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주는 역사 고려거란전쟁 라이브방송 공지사항📌 일시 : 3월 4일 (월) 밤 10시🌙 이익주 교수님과 함께하는 라이브 방송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평소 궁금하셨던 것들을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많은 참여 부탁드리겠습니다!! 😊
@김세훈-m8t Жыл бұрын
권력을 가진 자가 겸손을 겸비하니 모든 일이 대대손손 순조롭게 잘 풀린 것 같습니다
@김혜영-f4y Жыл бұрын
교수님강의 들으면서 오늘날 김은부 공주절도사 같은분 간절히 생각 나네요 권력과 겸손 갗추면 얼마나 바른일들 많이할까 깊이 생각 하게 되고요 큰 교훈 얻습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천지-n9h Жыл бұрын
😊ㅁ
@Good-ii6bl Жыл бұрын
역사적 사실 알고싶을땐 여기로~~!!! 오늘은 김은부 실제 최후 알고싶어졌어요~
@보문사 Жыл бұрын
깊이 있는 강의를 차분하게 알아듣기 쉽게해주시네요. 고맙습니다
@현지숙-g6x Жыл бұрын
참으로 오랫만에 들어 보는 말입니다 "다 좋은 것도 다 나쁜 것도 없다 " 학창시절 아버지께서 해주시던 말씀인데 벌써 반세기가 훌쩍 지났네요
@LYC-f8f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국사수업이 이렇게 재미있었으면... ^^
@jeanchen1866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너무 딱 제 스딸~이에요~^^ 너무 재밌고 유익해요~^^ 교수님은 천상 이야기꾼이세요~^^ 최고예요~
@kdw6666 Жыл бұрын
드라마를 훨씬 유익하게 보면서 역사공부를 하게 되어 너무 좋네요
@정워니-r7h Жыл бұрын
몰랐던 역사 공부 제대로 알고 갑니다
@개망함-t1p Жыл бұрын
잘보고 있습니다 진짜 전문가 같습니다
@개마고원-n7q Жыл бұрын
설명을 들으니까 이자연, 이자겸과 김은부의 관계를 알게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외척에 있어 출발점인 것 같기도 하고 고려 왕실의 근친혼 전통을 바꾸는데 기여를 한 인물로서도 큰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네요.
@박소영-k8w5k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터미널특허 Жыл бұрын
요즘 고.거 전쟁 말도많고 탈도 많은데 드라마. 보는것 보다 역사 유튜브. 해설이 훨 좋으네요.
@SukWon_Jang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요즘 드라마 내용 때문에 더더욱 무삭제판을 기다렸습니다.
@까발-y9m Жыл бұрын
쵝오임 역사영상으론 드라마랑 역사 설명이 겹치니 더 쏙쏙 들어오는거 같고 그러네요
@13무명씨 Жыл бұрын
자주 듣고. 싶어요 많이 우려주세요! 부탁입니다!
@이매듭-b7k Жыл бұрын
너무 감사해요 궁금한 고려역사공부 하게 해주셔서
@sjinhak52675 ай бұрын
그러면 공양왕까지 현종이후의 왕은 모두 안산이씨 김은 1:13:06 부의 자손들이네요?
@여김춘단-u4m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시원한여름-f7l Жыл бұрын
역사를 좋아 했네요 역시 박사 네요 감사합니다
@kaws312 Жыл бұрын
풀영상 감사합니다~😊😊😊😊😊
@밝은하늘-u1d Жыл бұрын
맞는말이다 현종의 장인이되고 자신의딸이낳은 아들들이 현종이후 황위를 이으니 진정 승리자다
@mykang657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yjh0128 Жыл бұрын
너 재밌어요❤ 재업 안했으면 못 봤을뻔
@책방화사 Жыл бұрын
양면성을 갖는다😊
@김도협-y5u Жыл бұрын
저희집안 안산김씨의 시조 김은부 할아버지 반갑습니다
@늘그래-m4t Жыл бұрын
반가요,종씨 저는사직공파33대입니다
@김응용-l9t Жыл бұрын
저도 안산김가 32대 판서공파입니다
@Jio._.o Жыл бұрын
전 의주파에요!
