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나 학원에서 기초부터 안가르쳐 주는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276,116

정승제사생팬

정승제사생팬

Күн бұрын

승제쌤 인스타
▣ / seungje.chung
승제카페
▣cafe.naver.com...

Пікірлер: 596
@user-yp5mt3vk9b
@user-yp5mt3vk9b 4 жыл бұрын
ㄱㅈ
@djl7853
@djl7853 4 жыл бұрын
고자
@ggg-tt6pt
@ggg-tt6pt 4 жыл бұрын
관장
@Hammiiee1
@Hammiiee1 4 жыл бұрын
ㄱㅈ
@the-_-prawn
@the-_-prawn 4 жыл бұрын
계좌
@손흥완
@손흥완 4 жыл бұрын
겨자같네
@한상혁-p1v
@한상혁-p1v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웃기고 말하는거 보면 개그맨 같다가도 진심으로 참 스승인거 같은 사람 같아요 진짜 존경스럽습니다 쌤
@royalblue5433
@royalblue5433 4 жыл бұрын
선생님같은 개그맨 ㅇㅈ
@Hassim5960
@Hassim5960 4 жыл бұрын
참생선
@chofma04
@chofma04 4 жыл бұрын
선생님같은 개그맨
@Farewell-h9i
@Farewell-h9i 4 жыл бұрын
인강계에서 참선생은 없습니다
@middleforest_1
@middleforest_1 4 жыл бұрын
그저....참생선님....
@주정열-n4p
@주정열-n4p 4 жыл бұрын
무엇보다 수학을 포기한 사람은 그런 수업을 듣지 않습니다 생선님
@밝은밤-v4n
@밝은밤-v4n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ㅁㅊ
@굥-h5d
@굥-h5d 4 жыл бұрын
이거지 ㅋㅋㅋㅎ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choihojin2871
@choihojin2871 4 жыл бұрын
생선님
@주정열-n4p
@주정열-n4p 4 жыл бұрын
@@choihojin2871 ㄱㅅㄱㅅ 수정함
@y2394sswo
@y2394sswo 4 жыл бұрын
그런 의미 포함해서 말씀하신 거 같음 본인의 수학성적이 어떻든 공부를 할거면 당연히 1등급을 목표로 공부를 할텐데 수포자를 위한 강의라는 기준이 어딨냐, 1등급이 목표가 아닌 학생은 공부를 안할텐데 그게 강의 듣는게 맞냐 이런말인듯
@user-cjw8dwkz
@user-cjw8dwkz 4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의 아이들이 고등수학부터 포기하게 되는 이유 자체가 아이들은 "내용이 어렵고 범위가 넓어서" 라고 생각하는데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정확히는 "공부하는 방법이 틀렸기 때문에" "내용이 어려워지고" "다시 공부할 범위가 넓어서"죠. 여러분 정승제쌤이 말씀하셨듯 선생님들이 수포자 아이들 개념 가르치는걸 왜 포기하냐면요. 얘가 어디 개념이 빠져있는지 봐주려면 밑도 끝도없이 찾아내야하는데 그와중에 애들은 단기식 암기를 해요. 이걸 증명과 정의를 말하라고 하면 머리보다 몸이 먼저 반응할 정도로 튀어나오게끔 반복적으로 외우게 해야 하는데 애들은 당일 테스트 보고 그냥 까먹는 식으로 공부를 합니다. 밑빠진 독에 물붓기에요 그냥.
@user-cjw8dwkz
@user-cjw8dwkz 4 жыл бұрын
정승제쌤이 왜 100점을 맞으려면 그거 다 건드려 줘야 된다 라고 말씀하시냐면요. 수능 칠 때 문제 난이도가 올라갈수록 신유형으로 갈 수록 정형화가 되지 않아서 문제를 마주했을때 이 문제는 무슨 개념을 사용한 문제일 것 같다 라고 인식을 한 다음 어느 방법을 쓸 지 추론을 하는거에요. 경우의 수죠. 근데 방법에 맞는 개념을 모르면 그냥 못 풀어요. 미적분 골라놓고 시험지에다 확률과 통계로 21C21 1/5^21 4/5^0 하실래요? 안 되잖아요. 개념이 몸에 베어있어서 생각에 버퍼링이 전혀 안 걸릴 정도로 외운 다음에 다음 단계로, 더 어려운 추론으로 넘어가는거에요.
@흐흐흐-f5v
@흐흐흐-f5v 4 жыл бұрын
어 나 저렇게 단어외웠는데...
@imhajin04
@imhajin04 4 жыл бұрын
@@흐흐흐-f5v 단어는 단순암기니까
@hsyoon3219
@hsyoon3219 4 жыл бұрын
킹직히 이론은 어렵지 않음 하지만 문제가 상당히 어려움
@꼽냐-m2l
@꼽냐-m2l 4 жыл бұрын
골골 뭔 개소리세요 ㅋㅋ 단기식 암기법을 비유한 대상은 수능 1등급 2등급이 아닌 수포자들 말 하는 건데요
@이지원-h2z8t
@이지원-h2z8t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혹시 정승제쌤 영상 신청도 받으시나요 ㅠㅠ??? ebs 2021 확통수특 14강 이항정리(1) 강의에서 생선님 명언을 듣고 이건 모든사람들이 봤으면 좋겠다.!!!! 싶어서 말씀드립니다,,, ‘손님이 왕이라는 말을 없애야 한다. 손님은 걍 배고픈사람이다’ 대충 이런 내용이었어요 27:14~31:20 사이에 나옵니다! 꼭 올라왔으면 좋겠어서 댓글 남깁니당
@bansin175
@bansin175 4 жыл бұрын
손님이 왕이라는 마인드를 손님이 가져서 문제
@나는야크롱
@나는야크롱 4 жыл бұрын
생선님 불법어업때문에 중국 갔다 왔구나 ㅠㅠ
@주형-u6b
@주형-u6b 4 жыл бұрын
불법어업 당한거 아니에요??
