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전 주의점 4가지

  Рет қаралды 79,806

스토리텔링 우동이즘 (이야기 작법)

스토리텔링 우동이즘 (이야기 작법)

3 жыл бұрын

플랫폼 웹툰 웹소설 공모전이라기보다
상금따먹기 작은규모의 공모전들에 해당하는
영상입니다.
#공모전 #기획서
-----------------------------------------
👍🏻 채널 멤버십 회원 가입하기
/ @storymake
-----------------------------------------
📷 인스타그램 (놀러오세요!)
/ udonauthor
-----------------------------------------
☕️ 네이버카페 (스토리 서로 피드백 나누기)
cafe.naver.com/udonstory
-----------------------------------------
[광고, 협찬, 강연, 기타 문의]
📧 E-Mail : hyory486@naver.com
-----------------------------------------
Music from filmmusic.io
"Almost Bliss" by Kevin MacLeod (incompetech.com)
License: CC BY (creativecommons.org/licenses/b...)

Пікірлер: 96
@storymake
@storymake Жыл бұрын
instagram.com/udontoon/ 인스타그램도 놀러와 주세요~
@user-8871
@user-8871 9 ай бұрын
하나마나 한 소리 입만 털지 말고 예시 몇개 좀 가져와바라~ 시박 갑부되는 법 말로는 100개 못쓰냐...결국 지도 모른다는 소리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플랫폼 웹툰 웹소설 공모전보다는 작은규모의 공모전들에 해당하는 영상입니다.
@bordercolliflower
@bordercolliflower 3 жыл бұрын
1:10 ㅋㅋㅋㅋㅋ이거 진짜...... 대부분이 이런 스토리를 만들죠 ㅋㅋㅋ 저도 예전엔 저렇게 하는게 멋있다고 생각했었는데...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이젠 하지마셔요
@user-fc8rv1sh5v
@user-fc8rv1sh5v 3 жыл бұрын
1. 공모전 성향에 맞는 작품을 써라 공모전에서 요구하는 바를 무시하고 혼자만 재밌는 작품을 쓴다면 아무리 작품성이 뛰어나도 상을 줄 수가 없다 2. 구구절절 설명하지 마라 기획서를 쓸 때, 작품에 대해 최대한 간결하고 알기 쉽게 설명해라 3. 차별화 전략을 꾀하라 (2등을 노리는 전략) 정공법으로 1등을 노릴 자신이 없다면 독특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활용해라 4. 확신을 가져라 "이런 건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같은 문장 말고, 반드시 될 거라는 자신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기획서를 작성해라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감사합니다
@user-bg4np8mq1y
@user-bg4np8mq1y 5 ай бұрын
막막했던 공모전이 맥주 먹고 헛소리하면서 대충 휘갈긴 내용으로 뚫리더라고요. 너무 부담 가지기 보다, 즐기면서 하면 잘 됩니다. 개그도 무조건 웃기려는 강박 보다는 같이 즐길때 제일 재밌잖아요.
