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18 학교 분위기라는 걸 무시 못하는 거. 선배들이 신경 안쓰고 그랬다면 밑에 후배들도 선배가 안 했는데 우리도가 되버림. 옆에 친구가 안하니 나도 안하게 되는. 네임벨류 높은 대학들이 공부 잘하는 애들이 있어서 좋은 게 아니라 그 학교 분위기라는 게 뭔가를 계속 하도록 자극을 준다는 게 좋은 부분인듯
@김정현-b9o4 жыл бұрын
돼버림
@jin7672 жыл бұрын
맞음 자신감을 깔고나가는거지
@사토크로하는전쟁4 жыл бұрын
오늘의 결론 "뭐하지? 뭐하지? 생각하지 말고 뭐라도 좀 해 제발"
@yk51703 жыл бұрын
전문대 건축학과 학생입니다. 원래는 저도 졸업 후 편입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지도교수님께서 지금 대학에서 4학년과정을 한 뒤 대학원을 가는 것과 졸업 후, 또는 4학년 과정 후 유학을 가는 것을 추천하시더라구요.. 어떤 것이 옳은 것인지.. 고민이 많이 됩니다ㅠㅠ
@김경희-r7j5b10 ай бұрын
유학을 추천드려요 영어까지 잘하시면 해외건축취업이나 취업비자로 해외에서 취업도 가능합니다
@Moouy Жыл бұрын
공간관련으로 디자인과와 건축학과 사이에서 어떤 진로를 선택해야할지 혼란의 시기를 겪고 있고 많이 고민하고 있는데 이번 영상으로 얻기 쉽지 않은 현실적인 정보들을 많이 알게 되어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국제통상학과를 다니면서 실내건축쪽으로 진로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학과 출신이 경영경제를 더하면 시너지가 클 수 있다고 하셨는데, 반대로 경영경제를 전공하고 실내건축 자격증을 따서 근무할 때도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을까요? 제 생각에도 전과를 해서 5년을 더 공부하는 것보다는 트렌드와 경제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건축을 공부하는 것도 나름 메리트가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해서 한번 여쭤봅니다!! 현업 종사자 중 비전공자 비율이 얼마나 되나요?
@꽃만두-x1m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많은 조언이 되는것 같습니다!̆̈
@physical_mechanic2 күн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o^^o
@phmtv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오이지-r5m4 жыл бұрын
건축학과 재학생입니다. 진로 고민하던 와중에 실무하고 계시는 건축가 분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정말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올라3 жыл бұрын
아뜰리에든 대기업이든 8~10년차 정도되면 대부분 나와서 나만의 회사를 차려야 하는건가요..? 최종목표가 개인사업체를 만들 것이 아니라면 건축쪽으로 가면 안되는 걸까요?..ㅠㅠ
@phmtv3 жыл бұрын
큰 회사에서 20-30년 장기 근무 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개인 사업은 아뜰리에든 큰 회사든 상관없이 일을 하다 보면 자기 건측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사람들이 있는 데, 그런 분들이 독립하는 거죠. 비전과 성향의 차이입니다^^
@sskey4 жыл бұрын
매번 흥미로운 주제여서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 결론은 항상 비슷한 것 같지만 지금 움직여야 한다는 것을 매번 깨닫게합니다:)
@TV-uh2rz14 күн бұрын
색약이 있어 색 구분을 잘 못하면 건축학과 진학 후 추후 모든 과정에서 어려움이 많을까요? 혹시 아는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정유석-d6g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phmtv4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
@svefn_g_englar4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성원-b5t2 жыл бұрын
건축설계사무소 소장으로써 말씀 드리겠습니다 (종이장사:설계만 하는 사람을 일컷는 말) 종이장사에서 2년제 3년제 5년제 대학원 모두 처음에 일을 하시는 분은 모두 똑같다 라는 말씀을 드릴게요 즉 학력이나 학벌은 의미가 없습니다
@kmyungsic Жыл бұрын
위험한 말을 하시는군요.. 세습을 원하십니까? 민주화론자들은 세습을 원하죠. 님 말대로라면 초등출신 데려다놔도 똑같군요. ^^
@__tomtom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sdafasdfism4 жыл бұрын
유투브 알고리즘에 따라 흘러서 보게되었는뎅, 건축 설계 하시는 분들 자부심이 참 멋있어 보이는거 같아요.
