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담수화 기술은 정말 물 부족 위기의 해결사일까?(ft.비용이 문제가 아냐!)

  Рет қаралды 941,037

과학드림 [Science Dream]

과학드림 [Science Dream]

Күн бұрын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bitly.kr/ZDqKr1WUG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toon.at/donate...
=============================================
저도, 여러분도 잘 아는 한 가지가 있습니다.
달콤하고, 화려하고, 거창한 무언가의 이면엔
우리가 모르는, 혹은 알면서도 외면해야 할
‘씁쓸함’이 있다는 사실을 말이죠.
오늘은 해수담수화 기술의
조금은 불편한 진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해수담수화 #물부족 #기후변화
=============================================
[참고 자료]
E. Delyannis, (2003). "Historic background of desalination and renewable energies."
Nirajan Dhakal et al., (2022). "Is Desalination a Solution to Freshwater Scarcity in Developing Countries?"
Alon Tal, (2018). "Addressing Desalination’s Carbon Footprint: The Israeli Experience."
Edward Jones et al., (2019). "The state of desalination and brine production: A global outlook."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생성된 농축수의 환경적 영향."
[사진 및 영상]
셔터스톡 외
[음악]
(1)Sunriver - Restless
(2)Wild Side
(3)The 5th Season
(4)Can you make it
(5)Howling at the moon
(6)Once and for All

Пікірлер: 1 200
@iroppong
@iroppong 2 жыл бұрын
국가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농축수(Brine) 배출 규제는 생각보다 엄격합니다. 담수화 플랜트가 보통 발전소 옆에 지어지므로 발전소 냉각수와 섞어서 희석하기도 하고, 바닷물과 잘 섞이도록 배출 파이프 끝 부분에 확산장치를 달기도 하고요. 배출구 주변 해양 생태계도 많은 경우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데, 크게 문제가 된 경우는 없는 것으로 압니다. 환경규제가 엄격한 호주에서조차도요. 역시 가장 큰 문제는 에너지 사용량입니다. 바닷물보다는 석유를 짜내서 물을 만들어내는 느낌이죠.
@hawk8873
@hawk8873 2 жыл бұрын
핵융합 일반화되어도 발전에서 나오는 폐열이 온난화에 영향을 계속 줄듯 합니다. 현재도 전체 열량의 40%가 발전 열이라고 하던데요.
@박성빈-x5z6e
@박성빈-x5z6e 2 жыл бұрын
@@hawk8873 전체열량이라는게 무슨 말이죠? 태양열 말고 지구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열량을 말하는건가요?
@무명-p3n
@무명-p3n 2 жыл бұрын
'~인 걸로 압니다'는 식의 불확실한 주장만 있고 객관적인 근거가 없네요. 확실한 근거가 있어서 하는 말인가요?
@hanwkahak8653
@hanwkahak8653 2 жыл бұрын
@@무명-p3n 이런 좆문가들한테 그런게 있을리가없지
@SJ-bg7xo
@SJ-bg7xo 2 жыл бұрын
@@hawk8873 원래 모든 발전 공정은 우주의 엔트로피가 증가합니다 얻을수있는 실질적인 일과 시간 사이에서 타협을 보는거죠.
@josephlee7233
@josephlee7233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theduck3311
@theduck3311 2 жыл бұрын
담수화 시설 주변에 대규모 염전을 만들어서 소금 생산뒤 남은 물을 버리는 것도 한 방법이겠네요 어쨌든 소금은 늘 필요하고 농도가 짙은 물은 더 빨리 소금으로 변할테니까요
@findaway4315
@findaway4315 2 жыл бұрын
저도 보자마자 염전을 하면 더 효율적이겠는데 라고 생각했어요.
@ksuwshshysuoeldn
@ksuwshshysuoeldn 2 жыл бұрын
염전도 소금 농도가 적당해야 합니다. 그리고 염전은 깨끗한 바닷물로 생산해야 하는데 담수화 시설에서 생산된 물은 중금속이 가득해서 산업용으로도 식용으로도 못 쓰는 폐기물이에요 그냥
@theduck3311
@theduck3311 2 жыл бұрын
아 그렇군요.. 그럼 중금속 가득 담긴 물이 바다로 갔다가 우리 몸으로 다시 들어오는 꼴이 되는거군요 지금 ㅠ
@bluestonejim2500
@bluestonejim2500 2 жыл бұрын
니 머리는 액세사리냐? 연구를 해서 중금속 분리하면되지?
@홍성호-q3j
@홍성호-q3j 2 жыл бұрын
@@bluestonejim2500 효율.. 비용.. 항상 생각하자 잼민아
@YEPPIE_canary
@YEPPIE_canary 2 жыл бұрын
와… 농축수 생각은 전혀 못 했네요… 빨리 좋은 해결책이 나오기를…!
@김도현-d2g
@김도현-d2g 2 жыл бұрын
대충 바다로 흘려보내면 알아서 희석되는줄 알았는데 아니었네
@user-jeondongmin
@user-jeondongmin 2 жыл бұрын
@Joannie Mayert 신고함 ㅅㄱ
@sep5072
@sep5072 2 жыл бұрын
@@김도현-d2g 희석됨. 그냥 영상이 존나과장한거임.
@iilililiiillliililillilili
@iilililiiillliililillilili 2 жыл бұрын
@@sep5072 ㄹㅇ 바다가 알아서 희석함. 이거 영상이 그냥 경각심 강조차 과장함 ㅋㅋ
@Good_together
@Good_together 2 жыл бұрын
@@sep5072 쯧..
@손성준-u2u
@손성준-u2u 2 жыл бұрын
와 씨 열역학 법칙의 위력을 새삼 다시 느끼게 된다 공짜는 없다 ㄹㅇ
@장루리
@장루리 8 ай бұрын
퉁퉁마디 세덤(함초)을 샀다 5포트에 12500원... 소금끼를 머금고 있는 해안식물... 나는 염분공해로 병들어가는 바다가 너무 고통스러워보여서, 화장실에서 오줌싸는 것에 포함된 염분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게 좀 거시기해서... 대야에 오줌싼 물 받아서 키울려고 함초를 샀다 조금이라도 바다가 인간의 똥오줌으로 병들지 않았으면... 사우디도 담수화하면서 해안가에 염분투성이라던데 퉁퉁마디 세덤이나 대량으로 해안가에 키우면서 염분이나 좀 줄이고 공기를 새좁쌀만큼이라도 더 개끗하게 만들었으면.. 중동전체가 담수화문제로 병신화되어간다던데.... 퉁퉁마디세덤(함초) 를 바닷가에서 키우면 해안가 공기질이 약간이나마 좋아질 듯...
