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비용 7000만원? 청년이 결혼할 수 없는 사회

  Рет қаралды 75,941

충코의 철학 Chungco

충코의 철학 Chungco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결혼식 문화 및 비용에 대해 다뤄봤습니다. 요즘 저출산의 이유로 결혼 자체가 어렵다는 것도 많이 꼽히죠... 앞으로 우리나라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요? 재밌게 보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충코의 책 -
📖 2023~2024 신간 「가장 사적인 관계를 위한 다정한 철학책」
교보문고: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1727769
쿠팡: link.coupang.com/a/buhzcc
📖 2023 「철학자들은 대체 무슨 생각을 할까」
예스24: www.yes24.com/Product/Goods/119577626
쿠팡: link.coupang.com/a/buhzV1
📖 2022 「어떤 생각들은 나의 세계가 된다」
예스24: www.yes24.com/Product/Goods/119577626
쿠팡: link.coupang.com/a/buhz5f
** 매주 수요일 저녁 8시 30분~10시 30분 라이브 방송 진행합니다. (방송 진행 못하게 되면 커뮤니티에 사전 공지 합니다!)
* 인스타그램: chungco_phil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Пікірлер: 852
@chungco_phil
@chungco_phil Ай бұрын
- 충코의 책 - 📖 2023~2024 신간 「가장 사적인 관계를 위한 다정한 철학책」 교보문고: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1727769 쿠팡: link.coupang.com/a/buhzcc 📖 2023 「철학자들은 대체 무슨 생각을 할까」 예스24: www.yes24.com/Product/Goods/119577626 쿠팡: link.coupang.com/a/buhzV1 📖 2022 「어떤 생각들은 나의 세계가 된다」 예스24: www.yes24.com/Product/Goods/119577626 쿠팡: link.coupang.com/a/buhz5f ** 매주 수요일 저녁 8시 30분~10시 30분 라이브 방송 진행합니다. (방송 진행 못하게 되면 커뮤니티에 사전 공지 합니다!) * 인스타그램: chungco_phil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Awesome-im1sf
@Awesome-im1sf Ай бұрын
길어봐야 두시간?하는 행사에 7천을 태워 ㅋㅋㅋ 그놈의 한번뿐인 ㅋㅋㅋ 한번이 아니게 될수도 있는데
@user-fl4wb3ft3v
@user-fl4wb3ft3v Ай бұрын
이혼률 세계탑티어임ㅋ
@Miritari-korea
@Miritari-korea Ай бұрын
차라리 교회에서 해라 에휴
@onion744
@onion744 Ай бұрын
​@@Miritari-korea않이 그건 종교가 다를수도 있고 하니 꼭 그게 맞는것 같진 않음 ㄷ
@qhgpfp0
@qhgpfp0 Ай бұрын
​@@onion744교회에서 하는 결혼식은 종교를 떠나 상징적인 문화가 될 순 있음 일본 같은 경우 기독교 믿는 인구는 1%도 안돼도 결혼식은 교회에서 해서 교회컨셉 결혼식장이 유행인것 처럼
@Praise_The_Sun_
@Praise_The_Sun_ Ай бұрын
이혼율 50%.. 집값 떨어지기 시작하니까 포털 실시간검색순위 1위가 이혼 ㅋㅋㅋㅋ
@user-nohandleplz
@user-nohandleplz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한국의 많은 문화를 보면 "광기가 일상이 된 나라" 라고 느낍니다. 뭐든 중간이 없고, 광적이고 극단적인 사례들이 어느샌가 일반적이 되어 있어요. 성적은 무조건 1등, 사회에선 무조건 성공, 애낳고 살려면 무조건 압도적인 돈, 혼수는 무조건 1등 브랜드, 여자한테는 무조건 명품선물. 무엇 하나라도 저 숙제들을 달성하지 못하면 혀를 차면서 패배자로 보는 광기스러운 풍조가 아주 일상적입니다. 광기가 이미 광기인지도 모르는 지경인 것 같아요. 눈치 문화가 사회를 지배하는 수준이라, 뇌 비우고 남이 하는대로만 따라하는 사회인 것 같습니다.
@sosososo-gi7rv
@sosososo-gi7rv Ай бұрын
아이러니한점은 한국은 노인 빈곤율 OECD1위이고 대부분 안좋은 지표는 다 1위입니다 경제성장률도 1%왔다갔다하고. 앞으로 얼마나 돈죠랄을 할수있는지 지켜봅시다. 거품경제가 얼마까지 가는지 궁금하네요 아 결혼의 결과도 참 처참한데 섹스리스 세계1위, 이혼율 아시아1위 실질이혼율이 50%된다고 생각하면됩니다. 혼인율도 점점 낮아져 20대30대초중반 적령기 미혼율이 70%이상 육박합니다. 한국의 상황을 흥미진진하게 지켜보고있어요
@Someone111ify
@Someone111ify Ай бұрын
ㄴㄴ 진짜 광기면 닥치는 대로 사람 죽이고도 즐거운 일상이어야만 광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Y-raise
@Y-raise Ай бұрын
@@Someone111ify 마녀사냥으로 여럿 죽였잖아요ㅎ
@user-yl8wv9gv9v
@user-yl8wv9gv9v Ай бұрын
솔직히 누가 패재자로봐 지가 지스스로 그렇게 생각하니까 그꼴이지 관심이나있어? 본인이 자랑 안하면 알 수도 없는거가지고 지스스로 상처내는 병신들에게는 뭔 약이 먹힐까
@user-vb8ln5hi3y
@user-vb8ln5hi3y Ай бұрын
​@@Someone111ify광기가 이미 광기인지도 모르는 지경. 광기도 극단적으로 정의하네
@sanglee7877
@sanglee7877 Ай бұрын
이미 결혼식은 "부모 재력 과시쇼"가 된지 오래입니다 가장 사적인 남녀간의 문제인데도 두 집안의 "덕 보는 이벤트"로 변질했고요 그런거 안하고 그저 둘이 잘 살면 되는데 그럼 또 "무책임한 동거" 이런식으로 색안경을 쓰고 보죠
@user-fl4wb3ft3v
@user-fl4wb3ft3v Ай бұрын
방금 난 결혼식 안 한다고 했다가 등짝오지게 맞음
@JL-fd2hs
@JL-fd2hs Ай бұрын
남녀 둘이 좋아서 각자 적당한 가격 맞춰서 하기로 했는데 부모가 끼어들면서 수천만원으로 불어났다는 이야기도 흔하게 접할 수 있죠.
@user-jo9hj3qo5d
@user-jo9hj3qo5d Ай бұрын
이거 진짜 공감합니다. 사랑하는 사람 간의 결혼이 아닌 부모 재력 과시 행사 같다는 거...
@Aone-td9tn
@Aone-td9tn Ай бұрын
웨딩홀은 ㄹㅇ고만고만해서 볼것도 재력과시할것도 없던데요,,, 차라리 5성호텔식이면 손님입장에서 대접받는 기분도 나고 잔치같아서 기분좋게 가는데 공장식 1-2시간짜리는 ㄹㅇ 왜 하는지 이해불가......근데 그런 곳들이 천단위 드는게 충격ㅎㅎ
@jellyrolly
@jellyrolly Ай бұрын
원래 결혼이라는 제도 자체가 두 집안은 결합임. 사랑으로 결혼한 역사나 유럽에서도 굉장히 짦음. 이건 확실히 개선해야 하는 문화이긴 하고.
@andvvbb
@andvvbb Ай бұрын
정작 사람들은 결혼식 관심없음... 밥 맛있는거 나오나가 제일 궁금 주말인데 밥 먹고 집에가서 쉬고싶은 생각뿐...
