판의 대상이어야 합니다.
@rainMaker_715
@rainMaker_715 Ай бұрын
태극기부대도 홍위병과 다름없네요. 나라팔아 먹어도 찍겠다잖아요.
@libertyms
@libertyms Жыл бұрын
이게 공산주의의 본질이지.. 소련, 북한, 중국, 캄보디아, 베트남 등등.. 제대로 된 공산주의라는게 애초에 실현될 수도 없는 이념인듯
@user-kn9vr4pl4t
@user-kn9vr4pl4t 2 жыл бұрын
와....영상을 보는 내내 넘 화가 나고 안타깝고 속상하네요...이 영상을 통해 마오쩌둥과 덩샤오핑과 문화대혁명을 일으켰는데 그게 어떤 건지도 또 그 이후엔 어떻게 됐는지 알게 되었고 인민의 적과 홍위병과 우파라는 이유로 피해를 당하신 분이 넘 안타깝고 속상해요... 그리고 14:23에서 선생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열정과 희망이 광기가 되고 광기로 변질이 되지 않도록 정확하게 역사를 배우고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지고 올바른 생각을 가지면서 세상을 살아가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user-th6hp1yp3q
@user-th6hp1yp3q 2 жыл бұрын
집단논리로 실컷 괴롭혀놓고 이제와서 후회하면 본인이 저지른 죄가 사해지고 하는건가 ㅋㅋㅋ
@JPark-hz8oy
@JPark-hz8oy 2 жыл бұрын
처음은 희망이었다니… 스스로도 감당안되는 혐오가 지금은 사라졌다고 볼수있을까…
@user-vw4wo4jc5s
@user-vw4wo4jc5s 2 жыл бұрын
정말 충격적이네요...불과 몇 십 년 전에 일어난 일이라니...사회시스템의 붕괴와 집단 광기가 현실을 집어삼켰네요...'생각이 없었다' 라니..ㅠㅠ...역사를 배우고 현재를 성찰하면서 우리가& 우리사회가 인간다움을 잃지 않고 함께 행복할 수 있는 대한민국으로, 더 나은 세상으로 만들어가길 노력했으면 좋겠네요. [현재사는 심용환] 이 좋은 컨텐츠 빨리 더 많은 분들이 보셨으면 좋겠어욥🙏🙏🙏
@user-qv5zo4zf6p
@user-qv5zo4zf6p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blanche1813
@blanche1813 2 жыл бұрын
희망이 광기로 변했다는 말이 슬프고 무섭네요 잘 봤습니다.
@user-hn1wp7gc2m
@user-hn1wp7gc2m 2 жыл бұрын
요즘 푹 빠져서 보고 있습니다~~
@user-pn1dt4fh8x
@user-pn1dt4fh8x 2 жыл бұрын
내 생각엔 나보다 높은 사람을 내리깔수있으니 가학행위를 즐긴거같음
@pele2434
@pele2434 6 ай бұрын
ㅇㅈ 사실 그것도 있었다고 함. 사실 이게 제일 크다고 봄. 힘을 과시하는데서 오는 우월감이 좋았던거일뿐 생각이 없었던게 아님.
@inkstone77
@inkstone77 2 жыл бұрын
저걸 몇달이 아닌 10년 동안 했다는거 그게 더 무서움
@kyuccih.174
@kyuccih.174 2 жыл бұрын
늦게나마 작가님의 이 강의를 듣고 생각나는 게 집단광기는 이성으로 대체할 수 없다는 말이 생각납니다. 저는 20대 후반이고, 제가 한국에서 일생을 사는 동안 우리나라에도 이와 같은 비슷한 일을 두 번 정도 겪은 것 같네요. 하나는 광우병 사태, 다른 하나는 세월호 사건입니다.-저는 정치적으로 진보, 보수 그 어느쪽도 지지하지 않는 중립적 입장입니다.- 지나치게 과장된 사실의 왜곡, 대중의 감정을 교묘하게 이용하려 시도하는 몇몇 정치인의 행보와 매스컴의 과도한 규탄을 보면서 한국의 사회도 시나리오만 갖춰진다면 언제든 문화대혁명과 같은 집단광기를 다시 마주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는 주체적인 시민의식을 가지고 객관적인 시각에서 국면을 바라볼 수 있는 사회의 한 구성원이자 자랑스런 국민으로 자라고 싶습니다. 제가 존경하는 심용환, 조승연 작가님-지극히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역사,사회를 객관적으로 다루는 강연자-의 다른 강연도 찾아보고, 매일 책을 읽는 것도 게을리하지 않으며 언제든 제 자신에게 솔직하고 올바른 사회의 이상향을 보러 노력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좋은 강연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해요.