@royalblue5433
@royalblue5433 4 жыл бұрын
@@주형-u6b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imimimim_im
@imimimim_im 4 жыл бұрын
@@주형-u6b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durmeianm
@sdurmeianm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강주-n4q
@강주-n4q 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옷도 저렇게 입었구나..
@배현찬-o2e
@배현찬-o2e 4 жыл бұрын
진짜 고2때까지 수학 놓고 공부하다가 고삼때 수학 해야겠다 생각해서 찾아본게 정승제였는데 진짜 12월부터 수꼭필 듣고 시작했는데 정말 도움 많이 되었어요 개때잡무조건 5단계 복습하고 손에 놓지만 않고 하면 정말 좋은 결과 나올겁니다
@깔깔티비-q1p
@깔깔티비-q1p 3 жыл бұрын
허수시네요
@유유유유-x5w
@유유유유-x5w 3 жыл бұрын
개때잡 수 상하랑 1.2 강의가 없던데 개념은 수꼭필로만 잡나요ㅠㅠ
@박지영-j9d
@박지영-j9d 2 жыл бұрын
저는 학부형인데요개떼집이 뭐에요
@박지영-j9d
@박지영-j9d 2 жыл бұрын
@@민경훈모창장인-m8n 개떼집이 뭔가요?
@user-sd8ye8zp8d
@user-sd8ye8zp8d 2 жыл бұрын
@@박지영-j9d 정승제 생선님 개념강의 이름입니다
@user-gggang
@user-gggang 4 жыл бұрын
진짜 뼈맞은기분이네 초등학생때부터 느꼈던건데 기초없이 진도만 나가는식의 수업
@김신의-r2l
@김신의-r2l 4 жыл бұрын
기초가 없는건 뭐 본인탓이니
@letsdothis8679
@letsdothis8679 4 жыл бұрын
@정시연 학교에서 알려주는 건 한계가 있음 스스로 계속 파고들어서 한문제라도 붙들고 늘어지는 습관이 필요함 정승제가 이걸 얘기하는 거임
@seungtaek5202
@seungtaek5202 4 жыл бұрын
@정시연 학교에서 알려줌 지금까지 열심히만 했다면
@Bkbkbkbkbkbkbkbkbkbk
@Bkbkbkbkbkbkbkbkbkbk 4 жыл бұрын
뭐가 기초냐?
@fuddkkyyou
@fuddkkyyou 4 жыл бұрын
@@Bkbkbkbkbkbkbkbkbkbk 개념임 이거 눈감고 개념말할수있을때까지 또 어떤문제보면 어떤개념이랑관련있는지 알수있을때까지 하는게 개념임
@파랑이-l3f
@파랑이-l3f 4 жыл бұрын
영어는 맨날 기초부터 다시 ..다시...기초...그놈의 문법...수동태 능동태.... 미치겠어요 고딩때 영포자였는데 토익땜에 다시하고 있어요
@Whyranoyo
@Whyranoyo 4 жыл бұрын
저도 고2인데 문법은 중1부터,,토익 홧팅하셔요!
@냥두콩
@냥두콩 4 жыл бұрын
이충권 선생님 추천
@늉늉-o4b
@늉늉-o4b 4 жыл бұрын
사람마다 힘든게 다 다른 것 같네요.ㅠ
@coyenglish
@coyenglish 4 жыл бұрын
기초와 독해를 같이 하셔요 ㅎ 독해를 하실때 기초를 대입하시는 느낌으로. 정승제쌤이 말씀하시는것처럼 기초가 없으면 만점이 불가능 한다는 말이 영어에서는 기초가 없으면 어려운 독해는 불가능하다는 말과 같을거 같아요.
@스-노우맨8910
@스-노우맨8910 4 жыл бұрын
천일문 추천
@Total_Syntheses
@Total_Syntheses 4 жыл бұрын
애초에 기초라는 게 한도 끝도 없음.. 진짜 기초가 없다고 생각하면 EBS 중학인강부터 듣는 게 맞다. 고등학교 인강에서 중학교 기초를 찾으면 안 되는 거지..
@Yubin_Lee_Doramelin
@Yubin_Lee_Doramelin 3 жыл бұрын
정승제 생선님 관련 영상이니까 덧붙이는데, 50일 수학은 아예 초등학교 고학년 수준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 개념들이 어떻게 고1 수준까지 일반화되는지 보여주는 강의...
