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ln2xq3ti1e 결국 그 하수구는 어디로 흘러 가냐고요 농촌 어촌 집들도 집 지으면 하수구는 똘로 내지 않나요? 그 물로 벼농사 짓고 똘물은 내천이나 강으로 바다로 흐르고 서울의 아파트들 하수구들은 정화시설 거쳐서 한강물로 흐를거 같고 계곡의 하수구 물은 계곡 거치지 않고 별도로 산 아래까지 내려 와서 정화사업소의 정화 시설로 들어 가나요?
충분히 고쳐서 살 수 있을 듯 하네요. 물소리가 시끄럽다고 하는데, 같은 데시벨이라도 물소리는 차소리보다는 소음 스트레스가 덜합니다. 그리고 실제 문을 여는 기간은 1년에 3달 정도 일 듯 합니다. 그냥 두기엔 아까운 집이네요.
@애플민트-n6z8 ай бұрын
13:05 귀신 지나 감.
@허정희-k1f8 ай бұрын
저렇게 짓자면 돈도 많이 들었을텐데 버리고 갈 정도면 부자인 모양이네.
@광현김-s5r8 ай бұрын
계곡이랑 집이 가까우면 소음 습도 안좋와요 큰비오면 무너질수도 있고
@숙자박-l5x6 ай бұрын
😢😂🎉
@mongguy12745 ай бұрын
창문이 너무 없네요, 습해서 썩은것 같네요, 주위 환경과 맞는 소재를 써야합니다, 설계와 생각없이 지어진집으로 보이네요,
@edmonduskim8 ай бұрын
아깝지 않은 곳이 없지만 유난히 더 틑틑하게 공들여 지은 집 같아서 안타깝습니다. 누군가 다른 분들에게 저렴하게 넘기는 것도 자원을 아끼는 방법이고 적선하는 길도 될 듯. 그런데 돈을 떠나 이런 멋진 계곡 자락에 건축허가를 얻어 집을 짓는 분들의 노하우가 궁금하기도 합니다.
@장연윤-b9q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ㆍ
@김용진-z3n6s8 ай бұрын
가족들과함께 지내던 집인데 방치에해놓았던게 아깝네요
@허현욱-x6o8 ай бұрын
잘 정리하면 살아도 될거 같네요
@YJK-ut2np8 ай бұрын
습기가 장난아니네요 풍수적으로 음택입니다 비워진 이유가 별로 좋은일이 아닌듯 해요 집을 지은 장소가 문제네요
@꼰대기타8 ай бұрын
👍👈
@수수-s5v8 ай бұрын
사람이 살아쓰면 아깝슴니다 마쌤!! 고생하셧슴니다 화이팅!!
@문경샹그릴라8 ай бұрын
늘 감사드립니다
@skb51278 ай бұрын
저렇게 잘 지어놓고 발길을 뚝 끈은 이유가 궁금하네요.
@Joy-z1h3d5 ай бұрын
귀신한테 쫓겨난것 같네요.
@권순정-d6x25 күн бұрын
아깝네요, really.
@옵시디온8 ай бұрын
수고하십니다
@박도현-h7b8 ай бұрын
인간들 왜 저럴까? 저럴거면 하지말았어야지
@권혜숙-p7v8 ай бұрын
빨리 나오세요
@이신혜-h8z8 ай бұрын
천정만 고치면 되나요? 계곡이 어딘지 가보고 싶네요
@천지-e4o8 ай бұрын
이런데는어떻게찾았되요
@황제라그래8 ай бұрын
8년 비워 저렇게 변하다니 . .공사자체가 부실 이겄네....
@김옥순-d5d5 ай бұрын
물소리에 잠이 절로오겠네요 지붕고처서 살면좋겟네요
@강서구-k5r8 ай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집이 너무 아깝네요. 저도 1년정도 돌아다니는데 마음에 드는곳이 없네요. 마카다님 다니실때 잡일하며 같이 다니고싶네요. 가능한지오. 항상건강하시구요
전기판넬한거보니 겨울에는 살기가 힘든 벽돌로 벽을 단열안되는 여름이나 이용을 어딘지 궁금하네요 좋은데 땅이 좁아서 땅값이나 좀 받으면
@덕호-c9f8 ай бұрын
아까워요
@LOVE-vf8bt8 ай бұрын
습기때문에 사람 살만한 곳이 안되는데 그냥 주변경치와 계곡물 소리 때문에 지은것 같은데 살다보니 아니다 싶어서 안 사는것 같네요. 그리고 보통 보면 말기암 환자들이 살기위해 공기 좋은 곳에 황토집 짓고 마지막 희망을 걸어 보다가 돌아 가시고는 그대로 방치하죠. 저의 형님도 몇억을 들어 그렇게 했는데 결국 돌아가시고 집은 거의 방치 상태죠.그리고 말기암 환자들은 급한 마음에 이것 저것 따져 보지도 않고 막 짓다보니 많이 속기도 하고 가족들은 저것 사기인데 싶어도 차마 말을 못하죠.
