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1뉴스] 텅텅 빈 원주혁신도시.."손님이 없어요"

  Рет қаралды 678,103

G1 News

G1 News

Күн бұрын

#G1방송 #강원도뉴스 #8뉴스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국가균형발전 정책에 따라 조성된 원주혁신도시에는 12개의 굵직한 공공기관이 들어와 있습니다.
직원 수만 7천 명인 만큼 지역의 기대가 컸지만, 저녁이나 주말에는 수도권으로 줄줄이 떠나고 텅 빈 도시가 되는데요,
혁신도시, 이대로 괜찮은 걸까요.
집중취재, 먼저 윤수진 기자입니다.
[리포터]
여기도 임대, 저기도 임대.
한국관광공사와 건강보험공단 등 공공기관만 12개가 들어서 있지만,
혁신도시는 온통 빈 점포 투성이입니다.
[인터뷰]
"지금 한 절반 가까이는 가게들이 비어있는 상태인데..외지 분들이 오셔서 있다가 주말에 집으로 가는 현상들이 벌어지고 있으니까."
지난 2005년 정부 국가균형발전 정책에 따라 조성된 전국 10개 혁신도시 중,
원주에는 5년 전 공공기관 이전이 모두 마무리됐습니다.
들어온 직원 수는 7천 명.
그런데 당최 사람 찾아보기가 힘듭니다.
혁신도시 하나 믿고 고깃집 차린 한 사장님도 두 달 뒤 결국 가게를 접기로 했습니다.
◀SYN / 음성변조▶
"몰랐던 거죠, 저는. 자리를 잘못 잡았구나. 지나다니는 사람이 하루종일 있어봐야 없어요. 그러니까 사람이 되게 우울하죠."
통근버스 타고 수도권 집으로 직원들 다 떠나고 난 저녁 시간대 사정은 더 합니다.
"다른 먹자골목들은 한창 떠들썩할 시간이지만 그나마 낮에는 좀 보이던 행인들도 없고 거리는 이렇게 썰렁합니다."
[인터뷰]
"정말 돈 벌려고 시작했다가 돈 까먹고 있어요. 낮에는 그래도 공무원들이 좀 오시는데 저녁 때는 아주 썰렁한 거리에요."
그럴듯한 공공기관이 즐비하지만 주말만 되면 '유령도시'라 불릴 정도.
지난 2019년 기준, 원주혁신도시 상가 공실률은 최대 83%까지 치솟고 상권은 바닥을 치고 있는데,
담당 부서까지 축소한 원주시는 이렇다 할 활성화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G1뉴스 윤수진입니다.
윤수진 기자 ysj@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Пікірлер: 2 300
@min-sf6fc
@min-sf6fc 2 жыл бұрын
이런 게 결국 지역 정치와 유착되서 가격 싼 땅을 뻥튀기 하는데에만 혈안이 되었으니 문제임.. 정말 미래를 위해서 분산하더라도 최대한 기존 중심지와 가깝게 지었어야함.
@mctb5905
@mctb5905 2 жыл бұрын
기존 중소도시의 중심가에 만들어서 더 고도화된 도시를 만들었어야 했는데 일단 싸게 하자….ㅠ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망하던 말던 관심을 안 가진게 문제
@여행스케치-z8n
@여행스케치-z8n 2 жыл бұрын
돈때문이겠됴. 기존 도심을 개발하려면 그 땅들을 전부 사들여야 하는데 이미 혁신도시 기업도시 얘기 나올때 부터 부동산 가격 폭등 그러니 아에 보상비 적은 외곽 지역에 신도시 만드는게 나을꺼란 생각을 하겠죠
@asmrty982
@asmrty982 2 жыл бұрын
혁신 그 자체. 사람이 없지만 아파트를 짓겠다.
@Rock-2
@Rock-2 2 жыл бұрын
@@과일팔아서구독자100만 살살치셈 세게 치면 마이 아픔
@plasma3620
@plasma3620 2 жыл бұрын
할렘가
@트릭-c6w
@트릭-c6w 2 жыл бұрын
아 그혁신이 그혁신?ㅋㅋ 고견 잘듣고갑니다ㅋㅋ
@talkertalker0
@talkertalker0 2 жыл бұрын
나도 타 지역 광역시 실지만 다 저렇더라구요. 도시에 돈이 없는데 아파트만 때려짓습니다. 금리 낮을 때 일단 짓고 본다는 심산일 수도 있겠지만......지어 두면 일단 자산이고. 솔직히 지방도시들 그 신규물량 소화할 경제력에 한계가 있다고 보는데. 메인상권 하나 벗어나면 다 불황 전단계이던 곳 천지인데......
@vinyljourney7
@vinyljourney7 2 жыл бұрын
사람은없어도 공그리는 지어야죠 건물주의 꿈을 이뤄드립니다 집주인의 꿈을 이뤄드립니다 이런건 인구구조변화로인해 점점 답이없어진다
@성우박-e9f
@성우박-e9f 2 жыл бұрын
김천 혁신 도시도 주말이면 서울로 모두 가는것 봤음 ..
@kmedi97
@kmedi97 2 жыл бұрын
김촌은 유령도시죠
@EU-yh7vd
@EU-yh7vd 2 жыл бұрын
김천 혁시 쿠우쿠우 전국1위 맛집ㅎ
@쏘박쏘박쏘박
@쏘박쏘박쏘박 2 жыл бұрын
금요일 ktx 예약 불가능
@marcusmin
@marcusmin 2 жыл бұрын
김천은 그나마 주말에만 올리가지 원주는 평일에도 올라가니 문제네요
@km4353278
@km4353278 2 жыл бұрын
진짜 유령도시같음..
@JW-om9cn
@JW-om9cn 2 жыл бұрын
원주는 혁신도시나 기업도시 중에 하나만 집중적으로 케어했어야 했다. 혁신도시나 기업도시나 애초에 기존 밀집 상권과 멀리 떨어진 곳이었기 때문에, 시에서 '작정하고' 공기업 직원들이 근방 주민으로서 생활할 수 있도록 주거 지원을 해주든 대중교통량을 대폭 늘리든 어떻게해서든간에 방안을 마련했어야 했다. 역대 시장은 성과 보이기에 급급했던 나머지, 키울 능력도 안되면서 두 마리의 토끼를 잡아버렸고, 두 마리의 토끼는 모두 시름시름 죽어가고 있다.
@강아지고양이-g3o
@강아지고양이-g3o 2 жыл бұрын
아니 애초에 정신병 걸린 구조같음. 혁신도시와 기업도시가 어느 정도 연계가 되는 위치에 있어야지 하나는 구도심 기준 4시 끝, 하나는 10시 끝에 있는데 이건 무슨 정신병 걸린 구조임? ㅋㅋㅋ
@qwearff5159
@qwearff5159 2 жыл бұрын
진짜 원주 심시티는 최고임 너무 멀어서 지원이 안됨 ㅋㅋ
@쿠앤크-d2m
@쿠앤크-d2m 2 жыл бұрын
@@강아지고양이-g3o 지도보니 욕나오네요 꼬딱지만만 지방소도시에 구도심 양쪽끝으로 신도시를 만들어놔 그것도 바로붙여놓은것도 아니고 띄어놨네 ㅣ
@Noname48003
@Noname48003 2 жыл бұрын
지역 공무원, 유력자들이 토지보상비로 왕창 땡기려면 멀찍이 가야죠ㅎㅎ 원주가 유독 심해서 그렇지 사실 다른 지자체들도 마찬가지.
@콘스탄틴2
@콘스탄틴2 2 жыл бұрын
그냥 지방에 있는게 싫은거야 원주뿐만이 아니다 그냥 결론은 지방이 싫은거야 수도권이 좋은거야 애초에 지방을 아무리 개발해봤자 사람들 가치관이 변하지않으면 의미가없다
@힐러-c1y
@힐러-c1y 2 жыл бұрын
원주혁신도시 사람도 없고 너무썰렁한데 상가가 너무 비싸서 놀랐어요..
