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나이 70이 넘었는데도 강의를 들으면 들을수록 재미가 있어 이해가 빠릅니다 😊 감사합니다 ^^~!
@snosno1243 Жыл бұрын
너무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 되요
@h.p86333 жыл бұрын
지금껏 만난 선생님들중 최고입니다👍👍
@elec7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히어로-j6g4 ай бұрын
이해가 쏙쏙 잘 되네요 감사합니다
@해물파전맛집 Жыл бұрын
이해가 너무 잘되고 전기가 재밌어요 교재 사서 보는중이에요 ㅎㅎ
@이지안-u4x5 ай бұрын
선생님 강의 진짜 훌륭해요! 잘생기고 위트도 잇으시고😄
@jakyeongkim15282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처음시작하는 전기공부 전압이야기 공부합니다 4가지 힘 만유인력 전기력 강력 약력
@daaaanah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ym-c2l3 ай бұрын
초등 임용고시생인데 시험 일주일 전 기막힌 선택입니다 ! 감사합니다 ㅎㅎ
@휘센01873 жыл бұрын
오늘또보아도 좋은강의입니다
@부자리9 ай бұрын
진짜 너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ㅠㅠ 감사합니다
@Jinneverstop4 ай бұрын
진짜 너무 잘 가르치십니다. 전병칠 원장님 최고
@양소영-v6j2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휘센01872 жыл бұрын
역시 선생님의 강의는 최고입니다
@취업연구소-내일의취4 жыл бұрын
전위차, 전압에 대해 제대로 알 수 있었습니다😄
@늘보710 ай бұрын
1:20
@taechnical Жыл бұрын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인데, 논리회로 다시공부하다 반도체공부하다 전자 공부하다 원자공부하다 소립자 공부하다 쿼크 공부하다 선생님 영상까지 왔네요. 전위를 설명해주시기위해 수위로 빌드업하시는거보고 감탄을 자아냈습니다. 이렇게 까지 쉽게설명해주시는데 윗댓글 이해 안간다고 찡찡되는거보면, 참 안타깝네요.
@universeparrot1329 Жыл бұрын
전위: 단위양전하가 같은 퍼텐셜에너지 전위차(전압): 두 점 사이 전위의 차이 전기장이 E로 일정한 공간에서 전기장의 반대방향으로 전하량이 q인 양전하를 d만큼 옮겼을 때 변하는 포텐셜에너지=F×d=qEd 전위의 차이 V는 Ed E=V/d
@이림-m2y3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의 전자에 대해 공부하다 여기까지 왔네요.
@휘센01874 жыл бұрын
또 보아도 강의가 좋습니다
@ydgong Жыл бұрын
잘 이해하게됐습니다 감사합니다
@hunhwang4 жыл бұрын
오전 7시에 영상이!!! 이걸 이 시간에 올려주신 원장님도 대단하고 이 시간에 보는 저도 대단..
@Lyoosc Жыл бұрын
좋은 설명입니다. 단 수위차에 대한 설명에서 그림이 조금 이상하네요.. 5층에서 1층으로 물이 흐르는 것은 수위에 따른 수압차가 아니라 중력을 받아서 아래로 내려가는 것입니다. 만약 수위차를 설명하시려면 서로 다른 높이의 두 물기둥과 그 사이에 평행하게 놓여있는 통로를 그림으로 활용하셔야 할듯합니다.
@heyouyeahyou Жыл бұрын
누군가가 제발답변해주셨으면좋겠습니다 전위차가 0이면 전압도 0인가요?
@elec7 Жыл бұрын
네. 그렇게 생각하셔도 됩니다.