@moonjakka
@moonjakka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웹툰작가 지망생입니다. 최근 웹툰 공모전에 작품 1,2화와 기획서 및 캐릭터시트를 작성하여 완성하고 제출하엿습니다. 솔직히 캐릭터설정 및 작품내 세계관설정이 디테일하게 짜여져있지않은 상태로 마감기간에 맞추기위해 부족한 설정인 상태로 일단 원고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우동이즘 선생님의 말씀처럼 저의 기획서를 심사위원분들이 보시면서 작품의 준비에 있어서 부족한것을 당연히 인지하실거라 생각이 듭니다. 그럼에도 당선되는 경우가 있는지, 또 저의 생각은 만약 당선이 된다면 원고작업(연재)을 병행하면서 작품설정을 완성해가보자하는 생각인데 이런 경우로 프로작가님이 완결까지 연재를 마무리하신 작가님들이 계신지 궁금합니다~
@user-rv9od6qf2m
@user-rv9od6qf2m 3 жыл бұрын
처음 나가는 공모전이 창작이라 너무 어려웠지만 한달동안 머리를 쥐어뜯어서 스토리를 생각해서 몇번을 그리다가 스토리와 어떻게 그릴지 정해서 학원 선생님께 보여드리고 수정을 해주셨는데 제가 생각했던 꼭 들어가야할 부분들이 사라져 있어서 짜증나고 아쉬웠지만 그래도 할수있다고 생각해서 스케치까지 따놓았지만 결국 안나갔어요 근데 선생님이 제 아이디어를 다른 학생에게 추천해줬는지 다른 학생이 그리더라구요 하나라도 다르게 그렸어도 화나는데 복사해놓은거 마냥 똑같이 그렸더라구요 그거 땜에 너무 속상해서 울면서 집에 와서 엄마가 선생님께 연락해서 너무 속상해한다고 말해줬어요 그래서 선생님이 제게 기프티콘도 주시고 사과하셨어서 저도 죄송하다고 하고 마무리됬지만 제 그림을 따라 그린 학생은 은상을 받았더리구요 너무 화 나요 창작그림인데 자기가 생각한 건 하나 없고 남이 힘들게 생각해서 그린 걸 똑같이 그려서 상을 받는다는 게 너무 어이없어요 물론 선생님의 잘못이 크지만 학생도 잘못이 있다고 생각해요 제 아이디어로 은상까지 받았다고 생각하니 너무 화나요…어디 말할데도 없어서 여기에라도 적고 가요
@whatyjwiwh
@whatyjwiwh Жыл бұрын
완전 미쳤는데요;;
@GoingToSleep
@GoingToSleep 11 ай бұрын
어이털리네
@user-qs3ew5tx9u
@user-qs3ew5tx9u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작가가 되고 싶은 중1 학생입니다. 기획서가 그렇게 중요한줄 처음 알았네요ㅎㅎ 근데 학교 공모전에 정확하게 1번 안좋을때 예시를 써버렸네요ㅠㅠ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이런 꿀팁들을 알려주셔서 감사해요ㅎㅎ
@sundaypopcorn
@sundaypopcorn 3 жыл бұрын
기획서 핵심 내용은 3줄 안에 핵심을 알 수 있도록 간결하게 압축하면 좋다고 하더라고욥!! 👍👍👍 이번 영상도 잘보고 갑니다~ 😉
@user-do9tl3tc8t
@user-do9tl3tc8t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이번에 처음으로 역사 영상 공모전에 참가할려는 대학생 일학년입니다. 다름이 아닌 저작권과 관련 된 궁금한 점이 생겨 댓글 남깁니다. 1. 공모전 제출 영상에 역사 관련 책에 서술된 역사적 사료 또는 표 같은 것을 출처를 밝히고 인용해도 되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또는 책을 서술하신 글쓴이의 허락이 있을경우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지도 궁금합니다. 2. 영화 포스터는 인용이 가능한지와 출처는 배급사로 밝히는지 궁금합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cederwood6445
@cederwood6445 3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전에 한번 공모전 입상해본 뒤로 공모전은 거들떠도 안 봅니다. 혹시 준비중이신 분은 도전하시기 전에 꼭 확인하세요. (웹소설 공모전 기준입니다) 1.공모전에 명시된 상금이 이름만 상금인 선인세인지(상금만큼 매출 달성하기 전까지는 추가수입 전혀없음) 2.공모전 당선시 상금을 미끼로 수익배분율 낮추는지(예: 상금받고 5:5 계약할래 안받고 7:3 계약할래?) 이딴 식으로 상금가지고 장난치는 경우 상당히 많습니다. 제대로 설명이라도 해주는 것도 아니고 계약서에 교묘하게 흩뿌려져있을 거예요. 물론 제 경험이 전부는 아니고 페어플레이 하는 플랫폼도 (무지개 너머 어딘가에) 있겠지만... 웬만하면 야전에서 무료연재하면서 구르고 뛰다가 대중의 호응을 얻어 자연스레 팬덤과 계약을 얻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중요하죠 이거 ㄷㄷㄷ
@Doeo_fox
@Doeo_fox Жыл бұрын
