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수 처리 시설이 있을겁니다. 동일 업종은 아니지만 저희 회사도 폐수로 나오는 물은 폐수처리 시설로 이동시키고 폐수차가 와서 처리합니다.
@padoelec Жыл бұрын
이건 인류 문화 유산이야. 전세계에 중요문서 작성에 사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사요코토비 Жыл бұрын
느금마요
@irismoon8765 Жыл бұрын
아이디어 굿이네요😮
@KLS0901 Жыл бұрын
단가문제로 현실성이 없습니다.
@로꼬-t6p Жыл бұрын
와 뜨거운 솥인데 장화신으로 ㅠㅠ 대단합니다 존경
@슈퍼맨-x5d8 ай бұрын
곧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사장은 구속되고 영업정지 당하겠네.
@worldpump4523 Жыл бұрын
사용한 잿물( 가성소다물) ,헹굼때 사용한물등 독성물질 함유한물을 설마 하수구나 강으로 그냥 배출은 안하겠지요,은근히 걱정되네
@beumkeechoi7585 Жыл бұрын
자동화 공정을 개발해야 할 것 같습니다. 탁나무를 성장시키는 과정도 규격화 해서 자동화 할 수 있겠습니다. 공정을 생세히 관찰하고 공정 개발을 할 수 있겠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풀물을 만드는 공정과 종이뜨는 공정이 힘이 많이 든다는 것을 로봇이 할 수 있게 공정기술 개발을 하고 로봇이 미세한것 까지 잘하고 있는지 한지기술자가 로봇 공정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정부가 한지 산업을 더연구해서 한지 기능장제도를 정착시켜야 겠습니다.
@박준-i2m Жыл бұрын
수익성 없이 개선되는 기술은 없음 ㅇㅇ
@abcdefuxxu5 ай бұрын
메리트가 있다면 누구든 이미 자동화 공정 설비를 설계시도를 했겠지
@남자-y3g Жыл бұрын
장인들에게 박수드립니다
@mekopark3201 Жыл бұрын
자동화 가능할거 같은데 은근 안나오는거보면 생각처럼 쉽지 않나봄.
@박준-i2m Жыл бұрын
설비개발에 돈이 투자될만큼 수익성이 좋지 않은거 ㅇㅇ
@LKS_1961 Жыл бұрын
요새 한지는 외발뜨기가 아닌가보네요?
@colorpepsi7516 Жыл бұрын
몇시까지하는데요
@대한민국시민-w9k8 ай бұрын
손잡이가 두 개인 걸 보니까 하나로만 해서 더 튼튼한 조선 한지가 아니라 일본식 한지뜨기네.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니 결이 생기는 터라 찢어지기가 쉬운데.
@rararalalala3 ай бұрын
한지 만드시는 분들 지원좀 해주세요...
@럭키현승 Жыл бұрын
버리는물다 폐수인데 어떻게처리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손건-r2p Жыл бұрын
왜 폐수인가요?? 나무담갔다 뺀물인데 그냥
@박준-i2m Жыл бұрын
@@손건-r2p 잿물이 폐수지 뭔소리함
@뀨뀨뀨-p7c Жыл бұрын
@@손건-r2p 삶을때 가성소다 포대로 넣어요
@손건-r2p Жыл бұрын
@@뀨뀨뀨-p7c 아 첫부분을 안봤군요.. 미안합니다 ㅋㅋ;;
@c0ca1n Жыл бұрын
현재 23년 11월인데 잘 지내시겠죠???
@GM-xh4rk11 ай бұрын
세금 2종류 납부해야겠지?
@JLee-sp2vq7 ай бұрын
꼭 옛날 방식으로 만들어야 전통은 아닙니다. 수작업과 공장작업 중 냉정하게 기계가 더 잘 만듭니다. 더 정밀하고요. 한지의 소재는 전통대로 닥나무를 쓰고, 펄프의 질감과 풀은 그대로 쓰더라도 다른 제작 과정은 기계화를 해야...
@sowc8751 Жыл бұрын
저 틀이 100만원이 넘는다는 게 충격이당...
@착한사람-b1n Жыл бұрын
저풀끼를 그냥 하수구에씻겨보내나보네요
@hyungsuplim8316 Жыл бұрын
후계자 양성이 절실 하실텐데요,걱정스럽슴니다.비싸게 받으셔서 그돈으로 후게자 양성 하셔야 되는데요, 걱정뎀니다.
@JYP-o9o Жыл бұрын
가성소다를 넣고 끓이는데 어떻게 전통 한지죠? 옛날에도 가성소다가 있었나요?!
