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수상한난방 등 요즘 많은 회사가 만드는 건식보일러 시스템 보다도 설치는 훨씬 간단한 것 같군요. 침대 만들어 깔아도 좋을 것 같구요.구독 하고 관심 갖겠습니다.
@영숙조-d7t2 жыл бұрын
99
@불빛소각로2 жыл бұрын
굿 아이디어네요 그러면 온수매트 그런것도 필요없고
@철수김-u9y Жыл бұрын
@@불빛소각로ㄷ
@sorry8553 жыл бұрын
말하는 입만 봐도 미소가 지어지는 분이네요 입이 웃네요
@pion-sd6ox3 жыл бұрын
점점 좋은제품이 나오네요 ㅋㅋ 기술은 진보는 어디가 끝이요 ㅋㅋ
@hskim3313 жыл бұрын
소중한 경험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디.
@임헌대-b1m3 жыл бұрын
부정기적으로 사용하는 난방엔 더 효율적인거 같습니다. SPC 도 내년에 함 써봐야 겠네요.
@똠방각하-e2f3 жыл бұрын
가정용 쓰기는 전기료~많이 나오고 그냥 가끔 쓰는 펜션이나식당 바닥 농막정도 ~~ 실제 용량이 가정에서 오래쓰기는~~
@joylee8793 жыл бұрын
정말최고십니다. 저도집지을기회가생기면 선생님께조언많이구하고싶네유
@rolarun003 жыл бұрын
단열이 중요해요. 습식난방도 집마다 단열이 얼마나 되어 있냐에 따라 열을 가두고 있고 없고 따라서 난방비가 차이가 나죠. 단열 없거나 약한곳은 보일러 몇시간 가동해도 얼마 지나지 않아 금방 차가워져서 또 보일러 가동해야 하고 단열 잘되어 있는곳은 1시간 가동하고 몇시간을 따뜻하게 지낼수 있고 그렇더라구요. 원룸 몇군데 이사해보고 느낀거라 단열의 중요성이 얼마나 난방에 큰 역활을 하는지 느꼈네요. 건식도 난방을 한 열을 얼마나 방안에 가둘수 있냐에 따라 난방비 차이가 많이 날수 있을것 같아요.
열전도가 중요하지만 오랫동안 머금을수 있게 하는것도 중요합니다. 알미늄냄비와 뚝배기 처럼. 배면에 단열재 보다 뚝배기같은 열저장재를 두면 어떨까요? 건축물에는 기본적으로 단열재위에 온돌을 설치하니까요. 기존의 전열패널들은 꺼지면 바로 냉각되는 단점이 있는데 그나마 시멘트바닥위에 설치된 구옥 형태는 꺼진 후에도 한참 따듯하고요.
습식난방 액셀파이프에 물이 아닌 부동액를 채우면 사용하지 않아도 겨울에 동파하지 않습니다.
@송승기-c7g2 жыл бұрын
보일러에 부동액 사용은 절대 안됩니다 부동액은 비등점이 물과다르고 열교환기 표면에서 슬러지가 발생합니다 배관이 막힙니다 참고하세요
@찢재명전과43 жыл бұрын
화장실받닥에 시공하면 감전의위험이 없을까요
@금적금왕3 жыл бұрын
오븐이 되지않으려면 안전성이 중요할듯. 근데 이 영상이 왜뜬거지? 당췌 알고리즘
@jwkim4806 Жыл бұрын
저 돌마루 습식에도 본드없이 시공 가능하겠네요.
@부산진우하우징Ай бұрын
전자파, 전기료 많이 나오겠네요
@로즈마리-k3f Жыл бұрын
전자파는 염려 없나요.
@현철-e6e3 жыл бұрын
열선 사용은 어떠한지 모르지만 목조 주택은 반드시 온돌 난방으로 해야 합니다. 보일러 난방시 강제 순환 방식은 온 습도 조절이 강제 순환이 되므로 나무 기둥의 습도 조절이 맞지 않아 5년 이상 사용시 썩게 됩니다. 집 지을 시 참고 바랍니다. 온돌 난방도 개량이 잘 되어 난방비가 비싸지 않다고 합니다.
@user-rurallife3 жыл бұрын
수상한난방 등 건식보일러 시스템은 10미리 관으로 더운 물을 보내는 것으로 평당 12만원이면 자체 시공 가능하며 전기만 꽂으면 간단합니다. 벽에 붙이는 작은 보일러가 기본이지만 기름,가스도 쓸 수 있어 좋더라구요 ^^
@tedpark6678 Жыл бұрын
한식 주택의 목구조물은 어차피 노출되어 있어서... 습기로 인란 문제가 거의 없는데 무슨 이야길 하는 건지? 온돌이라 함은 아궁이 와 구들로 만든 전통 방식 말하는듯 한데... 그건 요즘 적용하긴 무리...