@씨튜브유발련
@씨튜브유발련 2 жыл бұрын
그거 시체 4번 쌓이고 유찰 5회 이상되어야 슬슬 원가격 보임 ㅋ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혁신도시는 원주 말고도 세종시부터 해서 이미 다 망했어요
@dsshin9303
@dsshin9303 2 жыл бұрын
춘천도그래, 전철개통후 주말되면 수도권으로 돌아가드라고 대학생들 특히,,
@장동준그리고장관수
@장동준그리고장관수 2 жыл бұрын
어따대고 반말이야
@뽀로로-s5j
@뽀로로-s5j 2 жыл бұрын
@@장동준그리고장관수 틀니 3일 압수!
@jhk9833
@jhk9833 2 жыл бұрын
@@뽀로로-s5j ㅋㅋㅋㅋㅋㅋㅋ
@박봄-o7l
@박봄-o7l 2 жыл бұрын
춘천은 완전 수도권 잠실집에서 밤에 춘천까지 50분 도착 거기는 너무 가까워 근대 볼게없음
@ggggggaaaaaaa4422
@ggggggaaaaaaa4422 2 жыл бұрын
춘천은 전철 개통전에도 기차타고 통학하는 학생들 많았는데 뭔 새삼스럽게
@being1052
@being1052 2 жыл бұрын
실패한 도시의 대표작이 원주. 기존 도시권역을 대대적으로 재개발해서 혁신과 기업도시를 조성해야 성공하는데, 인구는 작은 도시에 3~4만명짜리 신도심을 외곽에 외딴섬처럼 두개 만들어 놓으니 그야말로 섬이 되었음. 인구가 줄기 시작하면 정말 유령도시가 될수도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세종도 다를거 없음.. 밤 11시에 편의점 문 닫는게 말이 됨? 주말되면 다 서울로 올라옴.. 충청도 입장에서는 독이든 케이크임
@Jackking94
@Jackking94 2 жыл бұрын
나주 혁신도시도 마찬가지임...
@Jackking94
@Jackking94 2 жыл бұрын
@@굵은악마-k9d 주민보다 마네킹이 많다는 그곳
@osb308
@osb308 2 жыл бұрын
진주혁신도시가 ㄹㅇ 좋음 원주혁신처럼 다 떨어져있지않고 굉장히 밀집되있어서 좋음 공군입영떔에 진주갔었는데 좋드라 원주사람으로써 원주혁신도시 공사사람들 제외하면 사람 좆도없음..
@qwearff5159
@qwearff5159 2 жыл бұрын
혁신도시 사람 없어 망했는대 여유롭다고 스스로 위로함 ㅋㅋㅋㅜㅜ
@문정우-u1i
@문정우-u1i 2 жыл бұрын
직원 7000명이지만 반곡동 아파트 세대수가 훨씬 많고 상가가 7000명 수요보다 훨씬 많이 지음.
@dkagjadjoaor-t1m
@dkagjadjoaor-t1m Жыл бұрын
혁신도시 기업도시 원주역을 상권 다 쪼개버리니 되겠니 걍 원주역이든 혁신도시든 어디 몰아서 상가 구성했음 정말 잘 됐을거야
@leewonbeom380
@leewonbeom380 2 жыл бұрын
원주를 모르는 사람들은 시골 깡촌이라 생각하지만, 사실 원주는 주변 도시를 전체를 빨아들이는 꽤나 큰 도시임 대학과 군부대가 많고, 주변 작은도시들에서 많이 모이고, 동해가는 길목에 큰 역할을 하고 있음 기업들도 생각보다 많고 그런데 다른 댓글들이 말하는것 처럼, 도시 설계가 똥망임. 구도심, 신도심, 혁신도시, 기업공단 등등 다 무슨 마인크래프트에서 집 짓다말고 옆에 새로 지으러 간 느낌임. 다 모으고 연계성이 있으면 지방도시의 좋은 사례가 될수 있을탠데
@LAD-xy1xp
@LAD-xy1xp Жыл бұрын
망한도시 ㅋㅋㅋㅋ 강원도 촌구석에 대놓고 기업유치 한다고 하면 이렇게된다 ㅋㅋㅋㅋㅋㅋㅋ
@latenight5865
@latenight5865 2 жыл бұрын
지방 각지로 흩어져있는 지방 의대도 금요일이면 인근 기차역에 교수들로 붐빔. 아내와 자녀들은 서울에 사는 주말부부 교수들 엄청 많고, 서울-수도권 출신이 대다수인 의대 학생들도 두어달에 한번씩 집에 간다고 금욜에 기차역 가면 어김없이 학과 교수님들 만나게 된다고 함
@trustmehoon
@trustmehoon 2 жыл бұрын
설명 감사합니다.
@MK-qv1xo
@MK-qv1xo 2 жыл бұрын
어쩌라고 점수 맞춰간 수험생과 그 수요를 맞춘 대학/교수의 수요공급접점일뿐.
@illijllillj4477
@illijllillj4477 2 жыл бұрын
와이프들 바람피기 딱 좋네
@jskssbdhndj
@jskssbdhndj 2 жыл бұрын
기업도시만 잘 되던데. 혁신도시는 망함
@금반지-y5m
@금반지-y5m 2 жыл бұрын
헐 30년전과 똑같네요
@younghoonkim9199
@younghoonkim9199 2 жыл бұрын
다른 혁신도시도 마찬가지... 평일에는 점심 퇴근 후 저녁에는 있지만, 주말되면 집으로 가기 때문이다. 혁신도시 공공기관 있어 그나마 다해이지, 없으면 지금보다 더하지~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혁신도시는 지금보다 인구가 더 줄고 거품 쫙 빠지면 폭망 할 수 밖에 없음
@2dragonxbusan
@2dragonxbusan 2 жыл бұрын
부산은 그나마 괜츈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2dragonxbusan 부산은 광역시잖슴
@myladybe750
@myladybe750 2 жыл бұрын
평택고덕
@pedric09
@pedric09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원주시에서 이상하게 도시를 설계한것도 한몫했다고 봄. 원주 혁신도시랑 원주시청이 있는 신도심지랑 원주시외버스티미널,백화점등이 있는 단계택지, 그리고 기업도시가 다 뿥뿥이 흩어져있음. 좀 가까이에 조성했어도 원주 현지인들이 혁신도시에 더 많이 오고 활성화될텐데 원주 도심중심지에서 멀찍이 떨어뜨려서 만들어놓으니 원주 현지인들조차 혁신도시 근처에 사는거 아니면 거의 안감. 또한 원주 기업도시도 구석탱이에 만들어놔서 그들만의 도시가 되버린지 오래됨.
@헐랭-c6w
@헐랭-c6w 2 жыл бұрын
친구가 원주에 잇는 공기업 다녀서 원주 놀러가봣는데 도시개발 개막장이던데ㅋㅋㅋㅋ 차없음 안되게 지어놓은데가 어떻게 도시야ㅋㅋㅋ ㅈㄴ 원주 답도없음
@jjaryno77
@jjaryno77 2 жыл бұрын
구도심도 같이 살려야 하는데 ... 모든 혁신도시가 그래요... 시내하고 다 떨어져있고 그럼 나중에는 또 어떻게 시내 중심을 살릴건지 그것도 의문
@illijllillj4477
@illijllillj4477 2 жыл бұрын
무엇보다도 연세대 원주캠퍼스 학생이 신촌으로 둔갑해서 설쳐대는 것도 한 몫함
@pedric09
@pedric09 2 жыл бұрын
@@illijllillj4477 뭔 뜬끔없이 원세대 애기를 하고있어요
@오늘이1일
@오늘이1일 2 жыл бұрын
땅값으로 한몫 챙기려니 여기 저기 땅값 싼데다 투기한게지. 지자체가 지방 토호들의 주머니 채워주는게 어디 하루이틀인가.
@이원전-g9g
@이원전-g9g 2 жыл бұрын
이런게 악순환인게 지방은 점점 인구가 줄어드는데 점점 신시가지 택지만 옆으로 엄청 늘어남 그러면서 지방도시는 인프라_ (도로, 상하수도 등등)_ 유지하는거에만도 막대한 예산이 들어감 구도심을 개발하게 해야한다..
