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는? - 언어별 최초문증 시기 비교

  Рет қаралды 399,942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 200
@byrus_GT
@byrus_GT 4 жыл бұрын
나열만해도 멋지고 웅장함이 느껴진다. 하나하나 검색해서 백과사전 읽어보는 것도 재미있겠다. 한달치 숙제를주심....
@이민-h6h
@이민-h6h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와 진짜 한달치 숙제 ㅋㅋㅋㅋ ㅠㅠ
@이름-pt3fi
@이름-pt3fi 3 жыл бұрын
1년치 숙제인듯
@thestrongestmanintheworld
@thestrongestmanintheworld 3 жыл бұрын
4:33거란어, 이탈리아어 4:46고대 프랑스어 5:10돌궐어, 고대 영어 5:32고대 한국어, 상대 일본어 7:08라틴어 7:35상고 한어
@skyhi7735
@skyhi7735 2 жыл бұрын
갑골문을 한어라고 할수는 없는데 갑골문으로 표현하던가 차라리 동이족 언어라고 하는게 맞을듯
@thestrongestmanintheworld
@thestrongestmanintheworld 2 жыл бұрын
@@skyhi7735 환빠게이야..
@qdlbp
@qdlbp Жыл бұрын
@@skyhi7735 신기하당
@OyKalamushi
@OyKalamushi Жыл бұрын
@@skyhi7735 한어의 한이 한국의 한이 아니야.....
@gomymi637
@gomymi637 Жыл бұрын
​@@thestrongestmanintheworld환빠라고만 매도할게아니라. 당시 대륙에살덩사람을 지금의 한족이라일컺는 하화족이 아닐 확률이 상당할걸요. 상고한어라는 정의가 불확실함에 다른 이견을 충분히 개진할수 있음을 환빠라고 매도하심은 별로네요.
@KOR87MATH
@KOR87MATH 4 жыл бұрын
아이들이 낙서하는 이유. 본능이고 인류의 자산의 재연이라고 생각함. 사실 기원전에도 남들 무리의 생존을 위해 사냥하고 뭔가를 만들 때 쓸데없이 벽에 돌에 땅에 그림그리고 낙서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그들 덕분에 우리가 과거와 소통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함. 생각해봐 다들 고래 잡는다고 분주하게 움직일 때 농땡이 치고 벽에 그림그린 녀석 덕분에 우리가 울산 반구대 암각화를 보고 고래잡이를 유추할 수 있는거임
@hoodie7745
@hoodie7745 4 жыл бұрын
결론 일을하면 당장 유용하지만 농땡이를 치고 낙서를 하면 미래에 유용하다ㅋㅋ
@gkgkgk-b7s
@gkgkgk-b7s 4 жыл бұрын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끈질기게, 사람들은 언어와 문자를 혼동한다.
@강호의고수
@강호의고수 4 жыл бұрын
한글날 쓰잘데기 없는 외국어 한국어로 바꿔읽기 챌린지 하는 바보들이 많죠
@홍바울-c1n
@홍바울-c1n 4 жыл бұрын
문자:쓰는것 언어:말하는것 문자:몇십개 언어:몇천개
@mathamour
@mathamour 3 жыл бұрын
언어를 기록함 + 오래됨 =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는? 문자는 언어를 표현하는 수단이며, 언어를 기록했다는 뜻이므로 위 문장은 전혀 문제가 없음. 언어 = 사상·감정을 나타내고 의사를 소통하기 위한, 음성·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그 음성이나 문자의 사회 관습적인 체계. 즉, 소리로 표현하건 문자로 표현하건 상관 없음. 반드시 말소리를 뜻하는 게 아님.
@ailaoot
@ailaoot 3 жыл бұрын
@@홍바울-c1n 아님ㅎㅎ
@hyonkwanyun8432
@hyonkwanyun8432 3 жыл бұрын
@@홍바울-c1n ㅡㅡ;; 바보 아냐 언어는 글자도 포함된걸 말하는건데 언 이 말이고 어 가 글자를 뜻한다 바보야
@뱡기
@뱡기 4 жыл бұрын
6:30 2200년 전의 낙서.. 가슴이 웅장해진다
@kidandLaPuta
@kidandLaPuta 4 жыл бұрын
웅장해진다
@llIIllIlIIIIIIlllIlIl
@llIIllIlIIIIIIlllIlIl 4 жыл бұрын
저 낙서한 사람은 자신이 한 짓이 박제되어서 2200년동안 보여질 걸 알았을까?
@llIIllIlIIIIIIlllIlIl
@llIIllIlIIIIIIlllIlIl 4 жыл бұрын
@개죽이 3700년전 수메르 석판에도 애들한테 공부 시키고 열심히 안한다고 잔소리하는 내용이 써 있는 걸로 봐서 잉여와 꼰머들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존재한듯 ㅇㅇ
@user-ck7lx8ol6h
@user-ck7lx8ol6h 4 жыл бұрын
@개죽이 단원 김홍도의 서당도 말씀하시는건가여
@힝-i1f
@힝-i1f 4 жыл бұрын
물고기 이름 같은디?
@웅웅웅-d3s
@웅웅웅-d3s 4 жыл бұрын
신전 기둥에 낙서한 사람이 그 낙서가 한 언어의 문증시기를 훨씬 앞당겼다는 것을 알면 무슨 생각이 들까
@정재현-l2n
@정재현-l2n 4 жыл бұрын
낙서한 사럼:???
@nanish_8290
@nanish_8290 4 жыл бұрын
낙서좀 더해둘걸..
@NateChun
@NateChun 4 жыл бұрын
낙서한사람: ㅈ나 할짓없나보네 ㅋㅋ 내가 5살때 적은거라 문법 철자 다 틀린건데 열심히 보는 인간들이 있네. 돈이나 벌어 그시간에
@젠야타젠야타
@젠야타젠야타 4 жыл бұрын
@@NateChun ㅗㅜㅑ 자본주의 기원전 2세기 유래설 ㄷㄷ 지지합니다.
@우우우-g5e
@우우우-g5e 4 жыл бұрын
@@NateChun 진짜 내가 한 낙서를 수백 수천년 후 후손들이 머리 쥐어뜯으며 연구한다면 기분 묘하다 ㅋㅋ
@moongx2e
@moongx2e 4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이런 거 보면 감탄밖에 안 나옴 근데 나만 이해가 안 되는 건지 모르겠는데 저 시대에 저런 걸 어떻게 만들고 저게 어떻게 보급이 되고 또 소통은 가능했던 건지 진짜 의문이고 대단하다고 생각함
@밥잘먹고잠잘자고
@밥잘먹고잠잘자고 4 жыл бұрын
저시대 사람들이랑 지금사람들이랑 지적능력은 동일하니까요
@뱡기
@뱡기 4 жыл бұрын
@@밥잘먹고잠잘자고 오히려 고대인이 현대인보다 훨씬 똑똑합니다. 호모사피엔스 이후로 뇌 크기는 점점 작아지고 있거든요. 현대에 들어 뇌가 퇴화하고 있습니다.