@최다육8 ай бұрын
물가옆집은 뱀이많아여 .
@김도근-s2x4 ай бұрын
내가 이사가서 살아야지. 경치 좋네요
@필수강-b2p8 ай бұрын
마카다님. 열열한 팬입니다 고생하시구요 항상 건강유의하세요
@유경남-h9g7 ай бұрын
아까워라 물소리 경치 전너무 좋네요 지을땐 돈많이 들었을텐데
@최규일-s8v8 ай бұрын
수리하먼 되것네요 무슨일이 있을길래~ 아깝네~지역이 어디길래~
@사과사랑-p2w8 ай бұрын
돈 많이 들여서 잘지어놓고 빈집으로 방치됀지 오래됀거 같네요~!마카다님 덕분에 잘보고 갑니다~ 감사 합니다~🎉❤😊
@짱퀴벌레유사인류8 ай бұрын
농촌이나 산골의 세컨하우스는 60년대생들만의 잔치. 70년대생 80년대생들도 자연인 생활에 계속 관심가져주면 이렇게까지 되지는 않을터인데 자연을 벗삼는 삶은 60년대생들만의 리그. 그래서 요즘 농촌의 돈으로 처바른 집들도 급급매로 내놓아도 안팔려서 이 집과같이 방치되어 허물어가는 집 졸라 많음.
@별-p5l8 ай бұрын
대폭 낮추어 2억, 1억 5천만원 정도에만 내놨어도 팔렸을 텐데 아깝네요 빈집세에 해당 안됩니까?
@DUKEMASTER-wt9fr8 ай бұрын
귀신살기좋네요
@망한국8 ай бұрын
무허가 건축물
@淸心8 ай бұрын
여기 오데요
@박홍순-i9j8 ай бұрын
황토성분이 없는 황토벽돌 입니다. 자연환경만 오염시켜 놨네요
@영재-o4y8 ай бұрын
Very nice 👌 and ❤good 🎉
@가을-e5g7 ай бұрын
습도가 높으니 나무자재가 썩네, 모두가 아름답게 즐길 계곡을 혼자 차지하려는 욕심에 대한 벌이요
@SS-og1hb8 ай бұрын
계곡 물이 너무 좋은데 방치된 집은 아깝습니다.
@no-turn-left.8 ай бұрын
귀신이 거주 하기 딱 좋은 조건의 집이네요
@shawngreene35248 ай бұрын
저기까지 전기가 들어 왔었나 보네. 멋지게 살다가 떠나신 듯.
@진마호8 ай бұрын
마카다님 추천을 부탁드렸는데기다려도소식이없네요요.
@김금이-g7t8 ай бұрын
이곳은 어디인가요?
@박순웅-t5c8 ай бұрын
자쿠지까지 설치 했네 천년 만년 살 수 있을 것 처럼
@이열혈-x3x8 ай бұрын
자쿠지가 뭐에요 😢 궁금! 사투리인가요?
@신현구-o2f8 ай бұрын
기포를 발생시키며 목욕하는 시설. 스파나 월풀 욕조로 이해하시면 될 듯합니다. ^^ 사투리가 아니고, 미국의 욕실 설비 브랜드명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열혈-x3x8 ай бұрын
@@신현구-o2f 네!🙇♀️
@야생화-v3b8 ай бұрын
저렇게 돈을 많이들여 집을 지어놓고 왜 떠나버리신걸까 ᆢ 정말 아깝네요 돈을많이 들였을듯요 전기도 들어오는걸보니 그렇게 오지는 아닐듯 싶어요 ᆢ정자도 돈좀 들어갔겠어요ᆢ
@real98478 ай бұрын
얼마죠??
@소원-t7x8 ай бұрын
얼마나 돈이 많으면 방치 해났을까요
@대한사랑-v9t8 ай бұрын
여름철에 가끔가서 자고옵니다. 살림,손대지 마시길....
@YSH-qp9lk8 ай бұрын
빈집구합니다😊😊😊
@금은동-j7s7 ай бұрын
지붕하고 바닥재 전기만 손보면 될듯. 깔끔.
@외과청설모의원8 ай бұрын
지붕이 새서....다 조 졌네.....
@이태현-w4f8 ай бұрын
이삿갓님 여기가 아디입니까 좀알려주이소 내고향는 영천이구요 지금는 남양주에 거주합니다
@진마호8 ай бұрын
마카다님 이런집 을 구하고있는데 추천하여주시지요 기다려도 되겠습니까 2년동안이런집을 찿았는데요....
@이태현-w4f8 ай бұрын
마카다님 현건물 매매가 안되나요
@노을희-u1i8 ай бұрын
개구리 소리도 소음 입니다ㅠ
@강신구-x9d8 ай бұрын
마카다님. 오뎁니껴?
@보수주의자-h6i8 ай бұрын
서울에 재건축하면서 철거하는 집들보면 가끔 괜찬은 집들이 많은데 저런집 철거하고 APT 짓는경우 많습니다 왜 지방만 가면 아까워야 합니까 서울은 더좋은집도 철거하고 APT 짓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