@박어필3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선 찾아보기힘든 자세한 말씀들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phmtv3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peachmilk-a3 жыл бұрын
한분이 얘기하고있는데 다른분이 중간에 이야기 끊고 이야기하는데,, 상대방 의견도 끝까지 들어주시면 좋을거 같네요
@phmtv3 жыл бұрын
좋은 분위기 속에서 수다 떨 듯 녹화를 합니다.전문 방송인들이 어니고 방송 경험도 없는 건축가다 보니 일어나는 해프닝이 입니다. 출연도 고사하는 분들이 많은데 시간내에 참여해주시는 분들이니 약간의 정제 안된 부분들도 너그럽게 봐주시기 바랍니다. ^^ 제작시 더 주의하도록 하겠습니다.
@정-z2z8r3 жыл бұрын
사실 좋은학교에 들어가면 그학교 명성만큼 수준이 높고 질이 좋은 것도 사실이지만 입학한 순간 학교가 지방이든 수도권이든 다 처음으로 건축을 배우는 입장 되는 건데 아 난 지방대여서 수도권 대학애들 못이겨 그러니 난 수준을 낮추자 이런 마인드면 때려 치우세요 자부심을 가지고 재밌게 하다 보면 많이 성장할거에요. 건축은 자신이 재미없으면 못합니다. 그리고 학벌이랑 실무능력은 다른거에요 내가 지방대 나와도 실력이 좋으면 좋은회사 갈 수 있습니다
@안영주-t2y4 жыл бұрын
전문대 건축과를 전공중인 학생입니다. 편입을 목표로 열심히 배우고 있는데 영상을 통해 편입시 공학과냐 학과냐의 선택의 기로에 있는데 영상을 통해 제가 쌓고 만들어 가야되는 스펙에 대해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naraek49844 жыл бұрын
목표가 있어야해요 건축사 하실꺼면 5년제 인증 학전공가셔야하고 보통 그 외 시행사나 시공사가 목표라면 공학가시는게 유리합니다
@띠용-n2l4 жыл бұрын
@@naraek4984 건축학 인증 학교 아니어도 건축사 시험 볼수 있지 않나요? 필요 실무수련 경력의 차이만 있는거로 알고있는뎅
좋은 영상덕에 많이 배워갑니다! 전에 비해 틈틈히 키워드 되는 자막도 넣어주셔서 잘 보고있는데 가끔 정확히 잘 안들릴때가 있고 무슨말인지 잘 모를때가 있는데 여유가 되신다면 말씀하시는 것들 자막으로 띄워주시면 정말 감사할것같아요!
@WayfindingwithMrArchitect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계속 이어서 보게 되네요 ㅎㅎ. 디벨로퍼라는 고급직이 한국에는 잘못된 형태로 자리잡았다는 지적을 해주셨는데 정말 동의합니다. 몇몇 금융사 계열의 시행사들이 생겨나고 있는데 해외는 엄청난 규모의 시행사들이 많죠. 예를 들면 뉴욕의 Related 의 경우 명성있는 다양한 규모의 건축설계사들을(SOM, KPF, DS+R, Heatherwick 등) 통솔하여 Hudson Yards 프로젝트를 실현했죠. 2조원의 투자로 3조원의 가치를 만들어낸 엄청난 사업입니다. 뉴욕 맨하탄의 도시 문화 상업 공간 인프라에서 실현한 혁신까지 고려한다면 단순한 숫자로만 재단 할 수 없죠. 저 거대한 마천루들은 맨하탄의 지하철들이 도착하는 종점 위의 인공대지를 딛고 서있거든요. 또한 거대한 폭풍으로 도시 전체의 전기가 마비되어도 여전히 불빛을 빛낼수 있는 독립적인 에너지 매니지먼트를 하고있죠. 현 시대에는 역순으로 설계에서 금융 파트너를 만나 디벨로퍼로 변화하는 케이스도 점점 보이는 것 같습니다. 해외의 디벨로퍼들은 특히 Development Manager 그리고 Design Manager 라는 직책들이 몇년사이에 많이 자리 잡은 것 같습니다. 다들 경력있는 건축가들을 시행사업의 책임자로서 설계 협력이나 총괄을 시키는 것이지요. 아마 건축 공간디자인 설계 브랜딩이 일으키는 경제적 가치와 설계과정이 기술적으로 최적화 최단화 그리고 획일화 됨으로 그동안 외면당한 부분이 제 자리를 찾고 인정받는 추세가 아닐까 싶습니다. 시행사 뿐만 아니고 테슬라 같은 기업에서도 개발사업을 기획하는 직책으로 경력있는 건축가들을 데려오고 있구요 장기적으로 사내 변호사와 같은 형태로 가지 않을까싶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티넝27724 жыл бұрын
비전공이였는데 늦게나마 30살에 실내디자인으로 대학원 다니고 있는 학생입니다! 한창 대학원 준비할때 채널 알게 되었고 영상 올라올때마다 매번 시청하고 있습니다~ 유익한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phmtv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주변에 많이 추천해주세요~^^
@ChunShic3 жыл бұрын
주순탁 교수님을 여기서 보게 되다니ㅋㅋ
@youngsea2385 Жыл бұрын
대형 설계사무소에서 블라인드 채용한지 몇년 되었습니다. 블라인드로 채용해보니 결과적으로 특정 학교가 몰리는 경우는 있었습니다. 학교정보는 인사팀 담당만 확인하고 지운 상태로 면접관들에게 전달 후 실기, 면접 진행합니다.