@전명호-n7w Жыл бұрын
모자란놈 니 말대로라면 이세상에 남아있는 전통이란게 아무것도 없겠다 전통이란건 계속해서 변해오는거야 예전 그대로인게 이세상에는 아무것도 없어 천년전 오백년전 이백년전 백년전 전통이 전부 같은 것인줄 아니? 시대마다 전부 달라
@전명호-n7w Жыл бұрын
핵심적인 틀이 중요한거지 세세한것까지 중요한게 아니야
@jhahn9226 Жыл бұрын
원래 잿물을 사용하는데, 잿물이라는게 나무를 태운 재에 물을 부어 침전물을 거른 물인데...현대에서 구하기 쉬운 대체 재료인 가성소다를 쓰는 것일 뿐, 표백효과 면에서 보면 거의 동일한 대체재를 사용한다고 보면 되죠. 가성소다 없이 잿물 만든다고 계속 나무 태울 순 없잖아요 ㅎㅎ; 전통방식이라는게 전체적인 과정이나 상황, 환경 생각하면서 정해지는 기준인거지, 그럼 저기 있는 공구 어떤 것도 현대의 기술로 만든걸 사용하면 안되는데 그렇게 하는 데가 어딧겠어요 모든 분야에서
@raphael_1987 Жыл бұрын
그런식으로 이야기하면, 전통음식 만드는데 다시다, 맛소금 같은거 들어가면 전통음식이 아니라고 하는거랑 같은 개념입니다. 요즘 시중에 판매되는 고추장 된장 등 전통재료들도 대부분 현대시대에 맞게 개량된 전통식품이라고 봐야합니다.
@그무개-v7z Жыл бұрын
이런 사람즐은 참 무식한거같어. 전통이라는게 그럼 어디까지 가야하냐? 원시부족 사냥하던 시절까지 가야하냐?? 세상이 발전하고 대체기술은 더욱 발전한다. 과거 한지 만드는 장인들도 더 좋은게 나오면 그걸로 썼을것이다. 무슨 한지가 자 이제부터 한지란걸 만들꺼야 1부터 10까지 꼭 이 방식으로 만들어야 한다 하면서 만들었겠냐? 하면서 발전해온거지. ㅉㅉㅉ 꼭 이런인간들이 무슨 복원 같은거하면 하나부터 열까지 단하나라도 틀리면 태클거는 모지리들이지. 혹시 피쳐폰쓸때 스마트폰 왜쓰냐 문자 통화만 잘되도 된다라고 말하던 사람 아니요?
@동원김-w5d10 ай бұрын
종이 붓 먹 하나도 쉬운게 없네~휴 이제 비싸다 소리 안해야지!!!
@니에미-o3c Жыл бұрын
45년 장인이신분은 이제 59년 장인이 되셨겠네요 은퇴 하셨을려나?
@이인섭-g9z Жыл бұрын
김발도 원리가
@나쁜사람11 ай бұрын
ㄷㄷ
@colorpepsi7516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돈은 얼마주는데요
@pjg6503 Жыл бұрын
잿물 이라면서 식용가성소다 ? 잿물을 먹는다고요?
@nicolelee5047 Жыл бұрын
원래 식용소다(식소다), 가성소다(양잿물) 이렇게 나뉘는데 '식용가성소다'라고 잘못말한 것 같아요. 포대에도 가성소다라고만 적혀있네요.
그리고 생각을 발상을 좀 바꾸면 좋겠는데 뒤집는다고 고생하지말고 골고루 팍 삶을려면 압력밥솥 원리 이용하면 좋을 것 같은데 그리고 가성소다 투입 공정은 따로 빼고
@올리브-u3o Жыл бұрын
저기서 나오는 증기도 유독합니다 염기성 증기에요 특히 눈을 보호해야합니다 시력감퇴는 기본이에요
@키워드-w9y Жыл бұрын
가성소다는 물 온다가 75도 이상 안 넘어가게 해야된다. 팡 하면서 튈 수 있다. 70에서 75도가 가장 이상적인 온도 가장 세쳑이 잘 된다 배관청소 할 때 가성소다와 물 배율도 중요하지만 저 온도를 유지해야 세척이 가장 잘된다. 즉 기름을 팔팔끌이는데 거기 물들어가면 어떻게되냐? 그렇게 생각해라. 기름온도가 약할때문 물이들어가도 그정도는아닌데 기름은 온도가 매우 높다. 물은 100도이상 안올라가고