@yesexecutor4180
@yesexecutor4180 3 жыл бұрын
50일의 수학이 수포자중 수포자 전용 끝판왕이던대
@imsofxxing
@imsofxxing 4 жыл бұрын
4:17 역시 난 이거 할줄알면 잘 가르치는사람 인것같다ㅋㅋㅋㅋㅋ개인적으로
@김도현-s4n1s
@김도현-s4n1s 4 жыл бұрын
진짜 개너뮤하네ㅜㅜ 한명을 대놓고 저격하다니
@李俊帆
@李俊帆 4 жыл бұрын
@@김도현-s4n1s ???: 드르륵이 안돼 드르륵이
@andychoi3589
@andychoi3589 4 жыл бұрын
@@김도현-s4n1s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 드르륵을 못해 드르륵을 바보처럼 망할
@고영지기지기자가자
@고영지기지기자가자 4 жыл бұрын
???: 당당당당당당 좋아요
@고승현-t1m
@고승현-t1m 4 жыл бұрын
현우진도 드르륵 안 함 ㅋㅋㅋ
@김T-s1d
@김T-s1d 3 жыл бұрын
현직 학원강사입니다 저 기본 건드리면 다 뒤집어지긴 해요 잘 풀던것도 망설이고 근데 그 과정을 견디고 넘어가면 수직상승합니다 물론 중등부라 한번 갈아버리고 다시 쌓는게 가능한것도 있지만 이분 말대로 기본 없이는 벽이 있을수밖에 없습니다
@user-qr2xq7db8ye
@user-qr2xq7db8ye 4 жыл бұрын
제발 누가 이 쌤쫌 초대해주세요 매일밤마다 빌께요 ㅜㅜㅜ 누가 쫌 이 교육과정을 싸그리 엎어주세여
@박관영-r7w
@박관영-r7w 4 жыл бұрын
교육과정은 좋습니다
@애몽-t5p
@애몽-t5p 4 жыл бұрын
그니깐 평타이상은 할듯
@KK-mo8sj
@KK-mo8sj 4 жыл бұрын
@@박관영-r7w 좀 이상하긴함 단원끼리 유기적으로 연결된건 수2밖에없음
@고종현-k5u
@고종현-k5u 4 жыл бұрын
@@KK-mo8sj 그거는 연결이 될수밖에 없잖아
@user-vr6cl9lk1l
@user-vr6cl9lk1l 4 жыл бұрын
@@KK-mo8sj 초딩수학 부터 미적분까지 완벽하게 유기적으로 빌드업 하면서 연결돼있는데요
@jhoons8455
@jhoons8455 4 жыл бұрын
헐 이거 제가 저번 영상에서 올려달라고 했던건데 진짜로 올려주셨네요ㅠㅜ
@주디-h3t
@주디-h3t 4 жыл бұрын
진짜 노력하는 사람이다 정승제쌤은 수학 그 자체다”
@purplerose3788
@purplerose3788 4 жыл бұрын
의상은 어디서 구매하셨나요!????멋지네요 ㅋㅋㅋ
@Ddddd.0_0
@Ddddd.0_0 4 жыл бұрын
ㅠ큨ㅋㅋㅋㅋㅋㅋ진짜 의상 뭐냐곸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궁금햌ㅋㅋㅋㅋㅋㅋ개잘어울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wori3354
@jwori3354 4 жыл бұрын
치파오?
@2park873
@2park873 4 жыл бұрын
이태원이나 동대문에 파는곳들 있고 인터넷 구매도 가능
@래플한번만
@래플한번만 4 жыл бұрын
중국집이요
@jprotect
@jprotect 4 жыл бұрын
중국집 커텐 뜯어오셨답니다 글 내려주세요.
@순대국밥-r3f
@순대국밥-r3f 4 жыл бұрын
고등수학을 배우면 기본적으로 중등수학에 비해 범위도 넓고, 새로운 내용들이 나옵니다. 학교에선 새로운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넘어가지만, 그걸 이해 못하는 학생들이 있기 마련이죠. 교사들이 약간이나마 이전내용을 간략하게 복습하고 넘어가면 그래도 머리에 남는데 그런거 없이 바로바로 진도나가는 경우는 좀 막막해집니다. 새로운 개념 제대로 이해 못한채로 진도만 나가고, 또 그러다 새로운 개념 나오고 진도나가고... 뭐 본인이 자습, 질문, 학원등을 통해 이해하면 다음 진도를 따라잡을 수 있는데, 이해 못하고 계속 진도만 나가는 악순환이 반복되면 학생들은 두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고릅니다. 진짜 독하게 마음먹고 악착같이 따라가거나, 아니면 수학을 포기하거나.
@Maxxinm
@Maxxinm 4 жыл бұрын
고3 입니다 어린 친구들이 이거 하나쯤은 알아줬음 합니다 제가 지금까지 수학을 해오면서 수1이 가장 ㅈ같고 어렵습니다 그 다음 고3과정인 미적분, 확통 이고 수2가 그나마 이 중에선 쉽다고 느낍니다
@얼레잉
@얼레잉 4 жыл бұрын
예..?
@김하윤-n8y
@김하윤-n8y 3 жыл бұрын
저도 수1 확통
@학생증-r4l
@학생증-r4l 3 жыл бұрын
수1이라고 쉬운거 아님 ㅇㅈ 난이도로 이름 붙인게 절대아님 수1,수2를 잘하면 수직상승할거임 그리고 수능 킬러문제는 수1에서 나와요^^ ㅋㅋㅋ 수학은 정의하나 무시하면 나중가서 수능 10문제 못푼다.
@Dbdksinfkeo
@Dbdksinfkeo 4 жыл бұрын
기초 안되어있는 분들 정승제 쌤 50일 수학 하세요 그게 마지막 희망줄이니까 초5부터 개념만 알려줘요
@ysson9611
@ysson9611 Жыл бұрын
정말 낮춰서, 꼼꼼하게 잘 가르쳐 주심 고맙습니다.
@라일락-h6x
@라일락-h6x 3 жыл бұрын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입니다만 수포자는 공부할 의지 부족한 경우가 대다수라고 생각해요 제가 그랬거든요 의지 생기면 안 될 게 없습니다
@아우아우우우
@아우아우우우 3 жыл бұрын
40대 학부모입니다 아이들을 잘 이해하시는 선생님이시네요!!