저 공모 나가는데 궁금한게 있어요.. 공모 영역 중에서 캐릭터 그리기/기본 캐릭터 또는 응용 캐릭터 라는거 할껀데 하면 일러스트처럼 그려야 하는지 아님 캐릭터만 따로 디자인 따서 그려야 하는지 모르겠는데 맘대로 해도 되는 겁니까??૮(꒦ິཅ꒦ິ)ა
@user-gd3mc8my8n
@user-gd3mc8my8n 3 жыл бұрын
설명서라는 표현이 굉장히 인상적이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내일은 오늘보다 더 좋은 날이 되기를 바래요!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그랬으면 좋겠어요 히히
@user-pf5nw4kt4x
@user-pf5nw4kt4x 3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이네요! 흠.. 작은 소규모 소설 공모전을 한번 찾아봐야겠네요. 과연 잘 될지는 모르겠지만 한 번 정도 도전해봐야겠네요.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소규모 상금 따먹기 좋아용
@owo_A-ing
@owo_A-ing 3 жыл бұрын
오, 공모전 무서워서 도전 안 했는데 기회가 되면 한 번 해봐야겠네요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상금 따먹기용 작은 공모전도 해볼만하죵
@user-px7wg4mr4q
@user-px7wg4mr4q 3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정보들 정말 감사합니다. 이 영상이랑은 관련이 없는 질문이지만. 작품을 만드실 때, 필요한 역사적 자료가 필요하시면. 그것을 어떻게 찾으시는지 궁금해요. 예를 들어. 십자군 전쟁이라는 큰 흐름에서, 자신이 필요한 자료는 민중의 십자군이라는 하나의 작은 사건이라면. 이것을 찾을 때. 십자군 전쟁 전체를 설명하는 책에서 필요한 부분의 정보를 찾아도 되긴 하지만. 자세히 나오지는 않아. 필요한 사건이 자세히 나오는 서적이 필요한데. 그게 없을 경우에는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해요.
@user-wi6bh5jr9s
@user-wi6bh5jr9s 3 жыл бұрын
한때 팬아트 공모전 참여한 적이 있었는데 심사기준이 랜덤이었던 기억이 나네요... 그래서 두번다시는 공모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답니다 허허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나중에 생각달라지면 해보세요 상금타면 좋아요
@user-sp5fo4cl4n
@user-sp5fo4cl4n 5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용 글짓기 공모전 처음 참여 해보려고 하는데 글짓기 공모전은 꼭 컴퓨터로 해야하나요?-? 원고분량이 워드:맑은고딕,12포인트,2줄간격,6-8장 한글:맑은고딕,12포인트,줄간격250%,6-8장 이라는뎀….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3 жыл бұрын
정말. 굳이 필요 이상으로 "설명" 을 해도 되는 게 과연 좋을까 하죠... 공모전에서 보는 것만이 아니라. 규모가 작지만, 실험적인 시도를 한다거나 그냥 아무거나 다 써서 올리는 걸 보는 맛에 싸게 즐길 수 있는 재미를 보는 곳도 있지요. 다양한 걸 몇십년동안 이런저런 걸 접해보니. 어떤 이야기는 설명이 많아도 그게 재미가 있게 느껴질 정도로 솜씨가 좋았던 것도 있고 혹은 듣기가 좋거나 재미 자체를 느끼기 쉽게 이야기를 보게 되면. 점점 이야기 자체가 굉장히 궁금해질 수 있는 걸 잘 설명해주면 그 매력을 느낄 수 있고 그러한 글은 볼 가치가 있다고 느낍니다. 초반에 구구절절 일일이 풀어서 설명을 쓰는 것 보다는 중후반. 거의 작품 끝날 때가 머지 않았다는 걸 누구나 예측할 수 있을 때. 그 시점에서 제일 중요한 비밀을 알기 쉽게. 주역이 그럴 수고를 엄청나게 들였을 때 독자들에게도 해준다면? 이야기를 보는 사람과 그 비밀을 가장 알고 싶었을 이야기 속 대상에게 누군가가 진실을 알려주는 식으로 잘 풀어헤쳐주는. 정말 좀 밝혀주면 좋을 상황에서 해주면 끝을 향해가는 이야기의 마무리를 하기 전에 풀어쓰기 딱 좋은 적절한 타이밍에 그 순간을 캐치해주면... 아니면 초반부터 떡밥을 잘 깔아놓되 슬쩍슬쩍 다시 회수와 투척을 하면서 소위 밀당을 해주며 치밀하게 잘 준비를 해주다가 때가 되었을 때. 회수를 제대로 하는 그 순간. 설명 자체가 정말 재미가 없지만 않으면 활용 하는 순간. 잘해가고 있구나 하는 게 느껴지고 여기서 마무리까지 잘 해내게 되면 정말 작품을 멋지게 끝냈다는 고평가를 노려볼 수 있는데 문제는 "그래서 대체 뭘 이렇게 구질구질하게 처음부터 내용이 많아? 거기다 뭘 말하고 싶은 거지?" 라는 생각을 초반부터 하게 만들면 그건 그냥 실패 했다고 느낍니다... 거의 쓰는 사람만 재밌을 뿐이니까요. 거기에 혹하는 사람들도 있기는 하지만, 그냥 보는 사람 입장에선 별 재미가 없는 걸 허다하게 봤었던터라 공감이 갑니다.
