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바습] 세상에서 가장 창의적인 문자 한글,그 이유는? I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정재환

  Рет қаралды 177,536

JTV ON

JTV ON

3 жыл бұрын

[최강1교시]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우리 한글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정재환

Пікірлер: 241
@user-et5lw6bw5g
@user-et5lw6bw5g Жыл бұрын
정재환님 옛날 정동 mbc에서 뵈었던 그 모습 지금도 생생한데 우리나라 글 우리나라말 언어를 사랑하고 아끼시는 모습 존경합니다 감사드립니다
@user-cp8bc9xw7h
@user-cp8bc9xw7h 2 жыл бұрын
미래에 대한민국 🇰🇷 한글이 더 보급데 세계적인 공통어로 보급되는 길잡이요 이정표가 되시길 소망 하면서 대한민국 🇰🇷 화이팅 만세 !~~^^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 9 ай бұрын
쓰는 표기문자로는 효율성이 높죠 바보들도 배우니까 대본보면서 보이스피싱도하고
@user-nv2ph1fc4n
@user-nv2ph1fc4n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좋은 방송을 아직도 보지 않은 사람들이 많아 안타깝네요 제가 11번째 좋아요 했군요
@hangsubrhee6515
@hangsubrhee6515 Жыл бұрын
세계 최고 지능의 대한민국 국민 위대한 한글 교육으로 이제부턴 팀 기능으로 발전시켜 우주 최강이 되자
@user-nr1qg4xe5g
@user-nr1qg4xe5g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연입니다,우리 문자인 한글 제대로 써야 합니다, 문자 보낼때 뎃글 달때 막쓰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하면서 하고 생각을 하면서 기록해야 합니다, 한글 창제때 4자가 있었잖습니까?아래하 반치음 옛이응 여린히읗과 같이 글자가 사라질 수도 있어 한글의 고유성과 우수성등이 상실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국민들 자신부터 잘 써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글인 한글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줘서 잘 쓸 수 있었으면 합니다,
@mstjung3488
@mstjung3488 Жыл бұрын
세계 최고의 디자인
@MichaelLee-yb8we
@MichaelLee-yb8we Жыл бұрын
정제된 낱말과 절제된 언어로 , 세종대왕이 직접한글을 창제했다는 사실을 듣는사람이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강의해주신 정재환 선생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HotSoil510
@HotSoil510 Жыл бұрын
한글은 몽고파스파문자의 아류임이 모두 밝혀졌음.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 9 ай бұрын
세종때부터 이미 나라체제가 근대적인체제 그거를 잘 키우라우
@user-cp8bc9xw7h
@user-cp8bc9xw7h 2 жыл бұрын
한가지 세종대왕님에 깊은 뜻도 몰은채 국민학교때 넘 공부에 깨닷지 못하고 지금도 몰으는 나자신이 부끄럽습니다 아푸로 열심배워 지금도 느지 안아다는 마음 으로 열심이 배워야할 용망주심 고맏고 감사합니다
@user-sp6gl6sg4p
@user-sp6gl6sg4p Жыл бұрын
멋진 인생을 사십니다. 40대에 대학을 다니면서 한글사랑의 정신을 몸소 깨닫고 실천하신 분이시군요. 독서의 힘이 한글 사랑으로 이어지고 "돈을 벌어야 한다"는 유혹을 물리치고 한글 연구에 빠진 정연구사님! "불치하문"의 정신으로 자신의 인생을 멋지게 개척하신 분입니다. 박수를 보냅니다~
@user-tm6hn4bp4i
@user-tm6hn4bp4i Жыл бұрын
돈으로 환산할수 없는. 가치있는 일을 하고 계시는군요. 정재환님
@mathamour
@mathamour Жыл бұрын
한글을 지켜온 민족, 민족이 지켜온 한글 I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정재환 kzbin.info/www/bejne/ioCWYX1_iJtgj9E
@tw249r3
@tw249r3 Жыл бұрын
This is a very good lecture. I want to translate this lecture into English for the world audience. Andy from New York.
@hihiman2232
@hihiman2232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 한글이 없었으면 지금 한자 외느라 고생하고 있겠죠.
@kyjelblue
@kyjelblue Жыл бұрын
MC와 방송인 이전에도 개그맨으로 데뷔하셨던 정재환님을 기억하는 팬입니다. 방송에서 더 뵙기 힘들어진 것이 예전 팬으로서 못내 아쉽긴 하지만, 정말 멋진 길을 걷고 계셔서 묵묵히 응원의 박수 보내드리고 싶습니다. 정재환 교수님이 자랑스럽습니다.
@mathamour
@mathamour Жыл бұрын
한글을 지켜온 민족, 민족이 지켜온 한글 I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정재환 kzbin.info/www/bejne/ioCWYX1_iJtgj9E
@user-fl7wm6ux1b
@user-fl7wm6ux1b Жыл бұрын
​@@mathamour 😮😮😮😮😮😮😢😮😮😮😮.
@lakim8136
@lakim8136 2 жыл бұрын
언어학자로 변하신 정재환님 축하드립니다. 강의내용은 물론 외모,목소리,강의방법등 어느하나 손색이 없습니다. 새로운 인생의 길로 들어서서 훌륭하게 성공하셔서 많은 사람들이 귀감이 되신 모습에 흐뭇함을 느낍니다. 성공한 인생 다시한번 축하드립니다.
@or-kp7451
@or-kp7451 Жыл бұрын
언어 학자 아니시고요, 역사학자십니다.🤗🤗
@mathamour
@mathamour Жыл бұрын
한글을 지켜온 민족, 민족이 지켜온 한글 I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정재환 kzbin.info/www/bejne/ioCWYX1_iJtgj9E
@sueorona5524
@sueorona5524 10 ай бұрын
사람이 변할려면 이렇게사회에 이바지할 수있는 변함이 일어나야 인간으로서 사는 보람이 있는거지 온갖 거짓말과 사기 선동을 일삼는 빨개이들 변해도 너무 더럽게 변했다.