@user-qi8ij1ej6i
@user-qi8ij1ej6i Ай бұрын
축의금 거금 10만원이나 낸는데 부폐음식이 왜이리 후져....😅😅😅😅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Ай бұрын
남녀 둘이 모여서 "저희 같이 삽니다잉" 말하고 끝나는데 7천
@user-no2ni1sb1s
@user-no2ni1sb1s Ай бұрын
맞아요. 지나고나면 별것도 아닌데요.
@ccmt2568
@ccmt2568 Ай бұрын
미개한 문화노
@user-qf2oc4mp5j
@user-qf2oc4mp5j Ай бұрын
연예인놀이, 왕자.공주놀이처럼 보이는 어색한 행사..
@AF-qk8ty
@AF-qk8ty Ай бұрын
다른 국가는 저걸 2박 3일을 해. ㅋㅋ 일본만 해도 저걸 1박 2일을 하고
@Alessandro-ft5kc
@Alessandro-ft5kc 26 күн бұрын
​@@AF-qk8ty 다른국가 어디? ㅋㅋㅋ 친구들끼리 즐기는거지 개나소나 다부르고 보여주기식으로 하지않아 ㅋㅋㅋㅋ 제발좀 ㅋㅋ
@user-nd1ow1os8y
@user-nd1ow1os8y 10 күн бұрын
@@AF-qk8ty 일본은 반반 결혼 하니까... 근데 한국은 신랑 독박 부담이야..ㅋㅋ
@kiky_witch
@kiky_witch Ай бұрын
유교, 자본주의, 서양갬성이 섞인 혼돈의 한국 결혼식 문화
@kimbo-kyoungclairehana599
@kimbo-kyoungclairehana599 Ай бұрын
서양도 저렇게 안해요 ㅋㅋㅋ 프랑스 결혼식 비용 몇 백만원선이라던데 내 볼때 저건 오로지 한국만의 상납문화에서 오는 거 같은데요? 웨딩홀에 상납, 레스토랑에 상납, 드레스 샵에 상납, 메이크업샵에 상납; 회사 사람들에게 상납;
@idealist_87
@idealist_87 Ай бұрын
결혼인지 장사인지 알수없는 한국결혼식
@user-ph3et4zs6g
@user-ph3et4zs6g Ай бұрын
한국 남자들은 국제결혼으로 가고, 한국여자들은 그들이 그토록 울부짖던 당당한 비혼 응원합니다. 그 마음 절대 변치 마시고 꼭 당당하고 우아한 비혼 라이프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이제는 각자 도생의 시대 입니다!
@user-rb5uh4uo5w
@user-rb5uh4uo5w Ай бұрын
정확히는 유교 자본주의 서양겜성의 나쁜건 다 골라와서 짬뽕
@NeighborSider
@NeighborSider Ай бұрын
변질된 유교사상을 버려야 함.
@The1Baileys
@The1Baileys Ай бұрын
망조가 안 든 분야가 없넹
@user-yl8wv9gv9v
@user-yl8wv9gv9v Ай бұрын
국민들이 망조가들어서 그래
@user-ph3et4zs6g
@user-ph3et4zs6g Ай бұрын
한국 남자들은 국제결혼으로 가고, 한국여자들은 그들이 그토록 울부짖던 당당한 비혼 응원합니다. 그 마음 절대 변치 마시고 꼭 당당하고 우아한 비혼 라이프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이제는 각자 도생의 시대 입니다!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Ай бұрын
저렇게 안하면 되는데 그놈의 "축의금".......... 지금도 저희 부모님은 매달 청첩장이 날라옵니다;;; 매달 돈을 내는 중... 이러니 본인들도 자식 결혼시켜 돌려받으려고 하죠... 과시가 아닙니다. 뱉은 돈이 너무 많아서가 문제에요... 날라오는 청첩장, 축의를 안할 수도 없고... 자식들은 저렇게까지 하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문젠 부모가 뿌린 돈이 너무 많고... 그걸 수거하는데 어설프게 밥도 별로고 교통도 별로인 곳에서 결혼을 하기도 뭐해서 적당한데 찾는 겁니다.
@hawk9938
@hawk9938 Ай бұрын
국가적 거대한 곗돈이란 표현이 있죠 ㅋㅋ
@and6862
@and6862 Ай бұрын
그런 부모세대를 위해주고 싶은 마음이 생기지도 않고 도움받을 일도 없다면, 그냥 무시하고 안하는 게 정상입니다. 전 결혼식 올렸지만 앞으로는 자연스레 줄어들 것이라 봅니다.
@hawk9938
@hawk9938 Ай бұрын
@@and6862 본인이 하기 싫다고 안할 수 있나요? ㅋㅋ 사위가 결혼식 안하겠다고 하면 '그래 우리 사위가 참 알뜰하구나'하는 장인어른이 대한민국에 있을까요? 장모님부터 뒷목잡을거 같은데 ㅋㅋ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Ай бұрын
@@and6862 도움을 안받아도 무시 할 수 없습니다.^^ 경제적 자유를 얻고 넉넉한 부모님이면야 쿨하게 결혼식을 안하거나 가족끼리 하면 된다고 할지 모르지만 과연 그런 부모가 몇이나 되겠습니까. 님같은 생각을 가지고 실천할 수 있는 분들은 부모님과 사이가 안좋거나 받을게 없거나 아니면 부모님이 엄청난 대인배이거나 인 경우 밖엔 없을겁니다.
@user-ir1pn2uv9b
@user-ir1pn2uv9b Ай бұрын
축의금 이라는게 어려운 시절에 품앗이처럼 서로서로 도와주자고 형성됀거 같은데 지금은 한몫잡는거로 변질...
@pionarlesmordo9310
@pionarlesmordo9310 Ай бұрын
한국의 결혼식 =부모님 자식농사 성적표 받는날 =부모님 축의금 회수하는 날
@user-ji3uv7lz2f
@user-ji3uv7lz2f Ай бұрын
그런 성적표와 축의금 때문에 앞길이 구만리 같은 자식이 힘들고 아픈겁니다 앞선 세대들의 인식변화가 시급한데..바꿀수가 없네요 방법이 안보입니다
@user-ph3et4zs6g
@user-ph3et4zs6g Ай бұрын
한국 남자들은 국제결혼으로 가고, 한국여자들은 그들이 그토록 울부짖던 당당한 비혼 응원합니다. 그 마음 절대 변치 마시고 꼭 당당하고 우아한 비혼 라이프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이제는 각자 도생의 시대 입니다!
@mqmq9245
@mqmq9245 Ай бұрын
@@user-ph3et4zs6g 응우옌 왔노 ㅋㅋㅋㅋㅋㅋㅋ
@ssc7597
@ssc7597 Ай бұрын
​​@@user-ph3et4zs6g할일더럽게 없나보다 와..나같으면 산책이라도한다.
@ssc7597
@ssc7597 Ай бұрын
​@@user-wh4pq3nb8f막말로 돈보따리들고 브로커한테 동남아여자 소개해달라거나 뱅기타고 카오산로드같은데서 셔츠입고 태국여자들한테 말걸어가지고 헌팅한다고 땡볕서 개고생해대는것도 못할짓임
@bsjnlauhbsmwa
@bsjnlauhbsmwa Ай бұрын
20후반 남친과 도합 3억 모았고 자차있고 부모님 경제적으로 여유 있으셔서 장기해외골프여행 일년에 두번정도 가시지만 저희는 결혼식 생략했고 가전도 새거 거의 안사고 맘에 드는 중고 찾을때마다 들여놓으면서 살고 있어요. 대출받아서 집 산다지만 더 모아야 상급지 갈 수 있을 것 같아서 집 살때까진 계속 모을겁니다. 결혼식 남들한텐 의미없고 돈시간 아까운 남의 행사일 뿐인데 어거지로 불러 모으기도 싫고 잘못된 문화 입으로만 비판하고 편승하기도 싫었어요. 남들도 다 안했으면 좋겠어요.