@fox_is_mew
@fox_is_mew 2 жыл бұрын
와 저랑 생각이 같으신 분 처음봐요..맞아요 구도심을 개발해서 상권도 살리고 유동인구를 늘려야지 신시가지만 늘려서 배채우려는 사람들이 너무 많네요~2040 서울 도시계획도 만만하지 않아 보입니다..
@gwood499
@gwood499 2 жыл бұрын
구도심은 땅주인 이권 개입 때문에 개발 하기가 쉽지 않고 그래서 신도심을 저렴한 땅 사서 한 겁니다. 다 구도심 이기주의가 자초한거 ...
@좋아요메로나
@좋아요메로나 2 жыл бұрын
구도심 ㅋㅋㅋ 1억에사놓고 100억보상하라함
@yesno7575
@yesno7575 2 жыл бұрын
나주혁신도시도 처음엔 이랬어여...그나마 점점 나아지고 있다 생각드는데..아직도 임대 붙은 건물 진짜 많긴 함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그게 망한겁니다.
@profighter2364
@profighter2364 2 жыл бұрын
@@니가알아서어쩌려고 ㅋㅋㅋㅋ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profighter2364 여전히 정신승리 하는 애들이나 희망 있다고 하지 혁신도시 자체가 망함
@왜플릭스
@왜플릭스 2 жыл бұрын
이거야말로 혁신이다!......
@올억셉트
@올억셉트 2 жыл бұрын
뭔말을 할까! 애초부터 뻔히 보이는 문제였는데,참 안타깝다.저걸 이용해먹고 부자된 놈들은 다른곳에 살고 뒤차타고 들어간 사람들만 똥밭에 앉은꼴이니...
@올억셉트
@올억셉트 2 жыл бұрын
@@Avemaria-xl4lk 그대는 망했소?
@올억셉트
@올억셉트 2 жыл бұрын
@@Avemaria-xl4lk 그럼 펙트하고는 결부가 안되는듯 한데...왜 이런 글을... 동전하고 많이 노세요.
@서훈-c5z
@서훈-c5z 2 жыл бұрын
@@Avemaria-xl4lk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흥한 사람은 마인드부터가 여유로워서 이렇기 댓글에서까지 남까는짓안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현실 시궁창이시겠네
@SEcond.IMpact
@SEcond.IMpact 2 жыл бұрын
@@서훈-c5z 너무하네 ㅋㅋㅋ 유튭에서라도 즐기게 냅둬
@Lee-po6yu
@Lee-po6yu 2 жыл бұрын
기업도시 혁신도시 신도심 구도심 원주역 뿔뿔이 흩어진 대학들 다 합쳐야 인프라 괜찮아질 판에 2-3만명 도시 만든다고 구석에 다 계속 짓는게 원주는 도시 계획부터 잘못됬음
@cwpark2566
@cwpark2566 2 жыл бұрын
만나는 사람들이 서울에 있는 이상 주말에 원주, 세종에 있을 이유가 없지... 직장 사람을 주말까지 보는 것도 하루 이틀이지....
@이진우-c9x
@이진우-c9x 2 жыл бұрын
그나마 구도심쪽에 붙여서 개발해야 지역인들이 모일텐대 시골 논밭에 행정기관 몇개 옴기면.. 공무원들은 남편만오고 아내 가족은 죄다 수도권에 있고..
@rogue2586
@rogue2586 2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원주가 서울 근교라 접근성이 너무 좋다는 데 있죠. 진주 혁신도시는 서울과 멀어서 나름 상권이 활성화 되었다고 하더군요.
@동주-i8n
@동주-i8n 2 жыл бұрын
진주 사람인데 진주 혁신도시는 사람들이 꽤 서서히 보이기 시작했어요
@15xxrcn
@15xxrcn 2 жыл бұрын
@@동주-i8n 너무 멀어서 그냥 진주에 눌러 앉아 버리는 케이스죠 ㅋㅋ 진주가 그래도 서부 경남에서는 제일 큰 도시인데 다행이네요
@osb308
@osb308 2 жыл бұрын
@@동주-i8n 19년때 공군입대땜에 진주갔었는데 진주혁신도시 차타고 돌아다니면서 보니까 구조가 ㄹㅇ 좋을수밖에 없음 거주-상권-거주 이런식으로 밀집되있음 원주는 이런구조도 아니고 심지어 전부 떨어져있음..
@말리꽃-r1b
@말리꽃-r1b 2 жыл бұрын
옛날보다 조금 나아진거지 거기도 상가 엄청 비어있고 도찐개찐임
@solitude11sl59
@solitude11sl59 2 жыл бұрын
@@말리꽃-r1b 진주도 가보고 원주도 가봤는데 지금은 비교자체가안됨ㅋㅋ 생각없이 설계한것도 맞는데 위치자체가 애매하긴함ㅋㅋ
@yis0146
@yis0146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충분히 예상되었던 문제다. 강제로 공공기관 옮기면 활성화 될거라는 환상~ 가족이 내려와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이 안되면 천년이 가도 말짱 꽝이다.
@ZzeSXMtkQ
@ZzeSXMtkQ 2 жыл бұрын
강제로 공공기관 옮기면 활성화 될거라는 환상
@보노보노-z8s
@보노보노-z8s 2 жыл бұрын
@@ZzeSXMtkQ 로무현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보노보노-z8s 역시 노짱이네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노짱이 일본이 동경에 있는 정부기관 사이타마로 옮겨서 성공한 것 보고 카피해서 시작함.. 근데 걍 카피만 하다보니 실속은 없고 개노답됨.. 세종시는 거품임.. 철밥통 빼고 정말 아무도 안 감.. 괜히 고스트시티가 아님 주말만 되면 다 서울옴..
@sonhuengmin1
@sonhuengmin1 2 жыл бұрын
​@@ZzeSXMtkQ 생각자체는 참신하지만 시장경제는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점을 간과하심
@어쩌나-w3s
@어쩌나-w3s 2 жыл бұрын
저기 먹자골목 가보시면 서울이 정말 물가가 싸구나 라는 것을 느낄수 있음.
@도황-f1n
@도황-f1n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마나슬루-p8l
@마나슬루-p8l 2 жыл бұрын
값비싼 곳은 가지말아야합니다 ㅋㅋ
@만만이-s1m
@만만이-s1m 2 жыл бұрын
난경기도 이천사는대 원주가면 물가 싸다고 매번생각하는대 ㅋㅋ
@pedric09
@pedric09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저기가 서울에서 내려오는 공공기관 사람들 상대로 해쳐먹으려고 하는 곳이라 원주 다른 동네보다 비싸요~
@감자마루-x3q
@감자마루-x3q 2 жыл бұрын
@@thdnfvkdlxj 춘천인인데 먹고 싶은거 물어보세요. 조온나 싸게 먹는 곳 알려드림... 맛도 유명한곳 하고 차이 없으 ㅁㅋㅋㅋㅋ
@dk19s82hb
@dk19s82hb 2 жыл бұрын
원주혁씨가 만든 신도시의 부흥을 기원합니다
@Kingcrab99
@Kingcrab99 2 жыл бұрын
주말에 원주 단계동이나 무실동만가도 원주 시민들로 엄청 붐비는데 뭐하러 볼것도 없는 혁신도시 가겠음? 난 가족들이랑 저녁에 조용히 밥먹고 싶을때 혁신도시 가긴함
@chohwanyoung
@chohwanyoung 2 жыл бұрын
아이러니한게, 혁신도시 가보면 상가는 죄다 공실인데, 아파트는 부족함.. 게다가 전세물건은 요샌 깡통전세뿐입니다.. 그래서 깡시골주제에 오피스텔 월세가 서울 뺨치는 기현상이 벌어집니다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망했네요..