@윤세정-l7f
@윤세정-l7f 4 жыл бұрын
@@뱡기 뇌 크기로만으로 지능의 정도를 판단하지 어렵지 않나요? 전두엽의 크기면 몰라도..
@윤세정-l7f
@윤세정-l7f 4 жыл бұрын
@@뱡기 그리고 현대에 들어 크기가 줄어들고 있다는데 그 짧은 시간에 진화가 일어나나요? 그냥 정보저장의 발전 때문에 덜 발전하는게 아닐까요
@antihandle1
@antihandle1 4 жыл бұрын
@@뱡기 현대에와서는 뇌가 암기보다는 정보처리쪽으로 발달을해서 지능의 차이는 없다고함. 대신 한번에 많은 정보를 처리하는건 현대인이 압도적이고 암기는 옜날사람들이 압도적이라함
@Lunatday
@Lunatday 4 жыл бұрын
문증되지도 않은, 저 기록보다 더 이전 시기의 그 언어는 대체 어떻게 연구한겨..ㄷㄷ... 그리고 그냥 뼛조각 깨진 모습인 갑골같은 건 대체 어떻게 찾아냈대...ㄷㄷㄷ
@HJ-je7iv
@HJ-je7iv 4 жыл бұрын
그 근처에 다른 문화재나 흔적이 있는 지역을 탐색해서 찾아내는 거라고 하더군요
@cuixiang1398
@cuixiang1398 4 жыл бұрын
명말에 은의 수도 은허 지역은 그저 농촌에 불과했습니다. 거기서 밭을 개간하다가 문양이 새겨진 뼛조각을 무더기로 발견하게 되죠. 이 뼛조각에 새겨진 문양이 문자라는 생각을 하지 못한 채, 이 골편들은 용골이라는 약재로 취급되어 유통되었습니다. 그러다가 청대 왕의영이라는 금석학자가 학질에 걸려 약을 구하기 위해 찾은 한약방에서 용골을 발견하게 되었는데, 그는 그것이 금문(金文, 은주 시기에 청동 기물에 새긴 명문의 서체) 이전의 문자라고 확신하고, 갑골문편들을 대량으로 수집하였습니다. 왕의영 사후 유약이라는 사람이 그 갑골문편들을 전수받아 연구하여 철운장귀(鐵雲藏龜)라는 책을 편찬하였고, 이것이 갑골문을 연구하는 갑골학의 효시입니다.
@tridish7383
@tridish7383 4 жыл бұрын
같은 어파에 속하는 여러 언어를 비교해서 그보다 선대의 언어가 존재할 것을 예측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박사-o9g
@박사-o9g 3 жыл бұрын
@@tridish7383 그렇게 해서 재구성한 언어로 PIE가 있죠
@hiswieder9398
@hiswieder9398 3 жыл бұрын
@@박사-o9g IPA는 국제음성기호고
@kamei-r2t5u
@kamei-r2t5u 4 жыл бұрын
5:58 알았어 참을게;;
@이스터12
@이스터12 4 жыл бұрын
못참지 ㅋㅋ
@윤유상-n8b
@윤유상-n8b 4 жыл бұрын
참어는 못참지 ㅋㅋ
@kkochyatoon
@kkochyatoon 4 жыл бұрын
참어ㅋㅋㅋㄱㅋ
@Athompthomp
@Athompthomp 4 жыл бұрын
그다음 : 끄으즈어
@user-lIlIlllllIIll
@user-lIlIlllllIIll 4 жыл бұрын
윾쾌하구먼 ㅋㅋㅋㅋㅋ
@터울-m2m
@터울-m2m 3 жыл бұрын
최초의 한국어 이두 기록은 최근의 목간 출토 등으로 인해 그 시기가 다소 앞당겨진 것으로 압니다. 이에 대해 별도의 영상으로 한번 다뤄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Sihyeon_song
@Sihyeon_song 4 жыл бұрын
고대 교회 슬라브어는 성 키릴로스가 성경을 번역하면서 남슬라브어를 기반으로 코이네 그리스어의 서법을 최대한 비슷하게 재현하여 번역한 게 시초이지요. 그래서 교회 슬라브어엔 흔히 아오리스트 시제라 일컫는 코이네 그리스어의 단순과거 시제 또한 존재합니다. 교회 슬라브어는 오늘날에도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세르비아, 불가리아 등의 슬라브어권 정교회에서 전례 언어로 쓰이고 있고 오늘날 러시아어에서 좀 추상적이고 고상한 단어다 싶은 경우엔 교회 슬라브어 어근을 사용합니다.
@user-tm9zoi7q
@user-tm9zoi7q 4 жыл бұрын
뭐...뭔지는 모르지만 굉장히 전문적이신거 같아요 하하
@jiwonkim9159
@jiwonkim9159 4 жыл бұрын
취미로 만드는 영상이라는 걸 아직도 믿을수가 없다.. 그리고 둔황 석굴에서는 몇 가지 언어의 최초 문증이 나온 거예요? 두 개? 세 개? 문화대혁명 때 묻혔으면 큰일날 뻔
@양파양양-z2o
@양파양양-z2o 4 жыл бұрын
종이도 없었을 시절에도 나무나 점토등을 이용해서 어떻게든 기록을 했다는게 참 신기한 것 같아요. 현재보단 미래를 중시하는 인간의 사상이 드러난걸까요?
@KRW200
@KRW200 4 жыл бұрын
기록이 문명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는 해석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선대의 잊혀졌을 기억들이 대대로 내려오면서 인류의 메모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지 않았을지...
@user-qf2eb5ob9e
@user-qf2eb5ob9e 4 жыл бұрын
@@KRW200 맞아요 베르나르베르베르의 고양이란 책에도 그런암시가 있어요
@뱡기
@뱡기 4 жыл бұрын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레기 없다라는 말이 떠오르네요.
@한국너드
@한국너드 4 жыл бұрын
너무 나간거 같아요. 보통은 뭔가를 기록하기 위해서죠. 세금이나 그런것들..
@이스터12
@이스터12 4 жыл бұрын
@@한국너드 동의
@가가밍밍
@가가밍밍 4 жыл бұрын
향문천님, 다음엔 다중언어 구사자(멀티링구얼)에 대해 다뤄주실 수 있을까요? 모국어가 여러개이면 어떤 언어로 생각하고 어떤 방식으로 사고하는지 모노링구얼인 저에게는 좀처럼 생각하기 어렵네요.
@goodnow1459
@goodnow1459 4 жыл бұрын
언어구사능력을 애플리케이션에 비유하자면 멀티링구얼은 두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늘 가동중인 상테에 비슷한듯.