@user-kn8rc6wc1y
@user-kn8rc6wc1y 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대학교에서 열리는 문예 창작 대회에서 신발을 주제로 쓴 작품들의 심사평이 다들 짠것마냥 똑같이 신발과 가난이란 키워드로 제출한 작품들이 대다수였던 기억도 나네요ㅋㅋ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yrp337
@yrp337 2 жыл бұрын
6:20 정신이 확 드네요 ㅎㅎ 항상 조금씩 꾸준히 해나가는 습관을 미리 들여놔야 창작도 포기하지 않고 길게 할수 있더라구요.
@user-nc9ki9bq4m
@user-nc9ki9bq4m 3 жыл бұрын
언젠가 공모전에 도전해보고 싶었는데 영상 감사합니다 기억해 뒀다가 공모전 도전하게 되면 참고하러 그때 또 보러 와야겠어요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예압ㅁㅁㅁㅁ!!
@i_am_a_fan_of
@i_am_a_fan_of 3 жыл бұрын
전 공모전하기엔 아직 미숙한 것 같아서 일단 초고부터 완성중입니다...ㅋㅋㅋㅋ
@sheldon88
@sheldon88 3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광고 만드는 예술 감독 (Art Director) 입니다. (저도 광고 공모전에서는 국제/국내적으로100개 가까이 받았지만)정말로 뼈를 때리는 본질적인 포인트들을 정확히 집으시고, 돈주고 들어야 될 강의였습니다... 혹시 작가님 작품 있으시면, 보고 싶습니다! (아 참, 구독 이미 했습니다. :)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to9ln7fn5q
@user-to9ln7fn5q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입니다❤
@dlwlrma6916
@dlwlrma6916 2 жыл бұрын
"어쨌든 확신을 가지고 기획서를 작성하세요. 무조건 될거라고 생각을 하고 써야죠. 되면 좋고 안되면 그만이라는 생각은 최선을 다하고 나서 제출한 뒤에 가져야될 생각이구요. 제출하기 전까지는 나는 이거 안되면 끝이다, 이거 안되면 나 죽을거야, 내가 될수밖에 없어, 이렇게까지 했는데 이게 설마 안되겠어? 끝났다, 나는 이제 세상을 씹어먹는다 됐다 이제 뭐 더 할게없다- 이 정도까지는 갈아넣어줘야지 기획서가 에너지를 발휘합니다. 진짜 그런 기획서는 딱 받아온순간부터 에너지가 느껴져요."
@algopa77
@algopa77 2 жыл бұрын
공모전 초보응시자에게 가슴에 팍팍 와닿는 말들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er3vv6oh6l
@user-er3vv6oh6l 3 жыл бұрын
거의 문제에 요구하는 답을 푸는 과정하고 유사하네요..