@poorbird2023
@poorbird2023 Ай бұрын
상급지요? 상급지가 뭐죠?
@user-pz1vl7uq3j
@user-pz1vl7uq3j Ай бұрын
@@poorbird2023모르면 찾아보시지 지금 본인기준의 주거환경보다 더 나은 주거환경으로의 이동에 대한 이야기할때 주로 상급지라는 단어를 씁니다 제가 알고있는건 이거고요 네이버검색이라도 다시해보세요
@TK-zb2cr
@TK-zb2cr Ай бұрын
​@@poorbird2023집값이 비싸고 잘 오르는 땅이요. 대표적으로 강남 같은 곳이요. 한 마디로 좋은 동네 문맥상 저기선 3억으로 살 수 있는 집 보다 더 모아서 좋은 곳을 가겠다는 것 같습니다.
@bb9799
@bb9799 Ай бұрын
멋있다 다들 이래야함
@user-ph3et4zs6g
@user-ph3et4zs6g Ай бұрын
한국 남자들은 국제결혼으로 가고, 한국여자들은 그들이 그토록 울부짖던 당당한 비혼 응원합니다. 그 마음 절대 변치 마시고 꼭 당당하고 우아한 비혼 라이프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이제는 각자 도생의 시대 입니다!
@noyfb6060
@noyfb6060 Ай бұрын
진짜 좀 미친거 같아요.. 주변에 결혼식 가면, 나도 저렇게 해야하나...
@user-wz4ul1gk4l
@user-wz4ul1gk4l Ай бұрын
결혼비용이 2천이 적정한지 4천이 적정하기 따지기 전에 자기 소득, 재산수준이 얼마인데 얼마만큼 결혼식에 지출할지가 더 생산적인 논쟁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은 고도성장을 겪는 과정에서 소득이 상향편준화된 만큼 소득수준이 낮아서 겪게되는 합리적인 결정을 구차하고 부끄러운 것으로 바라보는 문화가 생겼는데 이런 이유로 소득이 낮은 계층들 마저도 어거지로 자기보다 윗급의 결혼식 문화를 그대로 가져와서 하는 경향이 생겼습니다. 앞으로 결혼식 문화는 일본처럼 양극화가 진행되어 중산층 이상에서는 결혼식을 크게 올리고 그 외 계층에서는 결혼식을 간단하게 혹은 하지 않게 되는 추세가 진행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idealist_87
@idealist_87 Ай бұрын
돈이나 소득수준으로 직업과 사람의 귀천을 나누는 한국의 천민자본주의가 모든 것의 뿌리 같습니다
@user-ph3et4zs6g
@user-ph3et4zs6g Ай бұрын
한국 남자들은 국제결혼으로 가고, 한국여자들은 그들이 그토록 울부짖던 당당한 비혼 응원합니다. 그 마음 절대 변치 마시고 꼭 당당하고 우아한 비혼 라이프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이제는 각자 도생의 시대 입니다!
@user-xu8rz1ig6r
@user-xu8rz1ig6r Ай бұрын
이미 결혼의 양극화는 심해지고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정확히 그래요ㅎㅎㅎ
@sjy6070
@sjy6070 Ай бұрын
화폐의 가치가 최근 급격히 떨어진 부분도 고려 해야 합니다.
@user-id4sl7yb5w
@user-id4sl7yb5w Ай бұрын
일본처럼 혼인신고만 하고 사는 시대가 올 것.
@user-kd1qr6ny9b
@user-kd1qr6ny9b Ай бұрын
허영심이 많아서 불가능해요 ㅋㅋ 일본사람들 우리나라사람 만큼 명품 좋아하는것도 아니고
@user-ji3uv7lz2f
@user-ji3uv7lz2f Ай бұрын
자여들의 인식이 문제인데..글쎄요 나라가 망하기 이전에는 바뀌지 않을공산이 큽니다
@mitsukyoung1031
@mitsukyoung103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부모님들이 반대해요ㅋㅋ 일본남이랑 결혼했는데 진짜 식올릴것없이 혼인신고만해서 살고싶었는데 저희부모님이 어떻게 식도안올리고 사냐며 한국에서 꼭 식올리라그래서 마지못해 올렸네요.. 우리나라부모님들이 인식바뀌어야해요..
@user-id4sl7yb5w
@user-id4sl7yb5w Ай бұрын
@@user-ji3uv7lz2f 인식이고 뭐고 주머니털리고 다같이 거지되서 일본여행도 못갈판 되면 다 저렇게 될것같습니다.
@leejason7946
@leejason7946 Ай бұрын
부모가 반대해도 본인생각은 없나? 본인인생사는건데 부모가 뭐가중요하지? 잘못된거엔 반대하고 해야지 ㅋ 뭐만하면 부모가안바뀌어요 탓만 ㅋㅋ
@user-ji4gz6zd7c
@user-ji4gz6zd7c Ай бұрын
44살 아재입니다 35살이후 결혼식 안갑니다 축의금 5만원만합니다 이제 24년부터 축의금도 안할예정입니다 결혼못할거 같아서요
@user-vu3zx1uv6t
@user-vu3zx1uv6t Ай бұрын
저도 안하고픈데 어쩔수없이 5만원 보냈습니다. 같이 하지맙시다.저도 안할거거든요
@user-ph3et4zs6g
@user-ph3et4zs6g Ай бұрын
한국 남자들은 국제결혼으로 가고, 한국여자들은 그들이 그토록 울부짖던 당당한 비혼 응원합니다. 그 마음 절대 변치 마시고 꼭 당당하고 우아한 비혼 라이프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이제는 각자 도생의 시대 입니다!
@ssc7597
@ssc7597 Ай бұрын
결혼식날 안부르고 하객수줄였더니 내가갈일도 줄어서 너무편함 인맥정리도 했고요
@user-kv9zq6gy9z
@user-kv9zq6gy9z Ай бұрын
나랑 친구네.나도 결혼포기했다.어차피 이제 결혼하는 친구도 없잖아ㅋ.그냥 노후 준비나하자.난 적금은 200씩 넣으면서 모아놨던돈들은 전부 IBK 배당금에 다박았어.가뜩이나 외로워 죽겠는데 늙어서 굶어죽을수는 없으니ㅜㅜ
@user-sk9ce3cc6j
@user-sk9ce3cc6j Ай бұрын
오늘자 밥값 75000원이더래요 10만원냇습니다.
@mjp2994
@mjp2994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고쳐져야할 부분이 많아요.. 좋은방향으로 바뀌길 바래봅니다.
@user-to7ce8ty4k
@user-to7ce8ty4k Ай бұрын
결혼비용 작지만 기부했구 걸어서 전국일주하고 아침해 보면서 해운대 바닷가에서 ...우리들만의 결혼함 결혼이 한달정도 걸림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vu3zx1uv6t
@user-vu3zx1uv6t Ай бұрын
겁나 멋짐!내가 딱 꿈꾸는건데
@user-vi3su1ci4q
@user-vi3su1ci4q Ай бұрын
낭만
@user-hi4wo6fn4n
@user-hi4wo6fn4n Ай бұрын
멋져요🥰
@jhs1004666
@jhs1004666 Ай бұрын
시간이 지나면 다 잊혀지고,불필요했다는걸 느끼게 됩니다.차라리 아껴서 집사는데 보태세요.미래가 좀더 편해 집니다.순간의 선택이 평생을 좌우한다. 7천?일반사람들이그 돈을 통장에 모으는데 얼마나 걸리고,그러기 위해 어떤 고통이 따르는지 생각해보자.