@꼬북바라기김건호사랑
@꼬북바라기김건호사랑 4 жыл бұрын
링구얼 하니까 좀 이상하다 ㅋㅋ Monolingual Bilingual
@Nyaspers03
@Nyaspers03 4 жыл бұрын
5:30 에 중고 티베트어 부분에서, "라싸 졸 돌기둥"이라고 되어있는 부분이 어색한 것 같습니다. 졸 돌기둥은 원어로 ༼ཞོལ་རྡོ་རིངས་༽인데, 와일리 식으로 표기하면 "Zhol rdo rings"가 됩니다. 여기서 Zhol 때문에 졸이 된 것 같은데, 티베트어에서 받침 l, s, d, n앞에 오는 a, o, u는 전설모음화 되어 ä, ö, ü가 됩니다. Zh는 sh와 비슷한 셩격이어서 죠ㅣㄹ 정도이므로, 실제 동국대 표기 제시안에 따르면 죨 내지 죌이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kimdekyi
@kimdekyi 4 жыл бұрын
ཞ의 와일리 표기상 zha로 표기되나, 실제 발음은 '샤'입니다. ཞོལ는 zhöl 이므로 한국어에 가장 가까운 표기는 '셸' 내지 '쇨'이 되어야 합니다.
@Nyaspers03
@Nyaspers03 4 жыл бұрын
@@kimdekyi 개인적으로 sha와 혼동된다고 맨날 쟈로 적던것을 여기서도 그렇게 했습니다
@bosun7302
@bosun7302 4 жыл бұрын
중간에 외국어 적은 거 귀여운 이모티콘 같다ㅎㅎ
@트랭크스-t8g
@트랭크스-t8g 4 жыл бұрын
@@bosun7302 가운데 부분 보면 박명수가 우쒸 하는 것 같음ㅋㅋ
@박송진-f5n
@박송진-f5n 4 жыл бұрын
5:03 이네요 5분 30초에 없는데 하면서 순간 당황 ㅋㅋ
@zeezeezc
@zeezeezc 4 жыл бұрын
저 낙서한 사람은 자기가 쓴 낙서가 어떤 것이 되었는지 알게 된다면 웅장해질지도
@마이네임-do7
@마이네임-do7 4 жыл бұрын
난 이 신비스러운 브금을 어떻게 만드는지 젤궁금함
@bosun7302
@bosun7302 4 жыл бұрын
6:31 처럼 우리의 작은 낙서가 나중에는 진귀한 기록이 될 수 있으니 많이 낙서를 남겨놓자
@Abkaijui
@Abkaijui 4 жыл бұрын
실제 산에 큰 바위에는 조선시대 낙서가 많이 새겨져 있음
@rrangwooo
@rrangwooo 4 жыл бұрын
향문천님 혹시 언제 한번 서울 방언에 대해 한번 해 주실 수 있나요?
@귀엽다아가에요
@귀엽다아가에요 4 жыл бұрын
파고들면 정치적인 부분이 들어가서 다루기 애매하실듯 어느지역사투리와 억양화..
@anonanonym9872
@anonanonym9872 4 жыл бұрын
@@귀엽다아가에요 굳이 쓸데없는 의미부여하는 사람들이 문제지, 변천과정 그 자체가 무에 문제될 것이 있겠습니까? 자연스러운 현상인걸요.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4 жыл бұрын
@@귀엽다아가에요 어느 지역이 나오는게 왜 정치적이지? 그 생각이 정치적인거임. 아니 그냥 차별적인걸 정치적이라고 착각하는 거.
@anshipla
@anshipla 4 жыл бұрын
@@zyxwvutsrqpon_lk_ihgfedcba 언어 자체가 모든 분야에 걸쳐 뻗어있기 때문에 정치와 연결되기도 하지요. 일제 때 창씨개명이나, 인도의 영어 사용도 다 정치적이지 않나요?
@롱시폭
@롱시폭 4 жыл бұрын
Anon Anonym 맞는말이죠. 지금 서울말은 전국 모든 사투리가 다 섞인 걸요.. 사람들은 왜 단편적으로 밖에 보지 못하고 정치적으로만 해석할까요..
@salm2000
@salm2000 4 жыл бұрын
해당 언어로 기록된 최초 시기에 대한 글이군요. 대단합니다.
@mamedora1123
@mamedora1123 4 жыл бұрын
향문천님! 중세국어의 발음에 대해서 제작된 향문천 채널의 비디오와 역사스페셜 같은 다큐멘터리, 국어학자들의 개인적인 해석 등등을 비교해보면, 같은 음운환경에서 같은 문자를 매체마다 서로 다르게 발음하는 경우가 많아 역사언어학에서 추측하는 발음의 정확성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언어학 연구의 관점에서 볼때, 비단 중세국어뿐만 아니라 과거 존재했던 언어의 발음을 재현하는 것이 얼마나 정확할지 그 신뢰성과 정확성에 대해서 영상 제작 부탁드립니다!
@오늘뭐먹지-k1l
@오늘뭐먹지-k1l 4 жыл бұрын
브금도 되게 미스터리한 고대느낌이라 역덕이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만드는 채널..
@yomogimusume
@yomogimusume 3 жыл бұрын
경주남산신성비는 구결, 향찰, 이두 .. 중 어느 방식에 속하는지 궁금합니다. 위키피디아 나무위키 등등 찾아봤는데 좀처럼 언급이 없네요. 가장 오래된 한국어 기록이면 유명할 줄 알았는데 의외로 인터넷상에서는 정보가 별로 없네요.
@acorn00
@acorn00 2 жыл бұрын
서기체입니다
@Saka0338
@Saka0338 Жыл бұрын
초기 형태의 이두입니다.
@이태헌-i7n
@이태헌-i7n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wavikle4495
@wavikle4495 4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대박이다... 이 채널은 대박이야
@만듦의가치
@만듦의가치 Жыл бұрын
오.... 이런 자료를 어떻게 다 연구를 하시고 아시는지... 대단합니다.