@응애-m8p
@응애-m8p 3 жыл бұрын
이차방정식에서 판별식이 0보다 작다는 것은 판별식이라는 것이 뭐냐? 라는 것의 의문을 가지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많은 학생들이 판별식을 쓰는 이유가 뭐냐고 물으면,' 근의 갯수를 알기 위해서' 라고 대답한다. 그렇다면 이차방정식에서 근의 갯수는 무엇인가? 라고 묻는다면 학생들은 뭐라고 대답해야할까? 힌트를 3가지를 줄것이다 3단계로 이루어져있고 1,2,3단계에서 갈수록 질문의 답을 늦게 깨닫는다면 자신의 개념의 수준이 낮다는 것이다. 1단계 판별식은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의 일부다. 2단계 판별식은 근호안에 있는 식이다. 3단계 이차방정식의 실근이 x축과 만나는 점이며 이 실근을 판별하는 것이 판별식이다. 당신은 어디서 깨달았는가? 1단계인가? 아니면 아직도 못깨달았는가? 정답은 다음과 같다.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중 일부인 판별식은 근호안에 존재하는 식이다. 즉 근호안의 식이 0보다 작다면 허근을 갖게되고, 0이라면 하나의 중근을 0보다 크다면 두개의 근을 갖게된다는 것이다. 무슨 말이냐? 이차함수를 연상해보자. 이차함수에서의 x축과의 교점은 이차방정식의 실근과 같다. 그렇다면 x축과의 교점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바로 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그럼 교점이 1개일때 2개일때도 답은 저절로 나올것이다
@sophia-br8lj
@sophia-br8lj 4 жыл бұрын
정승제 선생님도 이범 선생님처럼 정치적으로든 개입하셔서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셨으면 좋겠네요.
@HSS-y9w
@HSS-y9w 4 жыл бұрын
영세학원강사인데 쌉공감합니다.. 결국 학부모나 학원사정 때문에 복습은 못하고 예습만 돌리지
@한가람-v7i
@한가람-v7i Жыл бұрын
수학을 배워야하는 이유? 수학은 똑똑함을 판별하는 위계질서가 제일 확실한 과목.. 대학부터 사회진출까지 인생을 수학이 판가름한다해도 과언이 아니기에..
@busyburi
@busyburi 3 жыл бұрын
수능수학 100 맞았었는데, 인강은 안들었어도 이분 말씀 백번 옳다. 공부 안하던 애들이 고3때 수능본다도 수학 해보려고는 많이 한다. 근데 얼마 못간다. 왜냐? 어렵거든. 수학이 어려운건 사실인데 걔네들한테는 더 어렵다. 왜냐? 기초가 없으니까. 다항함수조차 다루지 못하면서, 방정식조차 제대로 못하면서 지수로그삼각함수 하려니까 그게 되냐? 고3땐 기초 가르쳐주지않는다. 애들 중학생거부터 다시 하고 오라고 얘기했는데 죽어도 안한다. 거의 다 자존심이다. 내가 고3인데 어떻게 중학생거 하냐 이런 마인드로 그냥 고3것만 쳐다보다가 망친다. 이런애들 굉장히 많다.. 기초 부족
@삐빅-x3t
@삐빅-x3t 4 жыл бұрын
30년 더하시겠다는데 30년동안 더 사생하셔야겠네요 축하드립니다 ㅊㅊㅊㅊㅊ
@와이키키-h3u
@와이키키-h3u 4 жыл бұрын
생선님 존경합니다❤️❤️
@0o0o-day
@0o0o-day 4 жыл бұрын
난 중학교 때 수학쌤이 다 증명해주고 집중도 잘 되게 가르쳐서 0점 맞던 애가 성적 50점까지 올리는 경우도 있었음 무섭긴 해도 모든 애들이 다 좋아하는 쌤이었는데 얼마전에 중학교로 찾아가서 그 쌤한테 인사드리는데 교사하기 싫다 그러셔서 내가 제발 우리나라 공교육을 위해 힘써달라 함 ㅋㄱㅋㅋㅋㅋㅋㄱㅋ
@NATUTOR_sam
@NATUTOR_sam Жыл бұрын
배우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학생들을 위한 지도법은 잘하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지도법과는 달라야 하죠. 정말 기초부터 세세하게 가르쳐주는 시간이 진짜 중요한 것 같아요.
@kisRa-hq3jw
@kisRa-hq3jw 4 жыл бұрын
나는 저런 정형화된 문제보다 a!b! = a! + b! + c! 를 수치 대입이 아닌 prove that a>3 부터 시작해서 논리척 추론을 하는 이런 올림피아드 식 수학이 너무 좋음..
@Total_Syntheses
@Total_Syntheses 4 жыл бұрын
사실 올림피아드 문제들도 어느정도 정형화돼있는데 말이죠.. 수능 수학보다 범위가 한참 넓으니까 그렇지, 접근 방식은 체계화된 지 오래예요. 그리고 수학 자체가 논리적 사고의 집약체인데 수능 수학엔 그런 게 없다는 듯이 말하는 건 오류라고 봅니다.
@littlehabit
@littlehabit 2 жыл бұрын
아 승제쌤 영상 자주 보니까 수학 공부하고 싶네... 학교 다닐 땐 그렇게 싫어했던 수학을...
@탄소기반-h3v
@탄소기반-h3v 11 ай бұрын
이분 강의 인정갑❤
@hynong2
@hynong2 4 жыл бұрын
내인생 최고의 생선님 정승제
@민지-z8d
@민지-z8d 4 жыл бұрын
어...한달 전에 판별식 증명에 대해서 관심이 많아서 몰입해서 증명하다가 알아냈는데 아는 사람이 세상에 별로 없다니...나는 그냥 그 조금중 하나일려나...