@sueorona5524
@sueorona5524 10 ай бұрын
오랫만에 마음을 훈드는 감동적인 강의를듣고있는데...너무 너무 감사 감사... May God bless you and your family😁🙏💝
@user-cd7bb1mm3h
@user-cd7bb1mm3h 2 жыл бұрын
정재환형님! 존경합니다
@Lee-sv4yi
@Lee-sv4yi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lr7yv6ks4w
@user-lr7yv6ks4w Жыл бұрын
세종은 정말 천재
@danian4816
@danian4816 Жыл бұрын
강연 너무 좋았습니다 정교수님 최고
@user-ls4wd8ji5l
@user-ls4wd8ji5l Жыл бұрын
저도 국뽕이지만 그래도 좋은 강연 감사요🥰🥰🥰
@news3590
@news3590 Жыл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옛이응은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를 사용할 때 음가 있는 이응으로 사용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gracejung2380
@gracejung2380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요즘 손주들에게 한글을 가르치고 있는데 정재환님의 강의를 들으며 아주 큰 자부심을 느낍니다. 우리 손주들이 한국어와 영어를 다 쓰는데 글자를몰라서 집에서는 주로 한국어를 쓰게하면서 글자를 가르치고 있답니다. 좋은 강의를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mathamour
@mathamour Жыл бұрын
한국어에 대한 사랑으로 세계 50여국의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외국인들. 해외에서 높아진 한국어의 위상! (KBS 20161009 방송) kzbin.info/www/bejne/n2jZpKt8htOmqrM
@mathamour
@mathamour Жыл бұрын
한글을 지켜온 민족, 민족이 지켜온 한글 I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정재환 kzbin.info/www/bejne/ioCWYX1_iJtgj9E
@insukoh42
@insukoh42 4 ай бұрын
내 경험 팁. 호주사는 손녀와 이웃아이 5명께 1일 15~20분씩 가르침, 1자음 모음 "작은별" 동요에 붙여 노래로 익힘 2아기글자 +엄마글자= 완벽글자로 이해시킴 3전례 동화 읽어주며 받아쓰게함. 4개월만에 90%이상 성공... 현 모두 대졸, 한글 사용 잘함.
@johnslvation8940
@johnslvation8940 2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정보입니다,,,집현전학사들이 아니고 세종대왕께서 직접 창안해 내셨군요,,, 어디가서 이제는 제대로 얘기 할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mathamour
@mathamour Жыл бұрын
한국어에 대한 사랑으로 세계 50여국의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외국인들. 해외에서 높아진 한국어의 위상! (KBS 20161009 방송) kzbin.info/www/bejne/n2jZpKt8htOmqrM
@mathamour
@mathamour Жыл бұрын
한글을 지켜온 민족, 민족이 지켜온 한글 I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정재환 kzbin.info/www/bejne/ioCWYX1_iJtgj9E
@byungjoolee5153
@byungjoolee5153 Жыл бұрын
"왕따 "라는 말 보다는 그 단어내에 잘못이라는 의미가 있는 "집단 따돌림"이 맞는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cw6xq8ck5c
@user-cw6xq8ck5c 4 күн бұрын
정교수님 코미디시절 방송에서많이보았는데 한글학자가되셔서 좋은강의늘구독하고있서요. 본인은 혁필화가 , 서예가로서 한글을쓰고 외국인에께홍보도많이하고있어요 계속좋은강의기대됍니다
@percentone1325
@percentone1325 Жыл бұрын
이 분이 개그맨 출신이란 게 더 놀라움. 개그맨 중에 머리 좋은 사람이 상당히 많은 듯
@user-tm3sr3br9f
@user-tm3sr3br9f 10 ай бұрын
멋지십니다! 변화된 삶과 귀한강의 들려주시는 정재환님 늘 응원 하겠습니다
@user-th9dd9rz6r
@user-th9dd9rz6r Жыл бұрын
대단합니다 정재환교수님
@hyung-yulcho841
@hyung-yulcho841 Жыл бұрын
정재환 선생께서 한글의장점에 대해서 오십여분의 강의를 하셨는데 한자로 쓸 수있는 단어가 반이상 정도 됩니다. 한글은 음운학적으로 거의 완벽합니다. 물론 영어와 비교를 해도 F,V, Z, TH등등을 표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최근 세대의 젊은이들이 한자를 일을 곳이 없어서 배우는 데에 소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마치 Fast Food 맛에 졎어서 간장 된장 김치맛을 잊어가는 세대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회화식의 우리말은 하루에 단어 100개정도면 대화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한글로만 쓴 단어어에는 동음어가 많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영문을 해석하거나 번역을 할때에 어휘의 부족으로인한 상당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너무 쉽고 쓰기 편한 단어를 쓰기 때문에 뉴앙스를 구별해서 쓰기가 힘들고요 우리말 자체가 어휘가 얼마 안되는 언어라는 것을 아는 순간 전문성을 띈 단어를 찾기 무척 힘듭니다. 영어가 라틴어를 기본으로 하듯이 우리말은 일본식이나 중국식 한자어를 사용하도록 압력을 받고 있는 형편입니다. 신문이나 전문지에 전문용어를 쓸때에는 한자와 영어단어를 2중3중으로 사용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kinghangul4126
@kinghangul4126 Жыл бұрын
님이 쓴 이 글에는 한문과 영어가 거의 없어요. 헷갈리는것도 없고요.
@rock8205-1
@rock8205-1 Жыл бұрын
ㅋ ㅋ ㅋ ㅋ ㅋ ㅋ
@or-kp7451
@or-kp7451 Жыл бұрын
훌륭한 강연 감사드립니다.