@Yaha_cat
@Yaha_cat 2 жыл бұрын
푸핳ㅎ 혁신도시 망한거 추카추카~ 돈은 어중이떠중이 있는데 서울에서 살만큼 부자는 못되고 애매한 애들이 와서 자리잡기에 아파트 빈곳이 없어요 그만큼 시민수준도 대박입니다 서울거주하시는 분들보다 더 갑질 유세 심함 정말 그들만의 리그.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Yaha_cat 그 자리 잡은것도 오래 못 감.. 결국 돈 다털리고 지갑에 먼지만 쌓이면 또 다른곳으로 도망감ㅋㅋㅋ 이 생활이 뫼비우스의 띠 처럼 반복되니 인성 따위는 이미 요단강~
@CSDM0
@CSDM0 2 жыл бұрын
원주혁신도시는 그야말로 유령도시가 되어가는중이군요
@김승규-y7p
@김승규-y7p 2 жыл бұрын
탁상행정 이 얼마나 무서운지 알아야하는데 아 대한민국 정치인들이 쓰레기 십년도 내다보질 못하고 세금열심히내는 우리 국민이 불쌍해 진짜 투표잘합시다 꼭 이요
@hhwhhw562
@hhwhhw562 2 жыл бұрын
응 문재앙작품
@하느2
@하느2 2 жыл бұрын
"그 나물에 그밥이라서" 투표 잘 해봐야 소용 없음! 주도적으로 제도 개선의 목소리를 놓여야 합니다.
@Thejaguarxl1
@Thejaguarxl1 2 жыл бұрын
2번 찍으면 2찍이라고 놀려대고 1번 찍으면 1찍이라고 욕하고...현재 정치권은 죄다 답없음.
@talkertalker0
@talkertalker0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말하면 국민이 멍청하니까 정치인 헛소리에 넘어가기도 합니다.
@달콤한-y3o
@달콤한-y3o 2 жыл бұрын
투표잘하는게 있을수 있나요? 1찍 2찍 다 노답인데
@jse5217
@jse5217 2 жыл бұрын
세종, 나주도 주말만 되면 유령도시가 되죠... 서울에 있던 사람들이 강제로 지방으로 발령났고 가족들도 다 수도권에 있으니 당연히 쉬는날 가족이 있는 수도권으로 오죠. 애초에 기존 수도권에서 일하던 사람들을 수도권에서 일하도록 나두고 회사 일부 부서를 해당 지역에 보내서 그 지역에 있는 사람들을 채용했었으면 되는데... 생각해보세요. 남편이나 와이프가 서울에서 일하고, 본인들 집도 서울에 있고, 자식들도 서울에 있는데 주중에 지방에서 혼자 일 할 수는 있지만 주말에는요? 굳이 거기에 있을 필요가 있나요? 그러면 주중에는 사람이 좀 있으니 장사가 조금 되더라도 주말만 되면 사람이 없으니 주말에 혁신도시를 가보면 영업 안하는 상가,헬스장들 많습니다. 주말에 나주, 세종시 몇번 가봤는데 갈때마다 느끼는게 사람이 너무 없고 아파트 단지에 들어가도 사람 소리 하나 안나요. 장점은 조용해서 좋은데 단점은 밤에는 사람이 없다보니 무섭습니다.
@이진욱-q9y
@이진욱-q9y 2 жыл бұрын
나주 혁신도시는 초반에는 주말에 유령도시 라는 말이 맞았지만 지금은 어느정도 유동인구가 있어요 기반시설도 생각보다는 많이 생겼더라고요
@서길용-d5k
@서길용-d5k 2 жыл бұрын
세종시 하고 똑같은 현상이네요.
@acacia_flower
@acacia_flower 2 жыл бұрын
@@물병자리의시대 국회가 이전해요? 세종으로? 설마 ... 세종은 국회 분원으로 알고 있는데 ... 1년에 몇 일 정기국회 때 공무원들 편하라고 잠깐 세종시로 내려오겠죠
@디스커버리-q8k
@디스커버리-q8k 2 жыл бұрын
아파트와 상가 간의 거리가 먼 것도 있음
@bunnybunnychuuggumi
@bunnybunnychuuggumi 2 жыл бұрын
1:20 통큰버스 다 떠나고! 기자님의 아쉬움이 가득 남는한마디네요
@하루-l7w3r
@하루-l7w3r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답은 전쟁시작하자마자 수도 초토화 되고 국민들이 수도 이전에 대한 열망이 생겨 수도이전하지 않는 이상 서울공화국 해결하긴 힘들 듯... 물론 수도이전도 헌법재판소가 관습법으로 불가하다는 선례를 만들어 놓아서 그것도 쉽지 않음.
@김탁수-j3u
@김탁수-j3u Жыл бұрын
혁신도시 중심으로 상가비중이 너무 높은데 공동주택은 중심에서 죄다 외곽으로 빠져있죠? 상가이용도 인구가 어느정도 받쳐줘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도시설계였다 보여 지네요 저라면 차라리 메가박스 상권을 주상복합단지로 배치해 인구도 채우고 상가도 들이는 효과를 보고 현재 메가박스 상권의 규모만큼을 외곽에 있는 9 10 11 12 그리고 혁풍 근처의 가래실산을 활용해 공원과 상업시설이 결합된 공간을 만들었을 거 같네요 진짜 9 10 11 12 혁풍은 아파트앞에 편의점 말곤 도보로 이용할 편의시설들이 없어요😂😂😂😂 그리고 원주혁신도시는 혁신도시라 하기에도 민망해요 고도제한으로 죄다 건물들이 층수도 낮고 볼품없어요 다른 혁신도시들은 주상복합도 꾀 멋있게 디자인해서 많이 만들었는데 원주혁신도시는 유승? 하나?ㅋㅋㅋ 근데 그것도 디자인이 옛날 스타일ㅋ다른 혁신도시는 그래도 신도시 느낌은 납니다 근데 원주혁신도시는 신도시 느낌은 안나는 거 같아요 기대할 건 반곡지구도시개발? 거기는 고도제한 풀어서 공동주택도 고층으로 짓고 주상복합도 삐까뻔쩍하게 짓고 상업시설도 고층으로 들이고 병원도 상급종합병원 정도로 들이고 하면 어느정도 커버는 될듯 합니다
@잔액부족
@잔액부족 2 жыл бұрын
운영자체가 혁신이긴 하네요...
@성연-x1x
@성연-x1x 2 жыл бұрын
원주혁신도시가 사람이 없는 이유는 혁신도시 인구는 2만 수준인데다 원주천 건너편에 있어서 원주시민들이 잘 안오기 때문에 유동인구도 생기기 힘들죠.
@jonathanparker5880
@jonathanparker5880 2 жыл бұрын
모든 혁신도시 상가가 인구대비 너무 많아요...건설사 로비로 왕창지어 팔아먹음...이 나라는 건설사가 봉..
@정직원-y3u
@정직원-y3u 2 жыл бұрын
(공기관 분산)혁신도시보다 기업과 공장및 인프라가 조성되는 공업단지 구성이 구체적인 정답 인듯한데! 1~3차 산업이 남루한 한국의 쉽지않은 인구분산 정책...
@널의한거야
@널의한거야 2 жыл бұрын
썰렁한 도시에 아파트는 왜이리 많이 올라가는지 그래도 분양 돼는거보면 아이러니하네요
@user-bamtoll
@user-bamtoll 2 жыл бұрын
투기
@뚜루뚜루-m4m
@뚜루뚜루-m4m 2 жыл бұрын
투기세력이 수도권이고 지방이고 다 껄덕대다 가격은다 올려놔서 매리트없는 지방에 주위에서 들어갈사람도없고 거기에 맞는 가격까지 내려가면 지금보다야 괜찮아지겠지만 앞으로는 지방에 실수요자들이 없고 있는사람들도 점점 줄어드는 상황에서 지방은 다 저렇게 될거임
@도황-f1n
@도황-f1n 2 жыл бұрын
@@뚜루뚜루-m4m 얼마 안남었으
@남자다-q2h
@남자다-q2h 2 жыл бұрын
중국인들이 다 삼
@Dioxine666
@Dioxine666 2 жыл бұрын
이제 개폭락할건대. 교통 자체가 수도권하고 너무 가까움.