@mypark42
@mypark42 3 жыл бұрын
ㄹㅇ 승제쌤 교육부 가자;
@nilenike8005
@nilenike8005 4 жыл бұрын
수학은요.. 절대 포기하면 안되는 과목입니다. 늦었더라도.. 수학과 관련없는? 수학과 관련없는 직업과 삶은 없습니다. 특히 어린 청소년.. 청년은.. 늦더라도.. 이해가 안되는 부분부터 차근 차근 다시.. 수학은 아름다운 고지.. 멋진 산의 정상과 닮았습니다. 오르고 싶지 않나요? 저 역시 수포자 였습니다. 더하기 빼기만 수학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영이처럼.. 맘에 안드는 것은 애써 눈을 마주치고 싶지 않은 것처럼.. 그런데 아니었어요.. 수학을 잘하지 못해도.. 제일 좋아하는 과목은 아니어도.. 수학의 맛을 느껴봐야 합니다. 자꾸만 자꾸만 도전해봐야 중독됩니다. 우주만물이 다 수학적 이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걸음마처럼.. 다시 일어설 수 있습니다. 가르쳐 줄 곳은 무한합니다. 수학 공부를 위해 진심으로 다가가고 노력해본 사람은.. 수학이 쉽다고도 수학은 어렵다고도 말 못합니다. 노력한만큼 남고 보입니다. 세상이.. 당신의 노력만큼 그릇만큼 수학이 주는 열매를 담으십시오...그뿐입니다.. 그러나 수학의 열매가 빈그릇인채로는 세상과 이별하지 마십시오.. 적어도 전후 세대라면...
@노유경-x5v
@노유경-x5v 2 жыл бұрын
사회생활 조금 밖에 안 했지만 공감합니다
@노키마우스-c4c
@노키마우스-c4c 2 жыл бұрын
의상이 참으로 아름다우십니다... ㅎ
@김낙연-k1p
@김낙연-k1p 4 жыл бұрын
생선님 파이팅!
@user-KUMA747
@user-KUMA747 2 жыл бұрын
나이 39 85년생인데 지금 수학 다시 배우고 싶어요 학력은 고졸입니다만 배움의 목마름이 강합니다... 선생님
@냠냐리냠
@냠냐리냠 2 жыл бұрын
혹시 무슨일 하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눈꽃Snowflake
@눈꽃Snowflake 2 жыл бұрын
ㄱㄱ ㅐ봉수학 하세여
@0100-w2w
@0100-w2w 4 жыл бұрын
03:42 거기 중국산 생선은 안산대요..
@박노현-e6u
@박노현-e6u 4 жыл бұрын
“He is korean”
@dagaee
@dagaee 2 ай бұрын
너무 좋아보임...오늘부터 50일수학 들을래...
@르마무
@르마무 3 жыл бұрын
수학만큼 위계와 계열성이 강한 교과가 없지. 한 번 파트만 놓거나 집중 안 해도 뒷내용을 익히기 어려워진다. 모든 수학 선생님들의 고민이지.
@zofsla
@zofsla 4 жыл бұрын
생선님 의상이...?
@한글-c3z
@한글-c3z 4 жыл бұрын
치파오 같음 ㅋㅋㅋ
@Park-000
@Park-000 4 жыл бұрын
@@우리해보자 중국에서 중국꺼라고 우길듯
@dhlexpress4456
@dhlexpress4456 4 жыл бұрын
@@Park-000 창칭총으로 강의 안해서 괜찮음 ㅋㅋ
@Cloud-kick-crain
@Cloud-kick-crain 4 жыл бұрын
3:18 덧셈을 못 하는 수학강사기 있다? 뿌슝빠슝
@파스카-d4f
@파스카-d4f 4 жыл бұрын
2:09 2:22 순간 멍하니 보다가 렉걸린줄..
@enfp7689
@enfp7689 4 жыл бұрын
"워싱 칭따오"
@점온-m8f
@점온-m8f 3 жыл бұрын
워시 중궈런
@학생증-r4l
@학생증-r4l 3 жыл бұрын
선행할거면 잘 생각해야하는게 복습》》》》선행 수학은 A-B-C-D-E-F 이 계단식구조여서 B,C를 이해못하고 D에서는 응용공식 배워서 D를 풀었어 더빨리 풀수는 있지 하지만 D에서 잘풀면 뭐해요. E가면 C의 관해서 물어봐요. C를 대해서 몰라, C도 이해가 안가?왜? 사실 B몰라서 못 푸는거임 ㅋㅋ 따라서 전체적으로 E도 이해못함 그다음 F는 어떻게 건들거야... ㅋㅋㅋㅋㅋㅋㅋㅋ 이게 수학 교육의 현실이다. 선행보다 복습을 더 열심히 하시고 이제 선행한 분들 몰라서 고생할 때 그 때 남보다 앞서가는거임
@LUCKYWE
@LUCKYWE 4 жыл бұрын
미분 적분 풀줄 알면서 이걸 왜 푸는지 모름... 어따 써먹는지 모름..... 이게 다 정석수학 때문임. 수학을 외워서 풀다니....... 학교졸업하고나서 혼자서 슬슬 보니 이해가 됨! 영어도 학교졸업후에 혼자보니 잘 됨...재미남.
@worldtutorial8731
@worldtutorial8731 4 жыл бұрын
수학 배우기 싫은 이유 : 수학을 왜 배워야 하는지 알려주는 사람이 전혀 없다.
@kjlee227
@kjlee227 4 жыл бұрын
그러나 그 누구도 수학의 불필요성을 말할 수 없다.
@이현수-c2m
@이현수-c2m 4 жыл бұрын
근데 이유 알아도 좋아하기 힘들거같습니다. 수학 좋아하는 사람들은 배워야 할 이유 몰라도 그 자체를 좋아하죠. 사실 이유라는건 크게 중요한게 아닐 수 있습니다. 제가 생각할때는 수나 연산 이런쪽은 어느정도 타고나는게 있는거 같습니다. 어느정도는 타고나야 재미도 느낄 수 있고 그게 안되면 힘겨울뿐이죠.