@pkt9560
@pkt9560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발전의 최고봉은 한글. 그렇게 생각 합니다.불경을 사경 하다보니 어려운 한문을 쉽게 우리글로 번역이 되니 한글창제는 기적.
@kangkang7404
@kangkang7404 Жыл бұрын
2022.10.09 오늘은 한글날입니다. 우리가 한 번쯤 생각해 볼만한 글이 있어서 함께 공유합니다.♥ 우리 발음이 안좋았던 이유?! 오늘은 576돌이 되는 한글날이다. 그래도 이렇게 한글날이 있어 한글을 발명한 세종대왕에 대한 고마움을 한번 생각해 보게 되는것 같다. 최근에 한 잡지에서 일본 우경화 뿌리를 추적하는 기사를 봤는데 일본 제국주의(일제)가 조선 발전에 이바지한 그들의 주장들이 정리되어 있었고 그 속내도 다 알고 있는 내용이었는데 이중에 '복잡한 한글을 표준화 시켜 문맹율을 퇴치했다'라는 주장은 선뜻 이해가 가지 않았다. '일본인들이 한글을 얼마나 알아서 표준화를 시켰을까?' 이런 일본 극우의 주장은 좀 황당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다 우연히 순천향대 이덕일 교수가 진행하는 '이덕일 역사 TV' 유튜브 채널을 보게 되었다. 마침 '훈민정음을 난도질한 일본인'이란 주제의 강좌였고 이를 통해 그 이유를 알게 되었다. 오늘 한글날이고 해서 그 강좌의 주요내용 그리고 관련된 자료를 몇 개 더 찾아 아래와 같이 다시 정리해 본다.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은 1912년에 조선총독부의 통역관 출신 고쿠부 쇼타로(国分象太郎) 주도로 정한 한국어 맞춤법으로 일본어와 비슷한 발음을 하도록 의도된 제정안이다. 이 제정안에 따르면 1) 아래아(•) 폐지 2) 한 글자 받침 'ㄱ, ㄴ, ㄹ, ㅁ, ㅂ, ㅅ, ㅇ' 3) 두 글자 받침 'ㄺ, ㄻ, ㄼ' 열가지만 인정 4) 설음 자모 'ㄷ, ㅌ’ 등과 ‘ㅑ, ㅕ, ㅛ, ㅠ'의 결합 불인정 즉, 한글 표기 단순화는 일본어의 발음에 맞게 퇴보시켜 창제 정신과 창제원리를 말살한 일제의 잔재이다. 그런데 이 잔재는 현재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도 그대로 녹아들어 영어 알파벳 26 중 10 이상의 발음을 구분 못하게 되었다. 한글의 사용설명서 격인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을 보면 "정음을 만든데... 단지 그 소리를 따라 그 이치를 따름이다"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모든 소리를 적을 수 있는 게 한글을 창제 했다는 세종대왕의 유지인 것이다. 일제에 의해 파괴된 한글은 연서와 병서만 복원해도 전 세계 모든 발음이 가능하다고 한글 전문가는 얘기한다. 병서는 한글에서 두 개 이상의 자음 또는 모음을 가로로 병기해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것이고 연서는 순음자 밑에 ‘ㅇ’을 이어 쓰는 것으로 ‘ㅱ’, ‘ㅸ’, ‘ㆄ’, ‘ㅹ’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병서를 사용하면 L과 R 발음을 구분할 수 있다. Lane 레인, Rain ㄹ레인(또는 ㅇ레인)과 같이 표기하고 발음을 할 수 있다. 또 연서를 사용하면 B와 V 그리고 F와 P의 발음을 구분 할 수 있다. 즉 B는 ㅂ로 V는 ㅸ로 쓰고 발음하면 되고 마찬가지로 F는 ㅍ로 P는 ㆄ로 쓰고 발음하면 된다. 일제에 의해 시작된 단순화된 한글 표기와 맞춤법 그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현재의 한글 맞춤법도 폐지하지 않으면 한글 창제원리에서 벗어나 한글은 점점 퇴보가 되어 'McDonalds'도 '매끄도나르드' 쓰고 발음하게 될날이 오게 될 수도 있다. 이제라도 우리가 한글 창제 원리대로 유지하고 발전시킨다면 우리가 말하는 외국어는 보다 풍부한 발음 가능하리라 본다. 그간 내 안돌아가는 혀와 입만 탓했네🤣 원문: 훈민정음을 난도질한 일본인 이덕일 역사TV 2022.09.29 참고 글: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의 제정 의도와 표기사적 문제점, 국어사학회(국민대학교 김주필) 2017 훈민정음 창제 당시 변신글자 ‘ㅷ, ㅸ’, 뉴시스 2019.10.22 일제가 왜곡한 한글 맞춤법, 동아일보 2017.10.09 모든 소리 표현, 한글 과학성에 세계가 감탄, 동대신문 2009.09.06
@User-DarkHorse8765
@User-DarkHorse8765 Жыл бұрын
정말 최강의 재미있게 배웠읍니다 감사합니다
@user-cr3it7cz7i
@user-cr3it7cz7i 7 ай бұрын
그동안 티브에 안 나와서 참 궁금했는데요 아주 아주 반갑습니다
@user-kx6fw8ko6f
@user-kx6fw8ko6f Жыл бұрын
오~ 멋진 강연 잘 봤습니다~ 안그래도 개그맨? 같은데..하고 보다가 맞네요 ㅋㅋ 정말 대단하게 다른 모습으로 보니 넘 놀랐습니다~ 앞으로도 더욱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
@user-vq6di7cp5e
@user-vq6di7cp5e Жыл бұрын
강의 잘 들었습니다.