@Gloriadiue
@Gloriadiue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문화대혁명의 실체는 집단적 광기였고 그것을 좀 더 이해하게 되는 시간이였어요.
@user-oq2ld7yb9e
@user-oq2ld7yb9e 2 жыл бұрын
항상 경계하지 않으면 이렇게 열정으로 포장된 광기를 만나게 된다.
@JJiSK
@JJiSK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을 영상을 통해 만날 때마다 단순히 '과거에 일어난 일' 또는 '죽은 역사' 가 아닌 바로 지금 현재에 대해 말해주는 것이 역사라는 것을 느낍니다. 역사를 안다는 것에 대한 관점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기대됩니다!!
@user-nq9rp4pi5o
@user-nq9rp4pi5o 2 ай бұрын
나 진보대학생인데 저게 우리 실체다
@user-os8es3wt2p
@user-os8es3wt2p Жыл бұрын
광기의 열정에 사로잡힐 때는 자신이 사로 잡힌지 모르겠지. 자신의 이익이 아니라 타인의,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옳은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할테니. 자신보다 우리, 공동체, 집단을 우선시하는 마음이 잘못 나아가면 어떠한 광기를 보여주는지 착함의 역설일 것이다.
@tosaltdoll
@tosaltdoll 2 жыл бұрын
문화혁명을 평가할때 가장 짜증나는 점이.. 모두가 가해자고.. 모든 중국인이 피해자다라고 평가하는거.. 그게아니고.. 명확히 문화혁명에 동조하고 앞장선자는 절대 악이었고 그들로 인하여 아무 죄없는 사람들이 죽었고 반만년 역사와 문화유산이 파괴되었다. 분명 죄를 지은 사람은 존재하고..... 지금의 중국도이 그렇듯 너무 많은 사람이 죄를 지으면 누구도 책임지지않고 처벌 받지 않는다. 그게 문화혁명의 본질이고 더 나아가 중국과 중국인의 실체임.
@user-st5qg3nu9p
@user-st5qg3nu9p 2 жыл бұрын
헐 심용환 쌤 사랑해요 ㅠㅠㅠㅠ 유튜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nowstory
@nowstory 2 жыл бұрын
살람합니다~
@landskies1216
@landskies1216 2 жыл бұрын
역사를 평면적으로 펴서 전달해 주는것에 그치지않아 좋아요 입체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 심용환 “강추합니다
@user-bc1rb9uh3s
@user-bc1rb9uh3s Жыл бұрын
와... 대깨들이다.
@szp2892
@szp2892 2 жыл бұрын
홍위병 이야기를 들으니 그분들이 생각나네요..... 너무도 똑같아요.
@user-kg5jb5li3c
@user-kg5jb5li3c 2 жыл бұрын
개딸들,대갈이가 깨져도 ..
@eliyahaverial
@eliyahaverial 2 жыл бұрын
자기네들이 지지하는 대통령 앞에서 경제 거지같다고 솔직히 말한 아주머니 공격했던 그 못된 분들....
@vkdnj_0
@vkdnj_0 Жыл бұрын
정치 섞는거봐 어휴 정치병자;
@leeeul5506
@leeeul5506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물러나고 나니 또 일어나고 있어요.