@샹쨩
@샹쨩 4 жыл бұрын
중학교 부터 미대준비해서 현제 애니회사 3D모델러... 미대 입시는 수학 점수 전혀 안보고 수학 선생님들 조차 수업시간에 국,영,사 공부하라고 했죠 그런데 제 나이 32 이제와서 수학,프로그래밍 공부중 입니다. 현제 애니메이션 산업 대부분이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지며, 의상디자인 마저 마찰,중력,장력 등 물리 값을 입력해서 시뮬레이션 하죠. 아무리 예술적 감각이 좋아도 기본적인 산수,수학능력이 없으면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데 어려운 상황입니다 미대입시에 도움도 안된다는 이유로 스스로 포기하고, 포기하게끔 만드는 학교와 입시제도...
@worldtutorial8731
@worldtutorial8731 4 жыл бұрын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수학의 세계는 여러가지 방도를 다양한 방법으로 생각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들어 등산을 할때 이정표같은 거죠. 사실 그 이정표대로 안올리도 올라갈 방법은 많습니다. 저마다 그 산을 등반하는 각가지 방법을 고안할 수 있습니다. 단지 좀 더 쉽고 효율적으로 오르는 방법이 널리 퍼져 이정표팻말로 박히게 돼죠. 인생을 살면서 여러가지 살아가는 방법이 많습니다. 수학의 세계를 알게 되면 삶을 살아가는 아주 여러가지 루트를 생각합니다. 이렇게 할수도 저렇게 할 수도 있죠. 좀 더 최적화 된 방안이 있을까? 이리저리 생각하기 돼죠. 그러니까 생각하는 힘을 갖게 됩니다. 수학적 사고가 있다면 좀 더 살아가는게 쉬워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ahn-jun
@ahn-jun 4 жыл бұрын
생각하는 재미?
@개못하는승현이
@개못하는승현이 4 жыл бұрын
미리10만 축하드립니다
@이자연-y4s
@이자연-y4s 3 жыл бұрын
그냥 수학푸는 재미를 들이는게 가장 빠른 답일듯 나도 초딩 때까진 수학이 너무 싫고 짜증났는데 중딩올라오면서 수학이 재미있어지더니 고딩되고나서는 수학때매 국어 잘하는데도 이과갈까 고민할 정도로 좋아하게됌 결국 국어 사회 잘해서 문과로 왔지만 수학을 좋아해서 요즘 수학에 시간투자 많이하고 기초가 헷갈릴때마다 복습하고 다시찾아보고하면서 수학 늘고있음 자기주도적으로 수학이라는 학문에 흥미를 느끼면서 공부하는게 진짜 답인거같다. 내가 수학 1등급도 아니고 그냥 성적은 중상위권 정도지만 수학 푸는게 즐거워서 앞으로 더 올릴 수 있을거라고 믿으며 열심히 하고 있음 지금은 그냥 수학푸는게 너무 재밌고 좋다👍
@짱-r9k
@짱-r9k 3 жыл бұрын
생선님... 저희반 체육대회 반티같은 옷을 입으시고.... 그런멋진말을
@공부해서내가갖자
@공부해서내가갖자 11 ай бұрын
30명이면 30명의 구멍이 모두 다름. 중3이면 초3부터 초4,5,6,중1,중2 모두 구멍이 다 다름.........수 배우다가 식 넘어가면 또 구멍이 또 다름 ㅋㅋㅋㅋㅋㅋ 하나씩 다 알려주기에는 시간적인 여유가 넘나 부족함..그래서 학원을 다니지말고 과외로 자기 구멍 메워줄 사람 찾아서 하는게 최고임. 근데 대형학원가서 다 예습이나 하고 있으니 ..
@최재서-i9j
@최재서-i9j 4 жыл бұрын
80점이나 50점이나 0점이나 같은 대학 간다.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일뿐더러 문제점이긴하죠. 그런데 어쩔 수 없어요. 고딩들이 깔보는 인서울 마지노선 삼육대조차 상위 10%니까요...
@qpwoei13524
@qpwoei13524 2 жыл бұрын
1:02 이건 뭔가용 kzbin.info/www/bejne/jGaYdH18ZrGsh80
@bakhyungyu
@bakhyungyu 4 жыл бұрын
고마워요 승제쌤
@전투불패
@전투불패 4 жыл бұрын
승제쌤 말도 맞지만, 학생들에게 기초가 부족하니 중등, 고1거 부터 다시 하자고 하면... 그 학생과 학부모는 학원등록을 안합니다. 자기 아이들의 미래가 밝다, 노력만 하면 된다는 소릴 듣고 싶어하지 중등 고1부터 해야한다고 하면 일단 자존심 상해서 못 다니겠다고 하는 사람들이 태반입니다.ㅋ
@user-sn1tt5ki2h
@user-sn1tt5ki2h Жыл бұрын
문득 아주 기초적인 공식의 원리가 궁금해져 학교 선생님한테 물어봤더니 그건 네 이름이 왜 네 이름인지 묻는 것과 같다고 그냥 대충 받아들이라고 했다... 하지만 다섯 시간의 서치 끝에 수학적으로 증명해냄... 생선님 같은 마인드의 쌤이 우리 학교에 오셨으면 좋겠음 ㅠㅠ
@Blue1120
@Blue1120 Жыл бұрын
혹시 어떤 공식이였ㄴ는지 알려주실수 있나요?
@성그-t7h
@성그-t7h 4 жыл бұрын
1배속 들으니까 어색하다..
@25nimo11
@25nimo11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리기-z1l
@리기-z1l 3 жыл бұрын
수능 수학을 누구나 잘하는건 엄청난 난이도지만 정승제가 조금이라도 다가갈수 있을것 같은 기대가 든다. 참고로 교육부가 절대로 정승제 부를리가 없음. 교육부는 애초에 교육에 관심 자체가 없음. 그런데 교육얘기 하는 정승제를 부를 리가 없지.