@phmtv Жыл бұрын
그렇게 특정 학교가 몰리게 되면, 확실하게 회사에서 원하는 인재 방향에 대한 것이 더 명확해지겠네요. 좋다고만도 할 수 없는 부분이 있네요.
@hgk72694 жыл бұрын
공대라인 중 IT SI업계와 더불어 추노가 잦다는 그곳..
@rnasterpiece42843 жыл бұрын
추노가 잦다는게 뭔가요?
@Mioyf0v03 жыл бұрын
@@rnasterpiece4284 많이 도망간다는거 같습니다
@MyName-cb2fz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깨끗한 직업은 없지 근데 더러워도 너무 더러운게 문제인거지
@새롬-l5b4 жыл бұрын
16:48 ㅋㅋㅋ 이정도 마인드 가져야 성공하지. 사장!!!!!!!! ㅋㅋㅋㅋㅋ
@최연욱-f7c7 ай бұрын
나는 건축학과 중퇴생이지만 아직도 설계에 대한 미련이 있다. 그래서 직업이전을 많이 했다
@wfhjkk-fp2eg1yu3f Жыл бұрын
지방대 건축학과는 솔직히 가망 없다고 봐야죠.. 한국에선 최대한 해외 취업 준비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지방대 학생들은
@짱구-l8j Жыл бұрын
명문대 나왔어도 현장에서는 두세개 현장을 일을해봐야 눈을뜸니다 처음에는 현장 외주 업체하고 많이 충돌합니다 종합건설사는 관리만 할분 시공은 전부다 외주업체가 다하죠 돈을버는것은 관리업체고 외주업체는 최저입찰에 죽기살기로 해야죠
@이재희-i4d4 жыл бұрын
학과출신 건설사다니는데 유익하네요
@사랑스런향기3 жыл бұрын
추후 서른중반 신입으로 가도되나요?
@phmtv3 жыл бұрын
신입은 좀 어엽지만 경력은 자주 뽑습니다.
@N_EWBIE2 жыл бұрын
질문있습니다 경력직도 포트폴리오가 필요한가요?
@phmtv2 жыл бұрын
어느 회사나 직종이나 형태는 좀 다르겠지만 필요하고 제출해야 합니다.
@N_EWBIE Жыл бұрын
@@reiraymond8743 질문 뭐같이 해서 죄송합니다. 생각 없이 그냥 쓴글인데 경력직 포트폴리오는 팀원이랑 같이 하는 일이대부분 이니까 포트폴리오는 어느정도 만들어야 하냐는 질문인데 좃같이 말해서 죄송합니다.ㅋㅋ 그리고 글쓴분께 올립니다. 욕한번 해주셨으니 저도 시원하게 한마디 하고 갈께요 그렇게 충고할거면 하지마세요 그냥 Xㅅ같이 느껴지니까ㅋ 그렇게
@N_EWBIE Жыл бұрын
@@reiraymond8743 잉? 생각은 님이 없는거 아닌가용?ㅋㅋ 모르는 사람한테 욕짓거리 하는거 보면 견적나오는거 같은데용ㅎㅎ 회사에서 말걸어주는 사람은 있나요ㅋㅋ 개찐따 인거 같은데?ㅋㅋㅋㅋ
@flyfly91174 жыл бұрын
큰회사들이 좋은 목적으로 학교를 분배해서 뽑는게 아니라 ,교수들이 현상설계 심사위원으로 들어가니깐, 교수들이 추천하면 뽑아주는거 아닌가요? ㅎㅎㅎ 패널분들도 알면서 방송이라 제대로 말 못하는거 같은데 ㅎㅎㅎ그리고 추천학생은 대부분 교수들에게 아부 또는 봉사하는 학생들 뽑아주는거 아닌가요???
@YHS210193 жыл бұрын
어느정도는 맞아요. 그러나 추천한 학생도 실력이 되야 한다고 해요. 왜냐하면 괜히 추천했다가 자질이 부족한 학생을 추천했다고 하면 교수들 체면도 없어지고 담부터 추천할 때도 애매하다고 하네요.
