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공감이 가는 이야기들이 많은 에피소드네요. 한국이건 외국이건 처음 시작은 비슷한거 같네요. 전 뉴욕에서 6년차 공항 설계팀에 있는데, 첫 프로젝트가 무엇이고 어떤 일을 하는것에 제의견이 전혀 반영이 안됐었어요. 지금은 디자인 일을 하고 있지만 첫 3-4년은 실시 도면을 엄청 그랬던거 같아요. 어떤일을 하느냐는 자기가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건축은 역쉬 빡센동네네요.
@Asrai04224 жыл бұрын
앗 저 조합에 신현보 소장님께서 들어가시니 되게 뭔가 신선하네요 ㅎ 나중에 BIM관련해서도 얘기가 나오면 좋을 것 같아요 ㅎ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Ssongonly4 жыл бұрын
신현보소장님입니다
@새롬-l5b4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 정말 좋네요. 이런 내용을 학교에서는 교수들 통해 들을 수 없는데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도 빨리 올려주세요
@새롬-l5b4 жыл бұрын
@@legendhwang889왜인지 슬퍼지네요 ㅠㅠ
@legendhwang8894 жыл бұрын
@@새롬-l5b 슬플께 있겠습니까... 교수랍시고 먼가를 기대하는 학생들이 너무 불쌍한거지요... 학생에대한 열정이 있는 교수가 있겠습니까
@goose-y7v4 жыл бұрын
저분들 다 설계 수업나가는 선생님인데 업자라고 깔필요가있을까요...ㅎㅎ 술자리아니면 이야기못하고 저학년맡으면 이런주제꺼내기도어렵죠...
@legendhwang8894 жыл бұрын
교수에 대한 폄하발언에 불편하신분들을 위해 첨언드리자면, 학생을 지도하고 가르쳐서 사회의 자양분으로 성장시키기위한 교수란 업을 가진인간들이 학생에 대한 열정보다는 외부에 사업체를 가지고 외부활동에 혈안인것들을 지적하고 싶었습니다. 대학교에서 비싼월급받아가면서 양질의 학업에대한 충실보다는 본인 돈벌이에만 관심넘치는 대학교수들. 학생들 등록금이 한두푼입니까??? 대한민국 교수들 자성해라
@강희주-m9s4 жыл бұрын
경력직으로 구직을 하는 와중에 도움이 되는 영상이었어요. 감사합니다.
@phmtv4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_kmk51853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이 되는 토론입니다.
@jungwoonginlondon4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잘 챙겨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ineedlo3 жыл бұрын
아 교수님들 이야기 나누고 듣는게 되게 보이는 라디오 패널들 모시고 이야기 하는? 그런 편안함 느껴지고 재밌네요 짱
@Architecture_W4 жыл бұрын
너무 많이 도움되는 영상이었어요 감사합니다
@phmtv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k8138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현상설계와 실시설계 차이점에 대해 한번 얘기하는 기회를 만들어주셨음 좋겠습니다
@다도-i6j2 жыл бұрын
현상설계 = 공모전(그대로 지어질 확률 0%) 실시설계 = 실제로 지어지기 위한 계획
@Downindowntown524 жыл бұрын
답을 내리기 너무 어려운 주제네요~ 대형혹은 아틀리에도 중요하지만 규모와 상관없이 일 자체가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시스템을 갖고 운영되는 회사를 택하는 것이 중요하지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그래서 건축가로 성장 함에 있어 큰 자양분이 되지않을까 싶어요.
@phmtv4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김세빈-f4q3 жыл бұрын
아직 학생이라 잘 몰라서 그러는데 현상설계는 어떤거고 실시설계는 어떤건가요?
@phmtv3 жыл бұрын
현상설계는 일종의 설계 공모전 같은 거고요, 실시설계는 실제로 건물을 짓기 위해 필요한 설계를 말합니다~^^
@sbangel03153 жыл бұрын
@@phmtv 그렇군요ㅎㅎ 덕분에 많이 알아가요!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jaeminshin8555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기회가 되면은 국내의 현재 설계 Bim 시공bim 토목bim 상황과 앞으로 전망에 대하여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hmtv4 жыл бұрын
다음 기회에 댓글 답변 시간을 만들어 보도록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diet4259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phmtv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noomak2 жыл бұрын
45년전 당시12명 사무소에 입사했는데, 첫 작업이 강남고속터미널 화장실 설계였음. 동대문 터미널을 강남 반포로 이전하는 프로젝트. 봉급이 3만원, 당시 현대건설은 12만원. 결혼하고 자립할수 있어야 부모님에 대한 자식의 도리라는 판단으로 건설사로 옮겼음.
@공삼현일4 жыл бұрын
진로선택에 큰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phmtv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mongsul26923 жыл бұрын
4학년 건축학도인데 이거보면서 대형사무소에대한 인식이 바뀌었네요. 도움되는영상 감사합니다.
@BOUNDLESSPRAISE3 жыл бұрын
절대 아님..~ 실력따라 다름.~
@건공-p9n4 жыл бұрын
건축학과를 5 년제 4년제 나와서 취업을 하는게 연봉차이도 포함에서 급이 다른건가요?
@phmtv4 жыл бұрын
연봉차이는 크게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건공-p9n4 жыл бұрын
@@phmtv 아 그렇군요 근데 설계 할거면 무조건 사람들이 5 년제를 가라고 하던데 3년제 4년제는 메리트가 없다해서 진짜로 설계할거면 5 년제 가야하나요?
@phmtv4 жыл бұрын
건축사 시험 자격이 5년제 학교를 졸업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건공-p9n4 жыл бұрын
@@phmtv 네 맞아요ㅠ
@jaya88414 жыл бұрын
결론은 대형사..?
@phmtv4 жыл бұрын
2편을 보시면 답이 있습니다~^^
@이-w6d Жыл бұрын
요즘 일거리가 없어 공인중개사 보다 도 못한 건축사 사무소 업종 실시설계쪽은 무조건 아웃소싱, 시공(공항, 고속철도, 환승역사, 지하철 , 항만 등) 이 어떻게 되는 지 모를는데... 무슨 요즘 건축과, 건축공학은 거의 학생들이 진원하지 않아요 진짜 공학(그나마 토목, 건축시공쪽)을 해야 먹고 살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요즘 사람들의 인식은 대학의 건축과는 그냥 예체능 계열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먹고 살기가 어려운 직업 이란 거죠 대학 입시에서도 특히 건축과는 거의 지원하지 않아요 일자리도 없고, 전문성이 결어 되다보니... 차라리 일반 예술대학 산업디자인 학과과 더 전망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