@user-f_ck_you
@user-f_ck_you 5 ай бұрын
열역학법칙이 왜나오는건지 모르겠지만 공짜는 없죠
@자하-b4k
@자하-b4k 2 жыл бұрын
사회가 단점까지 포함해서 받아들여야 한다는망이 너무 와닿네요. 오늘도 좋은 과학지식 감사합니다!
@mna833
@mna833 2 жыл бұрын
담수화 -사막의 열대화-이산화탄소 흡수- 기후변화 - 담수설비가동 중지 이게 궁국목표임 그냥 쓰고버린다는 단순한생각은 환경을지킵시다 플라스틱쓰지마요 이런 1차원적인생각
@방지원-u5z
@방지원-u5z Жыл бұрын
@임재환-x5z
@임재환-x5z 2 жыл бұрын
와 오늘 영상은 '신기하다!'에서 멈추지않고 과학기술을 바라보는 제대로된 시선을 알려주네요... 과학기술인으로서 좋아요를 아보가드로 수만큼 박고 가겠습니다
@앨-p9y
@앨-p9y 2 жыл бұрын
아직 누르고있죠?
@yoplait_protein
@yoplait_protein 2 жыл бұрын
@@앨-p9y 한 10년 뒤에 다시 한 번 물어보면 될…까…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낚시야놀자-o9c
@낚시야놀자-o9c 2 жыл бұрын
저는 메비우스의띠 만큼 누르고 있음..
@저는기어다닐거에요
@저는기어다닐거에요 2 жыл бұрын
@@낚시야놀자-o9c 뫼비우스의 띠가 왜.....?
@DH-cx6wy
@DH-cx6wy 2 жыл бұрын
@@낚시야놀자-o9c 뭔 개소리여..
@none54379
@none54379 2 жыл бұрын
농축수는 그냥 방류하지 않습니다. Recirculation analysis(RA)를 통해 온도, 염도 등이 인근 해양생태계에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처리한 후에 방류합니다(완벽한 처리는 불가). 계획단계에서 RA가 불합격되면 프로젝트 추진 불가합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환경기준이 상향되어서 농축수처리 또한 엄격하게 계획 관리 되고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홍해쪽에 산호군락이 많은데 담수플랜트로 인해 산호군락이 피해를 입을 경우 거의 회사 망할 정도로 벌금 때립니다. 농축수 관리를 철저하게 안할 수가 없죠
@실애기
@실애기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에너지자원 역시 화석연료는 사용하지 않는 추세입니다. Brine 배출규제는 엄격한데 잘못된 정보네요..
@fkdltm0814
@fkdltm0814 2 жыл бұрын
했던말이잖아
@최지훈-p6d6s
@최지훈-p6d6s 2 жыл бұрын
@@fkdltm0814 그냥 자기 지식 뽑내고 싶어서 그런거지나 이해해
@killerWhale-is5zu
@killerWhale-is5zu 2 жыл бұрын
그것도 선진국 이야기 아닌가요?
@김경원-m9b
@김경원-m9b 2 жыл бұрын
완벽한 농축.수 처리. 불가 가. .답인듯., 중금속..등등..
@블로로
@블로로 2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유튜브 지식중에는 정말 달의 뒷면은 쏙 빼고, 전달 되는경우가 많은거 같습니다. 최근에 해수담수화 관련 영상을 봤을때는 굉장히 좋은 친환경인줄만 알았는데...
@hanbyeongyeob
@hanbyeongyeob 6 ай бұрын
경남에 해수담수화 설비를 건설하고 물 공급 준비할 때 도민들이 총궐기하여 후쿠시마 원전수가 더 안전하다, 담수화 물 공급 결사 반대한 결과 국내 추가 설비 건설이 불가해졌습니다., 후쿠시마 원전수가 더 안전한 물이라고 데모질 하는 나라가 대한민국입니다
@tiuz949x0xock
@tiuz949x0xock 6 ай бұрын
문제없으니까 그런거임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마셈
@lol-di3tf
@lol-di3tf Жыл бұрын
현재로선 해수 전지를 대규모로 만드는게 유일한 해답일듯 하네요. 말그대로 해수를 배터리로 쓰는건데 직접 보시면 알겠지만 전기를 생산하면서도 물을 샬균까지 해주는 대단한 기술입니다. 즉, 전기와 물을 확보할 수 있다는 1석2조가 있죠. 이미 개발한지도 5년 이상된 상태인데 아직까진 대규모로 만든적은 없더군요. 결국 에너지 문제가 가장 큰데 이건 해결이 어렵습니다. 핵융합은 아직 불가능할뿐더러 수십년이 지나도 상용화가 될련지 의문인데 여전히 화력 및 원자력이 주력이죠. 고로 해수 전지가 현재로선 제일 좋은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김영훈-e9i8c
@김영훈-e9i8c 2 жыл бұрын
농축수를 염전으로 보내는 방법도 필요하겠네요. 이미 수분이 많이 빠진 물이라 같은 양의 물에서 더 많은 소금을 더 빠르게 얻을 수 있잖아요
@워티홈
@워티홈 2 жыл бұрын
효율이 너무 안좋고, 중금속까지 있어 답이없음.
@suhyeonkim3069
@suhyeonkim3069 Жыл бұрын
농축수가 소금만 많은 바닷물이 아니라 불가능함. 농축수로 만든 소금은 먹다간 골로감
@Fortuna-Aesculapius
@Fortuna-Aesculapius Жыл бұрын
리튬, 마그네슘 맛있게 드실?
@critiqu.e
@critiqu.e 6 ай бұрын
@@suhyeonkim3069 원래 지금도 천일염은 그걸 먹고 있는것 아닌가요?
@루어-j2g
@루어-j2g 5 ай бұрын
왜 다들 1차원적으로 생각하지 ㅋㅋ 운송비가 소금생산단가보다 훨씬 비싼대 ㅋㅋ 널린게 해수인걸 잊지마세요.