@user-cp8bc9xw7h
@user-cp8bc9xw7h 2 жыл бұрын
정재환 교수님 반갑습니다 개그먼 보다 더 갑진일을 하시는 모습정말 좋일을 선택 하셨보고요
@user-wj1yd4kk9t
@user-wj1yd4kk9t Жыл бұрын
나는 오래전부터 없어진 혼자 4자를 쓰고 있지요. 그렇게 하면 외래어 표기가 완벽하지요. ㅍ밑에 작은 ㅇ은 F ㅂ아래 작은 ㅇ은 V 삼각형 같은 것은 Z 그리고 ㅇ 위에 꼭지가 있는 것은 응 ng 로 써 놓으면 스펠 잘 모르는 외국어 나 혼자 알아봅니다 그러므로 낼 수 있는 모든 문자는 28자로 완벽하게 표현가능하지요.
@user-py7cc5ib8h
@user-py7cc5ib8h Жыл бұрын
저는 훈민정음의 사라진 네글자를 복원하여 쓰는 것도 좋지만 글자의 모양을 조금 변형하여 ㅅ을 거꾸로 하여 v = V로 , A를 뒤집어서 F로, 쌍ㄹ을 (ㄹㄹ) 영어의 L로 표기하면 어떨지요...
@user-qn4ts9zo3t
@user-qn4ts9zo3t Жыл бұрын
kzbin.info/www/bejne/ZmamZaKloNiAhqM 사라진 자음 4개에 대해 좀 더 알아보시고 싶으신 분은 위 영상을 보시면 제주도와 경상도 등 방언에서 발음이 남아있습니다. 그리고 사성에 대해서도 설명하시는데 초기 표기가 좀 더 남아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기도 하네요. 편의성이냐 정확성이냐...
@hyung-yulcho841
@hyung-yulcho841 Жыл бұрын
한글이 유럽인들이 발음하는 것을 좀더 정확하게 만들 수가 있을까요? F, V, Z, TH들이고 독일어에서 움라우트 그리고 CZ, SZ등등의 표음문자를 복합자음이나 복합모음을사용해서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타자기의 자판으로 사용하게 했으면 합니다.
@user-dp1hj4op4d
@user-dp1hj4op4d 2 жыл бұрын
아~~~ 감사합니다
@user-cg2ct1jl8z
@user-cg2ct1jl8z Жыл бұрын
그랬군요....감동입니다.
@shirkahahn4230
@shirkahahn4230 Жыл бұрын
저도 초딩때 문창살설을 들었는데, 그땐 해례본이 발견되고 한참 지난 때가 아닌지 ... 일제시대를 지나면서 4글자가 없어진것 정말 안타깝다고 생각합니다.
@user-dc2qg7rn7f
@user-dc2qg7rn7f 2 жыл бұрын
아름답고. 명품인우리말을 신조어가 더럽히는있어서는. 아니됀줄아옵나이다. 통촉하여주시옵서소
@user-vi1dl6ni9w
@user-vi1dl6ni9w Жыл бұрын
반치음, ㅍㅇ, ㅂㅇ 등을 재활용하면 z f v와 같은 왜래어 표기에 많은 도움을 줄텐데
@user-ll8gd6bx4e
@user-ll8gd6bx4e Жыл бұрын
팔아먹은 누구와는 다르고 존경스럽네요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 9 ай бұрын
고구려때부터 광개토대왕 그때부터 기록되엇던 그 많은 문헌들을 다 보았으니 가능한 원리창제이다 한글은 우리나라의 우수한 제도안에서 어린시절부터 교육받은 그 덕에 탄생한 마치 모짜르트명작같은 문화이다
@user-zh7dv4ht9o
@user-zh7dv4ht9o Жыл бұрын
하나님이 주신 한글 최고 빨리 가르치는법 특허.
@user-dv2zd1gl5b
@user-dv2zd1gl5b 7 ай бұрын
강사 너무 훌륭하고 내용도 너무 좋았습니다.근데 광고가 너어무 많아서 짜증이..
@user-ip7sg9eo4n
@user-ip7sg9eo4n 2 жыл бұрын
떠나면서 나갔으면 그돈을 깊하고 우선 하고 싶은 업종에 취직을 한 후 기본 작업을 배운뒤 이를 기반으로 여행을 다니던가 함.
@TheNoodlesgalore
@TheNoodlesgalore Жыл бұрын
th, f, v 한글표기 방법 제안 th, f, v 한글표기 방법. Thank you 땡큐 ㄸ 위에 ~ 표시를 하고 /th/로 발음합니다. three 쓰리 ㅆ 위에 ~ 표시를 하고 /th/로 발음합니다. tooth 투쓰 에서 ㅆ 위에 ~ 표시를 하고 묵음 /th/ 로 발음합니다. the 더 의 ㄷ 위에 ~ 표시를 하고 /th/로 발음합니다. flower 플라워 의 ㅍ 위에 ^ 표시를 하고 영어 /f/로 발음합니다. vase 는 베이스 라고 쓰고 ㅂ 위에 ^ 표시를 하고 /v/로 발음합니다. save 는 세이브 로 쓰고 ㅂ 위에 ^ 표시를 하고 영어 /v/로 발음합니다. 이상 두 기호 ~ 와 ^ 로 th, f, v 의 영어식 발음방법을 알아 보았습니다. 이 방법이 널리 사용되기를 바라며...
@user-kx4nq2zp9l
@user-kx4nq2zp9l Жыл бұрын
중국이 아니라 나라 가운데서도입니다
@choben755
@choben755 Жыл бұрын
정재환님 반갑습니다. 제가 기다리던 사람으로 여겨집니다. 한글을 세계인이 쓸 수 있도록 하는데 관심이 있습니다. 그들이 무리 없이 쓸 수 있도록 개발해놓은 지 30년이 넘었습니다. 아직 바빠서 제게는 기회가 없네요. 한 번 찾아오십시오. 같이 세상을 바꾸어 봅시다. 중국부터 바꾸어 봅시다. 댓글 달아 주시면 됩니다.