@user-tb9xl1oz8v
@user-tb9xl1oz8v Жыл бұрын
죽은 학생들 보고 고맙다고 하신 그 분이 떠오르네요
@user-cw8wr6xe3o
@user-cw8wr6xe3o 2 жыл бұрын
영화 패왕별희가 생각나네요 문화혁명을 리얼하게 잘 묘사했었죠 그때의 문화혁명이 없었으면 지금의 중국인들은 더 착하고 유식했을까
@normal77079
@normal77079 2 жыл бұрын
첸카이커가 홍위병 출신이니 잘아는거죠.
@user-wg3ej8ef6e
@user-wg3ej8ef6e 2 жыл бұрын
홍위병출신중 유명한사람은 패왕별희 감독한 첸카이거 감독이죠 마지막에 장국영이 공리에게한대사가 자신이홍위병시절때 생각나각색했다네요
@user-cv2jk3sq2x
@user-cv2jk3sq2x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발언 보면서 뜨끔하는 사람들 있길
@yousangoon
@yousangoon Жыл бұрын
핵심만 쏙쏙 구독자 더 채워질거같은데 좋은 채널
@yashkoo5502
@yashkoo5502 2 жыл бұрын
항상 어떤 신념이든 극단으로 치닫는건 좋지 않은듯 본인이 옳다고 생각해도 보편적 도덕에 위반하지 않는가를 생각해봐야 저런사태가 벌어지지 않을 듯하네요
@user-sj3yj6kn1t
@user-sj3yj6kn1t 2 жыл бұрын
저 가해자들은 반성할까 아니면 아직 스스로를 혁명가라고 믿고있을까.
@user-jg5iv2id5y
@user-jg5iv2id5y Жыл бұрын
무식하면 용감하다는 말..중국만보면 생각나는 말..
@user-tm9my8zu4t
@user-tm9my8zu4t Жыл бұрын
이성에 생각으로 안목 넓은 통찰입니다!변명을 잃어졌습니다!
@user-sp7xd2zq6z
@user-sp7xd2zq6z 2 жыл бұрын
잼따..
@user-pp9zo8bl9b
@user-pp9zo8bl9b Жыл бұрын
중국...이 중국했네요
@juwanhong4225
@juwanhong4225 2 жыл бұрын
문화대혁명 한번더 해라
@user-cj3ie3fy2l
@user-cj3ie3fy2l 2 жыл бұрын
문혁 한 열번만 더 했으면 좋겠다 정말ㅠㅠ
@user-bh5wx8fs7p
@user-bh5wx8fs7p 2 жыл бұрын
홍위병 세력 얼굴 보면 소름 돋는게 자기 자신에 대한 확신이 얼굴에 가득차있음 ㅎㅎ 당장 오늘 하루를 살아도 선택의 고민에 빠지는데 저들은 자기가 선택한 판단에 고민이 없음 ㅋㅋ
@SHIN___YU__JIN
@SHIN___YU__JIN 2 жыл бұрын
천안문사태에 대해서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sung815kr
@sung815kr 2 жыл бұрын
이 세상은 언제나 소수가 바꾸는 듯. 다수는 그냥 그 흐름에 따라갈 뿐
@user-cd5kr4le4b
@user-cd5kr4le4b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얼마나 멍청해 질 수 있나를 보여주는 아주 좋은 예를 보여줬지. 우리도 덜 하지만 이미 보여줬지. 그래서 국민이든 인민이든 스스로가 개 돼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user-me6cd8bg4f
@user-me6cd8bg4f 2 жыл бұрын
남들보다 잘사는게 죄다? 이거 어디서 많이 본건데
@yelli_930
@yelli_930 Жыл бұрын
들으면서도 믿기지 않는게 중국 문화대혁명 사건…. 그건 정말 눈 먼 광기네요.. 어떻게 자기 손으로 자국의 문화재를 다 깨부수고 공부 좀 했다고 적으로 몰아세우고.. 그런데도 지금 중국인들은 마오쩌동을 존경하지 않아요..? 나 너무 신기하네…
@Clxkenem
@Clxkenem Жыл бұрын
극도의 당위주의가 어떤 폭력을 낳는지 20세기 공산사회주의 실험들이 모두 보여주었습니다
@user-mv2ju1io8m
@user-mv2ju1io8m Жыл бұрын
중국이 한번 더 문화 대혁명을 펼치면 좋겠어요
@johnwhite4179
@johnwhite4179 10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강조한 게 혐오와 갈등을 부추겨서는 안 된다는 건데... 바로 특정 집단 혐오에 관한 댓글을 다는군요.