@joboxer1115
@joboxer1115 2 жыл бұрын
정보감사합니닷
@stayy5
@stayy5 2 жыл бұрын
농축수를 염전과 연계해서 소금 생산에 쓰는 방법을 연구해 보면 어떨까 싶네요.
@KKK72842
@KKK72842 2 жыл бұрын
@wansukim3689
@wansukim3689 2 жыл бұрын
염전과 연계할 필요 없이 이미 한주소금이라는 브랜드가 있습니다
@asyouknowlee1358
@asyouknowlee1358 Жыл бұрын
안 그래도 저거 보면서 "농축수로 천일염 만들면 되는 거 아닌가" 생각했는데
@We_Are_VENOM_S2
@We_Are_VENOM_S2 2 жыл бұрын
과학드림님 최고😭👍🏻👍🏻👍🏻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그냥저냥-v4g
@그냥저냥-v4g 2 жыл бұрын
검색해보니 농축폐수에서 마그네슘 추출, 전기공정을 통한 염화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염화 칼륨 등을 제거해 식염제조도 가능하네요. 기술의 미비보다는 규제의 미비로 그냥 방류하고 있는것이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
@찐타
@찐타 2 жыл бұрын
돈이 안돼서 그런거임 돈만 되면 업자들 정부에 로비 존나해서 어떻게든 해냄
@ksuwshshysuoeldn
@ksuwshshysuoeldn 2 жыл бұрын
기술의 미비가 맞습니다. 제조가 '가능'한 것과 그것을 상용화하는 것은 엄청난 차이입니다. 달 탐사가 가능한 것과 그걸 대중들에게 상용화시키는 것은 어마어마한 차이이듯이 말입니다
@ako_o
@ako_o 2 жыл бұрын
@@찐타 맞죠 사업성이 있을 정도로 상용화가 가능한 자원회수기술이 개발됐으면 좋겠네요
@JJ-qo9ik
@JJ-qo9ik 2 жыл бұрын
소금 만들고 중금속 추출 해서 팔아 돈이 안되나봄. 걍 버리는게 오히려 싸게 먹혀서 그런듯. 기술이 더 발전해서 비용이 절감되고 수익 구조가 생기면 버리는것 없이 유용하게 쓸듯
@그냥저냥-v4g
@그냥저냥-v4g 2 жыл бұрын
@@ksuwshshysuoeldn 농축폐수 처리 문제에 있어 처리가능한 방법이 있음에도 경제성을 이유로 기술의 미비를 핑계로 방류한다는 것은 말이 안됩니다. 접근 방법이 틀렸습니다. 생활 패수, 공장 패수, 자동차 매연, 공장 매연 등등등 재처리, 집진 등의 처리 장치를 안하는 것이 훨씬 경제성이 있지요.. 처리시설을 안하는 것보다 경제성 있어서 설치 하는 아닙니다. 그래서 규제의 미비라는 것입니다. 방류보단 그 비용을 감수하고 재처리후 방류해야되는 것이 맞지요... 예로 든 달탐사, 달 자원 사용과는 다른 케이스입니다.
@mj6user488
@mj6user488 Жыл бұрын
해수 담수화도 좋지만 가장 비용적으로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드는게 사막에 태양광 발전소를 짓고 송수관을 통해 사하라 사막 한가운데에 바닷물을 끌어와서 호수를 만들면 그 물이 증발해서 비가 내리게 되고 작물이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user-on2en5nj3q
@user-on2en5nj3q Жыл бұрын
그게 왜 비용적으로 효율이 좋아요?
@이원희임
@이원희임 Жыл бұрын
​@@user-on2en5nj3q자연 증발
@ji-3948
@ji-3948 2 жыл бұрын
역삼투압 모듈 처리문제도 있습니다. 사용된 모듈은 일반적으로 소각, 매립됩니다.
@맂콩이되
@맂콩이되 2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하고 재미있어요^^
@드키무티
@드키무티 2 жыл бұрын
해수담수화 기술을 들었을 때 담수화하고 남은 함수는 어떻게 하는 걸까 신경 쓰였는데 역시나 문제가 있었군요. 지구 온난화 때문에 여러 모로 난제가 많네요. 뭘 해도 딜레마에 빠지니....
@케케케슬
@케케케슬 5 ай бұрын
과학드림님의 영상과 내용의 퀄러티가 정말 좋습니다. 늘 감사하게 잘 시청하고 있습니다.
@honeybreadjo8512
@honeybreadjo851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최근 초전도체 상용화로 뜨거운데 초전도체 상용화로 핵융합 상용화에 이어지며 에너지 비용의 매우 큰 감소로 해수담수화에 들어가는 비용과 발생하는 탄소가 줄어들지 그렇지 못할지에 대해서 한번 해주시면 아주 재미있고 좋을 것 같습니다. 항상 고생 많으십니다.
@edkjoung5564
@edkjoung5564 2 жыл бұрын
맨날 과학지식 유튜버들 어그로 끌기 바쁘고 이면에 있는 단점은 지적하지 않는데 너무 좋네요
@비닐신-e6e
@비닐신-e6e 2 жыл бұрын
과학드림 영상재미있어서 책까지 샀는데 책도 영상처럼 재미있네요!
@user-yh3ls1bj4n
@user-yh3ls1bj4n 5 ай бұрын
해결 방법의 아이디어가 떠올랐습니다.우선 농축수를 마저 증발시켜 소금을 얻거나 농축수에 고농도로 있는 이온 결합 물질인 나트륨을 이용해 배터리 기술로 전기를 전달하는 수용체로 이용하던가 강우량에 따라 일정 주기에만 농축수를 배출할 수 있는 법을 만들면 돼요.하지만 태양열 발전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도 열을 흡수한 열이 주변에 발열반응으로 생태계에 피해를 줄 수 있는지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Someone111ify
@Someone111ify 5 ай бұрын
이과인은 똘똘하네요.