@heyouyeahyou Жыл бұрын
@@elec7 감사합니다
@cchocopie3 жыл бұрын
방금 변압기에서 뱀이 고압선 올라가서 폭음과 정전 되었습니다, 새야 전위차가 거의 0 이라는데, 뱀은 전위차가 어떻게 발생한건지,, 전위차 원리도 이기회에 한번 더 학습합니다 백지상태에서 전기 초보상식에 누구보다 큰 도움 됐습니다 태국에서 구독 눌렀습니다
@elec73 жыл бұрын
서로 다른 전선에 걸리면 전위차가 납니다. 새는 한가닥의 전선에 두 발을 대는 것이므로 그런 경우는 전위차가 없지만, 뱀은 길어서 서로 다른 선에 걸칠수도 있겠네요. 그렇게 된다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cchocopie3 жыл бұрын
@@elec7 Aㅏ.. 확인 감사합니다
@조영권-w6w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왕파리-b3h5 ай бұрын
항문과 직장사이에 변위차에 의해 생기는 압력은 변압인가?
@김주영-q4k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당
@elec7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남원욱-o2n4 жыл бұрын
전위차, 전압에 대해 좋은영상 올려주셨네요. 감사합니다~^^
@funnyjeff2 жыл бұрын
뭐랄까? 발단 > 전개 > 위기까지만 왔다가, 절정과 결말이 없는 강의라고 보여집니다. 그래서 전위차가 왜 만들어지는건가요? 에 대한 정확한 해답이 없다.
@letsgo-ajou Жыл бұрын
너도 절정과 결말이 없는듯
@LittleSkyRuby4 жыл бұрын
너무 쉽게 설명해주셔서 한방에 이해했습니다!
@최호수-h5p4 жыл бұрын
Good students makes good teacher... unless he is originally bad.... thank you for your teaching!
@elec74 жыл бұрын
thank you.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고기압과 저기압의 기압 차이로 바람이 생기는 것처럼 , 고전위와 영전위 사이에 전압이 발생 된다는 해설 참으로 기가 막힌 비유입니다. 해수면과 산정상의 높이를 전위로 표현 하셨고, 아파트 1층과 5층의 높이차를 전위,,그것이 전압으로 이어진다고 하셨네요. 빗물이 내려 실개천을 이루고 실개천들이 만나서 강을 이루고 그 강들은 바다로 향하듯, 전위로 발생한 전기는 전기의 어머니 품인 대지로 즉 지구로 향한다고 하셨네요. 전기는 하나의 몸짓에 불과한데 전병칠원장님께서 불러 주시니 전기가 꽃이 됩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mathnfish4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강의 시청하는 구독자입니다. 시를 한 수 하고 가시는군요. 표현이 아름답습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mathnfish 님 감사 합니다.
@isaaclee67193 жыл бұрын
쉽게 얘기해서 전자가 많은 곳과 전자가 적은 곳의 차이가 전위라는 거네요. 전압이기도 하구요.
@이정인-i9h4 жыл бұрын
원장님 기능사 필기 정규반 보면서 열심히 공부 하고있습니다. 항상 좋은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전기에 대해 조금씩 흥미를 느끼고있어서 재밌게 공부하고있습니다.^^
@johnbae47754 жыл бұрын
저두 이거 궁금했는데 드디어 강의를 통해 풀어주시는군요!!
@유닉스-u5y3 жыл бұрын
이 전위차라는 개념때문에 전압이 다른 전지 병렬 연결하면 흐르지 않을까라는 질문했다가 개쪽당함
@아치-h9h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너무 잘가르쳐줘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구독 좋아요.
@hite_jinro Жыл бұрын
테스터기로 전압 측정할때 전위차에 의해 측정이 되는데 그럼 만약 3상 차단기 R,S 를 측정 햇을때 R과S모두 대지와 측정하게 되면 220V가 측정된다고 햇을때 RS를 측정하면 전위차가 없는데 왜 220V가 측정이 되는건가요?
@휘센01874 жыл бұрын
전위와 전압에대하여 설명하는 많은서적과 내용이을 보아도 이해가 어려운분들에게 2021년 최고의 강의입니다. 다음에 시간이되시면 기본적인 시퀀스도면을 놓고 멀티메타로 측정하면서 기준이되는곳은 검정색 리드를 놓고 다음 적색리드봉으로 측정하면서 전압과 전위 설명 이종의 현장에서 배울수있는 트러블슈팅에관한 강의가 있으시면 더 좋을것 같습니다. 2021년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서학종-b2q2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지구에서 달까지 전선을 연결해서 220볼트 티비를 본다고 가정하면 몇볼트 정도여야할까요?