@kkukku99
@kkukku99 Ай бұрын
전 결혼식이나 드레스 등.. 로망이 1도 없는 여자라 그런지…안하고싶은데😂남자친구 부모님이 결혼식은 간소하게라도 해야하지않냐는 입장이라 갈등중이네요 ㅠㅠ 저와 저희 부모님은 안해도된다는 입장이라.. 그 돈으로 실질적으로 사는데 보탰으면 싶거든요 친하지도않은 얼굴도 모르는 부모님 지인들 앞에서 전시하듯 ? 결혼하는게 성향에 정말 안맞기도하고 ..전 아니지만 남친이 천주교 신자라 그냥 신혼여행가서 작고 예쁜 성당에서 둘이 의미있게 반지나 주고받고싶네요..😢
@user-sv4xk4vb4n
@user-sv4xk4vb4n Ай бұрын
저도 솔직히 결혼식 싫어요😂😂 얼굴팔리는거 넘 싫는데 대부분 부모님 체면때문에 많이 하죠…ㅠㅠ
@lime3212
@lime3212 24 күн бұрын
와.. 이런 마인드를 가진 여자분이 계신게 신기하다.. 너무 신기함
@user-ys4sr2qg9g
@user-ys4sr2qg9g 23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저도 싫어요..남 앞에서 주목 받는거 싫어하는지라ㅋㅋㅋ
@user-rb9gt7yu7d
@user-rb9gt7yu7d Ай бұрын
전문대나와 중소취직해서 당신엄마한테 코트 한벌 못사주는 사촌언니가 직업 마땅치 않은 남자랑 만나서 서울에있는 호텔에서 비싸게 웨딩하고, 인플루언서 부업으로 하면서 아기포함 부부가 명품 입고 다니는거 보면서 굉장히 의아했음.. 친척들도 다들 앞에서는 축하하고 칭찬하지만 뒤에서는 허영 가득하다고 얘기하는 부부.. 요즘엔 이런 현재만 위해서 사는 부부들이 많아지는 것 같은 느낌..
@user-zb7si9fm1d
@user-zb7si9fm1d Ай бұрын
뒤에서 남들이 이렇게 생각한다는걸 지들이 알아야할텐데 모르고 살거라는게 참 안타깝네요..
@RussianWhiteArmy
@RussianWhiteArmy Ай бұрын
결혼식 하지도 말고 가지도 맙시다
@savalas79
@savalas79 Ай бұрын
저도 예전에 친한 친구가 처음 결혼해서 결혼식 갔을때 ‘이게 뭐야?’ 했던 기억이 나네요. 축하해주러 간 자리인데 신랑 본인은 정신없어 제대로 축하할 시간도 없고, 알지도 못하는 친구 부모님 지인들로 버글버글대고... 나중에 다른 친구들의 결혼식 자리도 몇번 가보니 다 똑같은 구조에 기계적으로 진행되는 행사, 참여자들도 진부해하고 뭐하러 왔는지 회의감이 들어 나중엔 스몰웨딩 아니면 그냥 축의금만 보내고 참석은 안하게된지 오래됐네요
@joyh1280
@joyh1280 Ай бұрын
점점 치킨게임이 되가고 있는듯 이른바 남들보다는 뒤쳐지기 않기위한 결혼식을 위해 서로 허례를 높이다보니 여기까지 옴 불과 10년전에는 반지하나로 끝난 프로포즈가 이제 반지+ 명품 선물이 점점 대중화 되고 있고 그야말로 돈 없으면 결혼도 못함
@kimbo-kyoungclairehana599
@kimbo-kyoungclairehana599 Ай бұрын
그냥 이도저도 아닌 인간관계 끊고 스몰웨딩 정착되길~! 시드니에서 보니까 Royal Botanic Garden에서 30명도 안되게 작게 결혼식 잘만 하던데; 그냥 다 이뻐보이던데; + Miss Claire is 김보경 +
@user-ph3et4zs6g
@user-ph3et4zs6g Ай бұрын
한국 남자들은 국제결혼으로 가고, 한국여자들은 그들이 그토록 울부짖던 당당한 비혼 응원합니다. 그 마음 절대 변치 마시고 꼭 당당하고 우아한 비혼 라이프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이제는 각자 도생의 시대 입니다!
@ssc7597
@ssc7597 Ай бұрын
@@kimbo-kyoungclairehana599 뭘모르시고 쓰시나본데 ...저5년전 결혼할때 지금 애엄마도 스몰웨딩쪽도 알아보다 규모만 스몰이고 금액은 스몰아니라는거 파악하고 그냥 역세권 예식장서했어요 스몰웨딩 마져 정답은 아니라고 드리는 말씀입니다 가장 저렴한건 구민회관같은데서 하는거에요 저희 부부도 부를사람 많지않고 그러고싶지도않아서 몇년째 연락끊긴사람들은 안부르고 정리했더니 그건 정말편함 누구 결혼한다 죽었다해서 갈일없음 어차피 장사치들 맘은 같아요 큰예식장이나 작은예식장이나 마진이죠 환상심어주고
@OMG-mv8cd
@OMG-mv8cd Ай бұрын
얼마전에 결혼함. 나도 이렇게 생각했는데 다 허례허식이고 쓸데없는 1회성인데 막상 준비하니 다 귀찮아서 걍 평범하게 진행함. 한국 결혼문화, 비교 소비문화, 결혼관련 업체들 다 맛탱이 가있음
@parkjun8009
@parkjun8009 Ай бұрын
요즘 결혼제도 보면 기가 찹니다. 이번에 소개팅 받아볼까??? 해서 결혼회사에서 상담을 받아보았는데 기가 찬다. 무슨 인간이 서열로 나열되며 돈의 갯수로 나누어져 있다. 아니 의사는 8백만 가까이들고 일반 서민은 3백도 안됨. 사람을 돈으로 나눈 결혼회사 뿐 만 아니라 아파트 전세 또는 주거전세도 알아보았지만 더욱더 비싸짐. 기가 차서 점점더 폐쇄적이며 아이들 교육마저 서열로 나누는것 자체가 병들었다. 저출산의 원인은 우리나라 인식의 문제있다고 봅니다.
@hawk9938
@hawk9938 Ай бұрын
저도 충코님과 나이가 비슷한데, 친구들 중 결혼하는 걸 보니 대략 결혼식에 쓴 돈은 축의금으로 커버하는 느낌이였습니다. 보통 3천만원정도 쓰고 받고 이러는거 같더라구요. 신혼여행도 확실히 비쌀 수 밖에 없겠다 싶었던게 주변에서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1. 유명 휴양지(몰디브라거나) 2. 유럽여행 주변 친구 중에서 신부가 강하게 원해 신부가 직접 본인 부모까지 설득해서 결혼식을 생략한 친구도 있는데, 정말 드물죠. 보통 우리나라 정서상 신랑이 결혼식 하기 싫다고 하지 않는 경우는 없을겁니다. 남은 평생 욕들어먹을 각오 없이는 신부 원하는거 다 맞춰주려고 하는게 일반적이니까 결혼식을 하지 말자고는 엄두도 못내죠. 본인들이 하기 싫으면 하지 마라? 충코님 영상에도 언급되지만, 그게 그렇게 되는 일이 아닙니다. 서로 뜻이 맞아야 하고 양가 부모님을 설득해야 합니다. 특히 신랑이 처가에 결혼식 안하겠다고 선포하면 결혼이 파토날 위기가 올겁니다. 결혼식을 포함해 각종 경조사에 마법의 말 '일생에 한 번'이 있습니다. 사실 결혼식이 일생에 한 번일지 두 번일지 모르는 일이지만, 아무튼 저 마법의 말로 포장해서 가격을 더 올려버리는건 사실이죠. 그러다보니 점점 비용이 올라가고, 그 수준이 지금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 되어버린 것도 사실인 것 같습니다. 물론 사람들 스스로 눈이 높아진 탓도 있을거구요.
@jackka82
@jackka82 Ай бұрын
부모님 설득해서 결혼식 생략한 신부 너무 아름답고 멋있는 사람이네요.