@dfas8115
@dfas8115 2 жыл бұрын
아니 충북음성혁신도시를 보면 공장과 임대아파트단지가 들어서고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임대아파트를 얻고 식사는 공장에서 제공해주면서 사람들이 몰리지 않았나? 이렇게 숙식이 맞아떨어져야 사람들이 몰리는 것 아닌가?
@koreapredator1715
@koreapredator1715 2 жыл бұрын
충북 음성은 거의 준 수도권이라고 보면됨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거기 한국인보다 외노자가 더 많이보임
@몽쿠-l6c
@몽쿠-l6c 2 жыл бұрын
양성은요?
@cs90p1h4
@cs90p1h4 2 жыл бұрын
중성도요?
@godofgodgodgod
@godofgodgodgod 2 жыл бұрын
안시성?
@김영일-c6e
@김영일-c6e 2 жыл бұрын
LH가 땅장사를 너무 심하게 한다는게 문제..상업지 비율이 너무 높으니 공실일수 밖에..
@cheesekiller
@cheesekiller 2 жыл бұрын
개소리 😂
@cszmoon
@cszmoon 2 жыл бұрын
틀린말은 아닌것 같네요. 세종도 공실 상가 즐비하고 조용한 베드타운 입니다.
@junegalaxy1199
@junegalaxy1199 2 жыл бұрын
상과급 빋아야죠~~~
@마씨쪄
@마씨쪄 2 жыл бұрын
@@cheesekiller 개소리아니다 알고 말해라
@으엉물어버린다
@으엉물어버린다 2 жыл бұрын
@@cheesekiller 무식하면 🤫 나대지좀마라
@NORNg896
@NORNg896 2 жыл бұрын
나주 혁신도시도 주말이면 한전 및 타 공기업 분등 다 서울가요 그래서 일요일에 가게들도 거의 쉽니다
@kychoi5590
@kychoi5590 2 жыл бұрын
인구는 감소하는데 지방에 가보면 아파트들 엄청 짓더라. 수요없는 공급.
@이지영-u2v9w
@이지영-u2v9w 2 жыл бұрын
원주가 정말 애매한 도시죠 공기좋고 물좋고 수도권과 거리가 좀 애매한데 발전했으면 합니다
@jakey1308
@jakey1308 2 жыл бұрын
중국발 미세먼지는 적어도 태백산맥은 넘어야됨..경기 영서지방이랑 영동쪽은 공기질이 다르던데..
@참참참-n7t
@참참참-n7t 2 жыл бұрын
공기좋다뇨.. 치악산에 막혀 미세먼지 나가지도 못하고 최악인데
@abinp4509
@abinp4509 2 жыл бұрын
거기는 지옥이야...대학도 많지만 정치싸움에 버스도 없어
@뿌이잉-w4p
@뿌이잉-w4p 2 жыл бұрын
@@참참참-n7t 그니까 영동이 더 좋단거잖아 확마
@미르-q2u
@미르-q2u 2 жыл бұрын
@@뿌이잉-w4p 원주는 영동 아닌데 확마
@minhwanlee8091
@minhwanlee8091 2 жыл бұрын
이미 지역에있는 젊은 청년들이 대도시로 이동해 있는데 추가로 지역에서 이동할 젊은 애들이 없다 결국 인구밀도로 문제가 커 지겠지.......
@박종선-c4w
@박종선-c4w 2 жыл бұрын
결국 주말이면 수도권으로 돌아오는 구조가 되었군요 안타깝네요!!!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네.. 경제발전 시기때 수도권 올인했으니까요..
@ssamj777
@ssamj777 2 жыл бұрын
배드타운
@강아지고양이-g3o
@강아지고양이-g3o 2 жыл бұрын
@@니가알아서어쩌려고 아이고 그놈의 수도권탓 ㅋㅋ 도시를 개판으로 만들어놓고 뭐라는 거임? 어떤 정신나간 인간들이 꼴랑 인구 30만따리 소도시 주제에 신도심을 2개나 만드나? 그나마도 무슨 교통상 메리트도 없고 심지어 두 도심이 양 극단에 있어 도심간 연계조차 안됨 ㅋㅋ 이런 정신나간 도시계획을 해놓고 망하니까 무슨 수십년전 경제개발시대 탓 ㅋㅋㅋㅋㅋ
@빡빡머리0
@빡빡머리0 2 жыл бұрын
@@강아지고양이-g3o 아직도 원주 단계동쪽이 사람많나요?
@milktaste7934
@milktaste7934 2 жыл бұрын
@@강아지고양이-g3o 주말이면 서울로돌아오는건 다른혁신도시도 비슷해요! 근본적인원인은 저게맞죠
@aaagyuaa
@aaagyuaa 2 жыл бұрын
혁신공실도시! 정말안타깝네요!
@illlliilllllillllllilil
@illlliilllllillllllilil Жыл бұрын
원주뿐만 아니라 ….. 대부분 혁신도시에 사람이 없음 … 공기업 직원들은 전용버스로 출퇴근함. 진천혁신도시 주말되면 유령도시임…… 식당도 주말 영업안하고 매장도 생겼다가 없어졌다가 1년을 못버팀
@user-friendly599
@user-friendly599 2 жыл бұрын
직원들이 가족들과 정착해서 살수 있는 인프라를 만들어 줘야 활성화가 되지 아무 생각없이 만들었네 ㅎㅎㅎ
@유영재-h7c
@유영재-h7c 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쿤보라고다괴물은아니
@쿤보라고다괴물은아니 2 жыл бұрын
서울떠나면 도태되는줄 아는 애들인데 인프라 같은 소리하네 첨부터 안되는거였다. 수도권내에서 분산정도 한계였다.
@임재곤-v8h
@임재곤-v8h 2 жыл бұрын
인프라는 충분이 가 추어 있네요 머가필요하죠 대형 마트 학원 다있습니다
@유영재-h7c
@유영재-h7c 2 жыл бұрын
@@임재곤-v8h 균형발전 지방도 서울 못지않게 발전 시켜야 합니다
@NO-yl2qs
@NO-yl2qs 2 жыл бұрын
서울에 있는 대학 모두 지방으로 이전시켜라.
@일뽕발작감지센서
@일뽕발작감지센서 2 жыл бұрын
교통이 좋아지면서 어쩔 수 없는 현상. 내포신도시 도 그렇고...
@asfinagtransport3325
@asfinagtransport3325 2 жыл бұрын
내포는 그래도 사람 많던데... 들어온 공공기관이 충남기반이라 서울로 많이 안나가는 듯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asfinagtransport3325 홍어 유입만 안 되면 성공적임
@U-NOsama
@U-NOsama 2 жыл бұрын
쥬만지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dobbykim4255 세종이나 내포나 홍어만 없어졌으면..
@당천-y5q
@당천-y5q 2 жыл бұрын
원주하고 내포는 기본기가 다르다
@kwons1722
@kwons1722 2 жыл бұрын
직장땜에 진짜 저기 살다가 사람사는게 아닌거 같아 신혼집겸 경기도로 왔다 다시는 가고싶지 않다 차라리 자취할때 무실동 잡을걸.. 문제는 원주는 월세도 별로 없음 최악임
@성중김-r7f
@성중김-r7f 2 жыл бұрын
이런 상황을 모르고, 이런 일을 포기 못하는 지자체가 더 문제다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혁신도시 자체가 큰 폐기물이며 시작부터 망했는데 왜 이리 집착하는지 노이해.. 세종시에 서울 통근버스 생긴건 폭망하는 곳에 석유 붓는 꼴
@soojeong666
@soojeong666 2 жыл бұрын
노무현의 정책으로 국가법으로 만들어 공공기관의 강제 이전 시키고 지자체에게 떠넘긴거여서 지자체도 포기하고 싶어도 못하는 상황 입니다. 다만 세종시는 계속 국비 지원 있어서 그나마 혁신도시 보다 나은 상황이지만 큰차이는 없죠. 노무현이 현실을 무시한 상상력과 이론으로 만든 실패한 도시정책. 한도시의 수도를 옮기는것 일을 국가적 토론과 합의도 없이 대선공약으로 밀어붙인 일은 역사적 큰 실패 입니다.