@오징어칩-u6d
@오징어칩-u6d 2 жыл бұрын
난 100프로 다 담수로 만들고 농축수 안에 있는 소금도 우리가 소비하는줄알았는데.. 역시 무지가 이렇게 무섭습니다..ㅎㄷㄷ
@jaegeunpark1006
@jaegeunpark1006 2 жыл бұрын
녹농수는 폐기하는 깊이만 규재하면 문제는 없다고 봅니다. 원래 자연에서도 극지망 특히 북극지방에서 해상 빙산이 생길때 담수만 얼고 농축수는 바다밑에 가라않아서 별도의 심층해류를 이룬다고 알고 있습니다.
@gyog2485
@gyog2485 2 жыл бұрын
많은 정보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aka-qc3iw
@aka-qc3iw 2 жыл бұрын
0:12 ......이게... 정말....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2 жыл бұрын
매우 유익하고 건전한 내용이네요. 좋아요 누르고 갑니당.
@맨디-j4v
@맨디-j4v 2 жыл бұрын
해군생활할때 배에서도 담수 사용했었는데 마시면 마신거같지도 않고 씻으면 미끌미끌거려서 굉장히 엿같았던 기억이
@NfK
@NfK Жыл бұрын
속초 민박에서도 담수 사용하는지 미끌미끌하고 비릿하더라고요 그거 마시면 진짜 기분 엿같음;;
@josephus8868
@josephus8868 Жыл бұрын
글에서 말씀하시는 담수는 물론 담수화된 해수겠죠? 담수는 바닷물에서 추출된 담수 뿐 아니라 '모든' 종류의 민물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즉, 수도물, 판매하는 생수, 우물물, 강물 등 바닷물 같은 짠물이 아니면 그냥 다 담수입니다. 😂
@박준-i2m
@박준-i2m Жыл бұрын
@@josephus8868 대충 좀 알아먹어라 그렇게 똑똑하신 인간이 그거하나 못알아먹냐
@josephus8868
@josephus8868 Жыл бұрын
@@박준-i2m 왜 남의 일에 급발진?틀린 건 틀렸다고 해야지.
@stainway
@stainway Жыл бұрын
담수화해서 사용했었는데 라고 하셔야죠 ㅋㅋㅋㅋㅋ
@leo-vf2lp
@leo-vf2lp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또 하나 배우고 갑니다. 지식이 늘었네요.
@masterjun4371
@masterjun4371 2 жыл бұрын
퀄리티 있는 내용 항상 고맙습니다. 나중에 핵융합기술 관련내용도 한번 다뤄 줬으면 좋겠습니다.
@jun____young
@jun____young 2 жыл бұрын
와 해수 담수화에 대해 너무 잘 이해됩니다!!
@electronicdrugmaster4066
@electronicdrugmaster4066 2 жыл бұрын
농축수를 식용이 아닌 산업용으로 쓰면 참 좋을듯 합니다. 일단 생각나는건 제설제 정도 밖에 없지만 산업에서 활용하면 좋겠네요
@haveaniceday5448
@haveaniceday5448 2 жыл бұрын
ㅇㅎ!
@해복-y7q
@해복-y7q 2 жыл бұрын
눈이오는 나라는 담수 많아요...
@ttqwwstq
@ttqwwstq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제설제가 필요할정도로 눈이 오는나라는 농축수를 만들면서까지 담수화를 할 필요가 없음
@8521-z5j
@8521-z5j 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구독합니다.
@양념고구마
@양념고구마 2 жыл бұрын
해수담수화기술 궁금햇던건데 재밋게 봣습니다. 더운나라는 태양에너지로 하면 되지아늘까 정도는 생각햇는데...농축수에 대한 부분이 참...하나 해결되면 다른문제는 꼭 발생하는군여...짧은 생각으로는 비올때 조금씩 방류하면 어떨까하는...일차원적인 생각을 햇네요 ㅎ
@wotomy
@wotomy 2 жыл бұрын
이야 진짜 궁금했는데 그 이상의 정보를 얻고 가니 정말 유익하네요
@고리액션
@고리액션 2 жыл бұрын
해수담수화는 비용측면에서 장벽이 알고있었는데 환경적 측면에서는 처음들어보는 문제를 알게해주셨어요.. 감사합니다.
@chrn738
@chrn738 2 жыл бұрын
매번 볼때마다 느끼는데 연출 되게잘하시네요 목소리도 지루하지 않구요 재밌게 봤어요!
@WooDong
@WooDong 2 жыл бұрын
많이 배워 가네요 ㅎㅎ
@최지훈-z5i
@최지훈-z5i 2 жыл бұрын
농축수 이온 교환의 자발적 반응으로 전기를 만드는 연구가 있다는게 정말 희망적이네요
@somisomi7146
@somisomi7146 2 жыл бұрын
정말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Tylercannn
@Tylercannn 2 жыл бұрын
기술의 단점을 알고 받아들일지라…앞으로 엄청난 기술이 쏟아질텐데 단점을 잘 알아보려는 자세가 필요하겠네요. 울림이 있는 말이네요ㅋㅋ
@choi8896
@choi8896 2 жыл бұрын
이 체널 진짜 좋아..
@생물공원
@생물공원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기광김-c9f
@기광김-c9f 2 жыл бұрын
오늘따라 과학은 세상을 보는 창 이라는 말이 너무 와닿네요. 그저 좋은 기술로만 알았는데 감사합니다
@빵통조림-m2q
@빵통조림-m2q 2 жыл бұрын
바다 관련 환경 문제라서 생각났는데 언젠가 태평양 거대 쓰레기섬에 대한 주제로도 영상 제작해주시면 좋겠습니다!!
@bsh7614
@bsh7614 2 жыл бұрын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세꿀조
@세꿀조 2 жыл бұрын
그렇지않아도 요즘 해수담수화에 대해 궁금했었는데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멀티버스-v1l
@멀티버스-v1l 2 жыл бұрын
크....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mg24420-q
@mg24420-q Жыл бұрын
영상 보다가 화나서 댓글 남깁니다. 과학이 환경을 해친다? 맞는 말이죠 근데 아무것도 안하면서 불평불만하는것보다는 뭐라도 하는게 더 낫지 않을까요? 인류는 지금까지 발전하기 위해서 노력해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환경이 파괴된 것 또한 맞습니다. 하지만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우리의 삶의 질이 더욱 풍요로워지고 윤택해지고 있는데 과학의 이면을 비난한다? 그럼 다른 대안이 있습니까? 원시인들마냥 하늘에 비 내려달라고 기도라도 하시게요? 과학은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희생으로 발전해왔습니다. 인류문명이 시작되고 수천년의 역사동안 수많은 사람들의 시도로 인해서 발전해온 그 과정을 단점 때문에 비난하지는 맙시다.