@user-qh7kl2bw8l
@user-qh7kl2bw8l 2 жыл бұрын
그건 창작이아니깐요^^ 원하는건 돈이고 사회적기준에맞춰야 제가 원하는걸 얻을수있는거죠
@user-ul1wy4bz3y
@user-ul1wy4bz3y 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 감상하고 갑니다~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
@g-tv9146
@g-tv9146 3 жыл бұрын
사실 공모전뿐 아니라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버리면 답이없죠.... 애초에 순수예술하는것도 아닌 결국이 대중에게 선보여야 하는 작품이라면 더더욱. 무엇보다 기획서의 중요성을 지적하는게 핀포인트인듯요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ㅠㅠ
@Ichigopurinneko
@Ichigopurinneko Жыл бұрын
공모전의 성향에 맞는 작품이지만 흔한 것, 조금은 벗어났지만 독창적인 것 중에 뭐가 낫나요?????
@TV-hm3vt
@TV-hm3vt 3 жыл бұрын
영상이 늘 멋져요.무슨 프로그램으로 만드는지 알고 싶어요.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파이널컷요!
@on_and_on
@on_and_on 3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니 저도 대학생 때 공모전 도전해봤는데 어림도 없었던 기억이...그땐 내공이 부족했었습니다. (지금은 되는 척..)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겁나 잘하실 듯 ㅠㅠㅠㅠ
@wavikle4495
@wavikle4495 3 жыл бұрын
웹툰이 아니라 소설 공모전에 도전해보고 있는데, 다음에는 말씀해주신 것들을 고려해서 다듬어봐야겠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네 다 비슷해요
@ilove.u_ha
@ilove.u_ha 3 жыл бұрын
보는 사람을 위하는거! 그게 진짜 정답인거 같아여!!!! ㅎ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정답 경품은 없어요!
@ilove.u_ha
@ilove.u_ha 3 жыл бұрын
우동이즘 스토리텔링 아 ㅋㅋㅋ아쉽다...ㅜㅜㅜㅜㅜ....ㅋㅋㅋㅋㅋ
@WiseyMarimba
@WiseyMarimba 3 жыл бұрын
재능은 싸구려다. 중요한건 훈련이다~오늘은 최초공개부터 미리와서 잘보고 갑니당~😊😊😊😊😊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와이지님 🙏 파이팅!!! 💕 💜 💏
@Platbread
@Platbread 3 жыл бұрын
@식혜 그렇게 생각하면 계속 부정적으로 생각하게됩니다. 죽겠다싶을정도로 노력을 한번만 우리 해봅시다! 저도 축구 완전 개발이었는데 거의 하루에 9시간씩 미치도록 하니까 이제 잘하네요ㅋㅋ
@user-sl5kj2bs8q
@user-sl5kj2bs8q 3 жыл бұрын
2:03 크흠..... 찔리는군....
@user-cx1sh1jq5c
@user-cx1sh1jq5c 3 жыл бұрын
흥행성보다는 평가를 더보나요?
@user-wq8go2sw8s
@user-wq8go2sw8s 3 жыл бұрын
프로그램등 구현을 요하는 공모전은 기술자가 꼭 필요한데 돈주고 구하세요 그리고 아무것도 관여 하지마시고 취준하시면됩니다 발표를 하겠다니 ppt만들겠다니 하시면 구현된 기술을 모르기때문에 오히려 독이 됩니다 취업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돈주고 구하세요! 돌아가지마시고 지름길로 가시길!
@user-bn5rj9wg1z
@user-bn5rj9wg1z 3 жыл бұрын
잠깐 안본 사이에 댓글이 많이 늘었네요. 다들 꿈을 향해 엄청 열정적이라 제 자신을 돌아보게 되네요
@aaa-fs7tc
@aaa-fs7tc 3 жыл бұрын
공모전기획서 쓸때 반말로 쓰나요 존댓말로 쓰나요?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뭐든 관계 없어요
@welcomebox89123
@welcomebox89123 3 жыл бұрын
공모전도 한번 해봐야겠네요 ((ㅇ×ㅇ))0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좋은 경험이에요 상금도 꿀꺽
@user-zk8ry5lf3d
@user-zk8ry5lf3d 3 жыл бұрын
소규모 공모전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넘모 많아야 검색해보면
@hojin900222
@hojin900222 3 жыл бұрын
쓰읍...네이버 공모전 현판장르 '시스템을 초월한 괴물' 최종심 베스트 30에서 떨어졌어요....인기순위도 8~15 왔다갔다 하고 조회수 순위도 16위인데...왜떨어진건지 잘 모르겠어요..혹시 알수있을까요? 너무 잔인한 묘사가 많았나?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넘모 결과에 얽메여있지말고 다시 새작품 합시다!!