@justinrah3085
@justinrah3085 2 жыл бұрын
교육 시설들도 좋은데가 생겨야 그나마 정착들을 할듯
@chicken.1
@chicken.1 2 жыл бұрын
혁신도시든 세종시든 저런 현상은 어떻게 해결이 안되는걸까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만든 시점에서 폭망했음
@jakean3234
@jakean3234 Жыл бұрын
만들거면 아예 각 잡고 만들었어야지 한 곳에 몰빵으로
@SK-ow1dg
@SK-ow1dg 2 жыл бұрын
분산은 해야 맞긴한데 어떻게 잘 분산해서 직장과 집으로 살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는데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서 이도저도 아닌 도시 계획이 된 경우도 허다함
@jmhwang4187
@jmhwang4187 2 жыл бұрын
어떤 비전을 보고 저기에 식당 등 사업을하는지 갈때마다 참 신기함
@느낌그대로-i6d
@느낌그대로-i6d Жыл бұрын
원주는 벌어먹을 곳이 없어요
@luckydays1944
@luckydays1944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원주가 혁신도시였는지도.. 원주가 어느지역인지도 잘몰랐던 대한민국 사람입니다.. 서울태어나 거기서만 지겹게 40여년 살다가 작년부터 제주도 내려와 사는데.. 저야 뭐 여기서 부귀영화하고는 거리가 먼 소소한 도민으로 살아가는 중년 싱글이라 이렇다할 불만은 없지만.. 한창 돈벌고 사회생활하는분들에게 사는 거처는 매우 중요한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 제주도민들도 청년들은 일자리와 더 큰기회를 찾아서 육지로 떠나더라구요..
@tgif1234
@tgif1234 2 жыл бұрын
십평원 1청사 앞 먹자 골목은 장사 잘되는데 건강보험쪽은 진짜 전멸ㅠ 기쁨이네 할머니 보니 너무 반가운데 인터뷰 내용이 슬프네요 ㅠ 할머니 화이팅!!!
@하롱-f7b
@하롱-f7b 2 жыл бұрын
건보는 연봉도 짜고 여초라 회식같은거 안함.
@김끼요루
@김끼요루 2 жыл бұрын
@@하롱-f7b ㅋㅋㅋ뭐래많이하던데
@망이망소이-l4z
@망이망소이-l4z 2 жыл бұрын
@@하롱-f7b 심평원도 여초 아님?
@gyrlvf8q
@gyrlvf8q 2 жыл бұрын
인구는 계속 줄고 앞으로는 급격히 더 줄건데.. 뭔 도시다. 어쩌구 온통 둘러봐도 아파트 밖에 없는 나라..외국 나가보면 알지만, 우리나라 처럼 고층 아파트 많은 나라 없다. 이제 곧 아파트 팔고 싶어도 못 파는 때가 온다..빈집 속출 할것임..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대신에 중국인과 불체자 회교권 애들로 가득차겠지.. 이미 안산 오산 이태원은 현재진행중
@ggggggaaaaaaa4422
@ggggggaaaaaaa4422 2 жыл бұрын
무식한ㄴ 아 아파트라도 있으니 그나마 세계적으로 비교해도 주거 환경이 좋은거여 ㅉㅉㅉ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ggggggaaaaaaa4422 그럼 흐루쇼프카 많은 동구권은 왜 주거환경이 안 좋아요?
@ggggggaaaaaaa4422
@ggggggaaaaaaa4422 2 жыл бұрын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무식한년아..선진국 후진국 차이도 모르노? 한국은 법적으로 깨끗한 거주환경이 될 수 있게 강제&감시를 하잖아!! 인프라가 조성도 제대로 안 된 나라랑 비교하는 꼬라지 ㅋㅋㅋ 비버리힐즈 단독주택이랑 필리핀 빈민촌 단독주택 비교를 할 년이네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ggggggaaaaaaa4422 ㅋㅋㅋㅋㅋ 뇌절 개쩌네
@hjfdezcgdzzhutvjj
@hjfdezcgdzzhutvjj 2 жыл бұрын
기자가 왤케 조사 다 빼먹고 말함? ㅋㅋㅋㅋㅋㅋ 특이하네
@yn5927
@yn5927 2 жыл бұрын
혁신도시, 에코시티, 친환경, 친수 이런거 무조건 거른다... 출산율이 겁나 떨어지고 인구가 주는데 뭔가 계속 돈으로 개발되는 곳은 왜? 왜왜??? 의심을 가져야 한다..
@wasabisweet2228
@wasabisweet2228 5 ай бұрын
일 때문에 2년 정도 지냈던 곳인데, 나를 포함 외지에서 온 사람들 금요일만 되면 우르르 빠져나감. 평일 저녁이나 주말에 식당들 가도 한산하니...늘 걱정됐었음. 지금은 혁신도시를 떠나있지만 그래도 참 매력적이고 정감있던 동네.
@yhyos
@yhyos 2 жыл бұрын
그나마 기업도시는 막혀있어서 안에 사는 사람들이 상가든 뭐든 이용 잘 하는데 혁신은 너무 다 뚫려 있음
@권문일-w5l
@권문일-w5l 2 жыл бұрын
국민들이 무지해서 이런일이 발생하는게지. 세금같다가 처발라쓰고 결론 망하는게 답이다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앞으로 장기간 경기침체부터 성장률 제로시대가 올텐데.. 지금 있는 자본으로도 힘든데 이딴 곳에 꼬라박는 것 부터 답 안나옴.. 혁신도시 같은 소리하네.. 독이든 케이크지 무슨.. 가장 답 안나오는 곳이 세종
@_lovelyyoonseul0521
@_lovelyyoonseul0521 2 жыл бұрын
전국의 모든 혁신도시들이 다 저모양임 심지어 입주한 공단 및 공기업들은 금요일 저녁만 되면 귀향 버스운영 등 귀향 지원도 도와줌. 임대료만 말도 안되게 비쌈
@가즈아-v3e
@가즈아-v3e 2 жыл бұрын
자기 집에 간다는데 뭐가 문제죠?
@15xxrcn
@15xxrcn 2 жыл бұрын
부산에 있는 혁신도시는 저 모양이 아닌데. 팩트는 알고 지껄이자.
@drtg-i6c
@drtg-i6c 2 жыл бұрын
@@15xxrcn 부산은 타 혁신 도시에 비해 덩치가 너무 크다 사실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인프라 차이도 거의 없음
@v3ronica743
@v3ronica743 2 жыл бұрын
@@15xxrcn 광역시는 개나주고 비교하냐
@glue900
@glue900 2 жыл бұрын
@@15xxrcn 부산은 도시안에다가 초고층 건물 한개세워놓고 기업들 때려박아놨으니 그런거고 다른곳들은 따로 도시외곽에 신도시를 조성했으니 다르지 모질아 ㅉㅉ 다른 혁신도시들도 다 구도심에 내에 만들었으면 저렇게까진 안됐다
@user-adfsdfy2
@user-adfsdfy2 2 жыл бұрын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다 주말에는 각자 집으로 가기 때문에 공공기관들만 유치 할께 아니라 공장 이나 기업들을 같이 유치 해서 균형을 맞춰 가는게..... 또한 상인들이 들어 올때 부동산 거품도 문제점으로 들수 있다고 생각 한다
@김종국-z6e
@김종국-z6e 2 жыл бұрын
혁신적이네
@5tidy_68qw
@5tidy_68qw 2 жыл бұрын
좋은 현상이네
@welfit3184
@welfit3184 2 жыл бұрын
세종과 원주까지 출 퇴근 가은한 직장이 있다니...놀랍다
@alvinism426
@alvinism426 2 жыл бұрын
이름만 번지르르한 지자체의 허영심이 빚은 민낮.