@Boodleboodle-j3j
@Boodleboodle-j3j 9 ай бұрын
불편해?불편하면 자세를 고쳐앉아~장단점 다 말해줘도 단점말했다고 지랄이네 ㅋㅋ
@danaka123.
@danaka123. 9 ай бұрын
ㅂㅅ
@청천고운
@청천고운 2 жыл бұрын
내용 좋네요
@미르-u4n
@미르-u4n 2 жыл бұрын
농축수 배출이 주변 해역 염도에 얼마나 끼치는지 궁금하네요. 농축수 배출량을 몰라도 해수 담수화 비율을 생각하면 어느정도 추측 가능할 것 같은데, 예를들면 1리터의 담수에 1리터의 4% 농축수를 배출하면 함께 2%가 되어 엄청 큰 상승률이 있는데, 바닷물이 1000L당 농축수 2L면 결국 해역 자체에는 영향이 크게 있나..? 라는 생각과 배출하는 곳 바로 앞만 좀 생태계에 영향이 있지 않을까 싶긴 하네여..
@featurestroke1330
@featurestroke1330 2 жыл бұрын
단순하게 생각해. 1000L당 농축수 2L가 배출되면 그 2L를 다시 희석시키는데에 1000L의 바닷물이 필요하다는 거잖아. 농축수의 비율이 중요한게 아니라 농축수를 방류하지 않고 처리하는게 중요하다는거지. 특히 농축률이 높을수록 바다로 방류했을 때의 해역 피해는 더욱 커짐. 희석이 덜 된 고농축 해수에서 생존할 수 있는 생물이 극히 드문데 이게 해류를 따라 흘러가면서 충분히 희석되기 전까지 지나간 자리의 생물을 전부 죽여버릴테니까. 괜히 농축을 덜하는게 아님
@wansukim3689
@wansukim3689 2 жыл бұрын
농축수 배출해서 연안 염도가 높아지면 담수플랜트는 지들이 배출한 농축수 때문에 더 찐해진 해수로 담수 만드느라 개고생 하겠네. ㅋㅋㅋㅋㅋ 해수 담수화가 아주 클린한 물 생산 수단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솔직히 이건 진짜 억까라는 말 외에는 할 말이 없다
@shellmini553
@shellmini553 2 жыл бұрын
@@wansukim3689 ㅇㅇ 억까임 ㅋㅋ 해수담수화 플랜트 바닷물끌어다 바닷물 배출하는게 생태계 파괴할정도로 영향력있었으면 폐수랑 쓰레기 버리는 황해낀 서해바다는 지금 물고기 멸종했어야지 ㅋㅋ
@ksuwshshysuoeldn
@ksuwshshysuoeldn 2 жыл бұрын
@@wansukim3689 애초에 작은 면적이라도 그 앞 바다 생태계가 초토화되면 어민들은 어케 살라는건지..^^ 괜히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배출수 규제하는게 아닙니다. 지금 한국도 폐수 무단 방출, 양식장 무단 방출로 그 주변 바다나 강이 오염되어 지역사회가 고통받는다는 소식이 많은데 이게 바다로 적용되면 얼마나 타격이 크겠습니까? 아무런 타격이 없다면 규제가 왜 생겼겠나요?
@ksuwshshysuoeldn
@ksuwshshysuoeldn 2 жыл бұрын
@@shellmini553 서해도 오염으로 인해 지금 어류 종 양이 줄었다느니, 산호초가 사라진다느니 난리인데요? 더군다나 님이 말씀하신 서해는 '염분 농도의 차이로 인한 생태계 타격'을 잘 보여주는 곳입니다. 실제로 태풍이나 호우로 인해 황하 지역에 홍수가 발생하면 서해 또한 염분 농도가 낮아져서 어획량이 줄어듭니다. 그나마 자연적인 현상으로도 이 정도인데, 인위적으로 고염도의 물을 지속적으로 방류하면 당연히 생태계에 영향을 주겠죠. 그렇게 따지면 방사능 오염수나 폐수 또한 어차피 바다는 넓으니까 흘러가니 상관없단 결론도 나옵니다..
@leechanghyun
@leechanghyun 2 жыл бұрын
오오 과드님 이번 주제는 해수담수화군요 ㅎㅎㅎㅎ 최근에 뉴스로 보고 더 찾아봤던 내용인데 오늘도 재밌게 봤어요 ㅎㅎㅎ
@모노-b1p
@모노-b1p 2 жыл бұрын
생각하지도 못했는데 좋은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TV-bw4lh
@TV-bw4lh 2 жыл бұрын
세상에 공짜는 없다는 말이 인간 사회에만 적용되는 말이 아니었군요. 자연에서도 공짜라는 건 없었습니다.
@퍼렇
@퍼렇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해수담수화 플랜트의 농축수 배출과 관련 업무 경험이 있는 현직자입니다. 농축수 배출은 국가마다 다르지만 어느정도 규제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해수담수화 플랜트가 많은 중동에서는 국가별로 이러한 기준이 있고요. 그리고 대부분의 플랜트와 마찬가지로 해수담수화 플랜트도 플랜트 사업 초기에 해당 국가 환경청의 승인을 받기위해 환경영향 평가를 수행하게 되고, 통과한 플랜트에 한 해 실제 사업이 추진됩니다. 물론 그 규제치 이하로 농축수를 배출하면 환경에 영향이 없다라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본 영상에서는 농축수 배출 규제가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다라는 오해를 발생할 수 있을듯하여 댓글 남깁니다.
@jongminkim4702
@jongminkim4702 2 жыл бұрын
유익해요!
@JL-qm8lu
@JL-qm8lu 2 жыл бұрын
지구상 해수가 약 145경톤정도 존재한다고 하는데 현재 일일기준 담수화 시설 전체에서 처리하는 해수의 양이 9천5백만톤 (약 1억톤) 정도라고 합니다. 이는 연간 담수화 시설이 가동되었을시 바닷물의 0.0000025%를 처리한다는것과 같고 지구상 바닷물의 고작 1%를 처리하는데에 4만년이 소요됩니다. 담수시설은 대다수의 인류가 직면한 생존의 문제입니다. 국지적인 생태계에 유의미한 환경변화는 걱정스러울수도 있으나 이문제로 담수화시설에 브레이크가 걸린다면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담근다는 말과 같습니다
@F-TWENTY_WON
@F-TWENTY_WON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봣습니다....
