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질문 있습니다 해외 제조 공장에 제조비용 지불하고 그 제품을 해외플랫폼에서 해외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상세한 상담을 받고자 합니다
@perfectohot190619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회계사님!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업종코드를 정할 때 1. 해외플랫폼에 입점하여 판매를 하는 경우: 전자상거래 소매업-> 영세율 적용 가능 이렇게 이해하면 되는 것일까요?? 2. 해외플랫폼에서 해외소비자 주문 받고 구매대행을 하는 경우: 전자상거래 중개업인가요?? 아니면 해외직구대행업과 반대인 해외구매대행업은 어떤 업종코드를 사용해야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부가세 환급은 없지만 중개수수료에 대해서는 영세율 적용 가능한 것일까요!?
@chingkook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국내 제품 수출이 아닌 중국 등의 해외제품을 해당국에서 매입하여 국내반입없이 그대로 미국, 일본 마켓에 수출하여 판매하는 경우, 국내사업자의 부가세 계산은 어떻게 되는지요?
@HISTORYEE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 합니다 부가세 영세율과 관세환급은 다른지요?
@미주아 Жыл бұрын
영상감사합니다 질문있습니다 미국에 거주하면서 한국제품을 들여와 아마존 미국현지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소득세는 미국에 내고있는데 저의 경우에도 영세율을 적용받을 수있을까요?
@골드_트리 Жыл бұрын
질문 드립니다. 이베이에서 판매하고 있는 사업자인데요. 에 해외 매출 합산을 원화로 입력해야 하는 걸로 아는데요. 이베이에서 매출내역을 뽑았을때 Total Sales 금액과 Net Sales(Total Sales 금액에서 이베이 판매수수료를 차감한 금액) 금액이 있는데, 둘 중 어디에 환율을 곱해서 원화로 계산해야 하나요?
@JINAMATE9 ай бұрын
간이과세자 해외판매자입니다. 영세율적용한가격으로 매입한 경우,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지않은 계산서를 받고 이것도 매입신고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