@킹반인-v6v
@킹반인-v6v 4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의 중,고딩 분들이 다알걸? 자기의 기초는 이미 망해서 선행은 의미가 없는데 이미 너무많이 와버려서 되돌릴수 없다는걸...
@심규승-q9c
@심규승-q9c 4 жыл бұрын
이분 중국 교포신가요?
@놈진상
@놈진상 4 жыл бұрын
네~
@아롱-c1e
@아롱-c1e 4 жыл бұрын
@@놈진상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래플한번만
@래플한번만 4 жыл бұрын
@@놈진상 ㅋㅋㅋㅋㅋㅋㅋㅋ
@victoryun8146
@victoryun8146 4 жыл бұрын
조선족 중국동포 출신이신데 연변과학기술대학 수석졸업하고 한국 학원가에 들어오셨다네요 ㄷㄷ
@user-on2vxm435
@user-on2vxm435 4 жыл бұрын
네 알려드렸습니다~
@affp2469
@affp2469 2 жыл бұрын
80점이랑 50점이랑 0점이랑 가는 대학 천지차입니다 생선님......
@user-ez3lq7cs6o
@user-ez3lq7cs6o 4 жыл бұрын
0:48 ㄹㅇ임?
@매우난라구
@매우난라구 4 жыл бұрын
문과는 솔직히 88점 미만으로 정시로 좋은데는 꿈도 못 꿈 이과는 달라도 물론 이젠 통합되서 무의미
@베타붕괴
@베타붕괴 4 жыл бұрын
@@매우난라구 통합되도 비슷한듯
@Bkbkbkbkbkbkbkbkbkbk
@Bkbkbkbkbkbkbkbkbkbk 4 жыл бұрын
얼추 ㄹㅇ임
@수포자문돌이
@수포자문돌이 4 жыл бұрын
수학80점(3등급)에 나머지도 얼추 비슷한 수준이면 대학 못감ㅇㅇ 물론 수학80에 나머지 만점 가까우면 서성한은 감.
@sexngxu
@sexngxu 3 жыл бұрын
지금 수학 80이면 2등급임
@한가람-v7i
@한가람-v7i Жыл бұрын
세상모두가 똑똑해질순 없어.. 수포자도 많아야지.. 누구는 상위에서 머리쓰며 지위해야하고 누구는 몸으로 때워야한다. 그게 사회다.
@조성희-g2v
@조성희-g2v 3 жыл бұрын
생각하게하는 시간이네요
@cosmos2754
@cosmos2754 4 жыл бұрын
???: 완포자를 위한 중학수학특강
@user-pp1yz5jb4f
@user-pp1yz5jb4f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 ㅁ1ㅊ
@areteLee
@areteLee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일어났더니12시
@일어났더니12시 4 жыл бұрын
역시 생선님 하찮은 나란 인간을 대학 보내신 분..
@Rvdrvdrvd
@Rvdrvdrvd 4 жыл бұрын
의상 뭥미 ㅋㅋㅋㅋㅋㅋ
@4medouble
@4medouble 4 жыл бұрын
멋있다. 자기 말의 영향력을 아는 사람.
@finalFinalfinalFinal
@finalFinalfinalFinal 4 жыл бұрын
판별식에 따른 근의 양상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하는 사람이 적다는 것을 명제 하나를 예시로 딱 들어서 D
@홍정화-g4o
@홍정화-g4o 4 жыл бұрын
수포자를 위한 대표적인 강의는 50일수학..
@지투요
@지투요 4 жыл бұрын
그 의상 당신이니까 입을 수 있습니다
@chulpowr
@chulpowr 3 жыл бұрын
수학은 기초가 전분데 그 밑천을 대부분 안알려주지!!!
@namutnipp
@namutnipp 4 жыл бұрын
1:34 1:40 그냥 근의공식에서 근호속에 있는게 음수면 허수가 되어서잖아요...?
@enestryt9705
@enestryt9705 3 жыл бұрын
유튭 파워볼손흥민 라이브방송 승률 미쳤지 ㅋㅋㅋㅋ20만원으로 400만원 만들었네요
@not7018
@not7018 2 жыл бұрын
이걸 잠자기전에 봅니다..
@를위해
@를위해 4 жыл бұрын
멋있어
@달링-b1n
@달링-b1n 3 жыл бұрын
우리딸이그랬음 (초4) 내가수학을 싫어하는이유는 나를 이해시켜주는 선생님이 없었다고.. Ebs 과외쌤 학교쌤 다 똑같데
@user-if1fh1vd8o
@user-if1fh1vd8o 4 жыл бұрын
내가 수학 포기한이유 ㅋㅋ중딩때까지는 진짜 아득바득 개념이라도 외워서 붙잡고 있었는데 고등학교 올라가고 응용을못해먹으니까 킬러문제?? 걍 못품 ㅋㅋ.. 그냥 문제보고 멍때리고 있는거임 그래도 대학가야하니까 ... 하면서 울면서 더러워도 계속했는데 수학천재친구보고 현타와서 때려치움.. 접근방식부터 다르더라
@흐흐흐-f5v
@흐흐흐-f5v 4 жыл бұрын
@Yoonsung Han 중학교때 수학을 그냥 안했고 지금 고1올라가는데 수학 어떻게 잡을수있을까여...
@user-if7bv2dt4e
@user-if7bv2dt4e 4 жыл бұрын
그럼 암기하지말라는거냐?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것도 아님 공식없이도 풀 수 있냐? 이게 맞음 공식은 시간절약을 위해서 만들어서 생기는거지
@캡스-z7c
@캡스-z7c 4 жыл бұрын
수학의 재미를 못느끼는게 가장 큰 문제가 아닐까?