@Haengbok-yee
@Haengbok-yee 4 жыл бұрын
언어가 내가 알고있는것 보다 많았다니ㄷㄷ 한번더 배워가네요 감사합니다
@isuy7892
@isuy7892 4 жыл бұрын
소설같은곳에서는 외계인이나 판타지 세계 사람들은 하나같이 공용어만 쓰고 독자 언어가 있어도 몇개 되지도 않는데다가 명사만 좀 다르고 마는 수준인데 이런거 보면 언어라는게 그렇게 우습게 정의될수 있는게 아니라는게 느껴짐
@Winnie-the-Pig
@Winnie-the-Pig 4 жыл бұрын
장르소설이라도 작가의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가장 첫번째가 언어 설정이죠. 장르라고 고증 하나도 없이 쓰는 사람은 그냥 냅다 대륙공용어 이러는데, 작가가 공부를 좀 했구나가 느껴지는 소설등 보면 역사설정에 대륙이 한 번 통일되어 장시간 통일국가가 통치하다가 분열했다는 설정이 나옵니다. 물론 현실에서 통일국가가 나오는 건 불가능에 가깝지만, 판타지적 요소로 가정할 때 한 번 통일이 되어 장시간 유지되었다면 지방마다 문화는 달라도 통치의 효율 때문에 언어는 같아질 수 밖에 없고(인도의 경우-힌디어를 메인으로 쓰지만 국어는 14개), 이후 다시 흩어지고 역사가 쌓이면서 구조는 똑같지만 단어가 달라지는 경우(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그리고 대한민국과 북한 두 나라의 언어는 동일한 말레이어, 한국어로 문법과 문장구조 등 대부분이 일치하지만 사용하는 단어가 다르죠)가 충분히 가능합니다
@hiswieder9398
@hiswieder9398 4 жыл бұрын
사실 극도로 단일화된 세계관에선 불가능한건 아니긴 한데 대부분의 세계관은 다민족 심지어 다종족이 공존함에도 불구하고 언어에 대한 설정이 미흡하죠
@jeonsuyeong
@jeonsuyeong 2 жыл бұрын
톨킨:ㅋㅋㅋㅋ
@이윤율-l4w
@이윤율-l4w 4 жыл бұрын
역시 종교 문헌이 상당하군요... 언어와 절대 떼놓을 수 없는 학문인듯 합니다...
@아찔한캄
@아찔한캄 4 жыл бұрын
0:43 순간 '야쿠르트어'인줄...
@박주현-k9v
@박주현-k9v 4 жыл бұрын
저도 언어학, 우리 조상들, 중국인들 고대인들이 사용했던 발음들이 비슷한 것들을 배울 때 마다 소름이 돋는다고해야하나요? 우주의 신비를 밝혀내는 느낌이 들어요. 예를 들면 江(jiang 강 강), 본래는 중국 양쯔강을 나타낸 글자이지만 만주족이 들어와 jiang발음으로 변화한 것이고 전에는 강, 그람이라고 발음추정, 서ㅗ러ㄱ과ㅈ의 관계, 순경음ㅂ, ㅂ, ㅍ의 관계 등 세상에 너무 재밌는 것이 많아요. 저도 그래서 중문과에 진학하게 되었는데요 이 채널은 볼 수록 정말 많은 지식을 가지고 계신 것 같아서 대단해요. 정말 흥미롭고 늘 많은 생각가지고 갑니다!!!!
@윤혜연-l9s
@윤혜연-l9s 4 жыл бұрын
한국어 최초의 문증기록치 남산신성비라고 하셨는데 이두를 기준으로 한거면 대구무술오작비나 임신서기석이 더 오래되지 않았나요?
@user-lIlIlllllIIll
@user-lIlIlllllIIll 4 жыл бұрын
임신서기석이 언제 작성됬는지 밝혀졌나요? 한국사공부할때마다 항상 나오는비석이라 그런지 관심이 가네요
@윤혜연-l9s
@윤혜연-l9s 4 жыл бұрын
@@user-lIlIlllllIIll 최근에 552년이라고 주장하더라고요 아직 사학계 인정은 못받은거 같지만요
@김보곤-z7w
@김보곤-z7w 4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두식 표현은 광개토왕릉비로 알고 있습니다 광개토 왕릉비는 400년 쯤으로 추정되지 않나요??
@blackvtmc4285
@blackvtmc4285 4 жыл бұрын
와..... 샨스크리트어가 확실히 옛날 언어긴 했구나.... 관심있었던 적 있었는데... 꽤 옛날 언어였군요 진짜로.... 의외로 한국어가 역사가 긴편이긴 하네요. 물론 중국어나 다른 언어 중에서도 오래된 문증이 있긴하지만... 아마 문증으로 기록하기 이전에도 말은 존재했을거라 생각하기에 지금 기록된 것들보다 훨씬 더 전부터 사용했을거라 생각합니다. 와 그걸 감안하고도 진짜.... ㅋㅋㅋㅋ 대박이다... 가나안어 라는 것도 있는 줄 처음 알았어요. ㅋㅋㅋㅋ 히브리어보다도 더 전에 만들어졌던 언어... 워우.... 중국의 갑골문자도 꽤 옛날에 만든 줄 알았지만 갑골문자보다도 더 전에 만든 문자가 있었을 줄은... 이집트어가 확실히 옛날 문자이긴 하군요. 진짜로 이런건 도대체 어떻게 정보를 찾으셨길래.... ㄹㅇ 대단합니다. 진짜로 와....
@SovietProject1989
@SovietProject1989 4 жыл бұрын
그냥 미쳣네요....아무말 없이 다봣습니다
@닥꿍딱
@닥꿍딱 4 жыл бұрын
왜 지금 보면 아테네 학당이라던가 그런 학문을 연구하고 했던 곳에서 지금도 기록물들이 발견되고 저런 낙서들도 재조명되는거 보면서 생각하는게 씹 한 1000년뒤에 우리나라 남고 같은데에 섹-S 이딴거 써있는거 보면서 고고학자들이 이렇게 연구하겠지?
@없씀
@없씀 4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NateChun
@NateChun 4 жыл бұрын
2000년전 낙서한사람: 하 ㅅㅂ 내가 중2때 낙서한거 아직도 있네
@mooyook2
@mooyook2 4 жыл бұрын
@무인도의생선 ㅎㅎ 빙고~
@엠돌-w2p
@엠돌-w2p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열심히 문자 해석해서 나온 결과가 '아 섹s하고싶다' 면 그것대로 재밌을듯
@tridish7383
@tridish7383 4 жыл бұрын
수메르 점토판에도 섺ㅅ하고싶다 이런거 적혀있음.
@폭코
@폭코 4 жыл бұрын
세상에 많은 언어가 존재했다 사라졌었네요.. ㄷㄷ
@이스터12
@이스터12 4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만들어지기보단 많이 사라지고 있죠
@폭코
@폭코 4 жыл бұрын
@@이스터12 식견 없는 제 생각이지만 현재 언어의 사멸 속도와 생성 속도 차이는 세계화에 의한 간편화/단일화가 한몫하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maengkkong04
@maengkkong04 4 жыл бұрын
@@이스터12 꼭 그렇지도 않음 우리가 사라지는 쪽에 더 관심을 두어서 그렇지
@이스터12
@이스터12 4 жыл бұрын
@@maengkkong04 저도 신조어가 수없이 만들어지는 건 많이 봤지만 그 중에서 실제로 살아남아서 시간이 흐른 뒤에도 계속 쓰이는 단어는 극소수더군요. 최근에 분리되고 있는 언어는 대표적으로 뭐가 있을까요?
@yxunnamedxy
@yxunnamedxy 4 жыл бұрын
뇌피셜이지만 중국대륙이 면적대비 가장 많은 언어가 사라졌을거 같음.. 아닌가.. 아메리카 쪽이려나..
@성이름-x9y3z
@성이름-x9y3z 4 жыл бұрын
한국어를 한자로 뜻만 해놓은게 아닌 음을 빌려서 적은건 저떄가 맞습니다.
