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bro~를 잘 못 사용많이 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요.단어를....성대붙여서 내는 소리를 뜻하는 건데, 톤이라고 사용해버림
@권영서-f7e3 жыл бұрын
14:00 이때 소리를 낼때 소리를 뒤로 보낸다는 느낌인가요??
@akamirage12138 жыл бұрын
귀한 영상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__)
@홍석-k5x5 жыл бұрын
최고의강의
@포근포근해8 жыл бұрын
명강의입니다!
@cestlavie7217 жыл бұрын
참교육인이시다. 부끄럼타는 여자학생분 격려로 끝내 가르치시는 과정보고 소름돋네. 존경스럽습니다
@rayaura99862 жыл бұрын
상담을 하는데 성대결절이 거의1년간 꾸준히 와서 기침도 심해지고 정말 힘들 더군요. 목이 아파서 점점 힘없이 말하게되서 더 성대결절이 심해지고 목을 쉴수 없는 악순환이네요. 좋은 강의자료 감사합니다
@Instant_44 жыл бұрын
32:00
@suntwo43847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후두를 내리고 목구멍이 벌어질때 목구멍이 열리면서 혀뒤쪽이 힘이 들어갑니다 이때 올바르게 하고있는건가요? 그리고 목구멍을 열고있는동안 힘이 듭니다 원래 힘을빼라고 하셨는데 목을 여는 힘은 유지해야하는건가요?
@RockLeekorea7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신 느낌은 과도하게 목이 열린 것으로 발성훈련에서는 그렇게 과도한 긴장을 의도적으로 동반시키지 않아야 합니다. 하오니 숨을 들이쉬는 순간 동시에 손가락을 입안으로 집어넣으면 들숨과정이므로 더욱더 혀와 여타의 기관들이 확장됨을 느낄수있을 것입니다. 3~5회 정도 반복후에 손가락의 도움없이 턱을 열어주며 들이쉬게 되면 자연스럽게 호흡과함께 자연스러운 확장이 체험되실 겁니다.^^
@RolandHPD2 жыл бұрын
maschera~~~~음....들어본 단어들이 튀어나오네요
@RolandHPD2 жыл бұрын
근데 정확한 뜻은 몰라서 안써요
@동생-e5p9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RockLeekorea8 жыл бұрын
+김경현 좋은 말씀 제가 더 감사합니다. 메리 크리스마스입니다~~~~!^^ - 이윤석
@therich48375 жыл бұрын
바디사운드 강의를 보고 레슨도 짧게나마 받고 연습한 지 1년이 지나서야 가장 기초적인 호흡과 두성밸런스에 대해 이해가 되는 것 같습니다. 바디사운드 강의 외에도 많은 유튜브 강의들을 참고했는데 결국에는 원장님이 일관되게 강조하시는 원론적인 얘기로 돌아오게 되네요 ㅎㅎ 최근까지도 좋은 영상 올려주시는 것에 감사드립니다
@RockLeekorea5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끝까지 응원하겠습니다!
@-hyakuranofficial91027 жыл бұрын
최고의명강의 자신이 연습을하고있다면 이해가될겁니다
@d4xman448 жыл бұрын
완장님 진짜 잘 가르치시는거 같아요 멀어서 못 다니지만 응원함미다...
@seonghun22024 жыл бұрын
31:41 핵심.. 이거 돈내고 봐야 되는 영상 같아요...ㄷㄷㄷㄷㄷ
@Jun-bd5es3 жыл бұрын
32:25
@손현승-r2i8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강의네요... 봤던강의중 최고
@hayoon618 жыл бұрын
매번 이해하기 쉬운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몸에 힘빼라는 얘기가 선생님 말씀대로 길바닥에 떨어진 진리였습니다...
@RockLeekorea8 жыл бұрын
+ha yoon 감사합니다. 우리가 모두 알고있고 들어봤지만 실제 어떻게 적용되고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그때' 가 되거나 '그때' 가 필요할 때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 이윤석
@은둔자-o9f8 жыл бұрын
우와 엄지손가락 어금니에 넣는거부터 사무라이 칼입에넣는거까지 목구멍 열린다는게 어떤느낌인지 그막연한 것을 동작하나 따라하는것만으로 완벽하게 알겠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땅콩강도8 жыл бұрын
이해하기쉬운 강의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제가 따라하다가 뭔가 이상하게따라하는거같아서 그런데 한가지만 여쭤봐도 될까요??
@RolandHPD2 жыл бұрын
말할 때 중요한 거?전달력이요
@RolandHPD2 жыл бұрын
와~딩동뎅이다~ 귀찮아,,오빠~제가 반말쓰는거는 혼잣말이고, 존댓말 쓰는 거는 오빠한테 쓰는 거에요 .