@skc0
@skc0 2 жыл бұрын
@김수안무거북이와두루미 입은 틀어졌어도 말은 똑바로 해야지.. 지역균형발전정책을 반쪽짜리로 만들어서 취지를 훼손시켜 저 모양 저 꼴이 된거고 그 장본인이 이명박근혜인데.. 뭔 좆도 모르면서 개소리를 그렇게 당당하게 하시는지..
@skc0
@skc0 2 жыл бұрын
@김수안무거북이와두루미 시장에 따라 세상이 움직일거 같으면 정부는 왜 있냐? 어디서 주워들은건 있어가지고 그놈의 시장 논리 ㅋㅋㅋ 아는 척 하고 싶으면 하나만 알고 아는척말고 적어도 10가지 정도는 알고 말을 해야지? 하기는.. 10가지를 알면 그런 개소리도 함부로 못하지.. 원래 많이 알수록 익은 벼가 고개를 숙이는 법이지. 속이 텅빈 쭉정이가 이리 저리 날리는거지 너님처럼 ^^
@v3ronica743
@v3ronica743 2 жыл бұрын
@@skc0 그래봤자 니말에도 영양가 하나도 없이 비꼬는 것 밖에없네? 넌 머리가 비어서 그런거니? 억지로 도시 짓는다고 뭐가 될것 같느냐가 틀린말이야?
@skc0
@skc0 2 жыл бұрын
@@v3ronica743 맞는 말이라도 상황에 따라 잘못된 의미를 가지기도 하지. 법대로 해..라는 말이 틀린건 아니지만 매우 폭력적이고 가해적이고 비상식적인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많은 것처럼.. 억지로 도시를 짓는 게? 아니라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정부가 얼마나 노력을 했느냐하는 게 본질이고 그 모든건 일부 국민이나 지역을 위해서가 아니라 모두를 위한 일이라는걸 좀 알아야 하지 않겠니? 정말 지친다.. 차라리 벽을 보고 얘기를 할까..
@v3ronica743
@v3ronica743 2 жыл бұрын
도시짓는데 균형발전에 찬성하는 사람들 세금으로만 짓냐? 정부가 노력하기만하면 수천억 날려도 되는거냐? 말이 되는 소릴해라 억지로 커버치지 말고 ㅉㅉ
@tosaltdoll
@tosaltdoll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어쩌라고? 주말에 공공기관 직원들 집에도 가지말고 지역에서 술먹으라고? 저녁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위해 술먹으라고? 어쩌라고???
@macbrian31
@macbrian31 Жыл бұрын
지하철이 안깔리면 먹고살기 힘듬 교통불편 자가용이 있어야 하고 차량 유지비가 비쌈 지방의 문제점 그나마 이걸 해결하려면 저렴한 교통비 주거비 저렴해야 살수 있을거 같아요. 아니면 관광지 개발 싱가포르 처럼 지방살면 세금을 낮춰주면 경쟁력 있지 않을까요 50% 세금 감면
@영태임공
@영태임공 2 жыл бұрын
당연한 결말
@감성으로
@감성으로 2 жыл бұрын
대기업 수준의 산업단지가 조성되어야 도시가 활성화 되지 어설프게 정책으로 추진하면 결국 제자리 걸음 되게 되어있음
@투휠라이프
@투휠라이프 2 жыл бұрын
원주 인구 36만인데 아파트 공급물량보면 강원도 전체를 합쳐도 안됨. 원주물량에 반도 안됨. 고금리 시대에 신규 브랜드 아파트 중도금 무이자 진행중. 24-25년에 공급물량 폭발.
@Mr_용용e
@Mr_용용e 2 жыл бұрын
지역 혁신이란 이름으로 공공기관 강제 이전. 다른곳도 대부분 비슷하다.
@danggu-no1
@danggu-no1 2 жыл бұрын
혁신도시가 다 그렇군요.. 이곳 세종특별자치시도 원주랑 같아요. 금요일 되면 직장인들과 공무자분들 쭉~ 빠집니다. 물론 공실 엄청 많이 남아 돌구요. 땅값은 뭐 당연 비싸구요..자리 잡을려면 5~10년 걸릴것입니다. 출산율 떨어지니 지방도시는 더 오래 걸리거나 유령도시 될수도...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세종은 망할 수 밖에 없어요.. 무조건 망합니다. 대부분 수도권 철밥통 때문에 버티는거지 거품 더 빠지고 인구 더 줄면 급속도로 망할 수 밖에 없어요.. 충청도 핏줄로써 세종 계획한 인간들 굴다리 끌고가고 싶네요.. 공실은 기본이고 사람들이 정착하려고 안 해요.. 일 다 끝나면 각자 자기 살던 곳으로 가요.. 저 같아도 세종 살라하면 화낼 것 같아요
@delde3008
@delde3008 2 жыл бұрын
​@@니가알아서어쩌려고 갖고잇는 아파트나 땅이없는데 세종 땅값오른게 배아팟구만 ㅋㅋ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delde3008 ..? 배 아플게 뭐가 있지? 말 그대로 공무원 철밥통 때문에 생긴 거품덩어리인데? 걔네들 이 돈으로 서울에다 다시 투자한다. 배 아플거 단 하나도 없음
@냠냐미-o8l
@냠냐미-o8l 2 жыл бұрын
@@니가알아서어쩌려고 현실은 세종 전국 출산율 1위 ㅋㅋ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냠냐미-o8l .. 그러면 왜 공실률 높고 주말되면 서울로 올라가기 바쁘심? 그리고 임기 끝나면 왜 서울로 올라가기 바쁘실까.. 거품인거 보이는데 걍 통계만 보고 판단하는 님이 대단하네요.. 한국인들이 눈에 보이는 것만 믿고 속을 안 본다는게 틀린게 아니구나.. 외국인들 말이 맞았네
@AM-sq4rk
@AM-sq4rk 2 жыл бұрын
원주에 온천 나오는데...온천수 끌어와서... 일본처럼 온천이랑 식사 숙박업을 같이 할수있게 허가해주고... 너무 대형 숙박형 짓는건 금지하면... 일본의 오이타 벳부 유후인 처럼 관광도시가 될수있다. 사람을 끌고 오는 시대는 끝났다. 사람이 자연 스럽게 오게 해야한다.
@이동욱-x2k2u
@이동욱-x2k2u 2 жыл бұрын
행님 꿈이 너무 야무지시네.......
@푸른이리-d5v
@푸른이리-d5v 2 жыл бұрын
꿈깨슈
@samsame6257
@samsame6257 2 жыл бұрын
충분히 가능한 얘기같은데 시설만 제대로 한다면 종종 갈사람 한둘인가 온양온천같은데 갈바에야;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행님아 일본과 우리랑은 달라요..
@전설의바나나껍질
@전설의바나나껍질 2 жыл бұрын
​@@니가알아서어쩌려고 그래도 일본 갈 돈은 없고 온천 즐기고 싶은 사람이 가지 않을까요? 서울의 짝퉁을 만드는 거 보다는 좋은 시도 같은데
@박성우-n9h
@박성우-n9h 2 жыл бұрын
먼 미래의 한국을 보는것과 같을수도 있어요 인구가 줄어들어서 애들만큼이라도 좀 편하게 키울수 있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ㅠ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2 жыл бұрын
앞으로 힘들어지면 힘들어졌지 애들 키우기 좋은 곳은 계속 물 건너 갑니다. 애들은요.. 노령층 똥이나 치우다 죽게 되어 있어요..
@ukodie900
@ukodie900 Жыл бұрын
원주시는 욕심을 너무 많이 부렸던것 같다. 위성도시 성공사례는 역시 분당. 그리고 경산시인것 같다. 일단 구도심에 딱 붙어 있어야 개발이 빠르고 사람이 모인다. 구도심의 오래된 인프라를 사용할 수 있어야 아 여기도 사람 살만하네...하고 사람들이 모일텐데. 떨렁 회사랑 집 그리고 돈쓰는 식당만 만들어놓으면 거기가 사람이 살 곳인가??? 게다가 지하철도 대중교통도 안되는 곳이라 항상 차가지고 움직여야하는 지역인데. 휴대폰하나 고장난거 고칠려고 해도 하루를 잡아 원주시내로 이동해야하는 그런 곳이다 혁신도시 기업도시가.