@denmy85523 жыл бұрын
원장님의 영상으로 공부 잘 하고 있습니다. 이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한가지 긍금한점을 여쭤보겠습니다. 전압이 높으면 낮은 전압 보다 전선의 어느 한지점을 1초동안 지나가는 전류의 양은 더 많게 되질 않나요? 폰충전의 경우 5v 2a 9v1.5a 등이 있는데 후자의 경우 와트는 더 큽니다. 전류가 낮은데도 와트가 높은건 전압이 세서 전류는 낮지만 힘이 세서 더 빠르게 지나간다고 이해해도 될는지요? 근데 전류의 양은 어느 한 단면을 1초동안(찰나가 아닌) 지나는 전하의 양인데,, 전압이 높으면 이 양이 더 커야 하질 않는지요?
@helicopterattack4124 жыл бұрын
두발전소가 있습니다. 하나는 석탄발전소 하나는 태양광 발전소라고 할게요. 화창한날 석탄발전소에서 발전량을 줄이고 태양광 발전소 발전량을 주로 사용하고자 하면 어떻게 조절해야하는건가요 ? 부하는 물리적으로 가까운 발전소의 전력을 끌어 가는건가요? 아니면 어느 한쪽이 아주 조금이라도 더 앞선 위상? 혹은 아주 조금더 빠른 주파수를 공급해야 한쪽 발전소가 더 많은 전력을 공급하게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Aurumalchemist4 жыл бұрын
설명 감사합니다. 전위차의 개념은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는데 v=w/Q에서 전압이 1쿨롱이 한 일이라고 정의하면 이해하기가 힘드네요... 전압이 높으면 1쿨롱의 전하가 강하게 움직인다는 의미인가요??
@daun24504 жыл бұрын
물로 비유하자면 수압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같은 물 1톤을 흘리더라도 소방호스에서 강하게 쏘는 물이 그냥 졸졸 흘릴때보다 훨씬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상태잖아요. 이때 초당 흐르는 물의 양이 전류라면 수압이 전압인 셈이죠 그리고 그 둘을 곱해서 수량과 수압을 모두 고려한것이 전력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채영-m9o4 жыл бұрын
굿굿입니다
@fact_check_4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휘센01874 жыл бұрын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JW-74 жыл бұрын
V=IR 이라고 중학교 기술 시간에 배웠는데 어떤 나라에선 u=IR이라고 하더군요. 도대체 u 는 뭐죠?
@id47724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이경훈-j1y4 жыл бұрын
설명 잘 들었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Semibro1254 жыл бұрын
대표님, 기호 E와 V는 둘 다 전압에 해당되는 값인데, 의미를 보았을 때 발전기 등 전원이 생성되는 유기기전력과 부하측에 소비되는 부분에서 단자전압과 차이가 있어서 기호를 다르게 표기하는 것인가요?
@yjh52204 жыл бұрын
광고가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웃으면기부니좋아요4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선생님!!!
@seophone15614 жыл бұрын
원장님 4회차 전기 기능사 초코파이는 언제나오나요?
@llllllll-c3n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질문이있습니다. 위 내용과는 연관이 없지만 만약 변압기 1차측 최소전압이 120V 인데 50V가 들어가면 2차측에서 전압생성이 안되는 경우도 있나요? 아니면 무조건 권선비대로 2차측 전압은 무조건 나올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mathnfish4 жыл бұрын
50V일때도 2차측에 권수비에 따라 전압이 발생합니다. 예를들어 22.9KV가 1차측에 들어온다고 생각해보자구요. 항상 정확히 22.9가 들어오는게 아니라 그 이상도 그 이하도 들어 옵니다. 22.8 또는 23이 들어 와도 거기에 따라 2차측에 유기기전력이 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