@니머리에토마호크내려
@니머리에토마호크내려 4 жыл бұрын
8분 동안 문서 나열만 넋놓고 봤네 ㅋㅋ 중간에 마일로 음악 나옴 ㅋㅋ 고조선 건국보다 오래된 언어 실화냐 그저 경이롭다 ㅠㅠ
@서동원-s5c
@서동원-s5c 4 жыл бұрын
두 언어를 두고 다른 언어다 / 한 언어의 방언이다(포함관계?) 를 구분짓는 명확한 기준이 있나요? 이탈리아어와 스페인어로 대화하면 60-70퍼센트 정도 서로 이해가 된다던데 그럼 서울표준어와 제주방언의 차이보다 더 유사하지만 다른 언어로 구분짓는다는건 국가가 다르냐 같냐로 구분짓는건가요? 그럼 중국 보통화랑 광둥어는 방언인가요 다른 언어인가요? 넘 궁금한게 많다
@선인장-h3g
@선인장-h3g 4 жыл бұрын
언어학자들은 기준을 1. 의사소통여부 2. 동일정서법지향여부 3. 국경선여부 로 크게 언어를 나눈다고해요! 방언도 언어의 한 부분을 차지해서 기준에따라 다른 언어로 볼 수 있을거예요
@Gogiphilia
@Gogiphilia 4 жыл бұрын
7:52 미케네가 아니라 마케네라고 돼있네요!
@grapehc
@grapehc 4 жыл бұрын
7:40 우가리트어가 우라기트어로 표기되어 있네요
@secium6967
@secium6967 4 жыл бұрын
가장 오래된 기록이 최근인 언어가 더 신기하네요;;
@a32440947
@a32440947 4 жыл бұрын
현대 이집트어는 고대 이집트어와 궤도가 다른 언어임 현대 이집트어는 아랍어에서 파생된거
@방개
@방개 4 жыл бұрын
제 3세계 국가들이 최근에 만든언어들이 많습니다
@한사람-y8j
@한사람-y8j 4 жыл бұрын
@@jjw9998 언어의 시작 년도가 현재와 가까운 언어들 =영상 초반 언어들
@세스-j4t
@세스-j4t 4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언어 변화에 따르거나 도중에 소실된 자료들 탓이겠죠...?
@ch.6688
@ch.6688 4 жыл бұрын
80평생에 지금에야 한글 깨우친 사람들이랑 비슷한 이치죠 뭐ㅋㅋ 모를 때는 불편한 줄 모르고 사는거
@sypark6331
@sypark6331 4 жыл бұрын
언어가 이렇게 많았는지 몰랐는데 놀랍네요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레오의책읽는밤
@레오의책읽는밤 4 жыл бұрын
제가 가장 좋아하는 콘텐츠 중 하나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만냐냐
@만냐냐 4 жыл бұрын
역시 이집트 ㅎㄷㄷ
@과지제옥
@과지제옥 4 жыл бұрын
앗 스포당했다
@이렇9먼
@이렇9먼 4 жыл бұрын
현 이집트는 저때랑 100% 연관성 없는 언어를 사용하죠
@yttst7110
@yttst7110 4 жыл бұрын
@@이렇9먼 이슬람어니까요지금은
@user-be2bv8zy6u
@user-be2bv8zy6u 4 жыл бұрын
@@yttst7110 아랍어입니다;
@user-be2bv8zy6u
@user-be2bv8zy6u 4 жыл бұрын
@@이렇9먼 ?
@이스터12
@이스터12 4 жыл бұрын
5:58 참어..
@화이팅-t2q
@화이팅-t2q 4 жыл бұрын
최초로 기록문헌이 나타난 오스트로네시아아족.
@lemonTbalCya
@lemonTbalCya 4 жыл бұрын
아 참어는 못 참지 ㅋㅋㅋ
@DanJJSTChoi
@DanJJSTChoi 4 жыл бұрын
캄보디아나 미얀마쪽 아닌가요?
@화이팅-t2q
@화이팅-t2q 4 жыл бұрын
@@DanJJSTChoi 캄보디아, 베트남-Austroasiatic 버마어-Sino Tibetan 참어, 타갈로그어, 말레이어-Austronesian
@DanJJSTChoi
@DanJJSTChoi 4 жыл бұрын
@@화이팅-t2q 고마워요
@hebrewbiblereading
@hebrewbiblereading Жыл бұрын
7:41 에 우라기트어 ->우가리트어 또는 우가맅어 입니다. 그리고 6:03 에 그으즈어라고 하셨는데 보통 게즈어라고 부르더라구요.
@hangulgod
@hangulgod 4 жыл бұрын
0:26 어릴때 짐 캐리가 쓰는 언어는? 캐리어 엌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러고 놀았는데 진짜 있는 언어였누....
@newfacekorean
@newfacekorean 3 жыл бұрын
ㅋㅋ
@DanielKim-p3r
@DanielKim-p3r 4 жыл бұрын
문자는 인류 최고의 발명품인 동시에..일시적으로 울리고 사라질 목소리를 영원히 후대에 남긴다는 것이 인상적인 것 같다.
@유금선-f9t
@유금선-f9t 4 жыл бұрын
자료 수집의 의지와 전문성 , 그리고 방대함에 경의를 표합니다.
@jeanparke9373
@jeanparke9373 4 жыл бұрын
이 채널 퀄리티 진짜 미쳤음... 구독 5번 누릅시다
@또시오패스
@또시오패스 4 жыл бұрын
이런거 쫙 나열한거 보면 저절로 겸손해지네…
@thestrongestmanintheworld
@thestrongestmanintheworld 4 жыл бұрын
7:56엘람어 그때도 평화조약이 있었다는 게 ㄹㅈㄷ네
@marchen7255
@marchen7255 4 жыл бұрын
인류는 시작부터 현재까지 계속 휴전과 전쟁을 반복했으니
@아이고난-s9x
@아이고난-s9x 4 жыл бұрын
나도 똑같은 생각함ㅋㅋ
@ch.6688
@ch.6688 4 жыл бұрын
나람신 승전비도 유명하죠 루브르에 있음
@문장수집가-명언집
@문장수집가-명언집 4 жыл бұрын
처음 보는 신기한 언어들이 잔뜩, 멋진영상입니다.
@dl3hx395
@dl3hx395 3 жыл бұрын
4:59 내가 고대 노르드어 발견했으면 이걸로 사다리 타기나 하고 있었을듯
@chankikim2387
@chankikim2387 4 жыл бұрын
진짜 이 채널은 너무 무섭다 ㅎㄷㄷ
@jon3404han
@jon3404han 4 жыл бұрын
저런 돌에다가 글쓰는 시대와 지금 우리가 스마트폰으로 터치해서 글쓰는 시기까지 불과 4000년 정도라니... 호모사피엔스의 역사가 몇십만년인데... 감탄밖에 안나온다 진짜
@이름-pt3fi
@이름-pt3fi Жыл бұрын
ㄹㅇ....몇십만년동안 돌이랑 나무에다가 쓰다가 어느순간 전기가 나오거 컴퓨터 스마트폰 좌라락 나옴ㄷㄷ
@sejinJ
@sejinJ Жыл бұрын
우주 과학에 경외를 느끼는 사람이 많은데 저는 인류 고대 문명사를 보면 경외심이 들어요 불과 수천년 사이에 엄청나게 변화했는데 앞으로 몇십년 백년 사이에 그것보다 훨씬 더 많이 변할거라고 생각하면..