@smallsmithh
@smallsmithh 2 жыл бұрын
해수담수화라는 키워드에 대해 깊이 생각해본 적 없었는데 덕분에 새로운 지식 알아가요!
@강용주-x2u
@강용주-x2u 2 жыл бұрын
너무 흥미로우면서도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할리갈리-b7v
@할리갈리-b7v 2 жыл бұрын
참..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줘야하고.. 어려운문제네요 ㅠ 환경을 지키면서 발전을 같이하는거 너무 힘든일 ㅠㅜ
@ryujd0533
@ryujd0533 Жыл бұрын
결국 인류가 너무 많아... 그리고 너무 많이 쓰고 있어. 극소수의 인간들이 너무 많이 가지고 또 훨씬 많은 사람들이 그들을 따라 하고 있고... 무차별적인 개발의 논리, 인류의 종말을 앞당기나... 어떻게든 해결해야 하는데...
@user-umop23erty
@user-umop23erty 2 жыл бұрын
대부분 문제는 전력 생산 방식만 해결되면 함께 해결되는 것 같네요
@laze3617
@laze3617 2 жыл бұрын
완전 따봉 ~~
@hskim618
@hskim618 2 жыл бұрын
바닷물량에 비하면 담수화량은 매우 작고, 사용된 담수는 다시 바다로 돌아가기 때문에 농축수가 큰 문제라고는 생각이 안 드는데요. 농축수가 실제로 문제가 되고 있다는 자료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vnfma7
@vnfma7 2 жыл бұрын
해수담수화로 만들어지는 농축수는 바닷물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할테고 지구전체의 물 총량은 같고 결국 사람이 늘어서 쓰는물이 늘어나고 담수화로 농축수가 늘어난다고 해도 바다로 다시 돌아가서 희석되면 영향은 없을텐데 문제는 희석되는 속도가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특정지역에 염분농도가 갑자기 높아져서 국지적으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수있는게 문제겠네요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2 жыл бұрын
사실 당장에 담수시설이 필요할 정도로 생존환경자체가 열악한 지역이라면 농축수 따위가 중요한 상황이 아니죠. 어차피 반경 몇KM수준의 매우매우 국지적인 사막화인데 당장 인간의 생존이 걸린 문제에 몇KM 환경 살리겠다고 난리치는게 말이 안됨
@金官整泰
@金官整泰 2 жыл бұрын
공해 없이 싸게 맹물을 최대한 많이 뽑을 수 있는 기술이 발견되면 좋겠습니다....
@이면지버금
@이면지버금 2 жыл бұрын
그러네요... 그 이면의 문제도 인식해야 한다. 와닿습니다.
@DD43459
@DD43459 2 жыл бұрын
역시나 단점이 있었네요. 세상 참 쉬운 게 없다는 걸 느낍니다..
@hektor0406
@hektor0406 2 жыл бұрын
대박입니다.이 영상은 다 봐야할 정도로 중요한것 같아오.
@sdgsgsgs6192
@sdgsgsgs6192 2 жыл бұрын
이번 편은 지식만이 아니라 생각할 거리도 주셨네
@아데마르공
@아데마르공 2 жыл бұрын
지식 + 지혜
@ReadyOrNot_HereICome
@ReadyOrNot_HereICome 2 жыл бұрын
하나를 해결하면 또다른 하나의 문제가 생기는 식이군요...비가 필요이상으로 퍼붓는 지역의 물을 어떻게 농축물 희석에 쓰던가 아니면 물부족한 곳에 줄 수 있는 그런 방안도 똑똑한 과학자분들이 고안해낼거라 믿어요. 인간은 예전 생활방식으로 돌아가지 못하고...해결도 못한다면...결국 멸망하겠지요...어릴적부터 듣던 지구온난화와 현재의 기후변화들을 보고 느끼니 인류종말이 그렇게 허황된 얘기는 아닌 거 같아 씁쓸하네요..
@Optimzing
@Optimzing 2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과학드림님 영상을 최근에 접하게 되면서 최근 진화와 생물계통에 대해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는데요, 요근래 한가지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진화라는 것은 본래 하나의 생물군에서 유전학전으로 변이가 일어나 다른 생물군으로 갈라지게 되는 현상으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유전학적으로 변이가 일어나는 한 개체에서 어떻게 군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가 너무 궁금합니다. 하나의 개체에서 변이가 일어나게 된다면 그 개체만 진화가 일어나는 것일텐데, 여러 개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유사한 변이가 일어나지 않는한 군의 진화로까지 확장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개체의 변이가 생물군의 진화로까지 이어지는 과정에 대한 과학드림님의 영상을 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orka2766
@orka2766 2 жыл бұрын
그 변이가 생존에 유리하다면, 변이가 발생한 생물의 후손 중 변이를 더 많이 가진 후손들이 더 많이 살아남게 되니까 이것이 누적되면서 종이 갈라지는 것 아닐까요
@Optimzing
@Optimzing 2 жыл бұрын
@@orka2766 아뇨 그런 맥락이 아니라 변이가 일어난다면 그 개체군 하나에서만 일어나는 것일 겁니다. 만약 변이가 일어난 개체군이 염색체수가 같다면 번식이 가능한데 염색체 수가 다른 경우에는 어떻게 군으로 번식과 확장이 가능한지가 궁금합니다.
@baechu2719
@baechu2719 Жыл бұрын
진화는 인간 시간의 관점으로 봤을때 정말 매우 느린 과정입니다. 변이가 생겼다고 해서 "갑자기" 큰 형질이 나타나는게 아니라, 작게는 염기쌍 몇개, 크게는 단백 코딩부위 몇개 정도일겁니다. 이렇게 변이가 일어난 개체는 일반적으로 다른 개체와 차이가 미미한 정도라 교배가 가능할겁니다. 이런 변화가 수많은 세대를 거쳐야 비로소 인간눈에 띄는 차이가 생기고, 어느 시점부터는 다른 종이 되어 원래의 조상과는 교배가 이루어지지 않겠죠. 염색체 한개 정도의 차이가 한 개체군에서 갑자기 생기진 않습니다. 만약 생기더라도 거의 사산되거나, 교배가 되지않기때문에 후손을 못남기겠죠.