@hojin900222
@hojin900222 3 жыл бұрын
@@storymake 흐앙...9월 25일까지는 펀딩을 위해서도 업로드해야합니당 ...ㅜㅡㅜ
@HS_1143
@HS_1143 3 жыл бұрын
앗... 저 첫번째 사례같은 실수한적 있어요. 여자 주인공이라 로판에 넣었는데 완전 모험물에 로맨스는 반스푼 있었나..😥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저도 비슷해여
@user-mm7qy2gn2v
@user-mm7qy2gn2v 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보고 에라이하면서 제출 해봐야겠네요ㅋㅋㅋ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애라아 하면 안되죠 ㅋㅋ
@junghokim6901
@junghokim6901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까 늦게왔다가 돈까스 시켜먹을 뻔해서 영상 다시보러 온 사람입니다(?)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돈가스 드셔야죠 ㅠㅠ
@junghokim6901
@junghokim6901 3 жыл бұрын
영상 보기 직전에 고등어를 먹어서;;
@user-gq3cc7mt1y
@user-gq3cc7mt1y 3 жыл бұрын
우동이즘님 감사합니다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저도용 히히
@user-pn6xw5lb9s
@user-pn6xw5lb9s 3 жыл бұрын
저에게는 아직 머나먼 얘기네요ㅠ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떨어질고 생각하고 해보세요
@user-cb8ke7yq9o
@user-cb8ke7yq9o 3 жыл бұрын
와오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오와
@user-df4uw4rn4z
@user-df4uw4rn4z 3 жыл бұрын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6!
@user-tl7em6ur9z
@user-tl7em6ur9z 3 жыл бұрын
7
@user-df4uw4rn4z
@user-df4uw4rn4z 3 жыл бұрын
아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jm4yb1ft6g
@user-jm4yb1ft6g 2 жыл бұрын
아놔 본인 세계 심취 완전 전데여 아 ㅋㅋㅋㅋㅋㅋ 큐ㅠㅠㅠㅠㅠㅠㅠ
@user-sv1sf9hj3u
@user-sv1sf9hj3u 3 жыл бұрын
이상하다 우리집 요강엔 그런거 없던데 ;
@user-iz8vd2qs2f
@user-iz8vd2qs2f 3 жыл бұрын
이해됬습니다. 그러니 우동이즘님 기획서 보여주세요. (?)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user-iz8vd2qs2f
@user-iz8vd2qs2f 2 жыл бұрын
@@own7801 키키킥..!
@user-bj9sh1qq4j
@user-bj9sh1qq4j 3 жыл бұрын
윽. (뜨끔)
@storymake
@storymake 3 жыл бұрын
키키키
시장 걱정 보다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8:03
작가친구들
Рет қаралды 4,8 М.
Мы никогда не были так напуганы!
00:15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Climbing to 18M Subscribers 🎉
00:32
Matt Larose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Which one of them is cooler?😎 @potapova_blog
00:45
Filaretiki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СНЕЖКИ ЛЕТОМ?? #shorts
00:30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웹소설작가 희망편 : 돈 | 나도 1억 벌 수 있을까?
13:28
웹소설작가 K
Рет қаралды 130 М.
만화 연출 프로젝트 1강
6:59
HummingBird Art Studio
Рет қаралды 15 М.
행동편향 | 기다릴 수 있어야 얻는다
5:20
스토리텔링 우동이즘 (이야기 작법)
Рет қаралды 27 М.
The secret of an attractive character, five ways to create an attractive character,
4:08
스토리텔링 우동이즘 (이야기 작법)
Рет қаралды 176 М.
3 ways to improve your writing skills
3:13
스토리텔링 우동이즘 (이야기 작법)
Рет қаралды 111 М.
Мы никогда не были так напуганы!
00:15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