@jonin_cunren
@jonin_cunren 4 жыл бұрын
부가설명이 없는 건 글자만 있고 그게 무슨 뜻인지는 밝혀지지 않은 건가요?
@NateChun
@NateChun 4 жыл бұрын
낙서한사람: 하 제발 알려고 하지마 중2병 걸려서 적은거야 누구 ㅂㅅ이랑 잭스잭스 같은거 ㅇㅋ?
@DanJJSTChoi
@DanJJSTChoi 4 жыл бұрын
우문일진 모르나 구약성경엔 처음엔 언어가 같았는데 나중엔 다들 달라졌다고 하지요~ 아마도 갑자기 확 달라지진 않았을테고 서서히 달라졌을텐데 그럼 그런 변화의 흔적들이 남아있을테고 그걸 토대로 처음 원래의 언어를 알아낼 수 있지 않을까요?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혹시 사료가 너무 부족해서 알아낼 수 없는 걸까요?
@DanJJSTChoi
@DanJJSTChoi 4 жыл бұрын
@@ssunchipp 언어란 말이 말과 글을 뜻하는 거 아닌가요?
@user-hv8nw3id4n
@user-hv8nw3id4n 4 жыл бұрын
@@DanJJSTChoi 아니요.글은 언어라는 단어의 범주 밖에 있는 단어입니다.
@DanJJSTChoi
@DanJJSTChoi 4 жыл бұрын
@@user-hv8nw3id4n m.terms.naver.com/entry.nhn?docId=957858&cid=47304&categoryId=47304 네이버엔 이리 알려주는데요?
@DanJJSTChoi
@DanJJSTChoi 4 жыл бұрын
@@phrmir 예 그렇군요 ^^
@선인장-h3g
@선인장-h3g 4 жыл бұрын
언어의 기원인 ‘원시세계어’를 여러 언어들의 공통점을 통해 뽑아내려는 시도는 공통 원시언어인 ‘노스트라트어’를 연구하던 몇몇학자들이 연구해보았지만 근거가 부족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해요
@dalmooong
@dalmooong 4 жыл бұрын
영상 다보고 브금이 좋아서 반복재생중;;;
@오노데라코사키
@오노데라코사키 7 ай бұрын
0:28 윌리스 케리어 그분덕에 우리가 지금 살아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weiktomeyto
@hweiktomeyto 2 жыл бұрын
라틴 알파벳으로 1593이 처음 썼지만, 타길로그 기록은 전도 바이바이인 문자와 카위 문자로 있었습니다.
@chacha3573
@chacha3573 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언어종류가 많았는지 몰랐네요.. 처음듣는 언어들도 많아서 그이름이 된 이유도 궁금하고 발음도 궁금하고 그언어라는걸 어떻게 알게 된건지도 궁금하고..숙제하러 가야하나ㅋㅋ 여러모로 유익한정보 감사합니다ㅎㅎㅎ
@Ina_7
@Ina_7 4 жыл бұрын
5:37 고대 한국아
@user-hm5en7rf4i
@user-hm5en7rf4i 4 жыл бұрын
신라 진평왕때 성쌓은거 적은 그건가
@손세걸
@손세걸 4 жыл бұрын
@@펭귄대왕-v7x 근데 중국어를 빌려주서 썼어. 완전히 한국어가 아니라.한국 진짜 글자 있는 시간 500년-600년만 있어
@kingnoob3503
@kingnoob3503 4 жыл бұрын
@@손세걸 중국어를 빌려서 쓴게 아니라 한자를 빌려서 쓴거고 한자라고 해서 중국어는 아님
@김태환-j2f
@김태환-j2f 4 жыл бұрын
@@손세걸 감정때문에 그런건 아니고 번역한 느낌 나는거 나만 그런가... 한국인 아닌것 같은데... 아님말고
@구름-m2d1m
@구름-m2d1m 4 жыл бұрын
@@손세걸 글자가 아니라 언어에 대한 영상이잖아. 맞춤법 보니 한국인은 아닌 것 같은데. 이름 보니...
@온바람-y9j
@온바람-y9j Жыл бұрын
어떤 분이 한자가 의미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문자라는 말씀을 하시는데 그러니깐 한자가 사선, 직선, 사각형, 열린 사각형 등의 각 모양이 특정한 뜻을 가지고(의미소) 이를 조합하여 뜻을 만든 글자라는 것입니다. 한자를 이해하는 방법으로 본인이 이것을 발명했다가 아니라 한자를 만든 사람들이 이런 기본적인 디자인의 원칙을 가지고 한자를 만들었다는 조자의 원리를 발견했다는 말을 하는데 이렇게 되려면(그러니깐 한자의 디자인의 간단한 원리가 있고 적어도 설문해자 정도의 글자들은 그런 원리로 한꺼번에 만들어졌다) 한자 자체가 어느순간에는 누군가의 기획에 의해서 창제되어야할 것 같은데(마치 한글처럼)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한자의 역사를 보자면 그럴 수가 없을 것 같은데 향문천님이 생각하시기에 한자가 특정한 디자인 원리를 가지고(상형, 지사 등과 다릅니다) 동일한 원칙으로 의도적으로 만들어졌다고 볼 가능성이 있을까요? 그 분의 조자원리입니다. kzbin.info/www/bejne/laTHp5KtpLB_q6ssi=U7joX1rE2VQ_LWfC
@loserchoi
@loserchoi 4 жыл бұрын
이걸 보고 다시 한번 느꼈는데 세종대왕님은 천재이며 한국의 구세주다. 감사합니다 세종대왕님.
@haiwooklee3333
@haiwooklee3333 3 жыл бұрын
엄청난 자료에 탄복합니다. 이걸 어떻게 모으셨는지 존경심이 절로 드네요
@양건호-l5p
@양건호-l5p 4 жыл бұрын
저는 이런걸 계기로 해서 언어박물관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immaculate86
@immaculate86 4 жыл бұрын
저게 현존하는 기록에 의해 오래된 순이지 이미 오래전부터 있던 언어죠? 만약 저 언어들이 지금까지 다 현존한다면 어떻게 변했을지 궁금하네요. 또한 신라어,백제어,고구려어,발해어,고조선어가 있다면 어땠을지 궁금해집니다. 듣기로는 서울방언이 지금의 서울말과 다르고 오히려 북한 황해도 개성쪽이랑 비슷하단 말을 들었어요.분단전엔 개성이 경기도 지방어 속했으니까.50~60년대,70년대 옛날 한국영화의 더빙을 들으면 무슨 북한영화인줄 알았어요.분단초기라 서로가 언어가 비슷했나봐요.그래서 말로는 북한 간첩과 남한 사람을 구분 못해서 당시 최신 유행이나 정세를 모르는걸로 판별했나봐요.그래서 거기에서 나온 관용표현이 "이거 모르면 간첩"이 아니었나 싶어요.