@SJ-zy1pw11 ай бұрын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네 서양의 목조주택은 온돌이 아니므로 몇년되면 다 썩겠네요? 우리나라에서 시공되고 있는 목조주택의 원조는 전통한옥이 아닌한 서양 아닌가요.
@tedpark667811 ай бұрын
@@SJ-zy1pw 한식 구조와 운동을 헷갈리는 듯 하네요. 바닥 난방하고 구조는 다른 문제죠. 다만 온수 순환식의 경우, 어떤 단열 시공이 필요한데 사실 한식 구조가 단열을 하게되면 습기가 안통해서 썩을 수 있겠죠. 전통온돌은 바닥 단열이 불가하니....
@lsweetirisbh8 ай бұрын
@shhong61323 жыл бұрын
농막업체와 협업을 하시면 젛을듯 하네요 정하우징이나 김창준 이동주택으로
@윤미천골10 ай бұрын
전기세 대박
@국민이다3 жыл бұрын
저 집은 온통 원목에 합판으로 도배를 했네요 불 나면 답이 없겠네요 난방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안전이 우선이죠
@말현박-q9v5 ай бұрын
❤
@노들-e2r3 жыл бұрын
보일러의 온수 파이프 대신 전기선을 쓰는거 같은데 어떻게 전기선에서 전자기파는 안나오고 원적외선이 나오는지 이해가 가질 않네요. 초발열체라고 하는데 어짜피 전기로 하는 전기선이잖아요.
수상한난방 같은 경우 벽에 붙이는 전기보일러로 72도까지 올릴 수 있는데 이는 컨트롤 가능하기에 적당한 온도로 켜면 되더라고요
@최경옥-t5v2 жыл бұрын
300w 면 전기 사용량이 많은편 같은데요
@홍채원-d1i2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멋져요
@민트쵸코프로젝트2 жыл бұрын
여름에 정말 덥지 않을까요
@승짱-e6g2 жыл бұрын
집이 대신면 사는데 정년 퇴직하여 시골 집 리모델링 할 계획인데 한번 방문하여 조언 듣고 싶은데 위치가 어디 인가요?
@ajumbleofcamperstories4613 жыл бұрын
전기만 풍부하면 캠핑카도 해 보고 싶네여^^ 캠핑카는 넘 추워요
@이슈리아-w2w3 жыл бұрын
업체 정보 좀 공개 해 주새요
@kwangheelee91979 ай бұрын
아이디어 상품인듯 한데... 난방열선에 직접 XPS가 맞닿으면 온도에 의해 2차발포가 이루어져 변형이 올듯 한데 문제 없나요?
@김한솔-j9t3 жыл бұрын
구입 은 어떻게 어디에서 할수있나요. 업체 이름 ?이
@msh7r3 жыл бұрын
전기세가문제지
@종호이-y4z3 жыл бұрын
화장실에도가능해요
@수쨍한3 жыл бұрын
상가바닥 깔면 사람들이 많이 밟고 다닐껀데 돌마루 깨지지 않을까요?
@여상배 Жыл бұрын
구매는 어떠케 하나요
@은하철도철이2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연락처좀 부탁합니다...
@참새전깃줄-j4e2 жыл бұрын
평당 소비 전력은 어느 정도 되는지요? 시험 결과가 있을 것 같은데요
@mingfun63 жыл бұрын
가온파님은 건설업체신가요?
@메이플일상2 жыл бұрын
자작캠핑카에도 적용이 가능하겠네요
@GlobeTrotter-VV28 күн бұрын
결국 전기난방....전기세 걱정될 것 같은데요?
@TV-er1ce3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건식 난방 시공 회사가 어딘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나이-r5m3 жыл бұрын
구입할수있는 ☎ 번호을 주십ㅇ시요 좋습니다. 본사가 어디에 있어요? 주소주세요.
@오직그리스도-j4v3 жыл бұрын
전자파는 없나요?
@spkorea276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에스피코리아입니다. 전자파는 전기난방이기 때문에 아예 안나온다면 거짓말이고 인체에 무해한 정도의 극소량입니다.
@TV-gk6lv2 жыл бұрын
안녕 하세요 현재 심야전기를 15년넘게 사용사는 한옥 거주합니다 겨울엔 외풍이심해서 전기요금이 장난이아닙니다 구체적인 방법과 견적 을 받아 볼수있을 까요 궁금합니다
@jmc45972 жыл бұрын
탄소섬유?
@butterflyblack57942 жыл бұрын
찜질방 만드는데 벽에도 해야하니 자재가 좀 더 늘어날 것 같은데 3평 찜방 만드는데 실질적 자재는 몇 평이 소요되나요?