@user-wd6hn3ww3r
@user-wd6hn3ww3r 5 ай бұрын
전 신조어 줄임말 다 사용해도 좋다 생각하지만 하지만 그 글의 맞춤법을 알면서 사용하는거와 잘 모르면서 사용하는것은 큰 차이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자도 다시 학교에서 배워야 생각하고요
@user-pl1xp2do7l
@user-pl1xp2do7l 6 ай бұрын
한글은 문자녹음기 모든소리를문자화,하여 기록으로 남겨놓을 수 있는 결과 이러한기계가 있는지 Hangul is a text recorder. Is there such a machine that converts all sounds into letters and records them?
@TheSanghyuk77
@TheSanghyuk77 Жыл бұрын
신조어가 나오는 것은 사실 정재환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필요한 것임은 분명합니다. 다만 처음에 보여주신 카톡에서 나온 문제처럼 단어의 철자를 무시한 채 자기들 멋대로 사용하는 것은 개선되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새로운 것은 받아들이되, 잘못된 것은 개선되어야 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정재환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youngmanchake
@youngmanchake Жыл бұрын
한글은 위대한데, 한국말도 그만큼 위대해지면 좋겠습니다. 논리력, 표현력을 영어 버금가게 만듭시다.
@user-xf7vj3rg9k
@user-xf7vj3rg9k Жыл бұрын
참 이렇게 착해 헐
@user-ip7sg9eo4n
@user-ip7sg9eo4n 2 жыл бұрын
지금 뜨기는 반 치음을 사용하면 프랑스어처럼 발음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뜨네요.
@user-ip7sg9eo4n
@user-ip7sg9eo4n 2 жыл бұрын
상황분석을 하면 학사는 옥편작업을 진행 하였을 것 입니다. 그리고 여자들이 이를 이용하여 편지를 쓰는 작업을 이용하여 글의 사용애 대한 활용밥법을 정립하게 되었다? 글의 내용을 보면 이러한 맥락이 있읍니다.
@user-gn7qi6xd9x
@user-gn7qi6xd9x Жыл бұрын
kzbin.info/www/bejne/kHelpJt6hcqUabs 한글빛내기모임 토론회 움직그림입니다.
@shkwon6556
@shkwon6556 Жыл бұрын
소확행은 일본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가 만든 말이다. 나도 하루키의 팬이고 90년대 그의 수필집(아마 안자이 미즈마루가 삽화를 그렸을 것이다)에서 자신이 만든 말이라는 구절을 읽었다. 일본 소설가가 만든 말이라고 쓰면 안된다는 것은 아니나, 타인의 창작물임은 알았으면 한다. 그런데, 그걸 알고 있으면 과연 쓰기는 할까? 요즘 방송국 PD들은 자막으로 무분별하게 정체불명의 말들을 만들어 내는 것 같은데, 이건 출처를 밝히지 않은 표절에 가까운 것이 아닌지. 잘 아는 것이 처음이고 즐겨씀이 두번째다. 우리의 말과 글을 소중히 여기고 아름답게 사용하기를.
@user-tm6hn4bp4i
@user-tm6hn4bp4i Жыл бұрын
간송선생님이. 지킨 문화재는. 대대손손. 감히 돈으로 환산할수 없는. 값어치가. 있는 일이었다
@sknam776
@sknam776 Жыл бұрын
영어 알파벳 발음중 b, f, v, r,등 이 글자 소리를 한글이 표현이 없는 대신 없어진 4자를 대신 사용하면 안될까요? 이니면 ㅂ변에 ㅇ자를 옆에 붙여서 v자 발음을 내는 방법등등....
@user-py7cc5ib8h
@user-py7cc5ib8h Жыл бұрын
L은 쌍ㄹ, V는 ㅅ을 거꾸로, F는 A를 거꾸로 써보면 어떨지요...
@user-wj4pk3qf4y
@user-wj4pk3qf4y Жыл бұрын
비퍼 앤 애프터, 전과 후, 앞과 뒤
@user-rh1iu7su9h
@user-rh1iu7su9h Жыл бұрын
한글은 문자가이니다 발음기호라고 말씀하십 강상원박사님
@user-zr2tt6py4v
@user-zr2tt6py4v Жыл бұрын
🇰🇷😄👍
@user-ip7sg9eo4n
@user-ip7sg9eo4n 2 жыл бұрын
나는 생각이 다릅니다. 임금과 자식들이 자손을 나으면 분가를 하지만 집현전 같은 곳에서 학문을 연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치를 실현 하게 됩니다. 그러면 과거는 대가족 제도 인데 자식들을 13~이후에는 낳읍니다. 대체 몇이나 될가요?
@freeman4823
@freeman4823 Жыл бұрын
. 아래아 자는 제주어에서 현재도 발음하고 있습니다..특히 70이상 되신 어르신들이 쓰는 말 들어보면 정확히 발음합니다..
@Hewau-fj5zz
@Hewau-fj5zz Жыл бұрын
한국사람들이 외국 화장품 많이 사지만 한글로된 제품설명서가 없는 제품들이 아직 많아요
@user-nn1oi5wg3s
@user-nn1oi5wg3s Жыл бұрын
한글을 조금 더 생각하면, 세계 언어중에서 제일 위대한 언어라고 생각됩니다
@user-sn2db5rp8p
@user-sn2db5rp8p Жыл бұрын
세계의 최신 이론과 최고의학문을 매일 번역하여 공개하여 동학?들에게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kimdokju
@kimdokju Жыл бұрын
한글을 외국에서ㅡ가르키는 사람입니다ㅡ 당시에 중국과 다르다고 했는데.... 그.당시 중국이란 나라가 없었던 것인데 이점 설명 부탁 드립니다.