@dlfmatjd9940
@dlfmatjd9940 2 жыл бұрын
역삼투식 담수화로 생기는 농축수는 증발식 담수화로 수분을 다 빼서 소금이나 광물 자원으로 활용하면 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온난화로 빙하가 녹기 때문에 바다의 염도를 유지하는 데 농축수를 이용할 수도 있겠고요.
@열유체101
@열유체101 2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대부분의 기술에는 장점과 단점이 있는데 장점만을 보여주려고 하는게 문제이겠죠. 단점도 알고 그래도 사용해야한다면 어쩔수 없이 사용해야겠지만 장점만을 보고 사용한 후 문제가 발생하면 이땐 늦은 감이 있습니다. 오늘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아나스타샤-l9y
@아나스타샤-l9y 2 жыл бұрын
고농축수를 활용하는 방법을 찾아야겠네요 한가지더해 염도가 높으니 소금채취에 더 유리한게 아닐까요?
@nahyeonan4889
@nahyeonan4889 Жыл бұрын
화공 전공자로써 덧붙이자면 농축수(desalination waste water) 에 포함된 다량의 무기 염류를 활용해 flue gas 내의 SOx, NOx, CO2 를 제거하는 공정을 개발하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있어요! 물론 역시 연구 초기단계이지만 어느정도 경제성은 가지고있다고 전망되고있답니다!
@user-minsik25
@user-minsik25 5 ай бұрын
오 좋은 영항 구독드립니다
@blue_foot
@blue_foot Жыл бұрын
사용하고 남은 농축된 담수를 그냥 바다에 흘러보내는건 상상도 못했는데 난해하네요😢 다른 생물들은 전혀 신경쓰지 않고 오롯이 인간만을 위한 행동 같아서 마음이 편치않아요..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구-o6j
@지구-o6j Жыл бұрын
이런 멍청한소리좀 그만하면 좋겠음 그렇게 따지면 아무것도 못함
@장여름-z9z
@장여름-z9z Жыл бұрын
원댓이 아무것도 하지말자는게 아닌데 왜 혼자 빡친거임? ㅋㅋ 영상에서도 사람이, 사회가 기술의 이면을 알고 모르고의 차이를 언급했듯이, 평소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이면을 생각하게 해줘서 고맙다는건데, 여기서 대체 뭐가 멍청한 소리라는거? 대체 누가 멍청한 소리를 하고있는건지 .. ㅉㅉㅋ
@얼음맥주-k1g
@얼음맥주-k1g Жыл бұрын
고작 소금물 방출하는데도 이렇게 고민거리가 많은데, 일본은 후쿠시마 핵연료 씻은 오염수 방출은 얼마나 중요한 문제겠음. 그런데 우리 정부는 항의 한번 안하고 뭘 하고 있는지
@user-on2en5nj3q
@user-on2en5nj3q Жыл бұрын
담수는 안버리는데요
@isaaclee6719
@isaaclee6719 2 жыл бұрын
1. 농축수가 핵심문제였구나. 그래 담수를 만들고 나면 그게 염분은 그대로인채 물양이 주니까 염분이 높은 농축수가 되는 거였어. 짠 농축수가 문제였어. 2. 온실가스 배출도 문제였구나. 해수를 끓여야 되니까 엄청난 공해가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이게 다시 오존층을 파괴해 사막화를 더 가속화시키는구나. 그런데 이건 3. 농축수에 비하면 약과라는 거다. 심각한 부작용이구나. 4. 마치 전기차를 보는 것 같다. 전기차에 들어가는 망간을 캐기위해 후진국에서 일어나는 어린이 노동착취와 오염물을 생각하면 이건 선진국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후진국을 더 더럽히는 꼴이었던 것이다. 5. 그마나 해수담수화는 지들이 싼 물을 지들이 다시 담수화 시키는 거니까 어찌보면 전기차보단 6. 심각성이 적은 것 같다. 7. 왜냐면 언젠가 지들이 답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22.12.14(수)
@j.s.a4873
@j.s.a4873 2 жыл бұрын
1차적으로 생각하면 농축수를 천일염 생산에 쓸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그렇게 하지 않는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하네용!!
@여노-m2m
@여노-m2m 2 жыл бұрын
소금 생산에 필요한 바닷물은 바로 옆에서 떠오는게 더 가성비가 좋기 때문 아닐까요.. 굳이 운반해서 염전으로 가는 것 보다요 ㅎㅎ
@j.s.a4873
@j.s.a4873 2 жыл бұрын
@@여노-m2m 그 비용의 갭이 농축수 처리비용보다만 적으면 효용가치가 있을것 같은데... 실질적으로는 그딴거 생각안하고 무단 방류를 해버리니까 문제이겠지요......ㅠㅠ
@피퍼레샤
@피퍼레샤 2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 생각이에요 농축수도 일단 바닷물이기도 하고 꼭 바닷가에서만 소금을 만들지 않아도 될테니까 농축수로 육지에서 소금을 만든다는 방법이 정말 좋을거같은데 그리 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해요 재활용도 되고 좋을텐데
@duritom
@duritom 2 жыл бұрын
소금만들기엔 각종 오염물과 중금속성분등이 같이 농축되어 있어 식용소금 생산은 위험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알고있는 천일염도 중금속등 오염물이 많아 정제염을 쓰시는게 더욱 안전합니다.