@ON-gd2sr
@ON-gd2sr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판별식이 0보다 작으면 허근 갖는 걸 설명 못하는 이유로 진도 얘기 꺼내는 게 말도 안되는 이유인게... 그거 설명하는데 뭐 1분이나 걸림?? 그 사람들은 걍 대충 자기가 가르칠 범위만 가르치고 니들이 어떻든 신경을 안쓰는거지ㅋㅋㅋ 솔까 중고딩 수학 개념들은 다 이런식으로 하루만 날 제대로 잡으면 이전까지 배운 개념 한 번에 다 배울 수 있음. 왜냐? 개념적으로 어려운 건 전혀 없거든ㅋㅋㅋ 그저 배우는 사람이 공부하기 싫고 마음을 굳게 안 먹을 뿐이지ㅇㅇ 진도때매 안 알려 준단 쌤은 걍 스승이라기보단 돈 받기 위해 강단에 서 있는 느낌임...
@박짱아-s8g
@박짱아-s8g 4 жыл бұрын
승제쌤 중국 다녀오셨어요?? ㅋㅋ 의상 멋져요
@이창석-m3y
@이창석-m3y 4 жыл бұрын
생각할 힘 없으면 자진해서 선행하지 말자!
@수학하는팡머
@수학하는팡머 4 жыл бұрын
난 중3부터 고3까지 판별식 매번 가르치는데 우리 애들한테 영상보여줘야지..흐흐
@최멋진남
@최멋진남 4 жыл бұрын
수포자로 살아왔는데 사회에 나와 수학공식은 쓸일은 없었다. 다만 수학적인 분석과 판단 할일은 있었겠지 내가 모르고 지나 갔을뿐.
@asdf-dt9ov
@asdf-dt9ov 4 жыл бұрын
자막 감사해요
@진경-g7b
@진경-g7b 2 жыл бұрын
영어, 컴퓨터 기초부터 안가르쳐주죠, 다 포기하게되죠~~~****
@Zena-r3b
@Zena-r3b Жыл бұрын
20년도 자퇴후에 대학을 가야 하나 고민중입니다.. 굳이 대학이 아니더라도 중학교 수학 책도 어렵습니다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할까요 그냥 풀고 싶습니다
@아임빠른치타
@아임빠른치타 4 жыл бұрын
1:34 판별식이 근의 공식에서 나오는 건데 원리를 모르는 사람이 많다는 것은 근의 공식을 알지 못한단 소리군
@최하늘-j6u
@최하늘-j6u 4 жыл бұрын
그니까 님이라고요 그게 지금 쌤이 말하는 사람이 그걸 그렇게 밖에 생각하지 못한다는게.. 쌤이 말하는 모른다는 의미
@brsw3562
@brsw3562 4 жыл бұрын
@HMS Caelestisㄴㄴ 교육과정보면 나와있음 중3, 고1 (수학 상) 때 배움
@beaverspace
@beaverspace 3 жыл бұрын
정승제 선생님은 수학계의 백종원
@너는할수있어
@너는할수있어 4 жыл бұрын
수포자가 수학강의를 듣겠슴까..포기했는데....... ㅎㅎㅎ 우리선생님 대기자보고 팬됐는데요.. 내말이..선행안하면 따라도못가게 어려운데 왜 교육과정으로그리 바쁘게 만들고 그래놓고 애들할거많다고 선택해서 들으라는건 뭐야..이해할수없어..학교다닐때 추억거리 만들게 얼마나 많은데..
@비트업-1
@비트업-1 4 жыл бұрын
멋잇다 ....
@늉늉-o4b
@늉늉-o4b 4 жыл бұрын
아직 중딩인데 고등학교 수학까진 잘 모르겠지만.. 전 선행 없이는 수업시간에 이해하는 것 조차 힘들더라고요.초등학교때는 보통 저희 동네에서는 선행을 안했으니 더했죠.초등학교 때 수학 ,분수나 소수 이런것도 몰라서 울면서 공부했어요. 1문제 푸는데 10분도 넘게 걸렸어요.지금은 많은 유형의 문제를 풀다보니 문제를 보면 어느정도 식이 떠오르는데.. 새로운 개념의 식을 만드는 건 너무 어렵더라고요.유형별로 어떨때는 식을 외울때도 있어요.제 오빠는 중학교 수학은 너무 쉽다고 허더라고요.고등학생에 비하면 당연히 쉽지만 저는 너무나 어려워요.그냥 이해부터 활용까지 다 힘들더라고요..
@닌나-d7h
@닌나-d7h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판별식 음수면 왜 허근이죠 이유를 들어본 적이 없네요 허허
@masterpiece1420
@masterpiece1420 Жыл бұрын
판별식은 근의 공식에서 루트 부분을 뜻하는 건데 거기가 음수가 나온다는 건 루트 안에 음수가 있다는 거니까 허근이 나와용
@디두-w3k
@디두-w3k 4 жыл бұрын
1:32 아니 웨 술 드시면서 그런 이야기를 나누시는 거에요 증말...
@foevboy
@foevboy 4 жыл бұрын
선생님들이니까 그렇습니다. 직장인들끼리 술 마시면서 회사 얘기 상사 얘기 하는 거랑 똑같아요
본인 머리가 나쁜건지 확인하는 방법
6:59
유휘운-공무원변호사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Жездуха 42-серия
29:26
Million Show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서울대 교수님이 알려준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징
5:23
이 세상은 마인드의 차이야
7:17
정승제사생팬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공부하는 방식을 확 바꿔야 한다
9:31
정승제사생팬
Рет қаралды 13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