@김도협-y5u Жыл бұрын
@@Jio._.o 저도 의주파
@Jio._.o11 ай бұрын
@@김도협-y5u 오.. 먼친척이겠네요 할아버지가 신의주 사람이시라던뎅
@이춘연-d9t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H-tx5sv Жыл бұрын
😢
@김진성-b6s Жыл бұрын
현종 드라마를 봤지요 아버지와 어머니는 삼촌과 형님의 딸 관계. 현종어머니가 어릴때 아버지 즉 외할아버지가 일찍 소천하여 삼촌인 현종아버지가 보살펴 주었고 이때 어머니는 현종아버지를 사랑했다고 해요. 왕족친근 결혼이 성할때 왕과 결혼했지만 왕이 바로 죽자 키워준 삼촌집에 돌아와 동거하면서 왕후가 외삼촌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혼자살던 삼촌과 정사를 치룬결과 현종을 낳다가 죽자 사생아로 자랐지요. 현종아버지도 현종이 어릴때 소천 했지요 절에서 자라다가 사촌형 목종이 강조의 반란으로 죽고 왕씨가 메아른 때라 현종이 되었지요. 고려성군으로 추대받기도 했지만 왕실을 강건하게 했답니다
@김성희-i9k8k Жыл бұрын
옛날 우리나라 IMF 때 이삿짐 센타가 갑자기 잘됐고, 간판업자 들이 잘됐었어요.
@최영희-f8o9r Жыл бұрын
경기가 불황일 때는 간판 하시는 분들이 돈을 번다고 하드군요.
@무지개님 Жыл бұрын
😊😊😊
@user-gy9iz3tx9x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질문을 여기다 남겨도 되는지 모르겠네요 현종 즉위까지 이루어지던 왕실족내혼의 전통이 족외혼으로 바뀌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방 정비 과정에서 잡음과 반발이 없을 수 없다고는 하나 사서에는 드라마처럼 극단적 갈등양상으로 기록되지는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이 두 가지가 연결될 수 있을까요? 태조 왕건이 그랬던 것처럼, 김은부와 같은 절도사로 지방을 컨트롤 하는 관리나 지방의 유력 호족가문과의 혼맥을 통해 지방을 중앙의 통제하에 넣기 위한 과정을 부드럽게 가져갔을 가능성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김은부가 청렴하고 부지런했기 때문에 대단한 가문의 사람은 아니라고 해석할 수도 있으나, 김은부의 장인의 집안을 보면 원래 유력한 세력이었던 것 같은데, 김은부의 집안이 한미했다면 이루어지지 않았을 혼맥 같습니다. 그로 추론해보면 김은부의 절도사라는 직책과 별도로 김은부의 가문 역시도 유력한 호족가문이었다고 추론할 수 있을 것 같고, 현종과 혼인한 일부 여인들의 아버지나 그 가문들에 대해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은 것을 보면 중앙의 관리나 수도 인근의 귀족이 아니라 지방의 호족가문이었을 가능성도 있을지 궁금합니다
@Luminary03 Жыл бұрын
1등!!!! 1등이요 교수님!
@Good-ii6bl Жыл бұрын
하하하 제가 "공주"... 유머를 좋아합니다~
@Uliascaisar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진도가 너무 빨라요!!😂
@늘그래-m4t Жыл бұрын
역사의 쥬인공
@정워니-r7h Жыл бұрын
피디님 목소리가 어딘가 낯이 익다 ㅋ 사건의뢰 박피디님 아니신지? ㅋ
@킬데이비드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부익-j5g Жыл бұрын
견관승 ㅡ 왕실의 지방의 특산물에 해당하는 옷감이나 식량을 조달자? 어주사 ㅡ 왕의 먹을거리를 책임지는 관리?
@추경화-g2o Жыл бұрын
고려는 약하고 나쁘고 잘못되었다 말하고 조선은 강하고 바르고 크다고 한다면 편향 이라고 해석됩니다
@최상준-m3b Жыл бұрын
고려때가 더 강하 고 조선은 넘 약했 던 것이아닌감요.
@으라차차-n5d11 ай бұрын
박찬호 엘리자베스여왕 드립ㅋㅋㅋㅋㅋ
@HojoJang Жыл бұрын
제가 이해 못하는 점은 왜 육로로 피난을 갔느냐입니다. 해로가 더 수월하고 위험도 덜하지 않았을까요! 태조 왕건도 나주를 확보할 때 수군을 동원하지 않았나요! 게다가 왕씨 문중이 원래 무역으로 부를 쌓은 해상세력으로 알고 있어요!
@별나무-c8e Жыл бұрын
더 위험합니다. 옛날 배 지금 배처럼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나주까지 가는데 좌초 겁나게 되는 구간 몇 군데 있고 폭풍 만나 운 좋으면 강제 외국 여행 운 나쁘면 용궁 여행입니다.
유익보다는 옳음을 위해서 일하는 사람이 없으면 공동체가 다 흔들리죠 그 장본인들이 본디오빌라도 어중이 떠중이 문뚱이
@김태우-k1c Жыл бұрын
어주사는어죽을조리한것일것입니다
@하닷사-s2q Жыл бұрын
무삭제판이라고 하니 야동을 보는 듯....ㅋㅋ
@JayChoi1118 Жыл бұрын
질문: 현종의 두 황후의 어머니가 김씨, 최씨였다면 이미 성종이 왕씨가 아닌 다른 성씨와 결혼했다는 말인데. 그럼 이것도 이미 근친혼이 아니고.