@leejason7946
@leejason7946 Ай бұрын
요즘 결혼식자체를 안하는부부들많습니다. 허례의식이라 생각해서 서로 합의본거죠. 부모들반대는 큰문제도아니예요.ㅎ 본인들의 의지문제지 ㅎ 부모눈치보거나 부모반대못이기니 핑계댈뿐 얼마든지 본인부부의지대로 선택가능합니다. 억지로하는게 과연 옳은 선택인가요? 다큰성인들이?ㅋ 언제까지 부모눈치보거나 남눈치보며 인생힘들게살건지....
@jackka82
@jackka82 Ай бұрын
@@leejason7946 맞는 말인데, 결국 이상과 현실의 차이죠. 그래서 결혼식 하지 말자는 신부는 아직 흔치않은게 현실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user-ph3et4zs6g
@user-ph3et4zs6g Ай бұрын
한국 남자들은 국제결혼으로 가고, 한국여자들은 그들이 그토록 울부짖던 당당한 비혼 응원합니다. 그 마음 절대 변치 마시고 꼭 당당하고 우아한 비혼 라이프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이제는 각자 도생의 시대 입니다!
@JL-fd2hs
@JL-fd2hs Ай бұрын
저도 우리나라 결혼식 문화가 문제 많다고 생각합니다. 남녀 둘이 좋아서 적당한 비용으로 결혼을 하려고 해도 부모가 끼어들면서 수천만원으로 불어났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도 있고, 결혼식 비용을양쪽이 나눠서 내지 않고 한쪽에게 전가하려고 한다는 이야기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죠. 그리고 축의금의 경우 각자 상황에 맞게 내면 되는 거지 "얼마 내야 하냐?" "결혼식 와서 이거 밖에 안 내?" 이러는 것도 웃기다고 생각해요.
@JL-fd2hs
@JL-fd2hs Ай бұрын
@@user-ej2eo3hy6j 첫번째 이야기만 부모의 개입이 문제된 거지 그 뒤 내용은 당사자들 문제를 말한겁니다. 가장 큰 문제는 당사자들이죠.
@leesj6088
@leesj6088 Ай бұрын
충코님 응원합니다.
@azzing_v
@azzing_v Ай бұрын
문화에 따라 결혼비용이 많이 들수도 있구낭... 우리도 결혼 비용이나 결혼 상대 조건 따지는거 보면 한숨 밖에 안나옴 ㄷㄷ 뭐 사람마다 가치관이 다르겠지만... 너뮤 과하다 싶은 생각이 듭니당 결혼은 반려자와 함께 살아가는 의미인건데 뮤슨 조건(몇평대 어느지역 아파트 등등)이 그렇게 중요한건지... 함께라면 결혼식을 성대하게 할 필요도 없고 작은 평수에서 시작해도 행복해야 하는게 아닐까 싶네영...🤔🤔
@euncherry94
@euncherry94 Ай бұрын
결혼식은 신랑신부의 이벤트가 아니라 부모님들의 행사라고 보면 편합니다...ㅠㅠ 품앗이문화죠 결혼식에 욕심부리지 않는다면 축의금으로 식비 충당하고도 남아요 그걸로 신혼 여유자금 하는거죵😊 주변 결혼한 친구들은 거진 그렇더라구요
@user-im3ce2my3b
@user-im3ce2my3b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응원합니다~
@user-lb3vu4wj5l
@user-lb3vu4wj5l Ай бұрын
정말 ! 좋은 주제입니다.
@user-wb5ut8yi7s
@user-wb5ut8yi7s 27 күн бұрын
결혼 관련 영상 볼때마다 느끼지만... 가진게 많이 없어도 이해해주고 애기랑 웃으면서 맞아주는 내 와이프 넘 고마워 ㅜㅜ❤
@user-iu8yw6hd8b
@user-iu8yw6hd8b Ай бұрын
결혼식은 친한 가족이나 지인들끼리 술이나 마시면 그만이라 생각합니다.
@sinclair8277
@sinclair8277 Ай бұрын
이게 훨 기억에 많이 남을 것 같네요🎉
@ssc7597
@ssc7597 Ай бұрын
거기서 그사람들이 앵앵대는것도 있어서 못하는거죠 ㅎㅎ다 내맘처럼 되더이까 ㅋㅋ
@user-nc2rn9yl8q
@user-nc2rn9yl8q Ай бұрын
일본처럼 한번 모두 무너져야 다시 시작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이번 생은 망했다고 생각하고 그냥 조용히 지나가야 할 것 같아요
@gmeguming8435
@gmeguming8435 Ай бұрын
그들의 욕망에 맞춰야 결혼이 성립하죠... 어쩔수없어요
@user-dp6is3zh7l
@user-dp6is3zh7l Ай бұрын
결혼도 결혼이지만 연애조차 안 하는 경우도 많음
@hound7
@hound7 Ай бұрын
그놈의 개-멍청한 "한번뿐인"ㅋㅋㅋㅋㅋ 저거하고 난다음에 집대출 쳐맞고 인생나락가는주제에ㅋㅋㅋㅋㅋㅋㅋ 진짜 개멍청하다ㅋㅋㅋㅋㅋ
@asradazero
@asradazero Ай бұрын
다들 내 인생이 아니라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남 인생 살다가 죽으려나 봅니다. 철학을 배우는 이유는 결국, 내 인생을 살면서 남과도 더불어 공존하며 살기 위함이라고 생각하는데... 다들 자기 각자 인생 잘 사는데 몰입하는... 지혜로운 삶 살아내셨으면 좋겠네요...
@user-cp6ii3sm5w
@user-cp6ii3sm5w Ай бұрын
단20~30분만에 7천을 태우고 싶나.
@JeonSeoungWon
@JeonSeoungWon Ай бұрын
꼭 결혼식을 해야만 하는걸까?? 결혼식을 올리면 누구에게 좋은거지?? 이제는 한번쯤 짚고 넘어가야 하지 않나...
@user-uf3oq9wm1d
@user-uf3oq9wm1d Ай бұрын
저는 국결해서 스몰웨딩하고 축의금은 계좌보낼겁니다
@lsk78
@lsk78 Ай бұрын
뭐하러 들어줌? 그 돈주고 할바엔 안하고 말지 결혼 못해서 안달난것도 아니고 허황된 꿈은 깨는게 좋습니다.
@highend576
@highend576 Ай бұрын
말 진짜 쉴새없이 잘하시네요
@user-ic6jv3li9i
@user-ic6jv3li9i Ай бұрын
저도 20년전에 나이35이되어 결혼했는데 (그때만해도 늦은 나이)결혼때 쓰는돈이 너무 아까워 아얘 안하고싶었지만 관습에 떠밀려 했는데 그후로 차츰 결혼식에대한 생각이 디양화되고 현실적이게되는것같습니다. 결혼뿐만아니라 기타 관혼상제에 대한 개인의 형편이 천차만별이고 그에따라 모습도 변화하는것같아요.
@user-oh4fg2bk9z
@user-oh4fg2bk9z Ай бұрын
전세계에서 이혼을 제일 많이 하는 나라인데 한번뿐인 핑계대면서 수천을 소비하는 문화는 사라져야 한다. 한번이라고 해도 도를 넘었지😊
@kwon8479
@kwon8479 Ай бұрын
코로나 덕분이기도 하지만.. 전 그래서 결혼식을 안하고 혼인신고만 하고 친척분들 지인들 찾아가서 같이 밥먹었습니다. 시간이 많이 걸리긴 하지만 이게 훨씬 의미가 있더라고요. 제대로 알지도못하는 사람까지와서 하는게 이게 결혼식이 누굴 위한건지 잘모르겠었습니다. 일생에 한번뿐일수도 있는거다 하면서 이용해먹는 사람들과 그것을 원하는 사람을 안만난거에 너무 좋습니다.