@bald_professor
@bald_professor 2 жыл бұрын
지방 살리는 가장 마지막 방법이 혁신도시라고 봤는데, 뭐 답이 없네...
@김상목-o7o
@김상목-o7o 2 жыл бұрын
공무원을 그지역 주민들로만 뽑아라 그러면 간단히 해결된다
@곰돌이-u8y
@곰돌이-u8y 2 жыл бұрын
단세포
@asdx88
@asdx88 2 жыл бұрын
지방직공무원들은 이미 그 지역 주민등록자들로 뽑고 있지만 의미가 좀 없기는 함... 토박이출신 공무원들조차 지방에서 살기 힘들다고 떠남...
@lkhgcdh7781
@lkhgcdh7781 2 жыл бұрын
그럼 지방공기업이 전부 LH화 되는거임 안 그래도 사기업에 비해 처우 ㅈ같은게 지방에 쳐박아두고 거기 사람으로 뽑는다? ㅋㅋ 본격적으로 눈 먼돈 해먹기 시작하는거임 그거 막을려고 공공기관들이 순환근무 하는거고. 좀 알고 입을 털어라 니 썩은 대가리에서 나오는 생각을 행시 엘리트들이 생각 못했을것같냐?
@몬스터헌터-t8e
@몬스터헌터-t8e 2 жыл бұрын
공무원, 회사원만 있는 지역은 상권 조심해야됨 낮에 방문하면 사람들 바글바글한거 보면 대목 자리라 생각하는데 딱 점심만 대목임 저녁에 야근 및 집에서 안먹는 몇명만 먹고 가면 8시도 전에 유령건물되고, 주말엔 그 큰 건물에 진짜 사람 찾기 어려운 건물됨
@홍동백서-z7w
@홍동백서-z7w 2 жыл бұрын
이제는 뭐만 하면 혁신도시... 실상은 공무원 이주 그이상도 이하도 아님.. 뭐가 혁신이라는거임??
@acacia_flower
@acacia_flower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가장 보수적인 직업이 공무원인데 ㅋㅋ
@redfox512
@redfox512 2 жыл бұрын
혁신적이구만!!!!!
@뭄무-q2n
@뭄무-q2n 2 жыл бұрын
선례들이 수두룩한데도 또 같은 선례...안되는걸 무리하게 자꾸 돈쓰지말고 가능한 시나리오 좀 선택했으면 좋겠다..
@judy534
@judy534 2 жыл бұрын
내가 원주로 출퇴근하는데 살기에는... 연고지가 아니라서 강원도민이나 원주민이 와서 사셔야
@신동일-u2z
@신동일-u2z 2 жыл бұрын
원주민이 이사오면 구도심 빈다고 타령 잘못된 정책 인구를 모아야지 분산시키니
@jakey1308
@jakey1308 2 жыл бұрын
자영업은 완벽해도 될까말까한다.. 모른다는건 "죄"
@리겔-n3r
@리겔-n3r 2 жыл бұрын
일일생활권의 딜레마 혁신도시의 불편한 민낯 균형발전의 부조리
@마하리쉬
@마하리쉬 2 жыл бұрын
지역 균형 발전이라는 구호만큼 공허한게 없다
@아드레노크롬
@아드레노크롬 2 жыл бұрын
언론간부, 고위공직자, 정치인 등이 수도권에 있는데 균형발전은 어렵..
@drskc616
@drskc616 2 жыл бұрын
원주는 그냥 유배지 라고. 생각 하면 될듯. 아니면 그냥 원주는 다시 밀고 새로운걸 다시 짓는게 빠를듯.
@민식김-l2b
@민식김-l2b 2 жыл бұрын
혁신도시 주변에 워터파크등 놀거리를 먼들어야 외부서도 오고 그러지 관공서만 지어놓으면 활성화가 되남
@baksujing2911
@baksujing2911 2 жыл бұрын
원주 혁신도시, 기업도시 딱 한달만 살아보면암 사람은 사람대로 없고, 놀거리도 없고, 공공체육시설도 없고, 산책로는 오지게많아서 걷기운동만 오지게 할수있음 건강해지고 싶으신분들에게 추천함 단 우울증 걸릴 수 있음
@hjmyungs
@hjmyungs 2 жыл бұрын
통근버스를 없앨수도 없고 답이 없겠네요
@쥐박이-w6n
@쥐박이-w6n 2 жыл бұрын
통근버스를 없애야지 저것들이 하는일이 머가있다구 세금 축내는 기생충 인대
@제일검-z2v
@제일검-z2v 2 жыл бұрын
15년도에 이전, 지금은 정착직원이 대부분. 사실 지금은 통근버스 몇대 없음. 오락시설 없고 음식점 질이 낮아 구도심에서 먹고 즐김
@홍만길-m6i
@홍만길-m6i 2 жыл бұрын
지역에 사람이 생길려면 기업을 끌어와야한다...
@11월-g8x
@11월-g8x 2 жыл бұрын
전적으로 동감합니다,,,,서울도심지 아니고서야,,,,ㅠㅠ
@koreanropewizard
@koreanropewizard 2 жыл бұрын
기업이 가겠어요? 기업은 밑지는 장사 안 합니다.
@성이름-z8l3v
@성이름-z8l3v 2 жыл бұрын
공공기관 끌고와서 유령도시 되는 걸 보고도 그런 소릴 잘도 하네. 그짝들은 현실 부정이 특기인가? 맨날 근거 없이 허울 좋은 이상론만 지껄이네. 현실은 지금 지방 대기업 위치한 산단 도시들도 주말이면 유령도시 된다 뭘 알고나 말해랔ㅋㅋㅋㅋ
@씨튜브유발련
@씨튜브유발련 2 жыл бұрын
기업이 가겠냐 ? ㅋㅋㅋ 내가 CEO라도 서울의 고급인재들만 놓고봐도 절대 지방 못 가겠다. 기업인들 고위행정직들 교수들 연구원들 금융인들 방송인들 동문인맥들 등등 사람교류가 얼마나 중요한데. 그리고 부동산과 형성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적인 인프라가 오랜세월 형성된 문명은 넘사벽이지 그냥
@ryanpark1107
@ryanpark1107 2 жыл бұрын
전국혁신도시가 다 비슷한 듯하다. 그래도 효과는 있다고 본다. 다만 그 효과를 너무 크게 기대해서 문제인거지.
@희망-u6f
@희망-u6f 2 жыл бұрын
비단 원주의 문제만이 아니라 전국 혁신도시가 다 저럴건데 우리지역도 비슷하거든요 가장 큰문제점이 지역혁신도시들 보면 위치가 매우 어정쩡함 구도심에선 멀어서 접근성이 떨어지고 우리지역같은경우 구미를 염두에두고 중간쯤 위치에 만들엇지만 결론은 구미도 기존시도 아닌 어정쩡한 곳이 되어버려서 양쪽한테 다 외면당함 그냥 육지위에 섬이예요 그나마 장점은 일단 계획도시이기때문에 상업지구 주거지구같은게 나름 깔끔하게 나뉘어 있고 초중고 학교가 다있어서 신혼부부들이 아이키우면서 학교보내기에는 좋다는정도? 근데 지방에는 이런 신혼부부들이 그렇게 많지가 않죠..
@이지상-t9i
@이지상-t9i 2 жыл бұрын
원주로 6개월 파견이라 살아봤지만 물가가 판교, 강남 저리 가라... 바가지의 극치
@욤뇸뇸-u7z
@욤뇸뇸-u7z 2 жыл бұрын
건물들은 으리으리 한대 정작 중요한 알맹이가없네
Вопрос Ребром - Джиган
43:52
Gazgolder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Максим Галкин  - Про политику без цензуры
15:31
Максим Галкин. Без цензуры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