@부드러운카리스마-x8b Жыл бұрын
천추태후가 왕건의 손녀지만 성은 어머니의 성을 써서 황보씨입니다 이런 케이스 아닐까요?
@KKang_KK Жыл бұрын
아버지가 왕족인 경우 어머니 혹은 조모의 성을 따름. 근친혼을 숨기려고 그랬다 라는 설도 있지만 어차피 누구 딸인지 다 아는 왕후가 근친혼 숨기려고 성을 모계 따라 가는 것은 근거가 없고 애초에 왕건때 부터 부인들은 호족 세력의 딸들.. 일종의 정략적 결혼 이었죠..호족 세력의 힘을 얻기 위해 결혼. 왕족을 유지 하기 위해 근친혼을 한다 해도 호족과의 관계를 계속 유지할 수단으로 왕족의 딸의 경우 외가의 여결 고리를 만들려고 외가 성을 유지 한 것이 아닌가 추정 하고 있죠. 실제로 원정왕후만 봐도 궁에서만 살아서 사실상 외가 호족들과는 전혀 관계가 없을진대 김씨라 하니 문화왕후의 본가인 김씨 선산 호족의 끈을 이은 것. 그래서 드라마가 내용이 이상한 것이 성이 같다고 사실 왕후가 호족 세력을 비호 했다고 보기는 힘들죠. 왕실에서 관계를 유지 하게 하는 거지 정작 본인은 왕실에서 자라 왕실에 시잡가 호족과는 전혀 상관이 없어 왕실을 강화 하려는 현종에 반대할 근거가 전혀 없다는....오히려 외부에서 시집온 문화왕후 같은 경우라면 호족 세력을 약화 시키려는 현종의 군현제에 문제 삼겠지만 원정왕후는 그랬다는 기록도 없고 그럴 이유도 상식적으론 없어요.
@본실구-r3o Жыл бұрын
현종의 두 왕후는 성종의 후궁 소생입니다. 첫 왕후는 광종의 딸로 경종의 누이였고요. 원정왕후의 모후인 김씨는 연흥궁주로 불리다가 사후에 문화왕후로 추존됩니다
@하닷사-s2q Жыл бұрын
김은부 무삭제판이라니 김은부가 야동 찍은 줄.....야동세계에서나 쓰는 단어를 역사에...ㅋㅋ
@창우-b4h Жыл бұрын
"KBS 드라마 고려거란전쟁" 시청자소감에.. 귀하가 평생토록 쌓아올린 역사가 날조되고 조작된 식민지 역사가 아님을.. 증명하는 공개요청을 하였습니다! 공개게시판에 나오셔서.. 질문에 답변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시크릿-t8r11 ай бұрын
하승리
@정병창-y8w Жыл бұрын
어향 나주.. 그래서 태조의 훈요10조가 후대에 날조된 증거입니다. 왕위를 물려주는 태자의 정치적 고향이 나주인데, 호남을 배척한다? 그리고도 급할때 나주로 피난간다? 배척한 지역이라면, 그냥 현종을 잡아서 거란에 바쳤겠죠. 배척하지 않았다는 증거입니다.
@playercembalo8248 Жыл бұрын
오죽 했으면... ㅊㅊ
@user-tv2db4sc6n Жыл бұрын
감사해요. 좀더자극적으로 님이야기자제요ㅋㅋ
@f2shshsh11 ай бұрын
김은부가 조국으로 보이네
@김종국-h9q Жыл бұрын
김은부 자기 권세을 위해 딸셋을 희생양으로 만든것은 아비라고 할수없다
@신용욱-v1b Жыл бұрын
덕종이 현종 자식 김은부때문에 현종이 살수 있었음
@여솔-t2s Жыл бұрын
기회주의자의 표본으로 보임
@Putputputgim Жыл бұрын
진짜 고려궐안전쟁 지겹다. 거란이여 오라
@삼삼바위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고려 내부갈등 너무 깊게 들여볼필요없습니다~ 몰입도만 떨어져요~
@이득실-f8x Жыл бұрын
그게 어린 나이에 느낀거냐!
@조철용-m1s Жыл бұрын
개나소나 모두 왕이 됄수있다..
@Qppq00000 Жыл бұрын
김은부 드라마만 보고 느끼는건 얌생이 같네...전장 앞선에서 목숨바친 사람들도 있는데 저 아랫지방 안전한 곳에서 임금눈에 들어서 딸 바치고 출세한 얍삽이...김은부 성품이 어찌 되었든 기회 잘 타서 출세한 인물로 생각됨
@j.c.s7762 Жыл бұрын
원래 기회는 왔을때 잡는법이죠 못잡는게 바보
@신용욱-v1b Жыл бұрын
왕실 근친혼이면 자식도 없었음 김은부 손자가 다음 왕이 되었음 제1왕후 2왕후 모두 아이가 없거나 공주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