@RolandHPD2 жыл бұрын
'역시,공부 안 한 애가 젤루 심플한 대답이 나와'
@RolandHPD2 жыл бұрын
'맞아맞아~최대하게 자연스러워야해'
@RolandHPD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힘빼기는 내가 젤 자신있어요
@RolandHPD2 жыл бұрын
인트로 음악이 이상하다고 느꼈는데,오빠 목소리도 이 날 이상하다고 생각하다고 보고있었는데 넘 이상해서 확인해보니 재생속도 0.75 ㅋ였어요
@qjsrotls28 жыл бұрын
원장님 궁금한게 있습니다!! 그럼 노래부를때가아닌 평상시에 말할때 좋은발성은 목에힘빼고 목열고 말해야하는건가요?? 그렇게 말하면 불편하지않을까요??
@RockLeekorea4 жыл бұрын
허밍프로그램 3단계 강의가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것입니다^^ 건강 유의하시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AllisWell-Sunflower7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윤석 선생님. 배우고 싶지만 그럴 여건이 안됐었는데 영상을 통해 정말 많을 것을 배웠고 제대로 된 방법으로 실력이 늘고 있는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계속 올려주세요!! 감사합니다.
@asg54508 жыл бұрын
항상 강의보면서 제대로하고 있는지 아닌지 몰랐는데, 이번에 무료 원포인트레슨 접수되서 정말정말 기쁩니다. 열심히 배워보겠습니다 ㅎㅎ
@심상길-u5q8 жыл бұрын
교정된가성은 훈련으로 어느정도 되는데가창 할때 이 가성으로 노래할순 없으니 저의 목소리를 얹힐려고해도 이상합니다 메일확인 해주시고 해결 영상 주소나 출처좀 가르쳐주세요
@RockLeekorea8 жыл бұрын
+심상길 질문의 답변입니다.바디사운드 홈페이지 www.바디사운드.kr 로 오시면 '홈스터디 강좌' 게시판에 허밍프로그램 강좌를 보시면 정리된 강의를 보실 수있습니다^^
@nogi64844 жыл бұрын
19:30
@jyh24458 жыл бұрын
정말 배우고싶고 특히 원장님이 너무 믿음이가네요 이번년에 취업하고 꼭 배우러 가겠습니다 멀어도 정말 배우고 싶어요 이런적이 없었는데 ㅎㅎ 정말 믿음이가요
@taewookim988 жыл бұрын
제가 높은음..예를들어 바람기억의 "그영원~한 약~속들을"이나 "그바~래~진~기억에"는 편하게되는데 약간 더 낮은"우리의믿음 우리의사랑"이나 "힘차게 걸으리라", "피우리라"파트가 더 힘들어요..약간 목에 힘이들어가는것도 느껴지고..왜그렇죠?
@seungcheol918 жыл бұрын
그부분이 작성자님의 파사지오?구간이라 그런것 아닐까요 ㅎㅎ
@배우리-h8b7 жыл бұрын
부분적인 요령만 가르치지 않고 전체적인 틀 속에서 짚어주시니 참으로 좋습니다. 장효진 샘이 추천할 만하네요.
"노래"라는걸 잘하고 싶어서 요즘 보컬강의를 관심있게 보고있습니다 여러 보컬트레이너분 들의 강의를 듣고보고 하는데 다른분들 한테 없는게 선생님께 있는것같아 "사람" 네 맞는것 같아요 좋은인성 을 바탕으로 좋은예술을 표현할수 있는 말씀 정말 마음에 와 닿고 좋은것 같아요 앞으로 도 좋은 강의 잘듣고 잘보고 꼭 좋은예술을 표현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당 (__)
@zzlouu4585 жыл бұрын
10 15 19.30
@행배꾼8 жыл бұрын
발성을 올바르게 익혔다면 어떤 날은 올라가고 어떤날은 안올라가고 이런 불상사는 일어나지 않겠죠? 전 노래방에서만 노래를 하는데 어떤 날은 되고 어떤 날은 안되더군요 발성이 잘못됬다고 느끼고 원장님 강의 듣고 있습니다
@kang9105266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재대로된 감을 가지고 있으면 항상 비슷한 노래를 할 수 있어요 ㅋㅋ 다만 컨디션에 따라 음정이나 피치 소리크기등이 차이가 나게 되는데 기본이 매우 탄탄하면 이 오차를 좁힐 수 있어요
@TAeJUnJANg4 жыл бұрын
알아듣기 쉽게 비유도 잘하시고 핵심을 콕콕 찝어서 .. Great Teacher Yun Suk Lee