@윤장원-u9t
@윤장원-u9t 3 жыл бұрын
이 경우는 혼동한것이 아님,특정 민족의 말을 문자로 기록한것중 가장 오래된 말,즉 언어의 뜻. The oldest language written with character.
@user-lIlIlllllIIll
@user-lIlIlllllIIll 4 жыл бұрын
사스가 위키 ㄷㄷ:: 그리고 그 페이지를 지나치지않는 항문천님도 대다네여~~
@이스터12
@이스터12 4 жыл бұрын
4:40 오크형이 왜 거기서 나와?
@campsite97
@campsite97 4 жыл бұрын
오크어(남부 프랑스어)는 현대 표준 프랑스어의 기원인 오일어(북부 프랑스어)에 밀려 사멸중인 언어입니다.
@박사-o9g
@박사-o9g 4 жыл бұрын
록타르 오가르!
@_panjandrum32
@_panjandrum32 4 жыл бұрын
전사들이여 나를 따람라!
@campsite97
@campsite97 4 жыл бұрын
@신천지 프랑코-프로방스어면 벨기에지역에 있는 언어인가요?
@수재형
@수재형 4 жыл бұрын
@@campsite97 오크어의 하위분류 프로방스에서 쓰이는 방언
@benzenekim
@benzenekim 4 жыл бұрын
선좋아요 후감상!
@icylakepaxphile
@icylakepaxphile 4 жыл бұрын
현존하는 언어와 직결되는 오래된 문증을 가진 언어는 결국 중국어와 그리스어인가요? 미케네 그리스어와 현존 그리스어의 관계에 대해 한번 다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쥬르-h6j
@쥬르-h6j 4 жыл бұрын
이집트어가 그리스어임?
@KURZ__g
@KURZ__g 7 ай бұрын
이집트어가 씹근본
@jhlee990725
@jhlee990725 4 жыл бұрын
궁금증이 드는게 어째서 언어는 계속 변화했을까? 그냥 쓰던거쓰면 안되는것이었을까? 어쩌면 천년뒤에는 현존해있는 언어를 쓰는사람이 없이 대부분 바뀔지도 모르겠네요 ㄷㄷ
@닉짓기귀찮
@닉짓기귀찮 4 жыл бұрын
새로운 개념이 생기거나 없어지거나 혹은 언어를 쓸 때의 편의성을 위해 변화하기도 합니다 당연한 현상이죠
@koreanajussi9332
@koreanajussi9332 4 жыл бұрын
역시 이집트어...ㄷㄷ 굉장히 오래됬네요!
@리드필링
@리드필링 4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campsite97
@campsite97 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많은 언어체계와 문자체계가 있는데 현존하는 대부분의 문자는 이집트 상형문자가 기원이거나, 그 문자가 기원인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 진짜... 여기서 벗어나는 사례가 1. 중국의 한자 2. 일본의 가나(한자 기원) 3. 한국의 한글(독자 창제) 세 사례 뿐이죠...
@한강에서재기하신분성
@한강에서재기하신분성 4 жыл бұрын
엥 태국문자는여??
@jamieryu1977
@jamieryu1977 4 жыл бұрын
메소포타미아 문명 쐐기문자는요??
@campsite97
@campsite97 4 жыл бұрын
@@한강에서재기하신분성 인도문자 기원이고, 인도 문자는 이집트 문자가 기원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SWChoo
@SWChoo 4 жыл бұрын
마야어는요?
@campsite97
@campsite97 4 жыл бұрын
@@jamieryu1977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문자체계입니다.
@benarine
@benarine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낙서랑 달력이랑 굴은 도대체 왜 언어가 된건가ㅋㅋㄱㅋㄱㄱ
@edcvbnji9186
@edcvbnji9186 4 жыл бұрын
종교와 관련된 기록이나 문법서, 비문이 많군요
@Samdas2
@Samdas2 4 жыл бұрын
@이규황 종교는 문명의 중심이죠.
@깔끔정리-h4o
@깔끔정리-h4o 4 жыл бұрын
religion의 어원에 대한 연구가 여러 가지가 있긴 하지만,, 여러 어원중 그 중에서 [레게오]라는 말에는 '묶다'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그런점에서 종교, religion이라는 것은 당대 사람들의 세계관 혹은 인식론을 공동체적으로 묶어주는 개념이기도 하죠. (개인적으로는,, 일본학자에 의하여 religion이 '종교'(으뜸 종, 가르칠 교)라는 말로 번역된 것이 그래서 적절하지 않다고 봅니다.. religion은 단지 으뜸되는 지교리적, 지식적 가르침이 아니라 세계관과 인식론 그 자체에 대한 신실성의 정도를 말하기 때문입니다.. (알프레드 켄트웰 스미스의 ) ) 그러니 당시 사고와 세계관의 관점으로 보면 종교적 기록물은 단지 일개 종교에 대한 기록이라기보다는 그 종교(적 성지)를 둘러싼 공동체의 기록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래아내샌즈
@미래아내샌즈 3 жыл бұрын
와~~너무흥미롭고재미있어요!!❤️❤️
@horaoh
@horaoh 4 жыл бұрын
4:15 바스크어와 아라곤어가 같이 기록된 것인가요?
@horaoh
@horaoh 4 жыл бұрын
@고전어학당 설명 감사합니다!
@anonanonym9872
@anonanonym9872 4 жыл бұрын
거의 이베리아의 로제타스톤 급이군
@leetrain3123
@leetrain3123 4 жыл бұрын
영상 맨처음에 나오는 구니얀디어는 1982년 이전에는 글로 쓰인 흔적이 없었다는거죠? 꽤 근현대에 생겨난 언어란 뜻일까요?
@WALDOWS
@WALDOWS 4 жыл бұрын
4:42 오크는 실존했다..!!!
@빵빵-l4h
@빵빵-l4h 4 жыл бұрын
록타르 오가르!
@InjeoImimi
@InjeoImimi 4 жыл бұрын
와..감탄이 절로 나오네요...
@송준영-s9q
@송준영-s9q 4 жыл бұрын
언젠가 내 낙서도 귀중한 사료가 될지도 몰라 ㄷㄷ..
@ルカリオ-v2j
@ルカリオ-v2j 4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이 나를 여기로 인도 했습니다
@저겨기
@저겨기 4 жыл бұрын
1:27 스와힐리어 하니까 바바예투 끌리네
@그러지마세요-h1g
@그러지마세요-h1g 4 жыл бұрын
7:40 오타있어요~ 1300 BC Ugaritic --> 우라기트어, 우라기트 출토의 판이 아니라 우가릿어, 우가릿 출토의 판입니다.