@kimdongwook8504063 жыл бұрын
몇평 방하나 하는데 전기를 얼마나 먹나요? 방송으로 알려주신 전기 사용량이 온도 유지시 소모량인지 냉방에서 작동시(풀부하시) 사용량인지 알고 싶어요. 그럼 전기용량 증설 없이 설치를 할수 있는지요? 난방중 드라이기나 전기 가스랜지를 동시 사용시 브레이커가 내려가지 않은지 알고 싶네요
@eye48973 жыл бұрын
아무리효율이좋아도 가정용전기로 상시난방일겨우는 재고하시길 평당 350W면 3평이면 시간당 1kW 누진세 때문에 다른 난방비용에 5배정도 냉방과 난방비용을 단순비교 난방은 영하10ㅡ20도를 영상 25도로 온도차가 영상30ㅡ40도을 올려야되고요 냉방은 여름 영상 38도를 영상28로 10도를 내리게됩니다. 에너지법칙에 따라 에너지가 들어가겟지요 감안하면 난방열선3평1000W 방하나에 벽걸이 에어컨을 하나 사용하는 것보다 더많이 소모되지요 . 가정에서 냉방은 전기로할수있지만 난방은 거의불가 장판이나 담요정도로 직접사람몸에 밀착하는 보조난방. 즉전기장판을 벽 바닥 설치하고 동작해도 방이 따듯할까요 누진세가가없는 팬션이나 사무실에 업무용전기로 필요할때만 잠시사용 돈을 벌어주는 게스트하우스 하루사용료중 전기세를보면 얼만안되겟지요 , 업무용전기를 사용하는 펜션이나 숙박시설에 전기난방요금이 크기에 따라 다르겟지만 몇백만원입니다. 절대로 딴지거는것은 아님 ㅎㅎㅎ 가정에서도 찜질방 한달에 한두번 농막에 딜년에 몇번 사용하는 용도로 기존것보다 효율이 좋다고하니 권장합니다
@spkorea276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에스피코리아입니다. 먼저 관심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설치하시려는 곳에 정확한 평수를 알려주시면 더 자세하게 답변을 드릴수 있을 것 같습니다!
@김학현-f6f2 жыл бұрын
@@eye4897 .
@후니-g6x Жыл бұрын
전기세 폭탄맞겠는데요? 시공단가도 높은편이고 넓은면적은 아예 생각은 하지말아야할뿐더러 작은면적도 소비전력이 너무 나옵니다. 타일마감은 안될꺼고 마감자재도 제한적이네요...영상은 잘봤습니다....
@플라즈마엔진2 жыл бұрын
저 단열재로는 외벽 열손실이 커서 값싼 농어촌 전기가 아니면 조금 고민 스럽습니다. 10년후 본다면 외벽 단열재 (소위 은돌이는 아님) 천장 바닥 내단열재를 붙이고 전기장판이나 열선을 까는게 건물주에게 금전적으로 이득이라고 생각 됩니다
@그날이오면-m8d2 жыл бұрын
농어촌 전기는 어떤 전기를 말씀하시는건가요?혹시 농업용 전기라면 난방용으로는 사용할수가 없습니다,불법이기 때문에 단속당합니다
@플라즈마엔진2 жыл бұрын
그럼 이 방법은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것이네요. 난방비와 전기세가 폭등하는 현실에서 외단열을 기밀이 유지되도록 시공하는게 맞네요
@박정은-p4w3 жыл бұрын
침대위에도가능한가요
@한영미-i8v3 жыл бұрын
집 리모델링 할려구 하는데요. 문의 드립니다.
@신영주-v2g2 жыл бұрын
전기세는 얼마나 나오나요 가정집인테요
@이영미-e4b2 жыл бұрын
혹 아파튼에도 가능한지요? 22년 아파트입니다
@SkK-mg5tk3 жыл бұрын
요제품 설치하면 기름보일러,가스보일러 설치가 필요없겟네요~~^
@ppu-ppu2 жыл бұрын
벽체에 습기차지않을까요?
@amoorisaenggangkedonanmanul Жыл бұрын
번창 하세요. 더욱 발전하시길 기원합니다. 다만 고리타분하고 지루한 말씀이 많네요. 영상보다가 대충 건너뛰고 그냥 가려다가 잔소리 남깁니다. 제품이 좋아보이니까요. 쇼츠처럼 제품 특성과 장점 기능 설치방법 주의사항 등을 간단하게 몇편으로 소개해주신다면 더욱 홍보효과가 있을듯 합니다.
@참새전깃줄-j4e2 жыл бұрын
바닥의 강도는 어느 정도 인가요? 시멘트 바닥이나 황토바닥 대비 어떻게 되나요? 화장실 바닥에도 시공이 가능하나요? 일반 주택에 시공한 사례가 있으면 알려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