@dudwls71967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 감사해요!!ㅠㅠ 목에 힘을 많이주고 말하는 편이라서 목이 말을 많이 하면 아프고 그랬는데 많이 도움이 되요 ㅠㅠ 그런데 원장님! 궁금한점이 있는데여! 1.목에 엄지손가락을 넣고 연습을 하고 있는데 목으로 숨이 들어오는데 건조해져요 코랑 입이랑 동시에 숨이 들어오고 복식호흡이 되고 몸에 힘이빠져있는 상태인데 목으로 숨이 들어오고 목이 시원하면서 건조해지는데 괜찮나요? 목으로 숨을 쉬면 안좋다느누얘기도 들었엇고 제가 잘 하고있는건지 , 호흡이 이렇게 들어오는게 맞는건지 싶어서요 ㅠㅠ 2.몸에 힘을 빼라고 하셨는데 복식호흡을 하고 배에도 힘을 빼는 건가요 아님 배에는 힘을주고 있어야 하나요? 3.목에 힘을빼고 말을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는데 목소리가 많이 낮아지고 소리가 작아져요 ㅠㅠ 그런데 제가 서비스직 일을 하고있다보니까 소리를 크고 발음을 정확하게 하는게 좀더 일하기 좋은데요~ 목에 힘을 주고 누르듯 말하는 버릇이 있는데 목에 힘을 빼니까 목소리가 내려가고 소리가 좀 작아지더라구요 그러다보니 다시 원래대로 말하고있어요 ㅠㅠ 그런데 평소에 목소리가 크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어서 제가 느끼기에 너무 작아지다고 느끼는건지....ㅠㅠ 정말 강의는 직접 만나뵙고 해야하는건데...ㅠㅠ
@꿈꾸는나비-c7g7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을 적어볼게요ㅎ 1. 입 안에 공간이 확보된 상태에서 숨을 거의 입으로 들이마시게 되면, 입 안이 건조해지는 것은 당연한 것 같아요. 입 안의 공간과 혀의 상태를 잘 유지하면서 코와 입으로 숨을 같이 들이마시는 게 이상적이라고 봅니다. 2. 숨을 들이마신 상태에서 주먹으로 입을 가볍게 막은 뒤, 불어보면 호흡에 압력이 생기면서 자연스럽게 발성에 쓰이는 상체 근육에 힘이 '들어가게' 됩니다. 그렇듯, 배에 힘이 들어가게 되어지는 것이지, 의도적으로 힘을 주게 되면 충분히 숨을 들이마시기 어려워지고, 호흡 부족으로 인한 연쇄적인 불필요한 긴장을 유발시킬 것 같습니다. 3.아마, 붕어님께서 목에 주셨던 힘을 풀고 올바르게 소리내고 계신다는 가정 하에 보면, 그 동안 그런 형태로 소리 내지 않아오셨기 때문에 신체적으로 바르게 소리 낼 때 쓰이는 근육이 단련되지 않아 그런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올바른 형태로 소리를 계속 내시면서 거기에 추가적인 불필요한 긴장을 안 주신다면 소리는 점점 커지고 명확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추가적으로, 목에 힘을 빼려고 하시는 것이 오히려 불필요한 긴장을 유발하고 있거나, 발음이 명확하지 않고, 호흡이 줄줄 새고 있는 것는 것은 아닌지도 체크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12ddasdas6 жыл бұрын
7 30
@du_du_lover6 жыл бұрын
진짜 짱이다..
@시라노-h1x9 жыл бұрын
목을 열 때 비행기 탔을 때처럼 귀가 멍해지는건 왜 그런가요?
@RockLeekorea8 жыл бұрын
+라노시 질문의 답변입니다.들숨과정에서 과도한 확장에 의해 생긴 현상으로 이후 손의 도움없이 자력으로 호흡을 들이쉬며 열어주게 된다면 점차 없어지게 될것입니다. 혹 들숨시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난다는 분들도 계시는데 모두 이후에 자연스럽게 없어지는 증상중 하나입니다^^ - 이윤석
@시라노-h1x8 жыл бұрын
+바디사운드 대표원장이윤석 고맙습니다!
@Arnold_sun8 жыл бұрын
이윤석원장님의경우 옥타브가 어느정도까지 올라가시는지 흔히 김경호 쥬니퍼등의 고음가수들의 노래 부르는 모습이 궁금해지네요.1
@RockLeekorea8 жыл бұрын
+선현덕 음역은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라' 정도인듯 합니다. 헌데 노래에 써본적이 없어서요^^그리고 개인적으로 다른 가수의 노래를 카피하는 것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는 편이라...언제가 부를 날이 있겠죠^^제 싱글앨범의 노래는 kzbin.info/www/bejne/l5bKiZRsnZaJa7s 뮤비로 나와있습니다^^많은 관심 항상 감사드립니다^^ - 이윤석
@나나-r6m8 жыл бұрын
배에 힘을 안주는데 소리가 제대로 나올 수가 있나? 보컬학원이란곳이 저렇게 가르치는구나?
@안선영-h4q8 жыл бұрын
나 나 비명 지를 때 복부에 일부로 힘줌?
@kang9105266 жыл бұрын
나 나 자연스럽게 힘이들어가는 원리를 .... 추구하시는 건데.. 허밍저렇게 잘 가르치는분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