@disasteryangsanmoon
@disasteryangsanmoon 9 ай бұрын
채영문이 젤 조아할껄
@user-yv5ef4tn1m
@user-yv5ef4tn1m Ай бұрын
지금 대한민국도 광기로 가득차 위험하다 ㆍ정상적인 나라로 갈 수 있도록 정신 차립시다
@user-rf7nq4yw4h
@user-rf7nq4yw4h 2 жыл бұрын
문화대혁명덕분에 주변국들은 중국의 횡포를 몇십년 덜 받게되었으니 참 다행인듯
@user-nq3lr1so5w
@user-nq3lr1so5w Жыл бұрын
과거를 잊은 민족에게는 미래는 없다. 이건 중국에 해당되는 말이 아닐까?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2 жыл бұрын
지금 새벽에 나와 체조하는 70대 노인들이 홍위병 출신
@user-ec4qh6bv2o
@user-ec4qh6bv2o Жыл бұрын
학교 선배들이 다 저랬지. 아니 지금도 그렇게 살더라
@user-xh7tu6ry4h
@user-xh7tu6ry4h 2 жыл бұрын
문화대혁명이 잘못된 일이라고 단편적으로만 알고있었는데 이렇게 알기쉽게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이히만도 생각나고..성실한 가해자가 되지않도록 꼭 스스로를 돌아봐야겠어요!!
@mussoa
@mussoa 2 жыл бұрын
마오가 앞으로 5명만 더 나왔으면 합니다
@emonim2845
@emonim2845 Жыл бұрын
다시한번 홍위병이 나타나 지들끼리 치고박길
@user-do1ky1bp6y
@user-do1ky1bp6y 2 жыл бұрын
대박!!!!초5아들땜에 한국사공부가르켜주기위해 미리 예습하다가 사이언스에서 당혹사감독판에서 현재사까지 와버리다니..ㅡㅡ..대체 정체가 뭔가요? 역사학자이신가요? 역사작가이신가요? 역사탐정인신가요?ㅋㅋㅋㅋ 팬이될까 두렵습니다ㅠㅠ
@Johyeongjin
@Johyeongjin 9 ай бұрын
하지만 중공의 문화대혁명은 결과적으로는 우리나라가 선진국 막차를 탈 수 있게 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만약 1960년대에 중공이 문화대혁명이 아니라 등소평이 집권해서 개혁개방을 추진했더라면 지금 우리나라는 중공의 경제적 식민지가 되어 우리나라 사람들이 중공에 막노동 하러 가는 상황이 벌어졌을지도 모릅니다.
@yty8721
@yty8721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얼마전부터 구독해서 정주행중인 미국에 사는 재미교포입니다. 너무 재미있게 잘보고 있습니다. 근데 교수님 목소리보다 BGM 볼륨이 너무 커서 스토리 텔링중에 말소리가 중간중간 묻히는 경우가 많네요. 목소리랑 BGM 볼륨 🔊 을 좀 조정해주시면 더 좋을것 같아요.(목소리는 좀 키우고 BGM은 좀 낮추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Tntd861
@Tntd861 2 жыл бұрын
링링허우 였나 요즘 새로운 홍위병의 탄생 이라는 애국주의 젊은 중국인이 몰려 오고 있는데 흥미진진
@user-wj9ln8sp4g
@user-wj9ln8sp4g Жыл бұрын
"집단은 양심이 없다"라는 말이 있는데 내가 볼 때 그 말은 각계각층에 다 해당되는 말인 듯. 그리고 한국의 경우엔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도 해당되는 말인 듯.
@user-wx4dr2dl4j
@user-wx4dr2dl4j 2 жыл бұрын
우리에겐 문위병이 있찌...