그니까 학벌을 본다는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철저하게…… 말을 돌려서 하는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yl1099 Жыл бұрын
건설분야 집안일 물려받지 않는 이상. 탈건이 답입니다. 건설분야 순탄아게 먹고사는 먹고사는 방법은, 집안 건설 물려받아야 함. 나머진 고졸로 보면됨(대기업은 전문대졸정도 보상)
@펄라4 жыл бұрын
전문대학원가야 건축사 딸수있는데 갔다온후 32~3살에 취업 가능할까요?
@minkykim43044 жыл бұрын
외국 취업이면 포트폴리오 좋으면 가능하겠지만 한국에서는 힘들다고 생각 됩니다. 자신 보다 나이 많은 사람이 밑에 직원이면 어려운게 사실이니까요. 개인 사업 아닌 이상은 한계가 있을 겁니다.
@펄라4 жыл бұрын
@@minkykim4304 답변감사합니다.
@alexdesign55574 жыл бұрын
주택공사 같은 공기업 건축직도 학과 졸업 후 많이 가는지 궁금하네요!
@Architecture_W4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 재밌게 시청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혹시 토론내용을 신청해도 되나요~? 사무소 개업시 일을 따오는 방법에 대해 토론이 가능할까요?
@phmtv4 жыл бұрын
네 한 시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쉰리 Жыл бұрын
학벌 존나 봄
@말랑카우-t2u4 жыл бұрын
겐진형이 여기서 왜나와? 한국말은 왜이리 잘해?
@daumfancy2 ай бұрын
이언좋
@드래곤볼-z6t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는데 의대 졸업해도 건축기사 시험자격인정 되나요?
@phmtv Жыл бұрын
타전공 대학교를 졸업해도 건축전문 대학원에 들어갈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드래곤볼-z6t Жыл бұрын
@@phmtv 건축대학원 안들어가구요 의대 학사졸업만요~
@phmtv Жыл бұрын
타과 전공은 불가능합니다^^
@드래곤볼-z6t Жыл бұрын
@@phmtv 큐넷 자가진단에서는 가능할걸로 되는데 학과 일반의대 학과명을 어떤걸로 지정해야되나요
@user-lg3bh5db5zКүн бұрын
아뜰리에 소장들이 대형채용말하니 기가차네 ㅋㅋㅋㅋㅋㅋ
@phmtvКүн бұрын
국내외 큰 사무실에게 일해 본 경험들 있는 소장, 교수들입니다. 내용에 문제가 있거나 마음에 안 드시면, 촬영 장소 한 번 오셔서 만나 이야기 나눠보셔도 됩니다^^ 방청 언제나 환영입니다.
@5공수4 жыл бұрын
ㅉㅉㅉ 건축학과라 시공사에서 제일기피하는게 건축학과입니다 5년내내 컨셉과느낌만 얘기하다 갑자기 시공사라니요 건축을 자꾸예술이라고 하는 교수들부터 없어져야합니다
@돈덩어리-f8x3 жыл бұрын
건축은 공학+예술이 맞는데유 예술이 있으니까 건축물들이 아름다운거고 공학이 있으니까 그런 건축물을 지을 수 있는거구 둘다 중요하다고 봐요
@Black_Mamma3 жыл бұрын
예술과 건축 사이의 관계는 많은 분들이 생각하고 있는 문제 같습니다. 전에 피터 줌터를 포함해서 유명 건축가들이 예술과 건축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인터뷰한 글을 읽었었는데 예술은 건축이 될 수 없지만, 건축이 예술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이 주를 이뤘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그들이 강조한 점은 예술=건축이 절대 아니라는것이였죠
@mongsul26923 жыл бұрын
문체부가 인정하는 문화예술의 분야가 맞습니다
@yunjungkim9105 Жыл бұрын
건축 종합예술입니다~다방면으로 지식이 있어야되요
@5공수 Жыл бұрын
@@yunjungkim9105 그~~~다방면이 문제입니다 그~~다방면이 어느하나 전문적이질 못해요 구조도 설비도 지내력도 구조기능미 자~~이게문제가 뭐냐면 5년동안 설계스튜디오에서 보여줄수있는건 a3지에서 디자인 밖에 없다는겁니다 혹여 학생 이라면 법규 대입 설계 재료역학 1.2 정역학 구조역학 동역학 지반공학 에너지설계 등등 증말 피나게 공부하세요 그리고 정말 정말 그노무 포토 폴리오 신경쓰지마세요 아예안하는건 안되지만 뭐 적당이 하시는게 좋으실겁니다 작금에 건축사들은 설계할일 이 없답니다 그저 법원감정 또는 감리등 이 주수입이지요 너무슬픈 일이지만 현실이 그렇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