@joonholee9790
@joonholee9790 Жыл бұрын
누구를 가르키는 게 아니라 가르치는.겁니다.. 어떻게 이런 기초적인 문법도 모르시면서.한글을 알리시나요?
@kimdokju
@kimdokju Жыл бұрын
@@joonholee9790 아ㅡ그러네요ㅡ ...가르치다.가르키다....
@HotSoil510
@HotSoil510 Жыл бұрын
한글은 당시 지식인들이 잘 알고 있었던 몽고 파스파문자를 배낀것임....새롭게 만든 것이 아님.그냥 아류일 뿐임. 중국과?? 명나라를 말하는 것이죠....이민족을 중화, 중국 이라고 칭하면서 세계의 중심이라고 생각했던 얼빠진 지배층이죠.
@HotSoil510
@HotSoil510 Жыл бұрын
@@joonholee9790 한글은 그냥 소리글자임...문법?? 맞춤법 이라고 해야지...강제하는 법이 어디있나???맘데로 쓰면 되는 것임.
@user-ib9qg3uf9n
@user-ib9qg3uf9n Жыл бұрын
가르치는...이라고 해야합니다.
@user-ip7sg9eo4n
@user-ip7sg9eo4n 2 жыл бұрын
두가지는 주역의 내용을 기반으로 윳놀이와 같은 것이 만들어 졌는데 태극기의 형태 안에서 정리한 내용 입니다. 문제는 구강의 구조에 따른 작업에 대한 것이 어떤가 모르겠읍니다. 언문이라는 것은 발음기호다라고보면 되는데 .........
@user-db2zs5ii3g
@user-db2zs5ii3g Жыл бұрын
15:57 오리지날 금강산을 봅니다 1만 2천봉^^
@Hewau-fj5zz
@Hewau-fj5zz Жыл бұрын
국회의사당 몇년전에 의장이란 팻말도 한자로만 되어 있고 극해어원들 이름도 모두 한자 이름만 명패에 있었는데 어떤 이름들은 요상한 한자라 읽을수도 없어서 내가 국회의사당에 전화해서 의장 팻알을 한글로 바꾸고 극해어윈들도 국민들과 소통할려면 한글 팻말을써야한다고 민원을 넣어서 모두 한글로 바뀜
@user-hq8rp5up4g
@user-hq8rp5up4g Жыл бұрын
한글의 위대함을 자랑하는 것보다, 훈민정음의 원래 취지대로 사용하자.
@user-ip7sg9eo4n
@user-ip7sg9eo4n 2 жыл бұрын
조선은 왕의 그릇이 깨지면 왕이 돼지 못함,왕이 돼더라도 더 엄격하게 저을을 댄다고 보면 됨. 그릇이라는 것은 단지 자룰 짓지 않았다고 그릇이 제대로다 하지 못함.
@user-rd6ct1ip8w
@user-rd6ct1ip8w Жыл бұрын
한글은 소리의 원리를 탐구하여 ‘소리’를 가장 간결하게 ’그렸다‘는 점에서 훌륭한 디자인의 모범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덕분에 우리는 24자밖에 안되는 글자로 거의 모든 소리를 묘사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창제 목적처럼 며칠이면 모든 글자를 익히고 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인류의 소통이 말 만큼이나 글로 이루어지며, 중요한 지식이 대부분 글로 전수된다는 것을 생각할 때, 우리는 그야말로 엄청난 인프라를 가지고 있다고 해야 할 것입니다.
@user-xv6js8df2n
@user-xv6js8df2n Жыл бұрын
오!반가운 얼굴 내시십분
@Hewau-fj5zz
@Hewau-fj5zz Жыл бұрын
자장면 짜장면 논란이 있을때 내가 한글회에 전화해서. 포준말이란 국민들이 통상 많이 쓰는 것으로 해야한다고 것이니 짜장면으로 통일 하는 게 맞다고 주장함. 그 후로 짜장면이라고 해도 된다고 공표함. 그전에늣 자장면이 방송표준어 였음. 들을때 마다 간지르운 느낌에다 발음 하기도 힘들었고 짜장면 맛이 안 났지.
@tp-ej5gu
@tp-ej5gu Жыл бұрын
한국인 ~
@User-DarkHorse8765
@User-DarkHorse8765 Жыл бұрын
미국역사 석사를 받은 일본인 이웃이 있는데 그녀가 말해주기를 임진왜란때 도자기만드는 사람들과 만드는 도구들을 한동네 전체를 가져다 큐슈에 옮겼다고 해 놀랐음 처음들어보는것 잘하는사람들만 데려갔는줄 알았는데 마을전체를 빼았아 날랐다니..
@seungkyookim3074
@seungkyookim3074 Жыл бұрын
한글(韓契)은 위대한 우수한 문자입니다. 그러나, 2% 부족합니다. 그것을 채워줄 수는 또 다른 우리 조상 인 동이족이 만든 문자인 갑골문에서 발전한 한자(韓字, 漢字가 아니고 빼앗긴 것입니다).우리말의 60-65%가 한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우리말은 더 이해하기 쉬어지고 더 확장성도 가질 수가 있습니다. 한자가 어렵다고 한글전용만 하는 것은 두고 두고 후회할 것입니다. 유럽만 해도 몇 가지 말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우리나라도 한자 교육을 더 깊이 한다고 해도 충분히 소화가 가능합니다. 국한문혼용이 정답입니다. 그리고, 훈민정음에서 사라진 문자를 복원을 한다면 200% 완벽한 문자가 될 것으로 믿습니다. f, v 등 비슷하지만 정확하지 않은 소리를 완벽하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겁니다. 뮤익한 영상 잘 보고 갑니다.