@user-mm5ds9ix5p
@user-mm5ds9ix5p 2 ай бұрын
박근혜 대통령 탄핵 당할때 멋모르고 선동 되던 사람들도 홍위병이랑 다를 바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솔직히 그 때 부터 민주당 지지 철회함
@SuperWonder
@SuperWonder 2 ай бұрын
선동당한게 아니죠. 헌재에서도 인정한 박근혜 정부의 국기문란인데 박근혜를 탓하는게 왜 선동입니까.
@yinissie9893
@yinissie9893 Жыл бұрын
21세기 한국에서도 충분히 볼 수 있는…
@hssong5819
@hssong5819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저렇게 집단광기에 빠진 사람들이 좌우를 막론하고 있죠. 자신만 옳다고 여기고
@user-mw5td5oh4y
@user-mw5td5oh4y Жыл бұрын
저 시절 홍위병들 덕분입니다 너무 미워하지는 맙시다 한국한테는 은인이죠
@user-jb9kx6kh5g
@user-jb9kx6kh5g Жыл бұрын
저는 현재가 아니라 심용환에 살고있어요
@user-nw9fu3ne8x
@user-nw9fu3ne8x 2 жыл бұрын
서로착해지라고 도와주는모습이네
@user-ph4ef1tw6u
@user-ph4ef1tw6u 2 жыл бұрын
참 고마운 혁명 저런 문화대혁명이 다시 한번 중국에서 일어나기를 바랍니다!
@user-vv2lw1zn7d
@user-vv2lw1zn7d 2 жыл бұрын
10대들..미쳤구나
@user-st2my4yr7d
@user-st2my4yr7d 2 жыл бұрын
10:47 쌤~~ 이런 홍위병들 회고록같은 책들 추천해주세요
@user-ju9jz9kz6q
@user-ju9jz9kz6q 2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럼ㅇ도불구하고 마오쩌둥이 계속추앙받는 이유를 몰것네요 @@
@chaechaelove8084
@chaechaelove8084 2 жыл бұрын
이번 올림픽을 보고 배웠습니다 그들은 아직 문화대혁명에서 벗어나지 못한것 같습니다
@disasteryangsanmoon
@disasteryangsanmoon 9 ай бұрын
그러니 역대 최악의 올림픽이라고 조롱받지 ㅋㅋㅋㅋ
@user-xk2di8kl3t
@user-xk2di8kl3t 2 жыл бұрын
현대인은 배울만큼 배울 수 있는 여건 속에서 살고 또 그런 선택을 할 수 있죠 우리가 자신의 의지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자유를 포기하면 순식간에 저렇게 됩니다 내 생각과 내 의지를 세우고 표현하는걸 게을리 하니까 좋아보이는거 따라하면서도 내심 불안한거고 그게 결국 여러가지 분노나 공포대항으로 이어집니다 그게 요즘 온오프 사회적인 공포 대항. 분노. 혐오 정서 같더라고요 그런데 마음이 비어있으니 대체할게 뭐냐 권력이나 돈 같은 허영이거든요 나 자신으로 살기 포기한 사람들은 언제든지 독일 나치스처럼 되고 중국 홍위병 처럼 됩니다
@joshnmud
@joshnmud 2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중요한 통찰을 줍니다. 기본적인 지식없이 열정과 감정만으로 살아가는 고삐풀린 망아지의 모습, 2030의 비트코인투자로 나타났죠~ 이건 머 어딜가나 똑같습니다
@user-ny6gl3hw3n
@user-ny6gl3hw3n 2 ай бұрын
상식이 통하는 시대가 좋은 사회다.
@scy426
@scy426 2 жыл бұрын
시민의 적은 개인을 하나의 극단적 가치로 묶어 광기에 휩싸이게 하는 전체주의다.
@pappi48
@pappi48 2 жыл бұрын
저 교훈으로 핑핑이는 교육을 시키면서 세뇌를 시키는 거구나..