@leejason7946
@leejason7946 Ай бұрын
현명하시네요^^
@ssc7597
@ssc7597 Ай бұрын
그 친척 지인분들은 뇌구조가 달라서 님안보는데서 까고있을수도 있음
@chaeinlee
@chaeinlee 17 күн бұрын
@@ssc7597걱정하시는 부분은 이해하지만, 뭐 어때요. 이상하게 생각하면 그 사람은 그렇게 살라고 하고 난 신경 끄고 살면 됩니다.
@polarbear3886
@polarbear3886 Ай бұрын
뭘 어떻게 하든 한 시간 남짓한 시간 동안 수천 만원을 쓰는 건 돈 낭비라는 생각밖에 안 드네요 그래서 그렇게 축의금에 다들 목을 매는가 싶기도 하고
@user-qt1vn7no6d
@user-qt1vn7no6d Ай бұрын
최근 결혼식에 가보면 호텔, 특히 강남 웨딩홀에서 하던데 1억 가까이 든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뿌리 깊은 유교문화라고 보이는데 나보다 남의 생각이 중요한 문화가 더 깊어지는 것 같습니다. 과거 참석했던 결혼식은 장소는 기억 나는데 누가 결혼했는지는 모릅니다. 그런데 왜 체면을 위해서 낭비하는지 인식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user-wf8vm3dt5i
@user-wf8vm3dt5i Ай бұрын
일반화 ㄴㄴ 누가다 강남 호텔에서하냐
@user-qt8ls7jq9k
@user-qt8ls7jq9k Ай бұрын
연봉을 비교해보면 미국은 1.2억정도 되는데 우리나라는 평균이3500~4000정도 3배의 연봉이차이가 나는 미국물가로 우리나라의 결혼식 비용을 치면 결혼한번에 이벤트 비용으로만 3억태우는샘 ㅋㅋㅋ
@abcdefghijkmnopqrs
@abcdefghijkmnopqrs 17 күн бұрын
미국은 대신 월세 300이상이고 물가도 한국 몇배로 더비쌈
@user-zq6tu4ey2c
@user-zq6tu4ey2c 13 күн бұрын
미국은 빈부격차가 엄청심해서 중앙값은 한국이랑 비슷한걸로 앎
@user-sv4xk4vb4n
@user-sv4xk4vb4n Ай бұрын
저희는 나름 가성비(?)로 준비했는데도스드메는 200이하로 했고 예물도 200정도 예식장이랑 식대 1천5백만원 신혼여행은 천만원(유럽2주…) 혼수가전 1천5백만원 도합 거의 4천5백만원 들었네용 지역은 수도권임…예식장은 수도권치고 가성비인 곳에서 해서 그나마 저정도…
@user-yu1rd1rj4e
@user-yu1rd1rj4e 24 күн бұрын
뭐가 가성비에요?'
@ay8939
@ay8939 Ай бұрын
7천이면 전세값인데 정신 나가버렸누
@user-ie3vu8hg7z
@user-ie3vu8hg7z Ай бұрын
전세값은 2억임. 😮
@butter6511
@butter6511 Ай бұрын
보통 전세 하면 2억~2억5천 얘기하지 않음?
@user-mz6kz9fe3s
@user-mz6kz9fe3s Ай бұрын
대출 제외 말씀하시는 듯 싶네용
@JamesWillGrayson
@JamesWillGrayson Ай бұрын
@@user-ie3vu8hg7z2억이라고 해도, 7천이면 신혼부부가 시작하는 자금으로도 부족한데 그걸 결혼식에 사용하니. 뭔가 안쓰럽네요. ㅠㅠ
@user-pc2br9ew6v
@user-pc2br9ew6v Ай бұрын
이래서 전세대출이 문제임
@Nosce_te_ipsum0
@Nosce_te_ipsum0 Ай бұрын
오늘 부산도서관 갔는데 입구에 이충녕 철학자 입간판이 똭 걸려있길래 너무 반가웠어요ㅋㅋㅋ
@bexcoex
@bexcoex Ай бұрын
직접 보러갑니다ㅋㅋ
@Nosce_te_ipsum0
@Nosce_te_ipsum0 Ай бұрын
@@bexcoex 덕포역 부산도서관 3층 입구에 있어요 충코유튜브 소개도 깨알같이 있네요ㅋㅋ
@bexcoex
@bexcoex Ай бұрын
@@Nosce_te_ipsum0 네 이번주 금요일 강연하거든요ㅋㅋ 그거보고 신청했어요ㅋ
@user-wq2zv4tx3x
@user-wq2zv4tx3x 23 күн бұрын
결혼식이랑 포토 신행까지 다 했지만 700정도 밖에 안들던데요. 도대체 어디서 하면 저 가격이 나오는 걸까요? 참고로 혼수랑 기타등등까지 다 포함해도 1000 안듬
@jackka82
@jackka82 Ай бұрын
젊은 남녀가 한 가정으로서 살기 시작하는 첫 단계로 일단 돈부터 몇천만원 퍼부어서 시작한다는게 얼마나 어리석은 짓인지, 미래의 인류는 우리의 관습을 보면서 저런 미개한 시대가 있었나 하고 신기해 할 것 같습니다. 스스로 나에게 뭐가 중요하고 뭐가 필요한가 생각하는 능력이 전혀 없이, 남들이 다 이렇게 하니까 나도 이렇게 해야한다는 사고방식을 가장 단적이고 극단적으로 보여주는게 결혼식 문화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누가 스몰웨딩이나, 조용하게 소수의 가족들만 불러서 식을 했다는 이야기를 들을때 마다 남들이나 사회가 어떻게 돌아가던 자신들에게 중요한 행복을 추구하면서 참 멋있게 산다는 생각이 듭니다. 미개한 문화와 사고방식을 가졌을수록 주변의 시선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일반층도 평균적으로 결혼식에 돈을 더 많이 퍼붓는다고 생각되네요.
@ssc7597
@ssc7597 Ай бұрын
스몰웨딩 알아보고 이글쓰시는건지??비용은 스몰아닙니다 저희 애엄마도 스몰알아보다 그냥 일반적인거함
@jackka82
@jackka82 Ай бұрын
@@ssc7597 이것저것 돈 들어갈거 다 하시려면 둘이서만 해도 왕창 들겠죠. 뭐가 중요하냐에 따라서 핀란드 사람들이 흔히 하듯이 그냥 집뒤뜰에서 하셔도 되고요. 애초에 나한테 뭐가 의미있고 중요한가로 판단을 하면 되지, 스몰웨딩은 얼마가 들고 일반예식은 얼마가 들고 이런 구색을 갖추는데에 얽매이는게 의미 없다는 말이었습니다. 본인한테 중요한 것들이면 하시라는 말입니다, 스몰웨딩은 원래 뭐뭐를 해야하는건데 그게 비싸니까 차라리 일반웨딩을 하겠다는 식으로 통념에 끌려다니지 마시고.
@user-nz1fk3np4q
@user-nz1fk3np4q Ай бұрын
결혼식장을 다없애버려야됨 결혼식 정말하기싫었는데 시어머니가 악을쓰고 뿌린거 거둬야한다고 우겨서 결국 결혼식 했음 내결혼식인지 시어머니 결혼식인지 ..십년이 지났는데 지금도 생각하면 짜증남
@user-xd1fx8rl7t
@user-xd1fx8rl7t 25 күн бұрын
코로나 끝나거 예식비용이 거의 두배가 오른걸로 압니다... 4년전 결혼한 친구 결혼보다 약소하게 했는데 돈 많이 깨졌어요...식장비용도 오르고 드레스 대여도 오르고..스튜디오 헬퍼비? 그것도 오르고 특히 원본 사진값...(이건 도대체 왜 돈주고 사야하는지 모르겠는 부분...)