@dynastiummappinganimationp4046
@dynastiummappinganimationp4046 4 жыл бұрын
체로키 문자도 다루어주실 수 있나요? 총균쇠에서 흥미롭게 읽었던 기억이 나네요
@졸립군
@졸립군 4 жыл бұрын
유튜브 알고리즘덕에 유익한 채널 알게되었네요
@으아아-r9v
@으아아-r9v 4 жыл бұрын
근데 이집트가 진짜 옛날엔 미국급으로 발전된 나라였을거 같음..
@YukaritheHistory
@YukaritheHistory 4 жыл бұрын
미국을 어케 고대 이집트에 비벼요 ㅠㅠ 거기는 외계인이 와서 만든 수준임 ㅠㅠㅜㅜㅜ
@박발아
@박발아 4 жыл бұрын
이집트 예전엔 초목이 무성한 산림지대였네요 인류의 농경으로 땅이 망가져서 사막이된것
@박발아
@박발아 4 жыл бұрын
예전 농경은 뿌리고 1년 후 다른곳에 뿌리고 비료나 물을 보급한다는게 없었고 나무를 베는게 일상이었고 강은 사대강 처럼 유흥을 위해 일직선으로 만들었죠
@으아아-r9v
@으아아-r9v 4 жыл бұрын
@김진우 옹..그랫군요
@自我-i5o
@自我-i5o 3 жыл бұрын
@@박발아 정기적으로 범람하면서 위치가 조금씩 바뀌는 나일강을 어떻게 일자로 만듬? 그리고 이집트의 사막화는 인간의 문제가 아니라 자연적인 기후변화 때문임 애초에 강의 범람시기를 정확히 기록해서 농사지었던 이집트인들 인데 지력과 물 보급 개념이 없었다는건 뭔 헛소리임;;
@junerahm6128
@junerahm6128 4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생각으론 어족분류에서 문자의 동일성(알파벳)이 어족의 다양성을 방해한다고 생각하며 언어와 문자의 분류를 잘 구분하여 정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를 들면 영어는 게르만계언어에서 나왓고 게르만계언어는 네덜란드어 독일어 의 계통수를 따르며 지리학적으로는 가까우나 이와다른 라틴어계열의 불어 스페인어나 이태리어같은분류가 그 예가 되며 독자적 문자에 따른 분류를 더 알고 싶습니다 ...마치 일신교(모노테이즘)계열의 종교엔 많이 알려진 기독교 천주교 이슬람교 유대교등이있고 거기에서 파생된 동방정교 나 제7일 교회 몰몬교등이 잇지만 같은 일신교라해도 기독교계열과는 전혀 다른종교가 있듯이 ..그러한식의 또 다른 분류가 알고 싶습니다
@호기소-q8k
@호기소-q8k 4 жыл бұрын
히브리어, 아람어, 페니키아어 순으로 나오는거 보고 역시라는 생각이 들었다
@CR_HARMONY
@CR_HARMONY 4 жыл бұрын
BGM 참 웅장하네요
@kimgy550
@kimgy550 4 жыл бұрын
06:15 노르드조어 어디서 봤는데... 어디지...?
@이거되나
@이거되나 4 жыл бұрын
룬 문자?
@hweiktomeyto
@hweiktomeyto 2 жыл бұрын
노르드조어는 노르드어의 처음 버전으로 덴마크어, 아이슬란드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의 조상입니다
@axiom2204
@axiom2204 4 жыл бұрын
경주 남산신성비가 한국어로 쓰인 첫번째 기록이란건 좀 억지네요... 몇몇 한자의 영향을 받지 않은 한국어 고유 단어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문법등 한국어의 특징적인 모습이 해당 기록에는 없어요
@윤혜연-l9s
@윤혜연-l9s 4 жыл бұрын
함안에서 나왔다는 목간이 더 근접하다고 하더라고요
@salkme0618
@salkme0618 4 жыл бұрын
연도 앞에 「c.」이 붙은건 뭔가요?
@byungyoonchoi3744
@byungyoonchoi3744 4 жыл бұрын
circa의 줄임말로, 라틴어로 '대략'이란 뜻입니다.
@wa-bp7sg
@wa-bp7sg 4 жыл бұрын
@@byungyoonchoi3744 오 첨 아네요^^
@큮브
@큮브 4 жыл бұрын
@@byungyoonchoi3744 대충 추정한다 이런 뜻인 것 같긴 했는데 정확한 뜻은 처음 알았네여
@KIM_HS_0228
@KIM_HS_0228 4 жыл бұрын
코탄어가 아니라 호탄어가 아닐까요... 고대 실크로드 남쪽 길에 위치한 호탄 왕국에서 쓰이던 언어랑 글자라고 들어서요..
@냐냐냐냐-u6n
@냐냐냐냐-u6n 4 жыл бұрын
김부장: 고등어는 없나? 하하핫🤣🤣🤣
@bsgjm1746
@bsgjm1746 4 жыл бұрын
느하하하.
@StripedMackerel
@StripedMackerel 4 жыл бұрын
저를 왜 찾으시나요
@무명-c1v
@무명-c1v 4 жыл бұрын
부장님...그건 좀...
@Yeokbo
@Yeokbo 4 жыл бұрын
21세기 한국어, 서기 c.2020년, 김부장의 비문
@noh0423
@noh0423 4 жыл бұрын
@@StripedMackerel 맛있어서
@simonjones941
@simonjones941 4 жыл бұрын
인류의 역사가 240만년 전에 등장했다고 하는데, 가장 오래된 기록문자가 발견된 시기가 기원전 3000년 밖에 되지 않는게 신기하네요
@栗霰春吉
@栗霰春吉 Жыл бұрын
@진영서 ㅇㅈ
@믹틀란테쿠틀리
@믹틀란테쿠틀리 Жыл бұрын
​@jeenyus082120만년전....
Венгерский язык? Сейчас объясню!
16:27
Энциклоп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24 Часа в БОУЛИНГЕ !
27:03
A4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한글날 기념] 한글과 훈민정음에 관한 7가지 오해!
13:09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255 М.
영어 철자를 바꾸려고 한 사람들: 철자 개혁론
14:45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91 М.
창씨개명이 바꾼 것들
12:03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422 М.
극도의 순혈 컨셉충 언어 - 앙글리시
6:27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481 М.
인간의 언어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진화했을까?
10:24
타국이 중간에 끼어 있어 영토가 분리된 국가 Top 10
10:38
Similarities Between Sanskrit and Lithuanian
22:01
Bahador Alast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고대 그리스에 알파벳이 도입되기 까지
15:57
인문학이랑
Рет қаралды 59 М.
한자 같지만 한자가 아니다
9:10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878 М.
24 Часа в БОУЛИНГЕ !
27:03
A4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