@ittsssmeo1770
@ittsssmeo1770 2 жыл бұрын
아니,,지들이 다 부숴놓고 다른나라 문화 뺏으려드넴;;;
@SEOUL12345
@SEOUL12345 2 жыл бұрын
중국인들이 자랑스러워 하는 문화대혁명이 중국에서 또한번 진행되길 기대합니다
@yelli_930
@yelli_930 Жыл бұрын
중국인들은 문혁을 자랑스러워 하나요?? 희한하다…
@user-iy2wl7nc5k
@user-iy2wl7nc5k 2 жыл бұрын
착해지던 시기
@adoniskim8742
@adoniskim8742 Жыл бұрын
국민들이 무지하면 정치인들의 선전선동에 쉽게 맹목적인 충성을 하면서 인간의 도리 윤리에 어긋난 행동을 아무런 죄의식 없이 자행하게되는구나
@bagsi1010
@bagsi1010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 유익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영상 보면서 하나 궁금한 게 이렇게 시민 의식이나 국민성이 떨어지는 국가가 어떻게 이렇게 잘살 수 있게 된 건가요? 단지 높은 인구와 값싼 노동력 덕분인지.. 참 궁금하네요.
@yelli_930
@yelli_930 Жыл бұрын
엄청나게 못살던 나라가 어느날 경제개방+인구버프+값싼 노동력으로 가진거 다 몰아넣으면 그전은 너무나도 못살았기 때문에 잘살아보이는건데 그 후폭풍은 분명 올거라고 생각해요.. 무엇이든 급성장은 탈이 나잖아요 우리나라도 그렇고. 심지어 중국은 근 20년밖에도 안된 것 같은데..
@yelli_930
@yelli_930 Жыл бұрын
@@user-mz9wt9lv2j 경제 그러니까 잘먹고 잘사는 것에 급급해서 정신적인 성숙을 살필 새 없이 몇 세대가 이 땅에서 살았죠. 빨리빨리문화가 대표적인 것 같아요 그게 좋을 때도 있지만 결국 안전불감증이라는 DNA가 자리잡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크고작은 사고들이 너무 많이 터졌어요...
@yelli_930
@yelli_930 Жыл бұрын
@@user-mz9wt9lv2j 또 OECD 자살률 1위를 찍고 있죠. 우리나라보다 자살률 높은 OECD 비회원국들은 정말 못살고 이름도 모를 나라들이예요. 생존이 몇 십년 간 국가적 목표였기 때문에 잘 먹고 잘 살아야만 인간취급해주는 생각들이, 대놓고 표내진 않지만 기저에 깔려있어요
@Mark-vl8nz
@Mark-vl8nz Жыл бұрын
무지한 사람들이 열정을 가질때 나타나는 무서움
@tv---6546
@tv---6546 2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강의, 감사합니다! 중국공산당의 주요 사건과 인물 중심으로 설명하는 북연TV '박인성의 중국현대사' 추천합니다.
@user-kc1rl3qb9f
@user-kc1rl3qb9f 2 жыл бұрын
중국은 문화대혁명을 극복하지 못하면 세계의 주류가 될 순 없겠네요.
@suenam1013
@suenam1013 2 жыл бұрын
광우병사태보면 그수위가 다르지 집단광기는 우리도 있었지 ㄷㄷㄷ
@user-md3gb6fm7j
@user-md3gb6fm7j 6 ай бұрын
중국인에게 마지막 기회를 걷어찬게 천안문사태
If you want to know the history of Korea, you should know Dosan Ahn Chang-ho
15:42
현재사는 심용환
Рет қаралды 682 М.
Stupid Barry Find Mellstroy in Escape From Prison Challenge
00:29
Garri Creative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3 wheeler new bike fitting
00:19
Ruhul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50 МЛН
The reason why the U.S. dominated the global economy
14:54
현재사는 심용환
Рет қаралды 345 М.
마오쩌둥의 문화대혁명! 지금 우리의 모습은 아니겠지?
29:35
[Korean history] Korea was founded by non-mainstream people?
14:17
현재사는 심용환
Рет қаралды 191 М.
중국은 왜 공산국가가 되었는가? 중국 공산당의 탄생! : 중국의 붉은 별 1부
57:07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236 М.
How did Japan become Asia's first modern country?
9:54
현재사는 심용환
Рет қаралды 204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