@kay203
@kay203 Ай бұрын
일단 너무 많은 사람을 불르는게 문제. 미국 살면서 아주 친한 사람 제외 결혼식 안불러서 평생 10번 갈까말까. 그러니 각자 축의금도 많이 내줘서 결혼식 비용 비싸도 의미있는 시간 보냄 한귝은 너무 공장결혼식인데 축의금은 다 보내야되서 돈은 어차피 많이듬 ㅠㅠ
@user-ep7yb4iw9k
@user-ep7yb4iw9k Ай бұрын
솔직히 얼마든지 싼 값에 할려면 할 수 있어요
@dumptruck4710
@dumptruck4710 Ай бұрын
현실적으로 식대포함 1000만원 이하가 적정값이긴 한데.. 결혼식 한달만 지나도 아무도 기억못함ㅋㅋㅋ
@songineers
@songineers 21 күн бұрын
그런데 식대만최소 2천만원인지라.... 홀비용 뭐뭐뭐해도..현실적으로 경기도권 최소공장형결혼하는데4천만원은들죠
@aamoomoo
@aamoomoo Ай бұрын
오..... 9년전 20대초반에 결혼 할때엔 11월 비수기 일요일 11시 첫 예식 기준으로다가 웨딩홀 스드메 패키지 200만원짜리로 진행하면 웨딩홀 대여는 무료로 해준대서 그냥 진행한다고 해버렸는데..😵‍💫지금 결혼한다고 했으면 결혼하는것부터가 엄청 비쌌겠네요...
@vovllq12
@vovllq12 22 күн бұрын
가끔 이런 글 찾아보면 아쉬운 점이 있음. 모든 커플이 합리적인 소비자임에도 그걸 선택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 뭘까 찾아보면 업계의 담합, 이상한 관행들이 보일텐데 아쉬움.
@user-hq3tb8tm9r
@user-hq3tb8tm9r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주변에서 직접 알아보면서 성당에서 올리는 분 보니 비용 얼마 안들었다고 얘기해주셨습니다 과시, 허영등의 모습도 있지만 일을 맡기는 만큼 더 값이 올라가는것도 큰 듯 합니다 개인적으로 정부가 결혼시장에 많이 개입하여 값을 내리는데 일조하면 어떨까 싶어요
@user-ky5yz5nu6l
@user-ky5yz5nu6l Ай бұрын
몇 년 못 살고 돌싱이 될 텐데(?)🥳 너무 많은 낭비를!
@Jessy77251
@Jessy77251 Ай бұрын
전 미국서 결혼했는데..그냥 밥만 먹고..식은 뭐 시청에서..? 미국은 예식 자체를 안하는경우가 대부분이에요..그냥 선서를 시청에서..
@sunpark311
@sunpark311 Ай бұрын
님의 수준이지 뭐 미국 사람이 그렇나여..대부분이 결혼식 합니다 어려운 사람은 그렇게 하는것도 나쁘지 않죠
@dizmfflqxm
@dizmfflqxm 25 күн бұрын
미국은 한국보다 더 화려하게 하는 사람들도 많던걸요. 아침부터 저녁(피로연)까지. 드레스도 본식 드레스, 피로연 드레스 따로 맞추고. 반지도 약혼반지&결혼반지 두개 다하고. 물론 사람 나름이겠지만 미국도 화려한 결혼식 많이하는 나라라고 봅니다
@user-vy1yv8vq7n
@user-vy1yv8vq7n Ай бұрын
난 별문제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런 문제는 다른 사람이 만드는 게 아니다 스스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 조건에 맞춰서 결혼하는 거면 조건대로 하면 돼고 사랑해서 한다면 다른 사람을 신경쓰지 않으면 된다. 사회 말고 본인들의 허영심이 아닌지나 보면 된다.
@user-ec5fn1zx2j
@user-ec5fn1zx2j Ай бұрын
결혼식은 약과죠 결혼식을 하기 위해서는 신혼집에 들어가는 돈도 포함시켜야합니더
@ss-jx6fq
@ss-jx6fq Ай бұрын
저도 결혼 생각 없다가 결혼을 어떨결에 하게되서 준비중인데 진짜 이게 맞나 싶은 생각듭니다 그렇다고 또 안할수도 없고 여자친구도 무슨 생각인지 모르지만 남들하는거 다할려하고 좋은거 명품 이런거부터 봅니다
@sanghyunbae1998
@sanghyunbae1998 22 күн бұрын
부모님의 지위가 영향을 많이 받는것같아요 운이 좋게도 고위공직자셔서 좋은동네로 고등학교 시절을 보냈는데 저도 제가 돈이 없다보니 작게하고 싶다 이렇게 말하면 부모님은 내가 뿌려놓은게 얼만데 크게해야한다 하드라구요 친구들도 몇몇 결혼했는데 일단 부모님들이 크게해야한다 주장했다고도 하구요
@GodisLove79
@GodisLove79 Ай бұрын
마음 아픕니다 😢
@user-bd9ew1sl8e
@user-bd9ew1sl8e Ай бұрын
저 비용중 축의금으로 반이상은 충당하는듯해요..나머지 반은 반반씩한다고하면 큰 부담이 아닐수도있죠
@BadRedBird
@BadRedBird Ай бұрын
그 축의금 결국 다 뱉어야함
@songineers
@songineers 21 күн бұрын
결국다뱉어야되는거라 결혼식비용은그냥 쌩돈그대로쓰는거임 메꾸긴뭘메꿈 ㅋㅋ
@eocl2839
@eocl2839 Ай бұрын
30중반이면 흰머리도 나기 시작하는데 불편한 흰드레스 입고 뭐하는건지 공장에서 찍어내 듯 다 똑같은 예식절차 식상함 결혼문화 바껴야함
@dangkong8268
@dangkong8268 27 күн бұрын
안타깝게도,. 새로 부부가 된 이들의 선택권은 거의 없다 보면 됩니다. 결혼에 메인 주인공은 부모님들이거든요. 우리 아들딸 잘 길러서 애들 결혼까지 시켰다! 이거 보여주는 행사라 보시면 됩니다. 만일 그런 양가 부모님 신경안써도 되는 집이라면 결혼식의 선택권은 두 부부의 것이겠지만 한국에서 쉽지않은 선택이죠.
@retrojeina
@retrojeina Ай бұрын
10년 전이지만 우리도 천만원 이하로 결혼.... 우리도 그렇지만, 주변 친구들 보면 아무리 둘이 좋아 결혼한대도 양가 부모 인성이 중요함. 너네 맘대로 하라는 부모가 있고, 죽어도 자기 맘대로 하려는 경우도 있음. 부모 때문에 파혼 하는 경우 심심찮고.
@princessuser
@princessuser Ай бұрын
충코님 나이가 어떻게 되시죠 😮
@chungco_phil
@chungco_phil Ай бұрын
95년생입니다
@user-em6xz1eb7x
@user-em6xz1eb7x Ай бұрын
7000마넌 통장에 넣어놓고 혼인신고하고 그냥 사는게 인생 길게 봤을때 훨씬 현명한 일이 됩니다
@user-le1lk6ed1r
@user-le1lk6ed1r Ай бұрын
그냥 이쁜카페빌려서 하얀원피스입고 스몰웨딩이 젤 나음
@user-vz5zj1ip9p
@user-vz5zj1ip9p 18 күн бұрын
7천까지 안듬….. 식장비 2000나온거 축의금으로 커버 했고 나머지 혼수집 이런거 빼고 스드메 정장 예물 등 합쳐서 1000정도 듦
@user-tb8gy9zf7d
@user-tb8gy9zf7d Ай бұрын
지인들 결혼식 이야기 들어보니 현금장사라 돈이 없어서 보다도 현금이 없어서 힘들었다고 하더군요
@user-fx2hk3nj2m
@user-fx2hk3nj2m Ай бұрын
결혼비용 부담율 통계 저거 아닌가 같은데 설문이라 그런거죠?