@user-qn5go2hs9u
@user-qn5go2hs9u Жыл бұрын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분,존경합니다,
@seungkyookim3074
@seungkyookim3074 Жыл бұрын
@@user-qn5go2hs9u 공감해 주시는 분이 있어도 저도 존경합니다.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 9 ай бұрын
추잡스런 한자는 그냥 교양과목으로 족하다
@seungkyookim3074
@seungkyookim3074 9 ай бұрын
@@user-vg7jc7hy6z 한글은 같은 우리민족이 만든 한자가 있을 때 더운 더 빛나는 것이다. 한자를 모르는 無智한 사람들의 푸념인가 ?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 9 ай бұрын
@@seungkyookim3074 한글뿐아니라 좋은 심성도 심어야한다 이북봐 좋은 한글로 탈영병들 뭐 주입시키는지 알쥐 인간을 아까는 좋은 마음 부모를아까고 자식을 이해하는 마음을 한글로 심어야쥐
@kinghangul4126
@kinghangul4126 Жыл бұрын
42분25초 지금 우리는 누구를 위해서 무었을 할 수 있을까요? 한글은 전세계 언어(소리)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문자가 없는 수천개의 민족 및 언어에 명품 문자를 보급하는것이 인류애의 실현이고 세종대왕의 뜻을 계승한다 생각합니다.
@ysb0721
@ysb0721 Жыл бұрын
퍼즐 특급열차 MC 출신
@user-bg5zh1bg8z
@user-bg5zh1bg8z Жыл бұрын
한국이발전한것이기초가한글이큰역할한거같아요배우기시우십고문맹눌이줄고쓰기시우니까요
@byungjoolee5153
@byungjoolee5153 Жыл бұрын
요즈음 유튜브를 보면, 부적절한 조사 사용, 부정확한 어휘 사용 등과 같은 부자연스러운 한글 표현이 많이 보여 걱정이 됩니다. 입시를 위한 공부만 하고, 독서를 적게 하기때문이 아닐까요? 제발 책 좀 많이 읽읍시다!
@Hewau-fj5zz
@Hewau-fj5zz Жыл бұрын
요새 고양이를 요상하게 부르든데.. 왜 그런지요? 뭐라고 했는지 기억이 안날 정도로 요상했음
@user-ji2mm6pk7q
@user-ji2mm6pk7q Жыл бұрын
정재환씨 참 대단하십니다. 이왕 연구하시는 김에 우리글만 아니라 우리말도 연구하시지요. 우리말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었듯이 누군가가 참견하여 잘 정리된 명사를 갖고 있습니다. 그 < 누군가>를 밝히는 것이 한국언어연구의 촛점이 되어야 합니다. 잘 정리된 명사들이란 = 기본이 되는 중요한 것은 무조건 한 음절로 통일됩니다. 손, 발, 목, 배, 등, 눈, 코, 입, 귀, 피, 살, 뼈, 털, 이, 침, 똥, 물, 불, 흙, 돌, 쇠, 뫼, 별, 땅, 해, 달, 개, 닭, 돗, 말, 소, 새, 풀, 낢, 범, 곰, 무, 파, 쑥, 콩, 팥, 쌀, 벼, 조, 좃, 씹, 일이삼사오륙칠팔구십백천억조, 이, 저, 그, 쪽, 것, 길, 줄.... 이런 빼도박도 못하는 실체가 살아 있는데 를 밝혀야 합니다. 그건 단군일수도 혹은 어떤 집단일 수도 있겠지요. 또하나 과연 일본말 만주말 몽고말도 이럴까요? 세계 어떤 나라도 이런 토속적인 명사를 갖지 않았습니다. 단언합니다. 정재환씨 연구해보세요.
@user-ip7sg9eo4n
@user-ip7sg9eo4n 2 жыл бұрын
ㅋ 소학행은 젓비린내나는 말을 쓴다. 응얼거리는 말 같은 것도 사용한다. 라고 생각이 듭니다.
@user-bo9bm5fg4x
@user-bo9bm5fg4x 11 ай бұрын
훈민정음은세종대왕이창제 함이아니고예로부터내려온 우리문자를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다시정리창제한것이라는말은 무슨말인가?
@user-ni3ti9oj5d
@user-ni3ti9oj5d 7 ай бұрын
사실, 동북 아시아에서 사용되는 세가지 문자, 즉 한자, 가나, 그리고 한글 모두 우리의 조상이 만든 문자 체계이다. 첫째, 한자는 기원전 16세기경에 우리 민족 동이족이 만든 갑골문을 기원전 1세기경에 한족이 모양을 바꾼 글자이다. 둘째, 통일 신라에서 가나는 한자의 음성 표기가 가능하지 아니한 단점을 이두로 간단한 한자의 발음을 표기하였으나, 다시 한자중 일부분이나 모양을 간략화시켜 음성 표현이 가능한 문자를 통일 신라에서 발명하였다. 그후, 신라에서는 주로 한자만을 사용하다, 불경의 각필 기록과 함께 일본에 건너가 소리의 발음을 표기하고 일본에서는 한자와 더불어 주로 사용하여 일본의 글자가 되었다. 이것은 마치 원본이 갑골문인 한자가 마치 중국화되어 한자가 중국 글자라고 여기는 것과 똑같은 이치이다. 셋째, 모두 아는 세종대왕이 창제하신 한글이다. 그러니, 우리 민족이 만든 문자 체계가 판 (version) 1, 2, 3로 만들어 졌고 15세기의 한글이 마지막 판(version)인 것이다.
@user-pu1zt5qm3j
@user-pu1zt5qm3j Жыл бұрын
소리는있다. 123의 이와 기생하는 이와 발음이다르다. 2는 이 지만 기생충 이는 ㅇ이든가. ◇삼각형 이 로쓰야하지 않을까?