@싱글벙글-c7z
@싱글벙글-c7z 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농축수에 포함된 각종 중금속제거에 큰비용이 들어갈거고, 천일염 처럼 사용하려면 넓은부지가 필요할거임 그렇게 고비용으로 생산된 소금이 시중에 바닷물을 전기분해해서 나오는 대량생산된 소금이랑 가격 경쟁이 절대로 안될거같고 그러한 문제 때문에 그냥 바다로 보내는게 훨씬 싸게 먹혀서 그러는듯
@mikekeyloh
@mikekeyloh 2 жыл бұрын
농축수는 역삼투압 방식에서만 생기는거 아닌가요 그럼 솔라돔 프로젝트는 이산화탄소나 농축수 둘다 문제 없는 방식이겠네요
@jeffeking6440
@jeffeking6440 2 жыл бұрын
유용한 영상입니다 현재 기술력은 R/O membrane이 많이 설치되어 있지만 농축수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F/O membrane와 전력 생산을 위한 PRO membrane 을 합친 HYBRIDE 시스템이 있어요
@Claymore-chobo
@Claymore-chobo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바닷물을 담수화해서 마실수있게 되어 훌륭하다고만 생각했는데 ... 그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시켜 지구 온난화를 가속시키고 또 담수화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짜디짠 2배 바닷물을 처치곤란이라 그냥 바다에 버려 바다 생물에게 위협이라니...골치아프네요. 다람쥐 챗바퀴같은 난제인데 이거 해결이 쉽지 않을것 같고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어야 할듯합니다
@Kirize
@Kirize 2 жыл бұрын
역삼투압식은 필터도 자주 바꿔줘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세상에 무료는 없으나 더큰 책임은 있는 법이군요
@조태성-l3c
@조태성-l3c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는 배보다 배꼽이 더크니 당연히 비효율이 이지만 중동같은 경우는 이야기가 다르니 저렇게라도 해야겠죠.
@용이내가된다
@용이내가된다 2 жыл бұрын
이야... 좋네요. 전혀 생각 못해 본 것이었네!!!
@이현재-n6o
@이현재-n6o 2 жыл бұрын
농축수라... 확실히 해양담수화라는 기술에게 있어 무조건적으로 걸고 넘어지게 만드는 문제점이네요. 과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경용용
@이경용용 2 жыл бұрын
담수화기술의 이면을 알게되었네요 새로운 지식을 알려줘서 감사합니다
@으후루꾸꾸루후으-m3j
@으후루꾸꾸루후으-m3j 2 жыл бұрын
중동지역에 전쟁만 없었다면 원전으로 탄소배출을 상당히 줄일수 있을텐데.. 진짜 mit에서 말한대로 우주거품을 쏘아올리는걸 진지하게 고민해야될거 같아요 ㅠㅠ
@dandyclubs
@dandyclubs Жыл бұрын
결국 고농축수에서 소금도 추출하고 바다로 보내야.. 한다는 결론
@nbnpatner5475
@nbnpatner5475 7 ай бұрын
좋은생각이네요 고농축수를 태양빛에 말리면 바로 그게소금인데 농축수가 방출될양도 상당히 줄어들겠네요
@Teemo_Buff
@Teemo_Buff 2 жыл бұрын
농축수를 바로 버리지말고 농축수끼리 계속모아서 역삼투압을 계속하면 농도는 계속짙어지는데 이걸 광물 추출하는데 쓰면 더 효율적일거 같네요.
@그냥-h8h
@그냥-h8h 2 жыл бұрын
농도계속짙어지면 그만큼뻑뻑해지고 투압시키려면 에너지는 기하급수적으로올라가야댐
@초록세상-k1r
@초록세상-k1r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설명 추천합니다^^
@김명일-v2w
@김명일-v2w 2 жыл бұрын
와 객관적으로 잘 만든 영상이네요. 아주 좋네요. 공학의 발달은 반드시 폐기물을 만듭니다. 농축된 해수 역시 폐기물의 형태겠죠. 지구가 더워지든 추워지든 언제나 반복되어 왔고, 그로 인한 멸종이되면 다시 새로운 종이 생겨나길 수억년동안 반복했죠. 지금의 우리는 그럭저럭 좋은 환경에서 살고 있겠지만, 내 자식이 살아야 할 그리고 손주들이 살아갈 환경에 빚을 지고 있다는걸 잊지 말아야 할 것 같아요.
@user-fx2dq9df49
@user-fx2dq9df49 2 жыл бұрын
해수담수화 좋다고만 생각했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군요
@poinjo6473
@poinjo6473 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농축수를 이스라엘 사해에 갖다 버리는 방법은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ㅎㅎ 어차피 염도가 높은 바다이고, 그래서 생물도 별로 살지 않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바닷물을 끌어들이는 탓에 해수면이 많이 줄어든다고 들었네요..ㅎㅎ 물론 사해까지 이동시킬 때 에너지가 또 많이 필요하겠지만요
@수은-i5w
@수은-i5w Жыл бұрын
사해는 이스라엘의 내해가 아닙니다.
@Talmoin
@Talmoin 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군요.
@user-lm7nl1vz6r
@user-lm7nl1vz6r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
@norichanneru
@norichanneru Жыл бұрын
어찌됐건 인간도 우주의 일부, 지구의 일부, 자연의 일부이니까, 결국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것도, 자연의 섭리 아니겠냐... 자연 자연 거릴 게 아니라, 엄밀히는, 인간이라는 종의 반영구적인 번성을 위해 (즉, 오래 오래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 치는 거지. 이걸 무슨 대의적인 잣대를 들먹여가며, 자연을 위해서다 이러는 건 그냥 PC 같음... '우리' 좋자고 하는 거지, 자연 좋자고 하는 게 아니긴 함... 자연 좋자고 하면 결국 우리가 좋아지긴 하는데, 극악무도한 범죄자를 처벌하기 위해 사형을 시키는 거지, 사형을 시키기 위해 극악무도한 범죄자를 잡아오는 거랑은 전혀 다르단 말. 난 인간이 자연 파괴하는 거? 그냥 당연한 자연의 순리라고 본다. 인간도 자연이다.
사라진 유전자는 인류를 어떻게 진화시켰을까?
9:30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751 М.
Каха и дочка
00:28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Try this prank with your friends 😂 @karina-kola
00:18
Andrey Grechk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REAL or FAKE? #beatbox #tiktok
01:03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뉴스G] 이슬로 물을 만들다, 와카워터의 꿈
3:37
EBS뉴스
Рет қаралды 156 М.
2cm짜리 심해어가 지구를 구하는 놀라운 방법!
8:19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849 М.
바닷물을 식수로 만드는 방법 | 사막의 기적, 해수담수화 플랜트
6:20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40 М.
공학의 신비, 파나마 운하
14:54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Каха и дочка
00:28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