@wonder_wonder16
@wonder_wonder16 16 күн бұрын
예식홀 가격에 식대가 빠진거같은데요.. 최소보증인원 200명*식대5.7 만해도 1140인데.. 스드메 300, 대관료 400,
@kr8261
@kr8261 Ай бұрын
적당히 맞춰서 하는 사람들은 자랑을 안해서 주변인들이 모를뿐 형편에 맞춰서 하는 이들도 많을겁니다요
@user-yu1rd1rj4e
@user-yu1rd1rj4e 24 күн бұрын
응 저출산 삼십대초 결혼비율5퍼
@user-fq1qn3ym7r
@user-fq1qn3ym7r Ай бұрын
음 신혼여행에 천만원이상 드는걸 당연하게 생각하더라구요..
@user-gh9yk8nt4g
@user-gh9yk8nt4g Ай бұрын
부모님이 자식결혼때매 여러사람 결혼식가서 축의금내고 사람관계맺고 다녔을텐데 본인혼자 돈아끼자고 결혼식없이 결혼한다고하면 부모님께할 도리가아니죠 결혼후에 감사비로 부모님께 그이상 용돈드리면 모를까
@user-hh4ue8yn6i
@user-hh4ue8yn6i Ай бұрын
결혼식을 꼭 결혼식장에서 남들하고 똑같이 사진찍는거 흔하디 흔한거 해야 겠냐? 그 돈으로 훨씬 더 의미 있는 결혼식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sanguk8413
@sanguk8413 Ай бұрын
결혼 상대를 구할 때 왜 남자는 나이가 많고 여자는 나이가 적은지 ?? 인류학적 문제인지요? 한 번 다루면 어떨지요?
@user-od7qz6um2f
@user-od7qz6um2f Ай бұрын
이번주 결혼하는데 혼수 포함하면 저정도 들어가네요ㅜ 에휴 아낀다고 아꼈는데
@DungDung2nuna
@DungDung2nuna Ай бұрын
스페인에서 다른 외국인 친구들 결혼식 가봤는데, 관청에서 했어요! 그러고 같이 사진 찍고 레스토랑 하나 빌려서 하루종일 놀았습니다. 어렸을 때 경험했던 일이라 진짜 신선한 충격이었어요!
@AGARIDAKCHI
@AGARIDAKCHI 21 күн бұрын
이나라는 역시 재밌어 중간이 없단 말이지 롸끈한 민족성
@gaeojo6301
@gaeojo6301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사회는 인간 동물원..
@heylomiwa
@heylomiwa 25 күн бұрын
코로나때 결혼식아껴서 둘이 여행좋은곳 놀러다녔어요 우리는
@kimseoul8380
@kimseoul8380 Ай бұрын
친구넘들 자식들 결혼식 초청장이 많이 온다, 가능하면 가려 하지만 사실 축의금도 부담된다... 작년 가을에 신라호텔에서 딸 결혼시킨 넘은 결혼식 비용만 1.5억이 들었단다. 20만원 축의금 내고 둥그런 원탁에 둘러앉아 웨이터가 날라온 스테이크와 샐러드를 먹으며 영상쇼를 지켜보는데 이게 뭔가 싶더라. 나중에 친구넘이 150명으로 제한된 장소에 초대해준 것을 고마와 하라는 생색 비슷한 소리를 들으면서 역시 괜히 갔구나 싶더라, 내가 먹은 스테이크가 22만원 짜리란다... 나는 졸지에 밥값도 못 한 넘이 되었다.
@hkwm4154
@hkwm4154 Ай бұрын
결혼식은 심리 전이라 비싸게 하려면 한도 끝도 없고, 적당히 하려면 충분히 가능함. 합의해서 뺄건 빼면 그렇게 부담이 되지 않음.
@user-qn6qm2dt9f
@user-qn6qm2dt9f Ай бұрын
결혼을율 감소하는 이유들이 많은데 웨딩 비용도 개선해야 합니다. 한국은 오직 돈이 지배하는 사회가 되었는데.., 더 늦기 전에 사회 시스템을 노르웨이를 모델 삼아 개선해 봄직 합니다.
@user-ol7xk5lo3s
@user-ol7xk5lo3s 22 күн бұрын
앞으로 프랑스처럼 동거 생활 하면서 사실혼으로 살아가는 문화가 정착이 되어야 하겠다!
@user-yi9uw8ep1o
@user-yi9uw8ep1o 27 күн бұрын
혼인신고만 해도 인연은 잘산다
@user-fn7sh3py2q
@user-fn7sh3py2q Ай бұрын
비교하지 말고 분수에 맞게 하면 된다고 봐요. 돈 많은 사람은 돈 많이 드는 결혼식으로 돈이 없는 사람은 돈이 적게 드는 결혼식을 하면 되죠. 뭐가 문제가 될지.. 상대방이 무리하면서까지 고비용으로 결혼하고 싶다면 파혼하는 게 맞고요. 무리하면서까지 상대방에게 맞출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사랑은 흔히 상대방에게 맞추어주는거라고 하는데 이런 결혼 철학을 가지고 있다면 그 남자의 결혼생활은 정말 힘들어질 겁니다. 힘든 결혼생활을 하느니 혼자 사는 게 좋은 겁니다. 이런 생각이 초 저출산 한국상황에서는 좋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국가가 지옥 같은 결혼생활을 대신 해주지 않거든요 성경에 잠언에 보면 '다투는 여성과 궁궐에 사느니 혼자 움막에 사는 것이 낫다'는 구절이 있습니다. 행복한 결혼을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혼자 사는게 맞죠. 무리하지 마세요
@jenny-jw8bb
@jenny-jw8bb 18 күн бұрын
얼마 전 결혼한 사람인데 일단 혼인연령이 늦어지는게 한 몫 한다고 봅니다 학생때 뭣도 모르고 결혼했으면 그냥 학교식장에서 했을텐데 .. 요즘은 다 자리잡고 결혼하다보니까, 저도 친구들 결혼식 많이 다녀보니까 어쩔수없이 눈이 높아지더라구요 경험에 비례할수 밖에 없는데, 다들 좋은 식장에서 하는걸 보다보니 저도 기준이 올라갔어요 뭣도모를때 할걸... 그런생각 많이들었답니다
@user-ke8ho2gz6z
@user-ke8ho2gz6z Ай бұрын
결혼식이 기이해지는 것은 우리의 마음이 점점 강박해지고 병들어가는 것은 아닐까? 그런 생각이 듭니다.
@blackdragon6247
@blackdragon6247 Ай бұрын
그 7천 만원 그대로 안쓰고 10년 장기 ETF 에 넣어 굴리면 몇배로 성장하기에 돈관리의 귀재인 유대인 처럼 허세를 포기하면 그 7천만원이 나의 가족의 재산이 되지만 만약 결혼식 으로 기분을 즐기면 그날은 좋지만 미래에 그돈을 모으려면 얼마나 졸라매어야하는지... 난 아직도 나의 전통혼례로 20년전 300만원도 허세라고 생각함. 아주 소규모로 바뀔꺼라 생각함. 결국은 결혼은 아이 낳고 적어도 20년은 키워야하는 현실적인 생계임을 미리 알았으면 좋았을 것....
주차로 시작해 축의금 비교하고 밥맛으로 끝나는 우리의 결혼식
22:05
부읽남TV_내집마련부터건물주까지
Рет қаралды 364 М.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Super sport🤯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когда достали одноклассники!
00:49
БРУНО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우리가 남의 고통을 즐기는 이유
32:30
충코의 철학 Chungco
Рет қаралды 53 М.
[D-Talks] 비트겐슈타인의 삶과 철학: 철학적 탐구(이승종 교수)
19:53
성별갈등이 극심한 청년 세대. 남자들의 진짜 불만은 무엇일까?
29:54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