@kbscience4551
@kbscience4551 Жыл бұрын
한글의 어메이징을 전부 뽀록 내시면 어떡함니까 짱바글껀 짱바그셔야져
@Hewau-fj5zz
@Hewau-fj5zz Жыл бұрын
북한에서는 한글을 김일성이가 만들었다고 가르치고 있답니다 . 그래서 광화문에 있는 세종대왕 동상과 박물관이 눈에 가시라 그전 서울시장 원숭이가 싹 밀어 버리려고 했지요 . 그래서 광장을 다시 디자인 했는데 오세훈 시장이 되서 보존 됐지만. 세종대왕의 과학 분야 천재성을 보여 주는 여러 발명품을 보여 주는 청동 조각품들은 없어 진거 같아 가슴이 아픕니다
@GH-jw7kh
@GH-jw7kh 10 ай бұрын
전형필 선생님이 없었으면 이 많은 문화유산을어떻게 되찾게 되었을까 일본이 수탈한 문화유산을 언제나 되찾게 될까 TV를 보다보면 고증을 할 때 일본 어느 박물관에서 사료를찾아 확인을 하는 장면을 보면 통탄을 할 지경이었다
@user-fi3qr5wi3v
@user-fi3qr5wi3v 8 ай бұрын
유재석이 담고싶은 사람
@user-zv5it4uw7b
@user-zv5it4uw7b Жыл бұрын
통글자 방식으로 가르쳐봤는데 사진 찍듯이 외워버리더라구요. 빠르게 효과가 나타나다보니 처음에는 그게 좋은 건줄 알았는데 병아리도 알고 원숭이라는 글자도 아는 우리 딸이 병원은 못 읽더라구요. 약간 충격아닌 충격을 받았어요 ㅎㅎ 오은영박사님 한글교육 영상에서도 그렇고 아무래도 낱글자로 가르치는게 좋은 것 같아서 찾아보다가 생각한글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아이 한글 뗐습니다. 동화로 배우고 낱글자 방식이라 좋더라구요ㅎㅎ저희 아이가 제일 좋아했던 영상 링크 남겨봅니다 ㅎㅎ kzbin.info/www/bejne/gGTYY62Yf86fhKs
@user-yo8yo3dw5j
@user-yo8yo3dw5j Жыл бұрын
걱정마세요. 오늘날에는 만들었을거예요. 청와대에 높은분 있거등요
@user-nl7ij4pv9l
@user-nl7ij4pv9l 2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을 사람들이 많이 봐야 하는데 서술어 의성어 목적어 의태어 동사 주어
@3mcurri
@3mcurri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의 한국관련 역사는 안타깝게도 일본과 중국에의해 왜곡되거나 잘못알려진 부분이 너무 많다고 봅니다 맹목적인 국뽕은 당연히 배척되어야 하지만 역사적 진실?사실?에 대해서는 선입견이나 부족한식견을 가지고 섣불리 퍼뜨리는것 또한 소위 국뽕만큼이나 위험다고 생각됩니다. 한자에 대한 오해? 아래글을 읽어보시면 어떤 생각이 드실지 궁금하네요~ 「참고로 아래내용은 "대만국립사범대대학원 중국어문학박사" "명지대국어국문학과교수" "국제한자진흥협의회회장" 약력을 가진 진태하교수님께서 생전에 인터뷰하신 내용일부를 발췌해서 옮겨놓은겁니다.」 “우리나라 초대 문교부장관인 안호상(1902~1999) 박사가 장관시절, 중국의 세계적 문호 임어당(林語堂, 1895~1976)을 만났을 때 여담처럼 말했죠. ‘중국이 한자를 만들어 놓아서 우리 한국까지 문제가 많다’ 고요. 그러자 임어당이 놀라면서 ‘그게 무슨 말이오? 한자는 당신네 동이족이 만든 문자인데 그것도 아직 모른단 말입니까?’라는 핀잔을 들었답니다.” 중국 학자들이 고증 첫 째, 한자(漢字)라는 호칭은 중국 한족이 만들었대서 붙여진 이름이 아닙니다. 그들은 한자를 만들지 않았습니다. 한나라 때에도 ‘한자’라는 명칭은 없었죠. 긴 역사를 논할 시간은 없으니 쉬운 예로 중문대사전(中文大辭典)을 보면 [한자는 곧 한족인의 문자라는 말인데, 몽고문자와 대칭해서 말한 것이다]라고 설명합니다. 공식적으로는 원(元)나라때 몽고인들이 중국을 지배하면서 몽고문자와 구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입니다. 둘째, 한자는 오래전부터 동이족이 사용한 문자가 약 3400년전 은(殷)나라때 ‘갑골문(甲骨文)’으로 발전된 문자입니다. 중국의 사학자 왕옥철(王玉哲), 장문(張文), 문자학자 이경재(李敬齋)등의 연구 고증에 따르면 한자의 연원은 동이족 문화유산으로서 ‘중국의 문자는 모두 동이인(東夷人)이 만들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格斗裁判暴力执法!#fighting #shorts
00:15
武林之巅
Рет қаралды 87 МЛН
КАК СПРЯТАТЬ КОНФЕТЫ
00:59
123 GO! Shorts Russian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Bro be careful where you drop the ball  #learnfromkhaby  #comedy
00:19
Khaby. Lame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한글이 'ㄱ'부터 시작되는 이유 [우리가 몰랐던 한글 이야기 1회]
37:36
한국불교 대표방송 BTN
Рет қаралды 42 М.
[백악필흥] 초정 권창륜 인터뷰
17:31
백악미술관
Рет қаралды 12 М.
🇰🇷[한글날 특집] 세계 문자 역사와 한글이 특별한 이유?
18:22
조승연의 탐구생활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100년전에 녹음된 한국어 육성 음성 원본
13:28
디씨멘터리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格斗裁判暴力执法!#fighting #shorts
00:15
武林之巅
Рет қаралды 8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